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858B1 - 광원 장치 및 그 광원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원 장치 및 그 광원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6858B1 KR101236858B1 KR1020107021702A KR20107021702A KR101236858B1 KR 101236858 B1 KR101236858 B1 KR 101236858B1 KR 1020107021702 A KR1020107021702 A KR 1020107021702A KR 20107021702 A KR20107021702 A KR 20107021702A KR 101236858 B1 KR101236858 B1 KR 1012368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light source
- guide
- light guide
- sourc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02B6/0043—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광원 장치(X1)는 제 1 광원군(10A)과 제 2 광원군(10B)과 도광체(20)와 광 확산체(30)를 구비한다. 도광체(20)는 고배광 영역 중 제 2 광원군(10B)의 각 광원(10b)에 의한 고배광 영역과 저배광 영역의 경계선의 교점을 연결하는 기준선(BL)으로부터 상기 각 광원(10b)측으로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 1 부위(21)와, 저배광 영역 중 각 제 1 부위(21)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부위(22)와, 저배광 영역 중 제 2 부위(22) 이외의 제 3 부위(23)를 포함한다. 제 3 부위(23)에 있어서의 광 확산체(30)의 존재 비율은 제 1 부위(21)에 있어서의 광 확산체(30)의 존재 비율보다 크다. 제 1 광원군(10A)의 각 광원(10a1,10a2) 중 도광체(20)의 제 3 부위(23)에 대응해서 배치되는 단부 광원(10a2)으로부터 상기 도광체(20)에 입사되는 광량은 도광체(20)의 제 2 부위(22)에 대응해서 배치되는 중앙 광원(10a1)으로부터 상기 도광체(20)에 입사되는 광량보다 작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개의 광원군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도광체를 통해서 대상 개소에 조사하는 광원 장치 및 그 광원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정보량의 증대로의 대응 등의 관점으로부터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채용되는 광원 장치로서 복수개의 광원군을 구비하는 것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액정 표시 장치에 채용되어 있는 광원 장치는 복수개의 적색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제 1 광원군과, 복수개의 녹색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제 2 광원군과, 제 1 광원군 또는 제 2 광원군으로부터의 광을 받아서 빛나는 수지(도광체에 상당함)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 2 광원군의 각 녹색 발광 다이오드는 평면으로 바라봐서 제 1 광원군의 각 적색 발광 다이오드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 광원 장치에서는 각 적색 발광 다이오드와 각 녹색 발광 다이오드의 상기 배치에 기인해서 각 발광 다이오드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휘도 편차가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그 때문에, 종래, 이러한 휘도 편차를 저감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고, 그 기술은, 예컨대,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광원 장치에서는 각 색 표시에 있어서의 휘도 편차를 저감하기 위해서 도광체의 두께 방향으로 다른 색의 광을 출사하는 광원이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광체의 두께가 커져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수개의 광원군에 의거한 발광에 있어서의 휘도 편차를 저감함과 아울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광원 장치 및 그 광원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광원 장치는 복수개의 제 1 광원을 포함하는 제 1 광원군과, 상기 제 1 광원군의 각 제 1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 2 광원을 포함하는 제 2 광원군과, 상기 제 1 광원군 및 상기 제 2 광원군의 각 제 1 및 제 2 광원에 대응해서 배치되는 도광체와, 상기 도광체를 통해서 입사되는 광을 확산하는 광 확산체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각 제 2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가 기준값 이상이 되는 각도의 범위를 각 제 2 광원의 고배광 각도 범위로 하고, 상기 휘도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게 되는 각도의 범위를 각 제 2 광원의 저배광 각도 범위로 함과 아울러, 상기 도광체에 있어서 상기 각 제 2 광원으로부터 상기 고배광 각도 범위의 각도로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영역을 각 제 2 광원의 고배광 영역으로 하고, 상기 도광체에 있어서 상기 고배광 영역 이외의 영역이며 또한 상기 각 제 2 광원으로부터 상기 저배광 각도 범위의 각도로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영역을 각 제 2 광원의 저배광 영역으로 하고, 상기 각 제 2 광원에 의한 상기 고배광 영역과 상기 저배광 영역의 경계를 경계선으로 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 2 광원에 의한 상기 경계선의 교점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선으로 할 경우, 상기 도광체는 상기 고배광 영역 중 상기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제 2 광원측으로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 1 부위와, 상기 저배광 영역 중 각 상기 제 1 부위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부위와, 상기 저배광 영역 중 상기 제 1 부위 및 제 2 부위 이외이며 또한 상기 제 1 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광 확산체의 존재 비율보다 큰 존재 비율을 가진 제 3 부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 제 1 광원은 상기 도광체의 상기 제 2 및 제 3 부위에 대응해서 배치되고, 상기 제 3 부위에 대응해서 배치되는 제 1 광원으로부터 상기 도광체에 입사되는 광량은 상기 도광체의 상기 제 2 부위에 대응해서 배치되는 제 1 광원으로부터 상기 도광체에 입사되는 광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광원 장치는 복수개의 제 1 광원을 포함하는 제 1 광원군과, 상기 제 1 광원군의 각 제 1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 2 광원을 포함하는 제 2 광원군과, 상기 제 1 광원군 및 상기 제 2 광원군의 각 제 1 및 제 2 광원에 대응해서 배치되는 도광체와, 상기 도광체를 통해서 입사되는 광을 확산하는 광 확산체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제 1 광원은 상기 제 2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광원과, 양단에 위치하는 상기 중앙 광원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단부 광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도광체 중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광원측에 위치하는 영역은 상기 제 2 광원에 대응하는 제 1 부위와, 상기 제 1 광원의 상기 중앙 광원에 대응하는 제 2 부위와, 상기 저배광 영역 중 상기 제 1 부위 및 제 2 부위 이외이며 또한 상기 제 1 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광 확산체의 존재 비율보다 큰 존재 비율을 가진 제 3 부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단부 광원으로부터 상기 도광체에 입사되는 광량은 상기 중앙 광원으로부터 상기 도광체에 입사되는 광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 장치에서는 도광체의 제 3 부위에 있어서의 광 확산체의 존재 비율이 상기 도광체의 제 1 부위에 있어서의 광 확산체의 존재 비율보다 크다. 그 때문에, 본 광원 장치에서는 제 2 광원군의 각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일부가 입사되는 저배광 영역 중에서도 제 2 부위에 비해 휘도가 낮게 되기 쉬운 제 3 부위로 있어서의 휘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광원 장치에서는 제 1 광원군의 각 광원 중 도광체의 제 3 부위에 대향 배치되는 광원으로부터 상기 도광체에 입사되는 광량이 도광체의 제 2 부위에 대향 배치되는 광원으로부터 상기 도광체에 입사되는 광량보다 작다. 