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817B1 -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 - Google Patents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817B1
KR101232817B1 KR1020100081331A KR20100081331A KR101232817B1 KR 101232817 B1 KR101232817 B1 KR 101232817B1 KR 1020100081331 A KR1020100081331 A KR 1020100081331A KR 20100081331 A KR20100081331 A KR 20100081331A KR 101232817 B1 KR101232817 B1 KR 101232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extract
mulberry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929A (ko
Inventor
이동욱
김현덕
서정숙
정윤지
Original Assignee
전주기전대학 산학협력단
필로스 주식회사
춘향오디 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기전대학 산학협력단, 필로스 주식회사, 춘향오디 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전주기전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81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817B1/ko
Publication of KR20120021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8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유용한 성분이 다량 함유됨은 유용한 약리작용이 있는 오디로부터 추출한 단일 또는 복합추출물을 통해 풍부한 거품과 함께 보습효과와 클렌징 효과가 탁월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오디추출물(ODI extract-8)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Water) 850∼860 중량부, Disodium EDTA 0.8∼1.2 중량부, Glycerine 55∼65 중량부, Sodium Laureth Sulfate 550∼650 중량부, Cocamido Propyl Betaine 95∼105 중량부, Cocamide DEA 65∼75 중량부, Glycol Distearate 14∼18 중량부, Methylchloroisothiazolinone 또는 Methylisothiazolinone 0.8∼1.2 중량부, Citric Acid 2∼3 중량부, Sodium Chloride 8∼12 중량부, Potassium Cocoyl Glutamate 55∼65 중량부, Allantoin 1.8∼2.2 중량부, Dipotassium Glycyrrhizate 0.8∼1.2 중량부, Perfume 18∼22 중량부, Camellia Sinensis Leaf Extract 1.8∼2.2 중량부 , Beta-Glucan 1.8∼2.2 중량부, 상백피 추출물 1.8∼2.2 중량부, Tocopheryl Acetate 0.8∼1.2 중량부, Resveratrol(ODI extract-E21) 4∼8 중량부, BFC-1(Berry Fruits Complex) 4∼8 중량부 및 천연색소 적색1호 75∼85 중량부의 조성비로 혼합 조성된다.

Description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Bathing preparation contain mulberry extract}
본 발명은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디로부터 추출한 단일 또는 복합추출물을 통해 수돗물에도 풍부한 거품과 함께 보습효과와 클렌징 효과가 탁월한 홈 케어용 제품으로써의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욕제란 어떤 물질을 욕탕에 넣었을 때 그 물질의 성분이 욕수에 녹아 어우러진 물로 목욕함으로써 목욕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일종의 약제를 말한다. 그러므로, 단순히 무드를 조성하기 위하거나 온천 분위기를 내기 위한 감각적인 것이 아니고 의학적으로도 효과가 인정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입욕제는 수돗물의 욕수보다 온열효과와 보온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약리작용이 있다는 것도 증명되어 있으므로 권장할 만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입욕제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입욕제를 넣은 탕에서 목욕한 경우 입욕 후의 피부 온도가 일반 탕에서 목욕한 후의 피부 온도보다 높으며, 1시간 반이 지난 후에 도 역시 높았다고 한다. 또한, 혈액순환량도 약 20%가 높았다고 한다.
한편, 전술한 입욕제는 우리의 생활 주변에 얼마든지 있다. 예컨대, 소금의 경우 소금은 피부의 세포를 활성화하고 피부 말초신경의 혈행을 좋게 하는 작용이 있다. 그리고, 노폐물의 분비를 촉진시켜 세포가 나트륨과 칼륨의 균형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보온력도 가지고 있다. 탕에 소금을 넣을 때 한 줌 넣는 것만으로도 입욕제로써의 기능이 충분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욕제로써의 소금 이외에도 라벤더나 로즈마리와 같은 허브, 양질의 단백질을 비롯하여 동물의 생명을 유지하는 여러 가지 영양소가 균형있게 함유되어 있어 피부 세포의 활성화와 비정상적인 피부를 곱게 만드는데 이상적인 우유, 아토피성 피부염에 특히 좋음은 물론 피부염증을 진정시키는 소다, 향기도 좋을 뿐만 아니라 향을 내는 메티니오이게놀과 아자릴알데하이드 등의 정유성분이 물에 녹아 있으므로 피부를 자극하여 혈행을 좋게 하는 창포 등 다양한 입욕제가 있다. 