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465B1 - 다중-모드 디바이스를 위한 선택적인 데이터 통신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 Google Patents

다중-모드 디바이스를 위한 선택적인 데이터 통신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465B1
KR101237465B1 KR1020117012387A KR20117012387A KR101237465B1 KR 101237465 B1 KR101237465 B1 KR 101237465B1 KR 1020117012387 A KR1020117012387 A KR 1020117012387A KR 20117012387 A KR20117012387 A KR 20117012387A KR 101237465 B1 KR101237465 B1 KR 101237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tation
network
range rat
access
acc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4278A (ko
Inventor
스티븐 디. 쳉
톰 친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84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2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the same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04W36/32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by location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04W36/3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by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네트워크로의 다중-모드 무선 디바이스를 접속시키는 것이 이용가능할 때 단거리 무선 액세스 기술(RAT)들을 선택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중-모드 디바이스를 위한 선택적인 데이터 통신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VE DATA COMMUNICATIONS FOR MULTI-MODE DEVICES}
본 개시의 특정한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과 관련되고, 그리고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들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와 관련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시스템들 내에 서비스들을 위하여 등록된 무선 디바이스들(예컨대, 이동국들)과 통신하기 위해 기지국의 네트워크를 활용한다. 각 기지국(BS)은 무선 주파수(RF) 신호들을 이동국들(MS)로 방사하고 그리고 이동국들(MS)로부터 수신한다. BS들은 전형적으로 제공자 네트워크에 유선 접속의 백본에 의해 접속된다.
그러한 시스템들에서, 에어 리소스들은 전형적으로 와이어라인 통신보다 훨씬 더 비싼 것으로 간주된다. 더욱이, 와이어라인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것보다 오히려 무선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것이 전형적으로 훨씬 더 비싸다. 비용들의 부분은 특정한 네트워크에서 이동 사용자들의 피크 레이트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음에 기인하는 기지국들 간에 로드를 밸런싱하는 데에 있어서의 어려움에 기인한다. 피크 레이트는 이동 사용자들이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예측하기 어렵다.
결과적으로, 대역폭 요구가 네트워크가 핸들링할 수 있는 것을 초과하도록 로컬 이동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이동 사용자들이 증가할 때 네트워크는 정체(congestion)를 경험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 디바이스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할 때 단거리 무선 액세스 기술(RAT)들을 선택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장거리의 트래픽 정체를 완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고, 사용가능한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킨다.
특정한 실시예들은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일반적으로 이동국이 장거리 무선 액세스 기술(RAT) 기지국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동안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치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상기 이동국을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가능한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으로 스위칭(switch) 되도록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한 양상들이 다중-모드 이동국에 의해 네트워크를 액세스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일반적으로 장거리 무선 액세스 기술(RAT) 기지국을 통해 이동국의 위치를 제공하는 단계,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네트워크로의 접속으로 스위칭하라는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들이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이동국이 장거리 무선 액세스 기술(RAT) 기지국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동안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로직, 상기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상기 이동국을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가능한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한 로직, 및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으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들이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장거리 무선 액세스 기술(RAT) 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로직,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으로 스위칭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로직, 및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들이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이동국이 장거리 무선 액세스 기술(RAT) 기지국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동안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상기 이동국을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가능한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으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들이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장거리 무선 액세스 기술(RAT) 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으로 스위칭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들이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product)을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저장된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상기 명령들은 일반적으로 이동국이 장거리 무선 액세스 기술(RAT) 기지국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동안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상기 이동국을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가능한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으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들이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product)을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저장된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상기 명령들은 일반적으로 장거리 무선 액세스 기술(RAT) 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명령들,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으로 스위칭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 내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는 IEEE 802.11 표준들의 패밀리 중 적어도 하나의 표준에 따라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 내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장거리 RAT 기지국은 IEEE 802.16 표준들의 패밀리 중 적어도 하나의 표준에 따라 통신하는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 내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장거리 RAT 기지국은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TDMA)를 통해 통신하는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 내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장거리 RAT 기지국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를 통해 통신하는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상기-인용된 특징들이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본 개시의 더욱 상세한 기술이, 실시예들의 참조에 의해 상기 간략하게 요약되고, 그들의 일부는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이러한 개시의 전형적인 실시예들만을 도시하므로 그것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 아니라, 본 개시에 대하여 다른 균등하게 유효한 실시예들을 허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특정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특정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특정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활용될 수 있는 예시의 전송기 및 예시의 수신기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특정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의 다중-모드 이동국을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특정한 실시예에 따른, 균일하게 그리고 불균일하게 분포된 MS들을 갖는 예시의 다중-RAT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특정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모드 MS와 통신하기 위한 예시의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특정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모드 MS와 통신하기 위한 예시의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7a는 도 7에서 도시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예시의 컴포넌트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특정한 실시예에 따른, 장거리 및 단거리 RAT들 간에 배분된 트래픽을 갖는 예시의 다중-RAT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개시된 기법들은 직교 다중화 방식에 기반한 통신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통신 시스템들의 예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시스템들,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시스템들 등을 포함한다. OFDMA 시스템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를 활용하고, 이는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분할(partition)하는 변조 기법이다. 이러한 서브-캐리어들은 톤(tone)들, 빈(bin)들 등으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OFDM으로, 각 서브-캐리어는 데이터와 독립적으로 변조될 수 있다. SC-FDMA 시스템은 시스템 대역폭을 통해 분산된 서브-캐리어들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인터리빙된(interleaved) FDMA (IFDMA), 인접하는 서브-캐리어들의 블록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로컬화된 FDMA (LFDMA), 또는 인접하는 서브-캐리어들의 복수의 블록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향상된(enhanced) FDMA (EFDMA)를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OFDM으로 주파수 영역에서 그리고 SC-FDMA으로 시간 영역에서 전송된다.
