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647B1 -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 - Google Patents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647B1
KR101231647B1 KR1020110057390A KR20110057390A KR101231647B1 KR 101231647 B1 KR101231647 B1 KR 101231647B1 KR 1020110057390 A KR1020110057390 A KR 1020110057390A KR 20110057390 A KR20110057390 A KR 20110057390A KR 101231647 B1 KR101231647 B1 KR 101231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lass
silkscreen
ink composition
uretha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8090A (ko
Inventor
최원대
조회제
오광태
손이성
김판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먼스
조회제
최원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먼스, 조회제, 최원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먼스
Priority to KR1020110057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647B1/ko
Publication of KR20120138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aterials of composite character
    • C03C17/007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aterials of composite character containing a dispersed phase, e.g. particles, fibres or flakes, in a continuous ph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4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glass or ceramic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C03C17/322Polyurethanes or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405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with at least two coatings of 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7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therm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70Properties of coatings
    • C03C2217/72Decorativ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8/00Methods for coating glass
    • C03C2218/10Deposition methods
    • C03C2218/11Deposition methods from solutions or suspensions
    • C03C2218/119Deposition methods from solutions or suspensions by prin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제판, 제2 제판, 제3 제판 및 제4 제판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제1 제판을 유리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1 잉크 조성물로 1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단계 2); 상기 1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건조기에서 160~170℃의 온도에서 5~6분 동안 건조하여 1차 경화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제2 제판을 상기 1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2 잉크 조성물로 2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단계 4); 상기 2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건조기에서 160~180℃의 온도에서 5~10분 동안 건조하여 2차 경화하는 단계(단계 5); 상기 제3 제판을 상기 2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3 잉크 조성물로 3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단계 6); 상기 3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건조기에서 160~170℃의 온도에서 6~10분 동안 건조하여 3차 경화하는 단계(단계 7); 상기 제4 제판을 상기 3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4 잉크 조성물로 4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단계 8) ; 및 상기 4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건조기에서 160~180℃의 온도에서 5~10분 동안 건조하여 4차 경화하는 단계(단계 9); 를 포함하여 제조하면, 제조과정에서 불량 발생률이 적으며, 금속질감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내열탕성, 내습성, 내황변성 및 도막경도의 물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on glass with metallic appearance, decoration glass with metallic appearance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의 일면에 서로 다른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4차례에 걸쳐 실크스크린 인쇄하므로, 제조과정에서 불량 발생률이 적으며, 금속질감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내열탕성, 내습성, 내황변성 및 도막경도의 물성이 우수한,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 에어컨 등의 가전제품과 엘리베이터 내장재에 사용되는 유리제품의 금속질감을 얻기 위해서, 금속을 유리에 부착하거나 헤어라인(hair line) 문양이 인쇄된 필름을 유리면에 접착하는 방법을 통하여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를 생산해 왔다.
유리면에 금속을 직접 부착하는 방법은, 금속질감 효과가 우수하나, 제조시 불량 발생률이 높고 내열탕성 및 내습성이 미흡한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1433호(2006.07.14.)에는 금속질감이 극대화된 유리부착용 장식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유리부착용 장식시트는 내습성을 개선한 효과는 있으나, 여전히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제조시 불량 발생률이 높으며, 내열탕성이 미흡한 단점이 있다.
상기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리면에 고휘도 도료를 실크스크린 인쇄를 통해 도장층을 형성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고광택 금속질감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유리의 일면에 서로 다른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4차례에 걸쳐 실크스크린 인쇄(Silk Screen Printing)하므로, 제조과정에서 불량 발생률이 적으며, 금속질감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내열탕성, 내습성, 내황변성 및 도막경도의 물성이 우수한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였다.
