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702B1 -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702B1
KR101236702B1 KR1020100068736A KR20100068736A KR101236702B1 KR 101236702 B1 KR101236702 B1 KR 101236702B1 KR 1020100068736 A KR1020100068736 A KR 1020100068736A KR 20100068736 A KR20100068736 A KR 20100068736A KR 101236702 B1 KR101236702 B1 KR 101236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tank
wire
fixing part
upper wall
ball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097A (ko
Inventor
이온
김홍수
박병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8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70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 B63C2005/027Stages, platforms, or seats suspended adjacent ship hulls on cables, chains, or the like, e.g. boatswain's ch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는 밸러스트 탱크의 상부벽 양단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연결하여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APPARATUS FOR PAINTING TESTER OF BALLAST TANK}
본 발명은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밸러스트 탱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를 수행하도록 설치된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복원성을 유지하고 흘수와 트림(배의 앞뒤 경사)을 조절하기 위해 배의 하부에 싣는 중량물을 밸러스트(ballast)라고 하며, 화물용 선박 내에는 이러한 밸러스트를 싣기 위한 밸러스트 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밸러스트는 주로 해수(海水), 청수(淸水)가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밸러스트를 싣는 밸러스트 탱크로는 이중저 탱크, 선수미 탱크, 심수탱크 등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밸러스트 탱크는 밸러스트(주로, 해수)가 수시로 저장되었다 배출되었다 하는 공간이므로,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및 검사상태는 매우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다.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및 검사상태가 불량할 경우, 밸러스트 탱크의 수명이 짧아질 수 있을 뿐 더러, 나아가 선박의 기능유지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조선협회에서는 단체표준으로 해수 밸러스트 탱크 도장 및 검사 기준을 마련하여 엄격하게 적용하고 있다(KMS 132:2009).
한편,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는 일반적으로 육안검사로 이루어지며, 자격을 갖춘 도장 검사자(작업자)가 도료규격에 맞는 도료 사용여부, 피도장물 상태, 도막표면 상태, 모서리/절단면 도막두께 등을 살피게 된다.
도 1에는 종래 밸러스트 탱크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선박 내부에는 LNG등을 보관하기 위한 저장탱크(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저장탱크(50)의 일 측면 또는 양측면과 상기 저장탱크(50)의 하부에는 밸러스트 탱크(100)가 배치되고, 상기 밸러스트 탱크(100)는 보강 부재(110)로 구획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밸러스트 탱크(100)의 상부벽(120)은 선저(140)와 2m 가량(h) 이격되어 있는 바, 상기 밸러스트 탱크(100)의 도장 검사시에는 도장 검사자가 선저(140)에서 상기 밸러스트 탱크(100)의 상부벽(120)을 올려다 보며, 육안으로 도장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LNG FPSO(LN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와 같은 대형 선박에서는 밸러스트 탱크(100)의 상부벽(120)이 선저(140)와 6m 가량(h) 이격되어 있고, 이는 일반 성인 신장의 3배 이상의 높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도장 검사자가 선저(140)에서 밸러스트 탱크(100)의 상부벽(120)을 올려다 보며 육안으로 도장 검사를 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LNG FPSO와 같은 대형 선박에서 발생하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저(140)로부터 3~4m 가량 높이에 별도의 플랫폼(130)을 설치하고, 도장 검사자가 상기 플랫폼(130) 위에 올라가서 도장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플랫폼(130)을 설치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설치하는 데에 상당한 비용이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별도의 플랫폼을 설치하는 것 없이,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마련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밸러스트 탱크 하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밸러스트 탱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를 행하도록 하는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는 밸러스트 탱크의 상부벽 양단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연결하여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상부벽 일단 및 이에 대응하는 타단에 설치되는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1 고정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상부벽 일단 및 이에 대응하는 타단에 설치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 1 고정부에 체결되어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 와이어와, 상기 제 2 고정부에 체결되어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2 와이어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의 상기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부 및 상기 와이어 고정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상부벽에 타단이 연결되는 몸통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의 상기 이동수단은 작업자가 승선하도록 형성된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위해, 상기 이동체 하부에 마련되는 바퀴;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 