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866B1 - 가열실 내의 고온 세척액 수위레벨을 파악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가열실 내의 고온 세척액 수위레벨을 파악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866B1
KR101238866B1 KR1020110070831A KR20110070831A KR101238866B1 KR 101238866 B1 KR101238866 B1 KR 101238866B1 KR 1020110070831 A KR1020110070831 A KR 1020110070831A KR 20110070831 A KR20110070831 A KR 20110070831A KR 101238866 B1 KR101238866 B1 KR 101238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portion
heating chamber
level
washing liquid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0196A (ko
Inventor
김상범
Original Assignee
(주)진공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공플랜트 filed Critical (주)진공플랜트
Priority to KR1020110070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866B1/ko
Publication of KR20130010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gauge glasses or other apparatus involving a window or transparent tube for directly observing the level to be measured or the level of a liquid column in free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of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6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boiling the liq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실의 세척액의 수위레벨과 동일한 수위레벨을 갖는 수두부를 상기 가열실과 유통가능하게 구비시키고, 피세척물에 붙어 있는 고형 이물질이 상기 수두부에 유입되지 않게 U자형 트랩을 상기 수두부와 상기 가열실에 유통가능하게 구비시시키고, 상기 U자형 트랩에 통기부가 접속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U트랩이 선택적으로 통기되고, 상기 수두부가 투명재질로 되어 있고, 상기 수두부의 설정된 위치에 장착되어 광을 그 설정된 위치에 투사하여 이를 수광하는 센서가 상기 수두부에 구비되어 있어서, 안정적으로 그리고 장기적으로 가열실의 세척액 수위레벨을 가열실의 세척액과 접촉함 없이 파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열실 내의 고온 세척액 수위레벨을 파악하는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hight level of cleaning liquid with high temperature in heating chamber}
본 발명은 가열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세척건조장치에 구비된 가열실의 세척액 수위레벨을 파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세척건조장치는 세척 건조될 고형의 피처리물을 세척실에 장입하여 고온의 세척액에 의해 세척하고 진공상태에서 건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장치는 본 발명자에 의해 여러개 출원되어 등록된 바 있다.
상기 개시된 종래의 진공세척건조장치에는 세척실에서 세척을 수행하고 배수된 폐세처액을 기액분리하는 증발실 또는 상기 폐세척액에서 기액분리된 기체성분을 저장하는 재생실이 구비되어 있다.
이 증발실과 재생실에는 실내 공간을 가열하기 위해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하, 가열수단이 구비된 증발실과 재생실을 가열실로 언급될 것이다.
이러한 가열수단이 구비된 가열실은 세척액이 일정 수위레벨로 충전되게 되며, 가열수단에 의해 약 80~250℃로 가열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실에는 고온의 세척액의 일정 수위레벨을 파악하고자 세척액의 수위레벨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하지만, 수위레벨감지센서는 고온의 세척액과 접촉하는 기계식 및 전자식 센서가 상기 가열실에 삽입되어 있어서, 고온의 세척액과 접촉됨으로 인하여, 또는 기액분리시의 세척액의 증발성분과 접촉됨으로 인하여, 상기 센서들이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측정대상과 접촉하는 기계식 또는 전자식 센서는 60℃ 정도에서 작동가능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기계식 및 전자식 센서는 고장이 발생될 경우에는 바로 그 고장 여부를 알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가열수단이 구비된 가열실의 세척액의 수위레벨과 동일한 수위레벨을 갖는 수두부를 상기 가열실과 유통가능하게 구비시키고, 피세척물에 붙어 있는 고형 이물질이 상기 수두부에 유입되지 않게 U자형 트랩을 상기 수두부와 상기 가열실에 유통가능하게 구비시킴으로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U자형 트랩에 상기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물질을 상기 가열실 내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U자형 트랩에 통기부가 접속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U트랩이 통기되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두부가 