KR101239129B1 - Spect/mri 이중 조영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Spect/mri 이중 조영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129B1
KR101239129B1 KR1020110002330A KR20110002330A KR101239129B1 KR 101239129 B1 KR101239129 B1 KR 101239129B1 KR 1020110002330 A KR1020110002330 A KR 1020110002330A KR 20110002330 A KR20110002330 A KR 20110002330A KR 101239129 B1 KR101239129 B1 KR 101239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spect
contrast agent
mr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2761A (ko
Inventor
박지애
김정영
김경민
김종국
임상무
장용민
김태정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의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의학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의학원
Priority to KR1020110002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129B1/ko
Publication of KR20120092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8/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8/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four or more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6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그 화합물의 제조방법, 그 화합물을 포함하는 SPECT 조영제 및 SPECT/MRI 이중 조영제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01832617-pat00023

상기 화학식 1에서,
M1188Re+, 188Re(CO)3 +, Cp188Re(CO)3 +, 188Re3+, 188ReO3+, 99mTc+, 99mTc(CO)3 +, Cp99mTc(CO)3 +, 99mTc3+, 또는 99mTcO3+ 이다.

Description

SPECT/MRI 이중 조영제 및 그 제조방법{Dual SPECT/MRI contrast agent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SPECT/MRI(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Magnetic Resonance Imaging) 이중 조영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신규 화합물, 그 제조방법, 그것을 포함하는 SPECT 조영제, 및 SPECT/MRI 이중 조영제에 관한 것이다.
자기공명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이란 자장을 발생하는 커다란 자석통 속에 인체를 들어가게 한 후 고주파를 발생시켜 신체부위에 있는 양성자를 공명시켜 각 조직에서 나오는 신호의 차이를 측정하여 컴퓨터를 통해 재구성하여, 영상화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자기공명영상(MR 영상)은 타 영상법에 비해 해상도 및 대조도가 높고 심부장기영상과 3차원 정보 제공이 실시간으로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MR 영상은 고유한 조직 신호 차이를 다양한 기법으로 생체 영상화 할 수 있지만 조영제를 사용하면 조직 내 물 분자의 자기이완시간을 변화시켜 조직의 대조도를 더욱 증가 시킬 수 있다.
조직 내 물 분자의 자기이완시간을 변화 시킬 수 있는 상자성 물질로는 가돌리늄(Gd3+), 망간(Mn2+) 등이 있다. 그러나 가돌리늄 및 망간 원소 그 자체는 인체 내에서 유독한 물질이므로 독성을 상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DTPA(Diethylene triamine penta aeetic acid)와 같은 리간드를 사용하여 착화(chelation) 시켜서 Gd-DTPA 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가돌리늄 원소의 독성은 이 원소가 생체 내에서 생체분자들과 반응할 수 있는 많은 결합 위치를 가지고 있음에 기인하기 때문에, 가돌리늄을 리간드에 착화시켜 가돌리늄이 생체 분자와 반응할 수 있는 결합위치들을 봉쇄하여 독성을 줄이는 것이다. 이렇게 착화된 금속 착화물 (metal chelate)은 인체 내에서 화학적 안정성을 유지해야 한다. 여기서 화학적 안정성이란 금속 착화물이 얼마나 오랫동안 분리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느냐 여부이다. 만약 Gd-DTPA가 인체 밖으로 배설되기 전 가돌리늄과 DTPA로 분리된다면 이는 치명적인 결과를 유발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화학적 안정성 여부는 흔히 열역학적인 개념인 안정 상수(stability constant)로 표현된다. 즉, MRI 조영제는 자기이완율이 높고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MRI는 타 영상법에 비해 해상도 및 대조도가 높긴 하지만, 핵의학 영상에 비해서는 민감도가 낮다. 이러한 낮은 민감도(10-5 mole/L)를 가진 MRI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MRI에 비해 높은 민감도(10-12 mole/L)를 가진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 혹은 SPECT(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등의 핵의학 영상기기를 결합시킨 PET/MR 혹은 SPECT/MR 등의 다중영상기기가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다중영상기기의 발전과 더불어 다중 방식의 조영제의 개발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중 조영제란 자기공명영상과 핵의학영상, 자기공명영상과 광학영상 혹은 핵의학영상과 광학영상 등 두 가지 이상의 영상에서 동시에 사용되어 동일한 진단부위에서의 2 개 이상의 진단영상으로 영상화가 가능하여 원하는 질병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하고 치료 단계로 들어가기에 앞서 질병에 대한 정확한 인지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가진 조영제를 말한다. 이와 관련하여 PET/MR 및 SPECT/MR 등의 다중영상조영제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개발 초기 단계이다.
전북대학교 정환정 박사는 MRI 조영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산화철 나노입자의 표면에 Tc-99m을 결합시켜 MRI와 SPECT에서 사용 가능한 이중 조영제를 개발하였다(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2009, 62: 1440-1446). 베이징대학교 Fan Wang 과 Mingyuan Gao 연구팀에서는 산화철 나노입자와 I-125 를 결합시켜 MRI와 감마카메라에서 사용가능한 이중 조영제를 개발하였다(Molecular pharmaceutics 2009, 6 :1074-1082).
그러나, MRI에서 T1 강조영상을 촬영할 때 일반적으로 상자성 가돌리늄 킬레이트를 조영제로서 사용하는데, 그 용량은 마이크로그람 혹은 밀리그람 이며, PET에서 사용되는 방사성동위원소의 용량은 나노그람 정도 이다. 즉, 핵의학 영상이 MRI에 비해 106~109 배 높은 민감도를 가지므로 단순하게 MRI 조영제와 방사성동위원소를 결합시킨 단일분자 형태의 조영제는 MRI 영상을 106~109 분의 1의 효과로 낮게 나타내기 때문에, MRI 및 핵의학영상 모두를 효과적으로 조영시킬 수 없으며, MRI 조영에 효과적인 양으로 투여된다면 환자에게 방사선이 과다 피폭되고 영상의 질도 상당히 저하된다. 그렇기 때문에 종래 개발된 이중 조영제는 가돌리늄 킬레이트의 자기적 성질에 비해 약 50 ~ 100 배나 큰 산화철 나노입자 형태를 갖는다(한국특허공개 2010-31885). 그렇다고 해도, 산화철 나노입자 형태의 이중 조영제가 106~109 배나 낮은 민감도를 갖는 MRI에 대한 조영제로서 충분한 역할을 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나노입자 형태는 체내에서 존재하는 대식세포에 의해 제거될 확률이 높고 체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 체내 독성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임상적용이 어렵다.
