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611B1 - 일회용 얼음컵 - Google Patents

일회용 얼음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611B1
KR101233611B1 KR1020120068860A KR20120068860A KR101233611B1 KR 101233611 B1 KR101233611 B1 KR 101233611B1 KR 1020120068860 A KR1020120068860 A KR 1020120068860A KR 20120068860 A KR20120068860 A KR 20120068860A KR 101233611 B1 KR101233611 B1 KR 101233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ice
outer cup
beverage
inn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류
Original Assignee
김석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류 filed Critical 김석류
Priority to KR1020120068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얼음컵은, 제1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 공간부를 제공하는 내부컵; 상기 내부컵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컵; 및 상기 내부컵과 상기 외부컵 사이에 제2 음료를 얼린 얼음이 수용되는 얼음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컵과 상기 외부컵을 고정 및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부재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외부컵 및 상기 내부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내부컵을 상기 외부컵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얼음 공간부의 상기 얼음을 상기 외부컵 내부로 제공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일회용 얼음컵{DISPOSABLE ICE CUP}
본 발명은 일회용 얼음컵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내부컵과 외부컵을 구비하는 일회용 얼음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음료 등을 마실 때는 컵에 음료 등을 담아서 섭취하게 된다. 얼음컵은 컵의 내벽 내부에 얼음을 넣어 음료 등을 시원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얼음컵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을 가공하거나 플라스틱을 사출하여 컵의 벽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이 내부 공간에 냉매를 위치시킨다. 이러한 얼음컵은 금속, 유리 등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컵처럼 두껍게 형성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된다.
국내 실용신안출원 제2003-0026324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이중 구조의 컵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얼음컵은 비교적 고가이며 무거워서 쉽게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컵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얼음은 음료 등을 냉각하는 데 사용될 뿐 사용자가 얼음을 먹을 수는 없다.
본 실시예는 휴대가 쉽고 음료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얼음을 함께 먹을 수 있는 일회용 얼음컵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얼음컵은, 제1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 공간부를 제공하는 내부컵; 상기 내부컵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컵; 및 상기 내부컵과 상기 외부컵 사이에 제2 음료를 얼린 얼음이 수용되는 얼음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컵과 상기 외부컵을 고정 및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부재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외부컵 및 상기 내부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내부컵을 상기 외부컵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얼음 공간부의 상기 얼음을 상기 외부컵 내부로 제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얼음컵은 휴대가 쉽고 얼음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음료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얼음을 음료의 냉각에만 이용하거나, 얼음이 녹은 액체와 음료를 함께 마시거나, 음료 공간부의 음료와 얼음을 함께 섭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얼음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컵을 도시한 절단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얼음컵의 사용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얼음컵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얼음컵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일회용 얼음컵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얼음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얼음컵(100)은, 제1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 공간부(110)을 제공하는 내부컵(10)과, 내부컵(10)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컵(20)을 구비한다. 이러한 일회용 얼음컵(100)은 내부컵(10) 및 외부컵(20)을 구비하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컵(10)과 외부컵(20) 사이 공간에 얼음이 위치하는 얼음 공간부(120)이 형성된다. 얼음 공간부(120)에는 제2 음료 또는 제2 음료를 얼린 얼음이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컵(10)과 외부컵(20)이 연결 부재(30)에 의하여 연결되는데, 외력에 의하여 연결 부재(30)를 이탈시키면 내부컵(10)과 외부컵(20)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내부컵(10) 및 외부컵(20)은 다양한 음료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통상적인 컵 형상처럼 아래로 향하면서 면적인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컵(10) 및 외부컵(20)이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내부컵(10) 및 외부컵(20)은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가격이 싸고 중량이 작아 휴대가 쉬운 종이, 플라스틱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컵(10), 외부컵(20) 및 연결 부재(30)가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컵(10), 외부컵(20) 및 연결 부재(30)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내부컵(10) 및 외부컵(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 부재(3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도 6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연결 부재(30)가 내부컵(10) 및 외부컵(20)과 별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내부컵(10)과 외부컵(20)이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내부컵(10)의 내부에는 제1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 공간부(110)이 형성된다. 내부컵(10)과 외부컵(20) 사이 공간에는 얼음 공간부(120)가 형성되어 제2 음료 또는 제2 음료를 얼린 얼음이 수용될 수 있다. 제1 음료와 제2 음료는 서로 다른 물질일 수도 있고, 동일한 물질일 수도 있다.