직교 다중분할 방식에 기반한 통신 시스템의 하나의 특정한 예는 WiMAX 세스템이다.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를 나타내는, WiMAX는 장거리에 걸쳐 고-출력 브로드밴드 접속을 제공하는 표준들-기반 광대역 무선 기술이다. 고정 WiMAX 및 이동 WiMAX의 오늘날 두 개의 메인 어플리케이션들이 있다. 고정 WiMAX는 포인트-대-멀티포인트이고, 예를 들어, 가정 및 사업장에서 광대역 액세스를 가능하게 한다. 이동 WiMAX는 광대역 스피드도 셀룰러 네트워크의 풀 이동성을 제공한다.
IEEE 802.16x는 고정 및 이동 광대역 무선 액세스 (BWA) 시스템들을 위한 에어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기 위한 최근에 만들어진 표준 조직이다. 그러한 표준들은 적어도 네 개의 물리 계층(PHY)들 및 하나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층을 정의한다. 네 개의 물리 계층들 중 OFDM 및 OFDMA 물리 계층은 고정 및 이동 BWA 영역들에서 각각 가장 파퓰러한(popular) 물리 계층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채택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예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다수의 셀들(102)을 위한 통신을 제공할 수 있고, 각각의 셀은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된다. 기지국(104)은 사용자 터미널들(106)과 통신하는 고정국일 수 있다. 기지국(104)은 대안적으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또는 몇몇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걸쳐 분산된(dispersed) 다양한 사용자 터미널들(106)을 도시한다. 사용자 터미널들(106)은 고정되거나 (즉, 정지한(stationary)) 또는 모바일일 수 있다. 사용자 터미널들(106)은 원격국들, 액세스 터미널들, 터미널들, 가입자 유닛들, 이동국들, 사용자 장비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 터미널들(106)은 셀룰러 폰들, 개인 디지털 어시스턴스(PDA)들, 핸드헬드 디바이스들, 무선 모뎀들, 랩탑 컴퓨터들,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양한 알고리즘들 및 방법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기지국들(104) 및 사용자 터미널들(106) 간의 전송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들은 UWB 기법들에 따라 기지국들(104) 및 사용자 터미널들(106) 간에 전송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그 경우라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 OFDM/OFDMA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104)으로부터 사용자 터미널(106)로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통신 링크는 다운링크(DL)(108)로 지칭되고, 사용자 터미널(106)로부터 기지국(104)으로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통신 링크는 업링크(UL)(110)로 지칭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운링크(108)는 순방향 링크 또는 순방향 채널으로 지칭될 수 있고, 업링크(110)는 역방향 링크 또는 역방향 채널로 지칭될 수 있다.
셀(102)은 복수의 섹터들(112)로 분할될 수 있다. 섹터(112)는 셀(102) 내에 물리적 커버리지 영역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 기지국(104)은 셀(102)의 특정한 섹터(112) 내에 전력의 흐름을 집중시키는 안테나들을 활용할 수 있다. 그러한 안테나들은 지향성(directional) 안테나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채택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202)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여기서 개시된 다양한 방법들을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예이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기지국(104) 또는 사용자 단말(106)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무선 디바이스(202)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2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4)는 또한 중앙 처리 유닛(CPU)로도 지칭될 수 있다. 판독-전용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206)는 프로세서(204)로 명령들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206) 중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4)는 메모리(206)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에 기반하여 전형적으로 논리적인 및 산술적인 연산들을 수행한다. 메모리(206) 내에 명령들은 여기서 개시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실행가능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무선 디바이스(202) 및 원격 위치 간에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을 허용하기 위한 전송기(210) 및 수신기(212)를 포함할 수 있는 하우징(208)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전송기(210) 및 수신기(212)는 트랜시버(214)로 결합될 수 있다. 안테나(216)는 하우징(208)에 부착될 수 있고 트랜시버(2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미도시의) 복수의 전송기들, 복수의 수신기들, 복수의 트랜시버들, 및/또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수신기(214)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고 측정하기 위한 일환으로 사용될 수 있는 신호 검출기(218)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신호 검출기(218)는 총 에너지, 심볼 당 부반송파 당 에너지, 전력 스펙트럼 밀도 및 다른 신호들과 같은 그러한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신호를 처리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22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버스 시스템(222)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고, 이는 전력 버스, 제어 버스, 데이터 버스에 추가된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OFDM/OFDMA를 활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송기(302)의 일 예를 도시한다. 전송기(302)의 부분들은 무선 디바이스(202)의 전송기(21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전송기(302)는 다운링크(108)를 통해 사용자 단말(106)에 데이터(306)를 전송하기 위해 기지국(104)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전송기(302)는 또한 업링크(110)를 통해 기지국(104)으로 데이터(306)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6)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전송될 데이터(306)는 직렬-대-병렬(S/P) 컨버터(308)로의 입력으로서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S/P 컨버터(308)는 전송 데이터를 N개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들(310)로 분할할 수 있다.
