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282B1 -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282B1
KR101235282B1 KR1020100090123A KR20100090123A KR101235282B1 KR 101235282 B1 KR101235282 B1 KR 101235282B1 KR 1020100090123 A KR1020100090123 A KR 1020100090123A KR 20100090123 A KR20100090123 A KR 20100090123A KR 101235282 B1 KR101235282 B1 KR 101235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silicon
silicone
shell
stress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1990A (ko
Inventor
유원석
Original Assignee
유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석 filed Critical 유원석
Publication of KR20110041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2Mammary prostheses and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61F2250/0013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for adjusting fluid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삽입 후 받는 응력에 대해 응력집중현상을 최소화하여 피로파열에 대한 저항력을 극대화하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두께가 얇으면서도 원활하게 마감처리된 접합부위로 인하여 보형물의 전체적인 촉감이 우수함과 아울러 제품의 미려함을 높이며, 사용 안전성 및 유효성을 극대화함을 제공하도록, 외벽을 이루는 실리콘 쉘 및 상기 실리콘 쉘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 구멍을 외부로부터 폐쇄하는 접합부위로 구성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쉘의 하단부에 위치한 상기 접합부위의 구조가 저분자 실리콘의 유출 방지층이 구비된 두께가 얇은 다중 박막형 패치 및 물성보완용 패치를 접합재로 접합하여 2중 패치 접합구조를 이루고, 상기 2중 패치 접합구조는 상기 실리콘 쉘로부터 동일 또는 유사한 신장특성(탄성) 및 물성을 나타내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Omitted}
본 발명은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균일한 두께의 실리콘 쉘 및 실리콘 쉘로부터 동일 또는 유사한 물성을 갖는 접합부위로 구성함에 따라 인체 삽입 후 받는 응력에 대해 응력집중현상을 최소화하여 피로파열에 대한 저항력을 극대화하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두께가 얇으면서도 원활하게 마감처리된 접합부위로 인하여 보형물의 전체적인 촉감이 우수함과 아울러 제품의 미려함을 높이며, 사용 안전성 및 유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한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유방 보형물은 질병 및 사고로 인한 유방 결손에 대한 재건과 미용 및 기형으로 인한 성형을 목적으로 하며, 입체적, 해부학적으로는 기관 또는 조직의 대체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인공유방 보형물들은 장기 이식이 가능한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주머니(이하 "쉘"이라 칭한다.) 내부에 충진물로써 식염수(Saline), 하이드로젤(Hydro-gel), 실리콘 젤(Silicone gel)이 채워진 형태의 제품, 모양에 따라서 둥근 형태(Round type)와 물방울 형태(Anatomical type) 제품, 표면 상태에 따라서 매끄러운 형태(Smooth type)와 거친 형태(Texture type)의 제품이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다음의 설명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식염수 인공유방 보형물(Saline breast prosthesis)은 실리콘(Polydimethylsiloxane 또는 polydiphenylsiloxane과 같은 polyorganosiloxane 으로 구성됨) 쉘 내부에 식염수가 주입된 형태 또는 주입할 수 있는 형태의 인공 유방 보형물로써 구조적으로 실리콘 쉘과 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식염수 인공 유방 보형물은 멸균된 식염수를 충진물로 이용하므로 파열 후 충진물의 체내 누출에 대한 안전성 보장과 식염수 충진량의 조절로 유방의 부피 변화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시술 후 감촉이 다른 인공 유방 보형물에 비하여 현저히 떨어지고 쉘의 내구성이 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하이드로젤 인공 유방 보형물(Hydrogel-filled breast prosthesis)은 식염수 인공 유방 보형물과 같은 쉘 내부에 단당류와 다당류로 구성된 하이드로젤이 충진된 형태의 보형물로써, 파열로 인한 충진물의 체내 유출 시, 충진물이 인체에 흡수, 배설이 가능하다는 원리에서 개발된 제품이다.
그러나 하이드로젤 인공 유방 보형물은 장기간 사용에 대한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았으며, 삽입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부피 변화가 크고 주름 발생 가능성이 크며, 실리콘 인공 유방 보형물에 비하여 느낌이 부자연스러운 단점이 있으며, 현재, 이와 같은 하이드로젤 인공 유방 보형물은 2000년도를 기준으로 안전성의 입증 문제로 인하여 시장에서 완전히 유통되고 있지 않다.
실리콘 젤 인공 유방 보형물(Silicone gel-filled breast prosthesis)은 쉘 내부에 적당한 점도의 실리콘 젤이 충진된 형태로써, 제품의 내구성 및 감촉이 식염수 인공 유방 보형물에 비하여 매우 우수하며, 이와 같은 장점으로 인하여 시장에서의 인공 유방 보형물의 판매는 실리콘 인공 유방 보형물의 판매가 지배적인 위치에 있다. 실리콘 젤 인공 유방 보형물의 경우, 그 안전성의 입증 문제로 인하여 미국 식약청(FDA)에서는 사용에 제한을 두고 있었으나, 2006년도 다시금 공식적으로 사용이 허락되었다.
실리콘 인공 유방 보형물의 개발 역사는 1세대형 보형물, 2세대형 보형물, 3세대형 보형물로 개발되어 왔으며, 상세하게는 다음의 설명과 같다.
1세대형 실리콘 인공 유방 보형물은 196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판매된 제품으로써 1961년도에 Cronin과 Gerow에 의하여 처음 개발되었으며, 두꺼운 쉘, 매끄러운 표면 타입, 높은 점도의 실리콘 젤 사용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 보형물은 젤 유출(Gel bleed) 및 구형구축(Capsular contracture)을 유발시켰지만, 두꺼운 쉘의 사용으로 인하여 파열속도는 낮은 편이었다.
