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514B1 -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514B1
KR101235514B1 KR1020127022628A KR20127022628A KR101235514B1 KR 101235514 B1 KR101235514 B1 KR 101235514B1 KR 1020127022628 A KR1020127022628 A KR 1020127022628A KR 20127022628 A KR20127022628 A KR 20127022628A KR 101235514 B1 KR101235514 B1 KR 101235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stirring blade
stirring
blade memb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오 마츠바라
가즈노리 히사무라
다카시 시바타
야마토 마시마
미키오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주고꾸 도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꾸 도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주고꾸 도료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5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elements, materials or mechanical properties
    • B01F27/054Deformable stirrers, e.g. deformed by a centrifugal force applied during operation
    • B01F27/0541Deformable stirrers, e.g. deformed by a centrifugal force applied during operation with mechanical means to alter the position of the stir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01F27/0725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on the free end of the rotating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05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herein the stirrers or the receptacles are moved in order to bring them into operative position; Means for fixing the receptacle
    • B01F27/806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herein the stirrers or the receptacles are moved in order to bring them into operative position; Means for fixing the receptacle with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stirrer, e.g.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pivoting the stirrer about a vertical axis in order to co-operate with different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복잡한 개폐 메커니즘을 사용하지 않고 교반날개 부재의 확경(擴俓)·축경(縮徑)의 동작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교반날개 부재의 동작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고, 고장시에도 수리가 용이한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교반장치는, 구동수단이 구비된 구동부 본체와, 상기 구동부 본체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부 본체의 하방을 향하여 연설(延設)되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하단부에 피봇식 부착되어, 상기 구동축의 측방에 확경·축경 가능하게 돌출 설치하는 2개 이상의 교반날개 부재와, 상기 구동부 본체의 저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축이 유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 통해져, 상기 구동축이 상하동 가능하게 구성된 슬라이더 부재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에 한쪽이 회동 가능하게 피봇식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교반날개 부재의 구동축에 피봇식 부착된 쪽에 위치하는 기단측 단부에 다른 쪽이 회동 가능하게 피봇식 부착되는 로드 부재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을 상기 구동부 본체에 대해서 상방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교반날개 부재의 상기 기단측 단부에 피봇식 부착된 상기 로드 부재를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교반날개 부재를, 상기 구동축과의 피봇식 부착 위치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교반날개 부재의 확경·축경되는 쪽에 위치하는 외방측 단부를 상기 구동축에 접근시켜서 축경상태로 하고, 상기 구동축을 상기 구동부 본체에 대해서 하방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교반날개 부재의 상기 기단측 단부에 피봇식 부착된 상기 로드 부재를 상기 구동축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교반날개 부재를, 상기 구동축의 피봇식 부착 위치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교반날개 부재의 확경·축경되는 쪽에 위치하는 외방측 단부를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이반시켜서 확경상태로 하고, 상기 구동수단으로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구동축에 피봇식 부착된 상기 교반날개 부재가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반장치{Stir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도료 원료 탱크,양조용 탱크 등의 탱크 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균일하게 교반하기 위한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컨테이너 탱크, 예를 들면, 도료 원료를 수용한 컨테이너 탱크를, 조선소, 제철소 등의 사용장소까지 컨테이너 트럭을 사용하여 반송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경우, 반송 도중의 진동 등의 영향에 의해, 컨테이너 탱크 내에 수용한 내용물이 비중차에 의해 분리되는 경우가 많고, 특히, 내용물이 도료 원료 등인 경우에는, 산화티탄 등의 안료류와 시너 등의 용매가 분리되어, 컨테이너 탱크 내에 있어서 고점도, 고밀도의 안료류가 바닥에 침전되어 버리기 때문에, 사용시에 균일하게 교반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예를 들면 교반용 구동축과 연결한 교반날개 부재를, 탱크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탱크 내에 삽입하고, 탱크의 외부로부터 구동축에 연결한 모터에 의해, 구동축과 함께 교반날개 부재를 회전시켜, 이것에 의해 탱크 내의 내용물의 교반을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탱크의 개구부보다도 작은 외경을 갖는 교반날개 부재밖에 탱크 내에 삽입할 수 없기 때문에, 탱크의 크기에 대해 비교적 작은 교반날개 부재밖에 사용할 수 없어, 교반효율이 나쁜 것이었다.