육안으로 가열실의 수두를 볼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실의 설정된 세척액의 수위레벨을 자동으로 감지하기 위해, 상기 수두부의 설정된 위치에 장착되어 광을 그 설정된 위치에 투사하여 이를 수광하는 센서가 상기 수두부에 구비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된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안정적으로 그리고 장기적으로 가열실의 세척액 수위레벨을 가열실의 세척액과 접촉함 없이 파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가열실의 고온의 세척액 수위레벨을 파악하는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세척액 수위레벨을 파악하는 장치가 구비된 가열실이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가열실(100)은 세척액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10)이 바닥부와 하단부에 내접 또는 외접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열실(100)은 세척액이 투입되는 입구(20), 세척액이 배출되는 배출구(30), 및 세척액의 증발성분을 배출시키거나 상기 가열실(100) 내를 진공화시키는 출구(4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가열실(100)은 상기 가열실(100)의 내부에 담겨진 세척액 수위레벨을 파악하기 위한 장치(2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세척액수위레벨파악장치(200)는 일단이 상기 가열실(100)의 상단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가열실(100)의 하단에 유통가능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제1ㄷ자형 관형부(210), 상기 제1ㄷ자형 관형부(210)의 수직관형부(215)의 하단에 일단이 유통가능하게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제1ㄷ자형 관형부(210)의 하단 수평관형부(212) 보다 낮은 레벨로 수직하향으로 뻗어 있고 도중에 개폐밸브(V1)가 개재되어 있는 드레인관형부(220), 및 일단이 상기 수직관형부(215)의 상단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개폐밸브(V1)의 상류측고 상기 하단 수평관형부(212) 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된 상기 드레인관형부(220)의 도중에 접속되어 있는 제2ㄷ자형 관형부(2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열실(100)의 상단에 상기 제1ㄷ자형 관형부(210)의 일단이 접속된 부분은 가열실(100)에 투입된 세척액의 수위레벨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그리고 상기 수직관형부(215)의 상단에 상기 제2ㄷ자형 관형부(230)의 일단이 접속된 부분은 가열실(100)에 투입된 세척액의 수위레벨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상기 제2ㄷ자형 관형부(230)의 수직관형부(235)는 투명재질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ㄷ자형 관형부(230)의 하단 수평관형부(232)는 상기 제1ㄷ자형 관형부(210)의 하단 수평관형부(212) 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수직관형부(235) 보다 상기 가열실(100)의 폭방향 바깥방향으로 더 뻗어 있는 수평통기관형부(233)를 유통가능하게 접속하여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평통기관형부(233) 도중에는 상기 제1 및 제2ㄷ자형 관형부(210, 230)를 대기와 선택적으로 통기시키기 위해 개폐밸브(V2)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형관부(235)에는 세척액의 수위를 알 수 있게 하기 위해, 소정된 위치에 장착 배치되어 상기 수직관형부(235) 내로 광을 그 설정된 위치에 투사하여 이를 수광하는 센서(S)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공지된 것이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실(100)에 구비된 세척액수위레벨파악장치(2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출구(40)를 열어 상기 가열실(100) 내부를 진공화한 다음, 상기 입구(20)를 열어 세척액을 상기 가열실(100) 내에 일정 레벨까지 투입하고, 이 투입된 세척액을 가열수단(10)에 의해 가열하여 일정 온도까지 승온시키거나 기액분리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입구(20)를 열어 세척액을 상기 가열실(100) 내에 투입될 경우, 상기 제1ㄷ자형 관형부(210)가 상기 가열실(100)과 유통하고 있는 관계로, 상기 가열실(100) 내의 세척액이 상기 제1ㄷ자형 관형부(210)의 하단 수평관형부(212)를 경유하여 상기 수직관형부(215) 내로 진입하여 항상 상기 가열실(100) 내의 세척액 수위레벨과 상기 수직관형부(215)의 세척액 수위레벨이 동일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하단수평관형부(212)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된 상기 드레인관형부(220)에도 상기 세척액이 채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ㄷ자형 관형부(230)가 상기 제1ㄷ자형 관형부(210)와 유통하고 있는 관계로 상기 제1ㄷ자형 관형부(210) 내의 세척액이 상기 제2ㄷ자형 관형부(230)의 하단 수평관형부(232)를 경유하여, 상기 투명한 수직관형부(235) 내로 진입하여 항상 상기 제1ㄷ자형 관형부(210)의 상기 수직관형부(215) 내의 세척액 수위레벨과 상기 제2ㄷ자형 관형부(230)의 상기 수직관형부(235) 내의 세척액 수위레벨이 동일하게 된다.
