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912B1 -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912B1
KR101235912B1 KR1020110074074A KR20110074074A KR101235912B1 KR 101235912 B1 KR101235912 B1 KR 101235912B1 KR 1020110074074 A KR1020110074074 A KR 1020110074074A KR 20110074074 A KR20110074074 A KR 20110074074A KR 101235912 B1 KR101235912 B1 KR 101235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se material
feeding
heater
uni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2735A (ko
Inventor
박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등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등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등기업
Priority to KR1020110074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912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2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3/203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40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means for cutting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57Producing floor cove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 B29C2043/3405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using carr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06PVC, i.e. polyvinyl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재를 피딩롤러를 통해 피딩하는 피딩부와, 피딩부를 통해 피딩된 모재를 가열기로 이어지는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이송부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어 가열기에서 가열처리된 모재를 형성하고자 하는 자동차의 내부 바닥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가압하여 성형하는 성형부를 구비하는 가열 성형장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형성하고자 하는 플로어 매트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단위 모재 상호간을 수직상으로 적층할 수 있으면서 피딩롤러의 구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열을 지어 공급될 수 있게 단위 모재 상호간을 연결고리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수직상으로 적층하는 단계와, 최상단에 적층된 단위 모재를 피딩롤러를 통해 진입시켜 피딩시키는 단계와, 피딩롤러에 의해 피딩된 단위모재의 일단을 픽킹하여 상기 가열기 방향으로 이송하고 연결고리를 커팅기에 의해 커딩하고 픽킹 해제하여 이송부에 안착시키고, 이송부에 안착된 단위모재를 가열기에 의해 가열처리한 후 성형부에 의해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에 의하면, 수직상으로 모재를 적층한 상태에서 연속피딩이 가능하고 피딩 구조가 단순화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loor mat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원단의 적재공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 성형을 위한 피딩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 바닥면인 플로어 상에는 자동차 실내를 미려하게 마감처리하면서 흡음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플로어 매트(floor mat)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플로어 매트는 시트 주변의 영역을 포함한 차체 플로어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어서 실내 미관을 해치는 차체 용접 부위나 시트 주변 혹은 플로어 상에 부속되는 각 부품 및 구조를 외관상으로 드러나지 않게 적절히 가려주는 차량 내장재 중의 하나이다.
플로어 매트는 기타 내장재와 마찬가지로 자동차 실내의 미관을 좌우하므로 그 색상이나 재질 등이 시트 등 다른 주변 내장재와 적절히 조화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하며, 또한 플로어로부터 들뜨거나 슬릿부와 같이 갈라진 부분에서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제작 및 설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플로어 매트 중 PVC(Polyvinyl chloride: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된 부직포를 모재로하는 것은 가열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예열과정을 거친후 프레스로 성형하여 제조되는데, 종래에는 권취드럼에 모재인 원단이 롤 형태로 감긴 상태에서 피딩롤러에 의해 피딩하여 예열 및 프레스로 성형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서 연속 생산을 위해서는 초기에 권취드럼에 장착되는 원단이 원형구조로 됨으로써 점유면적이 너무 크고, 권취드럼 및 권취드럼에서 인출된 원단과 권취드럼과의 원단의 긴장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들이 요구됨으로써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권취드럼에 감는 방식과는 다르게 원단을 형성하고자 하는 플로어 매트에 대응되는 크기로 절단한 것을 수직상으로 적층해 놓고 수직 및 수평상으로 진공 압착에 의해 피딩할 수 있도록 된 진공 흡착기를 적용하는 경우 사용 경과에 따라 적층 높이가 낮아 질수록 로딩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이 역시 구조가 복잡해 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가열성형장치를 이용하되 모재를 수직상으로 적층하여 연속 피딩할 수 있으면서 구조가 간단한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은 모재를 피딩롤러를 통해 피딩하는 피딩부와, 상기 피딩부를 통해 피딩된 모재를 가열기로 이어지는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가열기에서 가열처리된 모재를 형성하고자 하는 자동차의 내부 바닥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가압하여 성형하는 성형부를 구비하는 가열 성형장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 형성하고자 하는 플로어 매트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단위 모재 상호간을 수직상으로 적층할 수 있으면서 상기 피딩롤러의 구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열을 지어 공급될 수 있게 상기 단위 모재 상호간을 연결고리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수직상으로 적층하는 단계와; 나. 