2세대형 실리콘 인공 유방 보형물은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판매된 제품으로써 보다 부드러운 감촉을 위하여 얇은 쉘과 낮은 점도의 실리콘 젤 충진물을 사용하였다. 이 보형물은 1세대형 보형물에 비교하여 비슷한 젤 유출량, 높은 파열율, 낮은 구형구축 발생율이 특징이다.
3세대형 실리콘 인공 유방 보형물은 1980년대 중반부터 현재까지 판매되고 있는 제품으로써, 젤 유출을 차단하기 위하여 젤 유출 차단층(Barrier layer)을 사용하였으며, 2세대와 비교하여 두꺼운 쉘, 높은 점도의 실리콘 젤이 사용된 형태이다. 또한, 구형구축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거친 표면의 제품(Texture type)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인공유방 보형물은 모두 쉘과 접합부위(이하 "패치"라 칭한다.), 그리고 충진물로 구성된다.
쉘의 경우 대부분이 담금 방법을 통하여 제조되어 내구력(특히, 피로에 의한 파열)에 한계점을 가지게 된다. 기본적으로 담금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쉘은 중력으로 인하여 두께상의 편차가 발생하며, 이러한 두께 편차는 응력에 의한 상대적 취약 부위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접합부위(패치)의 가공은 접합에 사용되는 패치(덧대는 접합재료)와 접합재가 사용되는데, 기존의 인공유방의 제조에 있어서는 접합부위에 접합재료로 사용되는 패치는 쉘과 동일한 두께 및 동일한 물성을 나타내는 재료를 사용한다.
왜냐하면, 패치는 패치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패치 내부에 저분자 실리콘의 유출 방지층을 포함하는 다중 패치로 제조되어야 하나, 쉘의 두께보다 얇은 다중 박막의 패치 제조는 상업적으로 매우 힘들기 때문이다.
즉,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쉘(5, 7)의 두께(평균 두께 500~800um)와 동일한 두께의 패치(6)를 사용하므로 접합 부위(8a, 8b)가 매우 두꺼워지고 접합 부위의 신장 특성이 거의 사라지게 되며, 쉘과 접합부위의 경계점 부위의 물성 차이로 인하여 응력집중현상이 발생되어 피로에 대한 내구성에 문제점을 갖게 되며, 이로 인하여 임상 결과에서도 인공유방 보형물의 패치 주위의 파열은 매우 발생 빈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쉘 내부에 충진물질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주사장치를 통한 바늘을 찔러 충진물질을 주입하고, 충진물질의 주입을 완료한 후에는 바늘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바늘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미세한 크기의 구멍이 생성되는데, 기존에는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진물질을 주입한 후 생성된 구멍(3)으로부터 충진물질이 새어나오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패치(6)의 하부에서 구멍(3)이 형성된 위치에 실리콘 패치(4)의 방울을 떨어트려 막아줌으로 충진물질이 유출됨을 방지하거나,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링 형상을 갖는 테두리(9)를 구비하고 중앙홀에 바늘을 꽂아 충진물질이 주입가능한 상태를 이루며 주입한 후에는 중앙홀로 실리콘 패치(4)를 채워 쉘 내부로 주입된 충진물질을 외부로부터 폐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구멍을 막아주는 실리콘 패치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실리콘 패치가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미관상 지저분하고, 외부와 마찰이 있는 때 쉽게 탈리되어 떨어지므로 쉘 내부에 충진된 충진물질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어 제품의 품질 및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균일한 두께의 실리콘 쉘 및 2중 패치 접합구조를 이루는 접합부위로 구성하고 접합부위가 실리콘 쉘과는 두께가 상이한 두께 편차를 이루나 동일 또는 유사한 물성(신장특성, 강도, 탄성 등)을 나타낼 수 있음에 따라 실리콘 쉘과 접합부위의 경계점 부위에 나타나는 물성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응력집중현상을 최소화하여 피로파열에 대한 저항력을 극대화하므로 인공유방 보형물의 최대 부작용인 파열(Rupture)에 대한 파열율을 대폭 낮춰 사용 안전성 및 유효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실리콘 쉘의 두께가 전반적으로 동일함과 함께 접합부위의 두께가 얇게 구성되어 보형물의 전체적인 촉감이 매우 우수하고, 충진물질의 주입에 따라 접합부위에 생성되는 미세한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원활하게 마감처리하므로 제품의 품질 및 미려함을 높임과 아울러 마감처리된 부분이 떨어질 우려가 없어 사용 안전성 및 유효성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은 외벽을 이루는 실리콘 쉘 및 상기 실리콘 쉘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 구멍을 외부로부터 폐쇄하는 접합부위로 구성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쉘의 하단부에 위치한 상기 접합부위의 구조가 저분자 실리콘의 유출 방지층이 구비된 두께가 얇은 다중 박막형 패치 및 물성보완용 패치를 접합재로 접합하여 2중 패치 접합구조를 이루고, 상기 2중 패치 접합구조는 상기 실리콘 쉘로부터 동일 또는 유사한 신장특성(탄성) 및 물성을 나타내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는 저분자량의 실리콘 오일 분자(충진물질)가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통과하기 어려운 실리콘 탄성중합체(Silicone Elastomer)를 이루는 차단막이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의 실리콘 폴리머층 중 중간층에 적층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는 바늘을 찔러 충진물질을 주입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하부면 상의 중앙부분에 미세한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충진물주입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의 충진물주입홈에는 실리콘 쉘의 내부공간으로 충진물질을 주입한 후 바늘에 의해 생성된 미세한 구멍을 폐쇄하도록 상기 충진물주입홈을 매워 마감처리하므로 주입된 충진물질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게 방지하는 실링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2중 패치 접합구조는 접합경계점에 작용하는 응력이 좌우 신장력에 따라 작용하는 응력 및 구멍 커팅 단면 경사각(30°)방향 신장력에 따라 작용하는 응력이 동시에 작용하여 2축 방향으로 응력이 분산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의 제조방법은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리콘 쉘을 획득하기 위하여 유방 형상의 몰드를 실리콘 용액에 담그는 실리콘용액담금단계와; 실리콘 쉘을 획득하기 위하여 건조장치를 통해 상기 몰드에 부착된 상기 실리콘 쉘을 건조 및 경화시키는 건조및경화단계와; 상기 몰드에 부착된 상기 실리콘 쉘의 하단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몰드에서 상기 실리콘 쉘을 탈착하는 인공유방쉘획득단계와; 상기 실리콘 쉘의 구멍을 저분자 실리콘의 유출 방지층이 구비된 두께가 얇은 