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931B1 - 유압 시스템 및 유압 시스템의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유압 시스템 및 유압 시스템의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931B1
KR101232931B1 KR1020050085523A KR20050085523A KR101232931B1 KR 101232931 B1 KR101232931 B1 KR 101232931B1 KR 1020050085523 A KR1020050085523 A KR 1020050085523A KR 20050085523 A KR20050085523 A KR 20050085523A KR 101232931 B1 KR101232931 B1 KR 101232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plug
pressure medium
sealing memb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1273A (ko
Inventor
토마스 람호퍼
얀 그라벤슈테터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60051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 매체 탱크, 압력 매체 라인의 제 2 라인 코일과 연결된 마스터 실린더, 압력 매체 라인의 제 1 라인 코일과 연결된 슬레이브 실린더를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 유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가 압력 매체로 사전 충전되며, 또한 상기 유압 시스템은 밸브를 구비한, 상기 밸브로부터 압력 매체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러그부 및 리셉터클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압 플러그인 커넥터를 포함한다.
플러그부와 리셉터클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사전 충전된 유압 시스템을 최종 장착하는 과제는, 플러그부와 리셉터클이 조립되면 상기 플러그부의 밸브가 회전 소켓으로서 구현된 어댑터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개방됨으로써 달성된다.
Figure R1020050085523
유압, 시스템, 클러치, 개방, 폐쇄

Description

유압 시스템 및 유압 시스템의 충전 방법{HYDRAULIC SYSTEM AND METHOD FOR FILL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클러치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유압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조립 방법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 설명*
1: 유압 시스템
2: 플러그 커넥터
3: 클러치 릴리스 장치
4: 마스터 실린더
5: 슬레이브 실린더
6: 릴리스 기계장치
7: 클러치
8: 내연기관
9: 크랭크축
10: 트랜스미션 입력축
11: 제 1 라인 코일
12: 제 2 라인 코일
13: 기계적 전달
14: 압력 매체 탱크
15: 압력 매체 라인
16: 플러그 / 플러그부
17: 리셉터클
18: 대칭축
19: 플러그 기본 몸체
20: 플러그의 세로 보어
21: 플러그의 가로 보어
22: 원통형 영역
23: 돌기
24: 쇼울더
25: 밀봉 부재
26: 회전 소켓 / 플러그부
27, 43: 융기부
28: 밸브
29: 리셉터클의 세로 보어
30: 리셉터클의 보어
31: 링크
32: 제 1 영역
33: 제 2 영역
34: 선형 스프링을 위한 리셉터클 내 홈
35: 선형 스프링 / 고정 클립
36: 플러그 내 홈
37: 회전 소켓 내 홈
40: O-링
44: 리세스 / 제 1 맞물림 수단
45: 세로 보어
46: 가로 보어
47: 원통형 연장부
48: 밸브
50: 보어
51: 채널
53: 이음매 / 제 2 맞물림 수단
54: 베이어닛 조인트
본 발명은, 압력 매체 라인을 포함하는 마스터 실린더, 압력 매체 라인을 포 함하는 슬레이브 실린더 및 상기 두 압력 매체 라인을 연결하는 플러그인 커넥터를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 사전 충전식 유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공급 시점에 마스터 실린더와 슬레이브 실린더 및 상기 두 실린더를 연결하는 유압 라인이 사전 충전되거나, 또는 사전 충전된 제 1 부분 시스템(라인의 일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실린더) 및 사전 충전된 제 2 부분 시스템(라인의 일부를 포함하는 슬레이브 실린더)이 분리되어 각각 먼저 밀봉되고, 복잡한 플러그인 장치에 의해 상기 두 부분 시스템이 서로 연결되는 릴리스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사전 충전된 유압 시스템의 부품들을 최대한 간단한 플러그인 커넥터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압력 매체 탱크, 압력 매체 라인의 제 2 라인 코일과 연결된 마스터 실린더, 압력 매체 라인의 제 1 라인 코일과 연결된 슬레이브 실린더를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 유압 시스템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가 압력 매체로 사전 충전되며, 상기 유압 시스템은 밸브를 구비한, 상기 밸브로부터 압력 매체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러그부 및 리셉터클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압 플러그인 커넥터를 포함한다. 플러그부와 리셉터클이 조립되면 밸브가 개방됨으로써 유압 시스템의 모든 부품 내로 유압 매체가 유입될 수 있다.