최상단에 적층된 상기 단위 모재를 상기 피딩롤러를 통해 진입시켜 피딩시키는 단계와; 다. 상기 피딩롤러에 의해 피딩된 상기 단위모재의 일단을 픽킹하여 상기 가열기 방향으로 이송한 후 커팅기에 의해 연결고리를 커딩하고, 픽킹을 해제시켜 단위모재를 이송부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라. 상기 이송부에 안착된 단위모재를 상기 가열기에 의해 가열처리한 후 상기 성형부에 의해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위 모재는 PVC 소재로 형성된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위에 부직포 소재로 형성된 표면층과, 상기 표면층 위에 PE소재로 된 코팅층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성형장치는 수직상으로 적층된 상기 단위모재를 피딩할 수 있게 상기 피딩롤러가 설치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피딩롤러에 의해 피딩된 상기 단위모재를 픽킹하여 상기 가열기 방향으로 이송한 후 픽킹해제할 수 있도록 된 픽킹기와, 상기 피딩롤러에 의해 피딩된 단위모재 사이의 상기 연결고리를 절단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상에 설치된 커팅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픽킹기의 픽킹해제에 의해 낙하되는 단위모재가 안착되는 망스크린을 순환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가 지지되는 지지프레임을 상기 성형부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진퇴부를 구비하고, 상기 성형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에 의하면, 수직상으로 모재를 적층한 상태에서 연속피딩이 가능하고 피딩 구조가 단순화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가열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적층된 단위 모재 상호간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가열 성형장치의 일부를 상세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가열 성형장치의 피딩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단위모재의 이송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가열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적층된 단위 모재 상호간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가열 성형장치의 일부를 상세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가열 성형장치의 피딩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단위모재의 이송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러어 매트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가열 성형장치를 설명한다.
가열 성형장치(100)는 가열 본체(110)와 성형부(200)로 되어 있다.
가열 본체(110)에는 피딩부(120), 픽킹기(130), 커팅기(150), 이송부(170) 및 가열기(190)를 구비한다.
피딩부(120)는 가열 본체(110)의 메인 프레임(111)의 일단 상측에 상호 대향되게 마련된 두 개의 피딩롤러(121)(122) 및 피딩롤러(121)(122) 전방에 마련된 가이드롤러(113)로 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 롤러(113)는 수직상으로 적층된 공급대상 단위모재(10)를 피딩롤러(121)(122) 사이로 안내하며, 피딩롤러(121)(122) 중 하나는 초기 삽입 및 단위 모재(10)의 두께를 고려하여 이격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실린더(125)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픽킹기(130)는 피딩롤러(121)(122)에 의해 피딩된 단위모재(10)를 픽킹하여 가열기(190) 방향으로 이송한 후 픽킹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픽킹기(130)는 가열 본체(110)의 메인 프레임(111)에 대해 단위 모재(10)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게 설치된 이송체(132)와 이송체(132) 상에서 피딩롤러(121)(122)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바 상에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편(135)과, 지지편(135)의 하부에서 실린더(134)의 로드의 진퇴에 의해 지지편(135)과의 간격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클립부재(137)로 되어 있다.
커팅기(150)는 피딩롤러(121)(122)를 통과한 단위모재(10)와 픽킹기(130)에 의해 픽킹된 단위모재(10) 사이의 후술되는 연결부재(15)를 절단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111) 상에서 이송부(170)의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커터가 모터의 회전에 의해 이동될 수 있게 있다.
이송부(170)는 피딩부(120)를 통해 피딩된 단위 모재(10)를 가열기(190)로 이어지는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송부(170)는 픽킹부(130)의 픽킹 해제에 의해 낙하되는 단위모재(10)가 안착되는 망스크린(171)을 순환 회전시키는 컨베이어(172)와, 컨베이어(172)가 지지되는 지지프레임(175)을 성형부(200)로 진퇴시키는 진퇴부(177)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178은 지지프레임(175)에 형성된 래치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스프라켓이고, 참조부호 179는 구동스프라켓을 벨트를 통해 구동하는 구동모터이다.