얼음 공간부(120)는 내부컵(10)의 외측면과 외부컵(20)의 외측면 사이 및 내부컵(10)의 바닥부와 외부컵(20)의 바닥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내부컵(10)의 바닥부와 외부컵(20)의 바닥부가 서로 밀착되어 내부컵(10)의 바닥부와 외부컵(20)의 바닥부 사이에는 얼음 공간부(120)가 형성되지 않고, 내부컵(10)의 외측면과 외부컵(20)의 외측면 사이에만 얼음 공간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컵(10)의 상단부와 외부컵(20)의 상단부 사이의 적어도 일부분이 연결 부재(30)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 부재(30)는 내부컵(10)과 외부컵(20)을 연결 및 고정하여 내부컵(10) 내부의 음료 공간부(110)과 얼음 공간부(120)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연결 부재(30)는 외력에 의하여 내부컵(10) 및 외부컵(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연결 부재(30)에는 외력을 쉽게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부재(30)와 내부컵(10) 및 외부컵(20) 중 어느 하나 사이의 경계에는 절취선(130)이 형성되어 이 부분에서의 강도를 낮출 수 있다.
손잡이부(32)는 돌출된 형상을 가지거나 고리 형상을 가져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32)는 종이, 플라스틱, 고무 등의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취선(130)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절취선(130)을 통하여 음료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취선(130)은 일회용 얼음컵(100)을 관통하지 않는 복수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외력에 의하여 연결 부재(30)를 분리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절취선(130)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컵(10)과 연결 부재(30)의 경계, 그리고 외부컵(20)과 연결 부재(30)의 경계에 모두 절취선(130)이 형성되어 연결 부재(30)를 좀더 쉽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부재(30)가 내부컵(10)의 상단부와 외부컵(20)의 상단부 사이 중의 일부분만을 연결하고, 다른 부분은 개구부(132)에 의하여 뚫려 있을 수 있다. 그러면 개구부(132)를 통하여 얼음 공간부(120)로 제2 음료를 쉽게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개구부(132)가 형성된 부분으로 음료를 마셔 음료 공간부(110)의 제1 음료와 얼음 공간부(120)의 제2 음료를 함께 마실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가 개구부(132)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 즉 연결 부재(30)가 위치하는 부분으로 음료수를 마시면 음료 공간부(110)의 제1 음료만을 마실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컵(20)의 내측면에 돌출부(122)가 형성되어 내부컵(10)의 분리 후에 제2 음료의 얼음에 좀더 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얼음 공간부(120)를 형성하는 내부컵(10)의 외측면 및 외부컵(20)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부컵(10)의 바닥부의 하면 및 외부컵(20)의 바닥부의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도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2)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다른 부분에서보다 얼음 공간부(120)의 두께가 얇아지므로 이 부분에서는 얼음 공간부(120)에서 형성되는 얼음의 두께가 얇아지게 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충격을 주면 돌출부(122)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얼음이 깨지게 되어 돌출부(122)의 모양을 따라 얼음이 깨지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돌출부(122)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얼음 공간부(120)의 두께(T1)에 대한 돌출부(122)의 높이(T2)의 비율(T2/T1)이 0.1~0.8일 수 있다. 상기 비율(T2/T1)이 0.1 미만인 경우에는 돌출부(122)에 의하여 얼음이 쉽게 깨지는 효과가 작을 수 있다. 상기 비율(T2/T1)이 0.8을 초과할 경우에는 얼음 공간부(120)에 제2 음료를 넣을 때 제2 음료가 일부에만 위치하고 구석 부분까지 주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더 고려하면 상기 비율(T2/T1)은 0.2~0.7(일례로, 0.3~0.6)일 수 있다.