또한, 가정에 있는 입욕제로써 생강, 유자, 무화과, 율무, 오이, 미나리, 쑥갓, 마늘, 모과 및 알로에 등을 들 수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성분들을 함유하는 입욕제이 제품들이 속속 출시되고 있으나 풍부한 거품과 함께 보습효과와 클렌징 효과가 탁월함은 물론, 피부에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오디로부터 추출한 단일 또는 복합추출물을 이용한 제품의 개발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인체에 유용한 성분이 다량 함유됨은 유용한 약리작용이 있는 오디를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과 연구 개발이 한창 진행되고는 있으나 오디를 이용한 주류나 음료 제품 이외에는 뚜렷하게 이렇다할 제품이 개발되지 않아 오디의 이용성에 많은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체에 유용한 성분이 다량 함유됨은 유용한 약리작용이 있는 오디로부터 추출한 단일 또는 복합추출물을 통해 풍부한 거품과 함께 보습효과와 클렌징 효과가 탁월하도록 한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오디로부터 추출한 단일 또는 복합추출물을 통해 풍부한 거품과 함께 보습효과와 클렌징 효과가 탁월한 입욕제를 제공함으로써 목욕이나 샤워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는 오디추출물(ODI extract-8)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Water) 850∼860 중량부, Disodium EDTA 0.8∼1.2 중량부, Glycerine 55∼65 중량부, Sodium Laureth Sulfate 550∼650 중량부, Cocamido Propyl Betaine 95∼105 중량부, Cocamide DEA 65∼75 중량부, Glycol Distearate 14∼18 중량부, Methylchloroisothiazolinone 또는 Methylisothiazolinone 0.8∼1.2 중량부, Citric Acid 2∼3 중량부, Sodium Chloride 8∼12 중량부, Potassium Cocoyl Glutamate 55∼65 중량부, Allantoin 1.8∼2.2 중량부, Dipotassium Glycyrrhizate 0.8∼1.2 중량부, Perfume 18∼22 중량부, Camellia Sinensis Leaf Extract 1.8∼2.2 중량부 , Beta-Glucan 1.8∼2.2 중량부, 상백피 추출물 1.8∼2.2 중량부, Tocopheryl Acetate 0.8∼1.2 중량부, Resveratrol(ODI extract-E21) 4∼8 중량부, BFC-1(Berry Fruits Complex) 4∼8 중량부 및 천연색소 적색1호 75∼85 중량부의 조성비로 혼합 조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오디추출물(ODI extract-8)은 오디(뽕나무열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Water) 750∼850 중량부 및 Tween 80(계면활성제) 80∼12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20∼45℃의 온도 조건하에서 20∼30시간 동안 침지시켜 수득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상백피 추출물은 에탄올 또는 BG(Butylene Glycol) 각각의 50% 수용액 또는 에탄올과 BG(Butylene Glycol)가 혼합된 혼합 수용액 상에 세척된 상백피를 상온에서 1∼7일간 침잠시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BFC-1(Berry Fruits Complex : 베리류 복합 추출물)은 오디(Mulberry), 딸기(Strawberry), 블루베리(Blueberry), 크랜베리(Craneberry), 복분자(Raspberry)로 이루어진 혼합베리를 Ethanol에 침지시킨 다음, 40∼50℃의 온도 조건하에서 20∼30 시간 동안 방치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때, 혼합베리와 Ethanol의 조성비는 5∼15 : 85∼95 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될 수 있다. 그리고, 혼합베리를 구성하는 오디(Mulberry), 딸기(Strawberry), 블루베리(Blueberry), 크랜베리(Craneberry) 및 복분자(Raspberry)는 동일 비율로 혼합 조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는 고체 타입, 액상 타입 및 액상 거품(폼)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의 입욕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인체에 유용한 성분이 다량 함유됨은 유용한 약리작용이 있는 오디로부터 추출한 단일 또는 복합추출물을 통해 풍부한 거품과 함께 피부 보습효과와 클렌징 효과가 매우 탁월한 홈 케어용 제품으로써의 입욕제를 제공할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오디로부터 추출한 단일 또는 복합추출물을 통해 풍부한 거품과 함께 피부 보습효과와 클렌징 효과가 매우 탁월한 홈 케어용 제품으로써의 입욕제를 제공하여 목욕이나 샤워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에서 주성분을 구성하는 오디에 대한 일반적인 것을 살펴보면 오디는 다른 말로 뽕나무 열매라고도 하며, 한약재로서는 『상심자』로 알려져 있다. 2008년 6월 29일 KBS TV 생로병사의 비밀에서 베리류 열매(복분자, 딸기, 크랜베리 및 블루베리 등)에는 항산화 물질이 있어 각종 성인병(심혈관계 질병, 당뇨병 및 암 등)에 상당한 예방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바를 방영한 바 있다.
한편, 전술한 베리류에 속하는 오디는 다음과 같은 작용이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즉, 오디는 귀와 눈을 밝게 해 줌, 기침·천식에 효과, 이뇨제·완화제의 작용, 중풍 예방에 유효한 화학물질을 함유, 당뇨·동맥경화·고혈압, 목마름과 변비, 혈액순환 증진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오디는 고혈압의 억제와 혈당을 내려줄 수 있는 성분이 다량으로 들어있음은 물론, 오디는 "상실" 또는 "오들개"라고도 하여 알콜을 분해하고 마음을 편안하게 함으로써 불면증과 건망증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오디에는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시아니딘-3글루코시드, 안토시아닌 등 인체에 좋은 생리 활성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 이는 건강기능 식품뿐만 아니라 화장품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뽕나무의 열매인 오디에는 항산화·항염증 및 피부탄력 증진 물질로 알려진 레스베라트롤이 다량 함유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레스베라트롤은 피토에스트로겐이다.