1 와이어 및 상기 제 2 와이어와 착탈가능 하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본원발명의 목적은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는 밸러스트 탱크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밸러스트 탱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LNG FPSO와 같은 대형 선박에서도 별도의 플랫폼을 설치하지 않고 도장 검사를 행할 수 있다는 기술적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밸러스트 탱크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를 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는 밸러스트 탱크(100)의 상부벽(120) 양단에 고정부(200)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200)에 연결하여 상기 밸러스트 탱크(100)의 길이방향으로 와이어(300)를 설치하며, 상기 와이어(300)에 연결하여 작업자(도장 검사자)가 승선하여 상기 밸러스트 탱크(10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에서 상기 밸러스트 탱크(10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설치된 양 고정부(200)는 한 세트를 이루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밸러스트 탱크(100)의 상부벽(120) 양단의 특정 위치에 배치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200)를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밸러스트 탱크(100)의 상부벽(120) 양단에 설치하도록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고정부(200)를 상기 밸러스트 탱크(100)의 상부벽(120) 양단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와이어(300)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300)를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부(220) 및 상기 와이어 고정부(220)와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밸러스트 탱크(100)의 상부벽(120)에 타단이 연결되는 몸통부(240)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와이어 고정부(220)의 형상을 원형으로 한정하고 있으나, 상기 와이어(3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도(예를 들면, 다각형)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에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상부벽(120) 일단 및 이에 대응하는 타단에 설치되는 제 1 고정부(210)와, 상기 제 1 고정부(210)와 상기 밸러스트 탱크(100)의 폭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밸러스트 탱크(100)의 상부벽(120) 일단 및 이에 대응하는 타단에 설치되는 제 2 고정부(230)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와이어(300)는, 상기 제 1 고정부(210)에 체결하여 상기 밸러스트 탱크(10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는 제 1 와이어(310)와, 상기 제 2 고정부(230)에 체결하여 상기 밸러스트 탱크(10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는 제 2 와이어(330)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고정부(210) 및 상기 제 1 와이어(310)는 상기 제 2 고정부(230) 및 상기 제 2 와이어(330)와 쌍을 이루고, 이와 같은 쌍이 상기 밸러스트 탱크(100)의 상부벽(120)에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210) 및 상기 제 2 고정부(230)는 상기 밸러스트 탱크(100)의 상부벽(120) 모서리 지점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 1 고정부(210)와 상기 제 2 고정부(230) 사이의 간격은 일정 수치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간격을 좁게 형성함에 따라 상기 밸러스트 탱크(100)의 도장 검사 구역을 보다 세밀하게 구획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의 상기 와이어(300)는 상기 고정부(200)에 연결되어 상기 밸러스트 탱크(1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와이어(300)의 양단부를 상기 와이어 고정부(220)에 걸 수 있는 고리 형태로 형성하여 설치하거나,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와이어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와이어(300)는 후술할 이동수단(4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높은 장력을 가지는 강화 와이어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부(200)에 복수 개의 상기 와이어(300)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400)이 안정감을 갖고 이동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와이어(300)는 직선 형태를 유지하도록 팽팽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에서 상기 이동수단(400)은 상기 와이어(300)에 연결되고, 작업자(도장 검사자)가 승선하여 상기 밸러스트 탱크(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수단(400)은 작업자가 승선하도록 형성된 이동체(420) 및 상기 이동체(420)의 이동을 위해 상기 이동체 (420) 하부에 마련되는 바퀴(440)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이동수단(400)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작업자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으로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수단(400)은 작업자의 신체(예를 들면, 허리)에 일단이 체결되고, 상기 와이어(300)에 타단이 체결되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400)은 상기 제 1 와이어(310) 및 상기 제 2 와이어(330)와 착탈 가능 하도록 설치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 이동수단(400)을 상기 와이어(300)에 착탈해가며 도장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이동수단을 개별 와이어마다 구비할 필요성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상부벽(120) 일부에 배치된 와이어에 상기 이동수단(400)을 결합하여, 상기 상부벽(120) 일부의 도장검사를 실시한 후, 상기 이동수단(400)을 상기 와이어로부터 해체하고 상기 와이어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다른 와이어에 결합하여, 상기 상부벽(120)의 다른 부분에 대하여 도장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수단(400)은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량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밸러스트 탱크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310, 330)에 연결된 이동수단(400)에 승선한 작업자(도장 검사자)가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선저에서 밸러스트 탱크의 상부벽까지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 도장의 육안검사가 용이하지 않았던 LNG FPSO와 같은 대형 선박에서도 별도의 플랫폼을 설치하지 않고 도장 검사를 행할 수 있게 하였다는 점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의 서술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한 것으로,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50: 저장탱크 100: 밸러스트 탱크