이 때문에, 이 교반날개 부재를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교반효율을 좋게 하는 것도 행해졌으나, 이 경우에는, 교반날개 부재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대형 모터를 사용할 필요가 있어, 아무래도 장치가 대형화되어 버려, 취급성의 측면이나 장치 비용 측면 등에서 문제가 있었다.
이들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탱크의 개구부로부터 내부에 교반날개 부재를 삽입할 때는, 교반날개 부재가 개구부의 내경보다도 작은 외경을 가져, 교반날개 부재가 탱크의 개구부를 통과하고, 탱크의 내부에서는 교반날개 부재가 개구부의 크기보다도 크게 퍼지는 구조를 구비한 교반장치를 이미 개발하고 있다(특허문헌 1).
이러한 교반장치(10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축(102)에 연결된 교반날개 부재(104)의 확경·축경을 행하는 데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날개 부재(104)를 착설하는 기단 부재(106)와, 이 기단 부재(106)와 연동하는 래크 부재(108)에 있어서, 래크·앤드·피니언의 구조를 사용하고 있고, 실제의 교반날개 부재(104)의 동작을, 스프링 부재(110)를 사용하여 제어하고 있다.
이 때문에, 탱크(120)의 개구부(122)의 크기보다도 확경되었을 때의 교반날개 부재(104)의 최외경의 크기가 커다란 교반날개 부재(104)를 사용할 수 있어, 교반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본국 특허 제3210877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교반장치(100)에 있어서의 래크·앤드·피니언의 구조는 매우 복잡하여, 고장도 발생하기 쉽고, 또한 고장시에 있어서의 수리에 수고나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었다.
또한, 내용물의 교반을 행함에 따라서, 래크·앤드·피니언의 래크와 피니언의 맞물림 부분(124)에 내용물이 꽉 차서 고착되고, 이것에 의해 교반날개 부재(104)의 확경, 축경시에 있어서의 동작 불량을 발생시키는 경우도 있어, 추가적인 개량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현재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잡한 개폐 메커니즘을 사용하지 않고 교반날개 부재의 확경·축경의 동작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교반날개 부재의 동작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고, 고장시에도 수리가 용이한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탱크 내의 내용물을 교반할 때, 탱크의 개구부로부터 내부로 삽입할 수 있는 동시에, 탱크 내에서는 교반날개 부재를 탱크의 개구부의 크기보다도 크게 확경시킬 수 있어, 이것에 의해 효율적으로 내용물의 교반을 행할 수 있는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교반장치는,
구동수단이 구비된 구동부 본체와,
상기 구동부 본체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부 본체의 하방을 향하여 연설(延設)되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하단부에 피봇식 부착되어, 상기 구동축의 측방에 확경(擴俓)·축경(縮徑) 가능하게 돌출 설치하는 2개 이상의 교반날개 부재와,
상기 구동부 본체의 저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축이 유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 통해져, 상기 구동축이 상하동 가능하게 구성된 슬라이더 부재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에 한쪽이 회동 가능하게 피봇식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교반날개 부재의 구동축에 피봇식 부착된 쪽에 위치하는 기단측 단부에 다른 쪽이 회동 가능하게 피봇식 부착되는 로드 부재,
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을 상기 구동부 본체에 대해 상방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교반날개 부재의 상기 기단측 단부에 피봇식 부착된 상기 로드 부재를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교반날개 부재를, 상기 구동축과의 피봇식 부착 위치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상기 교반날개 부재의 확경·축경되는 쪽에 위치하는 외방측 단부를 상기 구동축에 접근시켜서 축경상태로 하고,
상기 구동축을 상기 구동부 본체에 대해서 하방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교반날개 부재의 상기 기단측 단부에 피봇식 부착된 상기 로드 부재를 상기 구동축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교반날개 부재를, 상기 구동축과의 피봇식 부착 위치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교반날개 부재의 확경·축경되는 쪽에 위치하는 외방측 단부를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이반시켜서 확경상태로 하며,
상기 구동수단으로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구동축에 피봇식 부착된 상기 교반날개 부재가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교반날개 부재의 확경·축경의 동작을 비교적 단순한 메커니즘으로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교반날개 부재의 동작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고장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고장시에도 조기의 복구가 가능하여,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탱크 내의 내용물을 교반할 때, 탱크의 개구부로부터 내부로 삽입할 수 있고, 탱크 내에서는 교반날개 부재를 탱크의 개구부의 크기보다도 크게 확경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내용물의 교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이 예를 들면 도료 원료 등과 같이 고점도·고밀도이면, 교반날개 부재의 회전에 커다란 마력이나 토크가 필요하나, 본 발명의 교반장치에서는, 교반날개 부재의 확경·축경의 동작을 비교적 단순한 메커니즘으로 발생시킬 수 있어, 교반날개 부재를 확경하여 펼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수단을 대형이고 강력한 것으로 할 필요가 없어, 효율적으로 탱크 내의 내용물을 교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반장치는,