그 때문에, 본 광원 장치에서는 도광체의 제 3 부위에 있어서의 광 확산체의 존재 비율이 상대적으로 커도 상기 제 3 부위에 있어서 제 1 광원군의 각 광원으로부터의 광에 의한 휘도가 과잉으로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광원 장치에서는 제 2 광원군의 각 광원이 제 1 광원군의 각 광원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즉, 본 광원 장치에서는 제 1 광원군의 각 광원과 제 2 광원군의 각 광원을 도광체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치도록 배치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본 광원 장치에서는 도광체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크기를 저감할 수 있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본 광원 장치에서는 복수개의 광원군에 의거한 발광에 있어서의 휘도 편차를 저감함과 아울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술한 광원 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광원 장치가 갖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본 표시 장치에서는 복수개의 광원군에 의거한 발광에 있어서의 휘도 편차를 저감함과 아울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Ib-I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광원의 배광 각도와 휘도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는 도 1에 나타내는 복수개의 광원 및 도광체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1에 나타내는 복수개의 광원 및 도광체의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광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IVb-IV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a에 나타내는 복수개의 광원 및 도광체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4a에 나타내는 복수개의 광원 및 도광체의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광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VIb-VI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6a에 나타내는 복수개의 광원 및 도광체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6a에 나타내는 복수개의 광원 및 도광체의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광원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액정 표시 패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패널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1에 나타내는 광원 장치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1에 나타내는 광원 장치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12a는 도 1에 나타내는 광원 장치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b는 도 1에 나타내는 광원 장치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Ib-I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광원의 배광 각도와 휘도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는 도 1에 나타내는 복수개의 광원 및 도광체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1에 나타내는 복수개의 광원 및 도광체의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광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IVb-IV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a에 나타내는 복수개의 광원 및 도광체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4a에 나타내는 복수개의 광원 및 도광체의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광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VIb-VI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6a에 나타내는 복수개의 광원 및 도광체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6a에 나타내는 복수개의 광원 및 도광체의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광원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액정 표시 패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패널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1에 나타내는 광원 장치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1에 나타내는 광원 장치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12a는 도 1에 나타내는 광원 장치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b는 도 1에 나타내는 광원 장치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광원 장치 및 그 광원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a, 1b, 도 2 및 도 3a, 3b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원 장치(X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a,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 장치(X1)는 제 1 광원군(10A)과, 제 2 광원군(10B)과, 도광체(20)와, 광 확산체(30)와, 반사체(40)와, 확산판(50)과, 프리즘(60)을 구비하고 있다. 광원 장치(X1)는 제 1 광원군(10A) 및 제 2 광원군(10B)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도광체(20)를 통해서 조사 대상(예컨대 액정 표시 패널)에 인도한다.
제 1 광원군(10A)은 복수개의 광원(10a)[중앙 광원(10a1) 및 단부 광원(10a2)]을 포함하고, 제 2 광원군(10B)은 제 1 광원군(10A)의 각 광원(10a)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 2 광원(10b)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광원군(10A)은 제 2 광원(10b)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광원(10a1)과, 양단에 위치하는 중앙 광원(10a1)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단부 광원(10a2)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a,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 장치(X1)는 4개의 중앙 광원(제 1 광원)(10a1)과, 5개의 제 2 광원(10b)과, 2개의 단부 광원(제 1 광원)(10a2)을 갖고 있고, 이들 복수개의 광원(10)이 화살표 AB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광원(10)으로서는, 예컨대 LED(Light Emitting Diode), CFL(Cathode Fluorescent Lamp), 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및 EL(electro-luminescence)을 들 수 있다. 광원(10)은 저소비 전력화 및 저노이즈화의 관점으로부터 LED가 바람직하다.
광원 장치(X1)에서는 제 2 광원군(10B)의 각 제 2 광원(10b)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가 기준값 이상이 되는 각도를 고배광 각도로 하고, 상기 휘도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게 되는 각도를 저배광 각도로 한다. 상기 기준값은 요구 성능에 따라 소망하는 값으로 설정하면 좋지만, 조사 대상을 향해서 광을 출사하는 광 출사면(20a)(도 1b 참조)의 휘도의 균일성을 높이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 2 광원(10b)으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도광체(20)의 광 입사면(20b)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 2 광원(10b)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휘도를 1로 할(규격화할) 경우, 기준값은 0.4 이상 0.6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광원의 배광 각도와 휘도의 관계가 도 2에서 나타내는 그래프로 표시되는 것으로 하고, 제 2 광원(10b)으로서 도 2에 나타내는 관계를 갖는 광원을 채용하고, 기준값을 0.5(규격치)로 하면, -60°~ 60°의 범위가 고배광 각도(HA)가 되고, -90 °~ -60 ° 및 60°~ 90°의 범위가 저배광 각도(LA)가 된다.
도 1b, 도 3a, 3b에 나타내는 도광체(20)는 복수개의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조사 대상에 인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광체(20)는 복수개의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광 입사면(20b)과, 이 광 입사면(20b)을 통해서 입사된 광이 조사 대상에 출사되는 광 출사면(20a)을 구비하고 있다. 도광체(20)의 광 입사면(20b)은 상기 복수개의 광원에 대응해서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도광체(20)의 광 입사면(20b)은 상기 복수개의 광원(10)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도광체(20)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아크릴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투광성을 갖는 재료를 들 수 있다.
광원 장치(X1)에서는 도광체(20)에 있어서 제 2 광원군(10B)의 각 제 2 광원(10b)으로부터 고배광 각도의 방향으로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영역을 고배광 영역으로 하고, 고배광 영역 이외의 영역이며 또한 저배광 각도의 방향으로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영역을 저배광 영역으로 한다. 따라서, 도광체(20)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 2 광원(10b) 각각에 대한 복수개의 고배광 영역 및 저배광 영역이 정의된다. 즉, 도광체(20)에 있어서 제 2 광원(10b)의 수와 같은 수의 고배광 영역 및 저배광 영역이 정의된다.