상기 수직관형부(235)의 세척액의 수두 높이는 센서(S)에 의해서도 감지될 수 있다.
상기 가열실(100)에 채워져 가열된 세척액은 상기 배출구(30)를 통하여 상기 가열실(100)에서 배출되며, 이때 상기 수직관형부(215, 235)에 있는 세척액도 함께 상기 배출구(30)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그 수두가 낮아지게 된다.
하지만, 상기 드레인관형부(220)와 상기 하단 수평관형부(232)에 존재하는 세척액은 상기 배출구(30)의 보다 낮은 높이 레벨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배출구(30)를 통하여 배출되지 않고 그 대로 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가열실(100)의 내부가 가열수단(10)에 의해 가열되어도, 이 때 상기 드레인관형부(220)와 상기 하단 수평관형부(232)에 존재하는 세척액은 상기 가열수단(10)과 접촉하고 있지 않아, 기화되지 않고 액상으로 유지되게 된다.
상기 드레인관형부(220)와 상기 하단 수평관형부(232)에 존재하는 세척액에 함유된 고형이물질은, 상기 가열실(100)의 내부가 진공화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통기관형부(233)에 개재된 개폐밸브(V2)를 일정 시간 열고 닫으면, 대기의 공기가 상기 드레인관형부(220)와 상기 하단 수평관형부(232)에 일정량 유입되어 부피팽창하면서 상기 고형이물질이 함유된 세척액이 상기 제1 및 제2ㄷ자형 관형부(210, 230)을 경유하여 상기 가열실(100) 내로 유입되게 되어, 만약에 있을 수 있는 수직관형부(235)의 내주면에 붙어 있는 고형이물질이 함께 상기 가열실(100) 내로 유입되게 되어, 상기 수직관형부(235)의 내주면을 주기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실(100)를 도시되지 않은 통기수단에 의해 상기 세척실(100)을 대기압상태로 만든 다음, 상기 드레인관형부(220)의 개폐밸브(V1)를 열면, 상기 드레인관형부(220)와 상기 하단 수평관형부(232)에 존재하는 세척액 모두 고형 이물질과 함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100; 가열실, 200; 세척액수위레벨파악장치, 210; 제1ㄷ자형 관형부, 220; 드레인관형부, 230; 제2ㄷ자형 관형부

Claims (4)

  1. 세척액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바닥부와 하단부에 구비된 가열실에 투입된 세척액의 수위레벨파악장치로서,
    상기 세척액수위레벨파악장치(200)는
    일단이 상기 가열실(100)의 상단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가열실(100)의 하단에 유통가능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제1ㄷ자형 관형부(210), 상기 제1ㄷ자형 관형부(210)의 수직관형부(215)의 하단에 일단이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타단이 상기 제1ㄷ자형 관형부(210)의 하단 수평관형부(212) 보다 낮은 레벨로 수직하향으로 뻗어 있고 도중에 개폐밸브(V1)가 개재되어 있는 드레인관형부(220), 및 일단이 상기 수직관형부(215)의 상단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개폐밸브(V1)의 상류측이고 상기 하단 수평관형부(212) 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된 상기 드레인관형부(220)의 부위에 접속되어 있는 제2ㄷ자형 관형부(23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가열실(100)의 상단에 상기 제1ㄷ자형 관형부(210)의 일단이 접속된 부분은 가열실(100)에 투입된 세척액의 수위레벨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그리고 상기 수직관형부(215)의 상단에 상기 제2ㄷ자형 관형부(230)의 일단이 접속된 부분은 가열실(100)에 투입된 세척액의 수위레벨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제2ㄷ자형 관형부(230)의 수직관형부(235)에는 세척액의 소정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소정된 위치에 센서(S)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ㄷ자형 관형부(230)의 하단 수평관형부(232)는 상기 제1ㄷ자형 관형부(210)의 하단 수평관형부(212) 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수직관형부(235) 보다 상기 가열실(100)의 폭방향 바깥방향으로 더 뻗어 있는 수평통기관형부(233)를 유통가능하게 접속하여 포함하고 있고,
    상기 수평통기관형부(233) 도중에는 상기 제1 및 제2ㄷ자형 관형부(210, 230)를 대기와 선택적으로 통기시키기 위해 개폐밸브(V2)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실 내의 고온 세척액 수위레벨을 파악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100)은 세척액이 투입되는 입구(20), 세척액이 배출되는 배출구(30), 및 세척액의 증발성분을 배출시키거나 상기 가열실(100) 내를 진공화시키는 출구(4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실 내의 고온 세척액 수위레벨을 파악하는 장치.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S)는 상기 수직관형부(235) 내로 광을 그 설정된 위치에 투사하여 이를 수광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실 내의 고온 세척액 수위레벨을 파악하는 장치.