110: 보강부재 120: 상부벽
130: 플랫폼 140: 선저
h: 선저에서 상부벽까지의 높이
200: 고정부 210: 제 1 고정부
230: 제 2 고정부 220: 와이어 고정부
240: 몸통부 300: 와이어
310: 제 1 와이어 330: 제 2 와이어
400: 이동수단 420: 이동체
440: 바퀴

Claims (5)

  1. 밸러스트 탱크의 상부벽 일단 및 이에 대응하는 타단에 설치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상부벽 일단 및 이에 대응하는 타단에 설치되는 제2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에 체결되어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와이어;
    상기 제2 고정부에 체결되어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와이어; 및
    상기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부; 및
    상기 와이어 고정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상부벽에 타단이 연결되는 몸통부를 포함하는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작업자가 승선하도록 형성된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위해, 상기 이동체 하부에 마련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 1 와이어 및 상기 제 2 와이어와 착탈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
KR1020100068736A 2010-07-16 2010-07-16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 KR101236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736A KR101236702B1 (ko) 2010-07-16 2010-07-16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736A KR101236702B1 (ko) 2010-07-16 2010-07-16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097A KR20120008097A (ko) 2012-01-30
KR101236702B1 true KR101236702B1 (ko) 2013-02-25

Family

ID=45613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736A KR101236702B1 (ko) 2010-07-16 2010-07-16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7080B (zh) * 2017-10-16 2020-02-21 西南交通大学 一种真空高速交通管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8386U (ko) * 1989-10-11 1991-06-06
JPH05178271A (ja) * 1992-01-07 1993-07-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タンク内補修点検装置
KR100492222B1 (ko) 2000-06-28 2005-05-27 주식회사 포스코 주편 모서리 덧살 발생 방지장치
KR100796630B1 (ko) * 2006-03-03 2008-01-22 한국가스공사 Lng선박의 카고 탱크의 단열 시스템 설치용 비계장치의작업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8386U (ko) * 1989-10-11 1991-06-06
JPH05178271A (ja) * 1992-01-07 1993-07-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タンク内補修点検装置
KR100492222B1 (ko) 2000-06-28 2005-05-27 주식회사 포스코 주편 모서리 덧살 발생 방지장치
KR100796630B1 (ko) * 2006-03-03 2008-01-22 한국가스공사 Lng선박의 카고 탱크의 단열 시스템 설치용 비계장치의작업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097A (ko) 201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268291U (zh) 一种新型船舶液舱制荡装置
KR101206759B1 (ko) 소형 선박 부양장치
CN102897298B (zh) 三艘艉半船在船坞内起浮、前移、定位、落敦的方法
KR101236702B1 (ko)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 검사 장치
US11286020B2 (en) Ballast water-free vessel using difference in depth of bottom shell plate between bow/stern and midship s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000025690A (ja) 浮体式生産・貯蔵・積み出し設備
KR20150065442A (ko) 이동식 계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RU2466901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веса судна
KR101871103B1 (ko)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
KR101599026B1 (ko) 선박 계류 장치
EP2918492B1 (fr) Barge fluviale améliorée
CN205524835U (zh) 一种船舶
RU139463U1 (ru) Многокорпусное судно
RU2403168C1 (ru) Наплавное судно понтонного типа
KR20130074134A (ko) 선박 건조를 위한 블록 운반 방법
KR101323796B1 (ko) 덱 하우스 모듈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덱 하우스 모듈이 시공된 선박
RU2466900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веса судна и аппликаты его центра тяжести
KR20180002424U (ko) 선박용 승하선 장치
KR200477405Y1 (ko) 래싱 브리지
US1863953A (en) Log barge loading device
RU152634U1 (ru) Плавучий док
KR20130109656A (ko) 선박의 진수방법
KR20150057357A (ko)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
KR20110056013A (ko)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
RU2582562C1 (ru) Способ остропки понтонов к судну, транспортируемому по внутренним водным путя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