플러그부와 리셉터클은 상기 두 부품의 결합 내지는 예컨대 선형 스프링에 의한 회전 소켓/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잠금 또는 베이어닛 조인트에 의한 회전 소켓과 리셉터클의 잠금이 가능하도록 또는 추가의 수작업 없이 밸브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플러그부와 리셉터클이 조립된다는 것은 상기 두 부품이 서로 잠긴 위치까지 결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한 잠금장치는 선형 스프링에서와 같이 플러그인 결합의 일부가 되거나, 베이어닛 조인트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어닛 조인트에 접속될 수 있다.
유압 시스템의 한 개선예에서는, 플러그부가 상기 플러그부의 원통형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영역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밀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밀봉 부재는 플러그부 내에 삽입된 가로 보어와 함께 밸브를 형성하며, 플러그부와 리셉터클의 조립시 상기 밸브가 폐쇄되는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밸브가 개방되는 제 2 위치로 이동된다. 밸브가 개방되면 밀봉 부재는 상기 (제 2) 위치에 머무른다.
유압 시스템의 한 개선예에서는 밀봉 부재가 바람직하게 융기부를 포함하는 개스킷(gasket)이고, 상기 융기부는 바람직하게 밀봉 부재의 리셉터클 반대편에 배치된다. 밀봉 부재는 밸브의 일부분으로서, 상기 밸브의 작동에 사용된다.
유압 시스템의 한 개선예에서는, 밀봉 부재가 플러그부와 리셉터클의 결합 위치에서 상기 두 부품의 밀봉 장치의 일부분을 이룸에 따라 추가의 밀봉 장치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한 바람직한 개선예에서는, 플러그의 단부측에 리셉터클 방향으로 밀봉 부재의 스토퍼로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제공된 다.
유압 시스템의 한 개선예에서는, 각각의 플러그부와 리셉터클이 상기 두 부품의 축 방향 잠금을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수단은 바람직하게 플러그부와 리셉터클에 빙 둘러 형성되는 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홈에는 브래킷(bracket) 형태의 선형 스프링이 맞물릴 수 있다.
유압 시스템의 한 개선예에서는, 리셉터클이 링크(link)를 가지며 상기 링크는 플러그부와 리셉터클의 조립시 밀봉 부재의 융기부에 접촉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밀봉 부재가 플러그부에 반하여 축방향으로 밀린다. 바람직하게 환형 링크에 의해 밀봉 부재가 축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밸브가 개방된다.
유압 시스템의 한 개선예에서는, 플러그가 회전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소켓은 플러그에 배치되어 제 1 회전 위치에서는 밸브를 잠그고 제 2 회전 위치에서는 밸브를 연다. 이 경우에는 밸브 작동이 플러그부와 리셉터클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결합 이후에 상기 두 부품이 상대 회전을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유압 시스템의 한 개선예에서는, 회전 소켓이 제 1 맞물림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 1 맞물림 수단은 회전 소켓과 리셉터클의 결합시 리셉터클에 배치된 제 2 맞물림 수단과 함께 회전 소켓과 리셉터클을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맞물림 수단은 돌출부들을 가진 리세스, 홈 및 스프링형 맞물림 수단, 톱니 장치 등일 수 있다. 상기 맞물림 수단들은 플러그부와 리셉터클의 조립시 서로 맞물린다. 바람직하게는 플러그부 또는 리셉터클이 두 부분으로 형성되고, 이때 제 1 부분이 라인에 고정된 제 2 부분에 대해 상대 회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러그부가 플러그 및 회전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두 부품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브래킷에 의해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상기 두 플러그 부품의 밀봉을 위해 O-링 또는 그와 유사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유압 시스템의 한 개선예에서는, 회전 소켓과 리셉터클이 베이어닛 조인트를 통해 서로에 대해 잠길 수 있다. 그 결과, 동시에 상기 두 부품의 상대 회전이 이루어짐으로써 밸브가 개방된다.