그리고, 전술한 레스베라트롤은 스틸벤(stilbene)의 한 종류로, 식물에서 효소인 스틸벤 합성효소(stilbene synthase ; STS) 덕분에 생성하며, 2개의 구조상 이성체로 존재한다. 이러한 레스베라트롤은 항암 및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청 콜레스테롤을 낮춰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항바이러스(antiviral), 신경보호작용(neuroprotective), 항염증작용(anti-inflammatory), 항노화(anti-aging) 및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술한 오디의 성분 중 안토시아닌(Anthocyanin)은 플라보노이드계(항산화성분 중 가장 강력한 계열이 바이오 플라보노이드 계열이며, 이 계열에는 안토시아닌, 녹차에 많은 카데킨, 프로폴리스에 많은 후라보노이드 등이 있다) 색소로, 동맥에 침전물이 생기는 것을 막아 피를 맑게 하며 심장 질환과 뇌졸중 위험을 감소시킨다. 또한, 강력한 항산화 작용과 노화방지 기능을 가진 안토시아닌은 강력한 소염작용과 심장병예방 및 노화방지 효능이 밝혀지면서 건강물질로 각광받고 있다.
한편, 안토시아닌의 항산화 능력은 비타민C 보다 2.5배 강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함께 시력보호 기능과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도 안토시아닌의 대표적 기능으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에는 안토시아닌이 소염, 살균 효과가 뛰어나고 아스피린보다 10배나 강하지만 위에는 전혀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게다가 망막에서 빛을 감지해 뇌로 전달해 주는 로돕신 색소의 생성을 도와 비디오 증후군의 여파로 생기는 눈의 피로를 줄여 주기도 한다.
그리고, 오디에는 노화억제 항산화 색소인 "C3G(cyanidin-3-glucoside)"가 다량 함유돼 있다. 안토시아닌의 일종인 C3G는 토코페롤보다 7배나 강한 노화 억제 효과를 보이며, 오디의 C3G 최고 함량은 1.27%로 포도의 23배에 달한다고 농촌진흥청은 밝혔다. 뽕나무 오디는 인체에 무해한 천연색소(C3G)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노화억제, 당뇨병성 망막장애 치료, 항산화 작용 등을 기대할 수 있다면서 오디의 씨에 다량 존재하는 불포화지방산인 리놀산은 혈중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함량을 효과가 있고, 고혈압 억제 물질인 루틴 함량이 메밀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오디에는 고혈압 치료 효능을 갖고 있는 루틴(Rutin) 함량이 대표적인 루틴 함유 작물인 메밀보다 오디에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루틴(Rutin)은 모세혈관을 강화시키는 작용이 있고, 뇌출혈 ·방사선 장애 ·출혈성 질병 등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오디 씨에 다량 존재하는 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레인산(linoleic acid)은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함량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오디의 성분 중 GABA(γ-aminobutynic acid)는 혈압저하 및 이뇨 효과 외에 뇌의 산소공급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뇌 세포의 대사기능을 촉진시키고 신경을 안정시키며 불안감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40세 이후에 급격히 고갈되는 성장호르몬은 지방세포의 생성을 억제하고 근육을 생성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GABA(γ-aminobutynic acid)는 인간의 뇌하수체 전엽(anterior pituitary)에서 나오는 인체 성장 호르몬(Human Growth Hormone : HGH)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독성이 없고 혈압강하 작용이 있어 외국에서는 의약품으로도 이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성분들 이외에도 오디에는 포도당과 과당, 시트르산, 사과산, 탄닌, 펙틴을 비롯하여 비타민 A, B1, B2, D, 칼슘, 인, 철 등 다수의 유용한 성분들이 들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는 오디추출물(ODI extract-8)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Water) 850∼860 중량부, Disodium EDTA 0.8∼1.2 중량부, Glycerine 55∼65 중량부, Sodium Laureth Sulfate 550∼650 중량부, Cocamido Propyl Betaine 95∼105 중량부, Cocamide DEA 65∼75 중량부, Glycol Distearate 14∼18 중량부, Methylchloroisothiazolinone 또는 Methylisothiazolinone 0.8∼1.2 중량부, Citric Acid 2∼3 중량부, Sodium Chloride 8∼12 중량부, Potassium Cocoyl Glutamate 55∼65 중량부, Allantoin 1.8∼2.2 중량부, Dipotassium Glycyrrhizate 0.8∼1.2 중량부, Perfume 18∼22 중량부, Camellia Sinensis Leaf Extract 1.8∼2.2 중량부 , Beta-Glucan 1.8∼2.2 중량부, 상백피 추출물 1.8∼2.2 중량부, Tocopheryl Acetate 0.8∼1.2 중량부, Resveratrol(ODI extract-E21) 4∼8, BFC-1(Berry Fruits Complex) 4∼8 및 천연색소 적색1호 75∼8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 조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의 구성에서 오디추출물(ODI extract-8)은 오디(뽕나무열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Water) 750∼850 중량부 및 Tween 80(계면활성제) 80∼12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20∼45℃의 온도 조건하에서 20∼30시간 동안 침지시켜 수득되어진다.
[오디추출물의 추출실험]
본 실험에서 사용한 오디는 남원오디영농조합에서 개량 뽕인 과상2호 뽕나무에서 채취한 오디를 사용하였다. 이때, 2010년 4~5월 경에 뽕나무 오디를 채취하여 물로 깨끗이 씻은 후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오디추출물(ODI extract-8)의 추출시 정제수(Water)와 화장품용 용제, 계면활성제를 단독 혹은 병용 배합하여 25℃에서 24시간 동안 침지하는 방법으로 추출물을 만들어 공시 재료로 사용하였다. 하기의 표 1 및 표 2 는 오디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16회에 걸친 실험 결과를 보인 것이다.
