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960B1 - 아이스 용기 - Google Patents

아이스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960B1
KR100464960B1 KR1020040054721A KR20040054721A KR100464960B1 KR 100464960 B1 KR100464960 B1 KR 100464960B1 KR 1020040054721 A KR1020040054721 A KR 1020040054721A KR 20040054721 A KR20040054721 A KR 20040054721A KR 100464960 B1 KR100464960 B1 KR 100464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ce
bottle
inner container
ou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섭
이미선
Original Assignee
김익섭
이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익섭, 이미선 filed Critical 김익섭
Priority to US10/924,94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5025223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41Glass or bottle holders for bottles; Decan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023/0275Glass or bottle hold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스 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얼음을 수용하는 외부용기의 결합돌기에 병(술병 또는 음료수병)을 안착시키고 병의 외부에 얼음의 녹은물이 직접적으로 닿지 아니하게 하여 냉장상태로 차갑게 유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아이스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각얼음(50)을 수납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 저부면 중앙에 나사산을 갖는 소정의 높이로 돌설된 결합돌기(21)를 갖는 외부용기(20)와; 상기 외부용기(20)내로 삽입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병(40)이 안착되며 상기 결합돌기(21)에 결합되도록 하부면 중앙에 소정의 깊이를 갖고 내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한 결합홈(31)을 갖는 내부용기(3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용기에 수납된 각얼음의 냉기가 내부용기에 전달되어 내부용기에 안착한 병에 간접적으로 냉기가 전달되어 술병이나 음료수병을 차게 유지할 수 있고, 얼음의 녹은물이 직접적으로 닿지 않아서 사용시에 손에 물이 젖지 않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아이스 용기{ICE COOLER}
본 발명은 각얼음을 수용하는 외부용기의 결합돌기에 병(이하, 본 발명에서는 소주병, 와인병을 의미함)을 안착시킨 내부용기의 결합홈을 결합하고 내부용기에 안착한 병의 외부에 얼음의 녹은물이 직접적으로 닿지 아니하게 하여 최적의 냉장상태로 차갑게 유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아이스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예를 들어 백포도주를 차갑게 하기 위해서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다량의 각얼음(ice cube)을 수납하는 얼음통(ice bucket)에 포도주병을 수납하여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얼음통에 수납한 병은 직접적으로 얼음에 맞닿아있는 상태이므로 시간이 흐르면 얼음이 녹아 물이 생긴 얼음물이 병에 묻거나 아예 얼음통의 얼음이 다 녹았을 경우는 병이 얼음통내로 수장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얼음통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병을 얼음통에서 꺼낼 경우 병의 외부에 묻었던 차가운 얼음물이 손에 떨어지거나 식탁위에 떨어져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을 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하나인 "아이스 쿨러"가 한국특허공개공보 특10-2004-0006186호(공개일:2004년01월24일)에서 공개되었다. 종래의 아이스 쿨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아이스 용기의 단면을 보인 도면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의 내부에는 냉매파이프(2)를 설치하고, 상기 용기(1)와 냉매파이프(2)의 사이에는 얼음(3)이 채우며, 상기 용기(1)의 상부에 홀(4a)이 형성된 뚜껑(4)을 덮은 후 상기 홀(4a)에 병(5)을 수용시킨다.