따라서, MRI및 핵의학 영상 모두에서 충분히 효과적인 조영제로서 작용할 수 있으면서, 독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중 조영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MRI 및 핵의학 영상 모두에 대해 충분한 조영제로서 작용할 수 있으면서도 독성이 없는 이중 조영제의 개발을 위해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합물 자체가 SPECT 조영제, 또는 MRI 및 SPECT 이중 조영제로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MRI 및 SPECT 모두에 대해 충분히 효과적이고 안전한 이중 조영제 조성물의 구성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SPECT 조영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MRI 및 SPECT 이중 조영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01832617-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M1188Re+, 188Re(CO)3 +, Cp188Re(CO)3 +, 188Re3+, 188ReO3+, 99mTc+, 99mTc(CO)3 +, Cp99mTc(CO)3 +, 99mTc3+, 또는 99mTcO3+ 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4의 DTPA-비스-아미드-히스티딘 리간드의 가돌리늄 착물과 188Re 또는 테크네슘-99m 이온 화합물의 혼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4]
Figure 112011001832617-pat00002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SPECT 조영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MRI/SPECT 이중 조영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MRI/SPECT 이중 조영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01832617-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M1188Re+, 188Re(CO)3 +, Cp188Re(CO)3 +, 188Re3 +, 188ReO3 +, 99 mTc+, 99 mTc(CO)3 +, Cp99mTc(CO)3 +, 99 mTc3 +, 또는 99 mTcO3 + 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1001832617-pat00004
상기 화학식 2에서,
M2는 Re+, Re(CO)3 +, CpRe(CO)3 +, Re3+, 또는 ReO3+ 이며,
단, 상기 M1 hot form이고, M2는 cold form의 관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통합된다.
본 발명자들은 DTPA를 변형시킨 새로운 리간드 DTPA-비스-아미드-히스티딘(하기 화학식 3)의 DTPA 모이어티에 가돌리늄을 착화시키고(화학식 4), 두 개의 히스티딘 모이어티 각각에 테크네슘-99m 이온을 착화시켜 상자성 가돌리늄 및 방사성의 테크네슘-99m의 착물(화학식 1)을 형성하면 SPECT 조영제로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실험예 3), 가돌리늄의 상자성으로 인해 MRI 조영제로서도 효과가 있으므로, SPECT/MRI 이중 조영제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SPECT/MRI 이중 조영제 화합물(화학식 1)에서, 레늄의 방사성동위원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진, 테크네슘-99m의 cold form인 레늄(Re)을 테크네슘-99m 대신 결합시킨 화합물(하기 화학식 2)을 상기 새로운 테크네슘-99m SPECT/MRI 이중 조영제 화합물(하기 화학식 1)과 조합함으로써 효과적인 MRI/SPECT 이중 조영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실험예 3).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01832617-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M1188Re+, 188Re(CO)3 +, Cp188Re(CO)3 +, 188Re3+, 188ReO3+, 99mTc+, 99mTc(CO)3 +, Cp99mTc(CO)3 +, 99mTc3+, 또는 99mTcO3+ 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99mTc(CO)3 +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착물"은 1 개 또는 그 이상의 원자나 이온을 중심으로 몇 개의 다른 원자, 이온, 분자 또는 원자단이 방향성을 갖고 입체적으로 배위(配位)하여 하나의 원자집단을 이루고 있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중심이 되는 원자 또는 이온에 배위하고 있는 원자이온분자(chelator:킬레이터)또는 원자단을 리간드(ligand: 배위자)라고 부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DTPA"는 디에틸렌트리아민 5초산(DiethyleneTriamine PentaAcetic acid)의 약어로서, 금속 친화성의 리간드 화합물이다. DTPA는 금속 친화성의 리간드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방사성 물질을 체외로 제거하는 작용이 있어 방사성 물질에 의한 세포독성을 줄일 수 있으므로 방사선 장해에 대한 화학적 방호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4의 DTPA-비스-아미드-히스티딘 리간드의 가돌리늄 착물, 및 188Re 또는 테크네슘-99m 이온 화합물의 혼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4]
Figure 112011001832617-pat00006
상기 화학식 4의 가돌리늄 착물은 가돌리늄이 리간드인 DTPA-비스-아미드-히스티딘과 착물을 형성하고 있는 착화합물이다. 이때 가돌리늄은 DTPA의 구조적 특징에 의하여 DTPA-비스-아미드-히스티딘과 착물을 형성하는 것이며, DTPA-비스-아미드-히스티딘에서 히스티딘 모이어티는 착물 형성에 기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히스티딘은 다른 금속과 착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화학식 4의 가돌리늄 착물에 188Re 이온 화합물 또는 테크네슘-99m 이온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1의 188Re 착화합물 또는 테크네슘-99m 착화합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4의 가돌리늄 착물과 188Re의 반응은 M2의 종류에 따라 산화조건을 달리하여 반응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반응 조건은 본 명세서의 기재에 기초하여 유기 화합물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Chen KT, Lee TW, Lo JM. In vivo examination of 188Re(I)-tricarbonyl-labeled trastuzumab to target HER2-overexpressing breast cancer.Nucl Med Biol. 2009 May;36(4): 355-61).