또한, 도광체(20)는, 도 3a,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부위(21)와 제 2 부위(22)와 제 3 부위(23)를 포함한다. 도 3a, 3b에 있어서 각 부위(21,22,23)의 경계는 파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후술하는 기준선(BL)도 파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기준선(BL)은 제 2 광원군(10B)의 각 제 2 광원(10b)에 의한 고배광 영역과 저배광 영역의 경계선의 제 2 광원군(10B)의 서로 이웃하는 제 2 광원(10b)에 의한 고배광 영역과 저배광 영역의 경계선의 교점을 연결하는 직선이다.
제 1 부위(21)는 상술한 고배광 영역 중 기준선(BL)으로부터 상기 각 제 2 광원(10b)측으로 위치하는 부분이다. 제 2 광원(10b)은 상기 제 1 부위(21)에 대응해서, 예컨대,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제 2 부위(22)는 저배광 영역 중 각 제 1 부위(21)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중앙 광원(10a1)은 상기 제 2 부위(22)에 대응해서, 예컨대,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부위(22)는 도광체(20)에 있어서의 저배광 영역 중 서로 이웃하는 제 2 광원군(10B)의 제 2 광원(10b)의 저배광 영역끼리가 서로 겹치는 부위이다.
제 3 부위(23)는 저배광 영역 중 제 2 부위(22) 이외의 부분이다. 단부 광원(10a2)은 상기 제 3 부위(23)에 대응해서, 예컨대,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3 부위(23)는 도광체(20)에 있어서의 저배광 영역 중 서로 이웃하는 제 2 광원군(10B)의 제 2 광원(10b)의 저배광 영역과 서로 겹치지 않는 부위이다. 예컨대, 도광체(20)에 있어서의 저배광 영역 중 후술하는 광원(10)의 배열 방향(도 3b의 화살표 AB 방향)에 있어서의 도광체(20)의 단부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광원군(10A)의 각 광원(10a1,10a2) 중 단부 광원(10a2)으로부터 도광체(20)에 입사되는 광량은 중앙 광원(10a1)으로부터 도광체(20)에 입사되는 광량보다 작다. 또한, 단부 광원(10a2)의 최대 휘도는 중앙 광원(10a1)의 최대 휘도보다 작다.
도 1b에 나타내는 광 확산체(30)는 도광체(20)를 통해서 입사되는 광을 확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제 3 부위(23)에 있어서의 광 확산체(30)의 존재 비율은 제 1 부위(21)에 있어서의 존재 비율보다 크다. 여기서, 광 확산체(30)의 존재 비율이란 소정 영역에 위치하는 광 확산체(30)의 존재 비율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제 1 부위(21)에 있어서의 광 확산체(30)의 존재 비율은 제 1 부위(21)에 위치하는 광 확산체(30)의 평면으로 바라본 면적의 총합을 제 1 부위(21)의 평면으로 바라본 면적의 총합으로 나눈 값이 된다.
제 1 부위(21)에 있어서의 광 확산체(30)의 존재 비율은 5 이상 ~ 50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 2 광원(10b)에 의거한 발광의 휘도를 균일화할 수 있다. 또한, 제 3 부위(23)에 있어서의 광 확산체(30)의 존재 비율은 15 이상 ~ 90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광원(10a)에 의거한 발광의 휘도를 균일화할 수 있다. 또한, 제 1 부위(21), 제 3 부위(23)에 있어서의 광 확산체(30)의 존재 비율은 상술한 대소 관계를 구비한 것이면 좋고, 상기 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 확산체(30)는 도광체(20)의 주된 광 출사면인 광 출사면(20a) 이외에 위치하고 있다. 예컨대, 광 확산체(30)는 광 출사면(20a)에 대응하는 도광체(20)의 하나의 면[하면(20c)]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광 확산체(30)는 입사되는 광의 색의 차이에 기인하는 광 확산성의 차를 저감하는 관점으로부터 백색계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광 확산체(30)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패턴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도트 형상체(30a)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트 형상체(30a)로서 평면으로 바라본 형상이 대략 원형상이 되는 구조체를 채용하고 있다.
복수개의 도트 형상체(30a)는 복수개의 광원(10)의 배열 방향(도 3b의 화살표 AB 방향)과, 상기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도 3b의 화살표 CD 방향)을 따라 하면(20c)에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면(20c) 중 제 1 부위(21)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각 도트 형상체(30a)의 평면으로 바라본 면적 및 제 2 부위(22)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각 도트 형상체(30a)의 평면으로 바라본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제 3 부위(23)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도트 형상체(30a)를 상기 배열 방향(도 3b의 화살표 AB 방향)에 있어서 동렬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집합체로 나누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각 집합체에 있어서 각 도트 형상체(30a)의 평면으로 바라본 면적은 단부 광원(10a2)에 서로 이웃하는 제 2 광원(10b)으로부터의 이간 거리(d)가 클수록 커지게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각 도트 형상체(30a)의 평면으로 바라본 면적이란, 예컨대, 각 도트 형상체(30a)가 도광체(20)와 접촉하는 부분[구체적으로는 각 도트 형상체(30a)가 하면(20c)과 접촉하는 부분]의 평면으로 바라본 면적이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각 도트 형상체(30a)의 이간 거리(d)란 상기 배열 방향(도 3a, 3b의 화살표 AB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로서, 각 도트 형상체(30a)에 대해서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광원(10b)으로부터 그 도트 형상체(30a)까지의 최단의 거리이다. 즉, 상기 이간 거리(d)는 상기 배열 방향(도 3a, 3b의 화살표 AB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광원(10a2)에 서로 이웃하는 제 2 광원(10b)으로부터 각 도트 형상체(30a)까지의 최단 거리이다.
