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500B1 - 혼합주 제조기 - Google Patents

혼합주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500B1
KR101218500B1 KR1020100096055A KR20100096055A KR101218500B1 KR 101218500 B1 KR101218500 B1 KR 101218500B1 KR 1020100096055 A KR1020100096055 A KR 1020100096055A KR 20100096055 A KR20100096055 A KR 20100096055A KR 101218500 B1 KR101218500 B1 KR 101218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d liquor
partition plate
liquor
liquid
m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4467A (ko
Inventor
최원철
Original Assignee
최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철 filed Critical 최원철
Priority to KR1020100096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500B1/ko
Publication of KR20120034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4Means for mixing or for promoting flow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주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제1경사부가 마련되고, 그 외주에는 음료나 술이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1외주홈이 형성된 분할판과, 상기 분할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제2경사부가 마련되고, 그 외주에는 음료나 술이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2외주홈이 형성된 하부분할판과, 상기 분할판의 상면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혼합주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과 하부분할판 및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액체가 밀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분할판과 손잡이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액체가 밀봉되도록 구성함으로 혼합주를 위생적이고 간편히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차갑게 얼려서 제공하여 통상의 맥주잔에 수용된 음료 및 술이 얼려진 액체에서 발산되는 냉기에 의해서 시원하게 차가워져 사용자는 용이하게 차가운 음료 및 술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혼합주 제조기{Blending liquor making device}
본 발명은 혼합주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할판과 손잡이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액체가 밀봉되도록 구성함으로 혼합주를 위생적이고 간편히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차갑게 얼려서 제공하여 통상의 맥주잔에 수용된 음료 및 술이 얼려진 액체에서 발산되는 냉기에 의해서 시원하게 차가워져 사용자는 용이하게 차가운 음료 및 술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혼합주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술 마시는 문화가 많이 바뀌어 소주, 맥주, 양주, 음료수 등을 섞어 마시는 혼합주를 많이 마시고 있으며, 이러한 혼합주는 빠르게 취하는 장점 및 알콜도수가 높은 술을 약하게 만들어 자신의 주량이나 취향에 맞춰 마실 수 있으므로 술을 좋아하는 애주가나 술에 약한 여성들이 특히 혼합주를 즐겨 마시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기존의 방법으로 혼합주를 만들때는 손이 많이 가고 불편하며 특히 양주잔의 경우 양주를 부어서 마시다가 혼합주를 만들때는 다시 그 양주잔을 맥주잔에 넣어 양주와 맥주를 혼합하여 마시고 다시 양주잔을 빼서 마시게 되므로 양주잔외부에 묻어있는 술이 바닥에 떨어져 탁자등이 지저분해지기 쉬우며, 탁자위에 올려놓은 양주잔의 바닥면과 손으로 잡는 부위가 오염되어 있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등록번호 제10-0908186호 : 혼합주 제조기"를 제안하였다. 이는, 통상의 맥주잔에 혼합주 제조기를 넣고, 혼합기 제조기에 의해서 분기된 잔의 내부공간들에 사용자가 원하는 술이나 음료를 각각 주입함으로, 간편하게 혼합주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해서 양주잔을 맥주잔에 넣고 빼고 할 필요가 없으므로 위생적인 효과가 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등록번호 제10-0908186호 : 혼합주 제조기"는 상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혼합주 제조의 간편성 및 위생성을 제공하는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에게 더욱 효율적인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연구 개발의 필요가 있다.