상기 화학식 4의 가돌리늄 착물과 반응시키는 테크네슘-99m 이온 화합물은 제조하고자 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M1의 종류(99mTc+, 99mTc(CO)3 +, Cp99mTc(CO)3 +, 99mTc3+, 또는 99mTcO3+)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M1이 Te(CO)3 + 일 경우 테크네슘-99m 이온 화합물은 [99mTc(CO)3(H2O)3]+일 수 있다. M1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테크네슘-99m 이온 화합물 및 구체적인 반응 조건은 본 명세서의 개시내용에 기초하여 유기 화합물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James S, Maresca KP, Babich JW, Valliant JF, Doering L, Zubieta J. Isostructural Re and 99mTc complexes of biotin derivatives for fluorescence and radioimaging studies. Bioconjug Chem. 2006 May-Jun;17(3):590-6; Chen X, Guo Y, Liu B. Caution to HPLC analysis of tricarbonyl technetium radiopharmaceuticals: an example of changing constitution of complexes in column. J Pharm Biomed Anal. 2007 Mar 12;43(4):1576-9; Herrick RS, Ziegler CJ, Gambella A, Reactions of [Re(CO)3]+ with Histidylhistidine and Modified Histidines Eur. J. Inorg. Chem. 2010, 3905-3908; Pak JK, Benny P, Spingler B, Ortner K, Alberto R. N(epsilon) functionalization of metal and organic protected L-histidine for a highly efficient, direct labeling of biomolecules with [Tc(OH2)3(CO)3]+. Chemistry. 2003 May 9;9(9):2053-61).
상기 화학식 4의 가돌리늄 착물과 188Re 또는 테크네슘-99m 이온 화합물의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용매는 상기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임의의 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량의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4의 가돌리늄 착물의 188Re 이온 화합물 또는 테크네슘-99m 이온 화합물과의 반응 시 생성물의 수율 및 안전성을 고려하여, 상기 혼합물을 완벽하게 밀봉한 반응기 중에서 반응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약 20분간 반응시킬 수 있다. 상온이란 20 내지 25℃ 범위의 온도를 말한다.
상기 혼합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에서 불순물의 제거를 위해서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HPLC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의 DTPA-비스-아미드-히스티딘 리간드 화합물에 가돌리늄 화합물을 반응시켜 착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1001832617-pat00007
구체적으로는,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증류수에 넣은 후, Gd2O3를 가하고 교반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혼합용액 중에서 불순물 및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얻어진 물질을 3차 증류수에 녹인 후, 아세톤으로 침전시켜 고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단계 1은 가돌리늄 착물을 형성시키는 단계로서, 가돌리늄 착물의 수율(yield)을 고려하여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화합물물과 Gd2O3의 몰비가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2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규조토(celite)를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 3은 최종적으로 화학식 4의 가돌리늄 착물을 얻는 단계로서, 차가운 아세톤을 사용하면 가돌리늄의 착물이 침전되고, 이를 분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화학식 4의 가돌리늄의 착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의 DTPA-비스-아미드-히스티딘은 DTPA-비스-안하이드라아이드(DTPA-bis-anhydride)를 히스티딘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용매 중에 DTPA-비스-안하이드라이드 및 히스티딘을 가하고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저압에서 용매를 모두 제거한 후 메탄올을 넣어 녹인 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얻어진 화합물을 아세톤에 가하여 침전시키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단계 3에서 얻어진 물질을 진공상태에서 건조하여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단계 1에서 용매는 상기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임의의 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메틸렌 클로라이드(CH2Cl2)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계 2는 단계 1의 반응이 종결됨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을 정제하기 위한 단계로서, 저압에서 용매를 모두 제거한 후 메탄올에 녹여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정제된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단계 3에서는 아세톤에 의해 목적하는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침전시키고 단계 4에서 건조시켜 최종적으로 원하는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상온보다 높은 온도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방사성의 Tc-99m의 존재로 인해 SPECT 조영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SPECT 조영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01832617-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서,
M1188Re+, 188Re(CO)3 +, Cp188Re(CO)3 +, 188Re3+, 188ReO3+, 99mTc+, 99mTc(CO)3 +, Cp99mTc(CO)3 +, 99mTc3+, 또는 99mTcO3+ 이다.
ICR 마우스에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정맥 주사하여 주사 전후의 SPECT/CT 영상을 측정한 결과, 간, 담낭, 및 신장 부위에서 증가된 신호가 관찰되었다(실험예 3). 따라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SPECT 조영제는 간, 담낭, 및 신장 조영에 대해 특이성이 있는 SPECT 조영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24 시간 이내에 신장과 담관을 통해 완전히 배설되므로 생체에 대한 독성이 낮아 바람직하다. 또한, M1188Re인 경우는 SPECT 영상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Qin ZX, Li QW, Liu GY, Luo CX, Xie GF, Zheng L, Huang DD. Imaging targeted at tumor with (188)Re-labeled VEGF(189) exon 6-encoded peptide and effects of the transfecting truncated KDR gene in tumor-bearing nude mice.Nucl Med Biol. 2009 Jul;36(5):535-43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상자성의 가돌리늄 또한 포함하고 있으므로 MRI 조영제로서도 효과가 있다. 즉,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나의 화합물에 상자성 금속과 188Re 또는 99mTc의 방사성 금속을 포함하여 MRI 조영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SPECT 조영제로서도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SPECT/MRI 이중 조영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01832617-pat00009
상기 화학식 1에서,
M1188Re+, 188Re(CO)3 +, Cp188Re(CO)3 +, 188Re3+, 188ReO3+, 99mTc+, 99mTc(CO)3 +, Cp99mTc(CO)3 +, 99mTc3+, 또는 99mTcO3+ 이다.