이때, 상기 냉매파이프(2)와 얼음(3)의 냉기에 의해 상기 병(5)은 일정시간동안 냉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냉매파이프(2)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냉동실에 일정시간동안 냉동시켜야 하고, 또 다수개의 냉매파이프를 준비하여야 함으로 술집이나 레스토랑에서는 별도의 냉동고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용기(1)에 가득 채워지는 얼음(3)은 많은 량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아이스 용기는 일정시간이 흐르면 얼음이 녹아서 생성된 물과 얼음이 함께 섞여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얼음이 녹는 시간이 빠르게 진행됨으로, 병을 장시간 동안 냉장상태의 온도로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각얼음을 수용하는 외부용기에 병을 안착시키고 내부용기에 얼음의 녹은 물이 직접적으로 닿지 아니하게 하여 병을 차갑게 유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아이스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사이에 채반을 설치하여 채반의 얼음이 녹아서 발생되는 냉각수가 외부용기의 저면에 모여지고, 이 모여진 냉각수에 의해 병이 계속적으로 냉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아이스 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아이스 용기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용기의 분리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용기의 내부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7은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9는 아이스팩으로 된 채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외부용기 21 : 결합돌기
22 : 램프 23 : 스위치
24 : 충전배터리 25 : 전원접속구
30 : 내부용기 30a : 망사형태부
30b : 밀폐부 31 : 결합홈
40 : 병 50 : 얼음
60,80 : 채반 70 : 충격방지수단
65 : 아이스팩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각얼음을 수납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 저부면 중앙에 나사산을 갖는 소정의 높이로 돌설된 결합돌기를 갖는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내로 삽입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병이 안착되며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도록 하부면 중앙에 소정의 깊이를 갖고 내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한 결합홈을 갖는 내부용기로 이루어지 아이스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의 외부 둘레에 충전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온, 오프되는 다수개의 램프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용기는 상부에 개구부를 갖으며 하부의 외주둘레부가 소정의 높이로 밀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된 망사형태부를 소정의 높이로 형성한다.병을 보관하기 위한 컵모양의 외부용기와, 상부가 개구되고 병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내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 내에 평행하게 상기 내부용기가 결합되는 통상의 아이스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의 하단부는 상호 평행하게 ""형 내/외부굴곡부를 각각 형성하여 상호 결합하고, 상기 내부용기의 외주면과 상기 외부용기의 내주면의 사이 중앙에는 각얼름을 담을 수 있는 채반이 결합된다.상기 채반은 상기 외부용기의 내주면에 수용되면서 설치되도록 상기 외부용기의 내주면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외벽과; 상기 외벽의 하단부에서 상기 내부용기의 외주면까지 수평하게 형성되어 각얼음이 수용되며, 상기 각얼음에서 흐르는 냉각수가 통과되도록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채판과; 상기 채판의 내측에서 상기 내부용기의 외주면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용기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내벽으로 이루어진다.상기 외부용기에 설치되는 채반은 그 내벽이 상기 내부용기가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지게 수용되는 내부용기의 ""형 내부굴곡부가 예각으로 경사지게 삽입되도록 상기 외부용기의 저면 일측에는 ""형 외부굴곡부가 상기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내벽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각도의 경사를 갖게 형성된다.상기 내부용기의 저면에는 술병이 수용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충격방지수단을 더 포함한다.상기 채반은 냉매가 충진된 아이스팩이며, 상기 아이스팩은 얼음이 수용될 수 있도록 도너스형상의 원판과, 상기 원판의 내부에 냉매가 충진되도록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원판의 중앙부에 병이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홀과, 상기 원판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홀이 형성된다.상기 외부용기는 그 외벽이 이중으로 형성되어 진공된 공간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용기의 분리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용기의 내부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아이스팩으로 된 채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용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각얼음(50)을 수납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 저부면 중앙에 나사산을 갖는 소정의 높이로 돌설된 결합돌기(21)를 갖는 외부용기(20)가 형성한다.
상기 외부용기(20)내로 삽입되며 상부가 병(40)의 입출이 자유롭게 개구 되고 내부에 병(40)이 안착되며 상기 결합돌기(21)에 결합되도록 하부면 중앙에 소정의 깊이를 갖고 내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한 결합홈(31)을 갖는 내부용기(30)로 형성한다.
또한, 외부용기(20)내의 결합돌기(21)에 결합홈(31)을 갖는 내부용기(30)가 나사로 결합되고, 외부용기(20)와 내부용기(30) 사이에 각얼음(50)을 채우고, 상기 내부용기(30)에는 병(40)을 안착시킨다.
이러한 각얼음(50) 외에 시중에서 맞춤으로 생산되는 얼음팩을 외부용기(20)와 내부용기(30)의 사이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얼음팩의 크기는 외부용기(20)와 내부용기(30)의 사이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여 삽입한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20)와 내부용기(30)의 사이에 각얼음(50)들로 채워져서 평면상에서 볼 때 시각적으로 이 용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보는 즐거움인 시각적 이미지를 부각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용기(20)와 내부용기의 사이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얼음팩이 삽입되고 그 위에 일반적인 각얼음(50)을 다수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용기(30)에는 소주병, 맥주병, 양주병, 와인병, 음료수병 등의 여러 가지 병(40)을 안착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소주병, 맥주병, 와인병, 양주병, 음료수병의 크기와 길이가 서로 각각 다르게 형성되어 있어서 이러한 병(40)들의 크기와 길이에 맞게 내부용기(30)및 외부용기(20)의 크기와 길이를 맞추어 사용할 수 있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용기(30)에는 병(40)을 안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내부용기(30)내부에 병(40)에 수용된 용수(음료수 또는 술)를 직접적으로 채워서 사용하며, 상기 내부용기(30)내부에 채워진 용수를 퍼서 잔에 담을 수 있게 일반적인 국자 또는 다른 용기를 이용할 수 있다.