KR 20-0421433 (등록번호) 2006.07.14.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의 일면에 서로 다른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4차례에 걸쳐 실크스크린 인쇄하므로, 제조과정에서 불량 발생률이 적으며, 금속질감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내열탕성, 내습성, 내황변성 및 도막경도의 물성이 우수한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1 제판, 제2 제판, 제3 제판 및 제4 제판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제1 제판을 유리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1 잉크 조성물로 1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단계 2); 상기 1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건조기에서 160~170℃의 온도에서 5~6분 동안 건조하여 1차 경화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제2 제판을 상기 1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2 잉크 조성물로 2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단계 4); 상기 2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건조기에서 160~180℃의 온도에서 5~10분 동안 건조하여 2차 경화하는 단계(단계 5); 상기 제3 제판을 상기 2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3 잉크 조성물로 3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단계 6); 상기 3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건조기에서 160~170℃의 온도에서 6~10분 동안 건조하여 3차 경화하는 단계(단계 7); 상기 제4 제판을 상기 3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4 잉크 조성물로 4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단계 8) ; 및 상기 4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건조기에서 160~180℃의 온도에서 5~10분 동안 건조하여 4차 경화하는 단계(단계 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제1 잉크 조성물은,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Modified Acrylic Urethane Resin) 15~25중량%, 실란 5~10중량%, 알루미늄 페이스트(aluminium paste) 60~70중량%, 우레탄 경화제 2~7중량% 및 레벨링제 1~3중량%를 혼합 및 분산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4에서, 상기 제2 잉크 조성물은,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Modified Acrylic Urethane Resin) 40~50중량%, 실리카분말 3~10중량%, 디베이직 에스테르 용제(dibasic ester) 35~40중량%, 소포제 5~10중량% 및 레벨링제 5~10중량%를 혼합 및 분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6에서, 상기 제3 잉크 조성물은,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Modified Acrylic Urethane Resin) 35~45중량%, 알루미늄 페이스트(aluminium paste) 20~30중량%, 디베이직 에스테르 용제(dibasic ester) 20~30중량%, 소포제 5~10중량% 및 레벨링제 첨가제 5~10중량%를 혼합 및 분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8에서, 상기 제4 잉크 조성물은,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Modified Acrylic Urethane Resin) 35~45중량%, 이산화티타늄(TiO2) 20~30중량%, 디베이직 에스테르 용제(dibasic ester) 20~30중량% 및 착색제 10~20중량%를 혼합 및 분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리의 일면에 1차 실크스크린 인쇄, 2차 실크스크린 인쇄, 3차 실크스크린 인쇄 및 4차 실크스크린 인쇄한 전체 두께가 15~2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제판과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 15~25중량%, 실란 5~10중량%, 알루미늄 페이스트 60~70중량%, 우레탄 경화제 2~7중량% 및 레벨링제 1~3중량%로 이루어진 제1 잉크 조성물로 1차 실크스크린 인쇄하고, 제2 제판과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 40~50중량%, 실리카분말 3~10중량%, 디베이직 에스테르 용제 35~40중량%, 소포제 5~10중량% 및 레벨링제 첨가제 5~10중량%로 이루어진 제2 잉크 조성물로 2차 실크스크린 인쇄하고, 제3 제판과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 35~45중량%, 알루미늄 페이스트 20~30중량%, 디베이직 에스테르 용제 20~30중량%, 소포제 5~10중량% 및 레벨링제 5~10중량%로 이루어진 제3 잉크 조성물로 3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며, 제4 제판과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 35~45중량%, 이산화티타늄(TiO2) 20~30중량%, 디베이직 에스테르 용제 20~30중량% 및 착색제 10~20중량%로 이루어진 제4 잉크 조성물로 4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는 서로 다른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4차례에 걸쳐 실크스크린 인쇄하므로, 제조과정에서 불량 발생률이 적으며, 금속질감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내열탕성 및 내습성의 물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는 냉장고, 에어컨 등 가전제품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도 색상과 도막의 변화가 없는 내황변성이 우수하고 도막경도가 우수하여 건축 내·외장재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유리자재에 금속을 접합시켜 제조한 장식유리.