특히, 무더운 여름철에 시원하게 음료나 술의 섭취를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혼합주 제조기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분할판과 손잡이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액체가 밀봉되도록 구성함으로 혼합주를 위생적이고 간편히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차갑게 얼려서 제공하여 통상의 맥주잔에 수용된 음료 및 술이 얼려진 액체에서 발산되는 냉기에 의해서 시원하게 차가워져 사용자는 용이하게 차가운 음료 및 술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혼합주 제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주 제조기는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제1경사부가 마련되고, 그 외주에는 음료나 술이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1외주홈이 형성된 분할판과, 상기 분할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제2경사부가 마련되고, 그 외주에는 음료나 술이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2외주홈이 형성된 하부분할판과, 상기 분할판의 상면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혼합주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과 하부분할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액체가 밀봉되게 구성되며, 상기 분할판의 상부 외주면에는 제3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분할판의 상면에는 안치 홈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하부가 개방되되, 하부 내주면에는 상기 제3나사산과 대응되어 체결되는 제4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안치 홈에는 형광물체가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혼합주 제조기에 의하면, 분할판과 손잡이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액체가 밀봉되도록 구성함으로 혼합주를 위생적이고 간편히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차갑게 얼려서 제공하여 통상의 맥주잔에 수용된 음료 및 술이 얼려진 액체에서 발산되는 냉기에 의해서 시원하게 차가워져 사용자는 용이하게 차가운 음료 및 술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주 제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혼합주 제조기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주 제조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혼합주 제조기의 하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혼합주 제조기의 B-B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주 제조기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혼합주 제조기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혼합주 제조기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주 제조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주 제조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주 제조기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혼합주 제조기의 A-A 단면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주 제조기의 사시도를,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혼합주 제조기의 하부를 보여주는 사시도를,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혼합주 제조기의 B-B 단면도를,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주 제조기의 종단면도를,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혼합주 제조기의 사용상태도를,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혼합주 제조기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주 제조기(100)는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제1경사부(11)가 마련되고, 그 외주에는 음료(1)나 술이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1외주홈(12)이 형성된 분할판(10)과, 상기 분할판(10)의 하부에 위치하며,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제2경사부(41)가 마련되고, 그 외주에는 음료(1)나 술이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2외주홈(42)이 형성된 하부분할판(40)과, 상기 분할판(10)의 상면에 형성된 손잡이(20)를 포함하는 혼합주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10)과 하부분할판(40) 및 손잡이(20)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액체(30)가 밀봉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주 제조기(100) 내부에 밀봉되는 액체(30)로는 물이 사용되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20)는 다양한 캐릭터의 모습을 형상화하여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혼합주 제조기(100)는 냉장고 등의 냉각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내부에 수용된 액체(30)를 차갑게 얼린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얼려져 차가운 본 발명의 혼합주 제조기(100)를 통상의 맥주컵(4)에 수용한 상태에서 음료(1), 양주(2), 맥주(3) 등이 혼합된 혼합주를 제작하므로, 혼합주를 위생적으로 간편히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맥주컵(4)에 수용된 혼합주는 얼려진 액체(30)에서 발산되는 냉기에 의해서 시원하게 차가워져 사용자가 시원한 혼합주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시원한 음료(1), 술 등이 선호되는 무더운 여름철에 맥주컵(4)에 수용된 혼합주가 주변의 높은 온도로 인해 금방 데워져 맛이 텁텁하고 깔끔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맥주컵(4)에 수용된 혼합주를 언제든지 시원하게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혼합주 제조기(100)를 사용하여 혼합주를 제조하는 방법은,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등록번호 제10-0908186호 : 혼합주 제조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주 제조기(100)는 합성수지로 