그 다음, N개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들(310)은 맵퍼(mapper)(312)로의 입력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맵퍼(312)는 N개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들(310)을 N개의 성좌점들(constellation points) 상에 맵핑할 수 있다. 맵핑은 이진 위상-시프트 키잉(BPSK), 쿼드러처 위상-시프트 키잉(QPSK), 8 위상-시프트 키잉(8PSK), 쿼드러처 진폭 변조(QAM) 등과 같은 일부 변조 성좌(constellation)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맵퍼(312)는 N개의 병렬 심볼 스트림들(316)을 출력할 수 있고, 각각의 심볼 스트림(316)은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320)의 N개의 직교 서브캐리어들 중 하나에 대응한다. 이러한 N개의 병렬 심볼 스트림들(316)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나타내고 IFFT 컴포넌트(320)에 의해 N개의 병렬 시간 도메인 샘플 스트림들(318)로 변환될 수 있다.
이제 용어에 관한 간단한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주파수 도메인에서 N개의 병렬 변조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N개의 변조 심볼들과 동일하고,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N개의 변조 심볼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N개의 맵핑 및 N-포인트 IFFT와 동일하며,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N개의 맵핑 및 N-포인트 IFFT는 시간 도메인에서 하나의 (유용한) OFDM 심볼과 동일하고, 상기 시간 도메인에서 하나의 (유용한) OFDM 심볼은 시간 도메인에서 N개의 샘플들과 동일하다. 시간 도메인에서 하나의 OFDM 심볼 NS는 Ncp(OFDM 심볼당 가드 샘플들의 수) + N(OFDM 심볼당 유용한 샘플들의 수)과 동일하다.
N개의 병렬 시간 도메인 샘플 스트림들(318)은 병렬-대-직렬(P/S) 컨버터(324)에 의해 OFDM/OFDMA 심볼 스트림(322)으로 변환될 수 있다. 가드(guard) 삽입 컴포넌트(326)는 OFDM/OFDMA 심볼 스트림(322)의 연속적인 OFDM/OFDMA 심볼들 사이에 가드 간격(guard interval)을 삽입할 수 있다. 그 다음, 가드 삽입 컴포넌트(326)의 출력은 무선 주파수(RF) 프론트 엔드(328)에 의해 목표된 전송 주파수 대역으로 업컨버팅될 수 있다. 그 다음, 안테나(330)는 결과 신호(332)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또한 OFDM/OFDMA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 사용될 수 있는 수신기(304)의 일 예를 도시한다. 수신기(304)의 부분들은 무선 디바이스(202)의 수신기(212)에서 구현될 수 있다. 수신기(304)는 다운링크(108)를 통해 기지국(104)으로부터 데이터(306)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6)에서 구현될 수 있다. 수신기(304)는 또한 업링크(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6)로부터 데이터(306)를 수신하기 위해 기지국(104)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전송된 신호(332)는 무선 채널(334)을 통해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신호(332')가 안테나(330')에 의해 수신될 때, 수신된 신호(332')는 RF 프론트 엔드(328')에 의해 기저대역 신호로 다운컨버팅될 수 있다. 그 다음, 가드 제거 컴포넌트(326')는 가드 삽입 컴포넌트(326)에 의해 OFDM/OFDMA 심볼들 사이에 삽입된 가드 간격을 제거할 수 있다.
가드 제거 컴포넌트(326')의 출력은 S/P 컨버터(324')에 제공될 수 있다. S/P 컨버터(324')는 OFDM/OFDMA 심볼 스트림(322')을 N개의 병렬 시간-도메인 심볼 스트림들(318')로 분할할 수 있고, N개의 병렬 시간-도메인 심볼 스트림들(318')은 각각 N개의 직교 서브캐리어들 중 하나에 대응한다. 고속 푸리에 변환(FFT) 컴포넌트(320')는 N개의 병렬 시간-도메인 심볼 스트림들(318')을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할 수 있고 N개의 병렬 주파수-도메인 심볼 스트림들(316')을 출력할 수 있다.
디맵퍼(demapper)(312')는 맵퍼(312)에 의해 수행된 심볼 맵핑 연산을 반대로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N개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들(310')을 출력할 수 있다. P/S 컨버터(308')는 N개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들(310')을 단일 데이터 스트림(306')으로 조합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 이러한 데이터 스트림(306')은 송신기(302)로의 입력으로서 제공된 데이터(306)에 대응한다. 엘리먼트들(308', 310', 312', 316', 320', 318' 및 324')는 모두 기저대역 프로세서(340') 내에서 발견될 수 있다.
장거리 및 단거리 RAT들을 지원하는 다중-모드 디바이스들을 위한 예시적인 선택적 데이터 통신 기법들
가입자에 가용한 서비스를 확장하기 위하여, 몇몇 MS들은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들과의 통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모드 MS(410)는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들 및 음성 서비스들을 위한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를 위한 WiMAX를 지원한다. 도식적으로, WiMAX는 제1 장거리 RAT로서 도시되는 반면에, CDMA는 제2 장거리 RAT로서 도시된다. 하나 이상의 장거리 RAT들을 지원하는 것에 부가하여, 다중-모드 MS(410)는 블루투스,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또는 Wi-Fi(단거리 RAT(4221)로서 도시됨)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단거리 RAT들을 지원할 수 있다.