상기 MRI/SPECT 이중 조영제는 상기 활성성분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기준으로 성인에게 0.1~30 mCi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SPECT/MRI 이중 조영제로서 사용할 수 있기는 하지만, SPECT와 같은 핵의학 영상이 MRI에 비해 106~109 배 높은 민감도를 가지므로 상기 화학식 1과 같은 단일분자 형태의 조영제는 MRI 영상을 106~109 분의 1의 효과로 낮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자체는 MRI 및 SPECT 모두를 효과적으로 조영시키기 어려우며, 민감도가 낮은 MRI 조영에 효과적인 양으로 투여된다면 환자에게 방사선이 과다 피폭되고 영상의 질도 상당히 저하된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Tc-99m을 Tc-99m의 비방사성 원소, 즉 cold form으로 치환시킨 화학식 2의 화합물과 조합함으로써 효과적인 MRI/SPECT 이중 조영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M1188Re+, 188Re(CO)3 +, Cp188Re(CO)3 +, 188Re3+, 188ReO3+, 99mTc+, 99mTc(CO)3 +, Cp99mTc(CO)3 +, 99mTc3+, 또는 99mTcO3+ 에서 각각의 99mTc이 그것의 cold form의 형태인 레늄이온 Re+, Re(CO)3 +, CpRe(CO)3 +, Re3+, 또는 ReO3+ 으로 치환된 화합물(화학식 2의 화합물)과 조합하여 조성물을 형성함으로써 MRI/SPECT 이중 조영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2의 화합물은 방사성 동윈원소를 포함하지 않아 MRI 조영제로서의 효과만 있고,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방사성동위원소를 포함하여 SPECT 조영제로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조합한 조영제는 MRI 및 SPECT 모두에 대한 조영제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화학식 2의 화합물에 비해 적게 함유시킴으로써 방사선 피폭이 과다하지 않으면서 MRI 및 SPECT 모두의 조영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MRI/SPECT 이중 조영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01832617-pat00010
상기 화학식 1에서,
M1188Re+, 188Re(CO)3 +, Cp188Re(CO)3 +, 188Re3+, 188ReO3+, 99mTc+, 99mTc(CO)3 +, Cp99mTc(CO)3 +, 99mTc3+, 또는 99mTcO3+ 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1001832617-pat00011
상기 화학식 2에서,
M2은 Re+, Re(CO)3 +, CpRe(CO)3 +, Re3 +, 또는 ReO3 + 이며;
단, 상기 M1은 hot form이고, M2는 cold form의 관계이다.
본 명세서에서 "hot form"이란 비방사성 원소에 대해 그 원소와 동일한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생체에 투여 시 동일한 분포를 가지면서, 방사선을 방출하는 원소를 말한다. 반대로, 방사성 원소에 대해 그 원소와 동일한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생체에 투여 시 동일한 분포를 가지면서, 방사선을 방출하지 않는 원소를 "hot form" 에 대한 "cold form"이라고 한다. 레늄(Re)에 대해서는 188Re 또는 테크네슘-99m(99mTc)이 hot form에 해당하며, 188Re 또는 테크네슘-99m(99mTc)에 대해 레늄(Re)은 cold form 에 해당한다.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의 DTPA-비스-아미드-히스티딘 리간드의 가돌리늄 착물에 레늄 이온 화합물을 가하고 교반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용액에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톤을 가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침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침전물을 분리하여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11001832617-pat00012
상기 화학식 4의 가돌리늄 착물은 가돌리늄이 리간드인 DTPA-비스-아미드-히스티딘과 착물을 형성하고 있는 착화합물이다. 이 때 가돌리늄은 DTPA의 구조적 특징에 의하여 DTPA-비스-아미드-히스티딘과 착물을 형성하는 것이며, DTPA-비스-아미드-히스티딘에서 히스티딘 모이어티는 착물 형성에 기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히스티딘은 다른 금속과 착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화학식 4의 가돌리늄 착물에 레늄 이온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2의 레늄 착화합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4의 가돌리늄 착물과 반응시키는 레늄 이온 화합물은 제조하고자 하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의 M2의 종류(Re+, Re(CO)3 +, CpRe(CO)3 +, Re3+, 또는 ReO3+ )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M2가 Re(CO)3 + 일 경우 레늄 이온 화합물은 [Et4N]2[ReBr3CO3]일 수 있다. M2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레늄 이온 화합물 및 구체적인 반응 조건은 본 명세서의 개시내용에 기초하여 유기 화합물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James S, Maresca KP, Babich JW, Valliant JF, Doering L, Zubieta J. Isostructural Re and 99mTc complexes of biotin derivatives for fluorescence and radioimaging studies. Bioconjug Chem. 2006 May-Jun;17(3):590-6; Chen X, Guo Y, Liu B. Caution to HPLC analysis of tricarbonyl technetium radiopharmaceuticals: an example of changing constitution of complexes in column. J Pharm Biomed Anal. 2007 Mar 12;43(4):1576-9; Herrick RS, Ziegler CJ, Gambella A, Reactions of [Re(CO)3]+ with Histidylhistidine and Modified Histidines Eur. J. Inorg. Chem. 2010, 3905-3908; Pak JK, Benny P, Spingler B, Ortner K, Alberto R. N(epsilon) functionalization of metal and organic protected L-histidine for a highly efficient, direct labeling of biomolecules with [Tc(OH2)3(CO)3]+. Chemistry. 2003 May 9;9(9):2053-61).