돌출부(122)는 내부컵(10) 및 외부컵(20)의 측면에서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컵(20)을 도시한 절단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돌출부(122)는 제1 방향(일례로, 외부컵(20)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돌출부(122a)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일례로, 외부컵(20)의 깊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돌출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교차하는 제1 돌출부(122a)와 제2 돌출부(122b)를 구비하면, 얼음의 두께가 얇아지는 부분이 교차하면서 얼음 공간부(120) 내의 제2 얼음이 쉽게 조각조각 깨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부(122)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일회용 얼음컵(100)을 사용하는 방법을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얼음컵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132)를 통하여 내부컵(10)과 외부컵(20)의 사이 공간의 얼음 공간부(도 2의 참조부호 120, 이하 동일)에 제2 음료(42)를 넣는다. 이러한 일회용 얼음컵(100)을 냉장고 등에 넣어 제2 음료(42)를 얼려 얼음(도 4b의 참조부호 42a, 이하 동일)을 얼린다.
이어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얼음 공간부(120)에 얼음(42a)이 형성된 일회용 얼음컵(100)의 음료 공간부(110)에 제1 음료(41)를 넣는다. 얼음 공간부(120)의 얼음(42a)에 의하여 음료 공간부(110)의 제1 음료(41)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음료 공간부(110)의 제1 음료(41)만을 마시고자 할 경우에는 연결 부재(30) 쪽으로 제1 음료(41)를 마시면 되고, 얼음 공간부(120)의 얼음(42a)이 녹아서 생긴 제1 음료(42)와 음료 공간부(110)의 제1 음료(41)를 함께 마시고자 할 경우에는 개구부(132) 쪽으로 마시면 된다.
이어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0)의 손잡이부(32)를 잡고 연결 부재(30)에 외력을 가하여 절취선(130) 부분에서 연결 부재(30)가 내부컵(10) 및 외부컵(2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그러면,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0)가 내부컵(10) 및 외부컵(20)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어 내부컵(10)을 외부컵(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러면 얼음 공간부(120)에 있던 얼음(42a)이 음료 공간부(110) 쪽으로 쏟아져서 음료 공간부(110)의 제1 음료(41)에 얼음(42a)이 제공되게 된다. 그러면 얼음 공간부(120)에 위치하고 있던 얼음(42a)과 음료 공간부(110)의 제1 음료(41)를 함께 먹을 수 있다.
이때, 내부컵(10)을 분리한 다음 외부컵(20)에 약간의 충격을 주면, 얼음 공간부(120)의 얼음(42a)은 돌출부(122)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깨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얼음컵(100)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얼음(42a)을 제1 음료(41)의 냉각에만 이용하거나, 얼음(42a)이 녹아 형성된 제2 음료(42)와 제1 음료(41)를 함께 마시거나, 음료 공간부(110)의 제1 음료(41)와 얼음(42a)을 함께 먹을 수 있다.