도입부에 언급한 과제는 마스터 실린더, 슬레이브 실린더 및 압력 매체 라인이 마스터 실린더의 반복 작동에 의해 충전됨으로써 유압 시스템이 충전되는 방법을 통해서도 해결된다. 상기 반복 작동은 조립 단계 이후에도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클러치 구동기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하기에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도 1에는 릴리스 장치(3), 압력 매체 탱크(14)와 연결된 마스터 실린더(4), 슬레이브 실린더(5) 및 릴리스 기계 장치(6)를 사용하여 클러치를 작동하기 위한 유압 시스템(1)의 한 가능 형상이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모든 부품이 압력 매체 라인(15)과 유압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러그 커넥터(2)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연결하는 압력 매체 라인(15) 내에 장착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제 1 라인 코일(12) 및 제 2 라인 코일(11)로 분할된 압력 매체 라인(15)의 연결에 사용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러그 커넥터(2)가 예컨대 마스터 실린더(4) 또는 슬레이브 실린더(5)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에 동시에 소위 "방진 필터"와 같은 진동 필터의 기능이 통합될 수 있다.
클러치 릴리스 장치(3)는 페달 또는 구동기, 예컨대 전기 구동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릴리스 장치(3)를 이용하여 마스터 실린더(4)를 가압함으로써 유압식으로 클러치(7)를 구동한다. 그 결과, 기계적 전달로(13)를 통해 마스터 실린더(4) 내에 압력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은 압력 매체 라인(15) 내지는 제 2 라인 코일(11), 플러그 커넥터(2) 및 제 1 라인 코일(12)을 거쳐 슬레이브 실린더(5) 내에 압력을 형성한다. 슬레이브 실린더(5)는 - 도 1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 트랜스미션 입력축(10)과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고, - 도시되지 않은 - 트랜스미션 하우징에 축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릴리스 베어링을 통해 클러치(7) 내지는 다이어프램 스프링과 같은 상기 클러치의 릴리스 수단에 필요한 릴리스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들은 릴리스 기계 장치를 통해 릴리스 베어링을 구동하고 클러치 하우징 외부에 배치되는 슬레이브 실린더(5)를 제공하는데, 이때 상기 슬레이브 실린더는 마스터 실린더(4)와 유압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슬레이브 실린더(5)의 하우징 내에 장착된 피스톤을 이용하여 릴리스 기계 장치를 축방향으로 가압한다. 릴리스력의 제공을 위해 슬레이브 실린더(5)가 각각 트랜스미션 하우징(본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고정되거나, 하우징에 고정된 다른 부품에 장착된다. 트랜스미션 입력축(10)은 클러치(7)가 닫히면 내연기관(8)의 토크를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트랜스미션에 전달한 다음, 자동차의 구동 휠들에 전달한다.
도 2에는 플러그 커넥터(2)에 함께 소속된 플러그(16) 및 리셉터클(17)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도면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축방향으로 연장된 대칭 축(18)의 상부에는 플러그(16)와 리셉터클(17)이 결합시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대칭축(18)의 하부에는 상기 두 부품이 서로 연결되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플러그(16)는 예컨대 사출성형 또는 선반 가공 등을 통해 회전 대칭형으로 제조될 수 있는 기본 몸체(19)를 포함한다. 상기 기본 몸체(19) 내에는 세로 보어(20)가 제공되고, 상기 세로 보어는 기본 몸체(19)의 전방 영역에서 가로 보어(21)로 이어진다. 상기 가로 보어(21)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대칭축(18)에서 시작하여 반경방향으로 두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상기 가로 보어는 별 모양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보어들(21)로 구성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반경방향으로 세로 보어(20)까지 형성된 단일 보어(21)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기본 몸체(19)의 전방 영역은 그 외에도 원통형 영역(22)을 가지며, 상기 원통형 영역의 횡단면은 원형이고, 종단면은 도 2에 따라 반지름이 일정하다. 원통형 영역(22)의 앞쪽은 돌기(23)로 제한되고, 뒤쪽은 쇼울더(24)로 제한된다.