상기 구동축에는, 상기 구동축의 연설방향으로 키 홈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부재에는 상기 구동축의 상기 키 홈과 걸어맞춤(係合)하는 걸어맞춤 키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은, 상기 구동축의 상기 키 홈의 형성범위 내에서 상하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키 홈과 걸어맞춤 키 부재의 걸어맞춤 구조이기 때문에, 구동축의 회전시에는, 구동축과 함께 슬라이더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반장치는,
상기 구동축의 상단부에 매다는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면 호이스트크레인이나 포크리프트에 매다는 지그를 부설한 것 등을 사용하여, 교반장치를 매달아 올리거나 매달아 내리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반장치는,
상기 교반장치가, 탱크 내의 내용물을 교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교반장치의 상기 구동부 본체가, 상기 탱크의 개구부의 둘레가장자리(周緣)에 착설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교반장치가 탱크의 개구부에 착설되면, 탱크 내의 내용물을 확실하게 효율적으로 교반할 수 있다.
또한, 교반장치는 취급성도 용이하기 때문에, 별도의 탱크로 이동시켜서 사용할 때에도, 매달아 올려 이동시키기만 하면 되어, 작업성이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교반장치는,
상기 교반장치를 상기 탱크의 개구부에 착설했을 때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 부재가 자중(自重)에 의해 항상 확경되도록, 상기 교반날개 부재의 경사각 및 상기 교반날개 부재의 상기 구동축과의 피봇식 부착 위치가 규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켰을 때에 발생하는 원심력으로, 상기 교반날개 부재가 확경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교반날개 부재가 규정되어 있으면, 교반날개 부재가 자중으로 항상 확경상태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만일, 교반날개 부재와 구동축의 피봇식 부착 개소가 탱크 내의 내용물에 의해 고착되어 버렸다고 하더라도, 구동축의 회전시에 원심력과 함께 교반날개 부재가 확경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져, 고착을 간단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반장치는,
상기 탱크의 개구부의 크기보다도, 상기 교반날개 부재의 축경시에 있어서의 최외경의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교반장치를 매달아 올리거나, 매달아 내리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탱크 내에 교반장치를 삽입하거나, 탱크 외로 교반장치를 꺼낼 수 있다. 따라서 조작성이 좋아,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반날개 부재의 확경·축경의 동작을 비교적 단순한 메커니즘으로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교반날개 부재의 동작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교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탱크 내의 내용물을 교반할 때, 탱크의 개구부로부터 내부로 삽입할 수 있는 동시에, 탱크 내에서는 교반날개 부재를 탱크의 개구부의 크기보다도 크게 확경시켜, 이것에 의해 효율적으로 내용물의 교반을 행할 수 있는 교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반장치에 있어서, 교반날개 부재가 확경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교반장치에 있어서, 교반날개 부재가 축경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교반장치에 있어서, 구동축에 설치된 스토퍼 부재와 구동축의 상단부에 유동 가능하게 끼운 상태로 설치된 스페이서 부재에 의한 구동축의 상하동의 규정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 도 3(a)는 구동축을 구동부 본체에 대해서 상방측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3(b)는 구동축을 구동부 본체에 대해서 하방측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교반장치를 매달아, 탱크의 개구부 상에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교반장치를 매달아, 탱크의 개구부로부터 탱크 내에 삽입시킨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교반장치를 매달아, 탱크의 개구부에 구동부 본체를 위치결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교반장치를 탱크의 개구부에 설치하고, 교반날개 부재를 확경시킨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종래의 교반장치를 탱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종래의 교반장치의 래크·앤드·피니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교반장치는, 예를 들면 도료 원료탱크,양조용 탱크 등의 탱크 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균일하게 교반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교반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토대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교반장치(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구동수단(12)이 구비된 구동부 본체(14)와, 이 구동부 본체(14)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구동부 본체(14)의 하방을 향하여 연설되어, 구동수단(1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16)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구동축(16)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12)으로서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되는 것이나, 예를 들면 전기 모터나 에어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에어 모터는, 공급하는 에어압을 에어 컨트롤 유닛(미도시)으로 조정함으로써 회전 수의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교반장치(10)를 콤팩트하게 정리하는 데 있어, 또한 제조 비용을 억제하는 데 있어 바람직하다.