KR1020110070831A 2011-07-18 2011-07-18 가열실 내의 고온 세척액 수위레벨을 파악하는 장치 KR101238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831A KR101238866B1 (ko) 2011-07-18 2011-07-18 가열실 내의 고온 세척액 수위레벨을 파악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831A KR101238866B1 (ko) 2011-07-18 2011-07-18 가열실 내의 고온 세척액 수위레벨을 파악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196A KR20130010196A (ko) 2013-01-28
KR101238866B1 true KR101238866B1 (ko) 2013-03-04

Family

ID=4783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831A KR101238866B1 (ko) 2011-07-18 2011-07-18 가열실 내의 고온 세척액 수위레벨을 파악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8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5108A (ja) 1996-11-07 1998-07-14 Akuasu Kk ボイラーにおける水面測定装置または水位調節装置の防食方法
JP2002148101A (ja) 2000-11-10 2002-05-22 Yamatake Corp 液体検知装置
JP2004069482A (ja) 2002-08-06 2004-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位検知装置
JP2008164564A (ja) 2007-01-05 2008-07-17 Kurita Water Ind Ltd ボイラーの水位測定装置及びその防食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5108A (ja) 1996-11-07 1998-07-14 Akuasu Kk ボイラーにおける水面測定装置または水位調節装置の防食方法
JP2002148101A (ja) 2000-11-10 2002-05-22 Yamatake Corp 液体検知装置
JP2004069482A (ja) 2002-08-06 2004-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位検知装置
JP2008164564A (ja) 2007-01-05 2008-07-17 Kurita Water Ind Ltd ボイラーの水位測定装置及びその防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196A (ko) 2013-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29448B (zh) 一种真空浓缩器以及一种用于真空浓缩的方法
CN104952759B (zh) 晶圆清洁箱内微环境控制装置及控制方法
KR10094245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06645520A (zh) 水中挥发性有机物在线监测的前处理装置及方法
JP7069527B2 (ja) 洗浄装置
KR101238866B1 (ko) 가열실 내의 고온 세척액 수위레벨을 파악하는 장치
EP1867344A1 (en) Improved autoclave and sterilisation process
KR101238865B1 (ko) 세척실 내의 고온 세척액 수위레벨을 파악하는 장치
TWI585405B (zh) 揮發性有機物質量測系統
CN205351970U (zh) 一种真空干燥箱
KR200192795Y1 (ko) 압축 공기 응축수 자동 배출시스템
US10683604B2 (en) Dryer, particularly for drying clean-room garments and accessories
US20140318275A1 (en) Auto-sampler
JP2008196985A (ja) 液槽式熱衝撃試験装置
KR100893606B1 (ko) 스팀오븐용 증기발생장치
KR101586395B1 (ko) 파공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공감지방법
ES2665850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el encapsulamiento de una barra de combustible o de un segmento de barra de combustible para un almacenamiento provisional
KR101928162B1 (ko) 대기오염 측정 분석을 위한 수분 전처리 장치의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JP2015513675A5 (ko)
JP2015187565A (ja) 蒸発処理装置の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KR102229271B1 (ko) 세탁소의 스팀보일러용 배수트랩
WO2013045298A1 (en) Condensate type laundry dryer
CN104132832B (zh) 综合智能大气采样装置
KR20190034152A (ko) 에어리크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증기멸균장치
KR101235146B1 (ko) 농축 분말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