외부용기(20)는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기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내부용기(30)는 금속재인 스테인레스 및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부용기(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개구부를 갖으며 하부의 외주둘레부가 소정의 높이로 밀폐부(30b)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30b)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된 망사형태부(30a)가 소정의 높이로 형성한다.
상기 내부용기(30)의 몸체가 전체적으로 망사형태부(30a)가 형성할 수 있고 또는 몸체가 전체적으로 밀폐부(30b)로 형성할 수 있으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부는 밀폐부(30b)와 상기 밀폐부(30b)와 연결되어 망사형태부(30a)로 형성한다.
상기 망사형태부(30a)는 금속재인 스테인레스로 형성하거나 합성수지재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용기(20)의 외부 둘레에 충전배터리(24)를 전원으로 하여 온, 오프 되는 다수개의 램프(22)가 형성한다.
다수개의 상기 램프(22)는 스위치(23)와 전원 접속구(25)와 연결된 충전배터리(24)에 연결 형성하고 충전배터리(24)에서 전원을 스위치(23)에 의해 온, 오프작동으로 램프(22)를 점등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충전배터리(24)는 전원 접속구(25)와 연결되어 전원 접속구(25)에 상시 전원과 연결하여 충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아이스 용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모양의 외부용기(20)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용기(20)의 내부에 내부용기(30)가 수용되며, 상기 내/외부용기(20,30)가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내/외부용기(20,30)의 저면 중앙에는 각각 "" 형상의 내/외부굴곡부(29,3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용기(20)는 그 외벽(20a)이 이중으로 되어 진공된 공간(20b)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진공된 공간(20b)에 의해 외부용기(20)의 내부 온도는 보호될 수 있다.
상기 내부용기(30)의 외주면과 상기 외부용기(20)의 내주면의 사이 중앙에는 각얼름(50)을 담을 수 있는 채반(60)이 결합된다.
상기 채반(60)은 상기 외부용기(20)의 내주면에 설치되도록 외부용기(20)의 내주면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외벽(61)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61)의 하단부에서 상기 내부용기(30)의 외주면까지 수평하게 형성되어 각얼음(50)이 수용되면서 상기 각얼음(50)에서 흐르는 냉각수가 통과되도록 다수개의 구멍(64)을 갖는 채판(63)이 형성되며, 상기 채판(63)의 내측에서 상기 내부용기(30)의 외주면에 삽입되도록 상기 내부용기(30)의 외주면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수직하게 내벽(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용기(30)의 저면에는 술병(50)이 수용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충격방지수단(70)이 설치되며, 상기 충격방지수단(70)은 상기 내부용기(30)의 내부굴곡부(39)에 설치되도록 홈(71)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아이스 용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모양의 외부용기(20)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용기(20)의 내부에 내부용기(30)가 수용될 때, 상기 내부용기(30)가 외부용기(20)에 대해 경사지게 수용되면서 결합되도록 상기 외부용기(20)의 저면의 일측에서 "" 형상의 외부굴곡부(29')가 중앙을 향하여 일정한 각도록 경사지게 단벽(26)과 장벽(27)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굴곡부(29')에 상기 내부용기(30)의 내부굴곡부(39)가 설치될 때, 상기 내부용기(30)의 저면과 측면이 직각으로 만나는 절곡부(32,33)가 상기 외부용기(20)의 내부와 접촉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내/외부용기(20,30)의 사이에는 각얼름(50)을 담을 수 있는 채반(80)이 결합된다.
상기 채반(80)은 상기 외부용기(20)의 내주면에 설치되도록 외부용기(20)의 내주면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외벽(81)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81)의 하단부에서 상기 내부용기(30)의 외주면까지 수평하게 형성되어 각얼음(50)이 수용되면서 상기 각얼음(50)에서 흐르는 냉각수가 통과되도록 다수개의 구멍(84)을 갖는 채판(83)이 형성되며, 상기 채판(83)의 내측에서 상기 내부용기(30)의 외주면에 삽입되도록 상기 경사지게 수용된 내부용기(30)의 외주면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경사지게 내벽(8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반(60)으로 그 자체에 냉기를 갖는 냉매가 충진된 아이스팩(65)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냉매가 충진된 아이스팩(65)은 도너스형상의 원판(66)과, 상기 원판(66)의 내부에 냉매가 충진되도록 형성된 일정한 공간(66)과, 상기 원판(66)의 중앙부에 병(40)이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홀(67)과, 상부에 수용된 각얼음(50)의 녹은 물이 잘 통과 될 수 있도록 상기 원판(66)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제2홀(68)과, 상기 원판(66)의 일측에 냉매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69)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아이스 용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병이 안착된 내부용기(30)의 하부면 결합홈(31)을 외부용기(20)의 하부면에 형성한 결합돌기(21)에 결합하여 준다.