다중 박막형 패치 및 상기 실리콘 쉘과 접합부위의 두께 편차에도 불구하고 상기 실리콘 쉘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물성보완용 패치가 2중 패치 접합구조를 이루도록 접합재로 접합하는 패치접합단계와; 상기 실리콘 쉘의 내부공간으로 바늘을 통해 충진물질을 주입하게 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의 하부면 중앙부분에 오목하게 충진물주입홈을 형성하는 주입홈가공단계와; 상기 패치접합이 완성된 후 상기 충진물주입홈이 형성된 상기 실리콘 쉘의 내부공간에 충진물질을 주사하여 충진하는 충진단계와; 상기 충진물질을 충진함으로 생성되는 주사바늘에 의한 미세한 구멍으로부터 충진된 충진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충진물주입홈을 실링재로 매우는 마감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균일한 두께의 실리콘 쉘에 2중 패치 접합구조의 접합부위로 구성하고 서로 간에는 상이한 두께 편차를 이루지만 물성은 동일 또는 유사함에 따라 실리콘 쉘과 접합부위의 경계부분에서 물성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응력집중현상을 방지하여 인공유방 보형물의 최대 부작용인 피로파열에 대한 저항력을 극대화하면서 파열율을 대폭 낮춤으로 제품의 사용 안전성 및 유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은 2중 패치 접합구조를 이루는 접합부위로 인해 2축 방향으로 응력을 분산시키는 구조를 이룸에 따라 응력에 대한 파단점을 제거하여 인열강도가 약한 실리콘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접합 구조이며, 30°이하의 경사각을 이용한 접합 구조로 접합부위의 단면적을 크게 하여 접합력을 상승시키므로 패치 접합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은 실리콘 쉘이 전반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이룸과 동시에 접합부위의 두께가 얇게 구성되어 보형물의 전체적인 촉감이 매우 우수하고, 실리콘 쉘의 내부로 충진물질을 주입하게 되면 접합부위에는 미세한 구멍이 생성되는데 이런 미세한 구멍을 외부 상으로 노출됨이 없이 원활하게 마감처리하여 제품의 품질 및 미려함을 높이며, 마감처리된 부분이 떨어질 우려가 없어 사용 안전성 및 유효성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인공유방 보형물의 실리콘 쉘 및 접합부위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종래 인공유방 보형물의 실리콘 쉘 및 실리콘 막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의 (a),(b)는 각각 종래 보형물 접합부위의 마감처리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유방 보형물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합부위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6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 접합부위에 따른 충진물주입홈의 실링재 마감처리 전,후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유방 보형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의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은 외벽을 이루는 실리콘 쉘 및 상기 실리콘 쉘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 구멍을 외부로부터 폐쇄하는 접합부위로 구성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쉘의 하단부에 위치한 상기 접합부위의 구조가 저분자 실리콘의 유출 방지층이 구비된 두께가 얇은 다중 박막형 패치 및 물성보완용 패치를 접합재로 접합하여 2중 패치 접합구조를 이루고, 상기 2중 패치 접합구조는 상기 실리콘 쉘로부터 동일 또는 유사한 신장특성(탄성) 및 물성을 나타내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는 두께가 100㎛ 이하이며,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는 두께가 300~700㎛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는 저분자량의 실리콘 오일 분자(충진물질)가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통과하기 어려운 실리콘 탄성중합체(Silicone Elastomer)를 이루는 차단막이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의 실리콘 폴리머층 중 중간층에 적층되어 있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막은 두께가 10~80㎛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막은 메틸 3,3,3-trifluoropropylpolysiloxane과 디메틸폴리실록산이 중합된 실리콘 탄성중합체(Silicone Elastomer)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는 바늘을 찔러 충진물질을 주입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하부면 상의 중앙부분에 미세한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충진물주입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진물주입홈은 깊이가 50~150㎛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의 충진물주입홈에는 실리콘 쉘의 내부공간으로 충진물질을 주입한 후 바늘에 의해 생성된 미세한 구멍을 폐쇄하도록 상기 충진물주입홈을 매워 마감처리하므로 주입된 충진물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게 방지하는 실링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는 상기 실리콘 쉘에 사용된 실리콘 재료의 물성에 비하여 연질의 것을 사용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 및 물성보완용 패치는 실리카 필러 함량을 조절하여 상기 실리콘 쉘과 상기 접합부위의 두께 편차에도 불구하고 상기 실리콘 쉘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성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 및 물성보완용 패치는 각각 실리콘 재료의 비닐기, 페닐기, 플루오르기의 성분량을 조절하여 상기 실리콘 쉘과 상기 접합부위의 두께 편차에도 불구하고 상기 실리콘 쉘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성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 및 물성보완용 패치는 각각 실리콘 재료의 중합도를 조절하여 상기 실리콘 쉘과 상기 접합부위의 두께 편차에도 불구하고 상기 실리콘 쉘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성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합재는 검(Gum)타입의 실리콘 접합재 또는 액상타입의 실리콘(LSR : Liquid Silicone Rubber) 접합재를 사용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중 패치 접합구조는 접합경계점에 작용하는 응력이 좌우 신장력에 따라 작용하는 응력 및 구멍 커팅단면 경사각(30°)방향 신장력에 따라 작용하는 응력이 동시에 작용하여 2축 방향으로 응력이 분산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의 제조방법은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리콘 쉘을 획득하기 위하여 유방 형상의 몰드를 실리콘 용액에 