특정한 어플리케이션들에서, 다중-RAT 인터페이스 로직(430)은 장거리 및 단거리 RAT들 간에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 제공자로 하여금 다중-모드 MS(410)의 최종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실제로 어떻게 접속하는지를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중-RAT 인터페이스 로직(430)은 IP 서버(526) (도 5에서 도시됨)와 같은, 다양한 단거리 RAT 컴포넌트들, 및 게이트웨이 디바이스(536) (도 5에 또한 도시됨)와 같은, 다양한 장거리 RAT 컴포넌트들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제공자는 단거리 RAT가 이용가능할 때, 다중-모드 MS로 하여금 단거리 RAT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은 네트워크 제공자로 하여금 특정한 에어 리소스들의 정체를 완화시키는 방식으로 트래픽을 라우팅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사실상, 네트워크 제공자는 몇몇 (장거리 RAT의)에어 트래픽을 와이어라인 네트워크(예컨대, PSTN)로 분배시키기 위해 또는 정체된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덜 정체된 무선 네트워크로 몇몇 에어 트래픽을 분배시키기 위해 단거리 RAT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동 사용자가 속력을 증가시킬 때와 같은, 조건들이 단거리 RAT에 적합하지 않은 특정한 레벨로 요구될 때 트래픽은 단거리 RAT로부터 재-라우팅될 수 있다.
더욱이, 장거리 RAT들은 전형적으로 수 킬로미터들에 걸쳐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장거리 RAT를 이용할 때 다중-모드 MS로부터의 전송의 전력 소비는 중요(non-trival)하다. 대조적으로, 단거리 RAT들(예컨대, Wi-Fi)은 수백 미터들에 걸쳐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단거리 RAT가 이용가능할 때 단거리 RAT를 활용하는 것은 다중-모드 MS(410)에 의한 적은 전력 소비 및 결과적으로, 긴 배터리 수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5a는 장거리 RAT BS들(504) 및 단거리 RAT BS들(524) 각각의 중첩된 커버리지 영역들(502 및 522)에 의해 제공되는, 쇼핑 몰 내부 및 외부에서의 상이한 영역에서 네트워크에 액세스를 갖는, 예시의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기지국(BS) 및 액세스 포인트(AP)라는 용어들이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이동국(MS) 또는 액세스 터미널(AT)로 하여금 네트워크를 액세스하도록 허용하는 디바이스들 또는 노드들을 지칭하고, 기지국이라는 용어는 장거리 RAT들을 지칭할 때 이후의 개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될 것임에 반하여, 액세스 포인트라는 용어는 단거리 RAT들을 지칭할 때 사용될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쇼핑 몰 내에 네트워크에 액세스를 제공하는 몇몇 단거리 RAT BS들 1-3(524)(예컨대, WLAN 또는 Wi-Fi BS들) 뿐만 아니라, 제1 장거리 RAT BS 1(504) (예컨대, WiMAX 또는 CDMA BS 또는 TDMA를 사용하는 GSM), 제2 장거리 RAT BS 2(504)를 통해 다수의 MS들에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BS는 와이어라인(530)(예컨대, E1 라인들, T1 라인들, PSTN 라인들, 및 케이블 라인들)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기지국들은 양호하게 분포된 MS들의 분포를 가정하는 네트워크 플래닝에 따라 전형적으로 정렬된다. 이러한 예에서, MS-1, MS-2, MS-4, MS-5, 및 MS-6은 장거리 RAT BS-1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고, 그리하여 장거리 RAT BS 1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반면에, MS-7, MS-8, MS-9, MS-1O, MS-11, 및 MS-12은 장거리 RAT BS-2의 커버리지 영역에 있고, 그리하여, 장거리 RAT BS 2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불행하게도, 이동 사용자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특정한 커버리지 영역 내에 사용자들의 총(aggregate) 대역폭 요구가 대응하는 BS가 핸들링할 수 있는 대역폭을 초과할 때 네트워크는 정체를 경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에어 리소스들의 트래픽 정체를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해, 가능할 때, 중첩된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MS들에 대한 몇몇 트래픽이 장거리 RAT들로부터 떨어져 단거리 RAT로 재-라우팅 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국들 MS-1 및 MS-2는 단거리 RAT BS-1 및 장거리 RAT BS-1에 의한 중첩 커버리지의 영역에 있기 때문에, MS-1 및 MS-2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거리 RAT BS-1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도록 지시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이동국 MS-7은 단거리 RAT BS-2 및 장거리 RAT BS-2에 의한 중첩 커버리지의 영역에 있기 때문에, MS-7은 단거리 RAT BS-2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지시될 수 있는 반면에, 이동국 MS-8 및 MS-9(단거리 RAT BS3 및 장거리 BS-2에 의한 중첩 커버리지의 영역에 있음)는 단거리 RAT BS-3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도록 지시될 수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예에서, 12개의 MS들 중 5개의 MS들로부터의 트래픽 플로우들은 장거리 RAT BS들의 에어 인터페이스로부터 IP 서버(526)를 통한 단거리 RAT의 와이어라인(530)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으로 재분배된다. 결과적으로, 장거리 RAT BS들은 네트워크 정체의 감소를 경험할 수 있다. 아래에 더 상세하게 개시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이동 사용자가 단거리 RAT를 통한 접속을 유지하는 것을 비실제적으로 만드는 양으로 속력을 증가시키면, 트래픽은 특정한 조건들 하에서 장거리 RAT BS들로 다시 라우팅될 수 있다.