구동부 본체(14)는, 후술하는 탱크(50)의 개구부(52)로의 착설시에, 탱크(50)의 개구부(52)의 둘레가장자리에 유지되는 플랜지부(4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축(16)의 하단부(18)에는, 구동축(16)의 측방에 확경·축경 가능하게 돌출 설치하는 2개 이상의 교반날개 부재(24)가 피봇식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본 실시형태에서는 교반날개 부재(24)는 2개이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등간격으로 3개, 4개 또는 그 이상 등, 교반 대상이 되는 내용물의 양이나 점도 등에 따라 적절히 늘려도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 중, 부호 22는 구동축(16)과의 피봇식 부착 부분이다.
또한, 교반날개 부재(24)의 형상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후술하는 교반장치(10)를 탱크(50)의 개구부(52)에 착설했을 때에 있어서, 교반날개 부재(24)가 자중에 의해 항상 확경되도록, 교반날개 부재(24)의 경사각 및 교반날개 부재(24)의 구동축(16)과의 피봇식 부착 부분(22)의 위치 등을 규정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구동부 본체(14)의 저부(46)에는, 구동축(16)이 유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 통해지는 동시에 구동축(16)이 상하동 가능하게 구성된 슬라이더 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더 부재(30)와, 교반날개 부재(24)의 구동축(16)에 피봇식 부착된 쪽에 위치하는 기단측 단부(26)를 로드 부재(36)로 연결하고 있다.
또한, 로드 부재(36)는, 슬라이더 부재(30)에 한쪽이 회동 가능하게 피봇식 부착되는 동시에, 교반날개 부재(24)의 기단측 단부(26)에 다른 쪽이 회동 가능하게 피봇식 부착되어 있다. 도 1 중, 부호 32,34는, 로드 부재(36)와의 피봇식 부착 부분이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의 교반장치(10)는, 먼저 구동축(16)을 구동부 본체(14)에 대해서 하방측으로 이동시키면, 교반날개 부재(24)의 기단측 단부(26)에 피봇식 부착된 로드 부재(36)가 구동축(16)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로드 부재(36)에 기단측 단부(26)를 피봇식 부착한 교반날개 부재(24)가, 구동축(16)과의 피봇식 부착 위치(피봇식 부착 부분(22))를 지점으로 하여, 교반날개 부재(24)의 확경·축경되는 쪽에 위치하는 외방측 단부(28)가 구동축(16)으로부터 이반하여 확경상태가 된다.
한편, 구동축(16)을 구동부 본체(14)에 대해서 상방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날개 부재(24)의 기단측 단부(26)에 피봇식 부착된 로드 부재(36)가, 이번에는 구동축(16)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로드 부재(36)에 기단측 단부(26)를 피봇식 부착한 교반날개 부재(24)가, 구동축(16)과의 피봇식 부착 위치(피봇식 부착 부분(22))를 지점으로 하여, 교반날개 부재(24)의 확경·축경되는 쪽에 위치하는 외방측 단부(28)가 구동축(16)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축경상태가 된다.
