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860B1 -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 - Google Patents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860B1
KR101230860B1 KR1020120082480A KR20120082480A KR101230860B1 KR 101230860 B1 KR101230860 B1 KR 101230860B1 KR 1020120082480 A KR1020120082480 A KR 1020120082480A KR 20120082480 A KR20120082480 A KR 20120082480A KR 101230860 B1 KR101230860 B1 KR 101230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transmission
gear
hol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수
우승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모센추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모센추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모센추리
Priority to KR1020120082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는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외경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외곽에 출력 기어치가 형성되며, 각각의 중심부에 동일 직경의 변속 매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변속 매개 홀의 중심점이 동일 직선 상에 있도록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 개의 변속 기어 부재; 복수 개의 상기 변속 기어 부재의 상기 각 변속 매개 홀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각 변속 매개 홀 중 어느 하나의 변속 매개 홀에 연결될 수 있는 변속 매개 부재; 복수 개의 상기 각 변속 매개 홀을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하고, 일 측부에 외부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입력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변속 매개 부재가 안내되면서 이동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변속 매개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축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 중공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홀이 형성되는 동력 축 부재; 상기 축 중공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이동 부재; 및 상기 축 중공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동력 축 부재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변속 매개 부재를 상기 연통 홀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축 중공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와 연결된 상기 변속 매개 부재가 복수 개의 상기 변속 매개 홀 중 어느 하나의 변속 매개 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입력 기어치가 형성된 상기 동력 축 부재, 상기 변속 매개 부재 및 상기 변속 매개 부재가 연결된 상기 변속 기어 부재가 함께 회전되면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에 의하면, 외력에 의해 이동 부재가 축 중공을 따라 이동되어, 연결 부재에 의해 이동 부재와 연결된 변속 매개 부재가 복수 개의 변속 매개 홀 중 어느 하나의 변속 매개 홀에 연결됨으로써, 입력 기어치가 형성된 동력 축 부재, 변속 매개 부재 및 변속 매개 부재가 연결된 변속 기어 부재가 함께 회전되면서 변속된 상태에서 동력이 전달될 수 있게 되므로,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가 적용된 변속기의 구조가 간명해질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해질 수 있으며, 컴팩트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Shift gears se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는 변속기에 적용되어, 요구되는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요구되는 변속에 대응되는 해당 변속 기어가 동력 전달을 위해 선택되어지도록 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의 예로, 특허공개번호 제10-2004-0003116호(발명의 명칭: 수동변속기용 동기장치의 클러치허브 결합구조),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60160호(발명의 명칭: 수동 변속기의 동력 인출 장치) 등이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공개문헌과 같은 종래의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에 의하면, 변속기가 복잡해지고, 제조가 용이하지 않으며, 상기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가 적용된 변속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변속기가 간명한 구조를 이루고 제조가 용이하며 컴팩트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하는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는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외경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외곽에 출력 기어치가 형성되며, 각각의 중심부에 동일 직경의 변속 매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변속 매개 홀의 중심점이 동일 직선 상에 있도록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 