시험번 1 2 3 4 5 6 7 8
오디(뽕나무열매) 10 10 10 10 10 10 10 10
Ethanol 90 45 0 0 0 0 0 0
Glycerin 0 0 90 45 0 0 0 0
1,3-B.G. 0 0 0 0 90 45 40 0
Water 0 45 0 45 0 45 40 80
Tween 80 0 0 0 0 0 0 10 10
Total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투명도
용해도 × ×
안정도
시험번호 9 10 11 12 13 14 15 16
오디(뽕나무열매) 10 10 10 10 10 10 10 10
Ethanol 88 44 0 0 0 0 22 25
Glycerin 0 0 88 44 0 0 22 0
1,3-B.G. 0 0 0 0 88 44 22 25
Water 0 44 0 44 0 44 22 38
Tween 80 2 2 2 2 2 2 2 2
Total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투명도
용해도 × ×
안정도
전술한 바와 같은 실험 결과 오디(뽕나무열매) 10 중량%와 정제수(Water) 80 중량% 및 Tween 80(계면활성제) 10 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한 실험-8의 결과가 가장 양호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의 구성에서 상백피 추출물은 에탄올 또는 BG(Butylene Glycol) 각각의 50% 수용액 또는 에탄올과 BG(Butylene Glycol)가 혼합된 혼합 수용액 상에 세척된 상백피를 상온에서 1∼7일간 침잠시켜 추출하였다.
[상백피 추출실험]
상백피 추출물은 이미 화장품에서 미백소재로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소재이다. 주로 Butylene Glycol 수용액으로 추출하거나 복합화하여 사용하고 있다. 국제화장품 원료 규격집에는 상백피 추출물이 Morus Alba Bark Extract로 등재되어있으며 Philos에서도 이미 미백소재로서 복합화하여 "Whitening PC Complex"로 CTFA Dictionary에 등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간단하게 상백피를 세척하여 분쇄하지 않고 에탄올, BG(Butylene Glycol) 및 Glycerin 각각 50% 수용액에 침잠시켜 추출하였다. 실험결과 에탄올과 BG의 경우는 괜찮았으나, 글리세린의 경우는 1주일 후 곰팡이가 생겼다. 이는 뽕나무 뿌리가 직접 토양에 존재하여 잘 세척하여도 살아있으며, 글리세린 존재하에서는 영양성분으로 작용하여 곰팡이가 성장하나 BG나 에탄올 존재하에서는 사멸되었으리라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백피 추출물의 추출시 에탄올 또는 BG(Butylene Glycol) 각각의 50% 수용액 또는 에탄올과 BG(Butylene Glycol)가 혼합된 혼합 수용액 상에 세척된 상백피를 상온에서 1∼7일간 침잠시켜 추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의 구성에서 BFC-1(Berry Fruits Complex : 베리류 복합 추출물)은 오디(Mulberry), 딸기(Strawberry), 블루베리(Blueberry), 크랜베리(Craneberry), 복분자(Raspberry)로 이루어진 혼합베리를 Ethanol에 침지시켜 추출한 추출물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BFC-1(Berry Fruits Complex : 베리류 복합 추출물)의 추출은 오디(Mulberry), 딸기(Strawberry), 블루베리(Blueberry), 크랜베리(Craneberry), 복분자(Raspberry)로 이루어진 혼합베리를 Ethanol에 침지시킨 다음, 40∼50℃의 온도 조건하에서 20∼30 시간 동안 방치하여 추출한다. 이때, 혼합베리와 Ethanol의 조성비는 5∼15 : 85∼95 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BFC-1(Berry Fruits Complex : 베리류 복합 추출물)의 추출시 본 발명에서는 오디(Mulberry) 2 중량%, 딸기(Strawberry) 2 중량%, 블루베리(Blueberry) 2 중량%, 크랜베리(Craneberry) 2 중량%, 복분자(Raspberry) 2 중량% 및 Ethanol 90 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하여 추출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은 베리 열매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베리류에는 자이로 과당이 많이 함유돼 있어 잼, 아이스크림, 주스, 디저트용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다. 게다가 블루베리와 라즈베리 등은 안토시아닌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 효과가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베리류에 포함돼 있는 안토시아닌이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아포토시스를 유도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베리류에는 폴리페놀의 일종인 안토시아닌이라 불리는 천연 색소성분이 많이 포함돼 있다. 이 안토시아닌이 암이나 심장병의 원인인 활성산소 같은 프리라디컬의 기능을 억제하는 항산화 효과가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본 발명에서는 각종 베리류에 함유돼 있는 안토시아닌의 종류와 양, 안토시아닌을 함유한 총 폴리페놀의 양을 측정하고, 각각의 베리류에서 라디컬 소거 기능을 측정하여 안토시아닌과 라디컬 소거 기능의 관련성을 조사했다. 이 중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결과는 총 폴리페놀의 양과 안토시아닌의 양이 모두 높았던 빌베리로, 라디컬 소거 기능에서도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또한, 전술한 안토시아닌의 양은 낮아도 총 폴리페놀의 양이 높으면 라디컬 소거 기능도 높게 측정되었다.