담그는 실리콘용액담금단계와; 실리콘 실리콘 쉘을 획득하기 위하여 건조장치를 통해 상기 몰드에 부착된 상기 실리콘 쉘을 건조 및 경화시키는 건조및경화단계와; 상기 몰드에 부착된 상기 실리콘 쉘의 하단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몰드에서 상기 실리콘 쉘을 탈착하는 인공유방쉘획득단계와; 상기 실리콘 쉘의 구멍을 저분자 실리콘의 유출 방지층이 구비된 두께가 얇은 다중 박막형 패치 및 상기 실리콘 쉘과 접합부위의 두께 편차에도 불구하고 상기 실리콘 쉘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물성보완용 패치가 2중 패치 접합구조를 이루도록 접합재로 접합하는 패치접합단계와; 상기 실리콘 쉘의 내부공간으로 바늘을 통해 충진물질을 주입하게 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의 하부면 중앙부분에 오목하게 충진물주입홈을 형성하는 주입홈가공단계와; 상기 패치접합이 완성된 후 상기 충진물주입홈이 형성된 상기 실리콘 쉘의 내부공간에 충진물질을 주사하여 충진하는 충진단계와; 상기 충진물질을 충진함으로 생성되는 주사바늘에 의한 미세한 구멍으로부터 충진된 충진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충진물주입홈을 실링재로 매우는 마감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공유방쉘획득단계에는 상기 몰드에서 상기 실리콘 쉘을 탈착하기 위해서 상기 몰드에 부착된 상기 실리콘 쉘의 하단부에 구멍을 형성할 때, 구멍의 경사각을 30°이하로 형성하도록 제조하는 것을 기술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홈가공단계에서는 상기 충진물주입홈의 형상대로 성형부가 돌출된 성형판에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의 하부면 중앙부분을 찍으므로 상기 충진물주입홈이 형성되도록 압축성형하는 것을 기술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홈가공단계에서는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의 하부 중앙부분에 고밀도의 열원인 레이저광선을 조사하여 미세한 크기의 상기 충진물주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레이저가공하는 것을 기술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홈가공단계에서는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의 하부 중앙부분 표면상에 상기 충진물주입홈을 오목하게 새겨 형성토록 레이저샌딩하는 것을 기술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보통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고, 도면에서 나타내는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의 일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벽을 이루는 실리콘 쉘(10) 및 상기 실리콘 쉘(10)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 구멍을 외부로부터 폐쇄하는 접합부위(20)로 구성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I)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위(20)는 2중 패치 접합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리콘 쉘(10)에 구멍을 형성함에는 상기 실리콘 쉘(10)을 형성토록 하는 제조과정에서 몰드(도면에 미도시)를 이용하여 형상화하는데, 상기 실리콘 쉘(10)을 형성한 후에는 상기 실리콘 쉘(10)로부터 몰드를 꺼내기 위해 하부면 상에 구멍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실리콘 쉘(10)의 내부로 충진물질을 주입할 수 있는 구조로서 외부로부터 구멍을 폐쇄하도록 접합부위(2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접합부위(20)가 2중 패치 접합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 접합부위(20)의 2중 패치 접합구조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중 박막형 패치(21) 및 물성보완용 패치(26)로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2중 패치 접합구조는 저분자 실리콘의 유출 방지층이 구비된 두께가 얇은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21) 및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26)를 접합재로 접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2중 패치 접합구조를 이룬 상기 접합부위(20)는 상기 실리콘 쉘(10)로부터 동일 또는 유사한 신장특성(탄성) 및 물성을 나타내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재질을 사용한다.
근본적으로 유기실록산 고분자(Polyorganosiloxane)의 주쇄가 실란(silane)이며, 실란(silane) 주쇄에 메틸기(methyl group)와 같은 유기기(Organo group)가 붙은 형태의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주쇄에 메틸기가 붙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의 단량체(Monomer)인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의 메틸기는 알킬(Alkyl group)기, 페닐(Phenyl group)기, 비닐(Vivyl group)기 등과 같은 유기기(Organo group)로 치환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은 메틸하이드로젠실록산(Methyl hydrogen siloxane), 메틸페닐실록산(Methyl phenyl siloxane), 디페닐실록산(Diphenyl siloxane), 디메틸비닐실록산(Dimethyl vivyl siloxane), 트리플루오르프로필실록산(Tri-fluoro propyl siloxane)등으로 치환되어 이들 단량체가 중합된 고분자(Polymer)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의 단량체(Monomer)들로 이루어진 올리고머(Oligomer)를 이용한 공중합체도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는 실리콘 고분자의 분자적 배향성, 밀집성이 높고, 고분자간의 결합력이 높아 그 구조적으로 안정한 실리콘 고분자를 사용한 것으로써, 저분자량의 실리콘 오일 분자(충진물질)가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통과하기 어려운 실리콘 탄성중합체(Silicone Elastomer)를 이루는 차단막(23)이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의 실리콘 폴리머층 중 중간층에 적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단막(23)의 두께는 차단효과를 위하여 다양하게 조절이 가능하나, 안전성 및 효율성을 고려하여 두께는 10~8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21)의 재료를 디페닐폴리실록산과 디메틸폴리실록산이 중합된 폴리머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21)의 중간층에 적층되는 차단막(23)은 메틸 3,3,3-trifluoropropylpolysiloxane과 디메틸폴리실록산이 중합된 실리콘 탄성중합체(Silicone Elastomer)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21)는 두께가 100㎛ 이하이며,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26)는 300~700㎛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26)는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26) 하부면 상의 중앙부분에 미세한 깊이만큼이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는 충진물주입홈(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충진물주입홈(28)은 상기 접합부위(20)를 거쳐 상기 실리콘 쉘(10)의 내부공간에 충진물질을 주입할 때 사용되는 주사장비의 바늘을 찌를 수 있는 공간으로서,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26)의 하부면 상에 50~150㎛의 깊이로 오목하게 들어간 음각형태를 형성된다.