이때, 음료 공간부(110)의 제1 음료(41)와 얼음 공간부(120)의 제2 음료(42)는 서로 동일한 물질일 수도 있고 다른 물질일 수 있다. 일례로, 음료 공간부(110)에 맥주를 넣고 얼음 공간부(120)에 소주를 넣을 수 있다. 그러면, 소주의 냉기로 맥주를 마시다가, 시간이 지나면 내부컵(10)을 분리한 후에 얼음 공간부(120)의 소주 얼음을 맥주에 넣어 부순 후에 마실 수도 있다. 또는, 음료 공간부(110)에 아메리카노를 넣고 얼음 공간부(120)에 라떼를 넣어 두 가지 맛의 커피를 즐길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얼음컵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얼음컵(100a)은, 연결 부재(30a)가 내부컵(10)의 상단부가 외부컵(20)의 상단부 사이 전체를 연결한다. 이때, 얼음 공간부(120)의 액체를 넣을 수 있도록 연결 부재(30a)에 주입구(302)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부재(30a)는, 사용자가 연결 부재(30a)에 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연결 부재(30a)에 형성된 손잡이부(32a)가 형성된다. 손잡이부(32a)의 하부면에는 주입구(302)를 막는 마개(302a)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32a)의 일측(E1)은 연결 부재(30a)에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마개(302a)가 형성된 손잡이부(32a)의 다른 일측(E2)은 연결 부재(30a)로부터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손잡이부(32a)의 다른 일측(E2)을 들어 올려 주입구(302)를 열고, 이 주입구(302)를 통하여 얼음 공간부(120)에 제2 음료를 넣을 수 있다. 얼음 공간부(120)에 제2 음료를 넣은 다음에는 손잡이부(32a)의 다른 일측을 아래로 내려 마개(302a)로 주입구(302)를 막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30a)가 내부컵(10)의 상단부가 외부컵(20)의 상단부 사이 전체를 연결하여 얼음 공간부(120) 내부의 제2 음료가 밖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부재(30a)의 주입구(302)를 이용하여 얼음 공간부(120) 내부로 제2 음료를 쉽게 공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얼음컵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얼음컵(100b)은, 연결 부재(30b)가 내부컵(10) 및 외부컵(20)과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30b)의 하면에는 내부컵(10)이 끼워지는 제1 오목부(304) 및 외부컵(20)이 끼워지는 제2 오목부(306)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오목부(304, 306)를 이용하여 연결 부재(30b)를 내부컵(10) 및 외부컵(20)의 상단에 끼울 수 있고, 원할 때는 쉽게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연결 부재(30b)가 제1 및 제2 오목부(304, 306)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내부컵(10) 및 외부컵(20)의 상단과 연결 부재(30b) 사이에 접착층 등을 구비하여 내부컵(10) 및 외부컵(20)에 연결 부재(30)가 고정될 수도 있다. 이 외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결 부재(30b)는 내부컵(10) 및 외부컵(20)과 동일한 종이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연결 부재(30b)가 내부컵(10) 및 외부컵(20)과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연결 부재(30b)를 고무 등을 포함하는 탄성 물질로 형성하여 내부컵(10)과 외부컵(2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컵(10)과 외부컵(20)은 서로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내부컵(10)과 외부컵(20)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내부컵(10)은 외부컵(20)의 열 전도도보다 큰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내부컵(10)의 내부로의 열 전달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외부컵(20) 외부로의 열 전달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컵(10)과 외부컵(20)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30)의 구조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컵(10)과 연결 부재(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 부재(30)의 상단이 뚜껑처럼 외부컵(20)의 상단을 덮는 것도 가능하다. 이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일회용 얼음컵
10: 내부컵
20: 외부컵
30: 연결 부재

Claims (16)

  1. 제1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 공간부를 제공하는 내부컵;
    상기 내부컵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컵; 및
    상기 내부컵과 상기 외부컵 사이에 제2 음료를 얼린 얼음이 수용되는 얼음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컵과 상기 외부컵을 고정 및 연결하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외부컵 및 상기 내부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내부컵을 상기 외부컵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얼음 공간부의 상기 얼음을 상기 외부컵 내부로 제공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외부컵의 상단부와 상기 내부컵의 상단부 사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연결하는 일회용 얼음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컵 및 상기 내부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연결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일회용 얼음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컵 및 상기 내부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연결 부재의 경계에 절취선이 형성되는 일회용 얼음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내부컵 및 상기 외부컵과 별개로 형성되는 일회용 얼음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외부컵이 끼워지는 제1 오목부 및 상기 내부컵이 끼워지는 제2 오목부를 구비하는 일회용 얼음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사용자가 상기 연결 부재에 상기 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얼음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돌출된 형상 또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일회용 얼음컵.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외부컵의 상단부와 상기 내부컵의 상단부 사이의 일부분을 연결하고,
    상기 외부컵의 상단부와 상기 내부컵의 상단부 사이의 다른 부분이 뚫려 있는 일회용 얼음컵.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외부컵의 상단부와 상기 내부컵의 상단부 사이 전체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 부재에 주입구가 형성되는 일회용 얼음컵.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사용자가 상기 연결 부재에 상기 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면에 상기 주입구를 막는 마개가 일체로 형성되는 일회용 얼음컵.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기 외부컵의 내측면 및 상기 내부컵의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일회용 얼음컵.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얼음컵.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의 상기 얼음 공간부의 두께에 대한 상기 돌출부의 높이 비율이 0.1~0.8인 일회용 얼음컵.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컵과 상기 외부컵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일회용 얼음컵.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컵의 열 전도도가 상기 외부컵의 열 전도도보다 큰 일회용 얼음컵.