이러한 메커니즘에 의해 교반날개 부재(24)가 확경·축경되도록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교반장치(10)는, 구동수단(12)으로 구동축(16)을 회전시킴으로써, 구동축(16)에 피봇식 부착된 교반날개 부재(24)를 구동축(16)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교반날개 부재(24)의 확경,축경의 범위는, 구동축(16) 상하의 이동량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에, 구동축(16) 상하의 이동범위를 규제하면, 교반날개 부재(24)의 확경,축경의 범위를 규정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축(16) 상하의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수단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구동축(16)의 연설방향으로 키 홈(38)을 설치하고, 슬라이더 부재(30)에 구동축(16)의 키 홈(38)과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키 부재(40)를 설치하면, 구동축(16)을, 구동축(16)의 키 홈(38)의 형성범위 내에서 상하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a),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축(16)의 키 홈(38)을, 실제로 구동축(16)이 상하동되는 범위보다도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정함으로써, 구동축(16)의 상하방향으로의 가동범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도 3(a)는 구동축(16)을 구동부 본체(14)에 대해서 최대한까지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또한 도 3(b)는 구동축(16)을 구동부 본체(14)에 대해서 최대한까지 하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구동축(16)의 상하방향의 가동범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슬라이더 부재(30) 하방의 소정 위치에 있어서, 구동축(16)의 키 홈(38)에 체결 부재(60)를 걸어맞춤시켜서 스토퍼 부재(48)를 구동축(16)에 고정하고, 이것에 의해 구동축(16) 상방으로의 이동범위(매달아 올림 길이)를 규정하는 동시에, 구동축(16)의 상단부(20)에, 구동축(16)이 유동 가능하게 끼운 상태가 되도록 스페이서 부재(58)를 배설하고, 이것에 의해 구동축(16)의 하방으로의 이동범위를 규정하는 구조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키 홈(38)과 걸어맞춤 키 부재(40)의 걸어맞춤 구조이기 때문에, 구동축(16)의 회전시에, 구동축(16)과 함께 슬라이더 부재(30)를 회전시키는 데 적합한 구조이다.
또한, 도면 중, 부호 54로 나타낸 것은 중공축이다. 이 중공축(54)은, 구동축(16)을 회전시킬 때, 구동수단(12)에 의한 힘을 구동축(16)에 전달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수단(12)으로 중공축(54)을 회전시켜서, 중공축(54)과 구동축(16)이 키 홈(38)과 키의 관계로 걸어맞춤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부호 62는 중공축(54)에 설치된 걸어맞춤 키 부재이다.
물론 중공축(54)을 매개로 하지 않고, 구동수단(12)으로 직접적으로 구동축(16)을 회전시키는 구성이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한 교반장치(10)는, 구동축(16)의 상단부(20)에 매다는 부재(42)가 착설되어 있고, 실제로는 이 매다는 부재(42)를, 호이스트크레인(미도시)이나 포크리프트에 매다는 지그를 부설한 것(미도시) 등으로 매달아 이동시켜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교반장치(10)와 같이, 구동축(16)의 상단부(20)에 착설된 매다는 부재(42)를 매개로 교반장치(10)를 매달아 올리고 있을 때는, 구동축(16)은 상방으로 끌어올려지고, 이것에 의해 구동축(16)에 피봇식 부착된 교반날개 부재(24)가 축경상태가 된다.
한편, 후술하는 탱크(50)의 개구부(52)의 둘레가장자리에 교반장치(10)의 구동부 본체(14)의 플랜지부(44)가 지지되었을 때는, 교반날개 부재(24)의 자중에 의해, 교반날개 부재(24)가 피봇식 부착된 구동축(16)이 하방으로 내려가고, 이것에 의해 교반날개 부재(24)가 확경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교반장치(10)를, 탱크(50) 내의 내용물(미도시)의 교반시에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탱크(50)의 개구부(52)를 막고 있는 덮개(미도시)를 떼어내고, 구동축(16)의 상단부(20)에 착설된 매다는 부재(42)를 매개로, 교반장치(10)를 매달아 올리고, 탱크(50)의 개구부(52) 상에 위치시킨다. 이때, 교반날개 부재(24)의 축경시에 있어서의 최외경의 크기 D2는, 탱크(50)의 개구부(52)의 크기 D1보다도 작아져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장치(10)를, 탱크(50)의 개구부(52)로부터 탱크(50) 내에 삽입한다.