앞쪽 및 뒤쪽의 개념은 플러그(16)의 관점에서 플러그(16)와 리셉터클(17)의 통상적인 용도와 관련이 있다. 플러그(16)뿐만 아니라 리셉터클(17)에서도 상기 두 부품이 결합되는 방향이 각각 앞쪽으로 정의된다. 도 2에서 플러그(16)와 관련하여 종이의 플러그(16) 좌측이 앞쪽이고, 플러그(16)의 우측이 뒤쪽이다. 리셉터클(17)과 관련해서는 종이 우측이 앞쪽이고, 종이 좌측이 뒤쪽이다.
돌기(23)는 원주 방향으로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돌기가 예컨대 별 모양으로 기본 몸체(19)의 둘레에 분포된 다수의 개별 세그먼트들로 형성될 수도 있다.
원통형 영역(22)에는 밀봉 부재(25)가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된다. 즉, 다시 말해 기본 몸체(19)와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연결된다. 원통형 영역(22) 상에서의 밀봉 부재(25)의 이동성은 앞쪽으로는 돌기(23)에 의해, 그리고 뒤쪽으로는 쇼울더(24)에 의해 제한된다. 밀봉 부재(25)는 융기부(27)를 포함하는 개스킷으로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의 외경이 개스킷의 외경보다 큼에 따라 L자형 종단면이 생긴다. 밀봉 부재(25)는 플러그(16)와 리셉터클(17)이 결합되기 전에 상기 밀봉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가로 보어(21)를 밀폐시키는 전방의 제 1 위치로 이동되고, 플러그(16)와 리셉터클(17)이 연결되면 도 2의 하부 영역에 도시된 뒤쪽의 제 2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위치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 보어(21)가 개방된다. 적어도 하나의 가로 보어(21)는 밀봉 부재(25)와 함께 밸브(28)를 형성하고, 상기 밸브는 도 2의 상부 영역에 도시된 제 1의 밀폐 위치에서 리셉터클(17)에 대해 세로 보어(20)를 폐쇄하며, 도 2의 하부 영역에 도시된 제 2의 개방 위치에서는 리셉터클(17)에 대해 세로 보어(20)를 개방한다.
플러그(16)의 세로 보어(20)는 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 2 라인 코일(11)의 직경에 매칭되고, 리셉터클(17)의 세로 보어(29)는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 1 라인 코일(12)의 직경에 매칭되는데, 이는 플러그(16)와 리셉터클(17)이 상응하는 부분 라인 코일들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리셉터클(17)은 보어(30)를 포함하고, 상기 보어 내로 플러그(16)가 삽입될 수 있다. 보어(30) 내에는 링크(31)가 있어서 상기 보어(30)의 내경이 앞쪽으로 가면서 단계적으로 확대된다. 제 1 영역(32)에서는 보어(30)의 내경이 밀봉 부재 (25)의 외경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조적 형상으로 인해 플러그(16)가 도 2의 상부 영역에 도시된 위치까지 보어(30) 내로 삽입될 수 있고, 그 결과 융기부(27)가 링크(31)에 접하게 된다. 융기부(27)는 외부에 대해 밀폐되고, 그럼으로써 커넥터가 밀폐된다. 플러그(16)가 보어(30) 내로 더 들어가면, 융기부(27)의 뒷면이 쇼울더(24)에 접할 때까지 원통형 영역(22) 내에 있는 밀봉 부재(25)가 뒤로 밀린다. 도 2의 하부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로 보어(21)에서 밀봉 부재(25)가 제거됨으로써 밸브(28)가 열리고, 세로 보어 (20)과 (29) 사이에 압력 매체가 관류할 수 있다. 밀봉 부재(25)는 플러그(16)와 리셉터클(17)이 결합된 위치에서 상기 밀봉 부재(25)의 융기부(27)와 함께 두 표면 사이를 동시에 밀폐시킨다. 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은, 예컨대 O-링과 같은 형태의 또 다른 밀봉 부재가 추가로 존재할 수 있다. 리셉터클(17)의 홈(34) 내에는 고정 스프링 형태의 선형 스프링(35)이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은 플러그(16) 내 홈(36)과 함께 본래 공지되어 있는, 상기 두 플러그인 부재들(16, 17)의 로킹 연결을 형성한다. 플러그(16)와 리셉터클(17)간의 연결이 풀리면 밸브(28)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때 밀봉 부재(25)는 도 2의 하부 영역에 도시된 위치에 머무른다. 그럼으로써 플러그(16)로부터 유압액이 방출될 수 있다.