KR1020120068860A 2012-06-27 2012-06-27 일회용 얼음컵 KR101233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860A KR101233611B1 (ko) 2012-06-27 2012-06-27 일회용 얼음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860A KR101233611B1 (ko) 2012-06-27 2012-06-27 일회용 얼음컵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977A Division KR20140001063A (ko) 2012-08-27 2012-08-27 일회용 얼음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3611B1 true KR101233611B1 (ko) 2013-02-14

Family

ID=47899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860A KR101233611B1 (ko) 2012-06-27 2012-06-27 일회용 얼음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841U (ko) 2022-11-10 2024-05-17 이종덕 2중 종이컵 구조를 갖는 얼음팩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7377U (ja) * 1993-02-26 1994-09-22 大和システム株式会社 飲食物包装用密閉2重容器
KR200326054Y1 (ko) * 2003-04-17 2003-09-17 김정배 일회용 이중얼음컵
KR100464960B1 (ko) 2004-05-13 2005-01-15 김익섭 아이스 용기
KR200441292Y1 (ko) * 2006-10-24 2008-08-05 구재림 음료수냉각용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7377U (ja) * 1993-02-26 1994-09-22 大和システム株式会社 飲食物包装用密閉2重容器
KR200326054Y1 (ko) * 2003-04-17 2003-09-17 김정배 일회용 이중얼음컵
KR100464960B1 (ko) 2004-05-13 2005-01-15 김익섭 아이스 용기
KR200441292Y1 (ko) * 2006-10-24 2008-08-05 구재림 음료수냉각용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841U (ko) 2022-11-10 2024-05-17 이종덕 2중 종이컵 구조를 갖는 얼음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3164A1 (en) Container chilling apparatus
WO2008002085A1 (en) Cooling cup for drink
US93476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glass with an ice lining
KR101233611B1 (ko) 일회용 얼음컵
US6948333B1 (en) Combined bottles with hidden cooler
KR20140001063A (ko) 일회용 얼음컵
US7272935B1 (e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ice around a bottle
KR101743281B1 (ko) 냉기를 유지하는 컵
US20110088410A1 (en) Chilled Beverage Container
JP4708774B2 (ja) 複合式容器
KR200401585Y1 (ko) 냉장용기
JP2016011812A (ja) 氷容器製造器および氷容器の製造方法。
KR200419564Y1 (ko)
US20130320027A1 (en) Cold drink cup
CN215457120U (zh) 一种饮料降温杯
JP3245195U (ja) 飲料用カップ
US20090077998A1 (en) Refillable cooling container
KR20090012283U (ko) 착탈식 냉매 용기를 갖는 음료 용기
KR20070023914A (ko) 냉장용기
KR20070000065U (ko) 개량형 음료용 냉각컵
KR101218500B1 (ko) 혼합주 제조기
JP6046387B2 (ja) 飲料容器
KR200366346Y1 (ko) 냉각컵
KR200400901Y1 (ko) 얼음통
KR200309860Y1 (ko) 휴대용 냉장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