상기 화학식 4의 가돌리늄 착물의 레늄 이온 화합물과의 혼합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용매는 상기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임의의 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량의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침전물을 분리하여 건조하는 단계에서 분리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분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심분리 또는 필터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통상적인 건조 방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진공건조 또는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이중 조영제는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화합물의 구조가 서로 동일하되, 단 M1 및 M2가 서로 hot form 및 cold form의 관계이므로, 화학식 1 및 2의 화합물은 생체 내에서 동일한 흡수, 분포, 대사, 배설의 약물동태학적 양상을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SPECT 조영제로서의 활성이 있고,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방사성의 99mTc 대신 비방사성 Re 이므로 SPECT 조영제 활성이 없고 MRI 조영제로서의 현저히 우수한 활성(높은 자기 이완율)을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2의 화합물은 방사성의 99mTc 대신 비방사성 Re를 가지므로 MRI 조영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은 실험예 2 및 3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화학식 2의 화합물은 생체 내에서 동일한 분포 형태를 나타내므로,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화학식 2의 화합물을 모두 포함하는 조영제는 동일한 부위에서 MRI 및 SPECT에 대한 조영효과를 나타내므로, MRI 및 SPECT에 대한 효과적인 이중 조영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실험예 3). 따라서, 상기 이중 조영제는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 MRI 영상 및 SPECT 영상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이중 조영제를 이용함으로써 MRI의 높은 공간 해상도 및 해부학적 정보 뿐만 아니라 SPECT의 우수한 민감도 및 높은 시간 해상도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이중 조영제는 SPECT 조영제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MRI 조영제인 화학식 2에 대한 몰비는 1: 103 ~ 1: 106 인 것이 바람직하다. MRI 조영제는 그 민감도가 SPECT 조영제에 비해 약 106~109 분의 1이므로, MRI 조영제인 화학식 2의 화합물을 103~106 배 더 많이 함유시킴으로써 MRI 조영제로서의 효과 및 SPECT 조영제로서의 효과 모두가 충분히 얻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함량 조절에 의해, 민감도가 높은 SPECT에 대한 조영제로서 작용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함량을 줄이면서, 상대적으로 민감도가 낮은 MRI의 조영제로서 작용하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의 함량을 충분히 증가시킬 수 있어, 생체에 대한 과도한 방사선 노출을 피하면서 MRI 영상 또한 효과적으로 얻어질 수 있는 MRI/SPECT 이중 조영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MRI/SPECT 이중 조영제는 상기 활성성분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0.1~30 mCi 및 화학식 2의 화합물은 0.001~1 mmol/kg 의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이중 조영제의 일 구현예는 하기 화학식 1a의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1a]
Figure 112011001832617-pat00013
[화학식 2a]
Figure 112011001832617-pat00014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1의 및 2의 화합물을 조영제로서 투여하기 위해서는 합성된 화합물을 정제하고 멸균한 다음 사용할 수 있다. 정제 및 멸균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정제 및 멸균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Sep-Pak 등을 이용하여 정제한 다음, 멸균 필터를 통과시켜 멸균시킬 수 있다. 멸균필터로는 0.22 mm의 포어 사이즈를 갖는 멸균 필터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SPECT 조영제 및 SPECT/MRI 이중 조영제인 약제학적 조성물은 주사제로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주사제로 제제화될 경우 혈액과 등장인 무독성 완충용액을 희석제로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H 7.4의 인산완충용액 등이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완충용액 이외에 기타 다른 희석제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주사제에 부가될 수 있는 부형제 및 첨가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하기 문헌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Dr. H.P. Fiedler "Lexikon der Hilfsstoffe fur Pharmazie, Kosmetik und angrenzende Gebiete" [Encyclopaedia of auxiliaries for pharmacy, cosmetics and related fields]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종래의 SPECT 조영제에 비해 효과적이면서 안전한 SPECT 조영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방사성 원소 및 상자성 원소 모두를 포함함으로써 SPECT/MRI 이중 조영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주입 후 24 시간 이내에 신장과 담관을 통해 완전히 배출되어 생체 내 세포독성이 낮으므로 MRI 및 SPECT에서 각종 질병의 진단 및 질병치료과정을 모니터링 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hot form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그 화합물의 cold form인 화학식 2의 화합물과 조합함으로써 이중 조영제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중 조영제는 동일한 부위에서 MRI 및 SPECT에 모두에 대한 조영효과를 나타내므로, 보다 정확한 질병의 진단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MRI 조영제 및 SPECT 조영제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MRI 및 SPECT 조영 모두에 대해 효과적이면서 방사선에 대한 과도한 노출을 피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1은 화학식 3의 화합물의 Maldi-TOF 질량분석 그래프이다.
도 2는 화학식 4의 화합물의 FAB-MS 그래프이다.
도 3은 화학식 1a의 화합물의 γ-HPLC 그래프이다.
도 4는 화학식 2a의 화합물의 Maldi-TOF 질량분석 그래프이다.
도 5는 화학식 2a의 화합물의 UV-HPLC 그래프이다.
도 6은 [Et4N]2[ReBr3CO3]의 FT-IR 스펙트럼이다.
도 7은 화학식 4 화합물의 FT-IR 스펙트럼이다.
도 8은 화학식 2a의 화합물의 FT-IR 스펙트럼이다.
도 9는 마우스(ICR)의 SPECT/CT 영상으로,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주입 후의 축상면(axial) 영상으로서, 12 시간까지 간을 관찰한 영상이다.
도 10은 마우스(ICR)의 SPECT/CT 영상으로,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주입 후의 축상면 영상으로서, 12 시간까지 담낭을 관찰한 영상이다.
도 11은 마우스(ICR)의 SPECT/CT 영상으로,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주입 후의 관상면(coronal) 영상으로서, 12 시간까지 신장을 관찰한 영상이다.
도 12는 마우스(ICR)의 MR T1 강조영상으로,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주입하기 전과 후의 축상면(axial) 영상으로서, 주입 후 24 시간 까지 간을 관찰 한 영상이다.
도 13은 마우스(ICR)의 MR T1 강조영상으로,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주입하기 전과 후의 축상면 영상으로서, 주입 후 24 시간 까지 담낭을 관찰 한 영상이다.
도 14는 마우스(ICR)의 MR T1 강조영상으로,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를 주입하기 전과 후의 관상면(coronal) 영상으로, 주입 후 24 시간 까지 신장을 관찰한 영상이다.