도 3에는 플러그인 연결(2)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플러그(16)와 리셉터클(17)이 조립된 상태, 즉 서로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두 부품은 회전 소켓(26)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플러그(16)는 여기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압력 매체 라인과 고정 연결된 기본 몸체(19)를 포함한다. 상기 기본 몸체(19)에는 회전 소켓(26)이 축방향 축선(1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회전 소켓(26)과 플러그(16)는 본래 공지된 방식으로 O-링(40)에 의해 상호 밀폐되고, 상기 O-링은 플러그(16)의 관련 홈 내에 배치된다. 플러그 및 회전 소켓(26)에 제공된 홈들(36, 37)에 맞물리는 선형 스프링(35)은 플러그(16)와 회전 소켓(26)이 형상 결합 및 강제 결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 클립으로 사용된다. 플러그(16)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그의 전방 영역에 원통형 영역(22)을 가지며, 상기 원통형 영역의 뒤쪽은 쇼울더(24)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원통형 영역(22)에는 융기부(43)를 가진 개스킷 형태의 밀봉 부재(25)가 배치된다. 밀봉 부재(25)는 대칭축(1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원통형 영역(22)에 배치된다. 밀봉 부재(25)는 상기 밀봉 부재 둘레의 부품들에 의해 리세스(44) 형태로 절단된다. 리세스(44)는 예컨대 세로 구멍의 방식으로 밀봉 부재(25) 내에 삽입될 수 있거나, 보어(46)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원통 형태와 상이한 윤곽(도 3에서 우측 상부로부터 좌측 하부로 - 즉 비스듬하게)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16)뿐만 아니라 회전 소켓(26) 내에도 일직선으로 세로 보어(45)가 설치되고, 상기 세로 보어는 회전 소켓(26)의 막힘 구멍(blind hole) 방식으로 앞쪽이 제한된다. 원통형 영역(22)의 전방 영역 내에는 가로 보어(46)가 배치되어 있다. 회전 소켓(26)의 회전 및 그로 인한 원통형 영역(22)의 회전에 의해 밀봉 부재(25) 아래의 가로 보어(46)가 회전하고, 그 결과 상기 가로 보어(46)가 폐쇄된다. 다른 도면에서는 리세스(44)가 가로 보어(46) 위로 제공됨에 따라 상기 가로 보어(46)가 개방된다. 여기서도 도 2 에서와 마찬가지로 가로 보어(46)와 밀봉 부재(25)가 밸브(48)를 형성하며, 상기 밸브는 제 1 위치에서 닫히고, 제 2 위치에서 열린다. 리셉터클(17)은 플러그(16)와 연결된 회전 소켓(26)을 수용하기 위한 보어(50)를 포함한다. 상기 보어(50)의 뒷부분에는 채널(51)이 제공되고, 상기 채널에 의해 리셉터클(17)의 길이 방향으로 보어(50)가 리세스 방식으로 뒤로 갈수록 확대된다. 이러한 조치의 목적은, 회전 소켓(26)의 원통형 연장부(47)가 유압액의 관류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리셉터클(17)의 세로 보어(29)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리세스(44)가 보어(50)의 내부 측면에 재형성됨에 따라, 결합 상태에서 리셉터클(17)에 대한 밀봉 부재(25)의 회전이 방지된다.