또한, 도 1a, 1b에 나타내는 반사체(40)는 도광체(20)의 광 출사면(20a) 이외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도광체(20)를 향해서 반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반사체(40)는 주로 도광체(20)의 하면(20c)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반사체(40)는 복수개의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중 도광체(20)에 입사되지 않은 광을 도광체(20)를 향해서 반사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반사체(40)의 일부는 복수개의 광원(10)의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반사체(40)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수지 재료를 연신시켜 얻어지는 백색계 발포체와, PET 등의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기재와 이 기재 상에 성막된 은을 갖는 것과, PET 등의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기재와 이 기재 상에 적층된 유전체막을 갖는 것과, TiO2를 함유하는 PET 등의 수지 재료를 성형하거나 또는 연신시키거나 해서 얻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1b에 나타내는 확산판(50)은 도광체(20)의 광 출사면(20a)으로부터 조사 대상을 향해서 출사되는 광의 휘도의 균일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확산판(50)은 주로 도광체(20)의 광 출사면(20a)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확산판(50)로서는, 예컨대, PET 등의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기재와, 이 기재 상에 경화한 실리카 비드 함유 수지를 갖는 시트와,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수지 재료 중에 실리카 비드를 혼합시켜서 이루어지는 시트를 들 수 있다.
또한, 도 1a, 1b에 나타내는 프리즘(60)은 입사되는 광을 굴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프리즘(60)은 프리즘(60)에 입사된 광을 도광체(20)의 광 출사면(20a)에 대해서 대략 수직 방향이 되도록 굴절시켜서 출사한다. 프리즘(60)으로서는, 예컨대, PET 등의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기재와, 이 기재 상에 적층된 아크릴계 재료로 형성된 프리즘 구조체를 갖는 것과, PC 등의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기재로서 상기 기재 자체에 프리즘 구조가 가공된 것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원 장치(X1)에서는 도광체(20)의 제 3 부위(23)에 있어서의 광 확산체(30)의 존재 비율이 상기 도광체(20)의 제 1 부위(21)에 있어서의 광 확산체(30)의 존재 비율보다 크다. 그 때문에, 광원 장치(X1)에서는 제 2 광원군(10B)의 각 제 2 광원(10b)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일부가 입사되는 저배광 영역 중에서도 제 2 부위(22)에 비해서 휘도가 낮게 되기 쉬운 제 3 부위(23)에 있어서의 휘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광원 장치(X1)에서는 단부 광원(10a2)으로부터 도광체(20)에 입사되는 광량이 중앙 광원(10a1)으로부터 도광체(20)에 입사되는 광량보다 작다. 그 때문에, 광원 장치(X1)에서는 도광체(20)의 제 3 부위(23)에 있어서의 광 확산체(30)의 존재 비율이 상대적으로 커도 상기 제 3 부위(23)에 있어서 제 1 광원군(10A)의 각 광원(10a1,10a2)으로부터의 광에 의한 휘도가 과잉으로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광원 장치(X1)에서는 제 2 광원군(10B)의 각 제 2 광원(10b)이 제 1 광원군(10A)의 각 광원(10a1,10a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즉, 광원 장치(X1)에서는 제 1 광원군(10A)의 각 광원(10a1,10a2)과 제 2 광원군(10B)의 각 제 2 광원(10b)은 도광체(20)의 두께 방향(도 1b의 화살표 EF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광원 장치(X1)에서는 제 1 광원군(10A)의 각 광원(10a1,10a2)과 제 2 광원군(10B)의 각 제 2 광원(10b)을 도광체(20)의 두께 방향(도 1b의 화살표 EF 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치도록 배치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광원 장치(X1)에서는 도광체(2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크기를 저감할 수 있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광원 장치(X1)에서는 복수개의 광원(10)에 의거한 발광에 있어서의 휘도 편차를 저감함과 아울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광원 장치(X1)에서는 단부 광원(10a2)의 최대 휘도가 중앙 광원(10a1)의 최대 휘도보다 작다. 즉, 광원 장치(X1)에서는 중앙 광원(10a1) 및 단부 광원(10a2) 자체에 의해서 중앙 광원(10a1) 및 단부 광원(10a2) 각각으로부터 도광체(20)로 입사되는 광의 입사량을 조정할 수 있다.
광원 장치(X1)에서는 광 확산체(30)가 도광체(20)의 주된 광 출사면(20a) 이외의 영역[하면(20c)]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광 확산체(30)를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 장치(X1)는,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등과 같이 표시 장치용 광원으로서 채용할 경우에 특히 유효하게 된다.
광원 장치(X1)에서는 복수개의 도트 형상체(30a)가 제 2 광원군(10B)의 배열 방향(도 3b의 화살표 AB 방향)과, 이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도 3b의 화살표 CD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광 확산체(30)의 설계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제 3 부위(23)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도트 형상체(30a)를 상기 배열 방향(도 3b의 화살표 AB 방향)에 있어서 동렬에 위치하는 복수의 집합체로 나누는 것으로 하면, 상기 각 집합체에 있어서 각 도트 형상체(30a)의 평면으로 바라본 면적은 단부 광원(10a2)에 서로 이웃하는 제 2 광원(10b)으로부터의 이간 거리(d)가 클수록 커지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광원 장치(X1)에서는 광 확산체(30)의 설계 용이성을 높이면서 휘도 편차를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도트 형상체(30a)는 기준선(BL)을 경계로 해서 도트 배치나 도트 형상체의 평면으로 바라본 면적이 크게 변화되지 않도록 고배광 영역 중 기준선(BL)에 대해서 제 1 부위(21)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에도 배열되어 있다.
이어서, 도 4a, 4b 및 도 5a, 5b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광원 장치(X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a에 있어서 각 부위(21,22,23)의 경계는 파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광원 장치(X2)는 광 확산체(30) 대신에 광 확산체(30A)를 채용하는 점에 있어서 상술한 광원 장치(X1)와 다르다. 광원 장치(X2)의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광원 장치(X1)에 관해서 상술한 것과 같다.