이와 같이 내부용기(30)가 외부용기(20)의 내부 안에 삽입 형성하고 내부용기(30)와 외부용기(20)에 각얼음(50)을 채운다.
또한, 외부용기(20)와 내부용기(30)의 사이에 먼저 얼음팩을 삽입하고 상기한 얼음팩 상부에 다수개의 각얼음(50)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하게 외부용기(20)안에 내부용기(30)가 결합한 용기인 내부용기(30)내에 병을 안착하여 병에 외부용기(20)의 내부용기(30)사이에 채워진 얼음의 냉기가 내부용기(30)의 몸체를 통해서 병(40)에 전달되고 이러하게 내부용기(30)의 안에 안착된 병(40)은 얼음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된다.
이때, 이러한 병(40)은 차갑게 냉장된 병(40)이며 외부용기(20)와 내부용기(30)에 채워진 각얼음(50)의 온도와 냉장된 병(40)의 온도가 서로 비슷하여 병(40)의 외부에는 물기가 형성되지 않게 되므로 본 발명인 아이스 용기를 사용자가 차가운 얼음물이 손에 접촉하는 것을 없앨 수 있어서 간편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외부둘레의 다수개의 램프(22)는 외부용기(20)의 하부면에 형성한 스위치(23)를 온, 오프 하여 램프(22)를 점등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용기(20)와 내부용기(30)사이 얼음은 시간이 지날 수 록 차차 녹는다. 이때 내부용기(30)가 상기 망사형태부(30a)로 된 경우는 상부의 얼음의 녹은 물이 망사형태부(30a)의 각각 형성된 골격의 외부를 타고 하부에 형성된 밀폐부(30b)로 흘러 내려가서 상기 외부용기(20)의 하부면으로 가게 되어 얼음의 녹은 물이 고이므로 상기 내부용기(30)에는 물이 흘러 들어가지 않아서 내부에 안착된 병(50)에는 물이 접촉하지 않게 된다.
또한, 업소에서 다량의 내부와 외부로 된 본 발명의 용기를 다 사용하고 보관할 경우에는 외부용기(20)의 결합돌기(21)에서 내부용기(30)의 결합홈(31)을 분리 시켜서 상기 외부용기(20)와 상기 내부용기(20)를 각각 분리하여 각각의 상기 외부용기(2)와 상기 내부용기(30)를 순차적으로 용기내에 각각 삽입하여 사용하는 숫자만큼 각각의 용기내부에 적층하여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용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병(40)이 안착된 내부용기(30)의 하부면에 형성된 내부굴곡부(39)를 외부용기(20)의 하부면에 형성된 외부굴곡부(29)에 결합하여 준다. 상기 내부용기(30)의 하부에는 충격방지수단(70)이 설치되어 있어 병(40)을 넣을 때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병(40)이 깨지게 되거나, 충격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결합된 내부용기(30)와 외부용기(20)의 사이에는 채반(60)을 설치한다. 상기 채반(60)의 내부에는 각얼음(50)을 채운다.
상기와 같이, 채반(60)에 채워진 각얼음(50)에 의해 냉기가 내부용기(30)의 몸체를 통해서 병(40)에 전달되어 병(40)의 상부 부분이 냉각되게 된다.