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26)에 형성된 상기 충진물주입홈(28)에는 충진물질을 주입한 후에 새어나오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실링재(2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실링재(29)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리콘 쉘(10)의 내부공간으로 충진물질을 주입한 후 바늘에 의해 생성된 미세한 구멍을 폐쇄하도록 상기 충진물주입홈(28)을 매워 마감처리하므로 주입된 충진물질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리콘 쉘과 상기 접합부위의 두께 편차에도 불구하고 동일 또는 유사한 물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사용되는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26)는 본 발명에서 언급한 실리콘폴리머 재료가 사용되지만,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21) 또는 상기 실리콘 쉘(10)과는 다른 물성의 실리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21)와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26)가 접합재로 접합 된 2중 패치 접합구조체의 물성이 상기 실리콘 쉘(10)의 물성과 동일하게끔 만들기 위함이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21)의 두께로 인하여 상기 실리콘 쉘(10)보다 다소 두꺼워진 2중 패치 접합 구조체의 물성이 상기 실리콘 쉘(10)과 같게 만들기 위해서는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26)의 재질은 상기 실리콘 쉘(10)에 사용된 실리콘 재료의 물성에 비하여 다소 연질의 것이 사용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21) 및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26) 그리고 상기 실리콘 쉘(10)의 제조에 사용된 실리콘 원재료에 있어서, 각기 다른 함량의 실리카필러를 포함한 실리콘 원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리콘 쉘(10)과 상기 접합부위(20)의 두께에 따른 실리콘 원재료의 실리카 필러 함량을 조절하여 상기 실리콘 쉘(10)과 상기 접합부위(20)의 두께 편차에도 불구하고 상기 실리콘 쉘(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성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동일한 이유로,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21) 및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26) 그리고 상기 실리콘 쉘(10)의 제조에 사용된 실리콘 원재료에 있어서, 각각 실리콘 재료의 비닐기, 페닐기, 플루오르기등의 기능기 성분량의 조절에 의해서도 상기 실리콘 쉘(10)과 상기 접합부위(20)의 동일 물성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마찬가지로 실리콘 재료의 중합도의 조절을 통하여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리콘 쉘(10)과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21)의 재료가 실리카의 함량이 모두 25~30%인 디페닐폴리실록산과 디메틸폴리실록산이 중합된 폴리머가 사용될 경우,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26)의 재료는 상기 접합부위(20)의 두께 설정을 감안하여 실리카의 함량이 모두 5~20%인 디페닐폴리실록산과 디메틸폴리실록산이 중합된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21)와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26) 및 상기 실리콘 쉘(10)과의 접합에 사용되는 접합재는 본 발명에서 언급한 실리콘 원재료 중에서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형태로는 검(Gum)타입의 실리콘, 액상타입의 실리콘(LSR : Liquid Silicone Rubber)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21) 및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26)의 2중 패치 접합구조에 작용하는 응력을 살펴보면, 도 4 및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합경계점(30)의 응력은 좌우 신장력에 따라 작용하는 응력과 구멍 커팅 단면 경사각(30°) 방향 신장력에 따라 작용하는 응력이 동시에 작용하여 2축 방향으로 응력이 분산되고 상기 실리콘 쉘(10)의 신장특성과 동일하게 되므로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21) 및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26)의 2중 패치 접합구조는 일체의 상기 실리콘 쉘(10)로 구성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I)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리콘용액담금단계(100)와, 건조및경화단계(200)와, 인공유방쉘획득단계(300)와, 패치접합단계(400)와, 주입홈가공단계(500)와, 충진단계(600)와, 마감처리단계(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리콘용액담금단계(100)에서는 최초 인공유방의 실리콘 쉘(10)을 획득하기 위하여 유방형상의 몰드를 실리콘 용액이 담긴 용기 내로 담궈 몰드의 전체적인 표면상에 실리콘 용액이 묻도록 한다.
상기 건조및경화단계(200)에서는 상기 실리콘 용액에 담겨진 몰드를 건조 및 경화하여 인공유방 보형물(I)을 이루는 상기 실리콘 쉘(10)을 획득하게 된다. 즉, 상기 실리콘 쉘(10)을 획득하기 위하여 건조장치의 내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몰드에 부착된 상기 실리콘 쉘(10)을 건조 및 경화시키게 된다.
상기 인공유방쉘획득단계(300)에서는 상기 몰드에 부착된 상기 실리콘 쉘(10)의 하단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몰드에서 상기 실리콘 쉘(10)을 탈착한다. 이때, 상기 몰드에서 상기 실리콘 쉘(10)을 탈착하기 위해서 상기 몰드에 부착된 상기 실리콘 쉘(10)의 하단부에 구멍을 형성할 때, 구멍의 경사각을 30°이하로 형성하므로 접합면적의 증가 및 응력에 대한 내구성 증대 그리고 접합면이 보이지 않음으로 인하여 미관적 수려함을 가지게 된다.
상기 패치접합단계(400)에서는 상기 실리콘 쉘(10)의 구멍을 저분자 실리콘의 유출 방지층이 구비된 두께가 얇은 다중 박막형 패치(21) 및 상기 실리콘 쉘(10)과 상기 접합부위(20)의 두께 편차에도 불구하고 상기 실리콘 쉘(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물성보완용 패치(26)가 2중 패치 접합구조를 이루도록 접합재로 접합하게 된다.