또한, 교반장치(10)의 탱크(50) 내로의 삽입을 진행시켜 가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탱크(50)의 개구부(52)의 둘레가장자리에, 교반장치(10)의 구동부 본체(14)의 플랜지부(44)가 맞닿고, 이 위치에서, 탱크(50)의 개구부(52)의 둘레가장자리에 구동부 본체(14)의 플랜지부(44)가 체결 부재(56)를 매개로 탈착 자유자재로 고정된다.
이때, 탱크의 개구부(52)의 덮개(미도시)를 고정시키고 있었던 체결 부재를 이용할 수 있도록, 덮개의 체결위치와, 교반장치(10)의 플랜지부(44)의 체결위치가 일치하도록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교반장치(10)의 구동부 본체(14) 이외의 부분이, 구동축(16)의 상단부(20)에 착설된 매다는 부재(42)로 매달린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축(16)을 더욱 하방으로 낮추어 가면, 구동축(16)의 하단부(18)에 피봇식 부착된 교반날개 부재(24)가 확경된다. 또한, 교반날개 부재(24)는, 자중에 의해 교반날개 부재(24)가 확경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이전에 사용했을 때, 구동축(16)과 교반날개 부재(24)의 피봇식 부착 부분에 내용물이 고착되어 있었다 하더라도, 간단하게 고착이 해제되어, 작동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교반날개 부재(24)의 확경의 범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48)와 스페이서 부재(58)에 의해, 또는, 슬라이더 부재(30)의 걸어맞춤 키 부재(40)와 걸어맞춤하는 구동축(16)의 키 홈(38)의 형성위치나 범위, 더 나아가서는 로드 부재(36)의 길이에 따라 사전에 규정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소정의 범위까지 교반날개 부재(24)가 확경되어, 탱크(50) 내의 내용물의 교반을 행할 때의 준비가 완성된다.
그리고, 이 확경된 상태에서 구동수단(12)을 매개로 구동축(16)을 회전시킴으로써, 구동축(16)과 함께 피봇식 부착된 교반날개 부재(24)가 회전되어, 이것에 의해 탱크(50) 내의 내용물의 교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교반 후에 있어서는, 재차 교반장치(10)를 매달아 올리고, 교반날개 부재(24)를 축경상태에서 탱크(50)의 개구부(52)로부터 탱크(50) 밖으로 꺼냄으로써, 간단하게 교반에 수반되는 작업을 마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교반장치(10)는, 교반날개 부재(24)의 확경·축경의 동작을 비교적 단순한 메커니즘으로 발생시킬 수 있어, 이것에 의해 교반날개 부재(24)의 동작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세정도 하기 쉬운 것이다. 또한, 만일 고장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교반장치(10)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가 적기 때문에 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유지·보수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교반장치(10)를 사용하면, 탱크(50) 내의 내용물의 교반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이동시에도 구동축(16)의 매다는 부재(42)를 매개로 교반장치(10)를 매달기만 하면 되며, 또한 이 구동축(16)의 매달아 올림 동작에 의해, 교반날개 부재(24)는 축경되기 때문에, 취급성도 양호하다.