도 2는 헤어라인 문양이 인쇄된 필름을 유리에 접착시켜 제조한 장식유리.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4차례에 걸쳐서 실크스크린 인쇄하여 제조한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
도 4는 1차 실크스크린 인쇄한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
도 5는 2차 실크스크린 인쇄한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
도 6은 3차 실크스크린 인쇄한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
도 7은 4차 실크스크린 인쇄한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금속질감을 갖는 유리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유리자재에 금속을 접합시키는 경우, 접합시 발생하는 기포 등의 문제로 불량률이 높고, 접합시 사용하는 접착제로 인하여 내열탕성이나 내습성이 약한 문제가 있었다.(도 1 참조)
한편, 헤어라인 문양이 인쇄된 필름을 유리에 접착하는 경우에는, 고온에서 필름이 팽창하여 필름과 유리의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도 2 참조)
본 발명의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는 유리의 일면에 서로 다른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4차례에 걸쳐서 실크스크린 인쇄하므로, 제조과정에서 불량 발생률이 적고, 금속질감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내열탕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는 내황변성 및 도막경도가 우수하여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건축 내, 외장 재료로 사용가능하다.(도 3 참조)
본 발명에서 유리는 일반유리, 강화유리 또는 반강화유리 중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은,
제1 제판, 제2 제판, 제3 제판 및 제4 제판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제1 제판을 유리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1 잉크 조성물로 1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단계 2);
상기 1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건조기에서 160~170℃의 온도에서 5~6분 동안 건조하여 1차 경화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제2 제판을 상기 1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2 잉크 조성물로 2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단계 4);
상기 2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건조기에서 160~180℃의 온도에서 5~10분 동안 건조하여 2차 경화하는 단계(단계 5);
상기 제3 제판을 상기 2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3 잉크 조성물로 3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단계 6);
상기 3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건조기에서 160~170℃의 온도에서 6~10분 동안 건조하여 3차 경화하는 단계(단계 7);
상기 제4 제판을 상기 3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4 잉크 조성물로 4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단계 8) ; 및
상기 4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건조기에서 160~180℃의 온도에서 5~10분 동안 건조하여 4차 경화하는 단계(단계 9);
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은 유리의 일면에 인쇄될 문자 및 그림 등의 디자인을 도안하고 필름으로 출력하여, 1차 실크스크린 인쇄에 사용될 제1 제판, 2차 실크스크린 인쇄에 사용될 제2 제판, 3차 실크스크린 인쇄에 사용될 제3 제판 및 4차 실크스크린 인쇄에 사용될 제4 제판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1차 실크스크린 인쇄, 1차 경화, 2차 실크스크린 인쇄, 2차 경화, 3차 실크스크린 인쇄, 3차 경화, 4차 실크스크린 인쇄 및 4차 경화가 순차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상기 단계 2는 브랜드명 또는 꽃이나 나비의 외관 모양을 나타내기 위하여 제1 잉크 조성물로 1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 잉크 조성물은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Modified Acrylic Urethane Resin) 15~25중량%, 실란(silane) 5~10중량%, 알루미늄 페이스트(aluminium paste) 60~70중량%, 우레탄 경화제 2~7중량% 및 레벨링제 1~3중량%를 혼합 및 분산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는 잉크 도막강도가 우수하고 유연성을 부여하며 내열탕성, 내습성 및 유리판과의 강한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상기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는 15~25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중량% 미만 포함되면 부착력, 내습성 및 내열탕성의 물성이 떨어질 수 있고, 25중량% 초과 포함되면 실크스크린 인쇄 작업성 및 점도 조절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실란은 유리면과 부착력을 증진시키고 내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포함된다. 상기 실란은 5~1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중량% 미만 포함되면 부착력 또는 내습성이 미흡할 수 있고, 10중량% 초과 포함되면 후 공정 단계에서 잉크의 층간 부착력이 저해되어 잉크와 잉크 사이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페이스트는 금속질감을 갖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알루미늄 페이스트는 60~7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60중량% 미만 포함되면 금속질감이 떨어질 수 있고, 70중량% 초과 포함되면 부착력 및 내열탕성의 물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우레탄 경화제는 도막의 강도를 증진시키고 내화학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포함된다. 상기 우레탄 경화제는 2~7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2중량% 미만 포함되면 도막의 강도 및 내화학성이 미흡할 수 있고, 7중량% 초과 포함되면 표면이 너무 딱딱하게 경화되어 잉크의 부착력이 떨어지고 표면의 금속감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는 1~3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중량% 미만 포함되면 도막의 평활성이 저하될 수 있고, 3중량% 초과 포함되면 점도가 낮아져 실크스크린 인쇄시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1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컨베어식 건조기에서 160~170℃의 온도에서 5~6분 동안 건조하여 1차 경화하는 단계이다.