회전 소켓(26)과 리셉터클(17)은 베이어닛 조인트(5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밀봉 부재(25)의 융기부(43)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해볼 때, 리셉터클(17)과 회전 소켓(26) 사이의 밀폐에 사용된다.
리셉터클(17) 측은 사전 충전되지 않은 측이고, 회전 소켓(26)과 연결된 플러그(16)를 포함하는 측은 릴리스 시스템의 사전 충전된 측이다. 리셉터클(17)이 플러그(16)와 연결되기 위해 플러그(16)가 회전 소켓(26)과 함께 리셉터클(17) 내로 밀려들어가고, 이때 가로 보어(46)가 밀봉 부재(25)에 의해 폐쇄된다. 리셉터클(17)에 대해 회전 소켓(26)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플러그(16)의 단부에 돌기(23)(도시되지 않음)가 존재한다. 플러그(16)가 회전 소켓(26)과 함께 리셉터클(17) 안으로 밀려들어가고, 맞물림을 위해 베이어닛 조인트가 적절하게 회전하면, 밀봉 부재(25)가 리셉터클(17) 쪽 회전 방향으로 고정된다. 회전 소켓(26)의 회전 에 의해 가로 보어(46)가 밀봉 부재(25)로부터 회전되어 나오고, 그로 인해 밀봉 부재(25)와 가로 보어(46)의 커넥터 및 밸브(48)가 개방된다. 결합된 상태에서는 밀봉 부재(25)의 융기부(43)가 회전 소켓(26)에 대해 리셉터클(17)을 밀폐시킨다.
밀봉 부재(25)와 가로 보어(46)의 연결을 풀기 위해 가로 보어(46)가 밀봉 부재(25) 하부에 있는 회전 소켓(26)의 회전 운동에 의해 계속 회전한다.
하기에는 유압 시스템의 조립에 대해 기술한다.
2개의 라인 코일(11, 12)을 조립하기 전에 시스템의 일부가 미리 충전된다. 다른 라인 코일은 충전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슬레이브 실린더측은 충전되지 않고 마스터 실린더측은 충전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마스터 실린더측에는 도 2 및 도 3에 따라 밀봉 부재(25)가 배치된다. 슬레이브 실린더 측에서는 제 1 라인 코일(12), 마스터 실린더(4) 및 압력 매체 탱크(14)가 압력 매체로 충전되고, 이때 내부에 놓인 시일(도시되지 않음)이 압력 매체 탱크(14)로부터 압력 매체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정도로 마스터 실린더(4)의 피스톤이 클러치 방향으로 가압된다. 제 1 라인 코일(12)에 미리 장착된 리셉터클(17)에 의해 상기 사전 충전된 부분 시스템이 밀폐된다.
슬레이브 실린더측 및 아직 압력 매체가 존재하지 않는 제 2 라인 코일(11)이 플러그(16)와 미리 조립된다.