이상, 본 발명의 교반장치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및 사용환경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교반장치
12···구동수단
14···구동부 본체
16···구동축
18···하단부
20···상단부
22···피봇식 부착 부분
24···교반날개 부재
26···기단측 단부
28···외방측 단부
30···슬라이더 부재
32···피봇식 부착 부분
34···피봇식 부착 부분
36···로드 부재
38···키 홈
40···걸어맞춤(係合) 키 부재
42···매다는 부재
44···플랜지부
46···저부
48···스토퍼 부재
50···탱크
52···개구부
54···중공축
56···체결 부재
58···스페이서 부재
60···체결 부재
62···걸어맞춤 키 부재
D1··개구부의 크기
D2··교반날개 부재의 축경시에 있어서의 최외경의 크기
100···교반장치
102···구동축
104···교반날개 부재
106···기단 부재
108···래크 부재
110···스프링 부재
120···탱크
122···개구부
124···래크와 피니언의 맞물림 부분

Claims (6)

  1. 구동수단이 구비된 구동부 본체와,
    상기 구동부 본체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부 본체의 하방을 향하여 뻗어 설치되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하단부에 피봇식 부착되어, 상기 구동축의 측방에 지름의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하게 돌출 설치하는 2개 이상의 교반날개 부재와,
    상기 구동부 본체의 저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축이 유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 통해져, 상기 구동축이 상하동 가능하게 구성된 슬라이더 부재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에 한쪽이 회동 가능하게 피봇식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교반날개 부재의 구동축에 피봇식 부착된 쪽에 위치하는 기단측 단부에 다른 쪽이 회동 가능하게 피봇식 부착되는 로드 부재,
    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을 상기 구동부 본체에 대해서 상방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교반날개 부재의 상기 기단측 단부에 피봇식 부착된 상기 로드 부재를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교반날개 부재를, 상기 구동축과의 피봇식 부착 위치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상기 교반날개 부재의 지름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쪽에 위치하는 외방측 단부를 상기 구동축에 접근시켜서 지름이 축소된 상태로 하고,
    상기 구동축을 상기 구동부 본체에 대해서 하방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교반날개 부재의 상기 기단측 단부에 피봇식 부착된 상기 로드 부재를 상기 구동축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교반날개 부재를, 상기 구동축과의 피봇식 부착 위치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교반날개 부재의 지름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쪽에 위치하는 외방측 단부를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이반시켜서 지름이 확대된 상태로 하며,
    상기 구동수단으로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구동축에 피봇식 부착된 상기 교반날개 부재가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는, 상기 구동축의 뻗어 설치된 방향으로 키 홈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부재에는 상기 구동축의 상기 키 홈과 걸어맞춤(係合)하는 걸어맞춤 키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은, 상기 구동축의 상기 키 홈의 형성범위 내에서 상하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상단부에 매다는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장치가, 탱크 내의 내용물을 교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교반장치의 상기 구동부 본체가, 상기 탱크의 개구부의 둘레가장자리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장치를 상기 탱크의 개구부에 장착했을 때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 부재가 자중에 의해 항상 지름이 확대되도록, 상기 교반날개 부재의 경사각 및 상기 교반날개 부재의 상기 구동축과의 피봇식 부착 위치가 규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켰을 때에 발생하는 원심력으로, 상기 교반날개 부재가 지름이 확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개구부의 크기보다도, 상기 교반날개 부재의 지름이 축소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최외경의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KR1020127022628A 2011-12-27 2011-12-27 교반장치 KR101235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80313 WO2013098967A1 (ja) 2011-12-27 2011-12-27 撹拌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5514B1 true KR101235514B1 (ko) 2013-02-20

Family

ID=47435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628A KR101235514B1 (ko) 2011-12-27 2011-12-27 교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84981B1 (ko)