개의 변속 기어 부재; 복수 개의 상기 변속 기어 부재의 상기 각 변속 매개 홀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각 변속 매개 홀 중 어느 하나의 변속 매개 홀에 연결될 수 있는 변속 매개 부재; 복수 개의 상기 각 변속 매개 홀을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하고, 일 측부에 외부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입력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변속 매개 부재가 안내되면서 이동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변속 매개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축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 중공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홀이 형성되는 동력 축 부재; 상기 축 중공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이동 부재; 및 상기 축 중공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동력 축 부재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변속 매개 부재를 상기 연통 홀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축 중공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와 연결된 상기 변속 매개 부재가 복수 개의 상기 변속 매개 홀 중 어느 하나의 변속 매개 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입력 기어치가 형성된 상기 동력 축 부재, 상기 변속 매개 부재 및 상기 변속 매개 부재가 연결된 상기 변속 기어 부재가 함께 회전되면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에 의하면, 외력에 의해 이동 부재가 축 중공을 따라 이동되어, 연결 부재에 의해 이동 부재와 연결된 변속 매개 부재가 복수 개의 변속 매개 홀 중 어느 하나의 변속 매개 홀에 연결됨으로써, 입력 기어치가 형성된 동력 축 부재, 변속 매개 부재 및 변속 매개 부재가 연결된 변속 기어 부재가 함께 회전되면서 변속된 상태에서 동력이 전달될 수 있게 되므로,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가 적용된 변속기의 구조가 간명해질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해질 수 있으며, 컴팩트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를 보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를 구성하는 베어링 고정판, 간격 유지 부재, 베어링 볼 및 볼 홀더를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를 구성하는 변속 기어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를 구성하는 동력 축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를 구성하는 변속 매개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를 구성하는 변속 매개 부재, 이동 부재 및 연결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를 구성하는 변속 매개 부재와 동력 축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를 구성하는 변속 기어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를 구성하는 베어링 고정판, 간격 유지 부재, 베어링 볼 및 볼 홀더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를 구성하는 변속 기어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를 구성하는 동력 축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를 구성하는 변속 매개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를 구성하는 변속 매개 부재, 이동 부재 및 연결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를 구성하는 변속 매개 부재와 동력 축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100)는 복수 개의 변속 기어 부재(120)와, 변속 매개 부재(160)와, 동력 축 부재(130)와, 이동 부재와, 연결 부재(170)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상기 변속 기어 부재(120)는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외경의 원판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외곽에 출력 기어치(123)가 형성되며, 각각의 중심부에 동일 직경의 변속 매개 홀(121)이 형성되고, 상기 변속 매개 홀(121)의 중심점이 동일 직선 상에 있도록 서로 이격되면서 나란히 배열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각 변속 기어 부재(120) 사이에는 원판 형태의 볼 홀더(141)가 개입되고, 상기 볼 홀더(141)에 베어링 볼(14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베어링 볼(140)의 양 측이 이웃하는 상기 변속 기어 부재(120)에 각각 닿아, 이웃하는 상기 변속 기어 부재(120)가 서로 매끄럽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볼 홀더(141)는 베어링 고정판(110)에 고정되고, 이웃하는 상기 베어링 고정판(110) 사이의 외곽에는 복수 개의 간격 유지 부재(115)가 개입된다. 즉, 상기 볼 홀더(141)가 고정된 상기 베어링 고정판(110)과 상기 간격 유지 부재(115)가 교대로 적층되고, 그러한 이웃하는 상기 베어링 고정판(110)의 각 사이에 상기 각 변속 기어 부재(120)가 상기 베어링 볼(140)에 닿아 매끄럽게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복수 개의 상기 볼 홀더(141) 중 일 측의 최외곽에 외치한 볼 홀더(141)에는 축 베어링(105)이 설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볼 홀더(141) 중 타 측의 최외곽 외측에는 축 고정판(111)이 설치되며, 상기 축 고정판(111)에도 축 베어링(106)이 설치된다.