상기 컨베어식 건조는 적외선과 열을 이용한 컨베어 타입의 터널건조를 의미한다.
상기 단계 4는 금속의 에칭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제2 잉크 조성물로 2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 잉크 조성물은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Modified Acrylic Urethane Resin) 40~50중량%, 실리카분말 3~10중량%, 디베이직 에스테르 용제(dibasic ester) 35~40중량%, 소포제 5~10중량% 및 레벨링제 5~10중량%를 혼합 및 분산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는 40~5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40중량% 미만 포함되면 부착력, 내습성 및 내열탕성의 물성이 떨어질 수 있고, 50중량% 초과 포함되면 실크스크린 인쇄 작업성 및 점도 조절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실리카분말은 부착력 향상, 흐름 방지 및 증점 목적으로 포함되며, 입자가 10~20㎛ 이고 순도 30% 이상의 실리카미세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분말은 3~1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중량% 미만 포함되면 무기질과의 부착력이 떨어지며 증점 및 요변성(Thixotropy)이 떨어져 Sagging(흐른 흔적)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10중량% 초과 포함되면 점도가 높고 유동성이 떨어져 작업성 및 레벨링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디베이직 에스테르 용제(dibasic ester, DBE)는 디메틸글루타레이트 (dimethylglutarate), 디메틸석시네이트(dimethylsuccinate) 또는 디메틸아디페이트(dimethyladipate)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인쇄작업시 건조를 지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디베이직 에스테르 용제는 35~4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5중량% 미만 포함되면 실크스크린 인쇄시 제판의 판마름 현상이 빨리 일어나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고, 40중량% 초과 포함되면 잉크의 경화속도가 느려져 내열탕성, 부착력 및 내습성의 물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5~1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중량% 미만 포함되면 기포가 발생하여 도막 표면이 매끄럽지 못할 수 있고, 10중량% 초과 포함되면 피시 아이(Fish-eye) 및 Crater(구멍) 현상이 발생하며 레벨링성도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는 5~1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중량% 미만 포함되면 도막의 평활성이 저하될 수 있고, 10중량% 초과 포함되면 점도가 낮아져 실크스크린 인쇄시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단계 5는 상기 2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컨베어식 건조기에서 160~180℃의 온도에서 5~10분 동안 건조하여 2차 경화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6은 금속 질감을 나타내기 위하여 제3 잉크 조성물로 3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3 잉크 조성물은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Modified Acrylic Urethane Resin) 35~45중량%, 알루미늄 페이스트(aluminium paste) 20~30중량%, 디베이직 에스테르 용제(dibasic ester) 20~30중량%, 소포제 5~10중량% 및 레벨링제 5~10중량%를 혼합 및 분산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루미늄 페이스트는 금속질감을 갖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알루미늄 페이스트는 20~3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20중량% 미만 포함되면 금속질감이 떨어질 수 있고, 30중량% 초과 포함되면 부착력 및 내열탕성의 물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단계 7은 상기 3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컨베어식 건조기에서 160~170℃의 온도에서 6~10분 동안 건조하여 3차 경화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8은 보호막으로 후도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4 잉크 조성물로 4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4 잉크 조성물은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Modified Acrylic Urethane Resin) 35~45중량%, 이산화티타늄(TiO2) 20~30중량%, 디베이직 에스테르 용제(dibasic ester) 20~30중량% 및 착색제 10~20중량%를 혼합 및 분산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잉크 도막의 보호막 및 은폐를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이산화티나늄은 20~3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20중량% 미만 포함되면 잉크의 은폐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30중량% 초과 포함되면 부착력, 내습성 및 내열탕성의 물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착색제는 10~2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중량% 미만 포함되면 은폐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20중량% 초과 포함되면 보호막의 부착력과 내열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단계 9는 상기 4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컨베어식 건조기에서 160~180℃의 온도에서 5~10분 동안 건조하여 4차 경화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유리의 배면에 1차 실크스크린 인쇄를 실시하고, 상기 1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상부에 2차 실크스크린 인쇄를 실시하고, 상기 2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상부에 3차 실크스크린 인쇄를 실시하고, 상기 3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상부에 4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방식으로 작업하게 된다.