본 추출실험에서는 남원의 오디영농조합으로부터 받은 오디추출물을 비롯한 베리류 5가지를 최적의 상태로 복합화하여 "Berry Fruits Complex(BFC)"라고 명명하였다. 추출에 사용된 원료소재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오디(Mulberry)는 뽕나무과의 관목에 열리는 검은색, 빨간색 열매로 어린 시절 추억의 과일로 기억되는 열매이다. 오디는 뽕나무의 부산물 같은 열매로 추억의 열매로서 라즈베리와 같이 팔리고 있지만 예로부터 상심자라 하여 한약재로서 쓰였으며, 이뇨 강장에 효과가 있다. 맛은 신맛이나 단맛이 약간 부족한 라즈베리 같고 색소가 심하게 베어나와 인기가 없지만 특이한 풍미가 있어서 의외로 서양에서는 파이나 제과 등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실험에서는 생오디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그리고, 라즈베리(Raspberry : 복분자)는 장미과 관목의 검은색이 나는 산딸기류 열매이다. 우리 나라는 복분자라 하여 완숙되기 전 빨갛게 된 것을 채취 건조하여 예로부터 한약재로 쓰이고 있다. 열매가 익기 전에는 빨간색이 나고 완전히 익으면 검은색이 된다. 이러한 라즈베리는 정기 보충 등에 쓰이는 약재로서 우리 나라도 많이 생산되고 있지만 자잘한 씨가 과육마다 들어 있어 생과로서는 인기 있는 과일이 되지 못했다. 가공되어 제과와 와인 제조에 많이 사용되며 생과는 장식의 용도로 요긴하다. 본 실험에서는 복분자 분말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한편, 스트로베리(Strawberry : 딸기)는 장미과 다년생 초본 식물로 그 열매를 식용한다. 빨간색 열매를 수확하여 생과로 또는 제과 등의 재료로 사용하며 가장 일반적이고 가장 널리 알려진 베리류이다. 아프리카, 북미, 남미의 야생딸기가 18세기 경부터 영국을 주축으로 개량되기 시작하여 지역에 맞게 새로운 품종으로 개발되어 전세계적인 과일류가 되었다. 토마토, 멜론, 수박처럼 과일채소로서 채소류이다. 이러한 스트로베리의 효능으로는 생과로서 비타민C 공급원으로 주로 쓰이고, 가공품 등 여러 용도로 활용된다. 본 실험에서는 동결건조 딸기 분말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또한, 크랜베리(Cranberry : 덩굴 월귤)의 이름은 꽃의 색과 모양이 늪에 서있는 두루미를 닮았다 해서 "두루미 crane"에서 따서 붙여진 이름이다. 흔히들 큰크랜베리라고도 하는데 크랜베리는 평화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고, 우정의 심벌로 신봉되고 있어 추수감사절에는 빼놓을 수 없는 명물 장과이기도 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장과인 크랜베리는 88%의 수분을 갖고 있으며, 기능성 성분은 안토시아닌인데 이들 중에서 요로질환(UTIs)에 가장 유효한 것은 축합탄닌인 프로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이다. 다량의 아스코르빈산, manoseresistat, 각종 방향산(구연산, 능금산 등)이 있고, 안토시아닌의 함량은 55mg/100g, 항산화력은 18.5umolTH/g/100g이어서 강한 활성을 갖는다. 본 실험에서는 크랜베리 분말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아울러, 블루베리(Blueberry)는 진달래과(철쭉과) 관목의 검푸른 자주색의 열매로 우리나라에서도 각광을 받고 있고 각종 가공품의 재료로 흔히 볼 수 있는 열매이다. 북미가 원산지로 인디언들이 약용으로 썼으며 20세기부터 미국에서 개량되어 현재의 블루베리가 되었고 우리나라에는 월귤이나 정금나무가 유사종이다. 본 실험에서는 블루베리 분말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베리류열매 복합추출실험]
전술한 바와 같은 5가지 베리류를 가장 적정한 비율로 복합 안정화하여 생리활성 효과가 극대화 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하기의 표 3 은 베리류 복합 추출물의 6회에 걸친 추출시험 결과를 보인 것이다.
시험번호 BFC -1 BFC -2 BFC -3 BFC -4 BFC -5 BFC -6
오디(Mulberry) 2 2 2 2 2 2
딸기(Strawberry) 2 2 2 2 2 2
블루베리(Blueberry) 2 2 2 2 2 2
크랜베리(Craneberry) 2 2 2 2 2 2
복분자(Raspberry) 2 2 2 2 2 2
Ethanol 90 45 45 45 0 0
Glycerin 0 0 0 45 0 0
1,3-B.G. 0 0 45 0 90 45
Water 0 45 0 0 0 45
Total 100 100 100 100 100 100
추출 결과 잘됨 잘됨 잘안됨 매우 안됨 매우
안됨
잘안됨
색상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안정도 양호 침전물 양호 침전 침전 양호
종 합
1,3-B.G: 1,3-Butylene Glycol, 각45℃ 후 1일 방치 , 여과, 방부제 무
전술한 바와 같은 베리류 복합 추출물의 추출실험 결과 당의 함량이 많아 알콜로 추출하는 것은 크게 문제가 없었으나 부틸렌글리콜이나 글리세린이 함유된 실험에서는 여과가 되지 않아 어려움이 있었다. BFC-1,2,3,6이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BFC-1,2가 추출면에서는 가장 좋았다. 그러나, 에탄올-정제수 추출물인 2의 경우 침전물이 나타났고, 에탄올 100% 추출물인 BFC-1은 보습력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BFC-3,6의 경우도 좋은 편이나 추출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추출물을 합유한 입욕제에서는 표 3 의 베리류 복합 추출물의 추출실험 결과 오디(Mulberry) 2 중량%, 딸기(Strawberry) 2 중량%, 블루베리(Blueberry) 2 중량%, 크랜베리(Craneberry) 2 중량%, 복분자(Raspberry) 2 중량% 및 Ethanol 90 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하여 추출한 BFC-1의 결과가 가장 양호하여 이를 이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 릴랙스 입욕제는 3가지 타입이 있다. 즉, 입욕제는 고체 타입, 액상 타입 및 액상 거품(폼)타입이며, 이중 고체 타입은 부피도 커서 유통이 불편하며 녹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액상타입은 소비자가 느끼는 오감만족이 좀 부족하다고 판단되어 액상 거품 타입을 개발하기로 하였다.