상기 양 측의 축 베어링(105, 106)에 상기 동력 축 부재(130)의 양 말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동력 축 부재(130)는 복수 개의 상기 각 변속 매개 홀(121)을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하고, 일 측부에 외부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입력 기어치(131)가 형성되며,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가 안내되면서 이동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의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축 중공(132)이 형성되고, 상기 축 중공(132)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홀(133)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 홀(133)은 상기 동력 축 부재(130)의 길이 방향, 즉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동력 축 부재(130)를 길게 관통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동력 축 부재(130)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상기 동력 축 부재(1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는 복수 개의 상기 변속 기어 부재(120)의 상기 각 변속 매개 홀(121)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각 변속 매개 홀(121) 중 어느 하나의 변속 매개 홀(121)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는 상기 동력 축 부재(130)의 외곽을 따라 상기 동력 축 부재(130)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동력 축 부재(1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러한 이동 중에 복수 개의 상기 변속 매개 홀(121)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는 것이며, 복수 개의 상기 변속 매개 홀(121)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의 외경 형상은 상기 변속 매개 홀(121)의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가 상기 변속 매개 홀(121)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축 중공(132)에 삽입되어, 상기 축 중공(13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이동 부재는 외부로 연장되는 변속줄(101)이 연결되는 변속줄 고정부(180)와, 상기 변속줄 고정부(180)에 연결되는 변속 베어링(181)과, 상기 변속 베어링(181)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고 후술되는 연결 부재(170)가 연결되는 변속 연결부(182)를 포함한다.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가 회전되면, 상기 변속 연결부(182)는 회전되지만, 상기 변속 베어링(181)에 의해 상기 변속줄 고정부(180)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상기 연결 부재(170)는 상기 축 중공(132)에 삽입된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동력 축 부재(130)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를 상기 연통 홀(133)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 부재(170)의 중심부는 상기 변속 연결부(182)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 부재(170)의 각 말단부는 각각 상기 연통 홀(133)을 관통한 다음 각각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변속줄(101)과 상기 변속줄 고정부(180)는 회전되지 않고, 상기 변속 베어링(181)에 의해 상기 변속 연결부(182), 상기 연결 부재(170) 및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가 회전될 수 있고,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와 맞물린 상기 동력 축 부재(130) 및 상기 변속 기어 부재(120)도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변속줄(101)이 사용자에 의해 외부에서 당겨지면, 상기 변속줄 고정부(180), 상기 변속 연결부(182), 상기 연결 부재(170) 및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가 함께 당겨지면서 상기 축 중공(132) 내에서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가 상기 변속줄(101)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축 중공(132) 내에는 일 측 말단이 상기 축 중공(132)에 고정되고, 타 측 말단이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에 닿아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를 밀어줄 수 있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150)가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 변속줄(101)이 사용자에 의해 느슨해지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15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가 밀려나게 되면서,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가 상기 변속줄(101)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의 외면에는 연결 돌기(164)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돌기(164)는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의 외면을 따라 복수 개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변속 매개 홀(121)에는 상기 연결 돌기(164)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 돌기 삽입 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 돌기(164)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상기 연결 돌기 삽입 홈(12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와 상기 변속 매개 홀(121)이 맞추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가 복수 개의 상기 변속 매개 홀(121) 중 어느 하나의 변속 매개 홀(121)에 연결될 때, 상기 연결 돌기(164)가 복수 개의 상기 연결 돌기 삽입 홈(122) 중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가 연결된 상기 변속 매개 홀(121)에 형성된 상기 연결 돌기 삽입 홈(12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와 상기 변속 기어 부재(120)가 헛도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와 그와 연결된 상기 변속 기어 부재(120)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의 내부에는 상기 동력 축 부재(130)가 관통되는 동력 축 관통 홀(161)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 축 부재(130)의 외면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스플라인(134)(spline)이 돌출되며, 상기 동력 축 관통 홀(161)에는 상기 스플라인(134)이 연결될 수 있는 스플라인 연결 홈(162)이 형성된다. 역시, 상기 스플라인(134)과 상기 스플라인 연결 홈(162)은 각각 복수 개로 형성되어 서로 맞추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스플라인 연결 홈(162)에 상기 스플라인(134)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가 상기 동력 축 부재(1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동력 축 부재(130)와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가 헛돌지 않고 함께 회전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가 상기 동력 축 부재(130) 상을 일정한 경로를 따라 안내되면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100)는 외력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축 중공(132)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연결 부재(170)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와 연결된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가 복수 개의 상기 변속 매개 홀(121) 중 어느 하나의 변속 매개 홀(121)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입력 기어치(131)가 형성된 상기 동력 축 부재(130),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 및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가 연결된 상기 변속 기어 부재(120)가 함께 회전되면서 변속된 상태에서 동력이 전달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100)가 적용된 변속기의 구조가 간명해질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해질 수 있으며, 컴팩트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상기 변속줄(101)을 당기면,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가 상기 동력 축 부재(130)를 따라 상기 변속줄(101) 쪽으로 근접되도록 이동되고, 사용자가 외력을 줄이는 등의 작용으로 상기 변속줄(101)을 느슨하게 하면, 상기 탄성 부재(15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가 상기 동력 축 부재(130)를 따라 상기 변속줄(101)과 이격되도록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가 이동하는 중에 사용자가 상기 변속줄(101)에 대한 조작을 정지하면,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의 이동도 정지되고, 그 정지된 위치에서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가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변속 기어 부재(120)의 상기 변속 매개 홀(121)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입력 기어치(131)가 외부의 원동 기어(미도시)와 맞물려 회전되면, 상기 동력 축 부재(130), 상기 연결 부재(170),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 및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와 맞물린 상기 변속 기어 부재(120)가 순차적으로 회전됨으로써, 변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회전되는 상기 변속 기어 부재(120)가 동력의 출력측이 된다.