도 4b, 도 5b에서 나타내는 광 확산체(30A)는 도광체(20)에 있어서의 배치의 점에서 상술한 광 확산체(30)와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 확산체(30A)는 상술한 광 확산체[30(30a)]와 마찬가지로 도광체(20)의 하면(20c)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광 확산체(30A)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패턴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도트 형상체(30Aa)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또한, 복수개의 도트 형상체(30Aa)는 복수개의 광원(10)의 배열 방향(도 5a, 5b의 화살표 AB 방향)과, 이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도 5a, 5b의 화살표 CD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광 확산체(30)(30a)와 달리 제 1 부위(21)에 대응하는 영역, 제 2 부위(22)에 대응하는 영역, 및 제 3 부위(23)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각 도트 형상체(30Aa)의 평면으로 바라본 면적[도광체(20)와 접촉하는 부분의 평면으로 바라본 면적]은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제 3 부위(23)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각 도트 형상체(30Aa)의 배치 수는 제 1 부위(21) 또는 제 2 부위(22)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각 도트 형상체(30Aa)의 배치 수보다 많다. 아울러, 제 3 부위(23)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각 도트 형상체(30Aa)는 제 3 부위(23)에 대응하는 영역의 전체면에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각 도트 형상체(30Aa)는 벌집 형상으로 배치된다. 각 도트 형상체(30Aa)의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행렬 형상으로 배치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도트 형상체(30Aa)의 배치 수란 상기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의 도트 형상체(30Aa)의 개수를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원 장치(X2)에서는 도트 형상체(30Aa)를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도광체(20)의 제 3 부위(23)에 있어서의 광 확산체(30A)의 존재 비율이 상기 도광체(20)의 제 1 부위(21)에 있어서의 광 확산체(30A)의 존재 비율보다 크다. 그 때문에, 광원 장치(X2)에서는 제 2 광원군(10B)의 각 제 2 광원(10b)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일부가 입사되는 저배광 영역 중에서도 제 2 부위(22)에 비해서 휘도가 낮게 되기 쉬운 제 3 부위(23)에 있어서의 휘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광원 장치(X2)에서는 단부 광원(10a2)으로부터 도광체(20)에 입사되는 광량이 중앙 광원(10a1)으로부터 도광체(20)에 입사되는 광량보다 작다. 그 때문에, 광원 장치(X2)에서는 도광체(20)의 제 3 부위(23)에 있어서의 광 확산체(30A)의 존재 비율이 상대적으로 커도 상기 제 3 부위(23)에 있어서 제 1 광원군(10A)의 각 광원(10a1,10a2)으로부터의 광에 의한 휘도가 과잉으로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그 결과, 광원 장치(X2)에 있어서도 복수개의 광원(10)에 의거한 발광에 있어서의 휘도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광원 장치(X2)에 있어서는 도트 형상체(30Aa)의 평면으로 바라본 면적이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광 확산체(30A)의 설계 용이성이 더욱 높아진다.
또한, 광원 장치(X2)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부위(21), 제 2 부위(22) 및 제 3 부위(23)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각 도트 형상체(30Aa)의 평면으로 바라본 면적은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 때문에, 광 확산체(30A)의 설계 용이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어서, 도 6a, 6b, 도 7a, 7b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광원 장치(X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각 부위(21,22,23)의 경계는 파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광원 장치(X3)는 광 확산체(30A) 대신에 광 확산체(30B)를 채용하는 점에 있어서 광원 장치(X2)와 다르다. 광원 장치(X3)의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광원 장치(X2)에 관해서 상술한 것과 같다.
도 6b, 도 7b에 나타내는 광 확산체(30B)는 도광체(20)에 있어서의 배치의 점에서 상술한 광 확산체(30A)와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 확산체(30B)는 상술한 광 확산체(30A)와 마찬가지로 도광체(20)의 하면(20c)에 위치하고 있다(도 6b, 도 7b 참조). 그리고, 광 확산체(30B)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패턴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도트 형상체(30Ba)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개의 도트 형상체(30Ba)는 복수개의 광원(10)의 배열 방향(도 7b, 화살표 AB 방향)과, 이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도 7b, 화살표 CD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부위(21)에 대응하는 영역, 제 2 부위(22)에 대응하는 영역, 및 제 3 부위(23)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각 도트 형상체(30Ba)의 평면으로 바라본 면적[도광체(20)와 접촉하는 부분의 평면으로 바라본 면적]은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광 확산체(30A)와 달리 제 3 부위(23)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각 도트 형상체(30Ba)의 배치 수는 제 1 부위(21) 또는 제 2 부위(22)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각 도트 형상체(30Ba)의 배치 수보다 많다. 아울러, 제 3 부위(23)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각 도트 형상체(30Ba)의 배치 수는 제 2 광원군(10B)의 제 2 광원(10b)으로부터의 광량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는 부분일수록 많게 되어 있다. 즉, 제 3 부위(23)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도트 형상체(30Ba)의 존재 비율은 제 3 부위(23)에 대해서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제 2 광원군(10B)의 제 2 광원(10b)으로부터의 거리가 큰 부분일수록 많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도트 형상체(30Ba)는 벌집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영역에 있어서 도트 형상체(30Ba)의 존재 비율이 커지도록 각 도트 형상체(30Ba)를 효율 좋게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원 장치(X3)에서는 상술한 도트 형상체(30Ba)의 배치를 구비함으로써 상술한 광원 장치(X2)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광원 장치(X3)에서는 제 3 부위(23)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각 도트 형상체(30Ba)의 배치 수가 제 2 광원군(10B)의 제 2 광원(10b)으로부터의 광량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는 부분일수록 많다. 그 때문에, 광 확산체(30B)의 설계 용이성을 높이면서 휘도 편차를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즉, 휘도 편차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높아진다.
이어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Y)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시 장치(Y)는 광원 장치(X1)와 액정 표시 패널(70)과 하우징(8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하우징(80)은 액정 표시 패널(70) 및 광원 장치(X1)를 수용하는 것이며, 상측 하우징(81) 및 하측 하우징(82)을 포함한다. 하우징(80)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수지와, 스테인레스(SUS)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들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Y)에 대해서는 광원 장치(X1)를 채용해서 설명하지만 광원 장치(X2,X3)를 채용해도 같다.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70)은 액정층(71)과 제 1 기체(72)와 제 2 기체(73)와 밀봉 부재(74)를 구비하고 있다. 액정층(71)은 제 1 기체(72)와 제 2 기체(73) 사이에 위치하고, 밀봉 부재(74)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액정 표시 패널(70)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개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P)을 갖고 있다.