[오디 릴랙스 입욕제 실험 1]
오디 릴랙스 입욕제 실험 1은 Sodium Laureth Sulfate의 조정실험으로 하기의 표 4 에서와 같이 Sodium Laureth Sulfate의 함량만을 조정하였다. 이때, Sodium Laureth Sulfate의 함량 조절에 따라 총량에는 변화가 없도록 Sodium Laureth Sulfate의 함량 조절에 따라 정제수(Water)의 양을 변화시켰다.
구 S분 처방 1 처방 2 처방 3 처방 4



A
1 Water 66.11 61.11 51.11 41.11
2 Disodium EDTA 0.05 0.05 0.05 0.05
3 Glycerin 1.0 1.0 1.0 1.0
4 Sodium Laureth Sulfate 15.0 20.0 30.0 40.0
5 Cocamido Propyl Betaine 1.0 1.0 1.0 1.0
6 Cocamide DEA 3.5 3.5 3.5 3.5
7 Glycol Distearate 0.8 0.8 0.8 0.8
B 8 Methylchloroisothiazolinone 또는 Methylisothiazolinone 0.05 0.05 0.05 0.05
9 Citric Acid 0.14 0.14 0.14 0.14
C 10 Sodium Chloride 0.5 0.5 0.5 0.5
11 Water 3.0 3.0 3.0 3.0




D
12 Potassium Cocoyl Glutamate 3.0 3.0 3.0 3.0
13 Allantoin 0.1 0.1 0.1 0.1
14 Dipotassium Glycyrrhizate 0.05 0.05 0.05 0.05
15 Perfume 0.2 0.2 0.2 0.2
16 Camellia Sinensis Leaf Extract 0.1 0.1 0.1 0.1
17 Beta-Glucan 0.1 0.1 0.1 0.1
18 상백피추출물 0.1 0.1 0.1 0.1
19 Tocopheryl Acetate 0.05 0.05 0.05 0.05
20 Resveratrol(ODI extract-E21) 5.0 5.0 5.0 5.0
21 ODI extract-8 0.1 0.1 0.1 0.1
E 22 BFC-1(Berry Fruits Complex) 0.05 0.05 0.05 0.05
23
Total 100 100 100 100
전술한 표 4 에서 기포력 실험결과 SLES(Sodium Laureth Sulfate)의 함량은 30%정도가 가장 적합하였다.
[오디 릴랙스 입욕제 실험 2]
오디 릴랙스 입욕제 실험 2 는 Cocamido Propyl Betaine의 조정실험으로 하기의 표 4 에서와 같이 Sodium Laureth Sulfate의 함량을 30.0으로 고정하고, Cocamido Propyl Betaine와 천연색소 적색 1호의 함량만을 조정하였다. 이때, Cocamido Propyl Betaine와 천연색소 적색 1호의 함량 조절에 따라 총량에는 변화가 없도록 Cocamido Propyl Betaine와 천연색소 적색 1호의 함량 조절에 따라 정제수(Water)의 양을 변화시켰다.
구 S분 처방 5 처방 6 처방 7 처방 8



A
1 Water 50.11 47.11 44.11 41.11
2 Disodium EDTA 0.05 0.05 0.05 0.05
3 Glycerin 1.0 1.0 1.0 1.0
4 Sodium Laureth Sulfate 30.0 30.0 30.0 30.0
5 Cocamido Propyl Betaine 1.0 3.0 5.0 7.0
6 Cocamide DEA 3.5 3.5 3.5 3.5
7 Glycol Distearate 0.8 0.8 0.8 0.8
B 8 Methylchloroisothiazolinone 또는 Methylisothiazolinone 0.05 0.05 0.05 0.05
9 Citric Acid 0.14 0.14 0.14 0.14
C 10 Sodium Chloride 0.5 0.5 0.5 0.5
11 Water 3.0 3.0 3.0 3.0




D
12 Potassium Cocoyl Glutamate 3.0 3.0 3.0 3.0
13 Allantoin 0.1 0.1 0.1 0.1
14 Dipotassium Glycyrrhizate 0.05 0.05 0.05 0.05
15 Perfume 0.2 0.2 0.2 0.2
16 Camellia Sinensis Leaf Extract 0.1 0.1 0.1 0.1
17 Beta-Glucan 0.1 0.1 0.1 0.1
18 상백피추출물 0.1 0.1 0.1 0.1
19 Tocopheryl Acetate 0.05 0.05 0.05 0.05
20 Resveratrol(ODI extract-E21) 0.3 0.3 0.3 0.3
21 ODI extract-8 5.0 5.0 5.0 5.0
E 22 BFC-1 0.3 0.3 0.3 0.3
23 천연색소 적색 1호 1.0 2.0 3.0 4.0
Total 100 100 100 100
전술한 표 5 의 처방 3에서 변경 실험하여 기포력 및 보습력 테스트 결과, 7번이 가장 좋았으며 8번은 너무 기포력이 강한 느낌이다. 천연색소는 좀 진한 8번쪽이 좋았음. 보습력을 높이기 위하여 Glycerin의 함량을 조정하였다. 색상은 욕조에 첨가 시 연한 핑크색이 나오도록 조정한 결과 4%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디 릴랙스 입욕제 실험 3]
오디 릴랙스 입욕제 실험 3 은 Glycerin과 Perfume 및 색소의 조정실험으로 하기의 표 6 에서와 같이 Glycerin과 Perfume 및 색소의 함량을 조정하였다. 이때, Glycerin과 Perfume 및 색소의 함량 조절에 따라 총량에는 변화가 없도록 Glycerin과 Perfume 및 색소의 함량 조절에 따라 정제수(Water)의 양을 변화시켰다.