제조하여 액체(30)가 어는 과정에서 팽창시에 제품이 쉽게 파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금형을 통한 사출제작으로 제작의 편의성 및 제품의 저렴한 단가를 확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주 제조기(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된 액체(30)가 얼려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주 제조기(100)를 맥주컵(4)에 삽입한 후, 상기 맥주컵(4)의 내부로 음료(1), 양주(2), 맥주(3)를 순차적으로 혼입한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맥주컵(4)에 수용된 혼합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주 제조기(100) 내부에 수용되어 얼려진 액체(30)에서 발산되는 냉기에 의해서 항상 시원하게 유지되므로, 사용자는 언제든지 시원한 혼합주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주 제조기(100)는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제1경사부(11)가 마련되고, 그 외주에는 음료(1)나 술이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1외주홈(12)이 형성된 분할판(10)과, 상기 분할판(10)의 하부에 위치하며,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제2경사부(41)가 마련되고, 그 외주에는 음료(1)나 술이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2외주홈(42)이 형성된 하부분할판(40)과, 상기 분할판(10)의 상면에 형성된 손잡이(20)를 포함하는 혼합주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10)과 하부분할판(40) 및 손잡이(20)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수용공간(50)이 마련되며, 하부에는 상기 수용공간(50)과 연통되되, 그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61)이 형성되는 연통관로(60)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관로(60)는 상기 제1나사산(61)과 대응되는 제2나사산(71)이 내주면에 형성되는 개폐덮개(70)에 의해서 용이하게 개폐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덮개(70)는 다양한 캐릭터의 모습을 형상화하여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주 제조기(100)는 개폐덮개(70)를 분리하고 상기 수용공간(50) 내부에 물, 음료(1), 술 등의 액체(5)를 충진할 수 있으며, 충진이 완료되면 상기 개폐덮개(70)로 상기 연통관로(60)를 폐쇄하여 상기 수용공간(50)을 밀폐시키고, 냉장고 등의 냉동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공간(50)에 충진된 액체(5)를 차갑게 얼린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는 얼려져 차가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주 제조기(100)를 맥주컵(4)에 수용하여 상기 맥주컵(4)에 수용된 혼합주가 얼려진 액체(5)에서 발산되는 냉기에 의해서 시원하게 차가워져 사용자가 시원한 혼합주를 언제든지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50)에 충진된 액체(5)를 냉각하여 얼린 후, 상기 개폐덮개(70)를 분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주 제조기(100)를 맥주컵(4)에 수용하여 혼합주를 제조하여 차가운 액체에서 발산되는 냉기에 의해서 맥주컵(4)에 수용된 혼합주가 차갑게 시원해지는 것은 물론이며, 상기 수용공간(50)에 충진된 액체(5)가 서서히 녹으면서 상기 연통관로(60)를 통해서 배출되어 맥주컵(4)에 수용된 혼합주가 독특한 맛이 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용공간(50)에 충진된 액체(5)로 음료(1)나 물을 사용하면, 음료(1)의 부드러운 맛이 더해지거나 물이 혼합주의 알코올 성분을 희석하여 혼합주의 섭취를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주 제조기(100)는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제1경사부(11)가 마련되고, 그 외주에는 음료(1)나 술이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1외주홈(12)이 형성된 분할판(10)과, 상기 분할판(10)의 하부에 위치하며,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제2경사부(41)가 마련되고, 그 외주에는 음료(1)나 술이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2외주홈(42)이 형성된 하부분할판(40)과, 상기 분할판(10)의 상면에 형성된 손잡이(20)를 포함하는 혼합주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10)과 하부분할판(40)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액체(110)가 밀봉되게 구성되며, 상기 분할판(10)의 상부 외주면에는 제3나사산(120)이 형성되며, 상기 분할판(10)의 상면에는 안치 홈(130)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20)는 하부가 개방되되, 하부 내주면에는 상기 제3나사산(120)과 대응되어 체결되는 제4나사산(140)이 형성되며, 상기 안치 홈(130)에는 형광물체(150)가 안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음료 2. 양주
3. 맥주 4. 맥주컵
5. 액체
10. 분할판 11. 제1경사부
12. 제1외주홈 20. 손잡이
30, 110. 액체 40. 하부분할판
41. 제2경사부 42. 제2외주홈
50. 수용공간 60. 연통관로
61. 제1나사산 70. 개폐덮개
71. 제2나사산 100. 혼합주 제조기
120. 제3나사산 130. 안치 홈
140. 제4나사산 150. 형광물체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제1경사부(11)가 마련되고, 그 외주에는 음료(1)나 술이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1외주홈(12)이 형성된 분할판(10)과, 상기 분할판(10)의 하부에 위치하며,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제2경사부(41)가 마련되고, 그 외주에는 음료(1)나 술이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2외주홈(42)이 형성된 하부분할판(40)과, 상기 분할판(10)의 상면에 형성된 손잡이(20)를 포함하는 혼합주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10)과 하부분할판(40)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액체(110)가 밀봉되게 구성되며, 상기 분할판(10)의 상부 외주면에는 제3나사산(120)이 형성되며, 상기 분할판(10)의 상면에는 안치 홈(130)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20)는 하부가 개방되되, 하부 내주면에는 상기 제3나사산(120)과 대응되어 체결되는 제4나사산(140)이 형성되며,
    상기 안치 홈(130)에는 형광물체(150)가 안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주 제조기.