두 부분 시스템의 연결시 회전 소켓(26)을 포함하는 리셉터클(17)이 플러그(16) 내로 밀려들어가고, 그럼으로써 플러그인 커넥터(2)가 형성된다. 이 과정에서 밸브(28 또는 48)가 개방됨에 따라 마스터 실린더측으로부터 슬레이브 실린더측 으로 압력 매체가 흐를 수 있다. 유압 시스템(1)의 환기는 클러치 릴리스 장치(3)를 여러 번 작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슬레이브 실린더측 내지는 제 1 라인 코일(12)로부터 제 2 라인 코일 내지는 마스터 실린더(4) 내로 침투된 기포들이 압력 매체 탱크(14)를 통해 유압 시스템(1) 외부로 공급되고, 리턴 스트로크시 압력 매체 탱크(14)로부터 압력 매체가 마스터 실린더(4) 피스톤의 스누프(snoop) 위치를 지나 유압 시스템(1) 내로 유입된다. 상기 과정은 전체 유압 시스템(1)이 환기될 때까지 여러 번 반복된다. 이를 위해 예컨대 초당 약 5mm의 프리스트로크 속도 및 초당 약 25mm의 리턴 스트로크 속도로 10회의 스트로크가 실시된다. 스누프 위치에서의 정지 시간은 약 0.5초이다.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4)이 전방 위치에 있게 되는 부하 위치에서의 정지 시간은 약 0.1초이다. 상기 10회의 스트로크 이후, 상기 10회의 스트로크와 동일한 프리스트로크 및 리턴 스트로크 속도에서 5mm 이상의 추가 스트로크가 27회 실시된다. 그러나 이 경우 스누프 위치에서의 정지 시간은 1.1초이고, 가압 위치에서의 정지 시간은 0.1초이다. 이러한 작업 과정 이후에 전체 시스템이 환기된다. 상기 환기 과정은 약 2분간 지속되고, 예컨대 클러치 구동기의 자동화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사전 충전된 유압 시스템의 부품들을 최대한 간단한 플러그인 커넥터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서로 연결할 수 있다.

Claims (12)

  1. 유압 시스템에 있어서,
    압력 매체 탱크, 압력 매체 라인의 제 2 라인 코일과 연결된 마스터 실린더, 압력 매체 라인의 제 1 라인 코일과 연결된 슬레이브 실린더를 포함하고,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로부터 압력 매체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러그부 및 리셉터클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압 플러그인 커넥터(2)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부와 리셉터클이 조립되면 상기 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압력 매체 탱크, 상기 마스터 실린더 및 상기 슬레이브 실린더 중 적어도 하나는 압력 매체로 사전 충전되며,
    상기 플러그부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고정 클립에 의해 서로 축방향으로 고정된 플러그와 회전 소켓으로 형성되어 상기 리셉터클과 잠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과 결합될 수 있는 플러그부에 밸브가 제공되고, 상기 밸브는 플러그부 내 가로 보어 및 밀봉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플러그부의 원통형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영역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가 융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는 상기 밀봉 부재의 리셉터클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시스템.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를 포함하는 밀봉 부재는 상기 플러그부와 리셉터클의 결합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부와 리셉터클 사이의 밀봉 장치의 일부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시스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의 단부측에 리셉터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시스템.
  8. 삭제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이 링크(link)를 가지며, 상기 링크는 상기 플러그부와 리셉터클의 결합시 상기 밀봉 부재의 융기부에 접촉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플러그부에 반하여 축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소켓이 제 1 맞물림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 1 맞물림 수단은 회전 소켓과 리셉터클의 결합시 상기 리셉터클에 배치된 제 2 맞물림 수단과 함께 회전 소켓과 리셉터클을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소켓과 리셉터클이 베이어닛 조인트를 통해 서로에 대해 잠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시스템.
  12. 자동차용 유압 시스템의 충전 방법에 있어서,
    압력 매체 탱크, 압력 매체 라인의 제 2 라인 코일과 연결된 마스터 실린더, 압력 매체 라인의 제 1 라인 코일과 연결된 슬레이브 실린더를 포함하고,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로부터 압력 매체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러그부 및 리셉터클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압 플러그인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가 사전 충전되고, 마스터 실린더, 슬레이브 실린더 및 압력 매체 라인이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반복 구동에 의해 충전되며,
    상기 플러그부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고정 클립에 의해 서로 축방향으로 고정된 플러그와 회전 소켓으로 형성되어 상기 리셉터클과 잠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시스템 충전 방법.