구 S분 처방 9 처방 10 처방 11 처방 12



A
1 Water 43.01 40.81 38.61 33.31
2 Disodium EDTA 0.05 0.05 0.05 0.05
3 Glycerin 1.0 3.0 5.0 10.0
4 Sodium Laureth Sulfate 30.0 30.0 30.0 30.0
5 Cocamido Propyl Betaine 1.0 3.0 5.0 7.0
6 Cocamide DEA 3.5 3.5 3.5 3.5
7 Glycol Distearate 0.8 0.8 0.8 0.8
B 8 Methylchloroisothiazolinone 또는 Methylisothiazolinone 0.05 0.05 0.05 0.05
9 Citric Acid 0.14 0.14 0.14 0.14
C 10 Sodium Chloride 0.5 0.5 0.5 0.5
11 Water 3.0 3.0 3.0 3.0




D
12 Potassium Cocoyl Glutamate 3.0 3.0 3.0 3.0
13 Allantoin 0.1 0.1 0.1 0.1
14 Dipotassium Glycyrrhizate 0.05 0.05 0.05 0.05
15 Perfume 0.3 0.5 0.7 1.0
16 Camellia Sinensis Leaf Extract 0.1 0.1 0.1 0.1
17 Beta-Glucan 0.1 0.1 0.1 0.1
18 상백피추출물 0.1 0.1 0.1 0.1
19 Tocopheryl Acetate 0.05 0.05 0.05 0.05
20 Resveratrol(ODI extract-E21) 0.3 0.3 0.3 0.3
21 ODI extract-8 5.0 5.0 5.0 5.0
E 22 BFC-1 0.3 0.3 0.3 0.3
23 천연색소 적색 1호 4.0 4.0 4.0 4.0
Total 100 100 100 100
전술한 표 6 에서 보습력을 높이기 위하여 Glycerin의 함량을 조정하였으며 보습력은 3%가 적당하였다. 향료는 약간 강한 0.7~1.0%가 좋을 것으로 판단되어 처방을 조정하여 완성하였다.
[오디 릴랙스 입욕제 실험 4]
실험 4 는 하기의 표 7 에서와 같은 처방 13을 본 발명으로 확정한 실험이다.
구 S분 처방 13



A
1 Water 39.86
2 Disodium EDTA 0.05
3 Glycerin 3.0
4 Sodium Laureth Sulfate 30.0
5 Cocamido Propyl Betaine 5.0
6 Cocamide DEA 3.5
7 Glycol Distearate 0.8
B 8 Methylchloroisothiazolinone 또는 Methylisothiazolinone 0.05
9 Citric Acid 0.14
C 10 Sodium Chloride 0.5
11 Water 3.0




D
12 Potassium Cocoyl Glutamate 3.0
13 Allantoin 0.1
14 Dipotassium Glycyrrhizate 0.05
15 Perfume 1.0
16 Camellia Sinensis Leaf Extract 0.1
17 Beta-Glucan 0.1
18 상백피추출물 0.1
19 Tocopheryl Acetate 0.05
20 Resveratrol(ODI extract-E21) 0.3
21 ODI extract-8 5.0
E 22 BFC-1 0.3
23 천연색소 적색 1호 4.0
Total 100
앞서의 표 4 내지 표 6 의 처방 1 내지 12의 결과 표 7 의 처방 13번과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을 확정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는 뽕나무 열매인 오디와 상백피 뿐만 아니라 5가지 베리류를 복합화한 제품으로, 향후 용기 및 디자인 등을 좀 더 보완하여 완성도 있는 제품을 개발하면 오디가 함유된 천연 화장품으로써 소비자들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Claims (7)

  1. 오디추출물(ODI extract-8)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Water) 850∼860 중량부, Disodium EDTA 0.8∼1.2 중량부, Glycerine 55∼65 중량부, Sodium Laureth Sulfate 550∼650 중량부, Cocamido Propyl Betaine 95∼105 중량부, Cocamide DEA 65∼75 중량부, Glycol Distearate 14∼18 중량부, Methylchloroisothiazolinone 또는 Methylisothiazolinone 0.8∼1.2 중량부, Citric Acid 2∼3 중량부, Sodium Chloride 8∼12 중량부, Potassium Cocoyl Glutamate 55∼65 중량부, Allantoin 1.8∼2.2 중량부, Dipotassium Glycyrrhizate 0.8∼1.2 중량부, Perfume 18∼22 중량부, Camellia Sinensis Leaf Extract 1.8∼2.2 중량부 , Beta-Glucan 1.8∼2.2 중량부, 상백피 추출물 1.8∼2.2 중량부, Tocopheryl Acetate 0.8∼1.2 중량부, Resveratrol(ODI extract-E21) 4∼8 중량부, BFC-1(Berry Fruits Complex) 4∼8 중량부 및 천연색소 적색1호 75∼85 중량부의 조성비로 혼합 조성된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추출물(ODI extract-8)은 오디(뽕나무열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Water) 750∼850 중량부 및 Tween 80(계면활성제) 80∼12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20∼45℃의 온도 조건하에서 20∼30시간 동안 침지시켜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백피 추출물은 에탄올 또는 BG(Butylene Glycol) 각각의 50% 수용액 또는 에탄올과 BG(Butylene Glycol)가 혼합된 혼합 수용액 상에 세척된 상백피를 상온에서 1∼7일간 침잠시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FC-1(Berry Fruits Complex : 베리류 복합 추출물)은 오디(Mulberry), 딸기(Strawberry), 블루베리(Blueberry), 크랜베리(Craneberry) 및 복분자(Raspberry)로 이루어진 혼합베리를 Ethanol에 침지시킨 다음, 40∼50℃의 온도 조건하에서 20∼30 시간 동안 방치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베리와 Ethanol의 조성비는 5∼15 : 85∼95 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베리를 구성하는 오디(Mulberry), 딸기(Strawberry), 블루베리(Blueberry), 크랜베리(Craneberry) 및 복분자(Raspberry)는 동일 비율로 혼합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욕제는 고체 타입, 액상 타입 및 액상 거품(폼)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을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