이동 사용자들에게 투명한 이러한 트래픽 라우팅을 생성함으로써, 네트워크 제공자는 추가적인 투자 없이 가상적으로 네트워크 용량을 확장할 수 있고 동시에 동일한 네트워크에 더 많은 이동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다. 아래에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이동국은 위치 업데이트를 단지 제공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는 반면에, MS의 속력을 검출하고 단거리 및 장거리 RAT들 간에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들은 네트워크 측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특정한 실시예들에 따른, 트래픽을 라우팅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의 동작들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에 의해 또는 IP 서버(526) 및/또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536)와 같은, 상이한 단거리 및 장거리 RAT의 컴포넌트들과 통신하는 도 4에 도시된 다중-MAT 인터페이스 로직(140)에 의해 MS로 하여금 따라서 네트워크에 접속들을 구축하도록 지시하기 위하여,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동작들은 MS에 의해 지원되는 RAT들의 리스트를 수신함으로써, 602에서 시작된다. 예를 들어, 다중-모드 MS는 장거리 RAT 기지국으로 등록될 때 지원되는 모든 RAT들의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604에서, 위치 정보 및 측정 보고가 획득된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는 MS(예컨대,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좌표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기지국(BS)들 또는 MS와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들과 같은, 몇몇 다른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606에서, MS의 이동 속력이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업데이트들 및 위치 업데이트들 간에 시간에 의해 결정되는 거리에 기반하여, 이동 속력이 검출될 수 있다. MS가 (예컨대, 단거리 RAT를 통한 접속에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는) 저속 이동성 모드이거나 (예컨대, 단거리 RAT를 통한 접속에 덜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는) 고속 이동성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MS의 이동 속력 및/또는 위치(들)은 608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S가 고속 또는 저속 이동성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동 속력은 임계값에 대하여 비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된 이동 속력이 단거리 RAT와의 통신이 어려운 것으로 간주되는 임계 속력보다 크다면 MS는 고속 이동성 모드에 있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단거리 RAT에 근접성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S가 그 정도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지 않을지라도, MS가 경계에 접하고 단거리 RAT의 커버리지 영역 밖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이면, MS는 고속 이동성 모드에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608에서 결정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가 고속 이동성 모드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면, 610에서 MS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장거리 RAT를 사용하기 위해 지시될 수 있다. 디바이스가 저속 이동 모드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Wi-Fi와 같은) 단거리 RAT의 가용성에 대하여, 612에서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컨대, 측정 보고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충분한 신호 강도를 갖는 (예컨대, 위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가 있다면, 단거리 RAT 접속이 가용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단거리 RAT가 가용하다면, 614에서 MS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단거리 RAT를 사용하도록 지시될 수 있다.
MS가 저속 이동성 모드에서 접속할 수 있는 주변의 단거리 RAT 기지국(액세스 포인트)을 식별하기 위해, 네트워크 운영자들을 MS에 의해 지원되는 단거리 RAT들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위치들을 식별하는 (예컨대, Wi-Fi 또는 WLAN 액세스 포인트들과 같은)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그러한 정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제공자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지될 수 있고 그리고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엔트리들을 부가하거나, 더 이상 가용하지 않은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엔트리들을 제거하거나, 또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기존의 엔트리들을 변경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위치 정보가 획득된 때,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모든 무선 RAT들에 대하여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가 유도될 수 있다. 주어진 MS 위치의 주변에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있다면, MS로 하여금 지향되도록 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604에서 획득된 측정 보고에서 표시되는) 신호 강도와 같은, 다른 요소들이 간주될 수 있다.
장거리 RAT로부터 단거리 RAT로 매끄러운(seamless) 스위칭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단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가 식별되면, 네트워크는 MS로 하여금 (IP 서버(525)와 같은) 핸드오버 프로세스 동안에 현재의 액티브 장거리 RAT 접속과 동시에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일단 모든 접속들이 성공적으로 구축되면, 네트워크는 이동 디바이스로 하여금 장거리 무선 프로토콜들로부터 단거리 무선 프로토콜로 핸드오버를 하도록 지시하고 모든 핸드오버 프로세스는 이동 사용자에게 투명하다.
도 7은 장거리 RAT로부터 단거리 RAT로 핸드오버하기 위한 동작들을 도시한다. 위치 업데이트를 획득함으로써 동작들은 702에서 시작된다. 704에서, 하나 이상의 주변 액세스 포인트(들)은 위치 업데이트 및 액세스 포인트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706에서, MS는 현재의 장거리 RAT 접속과 동시에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을 구축하도록 지시될 수 있다. 708에서, MS는 장거리 RAT 접속으로부터 단거리 RAT 접속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지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작들을 수행함으로써, MS는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접속을 구축한 이후에만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지시될 수 있고, 이는 단거리 RAT 접속을 구축하는 것에 문제가 있는 경우 최종 사용자에게 서비스의 중단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단거리 RAT 접속을 구축하는 것에 문제가 있다면, MS는 단순히 계속하여 장거리 RAT 접속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장거리 RAT로부터의 트래픽에 감소가 없게 되는 반면, 적어도 최종 사용자는 서비스에 어떠한 현저한(noticeable) 중단도 경험할 수 없을 것이다.
MS는 저속 이동성 모드에 있는 동안에 단거리 RAT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MS가 고속 이동성 모드에 있을 때, MS는 장거리 RAT 접속으로 재 스위칭되도록 지시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도 8에 도시되고, 이는 단거리 BS 2의 커버리지 영역으로부터 장거리 BS 2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하는, 고속 이동성 모드에 있는 MS-7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예에서, MS-7은 장거리 BS 2를 통해 접속을 구축하도록 지시될 수 있다.