가열기(190)는 내장된 히터(193)에 의해 단위모재(10)를 가열한다.
성형부(200)는 메인 프레임(111)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부 프레스(210)의 하강에 의해 진입된 단위모재(10)에 형성하고자 하는 형상에 대응되게 프레스 성형한다.
한편, 단위모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VC 소재로 형성된 베이스층(11)과, 베이스층(11) 위에 부직포소재로 형성된 표면층(12)과, 표면층(12) 위에 PE소재로 된 코팅층(13)으로 되어 있다.
단위 모재(10)는 도시된 예와 다르게 부직포 소재로만 형성되거나, 가열과정을 거쳐 성형할 수 있는 공지된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단위모재(10)는 원단으로부터 형성하고자 하는 플로어 매트에 대응되는 크기로 절단한 후 단위 모재(10) 상호간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상으로 적층할 수 있으면서 피딩롤러(121)(122)의 구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열을 지어 공급될 수 있게 단위 모재(10) 상호간을 가장자리부분을 통해 연결고리(15)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한 후 가열 성형 장치(100)의 가이드 롤러(123) 전방에 연결고리(15)가 양측에 배치되게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수직상으로 적층하면 된다.
이후, 최상단에 적층된 단위 모재(10)를 가이드 롤러(123)를 피딩롤러(121)(122) 사이에 가압상태가 되게 진입시켜 피딩시킨 후 작동시키면 된다.
여기서 피딩롤러(121)(122)에 의해 피딩된 단위모재(10)는 픽킹기(130)에 의해 일단을 픽킹하여 가열기 방향(190)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킨 후 커팅기(150)에 의해 연결고리(115)를 커팅하면 컨베이어(172)의 스크린 망(171)에 안착된다.
이후, 스크린망(171)에 안착된 단위모재(10)가 가열기(190) 내에 진입되게 스크린망(171)을 회전시킨 후 설정된 가열시간이 경과되면 진퇴부(177)를 가동하여 지지프레임(175)이 성형부(200) 내까지 진입되게 이동시킨다.
이러한 과정은 제어유니트(미도시)에 의해 피딩부(120), 픽킹기(130), 커팅기(150), 이송부(170) 및 가열기(190)의 구동이 설정된 프로세스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성형부(200)에 진입된 스크린망(171) 있는 단위모재(10)를 성형부(200)에 안착시키고, 지지프레임(175)을 후퇴시킨 후 성형부(200)에 의해 성형하면 된다.
여기서, 성형부(200)에 진입된 스크린망(171) 있는 단위모재(10)를 성형부(200)에 안착시키는 과정은 작업자에 의해 수행되게 하거나, 제어유니트에 의해 제어되어 단위모재를 흡착시켜 성형부에 안착시키는 안착기를 적용하여도 된다.
이러한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에 의하면, 수직상으로 적층된 단위모재(10)가 연결고리(15)에 의해 단위 모재(10)의 적층 높이에 관계없이 연속피딩이 가능하면서도 단위모재(10)의 면적에 대응되는 적재공간만 소요됨으로써 공간활용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가열 본체 120: 피딩부
130: 픽킹기 150: 커팅기
170: 이송부 190: 가열기
200: 성형부

Claims (3)

  1. 모재를 피딩롤러를 통해 피딩하는 피딩부와, 상기 피딩부를 통해 피딩된 모재를 가열기로 이어지는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가열기에서 가열처리된 모재를 형성하고자 하는 자동차의 내부 바닥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가압하여 성형하는 성형부를 구비하는 가열 성형장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 형성하고자 하는 플로어 매트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단위 모재 상호간을 수직상으로 적층할 수 있으면서 상기 피딩롤러의 구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열을 지어 공급될 수 있게 상기 단위 모재 상호간을 연결고리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수직상으로 적층하는 단계와;
    나. 최상단에 적층된 상기 단위 모재를 상기 피딩롤러를 통해 진입시켜 피딩시키는 단계와;
    다. 상기 피딩롤러에 의해 피딩된 상기 단위모재의 일단을 픽킹하여 상기 가열기 방향으로 이송한 후 커팅기에 의해 연결고리를 커딩하고, 픽킹을 해제시켜 단위모재를 이송부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라. 상기 이송부에 안착된 단위모재를 상기 가열기에 의해 가열처리한 후 상기 성형부에 의해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모재는 PVC 소재로 형성된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위에 부직포 소재로 형성된 표면층과, 상기 표면층 위에 PE소재로 된 코팅층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성형장치는
    수직상으로 적층된 상기 단위모재를 피딩할 수 있게 상기 피딩롤러가 설치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피딩롤러에 의해 피딩된 상기 단위모재를 픽킹하여 상기 가열기로 이송한 후 픽킹해제할 수 있도록 된 픽킹기와, 상기 피딩롤러에 의해 피딩된 단위모재 사이의 상기 연결고리를 절단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상에 설치된 상기 커팅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픽킹기의 픽킹해제에 의해 낙하되는 단위모재가 안착되는 망스크린을 순환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가 지지되는 지지프레임을 상기 성형부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진퇴부를 구비하고, 상기 성형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