KR1020100081331A 2010-08-23 2010-08-23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 KR101232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331A KR101232817B1 (ko) 2010-08-23 2010-08-23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331A KR101232817B1 (ko) 2010-08-23 2010-08-23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929A KR20120021929A (ko) 2012-03-09
KR101232817B1 true KR101232817B1 (ko) 2013-02-13

Family

ID=4613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331A KR101232817B1 (ko) 2010-08-23 2010-08-23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8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070A (ko) 2020-06-17 2021-12-24 주식회사 미라클기술 녹각영지버섯 추출물이 함유된 입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90798B (zh) * 2022-06-14 2023-06-16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具有抗敏和嫩肤功效的双组分沐浴露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1573A1 (en) 2002-07-31 2005-02-10 Melaleuca, Inc., An Idaho Corporation Skin care compositions
KR20050111022A (ko) * 2004-05-20 2005-11-24 김서환 기능성 목욕 타월
JP2008184416A (ja) 2007-01-30 2008-08-14 Masanori Miyahira 皮膚外用剤、細胞賦活剤、抗酸化剤
KR100891355B1 (ko) 2007-06-28 2009-04-01 황성규 스프레이 및 거품 분사 가능한 워터리스 목욕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1573A1 (en) 2002-07-31 2005-02-10 Melaleuca, Inc., An Idaho Corporation Skin care compositions
KR20050111022A (ko) * 2004-05-20 2005-11-24 김서환 기능성 목욕 타월
JP2008184416A (ja) 2007-01-30 2008-08-14 Masanori Miyahira 皮膚外用剤、細胞賦活剤、抗酸化剤
KR100891355B1 (ko) 2007-06-28 2009-04-01 황성규 스프레이 및 거품 분사 가능한 워터리스 목욕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070A (ko) 2020-06-17 2021-12-24 주식회사 미라클기술 녹각영지버섯 추출물이 함유된 입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929A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0882A (ko)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74778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073678B1 (ko) 한약재를 이용한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653013A (zh) 一种植物保湿水润晒后修复霜及其制备方法
CN105055251A (zh) 一种抗衰老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20160087113A (ko) 꽃을 함유하는 화장품
CN107927243A (zh) 一种天然抗衰老的油茶叶饮料及其制备方法
CN107712199A (zh) 一种养颜花果茶及其制备方法
Kozak et al. Health properties of selected herbal plants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09463496A (zh) 一种降脂花果茶及其制备方法
KR102350749B1 (ko)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항노화 활성,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6617049A (zh) 一种含辣木叶提取物的蜂胶类保健品及其制备方法
KR101232817B1 (ko) 오디추출물을 함유한 입욕제
KR101583595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554598B1 (ko) 한방약초농축액을 이용한 천연 한방 바디클렌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천연 한방 바디클렌저 조성물
CN105400672A (zh) 一种文冠果壳保健酒及其制备方法
KR101869763B1 (ko) 무좀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606381B1 (ko) 친환경 가공천일염을 이용한 융복합 미용솔트 제조방법
KR101180267B1 (ko) 캐모마일을 함유하는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KR101807946B1 (ko) 유자, 석류가 함유된 바디워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29280A (ko) 한방비누 조성물
CN105362121A (zh) 一种葡萄籽防晒伤香水
KR101720739B1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천연 향료 조성물
KR20120009264A (ko) 주름 및 잡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