상기 4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면이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의 내부로 들어가서 장착되고, 상기 유리의 전면이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유리가 투명하므로 유리의 배면에 실크스크린 인쇄된 금속질감이 선명하게 발휘될 수 있다.
유리의 일면에 1차 실크스크린 인쇄, 2차 실크스크린 인쇄, 3차 실크스크린 인쇄 및 4차 실크스크린 인쇄한 전체 두께가 15~20㎛인 것이 바람직하며, 실크스크린 인쇄한 전체 두께가 15㎛ 미만이면 금속질감이 떨어질 수 있고, 실크스크린 인쇄한 전체 두께가 20㎛ 초과되면 부착력, 내습성 및 내열탕성의 물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제판과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 15~25중량%, 실란 5~10중량%, 알루미늄 페이스트 60~70중량%, 우레탄 경화제 2~7중량% 및 레벨링제 1~3중량%로 이루어진 제1 잉크 조성물로 1차 실크스크린 인쇄하고, 제2 제판과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 40~50중량%, 실리카분말 3~10중량%, 디베이직 에스테르 용제 35~40중량%, 소포제 5~10중량% 및 레벨링제 첨가제 5~10중량%로 이루어진 제2 잉크 조성물로 2차 실크스크린 인쇄하고, 제3 제판과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 35~45중량%, 알루미늄 페이스트 20~30중량%, 디베이직 에스테르 용제 20~30중량%, 소포제 5~10중량% 및 레벨링제 5~10중량%로 이루어진 제3 잉크 조성물로 3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며, 제4 제판과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 35~45중량%, 이산화티타늄(TiO2) 20~30중량%, 디베이직 에스테르 용제 20~30중량% 및 착색제 10~20중량%로 이루어진 제4 잉크 조성물로 4차 실크스크린 인쇄하여 제조되는,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는 종래 유리에 금속을 직접 접합한 장식유리 또는 헤어라인 문양이 인쇄된 필름을 유리에 접착한 장식유리와 동등 이상의 금속질감을 갖는 장점이 있으며, 내열탕성, 내습성 및 내황변성 물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는 냉장고, 에어컨 등 가전제품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도 색상과 도막의 변화가 없는 내황변성이 우수하고 도막경도가 우수하여 건축 내, 외장재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리의 일면에 인쇄될 문자 및 그림 등의 디자인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일러스트로 도안하고 필름으로 출력하여, 1차 실크스크린 인쇄에 사용될 제1 제판, 2차 실크스크린 인쇄에 사용될 제2 제판, 3차 실크스크린 인쇄에 사용될 제3 제판 및 4차 실크스크린 인쇄에 사용될 제4 제판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1 제판을 유리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Acrylic Urethane Resin) 20중량%, 실란 8중량%, 알루미늄 페이스트(aluminium paste) 65중량%, 우레탄 경화제 5중량% 및 레벨링제 2중량%를 혼합 및 분산하여 제조한 제1 잉크 조성물로 1차 실크스크린 인쇄를 실시하였다. (도 4참조)
상기 1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콘베어식 건조기에서 165℃의 온도에서 6분 동안 건조하여 1차 경화시켰다.
상기 제2 제판을 상기 1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Acrylic Urethane Resin) 45중량%, 실리카분말 5중량%, 디베이직 에스테르 용제(dibasic ester) 36중량%, 소포제 7중량% 및 레벨링제 7중량%를 혼합 및 분산하여 제조한 제2 잉크 조성물로 2차 실크스크린 인쇄를 실시하였다. (도 5 참조)
상기 2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콘베어식 건조기에서 170℃의 온도에서 7분 동안 건조하여 2차 경화시켰다.