KR1020100096055A 2010-10-01 2010-10-01 혼합주 제조기 KR101218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055A KR101218500B1 (ko) 2010-10-01 2010-10-01 혼합주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055A KR101218500B1 (ko) 2010-10-01 2010-10-01 혼합주 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467A KR20120034467A (ko) 2012-04-12
KR101218500B1 true KR101218500B1 (ko) 2013-01-03

Family

ID=46136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055A KR101218500B1 (ko) 2010-10-01 2010-10-01 혼합주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362A (ko) 2014-09-05 2016-03-15 태호 윤 혼합주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6842U (ja) * 1993-12-24 1995-07-11 ジャパントレーディング大阪株式会社 冷酒用容器
KR200288325Y1 (ko) * 2002-05-29 2002-09-10 김성중 술잔
KR200315072Y1 (ko) * 2003-01-14 2003-06-02 이창희 시각적 효과를 겸비한 맥주컵
KR20080100741A (ko) * 2007-05-14 2008-11-19 최원철 혼합주 제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6842U (ja) * 1993-12-24 1995-07-11 ジャパントレーディング大阪株式会社 冷酒用容器
KR200288325Y1 (ko) * 2002-05-29 2002-09-10 김성중 술잔
KR200315072Y1 (ko) * 2003-01-14 2003-06-02 이창희 시각적 효과를 겸비한 맥주컵
KR20080100741A (ko) * 2007-05-14 2008-11-19 최원철 혼합주 제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362A (ko) 2014-09-05 2016-03-15 태호 윤 혼합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467A (ko)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3283U (ja) 熱冷飲料用容器
CN201920313U (zh) 可再加热的冷暖壶
CN103708115A (zh) 冷热冰冻容器
KR20130001866U (ko) 음료수컵의 얼음 격리용 포켓장치
KR101218500B1 (ko) 혼합주 제조기
CN202765556U (zh) 冷热冰冻容器
US20080196443A1 (en) P.R.O. cooler or the perfectly re-engineered omni cooler
KR101941708B1 (ko)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
US20090020542A1 (en) Self-cooling plastic drink bottle
CN201782464U (zh) 冰杯结构
US7272935B1 (e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ice around a bottle
WO2015189069A1 (en) Iced beverage preparation kit
JP4708774B2 (ja) 複合式容器
CN208688098U (zh) 一种具有造冰功能的硅胶冰镇桶
KR20120120662A (ko) 주류 및 음료용 보냉케이스
KR101743281B1 (ko) 냉기를 유지하는 컵
US20090020541A1 (en) Self-cooling plastic drink bottle
KR200250580Y1 (ko) 맥주잔에 착탈되는 냉각구
KR200412069Y1 (ko) 이중 용기
CN213757663U (zh) 一种原味饮料杯
JP3012981B1 (ja) 保冷温容器に市販ペットボトルの液体を詰入する詰入方法及び保冷温容器
KR200379602Y1 (ko) 간편 냉온유지 팩
CN206333649U (zh) 一种带展示功能的冷饮柜
KR200170063Y1 (ko) 일회용컵에내장된커피믹서와일회용수푼
KR200370532Y1 (ko) 주류 병의 온도 냉각용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