다시 변속이 요구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변속줄(101)을 조작하여 상기 변속 매개 부재(160)가 다른 변속 기어 부재(120)와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를 구성하는 변속 기어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변속 매개 홀(221)의 내벽에는 각각 압전 소자(224)가 배치된다.
그러면, 변속 매개 부재가 복수 개의 상기 변속 매개 홀(221) 중 어느 하나의 변속 매개 홀(221)에 연결되면, 상기 변속 매개 부재가 연결된 상기 변속 매개 홀(221) 내벽의 상기 압전 소자(224)가 눌려지면서 형성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복수 개의 변속 기어 부재(220) 중 상기 변속 매개 부재가 연결된 변속 기어 부재(220)가 외부에서 인지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압전 소자(224)에서 형성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해당 변속 매개 부재를 표시하는 엘이디 램프(미도시) 등이 점등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선택된 상기 변속 기어 부재(220)가 외부에서 인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별도의 전기에너지가 인가되지 아니하고도, 상기 변속 매개 부재와 맞물린 상기 변속 기어 부재(220)가 어느 것인지 외부에서 쉽게 인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에 의하면, 변속기가 간명한 구조를 이루고 제조가 용이하며 컴팩트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20 : 변속 기어 부재 130 : 동력 축 부재
160 : 변속 매개 부재 170 : 연결 부재

Claims (4)

  1.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외경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외곽에 출력 기어치가 형성되며, 각각의 중심부에 동일 직경의 변속 매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변속 매개 홀의 중심점이 동일 직선 상에 있도록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 개의 변속 기어 부재;
    복수 개의 상기 변속 기어 부재의 상기 각 변속 매개 홀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각 변속 매개 홀 중 어느 하나의 변속 매개 홀에 연결될 수 있는 변속 매개 부재;
    복수 개의 상기 각 변속 매개 홀을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하고, 일 측부에 외부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입력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변속 매개 부재가 안내되면서 이동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변속 매개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축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 중공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홀이 형성되는 동력 축 부재;
    상기 축 중공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이동 부재; 및
    상기 축 중공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동력 축 부재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변속 매개 부재를 상기 연통 홀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축 중공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와 연결된 상기 변속 매개 부재가 복수 개의 상기 변속 매개 홀 중 어느 하나의 변속 매개 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입력 기어치가 형성된 상기 동력 축 부재, 상기 변속 매개 부재 및 상기 변속 매개 부재가 연결된 상기 변속 기어 부재가 함께 회전되면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매개 부재의 외면에는 연결 돌기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변속 매개 홀에는 상기 연결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 돌기 삽입 홈이 형성되어, 상기 변속 매개 부재가 복수 개의 상기 변속 매개 홀 중 어느 하나의 변속 매개 홀에 연결될 때, 상기 연결 돌기가 복수 개의 상기 연결 돌기 삽입 홈 중 상기 변속 매개 부재가 연결된 상기 변속 매개 홀에 형성된 상기 연결 돌기 삽입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변속 매개 부재와 상기 변속 기어 부재가 헛도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매개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동력 축 부재가 관통되는 동력 축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 축 부재의 외면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스플라인(spline)이 돌출되며, 상기 동력 축 관통 홀에는 상기 