KR (1) KR101235514B1 (ko)
CN (2) CN202823223U (ko)
WO (1) WO201309896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6107A (ko) * 2015-03-11 2017-10-18 프로테크나 에스. 에이. 교반 봉 장치 및 교반 봉 장치를 가진 액체용 이송 및 저장 컨테이너
KR102317521B1 (ko) * 2020-06-10 2021-10-27 에스케이실트론 주식회사 지용성 오일 폐슬러지 재활용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8967A1 (ja) * 2011-12-27 2013-07-04 中国塗料株式会社 撹拌装置
CN104587875B (zh) * 2015-01-10 2016-08-24 孙莉莉 医用圆环搅拌罐
CN105381756B (zh) * 2015-12-10 2017-12-08 新昌县镜岭镇康柳电子元件厂 一种化工用钛合金搅拌器
CN109097095A (zh) * 2018-08-15 2018-12-28 黑龙江莱睿普思环境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废矿物油加氢精制装置
IT201800010095A1 (it) * 2018-11-07 2020-05-07 Cosmec Costruzioni Mecc S R L Dispositivo di miscelazione di fluidi
CN111841354A (zh) * 2020-07-09 2020-10-30 安徽森普新型材料发展有限公司 一种便于调整的搅拌叶
CN113019182A (zh) * 2020-12-22 2021-06-25 合肥金晋业实业有限公司 一种钢化玻璃油墨调配装置
CN113599261A (zh) * 2021-08-27 2021-11-05 倪荷春 一种配药搅拌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9333A (ja) * 1989-11-30 1991-07-23 Mita Ind Co Ltd 微粉体の撹拌方法
JPH10235176A (ja) 1997-02-28 1998-09-08 Chugoku Marine Paints Ltd 撹拌装置及び撹拌装置を備えたタンク
JP2007061693A (ja) 2005-08-30 2007-03-15 Kazunori Denki Kogyo Kk 塗料コンテナ用攪拌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3844U (zh) * 1989-05-25 1990-10-17 陆盛有 小口反应器使用的可调节的搅拌器
JPH10128732A (ja) * 1996-10-29 1998-05-19 Jidosha Seiko Kk 攪拌装置に於ける攪拌軸の軸受装置
CN2673487Y (zh) * 2004-01-13 2005-01-26 陈昆临 搅拌器
CN201431864Y (zh) * 2009-06-27 2010-03-31 西北师范大学 可伸缩螺旋桨式搅拌器
JP2011200775A (ja) * 2010-03-25 2011-10-13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連結装置及び連結方法
WO2013098967A1 (ja) * 2011-12-27 2013-07-04 中国塗料株式会社 撹拌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9333A (ja) * 1989-11-30 1991-07-23 Mita Ind Co Ltd 微粉体の撹拌方法
JPH10235176A (ja) 1997-02-28 1998-09-08 Chugoku Marine Paints Ltd 撹拌装置及び撹拌装置を備えたタンク
JP2007061693A (ja) 2005-08-30 2007-03-15 Kazunori Denki Kogyo Kk 塗料コンテナ用攪拌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6107A (ko) * 2015-03-11 2017-10-18 프로테크나 에스. 에이. 교반 봉 장치 및 교반 봉 장치를 가진 액체용 이송 및 저장 컨테이너
KR101946939B1 (ko) * 2015-03-11 2019-05-20 프로테크나 에스. 에이. 교반 봉 장치 및 교반 봉 장치를 가진 액체용 이송 및 저장 컨테이너
US10561998B2 (en) 2015-03-11 2020-02-18 Protechna S.A. Stirring staff arrangement as well as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 for liquids having a stirring staff arrangement
KR102317521B1 (ko) * 2020-06-10 2021-10-27 에스케이실트론 주식회사 지용성 오일 폐슬러지 재활용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98967A1 (ja) 2013-07-04
CN103182263A (zh) 2013-07-03
CN103182263B (zh) 2015-04-08
JPWO2013098967A1 (ja) 2015-04-30
CN202823223U (zh) 2013-03-27
JP5084981B1 (ja)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514B1 (ko) 교반장치
EP2646138B1 (en) Stirring installation and method
CN101879752A (zh) 立式搅拌机
CN209631029U (zh) 一种混合搅拌罐
KR20170089215A (ko) 입체교반타입의 디졸버
CN207025150U (zh) 浮动搅拌装置
JP2008119603A (ja) 撹拌装置
CN214055839U (zh) 一种石膏砂浆搅拌工具
CN105749784A (zh) 乳胶漆搅拌机
WO2022095623A1 (zh) 搅拌器与搅拌装置
KR200428392Y1 (ko) 이중램 교반기
CN201454473U (zh) 充气式搅拌器
CN203577688U (zh) 一种固液搅拌装置
CN210410565U (zh) 一种带有桶盖的搅拌机构
CN213913453U (zh) 一种涂料搅拌机
CN201997280U (zh) 一种油漆搅拌器
CN108619967A (zh) 一种搅拌装置
CN204502849U (zh) 一种搅拌桨叶可摆动的搅拌机
CN104492311A (zh) 搅拌装置
CN206526754U (zh) 一种油漆搅拌机
CN107583516A (zh) 一种实验室用小型高速分散机
CN104492310B (zh) 多机头搅拌设备
CN217016195U (zh) 加粉装置
CN104437182A (zh) 一种涂料分散装置
CN204672214U (zh) 自动离心搅拌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