KR1020110074074A 2011-07-26 2011-07-26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 KR101235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074A KR101235912B1 (ko) 2011-07-26 2011-07-26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074A KR101235912B1 (ko) 2011-07-26 2011-07-26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735A KR20130012735A (ko) 2013-02-05
KR101235912B1 true KR101235912B1 (ko) 2013-02-21

Family

ID=4789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074A KR101235912B1 (ko) 2011-07-26 2011-07-26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9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233A (ko)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 내장재 제조장치
KR102672364B1 (ko) 2021-07-26 2024-06-07 금강매트(주) 자동차 매트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564B1 (ko) * 2018-09-29 2020-03-25 주식회사 청하 시트 성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475A (ko) * 2001-11-20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강성을 유지하는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778015B1 (ko) 2007-03-07 2007-11-21 주식회사 동남테크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475A (ko) * 2001-11-20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강성을 유지하는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778015B1 (ko) 2007-03-07 2007-11-21 주식회사 동남테크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233A (ko)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 내장재 제조장치
KR102672364B1 (ko) 2021-07-26 2024-06-07 금강매트(주) 자동차 매트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735A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1418B1 (ko) 열 성형 장치 및 열 성형 방법
JP5781205B1 (ja) 延反積層装置及び裁断装置
JP6373392B2 (ja) 繊維敷設機および繊維スクリムの製造法
ITTO20120893A1 (it) Macchina per la lavorazione del bordo periferico e per la foratura di lastre di vetro, e procedimento di lavorazione eseguito mediante tale macchina
EP2628588B1 (en) Fiber mold filling system and method
KR101235912B1 (ko)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제조방법
JP2018512303A (ja) 繊維敷設機およびワークピースに繊維ウェブを敷設する方法
CN102864586A (zh) 缝纫机之全自动送料装置
KR101005073B1 (ko) 자동차 내장재 성형장치
US11046041B2 (en) Decorative sheet, emboss processing method and emboss processing mold
EP3973096B1 (en) Method of replacing rolls for introduction into a quilter and apparatus for practicing method
JP2004533548A (ja) プリフォームを自動的に除去するための装置が設けられている円形ニードリング機
ES2328239T3 (es) Sistema de suministro de material en bruto para maquinas de acolchado.
KR20130032011A (ko) 포켓스프링 매트리스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102124211B1 (ko)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
CN110936588A (zh) 织物自动化生产系统及织物生产方法
JP5801591B2 (ja) 熱転写装置及び熱転写方法
KR102115083B1 (ko) 침대 매트리스용 코너 보호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210681417U (zh) 一种全自动床垫包装系统
CN208054331U (zh) 一种全自动供料装置
CN211222027U (zh) 织物自动化生产系统
JP5980130B2 (ja) シート材の裁断積層装置及びシート材の裁断積層方法
KR102562573B1 (ko) 포켓 스프링 판 제조 공정 어셈블리
KR102049387B1 (ko) 헤드라이너 성형용 부재 투입 장치
KR101242872B1 (ko) 핫픽스 자동 배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