MS는 장거리 RAT 접속을 구축하기 이전에 단거리 RAT 접속을 종료하도록 지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들에서, 이는 MS가 매우 고속으로 이동할 수 있을 때 또는 단거리 RAT의 커버리지 영역을 이미 떠났을 때에는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복수의 상이한 단거리 RAT들 및/또는 복수의 상이한 장거리 RAT들이 지원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 있어서, 네트워크는 상이한 요소들에 기반하여 접속을 위한 적절한 RAT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 개의 복수의 단거리 접속들이 있다면, MS는 가장 센 신호 강도로 단거리 RAT를 통해 가장 근처의 액세스 포인트, 또는 주어진 서비스(예컨대, 비디오 스트리밍 또는 음성 호출)에 대하여 가장 적절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도록 지시될 수 있다. 음성 호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상이한 RAT들 간에 및 유선 및 무선 프로토콜들 간에 매끄러운 스위칭을 지원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는 VoIP 능력(예컨대, WiFi 혹은 WiMAX)을 제공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복수의 장거리 RAT들이 지원되기 때문에, "중속" 이동성 모드가 또한 고려될 수 있고 특정한 장거리 RAT가 이러한 모드에서 선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iMAX는 최고 속력들에는 이상적이지 않을 수 있지만, WiMAX는 중속 이동성에 적절한 중거리 RAT에 더 적합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MS가 적절한 중간 속력일 때 더 나은 데이터 레이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개시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도면들에 도시된 수단-플러스-기능 블록들에 대응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카운터파트 수단-플러스-기능 도면들을 갖는 도면들에 도시되는 방법들이 있는 경우에, 동작 블록들은 유사한 넘버링을 갖는 수단-플러스-기능 블록들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블록들(702-708)은 도 7a에 도시된 수단-플러스-기능 블록들(702a-708a)에 대응한다.
여기서 개시된 "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라는 용어는 동작들의 넓은 다양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결정하는 단계"는 계산하는 단계, 컴퓨팅하는 단계, 유도하는 단계, 조사하는 단계, 조회하는 단계(예컨대, 테이블, 데이터 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 조회하는 단계), 확인하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 단계"는 수신하는 단계 (예컨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액세스하는 단계(예컨대,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 단계"는 해결하는 단계, 선택하는 단계(selecting), 선정하는 단계(choosing), 구축하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및 신호들은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들을 이용하여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술들에 걸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instructions), 명령들(commands), 정보, 신호들 등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적 웨이브들, 자기 필드들 또는 입자들, 광학 필드들 또는 입자들 또는 그것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제시될 수 있다.
본 개시와 관련하여 기술된 다양한 도시된 논리적인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LD),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여기에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가용한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컨대,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으로서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저장 매체의 임의의 형태에 상주할 수 있다. 사용될 수있는 저장 매체의 몇몇 예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플래시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삭제가능한 디스크, CD-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명령, 또는 많은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상이한 프로그램 간의 몇몇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 및 복수의 저장 매체를 통해 분산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필수적일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된 방법들은 개시된 방법들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방법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호 교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계들 또는 동작들의 특정한 순서가 특정되지 않는 한, 순서 및/또는 특정한 단계 및/또는 동작들의 사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변경될 수 있다.
기술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것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통해 하나 이상의 명령들로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고, 제한되지 않게, 그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수행하거나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학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통상적으로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성하는 반면에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통해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성한다.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들은 전송 매체를 통해 또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전송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더욱이, 여기서 기술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적절한 수단이 다운로드될 수 있거나 그리고/또는 그렇지 않으면 적용가능하면, 사용자 터미널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그러한 디바이스는 여기서 기술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여기서 개시된 다양한 방법들은 사용자 터미널 및/또는 기지국이 저장 수단을 디바이스에 연결하거나 제공하는 것에 기반한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도록, 저장 매체(예컨대, RAM, ROM,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플로피 디스크 등과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여기서 개시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
청구항들은 위에 도시된 정확한 구성 및 컴포넌트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변경(modification)들, 변화(change)들, 및 변동(variation)들이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여기에서 기술된 방법들 및 장치들의 배치, 동작, 및 세부사항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40)

  1.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국이 장거리 무선 액세스 기술(RAT) 기지국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동안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의 이동 속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상기 이동국을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가능한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속력이 임계값 미만일 때만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으로 스위칭(switch)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국의 위치에 대한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좌표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국이 통신하고 있는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이동국이 통신하고 있는 장거리 RAT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상기 이동국을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가능한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에 기반하여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들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구축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장거리 RAT 기지국을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과 동시에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구축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및
    후속적으로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속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장거리 RAT 기지국을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재-구축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이동 속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위치 및 이전에 결정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국의 이동 속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이동국이 장거리 무선 액세스 기술(RAT) 기지국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동안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로직;
    상기 이동국의 이동 속력을 결정하기 위한 로직;
    상기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상기 이동국을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가능한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한 로직; 및
    상기 이동 속력이 임계값 미만일 때만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으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로직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로직은 상기 이동국의 위치에 대한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좌표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로직은 상기 이동국이 통신하고 있는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이동국이 통신하고 있는 장거리 RAT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상기 이동국을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가능한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한 로직은,