액정층(71)은 전기적, 광학적, 역학적, 또는 자기적인 이방성을 나타내고, 고체의 규칙성과 액체의 유동성을 아울러 가지는 액정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층이다. 이 액정으로서는 네마틱 액정, 콜레스테릭 액정, 및 스멕틱 액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액정층(71)에는 이 액정층(71)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예컨대 다수의 입자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스페이서(도시 생략)를 개재시켜도 좋다.
제 1 기체(72)는 투명 기체(721)와 차광막(722)과 칼라 필터(723)와 평탄화 막(724)과 투명 전극(725)과 배향막(726)을 구비하고 있다.
투명 기체(721)는 차광막(722) 및 칼라 필터(723)를 지지함과 아울러 액정층(71)을 밀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투명 기체(721)는 그 주면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화살표 EF 방향)으로 광을 적절하게 투과시킨다. 투명 기체(721)의 구성 재료로서는 유리 및 투광성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다.
차광막(722)은 빛을 차단하는(광의 투과량을 소정값 이하로 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며 투명 기체(72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광막(722)은 광을 통과시키기 위해서 막 두께 방향(화살표 EF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722a)을 갖고 있다. 차광막(722)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차광성이 높은 색(예컨대 흑색)의 염료 또는 안료, 카본이 첨가된 수지(예컨대 아크릴계 수지)와, 크롬(Cr)과, 산화 Cr을 들 수 있다.
칼라 필터(723)는 상기 칼라 필터(723)에 입사된 광 중 소정의 파장을 선택적으로 흡수하고, 소정의 파장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부재(예컨대 아크릴계 수지)에 염료 또는 안료를 첨가시킨 것이다. 칼라 필터(723)로서는, 예컨대 적색 가시광의 파장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적색 칼라 필터(R)와, 녹색 가시광의 파장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녹색 칼라 필터(G)와, 청색 가시광의 파장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청색 칼라 필터(B)를 들 수 있다.
평탄화 막(724)은 칼라 필터(723) 등을 배치함으로써 생기는 요철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평탄화 막(724)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 등의 투명 수지를 들 수 있다.
투명 전극(725)은 후술하는 제 2 기체(73)의 투명 전극(732)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71)의 액정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투명 전극(725)은 일방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타방측으로 투과시킨다. 또한, 투명 전극(725)은 소정의 신호(화상 신호)를 전파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주로 화살표 CD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복수개 배열되어 있다. 투명 전극(725)의 구성 재료로서는 ITO(Indium Tin Oxide) 및 산화 주석 등의 투광성을 갖는 도전 부재를 들 수 있다.
배향막(726)은 액정층(71)의 액정 분자를 소정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투명 전극(725) 상에 형성되어 있다. 배향막(726)의 구성 재료로서는 폴리이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제 2 기체(73)는 투명 기체(731)와 투명 전극(732)과 배향막(733)을 구비하고 있다.
투명 기체(731)는 투명 전극(732) 및 배향막(733)을 지지함과 아울러 액정층(71)을 밀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투명 기체(731)는 그 주면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화살표 EF 방향)으로 광을 적절하게 투과시킨다. 투명 기체(731)의 구성 재료로서는 투명 기체(721)의 구성 재료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투명 전극(732)은 제 1 기체(72)의 투명 전극(725)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71)의 액정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투명 전극(732)은 일방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타방측으로 투과시킨다. 또한, 투명 전극(732)은 액정층(71)으로의 전압 인가 상태(온) 또는 전압 비인가 상태(오프)를 제어하는 신호(주사 신호)를 전파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주로 도 9에 있어서의 지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복수개 배열되어 있다. 투명 전극(732)의 구성 재료로서는 투명 전극(725)의 구성 재료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배향막(733)은 매크로적으로 임의적인 방향을 향하는(규칙성이 작은) 액정층(71)의 액정 분자를 소정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투명 전극(732) 상에 형성되어 있다. 배향막(733)의 구성 재료로서는 배향막(726)의 구성 재료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밀봉 부재(74)는 제 1 기체(72)와 제 2 기체(73) 사이에 액정층(71)을 밀봉함과 아울러, 제 1 기체(72)와 제 2 기체(73)를 소정 간격으로 이간된 상태에서 접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밀봉 부재(74)로서는 절연성 수지 및 시일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광원 장치(X1)는 도광체(20)로부터 액정 표시 패널(70)의 제 1 기체(72)를 향해서 광을 출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Y)는 광원 장치(X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광원 장치(X1)가 갖는 효과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Y)에서는 복수개의 광원(10)에 의거한 발광에 있어서의 휘도 편차를 저감함과 아울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표시 장치(Y)는 광원 장치(X1)에 의해 휘도 편차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패널(70)로서 투과율이나 개구율을 부분적으로 변화시킨 특징적인 구성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투과율이나 개구율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단순한 구성을 이루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표시 장치(Y)는 저비용이며 신뢰성이 높은 표시 장치이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광원 장치(X)는 제 1 광원군(10A) 및 제 2 광원군(10B)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광원(10)이 모두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된 구성을 구비하지만, 복수개의 광원(10)의 일부가 서로 겹쳐서 배치된 구성을 구비해도 좋다.
단부 광원(10a2)으로부터 도광체(20)에 입사되는 광량을 중앙 광원(10a1)으로부터 도광체(20)에 입사되는 광량보다 작게 하는 구성으로서 광원 장치(X1,X2,X3)에서는 중앙 광원(10a1)의 최대 휘도와 단부 광원(10a2)의 최대 휘도를 다르게 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1a,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광원군을 구성하는 각 광원 중 도광체(20)의 제 3 부위(23)에 대응해서 배치되는 광원과 제 3 부위(23) 사이에 반투과 필름(90) 또는 광 확산 필름(91)을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때, 제 1 광원군을 최대 휘도가 실질적과 같은 한 종류의 광원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단부 광원(10a2)으로부터 도광체(20)에 입사되는 광량을 중앙 광원(10a1)으로부터 도광체(20)에 입사되는 광량보다 작게 하는 구성으로서, 도 12a,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광체(20)의 제 3 부위(23)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광원군과의 대향면이 광이 확산하도록 가공[도 12b에서는 요철(23a)을 형성]된 면인 구성이여도 좋다. 이 때도, 제 1 광원군을 최대 휘도가 실질적과 같은 한 종류의 광원으로 구성해도 좋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제 1 광원군을 구성하는 각 광원의 휘도를 조정하지 않고 상기 각 광원으로부터 도광체로의 입사량을 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컨대 입사량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회로 등을 별도 채용하지 않고 각 광원의 구동 회로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다.