한편, 상기 외부용기(20)는 이중벽(20a)을 형성하고, 상기 이중벽(20a)사이에 진공된 공간(20b)을 형성하여 상기 각얼음(50)은 외부의 온도에 쉽게 노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채반(60)의 각얼음(50)이 일정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녹게되면서 차가운 냉각수가 흐르게 되며, 이 흐르는 냉각수는 상기 채반(60)의 구멍(64)을통하여 상기 외부용기(20)의 저면에 채워지게 된다. 상기 외부용기(20)의 저면에 채워진 냉각수에 의해 병(40)의 하부 부분이 냉각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각얼음(50)과 냉각수는 서로 분리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각얼음(50)은 더욱 장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얼음(50)이 내/외부용기(20,30)의 사이에 채워지고 또 각얼음(50)에서 발생되는 냉각수가 병(40)에 직접 닫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젖지 않은 병(40)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업소에서 다량의 아이스 용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내부용기(30)와 외부용기(20)를 서로 분리하여 외부용기(20)들과 내부용기(30)들과 채반(60)들을 각각 따로 적층할 수 있음으로 적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용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채반(80)을 외부용기(20)의 내부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채반(80)의 경사지게 형성된 내벽(82)의 경사각도와 외부용기(20)의 경사지게 형성된 외부굴곡부(29')가 동일한 각도의 경사를 갖게 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병(40)이 안착된 내부용기(30)의 하부면에 형성된 내부굴곡부(39)를 외부용기(20)의 하부면에 형성된 외부굴곡부(29')와 결합시킨다. 상기 내부용기(30)의 하부에는 충격방지수단(70)이 설치되어 있어 병(40)을 넣을 때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병(40)이 깨지게 되거나, 충격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외부용기(20)의 내부에 외부용기(20)의 절곡부(32,33)가 접촉되므로 내부용기(30)가 상기 외부용기(20)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된 내부용기(30)에 병(40)을 경사지게 수용시키면 더욱 격조있는 분위기를 연출시킬 수 있으므로, 고급레스토랑 등에서는 와인병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미도시)의 냉동실에 일정시간 얼려서 준비한 아이스팩(65)을 내부용기(30)와 외부용기(20)사이에 설치하고, 각얼음(50)을 그 위에 올려 놓으면 상기 아이스팩(65)의 냉매에 의해 각얼음(50)은 더욱 장시간 동안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스팩(65)은 도너스형상의 원판으로 되어 있어서, 적은 공간에 많은 아이스팩(65)을 수용시킨 후 냉동할 수 있음으로, 영업장에서 사용하기에 매우 용이하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설계변경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본 고안의 범주로 간주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용기내의 결합돌기에 병을 안착한 내부용기의 결합홈이 결합하여서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의 사이에 얼음을 수납하여 외부용기에 수납된 각얼음의 냉기가 내부용기에 전달되어 내부용기에 안착한 병에 간접적으로 냉기가 전달되므로 병에 외부용기내에서 얼음의 녹은물이 직접적으로 닿지 않아서 사용자에게 병의 외부에 묻은 얼음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게 병을 보냉시켜 사용하며 외부용기의 둘레의 램프를 형성하여 시각적인 이미지와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의 사이에 채워진 각얼음들을 평면상으로 나타나는 시각적 이미지를 부각 시키고 외부용기와 내부용기를 손쉽게 분리하여 각각의 용기내에 용기를 순차적으로 삽입 적층하여 보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사이에 채반을 설치하고, 내부용기에는 병을 수용시키고 채반에는 소량의 얼음을 채우는 것만으로, 병을 냉장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채반의 얼음이 녹아서 발생되는 냉각수가 외부용기의 저면에 모여지고, 이 모여진 냉각수에 의해 병이 계속적으로 냉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채반의 얼음이 녹아서 발생되는 냉각수가 외부용기의 저면에 따로 모여지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냉각수와 얼음은 따로 분리된 상태이므로, 상기 채반에 수용되어 있는 얼음이 장시간 지속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내부에 각얼음을 수납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 저부면 중앙에 나사산을 갖는 소정의 높이로 돌설된 결합돌기를 갖는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내로 삽입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병이 안착되며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도록 하부면 중앙에 소정의 깊이를 갖고 내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한 결합홈을 갖는 내부용기로 구성되는 아이스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의 외부 둘레에 충전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온, 오프되는 다수개의 램프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용기는 상부에 개구부를 갖으며 하부의 외주둘레부가 소정의 높이로 밀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망사형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용기.