상기 실리콘 쉘(10)의 구멍에 상기 접합부위(20)를 형성할 때, 2중 패치 접합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프레스 등과 같은 실리콘 본딩 장치를 이용하게 되는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식으로 부착할 경우에는 접합면(8a)(8b)는 접합 강도가 단축방향으로만 유지되는데, 본 발명의 접합방식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접합면(50a),(50b)이 접합 강도를 동시에 유지하게 되므로 종래 방식의 단축 방향이 아닌 2축 방향에 대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2축 방향이라 함은 수평방향과 경사각(30°) 방향을 의미하며, 실제로 보형물이 받게 되는 응력에 가장 높은 내구력을 가질 수 있는 방향이기도 하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접합구조는 접합부위(6)의 두께가 1,000 ~ 2,000㎛이며, 실리콘 쉘(5)과 접합부위의 물성차이가 현저하여 실리콘 쉘(5)과 접합부위(6) 경계에 많은 응력이 집중되므로 피로에 대한 취약 부위가 될 수밖에 없었으나,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합구조는 두께가 100㎛ 이하인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21)를 사용하므로 인하여 상기 실리콘 쉘(10)과의 두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21)와 두께가 300~700㎛인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를 접합재로 2중 패치 접합구조하여 인공유방 실리콘 쉘(10)의 물성과 최대한 동일하게 하도록 한 본 발명의 접합구조는 응력에 매우 강한 구조가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상기 접합부위(20)의 두께는 얇지만 오히려 강한 접합 강도와 더불어 응력에 강하므로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리콘 본딩 장치의 구성 및 동작 원리는 당업자들이라면 쉽게 이해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주입홈가공단계(500)에서는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26)의 하부면 중앙부분에 상기 실리콘 쉘(10)의 내부공간으로 바늘을 통해 충진물질을 주입하게 되는 공간인 충진물주입홈(28)을 오목한 음각형태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 주입홈가공단계(500)에서 상기 충진물주입홈(28)을 형성함에는 상기 충진물주입홈(28)의 형상대로 성형부가 양각을 이루며 돌출된 성형판(도면에 미도시)에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26)의 하부면 중앙부분을 찍으므로 상기 충진물주입홈(28)이 형성되도록 압축성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주입홈가공단계(500)에서 상기 충진물주입홈(28)을 형성함에는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26)의 하부 중앙부분에 고밀도의 열원인 레이저광선을 조사하여 미세한 크기의 상기 충진물주입홈(28)이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레이저가공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26)의 하부 중앙부분 표면상에 상기 충진물주입홈(28)을 오목하게 새겨 형성토록 레이저샌딩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충진단계(600)에서는 상기 접합부위(20)가 2중 패치 접합구조로 완성된 후 상기 충진물주입홈(28)이 형성된 상기 실리콘 쉘(10)의 내부공간에 충진물질을 주사하여 충진하게 된다.
상기 마감처리단계(700)에서는 상기 충진물질을 충진함으로 생성되는 주사바늘에 의한 미세한 구멍으로부터 충진된 충진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충진물주입홈을 실링재로 매우도록 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균일한 두께의 실리콘 쉘에 2중 패치 접합구조의 접합부위로 구성하고 서로 간에는 상이한 두께 편차를 이루지만 물성은 동일 또는 유사함에 따라 실리콘 쉘과 접합부위의 경계부분에서 물성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응력집중현상을 방지하여 인공유방 보형물의 최대 부작용인 피로파열에 대한 저항력을 극대화하면서 파열율을 대폭 낮춤으로 제품의 사용 안전성 및 유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2중 패치 접합구조를 이루는 접합부위로 인해 2축 방향으로 응력을 분산시키는 구조를 이룸에 따라 응력에 대한 파단점을 제거하여 인열강도가 약한 실리콘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접합 구조이며, 30°이하의 경사각을 이용한 접합 구조로 접합부위의 단면적을 크게 하여 접합력을 상승시키므로 패치 접합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실리콘 쉘이 전반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이룸과 동시에 접합부위의 두께가 얇게 구성되어 보형물의 전체적인 촉감이 매우 우수하고, 실리콘 쉘의 내부로 충진물질을 주입하게 되면 접합부위에는 미세한 구멍이 생성되는데 이런 미세한 구멍을 외부 상으로 노출됨이 없이 원활하게 마감처리하여 제품의 품질 및 미려함을 높이며, 마감처리된 부분이 떨어질 우려가 없어 사용 안전성 및 유효성을 더욱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실리콘 쉘 20 : 접합부위 21 : 다중 박막형 패치
23 : 차단막 26 : 물성보완용 패치 28 : 충진물주입홈
29 : 실링재 30 : 접합경계점 50a,50b : 접합면
I : 인공유방 보형물

Claims (19)