도 15는 마우스(ICR)의 MR T1 강조영상과 SPECT 영상을 융합한 영상으로, 조영제 주입 전과 후의 영상을 비교한 것이다. 도 15의 (a)는 마우스(ICR)의 MR T1 강조영상에서 화학식 2a 의 화합물을 주입하기 전의 축상면 영상이고, (b)는 마우스(ICR)의 MR T1 강조영상에서 화학식 2a 의 화합물을 주입한 후의 축상면 영상이며, (c)는 마우스(ICR)의 MR T1 강조영상에서 화학식 2a 의 화합물을 주입한 후의 축상면 영상과 마우스(ICR)의 SPECT 영상에서 화학식 1a 의 화합물을 주입 한 후의 축상면 영상을 융합한 영상이다. 도 15의 (d)는 마우스(ICR)의 MR T1 강조영상에서 화학식 2a 의 화합물을 주입하기 전의 관상면 영상이고, (e)는 마우스(ICR)의 MR T1 강조영상에서 화학식 2a 의 화합물을 주입한 후의 관상면 영상이며, (f)는 마우스(ICR)의 MR T1 강조영상에서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주입한 후의 관상면 영상과 마우스(ICR)의 SPECT 영상에서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주입 한 후의 관상면 영상을 융합한 영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화학식 3의 DTPA-비스-아미드-히스티딘(L) 제조
[화학식 3]
Figure 112011001832617-pat00015
히스티딘(histidine) 0.765g(4 mmol)을 메틸렌클로라이드(CH2Cl2) 15 mL에 현탁시킨 서스펜션 형태의 반응 혼합물에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TEA) 5 mL을 가하여 상온(25℃)에서 1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1 시간 교반 후, DTPA-비스-안하이드라이드(DTPA-bis-anhydride) 0.71g(2 mmol)를 넣고 6 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시킨 후에 저압에서 용매를 모두 제거하고 메탄올 5 mL을 넣어 녹였다. 그리하여 얻어진 용액을, 메탄올을 통과시키는 짧은 실리카 겔(silica gel) (60 메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해 주고, 통과되어 나온 용액을 250 mL의 아세톤 용액에 떨어뜨려 침전시킨 후 필터로 여과하였다. 얻어진 흰색의 고체를 진공상태에서 건조시켰다.
그리하여 얻어진 생성물의 Maldi-TOF 질량분석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1의 합성과정을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1]
Figure 112011001832617-pat00016
실시예 2 : 화학식 4의 가돌리늄 착물([Gd-(L)H 2 O]˙2.5H 2 O)의 제조
[화학식 4]
Figure 112011001832617-pat00017
3차 증류수 10 mL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DTPA-비스-아미드-히스티딘 0.67g(1 mmol) 및 Gd2O3 0.18g(0.5 mmol)을 가하고 현탁하여 서스펜션을 제조하였다. 서스펜션 형태의 반응 혼합물을 90 ℃ 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리하여 얻어진 용액을 규조토로 채워진 필터에 통과시킨 후 증발건조(evaporation)를 이용하여 용매를 모두 제거하였다. 잔사에 3차 증류수 5 mL를 가하고 충분히 녹인 후 차가운 아세톤(Acetone) 중에 가하여 흰색의 침전물을 생성시켰다. 생성된 흰색의 침전물을 필터로 여과한 후 진공 건조시켰다.
그리하여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 원소 분석 및 질량 분석을 수행한 결과 하기 데이터를 얻었다. 또한, 도 2에서 FAB-MS의 데이터값을 구체적으로 나타내었다.
C26H38GdN9O14 ([Gd(L)H2O]·2.5H2O)
계산값 : C: 35.29, H: 4.67, N: 14.25
실험값 : C: 35.39, H: 4.42, N: 13.84
FAB-MS (m/z): 821.50 (M-H2O)+
상기 실시예 2의 합성과정을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2]
Figure 112011001832617-pat00018
실시예 3: 화학식 1a의 화합물 Gd-(L)H 2 O 99m Tc 2 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화학식 4의 가돌리늄 착물 1 mg(0.001 mmol)을 물(0.1 mL)에 넣고 완전히 녹인 용액을 10 mL 바이알에 넣고 [99mTc(CO)3(H2O)3]+ (0.1 mL, 11.8 mCi)와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상온(25℃)에서 약 20분간 반응시켰다.
그리하여 얻어진 생성물을 HPLC로 분리하였다. Altlantis dC-18 컬럼(3.0 x 150 mm)을 이용하고, 0.1% TFA 수용액과 0.1% TFA 아세토니트릴 용액을 95 : 5 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액을 0.43 ml/분의 속도로 흘려주면 RT 16 분에서 피크가 확인되었다. 방사선을 감지하기 위해서 gamma detector를 사용하였다. 얻어진 γ-HPLC 그래프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3의 화학식 1a의 화합물의 합성과정을 하기 반응식 3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3]
Figure 112011001832617-pat00019
실시예 4 : 화학식 2a의 화합물 Gd-(L)H 2 ORe 2 의 제조
[Et4N]2[ReBr3CO3] 184 mg(0.24 mmol)을 물(1 mL)에 가하고 상온(25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기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화학식 4의 가돌리늄 착물 98.6 mg(0.12 mmol)를 물(1 mL)에 넣고 완전히 녹인 용액을 서서히 가한 후 5 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에탄올 6 mL를 가하여 침전이 형성되면 원심분리에 의해 침전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침전물은 동결건조기에서 12 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그리하여 건조된 생성물을 HPLC로 분리하였다. Altlantis dC-18 컬럼(3.0 x 150 mm)을 이용하고, 0.1% TFA 수용액과 0.1% TFA 아세토니트릴 용액을 95 : 5 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액을 0.43 ml/분의 속도로 흘려주면 254 nm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 시 RT 16.5 분에서 피크가 확인되었다. 또한, 생성물에 대해 Maldi-TOF-MS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 4는 화학식 2a의 화합물의 Maldi-TOF-MS 그래프이고, 도 5는 화학식 2a 의 화합물의 uv-HPLC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5의 결과에 따르면, 화학식 1a의 화합물 및 화학식 2a의 화합물이 유사한 위치에서 RT 피크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어 화학적 성질이 동일한 것으로 추정된다.