상기 제3 제판을 상기 2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Acrylic Urethane Resin) 37중량%, 알루미늄 페이스트(aluminium paste) 25중량%, 디베이직 에스테르 용제(dibasic ester) 24중량%, 소포제 7중량% 및 레벨링제 7중량%를 혼합 및 분산하여 제조한 제3 잉크 조성물로 3차 실크스크린 인쇄를 실시하였다. (도 6 참조)
상기 3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콘베어식 건조기에서 175℃의 온도에서 8분 동안 건조하여 3차 경화시켰다.
상기 제4 제판을 상기 3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Acrylic Urethane Resin) 37중량%, 이산화티타늄(TiO2) 25중량%, 디베이직 에스테르 용제(dibasic ester) 23중량% 및 착색제 15중량%를 혼합 및 분산하여 제조한 제4 잉크 조성물로 4차 실크스크린 인쇄를 실시하였다. (도 7 참조)
상기 4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콘베어식 건조기에서 170℃의 온도에서 7분 동안 건조하여 4차 경화시켰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제1 잉크 조성물, 제2 잉크 조성물, 제3 잉크 조성물 및 제4 잉크 조성물의 물성 시험방법을 표 1에 나타내고, 2회에 걸쳐 실험하여 그 측정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시험방법
SPEC.
제1 잉크 제2 잉크 제3 잉크 제4 잉크
점도(KU) Brookfield KU 점도계,
잉크온도 25℃
83±4 143min. 59±2 120±2
비중 비중컵 사용, 잉크온도25℃ 0.94±0.03 1.08±0.03 0.97±0.03 1.74±0.03
고형분 105℃×3Hr 후 측정 20.5±1% 58±1% 15±1% 71±1%
색상 색차계 사용
(3point각5회 측정 평균값)
△E≤1.0 △E≤1.0 △E≤1.0 △E≤1.0
부착성 Cross cut,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연필경도 Mitsubishi-Uni연필사용, 45도 각도, 500g 하중 HB↑ HB↑ HB↑ HB↑
내알콜성 95%↑에틸알콜, 20회왕복
(1㎏하중)후 소재표출확인
20회 OK 20회 OK 20회 OK 20회 OK
내자외선 15W살균등, 조사거리20㎝, 24시간 조사후 확인 △E≤1.0 △E≤1.0 △E≤1.0 △E≤1.0
내열성 60℃ Batch Oven, 72Hr 방치 후 시편확인 △E≤1.0 △E≤1.0 △E≤1.0 △E≤1.0

내열탕성
100±2℃물에 1Hr Dipping 후 시편확인 블리스터 無 블리스터 無 블리스터 無 블리스터 無
100/100 100/100 100/100 100/100
△E≤1.0 △E≤1.0 △E≤1.0 △E≤1.0

내습성
40℃, 95% RH * 240Hr
방치 후 시편확인
블리스터 無 블리스터 無 블리스터 無 블리스터 無
100/100 100/100 100/100 100/100
△E≤1.0 △E≤1.0 △E≤1.0 △E≤1.0
시험항목
측정값
제1 잉크 제2 잉크 제3 잉크 제4 잉크
점도(KU) 82 84 143min. 143min. 59 60 119 122
비중 0.9476 0.9415 1.0815 1.0793 0.9785 0.9693 1.7456 1.7413
고형분 20.1 20.4 58.5 57.6 15.4 14.9 72 71.5
색상 0.012 0.023 0.12 0.18 0.09 0.08 0.11 0.13
부착성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연필경도 HB↑ HB↑ HB↑ HB↑ HB↑ HB↑ HB↑ HB↑
내알콜성 20회 OK 20회 OK 20회 OK 20회 OK 20회 OK 20회 OK 20회 OK 20회 OK
내자외선 0.12 0.09 0.08 0.12 0.22 0.09 0.13 0.18
내열성 0.05 0.09 0.05 0.02 0.08 0.04 0.05 0.04

내열탕성
블리스터 無 블리스터 無 블리스터 無 블리스터 無 블리스터 無 블리스터 無 블리스터 無 블리스터 無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0.14 0.08 0.04 0.13 0.11 0.18 0.07 0.16

내습성
블리스터 無 블리스터 無 블리스터 無 블리스터 無 블리스터 無 블리스터 無 블리스터 無 블리스터 無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0.01 0.03 0.17 0.15 0.19 0.15 0.05 0.09
표 2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잉크 조성물, 제2 잉크 조성물, 제3 잉크 조성물 및 제4 잉크 조성물은 부착성, 경도, 내자외선, 내열성, 내열탕성 및 내습성이 우수하여, 상기 제1 잉크 조성물 내지 제4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크스크린 인쇄한 장식유리는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건축물 내·외장재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제1 제판, 제2 제판, 제3 제판 및 제4 제판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제1 제판을 유리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1 잉크 조성물로 1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단계 2);