  1. 외벽을 이루는 실리콘 쉘 및 상기 실리콘 쉘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 구멍을 외부로부터 폐쇄하는 접합부위로 구성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쉘의 하단부에 위치한 상기 접합부위의 구조가 저분자 실리콘의 유출 방지층이 구비된 두께가 얇은 다중 박막형 패치 및 물성보완용 패치를 접합재로 접합하여 2중 패치 접합구조를 이루고, 상기 2중 패치 접합구조는 상기 실리콘 쉘로부터 동일 또는 유사한 신장특성(탄성) 및 물성을 나타내며,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는 두께가 300~7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는, 저분자량의 실리콘 오일 분자(충진물질)가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통과하기 어려운 실리콘 탄성중합체(Silicone Elastomer)를 이루는 차단막이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의 실리콘 폴리머층 중 중간층에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두께가 1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메틸 3,3,3-trifluoropropylpolysiloxane과 디메틸폴리실록산이 중합된 실리콘 탄성중합체(Silicone Elastomer)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는, 바늘을 찔러 충진물질을 주입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하부면 상의 중앙부분에 미세한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충진물주입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물주입홈은, 깊이가 5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의 충진물주입홈에는, 실리콘 쉘의 내부공간으로 충진물질을 주입한 후 바늘에 의해 생성된 미세한 구멍을 폐쇄하도록 상기 충진물주입홈을 매워 마감처리하므로 주입된 충진물질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게 방지하는 실링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는, 상기 실리콘 쉘에 사용된 실리콘 재료의 물성에 비하여 연질의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 및 물성보완용 패치는, 실리카 필러 함량을 조절하여 상기 실리콘 쉘과 상기 접합부위의 두께 편차에도 불구하고 상기 실리콘 쉘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성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 및 물성보완용 패치는, 각각 실리콘 재료의 비닐기, 페닐기, 플루오르기의 성분량을 조절하여 상기 실리콘 쉘과 상기 접합부위의 두께 편차에도 불구하고 상기 실리콘 쉘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성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박막형 패치 및 물성보완용 패치는, 각각 실리콘 재료의 중합도를 조절하여 상기 실리콘 쉘과 상기 접합부위의 두께 편차에도 불구하고 상기 실리콘 쉘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성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재는, 검(Gum)타입의 실리콘 접합재 또는 액상타입의 실리콘(LSR : Liquid Silicone Rubber) 접합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14. 제1항, 제3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중 패치 접합구조는, 접합경계점에 작용하는 응력이 좌우 신장력에 따라 작용하는 응력 및 구멍 커팅 단면 경사각(30°)방향 신장력에 따라 작용하는 응력이 동시에 작용하여 2축 방향으로 응력이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15.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리콘 쉘을 획득하기 위하여 유방 형상의 몰드를 실리콘 용액에 담그는 실리콘용액담금단계와;
    실리콘 쉘을 획득하기 위하여 건조장치를 통해 상기 몰드에 부착된 상기 실리콘 쉘을 건조 및 경화시키는 건조및경화단계와;
    상기 몰드에 부착된 상기 실리콘 쉘의 하단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몰드에서 상기 실리콘 쉘을 탈착하는 인공유방쉘획득단계와;
    상기 실리콘 쉘의 구멍을 저분자 실리콘의 유출 방지층이 구비된 두께가 얇은 다중 박막형 패치 및 상기 실리콘 쉘과 접합부위의 두께 편차에도 불구하고 상기 실리콘 쉘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물성보완용 패치가 2중 패치 접합구조를 이루도록 접합재로 접합하는 패치접합단계와;
    상기 실리콘 쉘의 내부공간으로 바늘을 통해 충진물질을 주입하게 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의 하부면 중앙부분에 오목하게 충진물주입홈을 형성하는 주입홈가공단계와;
    상기 패치접합이 완성된 후 상기 충진물주입홈이 형성된 상기 실리콘 쉘의 내부공간에 충진물질을 주사하여 충진하는 충진단계와;
    상기 충진물질을 충진함으로 생성되는 주사바늘에 의한 미세한 구멍으로부터 충진된 충진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충진물주입홈을 실링재로 매우는 마감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유방쉘획득단계에는, 상기 몰드에서 상기 실리콘 쉘을 탈착하기 위해서 상기 몰드에 부착된 상기 실리콘 쉘의 하단부에 구멍을 형성할 때, 구멍의 경사각을 30°로 형성하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의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홈가공단계에서는, 상기 충진물주입홈의 형상대로 성형부가 돌출된 성형판에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의 하부면 중앙부분을 찍으므로 상기 충진물주입홈이 형성되도록 압축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의 제조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홈가공단계에서는,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의 하부 중앙부분에 고밀도의 열원인 레이저광선을 조사하여 미세한 크기의 상기 충진물주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레이저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의 제조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홈가공단계에서는, 상기 물성보완용 패치의 하부 중앙부분 표면상에 상기 충진물주입홈을 오목하게 새겨 형성토록 레이저샌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의 제조방법.