광 출사면(20a)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구성으로서는, 광원 장치(X1,X2,X3)에서는 도광체(20) 내에서의 반사, 또는, 광 확산체(30,30A,30B) 및 반사체(40)에 의한 반사 등에 의한 구성을 채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광체(20)의 두께를 변화시켜도 좋고, 도광체(20) 내에 입자를 분산시켜도 좋다. 예컨대, 도광체(20)의 두께가 복수개의 광원(10)으로부터의 거리가 커질수록 작은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광의 이용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도광체(20) 내에 입자가 분산된 구성에 있어서는, 예컨대, 도광체(20) 내에 입자를 분산시켜서 3% 이상 5% 이하의 헤이즈를 갖게 한 구성 등에 있어서는 휘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광원 장치(X1,X2,X3)에 있어서 도광체(20)와 광 확산체(30,30A,30B)는 별개의 구조로 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광체(20)와 광 확산체(30,30A,30B)는 도광체(20)와 동일 재료로 이루어지는 일체의 구조로 해도 좋다.
광원 장치(X1,X2,X3)에 있어서의 광 확산체(30,30A,30B)는 모두 도광체(20)의 하면(20c)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예컨대 도광체(20)의 측면측에 위치해도 좋고, 도광체(20) 내에 설치해도 좋다.
광원 장치(X1,X2,X3)에 있어서의 도트 형상체(30a,30Aa,30Ba)는 광 확산체(30A)의 제조 용이성을 높이는 관점으로부터 평면으로 바라본 형상이 대략 원형상이 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구조체로 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조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트 형상체(30a,30Aa,30Ba)는 평면으로 바라본 형상이 대략 원형상이 되는 대략 반구 형상의 구조체로 해도 좋고, 평면으로 바라본 형상이 대략 정다각형상이 되는 대략 기둥 형상의 구조체로 해도 좋다.
광원 장치(X1,X2,X3)에서는 제 1 부위(21)에 있어서의 광 확산체(30)의 존재 비율과 제 2 부위(22)에 있어서의 광 확산체(30)의 존재 비율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 2 부위(22)에 있어서의 광 확산체(30)의 존재 비율이 제 1 부위(21)에 있어서의 광 확산체(30)의 존재 비율보다 커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2 광원군(10B)을 구성하는 각 제 2 광원(10b)에 의거한 발광에 있어서의 휘도 편차를 보다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X1,X2,X3 : 광원 장치 Y : 표시 장치
BL : 기준선 10 : 광원
10a1 : 중앙 광원 10a2 : 단부 광원
10b : 제 2 광원 10A : 제 1 광원군
10B : 제 2 광원군 20 : 도광체
21 : 제 1 부위 22 : 제 2 부위
23 : 제 3 부위 30,30A,30B : 광 확산체
30a,30Aa,30Ba : 도트 형상체 40 : 반사체
50 : 확산판 60 : 프리즘
70 : 액정 패널 80 : 하우징
90 : 반투과 필름 91 : 광 확산 필름
BL : 기준선 10 : 광원
10a1 : 중앙 광원 10a2 : 단부 광원
10b : 제 2 광원 10A : 제 1 광원군
10B : 제 2 광원군 20 : 도광체
21 : 제 1 부위 22 : 제 2 부위
23 : 제 3 부위 30,30A,30B : 광 확산체
30a,30Aa,30Ba : 도트 형상체 40 : 반사체
50 : 확산판 60 : 프리즘
70 : 액정 패널 80 : 하우징
90 : 반투과 필름 91 : 광 확산 필름
Claims (12)
- 복수개의 제 1 광원을 포함하는 제 1 광원군과,
상기 제 1 광원군의 각 제 1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 2 광원을 포함하는 제 2 광원군과,
상기 제 1 광원군 및 상기 제 2 광원군의 각 제 1 및 제 2 광원에 대응해서 배치되는 도광체와,
상기 도광체를 통해서 입사되는 광을 확산하는 광 확산체를 구비하고:
상기 각 제 2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가 기준값 이상이 되는 각도의 범위를 상기 각 제 2 광원의 고배광 각도 범위로 하고, 상기 휘도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게 되는 각도의 범위를 상기 각 제 2 광원의 저배광 각도 범위로 함과 아울러, 상기 도광체에 있어서 상기 각 제 2 광원으로부터 상기 고배광 각도 범위의 각도로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영역을 각 제 2 광원의 고배광 영역으로 하고, 상기 도광체에 있어서 상기 고배광 영역 이외의 영역이며 또한 상기 각 제 2 광원으로부터 상기 저배광 각도 범위의 각도로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영역을 상기 각 제 2 광원의 저배광 영역으로 하고;
상기 각 제 2 광원에 의한 상기 고배광 영역과 상기 저배광 영역의 경계를 경계선으로 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 2 광원에 의한 상기 경계선의 교점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선으로 할 경우,
상기 도광체는,
상기 고배광 영역 중 상기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제 2 광원측으로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 1 부위와,
상기 저배광 영역 중 각 상기 제 1 부위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부위와,
상기 저배광 영역 중 상기 제 1 부위 및 제 2 부위 이외이며 또한 상기 제 1 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광 확산체의 존재 비율보다 큰 존재 비율을 가진 제 3 부위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 1 광원은 상기 도광체의 상기 제 2 및 제 3 부위에 대응해서 배치되고, 상기 제 3 부위에 대응해서 배치되는 제 1 광원으로부터 상기 도광체에 입사되는 광량은 상기 도광체의 상기 제 2 부위에 대응해서 배치되는 제 1 광원으로부터 상기 도광체에 입사되는 광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군의 각 광원 중 상기 도광체의 상기 제 3 부위에 대응해서 배치되는 제 1 광원은 상기 도광체의 상기 제 2 부위에 대응해서 배치되는 제 1 광원보다 최대 휘도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의 상기 제 3 부위와 이 제 3 부위에 대응해서 배치되는 제 1 광원 사이에 반투과 필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의 상기 제 3 부위와 이 제 3 부위에 대응해서 배치되는 제 1 광원 사이에 광 확산 필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체는 상기 도광체의 주된 광 출사면 이외의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체는 복수개의 도트 형상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도트 형상체는 상기 제 2 광원군에 걸친 제 1 방향과, 이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개의 도트 형상체 중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 동렬에 위치하는 도트 형상체군을 구성하는 각 도트 형상체의 평면으로 바라본 면적은 상기 복수개의 제 2 광원 중 상기 도광체의 상기 제 3 부위에 대응해서 배치되는 광원과 서로 이웃하는 광원으로부터의 이간 거리가 클수록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체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체는 백색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상기 제 1 광원군 및 상기 제 2 광원군의 각 광원에 대향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 제 1 항에 기재된 광원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복수개의 제 1 광원을 포함하는 제 1 광원군과,
상기 제 1 광원군의 각 제 1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 2 광원을 포함하는 제 2 광원군과,
상기 제 1 광원군 및 상기 제 2 광원군의 각 제 1 및 제 2 광원에 대응해서 배치되는 도광체와,
상기 도광체를 통해서 입사되는 광을 확산하는 광 확산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 1 광원은 상기 제 2 광원간에 위치하는 중앙 광원과, 양단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중앙 광원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단부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체 중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광원측에 위치하는 영역은,