KR1020050085523A 2004-09-21 2005-09-14 유압 시스템 및 유압 시스템의 충전 방법 KR101232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45645 2004-09-21
DE102004045645.3 2004-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273A KR20060051273A (ko) 2006-05-19
KR101232931B1 true KR101232931B1 (ko) 2013-02-13

Family

ID=35456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523A KR101232931B1 (ko) 2004-09-21 2005-09-14 유압 시스템 및 유압 시스템의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637745A2 (ko)
JP (1) JP5298268B2 (ko)
KR (1) KR1012329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4565A1 (de) * 2013-08-16 2015-02-1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Ventilanordnung für ein Kupplungssystem
DE102013014205A1 (de) * 2013-08-26 2015-02-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Dämpfungsventil für Kupplung
FR3033377B1 (fr) * 2015-03-04 2017-02-24 Valeo Embrayages Actionneur pour commande hydraulique d'embraya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950A (ja) * 1995-04-28 1997-01-28 Valeo シールされた流体カップリング
JPH09512892A (ja) * 1994-05-10 1997-12-22 スコール・コーポレーション 接続時に流体を流動させ且つ接続解除時に相互に再密封する協働部分を有する、二つの部分から成る継手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873Y2 (ko) * 1976-03-05 1982-02-09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2892A (ja) * 1994-05-10 1997-12-22 スコール・コーポレーション 接続時に流体を流動させ且つ接続解除時に相互に再密封する協働部分を有する、二つの部分から成る継手構造体
KR100377054B1 (ko) * 1994-05-10 2003-08-27 스콜 코포레이션 연결시유체를유동시키고분리시상호다시밀봉시키는두부분으로구성된커플링구조체
JPH0925950A (ja) * 1995-04-28 1997-01-28 Valeo シールされた流体カップリング
KR100415888B1 (ko) * 1995-04-28 2004-05-12 발레오 밀봉된유압커플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90548A (ja) 2006-04-06
JP5298268B2 (ja) 2013-09-25
KR20060051273A (ko) 2006-05-19
EP1637745A2 (de)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385B1 (ko) 전기 유압식 밸브 컨트롤러를 구비한 내연기관의 실린더 헤드 및 실린더 헤드용 유압 유닛
US7287376B2 (en) Hydraulic cylinder, in particular slave cylinder for a hydraulic clutch actuat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US6659252B2 (en) Clutch actuating apparatus
JPH01145256A (ja) 液圧ブレーキ装置のタンデムマスタシリンダ
KR101232931B1 (ko) 유압 시스템 및 유압 시스템의 충전 방법
KR100962274B1 (ko) 유압 구동 시스템
US5083433A (en) Prefilled hydraulic actuator apparatus with separate reservoir and quick-connect between them
JP2744829B2 (ja) ダイアフラムばねを有する流体圧作動摩擦ディスククラッチを制御する装置
US20070092389A1 (en) Piston pump
CN107264503B (zh) 电磁阀、车辆用制动液压控制装置及电磁阀的制造方法
US7493849B2 (en) Hydraulic cylinder, in particular slave cylinder for a hydraulic clutch actuat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JP5373294B2 (ja) 油圧制御解除装置
US5957030A (en) Actuator and the process for its assembly
KR101511498B1 (ko) 펌프 부재, 펌프 부재를 구비한 유압 블록 및 장착 방법
US6938536B2 (en) Central release device for a hydraulic clutch actuation system
KR101117372B1 (ko) 마스터 실린더 및 덤프 밸브의 조립체
US8117838B2 (en) Master brake cylinder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brake system
JPH06159518A (ja) オイルシール組込装置
KR101883162B1 (ko) 자동차용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의 푸쉬로드 회전방지 장치
CN212106710U (zh) 一种塑料活塞总成
WO1988009734A1 (en) A hydraulic actuator for connection to a reservoir
KR101873427B1 (ko) 자동차용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의 푸쉬로드 회전방지 장치
KR100586190B1 (ko) 클러치 컨트롤 시스템의 크레비스 핀 체결구조
JP3112523B2 (ja) 変速機操作装置
US20080302618A1 (en) Hydraulic Coupling For An Actuating System For Actuating A Motor Vehicle Clu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