KR1020100090123A 2009-10-16 2010-09-14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35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8596 2009-10-16
KR1020090098596 2009-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990A KR20110041990A (ko) 2011-04-22
KR101235282B1 true KR101235282B1 (ko) 2013-02-21

Family

ID=43876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123A KR101235282B1 (ko) 2009-10-16 2010-09-14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80736B2 (ko)
EP (1) EP2489330A4 (ko)
JP (1) JP5502206B2 (ko)
KR (1) KR101235282B1 (ko)
CN (1) CN102711665B (ko)
BR (1) BR112012008774A2 (ko)
MX (1) MX2012004301A (ko)
WO (1) WO20110462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598A (ko) * 2019-11-29 2021-06-08 서울대학교병원 금속-유기 골격체를 포함하는 체내 삽입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1968A1 (en) * 2001-09-28 2005-06-29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U2009241578B2 (en) * 2008-04-28 2014-01-23 Allergan, Inc. Flush patch for elastomeric implant shell
US8377128B2 (en) * 2008-04-28 2013-02-19 Allergan, Inc. Flush patch for elastomeric implant shell
CA2734256C (en) 2008-08-20 2017-04-18 David J. Schuessler Self-sealing shell for inflatable prostheses
NZ601664A (en) 2010-02-05 2014-08-29 Allergan Inc Inflatable prosthes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1235284B1 (ko) * 2011-06-23 2013-02-21 유원석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276985B (zh) * 2011-07-07 2012-12-12 上海康宁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乳房产品的外囊浇制方法
CN103223191B (zh) * 2013-04-28 2015-02-04 苏州美山子制衣有限公司 一种用于制作义乳的硅凝胶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9486309B2 (en) 2014-04-25 2016-11-08 Allergan, Inc. Lighter weight implant
WO2020056369A1 (en) 2018-09-13 2020-03-19 Allergan, Inc. Tissue expansion device
USD896383S1 (en) 2018-09-13 2020-09-15 Allergan, Inc. Tissue expansion device
KR102648310B1 (ko) * 2021-02-18 2024-03-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측면 안정성이 우수한 인공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JP6952209B1 (ja) * 2021-02-21 2021-10-20 キム ジェホンKim, Jae Hong 豊胸用インプラントバッグ及び豊胸用インプラントバッグの異常感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0844A (en) * 1995-06-07 1997-05-20 Novamed Medical Products Manufacturing, Inc. Biocompatible hydrophobic laminate with thermoplastic elastomer layer
US6074421A (en) * 1997-04-05 2000-06-13 Medisyn Technology, Ltd. Seamless breast prosthesis
US6605116B2 (en) * 2001-04-03 2003-08-12 Mentor Corporation Reinforced radius mammary prostheses and soft tissue expander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4000A (ko) * 1973-07-30 1975-04-02
US4428364A (en) * 1979-04-11 1984-01-31 Dow Corning Corporation Self-sealing injection butto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455691A (en) * 1979-10-03 1984-06-2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ilicone gel filled prosthesis
US5026394A (en) * 1989-01-10 1991-06-25 Baker James L Mammary implant
US5066303A (en) * 1989-08-07 1991-11-19 Medical Engineering Corporation Self-sealing tissue expander and method
US6162251A (en) * 1999-05-25 2000-12-19 Novamed Medical Products Manufacturing, Inc. Saline implant having single valve with primary and secondary closures
US6602452B2 (en) * 2001-07-18 2003-08-05 Mcghan Medical Corporation Rotational molding of medical articles
CN2726559Y (zh) * 2004-08-03 2005-09-21 上海东月医疗保健用品有限公司 一种防渗漏型乳房假体
CN2810525Y (zh) * 2005-08-15 2006-08-30 上海康宁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边缘无接缝的乳房假体
ES2622833T3 (es) * 2007-07-27 2017-07-07 Allergan, Inc. Prótesis mamarias rellenas de gel elastomérico de barrera total
AU2009241578B2 (en) * 2008-04-28 2014-01-23 Allergan, Inc. Flush patch for elastomeric implant shell
US8377128B2 (en) * 2008-04-28 2013-02-19 Allergan, Inc. Flush patch for elastomeric implant shell
CA2734256C (en) * 2008-08-20 2017-04-18 David J. Schuessler Self-sealing shell for inflatable prostheses
EP2361101A2 (en) * 2008-10-17 2011-08-31 Allergan, Inc. Prosthetic implant shell
EP3130313A1 (en) * 2008-10-17 2017-02-15 Allergan, Inc. Method of detecting ruptures in a prosthetic implant
US20110257743A1 (en) * 2008-11-11 2011-10-20 Allergan, Inc. Soft prosthetic implant manufacturing process
ES2537659T3 (es) * 2009-08-18 2015-06-10 Allergan, Inc. Implante protésico reforzado con cubierta flexi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0844A (en) * 1995-06-07 1997-05-20 Novamed Medical Products Manufacturing, Inc. Biocompatible hydrophobic laminate with thermoplastic elastomer layer
US6074421A (en) * 1997-04-05 2000-06-13 Medisyn Technology, Ltd. Seamless breast prosthesis
US6605116B2 (en) * 2001-04-03 2003-08-12 Mentor Corporation Reinforced radius mammary prostheses and soft tissue expand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598A (ko) * 2019-11-29 2021-06-08 서울대학교병원 금속-유기 골격체를 포함하는 체내 삽입물
KR102354224B1 (ko) * 2019-11-29 2022-01-21 서울대학교병원 금속-유기 골격체를 포함하는 체내 삽입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08774A2 (pt) 2020-08-18
KR20110041990A (ko) 2011-04-22
JP5502206B2 (ja) 2014-05-28
CN102711665B (zh) 2015-11-25
CN102711665A (zh) 2012-10-03
EP2489330A4 (en) 2015-10-07
EP2489330A1 (en) 2012-08-22
US20120197393A1 (en) 2012-08-02
MX2012004301A (es) 2012-06-01
WO2011046273A1 (ko) 2011-04-21
US8480736B2 (en) 2013-07-09
JP2013507167A (ja) 201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282B1 (ko)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35284B1 (ko)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EP2502602B1 (en) Artificial breast implant having a surface formed into a silicon open cell foam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5658330A (en) Molded silicone foam implant and method for making
US5141581A (en) Implants with a cover which resists formation of firm spherical encapsulation
RU2583888C9 (ru) Легкий материал грудного имплантата
AU2009282576B2 (en) Self-sealing shell for inflatable prostheses
AU2013359158A1 (en)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a variable surface breast implant
BR102012018848A2 (pt) Prótese implantável
US20190000608A1 (en) Implant with Elastomeric Membrane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US20170367809A1 (en) Human implantable tissue expanders
US20180360594A1 (en) Variable surface breast implant
WO1990000888A1 (en) Implants with a cover which resists formation of firm spherical encapsulation
KR20100130078A (ko) 2중 미세 기공 구조의 실리콘 스폰지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021668B1 (ko)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
KR101913195B1 (ko) 인체 주입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58961B1 (ko) 일체형의 방사형 실리콘 충진 셀 구조를 구비하는 인체 주입용 성형 보형물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80424B1 (ko) 다양한 물성의 실리콘 겔을 포함하는 유방 보형물
EP3849469A1 (en) Implant with elastomeric membrane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