상기 실시예 4의 화학식 2a의 화합물의 합성과정을 하기 반응식 4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4]
Figure 112011001832617-pat00020
실험예 1 : FT-IR 스펙트럼
실시예 4에서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제조할 때 사용된 [Et4N]2[ReBr3CO3], 화학식 4의 가돌리늄 착물, 및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화학식 2a의 화합물에 대하여 FT-IR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얻어진 FT-IR 스펙트럼을 각각 도 6,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Et4N]2[ReBr3CO3]는 특징적으로 1995 cm-1 와 1872 cm-1에서 두 개의 C-O의 피크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도 6).
화학식 4의 가돌리늄 착물의 카르복실기는 1600 cm-1에서 피크를 확인할 수 있다(도 7)
도 8에 따르면, 두 개의 C-O의 피크가 2033 cm-1 와 1925 cm-1인 것으로 나타나, 도 6에 나타난 [Et4N]2[ReBr3CO3]의 C-O 피크에 비해 위쪽으로 약간 이동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화학식 4의 가돌리늄 착물과 레늄의 결합에 의한 전자의 이동을 증명하는 것이다.
실험예 2 : 자기이완율(Relaxivity) 측정
상기 실시예 4 에서 제조된 화학식 2a의 화합물의 자기이완율을 측정하였다. 높은 자기이완율을 갖는 조영제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을 투여해도 높은 조영증강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높은 자기이완율은 MRI 조영제의 고효율성을 증명해주는 인자이다.
이완시간은 3 T(128 MHz) MRI 장비에서 측정하였다. T1 이완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반전 회복(inversion-recovery) 펄스열을 사용하였으며, T2 이완시간은 CPMG(Carr-Purcell-Meiboon-Gill) 펄스열을 사용하였다. 이완율(R1, R2)은 mM 당 이완시간의 역으로서 계산하였다.
측정된 자기이완율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의 결과에 따르면, 화학식 2a의 화합물은 Magnevist?에 비해 약 2배 정도의 큰 자기이완율을 가지므로, 더 효과적으로 신호를 나타낼 수 있는 MRI 조영제라고 할 수 있다.
시료 R1 (mM-1 s-1) R2 (mM-1 s-1)
Magnevist ? 4.0 ± 0.1 4.6 ± 0.1
화학식 2a의 화합물 7.8 ± 0.1 8.5 ± 0.1
실험예 3 : 자기공명영상(MRI)과 SPECT 영상 획득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화학식 1a의 화합물과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화학식 2a 화합물의 in vivo 조영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PECT 와 MRI 영상을 획득하였다. 마우스(ICR)에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주입한 후 SPECT 영상을 획득하고, 별도로 마우스(ICR)에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주입한 후 MRI 영상을 획득하였다. 현재 상용화된 MRI/SPECT 이중영상기기가 없기 때문에, MRI 및 SPECT 각각의 기계를 사용하여 영상을 획득하여, 이중조영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에 대해 시험한 것이다.
SPECT 영상은, 다중 PET/SPECT/CT 시스템(INVEON, Simens Medical Solutions)에서 촬영하였다. SPECT 영상만으로는 해부학적 구조를 확인하기 어려워 CT를 함께 촬영하여 SPECT 영상과 CT 영상을 정합하였다. 마취된 마우스의 꼬리 정맥을 통해 1 mCi 의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주입하여 주입 전, 후의 영상을 촬영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도 9, 도 10, 도 11에 나타냈다.
MRI 영상은, 3T 자기공명 영상장비(Magnetom Trio Tim, Siemens, Erlangen, Germany)에서 T1 강조 스핀에코 영상법으로 촬영하였다. 마취된 마우스의 꼬리 정맥을 통해 0.1 mmol/kg의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주입하였으며, 주입 전 및 후의 MRI 영상을 촬영하였다. 그 결과를 도 12, 도 13,도 14에 나타내었다. 또한, 마우스(ICR)의 MR T1 강조영상과 SPECT 영상을 융합한 영상으로, 조영제 주입 전과 후의 영상을 도 15에 나타내었다.
도 9는 마우스(ICR)의 SPECT/CT 영상으로,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주입 후의 축상면 영상으로서, 12 시간까지 간을 관찰한 영상이다.
도 10은 마우스(ICR)의 SPECT/CT 영상으로,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주입 후의 축상면 영상으로서, 12 시간까지 담낭을 관찰한 영상이다. 동그라미 부위는 담낭을 표시 한 것이다.
도 11은 마우스(ICR)의 SPECT/CT 영상으로,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주입 후의 관상면 영상으로서, 12 시간까지 신장을 관찰한 영상이다.
도 9, 도 10,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주입하기 전보다, 주입 후에 간, 담낭 및 신장 부위에서 증가된 신호(색이 밝아짐)를 관찰할 수 있다.
도 12는 마우스(ICR)의 MR T1 강조영상으로,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주입하기 전과 후의 축상면(axial) 영상으로서, 주입 후 24 시간 까지 간을 관찰 한 영상이다.
도 13은 마우스(ICR)의 MR T1 강조영상으로,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주입하기 전과 후의 축상면 영상으로서, 주입 후 24 시간 까지 담낭을 관찰 한 영상이다.
도 14는 마우스(ICR)의 MR T1 강조영상으로,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를 주입하기 전과 후의 관상면(coronal) 영상으로, 주입 후 24 시간 까지 신장을 관찰한 영상이다.