상기 제 2 광원에 대응하는 제 1 부위와,
상기 제 1 광원의 상기 중앙 광원에 대응하는 제 2 부위와,
상기 제 1 광원의 상기 단부 광원에 대응하며 또한 상기 제 1 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광 확산체의 존재 비율보다 큰 존재 비율을 가진 제 3 부위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단부 광원으로부터 상기 도광체에 입사되는 광량은 상기 중앙 광원으로부터 상기 도광체에 입사되는 광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098528 | 2008-04-04 | ||
JP2008098528 | 2008-04-04 | ||
PCT/JP2009/057079 WO2009123352A1 (ja) | 2008-04-04 | 2009-04-06 | 光源装置および該光源装置を備える表示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6702A KR20100116702A (ko) | 2010-11-01 |
KR101236858B1 true KR101236858B1 (ko) | 2013-02-26 |
Family
ID=41135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21702A KR101236858B1 (ko) | 2008-04-04 | 2009-04-06 | 광원 장치 및 그 광원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032728A1 (ko) |
JP (1) | JP5089768B2 (ko) |
KR (1) | KR101236858B1 (ko) |
CN (1) | CN101981370B (ko) |
WO (1) | WO200912335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0921B1 (ko) * | 2009-08-14 | 2015-12-3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JP6541571B2 (ja) * | 2012-08-24 | 2019-07-10 |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 可変屈折率光抽出層及びその作製方法 |
US20160187724A1 (en) * | 2013-10-08 | 2016-06-30 | Sharp Kabushiki Kaisha | Image display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11541B2 (ja) * | 2001-05-18 | 2011-06-29 | 京セラ株式会社 | 照明パネル、液晶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または表示機器 |
TWI280427B (en) * | 2003-01-29 | 2007-05-01 | Hon Hai Prec Ind Co Ltd | Back light module |
JP4367250B2 (ja) * | 2003-06-13 | 2009-11-18 |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 面発光装置の導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
US7815357B2 (en) * | 2004-09-28 | 2010-10-19 | Mitsubishi Rayon Co., Ltd. | Light guide for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surface light source device |
KR101082904B1 (ko) * | 2004-10-25 | 2011-11-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도광판과,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
CN101071233A (zh) * | 2006-05-12 | 2007-11-14 |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 平面光源装置 |
KR100793536B1 (ko) * | 2006-07-04 | 2008-01-1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니트 및 백라이트 유니트의도광판 제조 방법 |
JP2008210691A (ja) * | 2007-02-27 | 2008-09-11 | Minebea Co Ltd | 面状照明装置 |
JP4774035B2 (ja) * | 2007-12-28 | 2011-09-14 | シャープ株式会社 | 面光源及び表示装置 |
-
2009
- 2009-04-06 US US12/936,378 patent/US2011003272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04-06 CN CN200980111534.9A patent/CN10198137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4-06 JP JP2010506009A patent/JP508976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4-06 WO PCT/JP2009/057079 patent/WO200912335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4-06 KR KR1020107021702A patent/KR101236858B1/ko active IP Right Grant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기재불비 해소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981370A (zh) | 2011-02-23 |
JPWO2009123352A1 (ja) | 2011-07-28 |
US20110032728A1 (en) | 2011-02-10 |
CN101981370B (zh) | 2012-12-19 |
WO2009123352A1 (ja) | 2009-10-08 |
KR20100116702A (ko) | 2010-11-01 |
JP5089768B2 (ja) | 2012-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05646B2 (en) | Lighting unit and display equipment provided therewith | |
JP5154695B2 (ja) |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 |
WO2018079395A1 (ja) |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 |
US7304694B2 (en) | Solid colloidal dispersions for backlighting of liquid crystal displays | |
US20120013811A1 (en) |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 |
US20100061087A1 (en) | Backlight and display | |
JP2006286906A (ja) | 発光ダイオード装置と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 |
JP5119271B2 (ja) | 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 |
JP5127851B2 (ja) | 面状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 |
KR102222297B1 (ko) | 균일한 휘도가 가능한 반사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 |
JP2014085666A (ja) | 視野角制御が可能な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 |
KR102090457B1 (ko) | 액정표시장치 | |
WO2011001751A1 (ja) |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 |
KR101415683B1 (ko) | 액정표시장치 | |
KR101236858B1 (ko) | 광원 장치 및 그 광원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 |
JP5470506B1 (ja) | 面状照明装置及び面状照明装置を有する表示装置 | |
KR20120052627A (ko) | 액정표시장치 | |
US20060215078A1 (en) |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illuminating device | |
JP5052448B2 (ja) | 光源装置および該光源装置を備える表示装置 | |
US20120262633A1 (en) |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 |
CN114114752A (zh) |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 |
KR20130035118A (ko) | 휘도를 향상시키는 확산시트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 |
JP2019087364A (ja) |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 |
JP2010080365A (ja) | 光源装置および該光源装置を備える表示装置 | |
KR20230014115A (ko) | 광 확산성과 추출 효율을 개선하는 백라이트 유닛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