  2. 병을 보관하기 위한 컵모양의 외부용기와, 상부가 개구되고 병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내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 내에 평행하게 상기 내부용기가 결합되는 통상의 아이스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의 하단부는 상호 평행하게 ""형 내/외부굴곡부를 각각 형성하여 상호 결합하고,
    상기 내부용기의 외주면과 상기 외부용기의 내주면의 사이 중앙에는 각얼름을 담을 수 있는 채반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채반은 상기 외부용기의 내주면에 수용되면서 설치되도록 상기 외부용기의 내주면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외벽과;
    상기 외벽의 하단부에서 상기 내부용기의 외주면까지 수평하게 형성되어 각얼음이 수용되며, 상기 각얼음에서 흐르는 냉각수가 통과되도록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채판과;
    상기 채판의 내측에서 상기 내부용기의 외주면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용기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내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에 설치되는 채반은 그 내벽이 상기 내부용기가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지게 수용되는 내부용기의 ""형 내부굴곡부가 예각으로 경사지게 삽입되도록 상기 외부용기의 저면 일측에는 ""형 외부굴곡부가 상기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내벽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각도의 경사를 갖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용기.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의 저면에는 술병이 수용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충격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용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채반은 냉매가 충진된 아이스팩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팩은 도너스형상의 원판과, 상기 원판의 내부에 냉매가 충진되도록 형성된 일정한 공간과, 상기 원판의 중앙부에 병)이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홀과, 상부에 수용된 각얼음의 녹는 물이 잘 통과 될 수 있도록 상기 원판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제2홀과, 상기 원판의 일측에 냉매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용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는 그 외벽이 이중으로 형성되어 진공된 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용기.
KR1020040054721A 2004-05-13 2004-07-14 아이스 용기 KR100464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24,946 US20050252234A1 (en) 2004-05-13 2004-08-24 Ice coo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701 2004-05-13
KR20040033701 2004-05-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4960B1 true KR100464960B1 (ko) 2005-01-15

Family

ID=37383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721A KR100464960B1 (ko) 2004-05-13 2004-07-14 아이스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9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611B1 (ko) 2012-06-27 2013-02-14 김석류 일회용 얼음컵
KR101335494B1 (ko) * 2012-02-27 2013-12-02 주식회사 대창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장고 장치
KR20160109213A (ko) 2015-03-10 2016-09-21 정승은 빙과 제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빙과 제조방법
KR20190040180A (ko) * 2019-04-11 2019-04-17 김석곤 술병 아이스 케이스
KR20190002808U (ko) * 2018-05-01 2019-11-11 (주)나모 휴대용 스마트 냉각용기 홀더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494B1 (ko) * 2012-02-27 2013-12-02 주식회사 대창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장고 장치
KR101233611B1 (ko) 2012-06-27 2013-02-14 김석류 일회용 얼음컵
KR20160109213A (ko) 2015-03-10 2016-09-21 정승은 빙과 제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빙과 제조방법
KR20190002808U (ko) * 2018-05-01 2019-11-11 (주)나모 휴대용 스마트 냉각용기 홀더
KR200491743Y1 (ko) * 2018-05-01 2020-05-28 (주)나모 휴대용 스마트 냉각용기 홀더
KR20190040180A (ko) * 2019-04-11 2019-04-17 김석곤 술병 아이스 케이스
KR102026726B1 (ko) * 2019-04-11 2019-10-01 김석곤 술병 아이스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4300A (en) Chillerwell cooler
US5148682A (en) Ice molding device and method
US7610774B2 (en) Refrigerator door with can and bottle holder
KR100464960B1 (ko) 아이스 용기
US7484383B1 (en) Cooling pitcher
US11466920B2 (en) Ice chest organizer system
US20050252234A1 (en) Ice cooler
US10767915B2 (en) Smarter cooler
US6035659A (en) Sanitary beverage cooler
US20080029526A1 (en) Ice chest accessory
US7272935B1 (e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ice around a bottle
US20210003336A1 (en) Functional water bottle with ice forming core and ice making tool
KR20120082971A (ko) 단열용 커버와 보냉용 커버를 가지는 용기
KR101743281B1 (ko) 냉기를 유지하는 컵
JP2003095398A (ja) 汎用ペットボトルへの装着型クラッシュアイス用ペットボトル
KR102203077B1 (ko) 맥주컵 보냉 장치
KR200277502Y1 (ko) 냉각수단을 갖는 아이스박스
KR20130045878A (ko) 단열용 커버와 보냉용 커버를 가지는 용기
KR200294693Y1 (ko) 아이스 쿨러
KR200225883Y1 (ko) 냉각/보온기능을 갖춘 식음료 용기
KR200370375Y1 (ko) 주류 및 음료용 냉장보존용기
KR200401445Y1 (ko) 얼음통
JPH10220944A (ja) 冷蔵庫
KR20080114457A (ko) 음료수보냉용 얼음통
KR101010516B1 (ko) 분리 가능한 보냉팩으로 보냉을 유지하는 보냉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