스플라인이 연결될 수 있는 스플라인 연결 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플라인 연결 홈에 상기 스플라인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변속 매개 부재가 상기 동력 축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변속 매개 홀의 내벽에는 각각 압전 소자가 배치되어, 상기 변속 매개 부재가 복수 개의 상기 변속 매개 홀 중 어느 하나의 변속 매개 홀에 연결되면, 상기 변속 매개 부재가 연결된 상기 변속 매개 홀 내벽의 상기 압전 소자가 눌려지면서 형성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변속 기어 부재 중 상기 변속 매개 부재가 연결된 변속 기어 부재가 외부에서 인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
KR1020120082480A 2012-07-27 2012-07-27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 KR101230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480A KR101230860B1 (ko) 2012-07-27 2012-07-27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480A KR101230860B1 (ko) 2012-07-27 2012-07-27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0860B1 true KR101230860B1 (ko) 2013-02-13

Family

ID=47899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480A KR101230860B1 (ko) 2012-07-27 2012-07-27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8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3445A (zh) * 2019-06-24 2019-09-20 西北工业大学 齿轮传动系统三维建模方法
WO2020013565A1 (ko) * 2018-07-10 2020-01-16 한은수 다단 변속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9966U (ko) * 1987-04-30 1988-11-29 박상락 차량용 기어 변속장치
KR910011287U (ko) * 1989-12-19 1991-07-29 금성전선 주식회사 트랙터(tractor)용 내장식 부변속장치
KR19990010725U (ko) * 1997-08-26 1999-03-15 김웅길 농작업기용 변속기의 부변속시프트 어셈블리
KR20020036979A (ko) * 2002-03-05 2002-05-17 이창복 자동변속장치에서의 기어물림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9966U (ko) * 1987-04-30 1988-11-29 박상락 차량용 기어 변속장치
KR910011287U (ko) * 1989-12-19 1991-07-29 금성전선 주식회사 트랙터(tractor)용 내장식 부변속장치
KR19990010725U (ko) * 1997-08-26 1999-03-15 김웅길 농작업기용 변속기의 부변속시프트 어셈블리
KR20020036979A (ko) * 2002-03-05 2002-05-17 이창복 자동변속장치에서의 기어물림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565A1 (ko) * 2018-07-10 2020-01-16 한은수 다단 변속장치
US11255412B2 (en) 2018-07-10 2022-02-22 Eun Su Han Multi-speed transmission
CN110263445A (zh) * 2019-06-24 2019-09-20 西北工业大学 齿轮传动系统三维建模方法
CN110263445B (zh) * 2019-06-24 2020-12-01 西北工业大学 齿轮传动系统三维建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19142A1 (en) Shifting apparatus of dual clutch transmission mechanism
EP2893226B1 (en) Driveline for a vehicle
KR101230860B1 (ko)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
CN111587138B (zh) 玩具齿轮箱
TW201502002A (zh) 輪轂嵌入式多段變速器
KR101053764B1 (ko) 무체인 자전거용 기어변속장치
JP5517146B2 (ja) 一方向回転伝達装置
JP6010334B2 (ja) 変速機の同期噛合い機構
CN103620262A (zh) 动力传递装置
JP2019100367A (ja) 車両用2方向クラッチ装置
JP6528619B2 (ja) 速度変換機
CN104864042A (zh) 一种新型传动机构
JP2013210066A (ja) 自動変速機
KR101251743B1 (ko) 콘 링 타입 무단변속기
KR20130068770A (ko) 자전거 변속기 시프터
JP6129675B2 (ja) 動力伝達機構
JP6194421B2 (ja) 変速機構
JP6175026B2 (ja) 変速機構
JP2013190064A (ja) 自動変速機用ドグクラッチ
KR100978624B1 (ko) 자전거용 변속기
JP6080221B2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
KR20140098397A (ko) 변속용 기어 선택 장치를 포함하는 자전거
KR20170076829A (ko) 동력 분기식 수동 변속기의 하이-로우 싱크로 장치
EP3153743B1 (en) Linear gear shift mechanism
KR20110000034A (ko) 동력전달부와 수직으로 구성된 도넛형 디스크기어 및 변속용 롤러로 구성된 유단변속기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