    상기 위치에 기반하여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들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구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로직은,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장거리 RAT 기지국을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과 동시에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구축하도록 지시하고; 그리고
    후속적으로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하도록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16. 삭제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속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장거리 RAT 기지국을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재-구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로직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이동 속력을 결정하기 위한 로직은 상기 결정된 위치 및 이전에 결정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국의 이동 속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19. 삭제
  20. 삭제
  21.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이동국이 장거리 무선 액세스 기술(RAT) 기지국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동안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이동국의 이동 속력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상기 이동국을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가능한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이동 속력이 임계값 미만일 때만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으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이동국의 위치에 대한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좌표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이동국이 통신하고 있는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이동국이 통신하고 있는 장거리 RAT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24.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상기 이동국을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가능한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위치에 기반하여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들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25.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구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장거리 RAT 기지국을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과 동시에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구축하도록 지시하고; 그리고
    후속적으로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하도록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26. 삭제
  27.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속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장거리 RAT 기지국을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재-구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이동 속력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결정된 위치 및 이전에 결정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국의 이동 속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29. 삭제
  30. 삭제
  31.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저장된 명령들을 갖고, 상기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이동국이 장거리 무선 액세스 기술(RAT) 기지국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동안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이동국의 이동 속력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상기 이동국을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가능한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이동 속력이 임계값 미만일 때만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으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명령들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2.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이동국의 위치에 대한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좌표들을 획득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3.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이동국이 통신하고 있는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이동국이 통신하고 있는 장거리 RAT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4.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상기 이동국을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가능한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위치에 기반하여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들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5.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구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장거리 RAT 기지국을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과 동시에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구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명령들; 및
    후속적으로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단거리 RAT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명령들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6. 삭제
  37.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속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이동국으로 하여금 상기 장거리 RAT 기지국을 통한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재-구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8. 제3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이동 속력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결정된 위치 및 이전에 결정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국의 이동 속력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다중-모드 이동국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9. 삭제
  40. 삭제
KR1020117012387A 2008-10-29 2009-02-05 다중-모드 디바이스를 위한 선택적인 데이터 통신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KR101237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60,341 2008-10-29
US12/260,341 US20100105394A1 (en) 2008-10-29 2008-10-29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ve data communications for multi-mode devices
PCT/US2009/033283 WO2010051046A1 (en) 2008-10-29 2009-02-05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ve data communications for multi-mode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278A KR20110084278A (ko) 2011-07-21
KR101237465B1 true KR101237465B1 (ko) 2013-02-26

Family

ID=40846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387A KR101237465B1 (ko) 2008-10-29 2009-02-05 다중-모드 디바이스를 위한 선택적인 데이터 통신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105394A1 (ko)
EP (1) EP2356856A1 (ko)
JP (2) JP2012507932A (ko)
KR (1) KR101237465B1 (ko)
CN (1) CN102204361A (ko)
TW (1) TW201018272A (ko)
WO (1) WO20100510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69542B (zh) * 2010-11-18 2014-08-06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 多模终端的网络重选方法、多模终端
US9445334B2 (en) * 2011-04-20 2016-09-13 Qualcomm Incorporated Switching between radio access technologies at a multi-mode access point
US9913229B2 (en) 2011-04-20 2018-03-06 Qualcomm Incorporated Range tuning for open access small cells
US8787832B2 (en) * 2011-10-11 2014-07-22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access point
US9014085B2 (en) * 2011-11-28 2015-04-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ternet protocol session persistence for mobile communications
US9883437B2 (en) * 2012-06-19 2018-01-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network handoff to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JP2014022847A (ja) * 2012-07-13 2014-02-03 Sumitomo Electric Ind Ltd 無線基地局装置、無線端末装置、無線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WO2014017873A2 (ko) * 2012-07-26 2014-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2이상의 무선접속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이용한 신호 송수신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953171B2 (ja) * 2012-08-01 2016-07-20 株式会社Ntc 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5953170B2 (ja) * 2012-08-01 2016-07-20 株式会社Ntc 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20140071959A1 (en) * 2012-09-07 2014-03-13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existence of wireless networks