도 15는 마우스(ICR)의 MR T1 강조영상과 SPECT 영상을 융합한 영상으로, 조영제 주입 전과 후의 영상을 비교한 것이다. 도 15의 (a)는 마우스(ICR)의 MR T1 강조영상에서 화학식 2a 의 화합물을 주입하기 전의 축상면 영상이고, (b)는 마우스(ICR)의 MR T1 강조영상에서 화학식 2a 의 화합물을 주입한 후의 축상면 영상이며, (c)는 마우스(ICR)의 MR T1 강조영상에서 화학식 2a 의 화합물을 주입한 후의 축상면 영상과 마우스(ICR)의 SPECT 영상에서 화학식 1a 의 화합물을 주입 한 후의 축상면 영상을 융합한 영상이다. 도 15의 (d)는 마우스(ICR)의 MR T1 강조영상에서 화학식 2a 의 화합물을 주입하기 전의 관상면 영상이고, (e)는 마우스(ICR)의 MR T1 강조영상에서 화학식 2a 의 화합물을 주입한 후의 관상면 영상이며, (f)는 마우스(ICR)의 MR T1 강조영상에서 화학식 2a 의 화합물을 주입한 후의 관상면 영상과 마우스(ICR)의 SPECT 영상에서 화학식 1a 의 화합물을 주입 한 후의 관상면 영상을 융합한 영상이다.
도 12, 도 13, 도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주입하기 전(a),(c) 보다, 주입 후 (b),(d)에 간, 담낭 및 신장 부위에서 증가된 신호(색이 밝아짐)를 관찰할 수 있다. 이는 조영제의 일부는 간세포에서 대사되어 담낭을 통해 빠져 나가고 일부는 신장을 통해 방광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화학식 2a의 화합물은 주입 후 24시간 이내에 신장과 담관을 통해 배출되어 생체 내 세포독성이 낮은 효과를 갖는다는 알 수 있다.
도 9, 도 10, 도 11 과 도 12, 도 13, 도 14 를 각각 비교해 보면, in vivo 마우스에서 화학식 1a 화합물의 SPECT 영상은 화학식 2a의 MRI 영상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 1a의 화합물과 화학식 2a의 화합물의 혼합물이 이중 조영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5의 SPECT 영상과 MRI 영상을 융합한 영상에서도 간, 담낭 및 신장의 조영양상이 유사하게 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11001832617-pat00021

    상기 화학식 1에서,
    M1188Re+, 188Re(CO)3 +, Cp188Re(CO)3 +, 188Re3+, 188ReO3+, 99mTc+, 99mTc(CO)3 +, Cp99mTc(CO)3 +, 99mTc3+, 또는 99mTcO3+ 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M199mTc(CO)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하기 화학식 4의 DTPA-비스-아미드-히스티딘 리간드의 가돌리늄 착물과 188Re 또는 테크네슘-99m 이온 화합물의 혼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4]
    Figure 112011001832617-pat00022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테크네슘 이온 화합물은 [99 mTc(CO)3(H2O)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용매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SPECT 조영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MRI/SPECT 이중 조영제.
KR1020110002330A 2011-01-10 2011-01-10 Spect/mri 이중 조영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239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330A KR101239129B1 (ko) 2011-01-10 2011-01-10 Spect/mri 이중 조영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330A KR101239129B1 (ko) 2011-01-10 2011-01-10 Spect/mri 이중 조영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761A KR20120092761A (ko) 2012-08-22
KR101239129B1 true KR101239129B1 (ko) 2013-03-05

Family

ID=46884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330A KR101239129B1 (ko) 2011-01-10 2011-01-10 Spect/mri 이중 조영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1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3171A (ko) * 2008-05-27 2009-12-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tpa-비스-아미드 리간드를 포함하는 가돌리늄 착물과그 합성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3171A (ko) * 2008-05-27 2009-12-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tpa-비스-아미드 리간드를 포함하는 가돌리늄 착물과그 합성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eepa Sinha 외 4인. Cancer Biotherapy & Radiopharmaceuticals. 2009년 10월, Vol.24, No. 5, pp.615-620. *
Deepa Sinha 외 4인. Cancer Biotherapy & Radiopharmaceuticals. 2009년 10월, Vol.24, No. 5, pp.615-6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761A (ko)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6977B2 (en) Polypodal chelants for metallopharmaceuticals
CN108368067A (zh) 二聚造影剂
EP2468760B1 (en) Bisphosphonic acid derivative and compound thereof labeled with radioactive metal nuclide
Srivastava et al.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newly designed phosphonate based bone-seeking agent
KR101336071B1 (ko) 암 진단용 mri/ct 이중 조영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239129B1 (ko) Spect/mri 이중 조영제 및 그 제조방법
WO2023019303A1 (en) Radiopharmaceuticals, method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s in treatment, diagnosis and imaging diseases
KR101239130B1 (ko) Mri 조영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92760A (ko) Mri 및 핵의학 영상 이중 조영제 조성물
KR101829913B1 (ko) 방사성 금속 표지 벤조사이아졸 유도체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방사성 의약품
RU2674673C2 (ru) Эффективный синтез конъюгатов этилендицистеина-сахара для визуализации и терапии
KR101336073B1 (ko) 암 진단용 spect/mri 이중 조영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pect/mri이중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KR101336072B1 (ko) 암 진단용 spect/mri 이중 조영제 및 그 제조방법
WO2022196523A1 (ja) 含フッ素化合物および造影剤
US11701439B2 (en) DAZA chelators as ligands in liver imaging
CN118119581A (zh) 放射性药物、其生产方法以及在疾病治疗、诊断和成像中的用途
KR101743728B1 (ko) Peg 및 nota 함유 rgd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pet 조영제
JPH05508162A (ja) イソニトリルリガンド含有金属―放射性核種錯化合物
BR102020019102A2 (pt) Medicamento teranóstico para tratamento e diagnóstico de cânceres e doenças ósseas e seu processo de obtenção
Marinović Preparation of bifunctional ligands for radiometals conjugation to biomolecules
JP2022538179A (ja) 前立腺特異的膜抗原(psma)リガンド及びその使用
Foster Tailored metal complexes for imaging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