    상기 1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건조기에서 160~170℃의 온도에서 5~6분 동안 건조하여 1차 경화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제2 제판을 상기 1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2 잉크 조성물로 2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단계 4);
    상기 2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건조기에서 160~180℃의 온도에서 5~10분 동안 건조하여 2차 경화하는 단계(단계 5);
    상기 제3 제판을 상기 2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3 잉크 조성물로 3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단계 6);
    상기 3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건조기에서 160~170℃의 온도에서 6~10분 동안 건조하여 3차 경화하는 단계(단계 7);
    상기 제4 제판을 상기 3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4 잉크 조성물로 4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단계(단계 8) ; 및
    상기 4차 실크스크린 인쇄된 유리를 건조기에서 160~180℃의 온도에서 5~10분 동안 건조하여 4차 경화하는 단계(단계 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제1 잉크 조성물은,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Modified Acrylic Urethane Resin) 15~25중량%, 실란 5~10중량%, 알루미늄 페이스트(aluminium paste) 60~70중량%, 우레탄 경화제 2~7중량% 및 레벨링제 1~3중량%를 혼합 및 분산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
    상기 제2 잉크 조성물은,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Modified Acrylic Urethane Resin) 40~50중량%, 실리카분말 3~10중량%, 디베이직 에스테르 용제(dibasic ester) 35~40중량%, 소포제 5~10중량% 및 레벨링제 첨가제 5~10중량%를 혼합 및 분산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6에서,
    상기 제3 잉크 조성물은,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Modified Acrylic Urethane Resin) 35~45중량%, 알루미늄 페이스트(aluminium paste) 20~30중량%, 디베이직 에스테르 용제(dibasic ester) 20~30중량%, 소포제 5~10중량% 및 레벨링제 5~10중량%를 혼합 및 분산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8에서,
    상기 제4 잉크 조성물은,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Modified Acrylic Urethane Resin) 35~45중량%, 이산화티타늄(TiO2) 20~30중량%, 디베이직 에스테르(dibasic ester) 용제 20~30중량% 및 착색제 10~20중량%를 혼합 및 분산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의 일면에 상기 1차 실크스크린 인쇄, 상기 2차 실크스크린 인쇄, 상기 3차 실크스크린 인쇄 및 상기 4차 실크스크린 인쇄한 전체 두께가 15~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7. 제1 제판과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 15~25중량%, 실란 5~10중량%, 알루미늄 페이스트 60~70중량%, 우레탄 경화제 2~7중량% 및 레벨링제 1~3중량%로 이루어진 제1 잉크 조성물로 1차 실크스크린 인쇄하고, 제2 제판과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 40~50중량%, 실리카분말 3~10중량%, 디베이직 에스테르 용제 35~40중량%, 소포제 5~10중량% 및 레벨링제 첨가제 5~10중량%로 이루어진 제2 잉크 조성물로 2차 실크스크린 인쇄하고, 제3 제판과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 35~45중량%, 알루미늄 페이스트 20~30중량%, 디베이직 에스테르 용제 20~30중량%, 소포제 5~10중량% 및 레벨링제 5~10중량%로 이루어진 제3 잉크 조성물로 3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며, 제4 제판과 변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 35~45중량%, 이산화티타늄(TiO2) 20~30중량%, 디베이직 에스테르 용제 20~30중량% 및 착색제 10~20중량%로 이루어진 제4 잉크 조성물로 4차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