JP5783995B2 (ja) * 2012-12-27 2015-09-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端末、管理サーバ及びそれら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JP6072617B2 (ja) * 2013-06-07 2017-02-0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10757267B2 (en) * 2013-06-13 2020-08-25 Kajeet, Inc. Platform for enabling sponsors to sponsor functions of a computing device
US10313532B2 (en) * 2013-06-13 2019-06-04 Kajeet, Inc. Platform for enabling users to sign up for sponsored functions on computing devices
US9699670B2 (en) * 2013-09-04 2017-07-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figuring interfa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wireless access technologie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US20150109997A1 (en) * 2013-10-21 2015-04-23 Alexander Sirotki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interfacing between a cellular manager and a wlan access device
JP2015103903A (ja) * 2013-11-22 2015-06-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CN105814948B (zh) * 2013-12-10 2019-10-2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通信网络中控制连接的方法和布置
US9654948B1 (en) * 2014-01-15 2017-05-16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forwarding voice calls
US10104643B2 (en) * 2014-11-06 2018-10-16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eterogeneous communication
US9955398B2 (en) * 2015-03-30 2018-04-24 Apple Inc. WLAN / cellular interworking based on mobility information
US10588072B2 (en) * 2016-05-20 2020-03-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T selection in dual mode transceivers
WO2018121874A1 (en) * 2016-12-30 2018-07-05 Nokia Technologies Oy Policy- and location-based multi-connectivity
US11871284B1 (en) * 2021-06-23 2024-01-09 Amazon Technologies, Inc. Integrating multiple access technologies in a radio-based networ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8479A1 (en) 2005-05-30 2006-12-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controlling handovers within a multi-radi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8444A (en) * 1994-08-19 2000-03-14 Trimble Naviga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dvising cellphone users of possible actions to avoid dropped calls
WO2000028768A1 (en) * 1998-11-06 2000-05-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e of mobile station positioning for hand-off
US6438117B1 (en) * 2000-01-07 2002-08-20 Qualcomm Incorporated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for handover in a hybrid GSM/CDMA network
JP4161028B2 (ja) * 2002-03-06 2008-10-08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マルチサービス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4140459A (ja) * 2002-10-15 2004-05-13 Toshiba Corp 無線通信を実行可能な電子機器および同電子機器で用いられる無線通信制御方法
US8326257B2 (en) * 2002-10-28 2012-12-04 Qualcomm Incorporated Utilizing speed and position information to select an operational m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4260444A (ja) * 2003-02-25 2004-09-16 Ntt Docomo Inc ハンドオーバ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移動端末、ハンドオーバ制御装置
JP2004289460A (ja) * 2003-03-20 2004-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モバイルip通信システム、モバイルip通信方法及び移動体通信端末装置
JP2004320473A (ja) * 2003-04-16 2004-11-11 Sharp Corp 携帯端末
US7558575B2 (en) * 2003-07-24 2009-07-0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 high velocity environment
US7251491B2 (en) * 2003-07-31 2007-07-3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of and method for using position, velocity, or direction of motion estimates to support handover decisions
JP4348618B2 (ja) * 2004-03-02 2009-10-21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選択システム、エッジルータ及びエッジルータ制御プログラム
JP2005295332A (ja) * 2004-04-01 2005-10-20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システム、ユーザ管理装置および移動端末装置
WO2005099173A1 (en) * 2004-04-06 2005-10-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ocation based handoff for mobile devices
US7162236B2 (en) * 2004-04-26 2007-01-09 Motorola, Inc. Fast call set-up for multi-mode communication
CA2574052A1 (en) * 2004-07-16 2006-02-23 Bridgeport Networks, Inc. Presence detection and handoff for cellular and internet protocol telephony
JP2006060285A (ja) * 2004-08-17 2006-03-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6121468A (ja) * 2004-10-22 2006-05-11 Hitachi Ltd 移動端末および無線方式切り替え制御方法
KR100656349B1 (ko) * 2004-12-07 2006-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의 이종 시스템간 핸드오버수행 방법 및 그 장치
JP2007074517A (ja) * 2005-09-08 2007-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無線端末及びその通信モード切替方法
KR100726184B1 (ko) * 2005-11-28 2007-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무선 네트워크간 핸드오버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 탐지방법, 이를 구현하는 다중모드 단말 및 연동 서비스 서버
US7505446B2 (en) * 2006-01-18 2009-03-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switching communication operations betwee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and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567820B2 (en) * 2006-02-09 2009-07-28 Altair Semiconductor Ltd. Scanning for network connnections with variable scan rate
JP4736855B2 (ja) * 2006-03-01 2011-07-27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それらに用いる通信モード切換え方法
US8078165B2 (en) * 2006-09-07 2011-12-13 Airvana, Corp. Configuring preferred user zone lists for private access points for wireless networking
EP1912459A1 (en) * 2006-10-09 2008-04-16 France Telecom System and method for mobility management
KR100921767B1 (ko) * 2006-12-01 2009-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모드 단말의 시스템간 핸드오버 방법
CN101203024B (zh) * 2006-12-15 2012-05-23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网络搜索方法和系统及多模设备
WO2008096702A1 (ja) * 2007-02-05 2008-08-14 Sharp Kabushiki Kaisha 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1175329A (zh) * 2007-11-02 2008-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ip多媒体子系统的跨分组域切换方法、系统及设备
US20090131081A1 (en) * 2007-11-19 2009-05-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Adjusting wlan scanning parameters based on rate of change of location of mobile device
US20090168725A1 (en) * 2007-12-26 2009-07-02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handover manag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8479A1 (en) 2005-05-30 2006-12-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controlling handovers within a multi-radi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56856A1 (en) 2011-08-17
KR20110084278A (ko) 2011-07-21
US20100105394A1 (en) 2010-04-29
JP6297272B2 (ja) 2018-03-20
TW201018272A (en) 2010-05-01
JP2013240074A (ja) 2013-11-28
WO2010051046A1 (en) 2010-05-06
JP2012507932A (ja) 2012-03-29
CN102204361A (zh)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465B1 (ko) 다중-모드 디바이스를 위한 선택적인 데이터 통신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JP6026327B2 (ja) マルチモード信号品質レポートのための方法とシステム
KR101269047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gps-보조 셀 선택
KR101220964B1 (ko) 다중-모드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한 빠른 서비스 선택 및 획득
JP5694579B2 (ja) WiMAXハンドオーバにおいてサポートされる最良のサービスをもつターゲットBSを選択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9032560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mode paging
US200902795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handoff
KR101199127B1 (ko) Wimax 네트워크에서 cdma 네트워크 스위칭 통지를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US2013010939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rat handover by a multimode mobile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