KR1020110057390A 2011-06-14 2011-06-14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 KR101231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390A KR101231647B1 (ko) 2011-06-14 2011-06-14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390A KR101231647B1 (ko) 2011-06-14 2011-06-14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090A KR20120138090A (ko) 2012-12-24
KR101231647B1 true KR101231647B1 (ko) 2013-02-08

Family

ID=4790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390A KR101231647B1 (ko) 2011-06-14 2011-06-14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6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6337A (zh) * 2019-12-12 2020-05-01 北海市龙浩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在2.5d玻璃盖板上丝印木纹理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863B1 (ko) * 2018-05-31 2020-02-28 주식회사 휴먼스 유리패널 입체패턴용 실크스크린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입체패턴을 갖는 가전제품 전면패널의 제조방법
CN110833337A (zh) * 2019-11-19 2020-02-25 焦作飞鸿安全玻璃有限公司 一种超白玻璃白色印刷烤箱外门玻璃的加工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2162A (ja) * 1997-12-09 1999-06-29 Kano Diamant:Kk 金属色感盛上げ描画線形成用塗被組成物及び描画線形成方法
KR20110041794A (ko) * 2009-10-16 2011-04-22 나투라미디어 주식회사 디지털 인쇄층을 구비하는 금속 질감을 갖는 투명 장식 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2162A (ja) * 1997-12-09 1999-06-29 Kano Diamant:Kk 金属色感盛上げ描画線形成用塗被組成物及び描画線形成方法
KR20110041794A (ko) * 2009-10-16 2011-04-22 나투라미디어 주식회사 디지털 인쇄층을 구비하는 금속 질감을 갖는 투명 장식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6337A (zh) * 2019-12-12 2020-05-01 北海市龙浩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在2.5d玻璃盖板上丝印木纹理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090A (ko) 2012-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202502A (ja) ガラス板又はガラスセラミックス板から成るディスプレイ部用コーティング、該コーティング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CN105016787B (zh) 用抛光废渣制造的柔光镜花釉面砖及其制备方法
JP2014518834A (ja) エナメル用ガラスフリット組成物
CN105255257A (zh) 一种热固型玻璃丝印油墨及其制备方法
KR101231647B1 (ko)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금속질감을 갖는 장식유리
CN104479444B (zh) 一种耐水煮镜面树脂及其制备方法
JP2020522584A (ja) 機械的抵抗性を有する、鉱物塗料で被覆した自動車ルーフ用着色ガラス基材
CN109803508A (zh) 一种电子设备的壳体及其制备方法和电子设备
CN110436936A (zh) 一种装饰图案光色陶瓷砖及其制备方法
CN105620165B (zh) 一种瓷板画制作工艺
KR102082863B1 (ko) 유리패널 입체패턴용 실크스크린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입체패턴을 갖는 가전제품 전면패널의 제조방법
KR102210723B1 (ko) 중합체 재료 시트 상에 스크린-인쇄될 수 있는 컬러 조성물
CN104893492A (zh) 一种专用于铝制品的夜光涂料及应用
CN104371455B (zh) 彩色镜子及其制造方法
CN106626932A (zh) 一次成型电镀花纸及其制备方法与陶瓷装饰方法
KR102463481B1 (ko) 사틴 글라스 효과가 우수한 유기 실크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틴 글라스 효과가 우수한 유리패널의 제조방법
CN101264715A (zh) 一种仿瓷工艺品的制作方法
CN108570261A (zh) 一种双组份改性聚酯树脂热硬化型油墨
KR102577812B1 (ko) 반투명 세라믹 실크인쇄 잉크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제품
CN212451206U (zh) 具有不可分离的纹理层的玻璃面板
KR100870042B1 (ko) 양각인쇄방법 및 양각 도막용 혼합물
CN115340411B (zh) 一种仿天然翡翠瓷质砖的制备方法
CN101386473B (zh) 扎染肌理着色玻璃制品的生产方法
CN106882925A (zh) 一种镀膜真空玻璃的制备方法
CN106316465A (zh) 一种生产高立体感的广彩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