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501B1 - 샤워기 - Google Patents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501B1
KR101228501B1 KR1020090014804A KR20090014804A KR101228501B1 KR 101228501 B1 KR101228501 B1 KR 101228501B1 KR 1020090014804 A KR1020090014804 A KR 1020090014804A KR 20090014804 A KR20090014804 A KR 20090014804A KR 101228501 B1 KR101228501 B1 KR 101228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er
flow path
water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5802A (ko
Inventor
김수환
Original Assignee
신아에이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아에이티(주) filed Critical 신아에이티(주)
Priority to KR1020090014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50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5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01D35/046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the filtering element being mounted in the faucet plu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zzl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의 토출효율을 향상시키고, 물의 절수효과를 높이며, 잔류염소의 제거효율 및 물의 세척력을 향상시키고, 조립성 및 장착성을 향상시킨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샤워기는 복수의 중심토출공 및 상기 중심토출공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주변토출공을 가진 샤워플레이트; 상기 샤워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샤워헤드; 상기 샤워헤드가 밀봉적으로 장착되는 헤드 어댑터; 상기 헤드 어댑터 내에 배치된 복수의 기능성 고형물; 상기 헤드 어댑터 내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기능성 고형물을 지지하고, 복수의 통수공을 가진 지지판; 상기 헤드 어댑터 및 샤워헤드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부직포필터; 및 상기 부직포필터가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샤워기, 샤워헤드, 샤워플레이트, 헤드 어댑터, 부직포필터

Description

샤워기{SHOWER}
본 발명은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의 토출효율을 향상시키고, 물의 절수효과를 높이며, 물의 세척력을 향상시키고, 조립성 및 장착성을 향상시킨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샤워기는 냉수 또는 온수를 뿌리는 물뿔리개 모양의 분사장치로서, 가정용 세면실, 주방의 싱크대, 미용실의 세면실 등에 이용된다.
이러한 샤워기는 호스에 연결되는 손잡이, 복수의 노즐공을 가진 샤워플레이트, 샤워플레이트가 장착되는 샤워헤드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샤워헤드의 내부에는 물을 직수 또는 분수 형태로 선택하여 토출시키기 위한 유로변환기구가 내장될 수 있다.
한편, 샤워기는 그 이송되는 물의 잔류염소를 제거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그외 각종 항균, 살균, 탈취성능을 부여하여야 한다. 이에, 최근의 샤워기는 그 내부에 다양한 필터 등이 내장되어 있지만, 그 조립구조가 복잡하여 구성요소들의 조립성이 취약할 뿐만 아니라 물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물의 토출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각 구성요소의 누수 문제 등이 심각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샤워기는 가정용 세면실, 싱크대, 미용실의 세면대 등과 같은 그 사용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그 호환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물의 토출효율을 향상시키고, 물의 절수효과를 높이며, 잔류염소의 제거효율 및 세척력을 향상시키고, 그 장착성을 향상시킨 샤워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방용 샤워기는,
복수의 중심토출공 및 상기 중심토출공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주변토출공을 가진 샤워플레이트;
상기 샤워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샤워헤드;
상기 샤워헤드가 밀봉적으로 장착되는 헤드 어댑터;
상기 헤드 어댑터 내에 배치된 복수의 기능성 고형물;
상기 헤드 어댑터 내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기능성 고형물을 지지하고, 복수의 통수공을 가진 지지판;
상기 헤드 어댑터 및 샤워헤드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부직포필터; 및
상기 부직포필터가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측벽 및 바닥면을 가지고, 그 상부는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상부에는 덮개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 및 덮개는 물이 통과하는 복수의 통수공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 하부에는 복수의 이격돌기가 돌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가 내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끼움돌기에 의해 상기 덮개가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결합된다.
상기 헤드 어댑터는 그 하단에 샤워헤드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지고, 상기 장착부의 하단에는 환형의 돌출부가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 어댑터 및 샤워 헤드 사이에는 중간몸체가 개재되고, 상기 중간몸체에는 물의 흐름을 전환하는 유로변환기구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 어댑터의 인입부 단면적 대비 상기 주변토출공의 총단면적의 비율은 1:0.2~0.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물의 토출효율을 향상시키고, 물의 절수효과를 높이며, 잔류염소의 제거효율 및 세척력을 향상시키고, 그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샤워기(10)는 샤워헤드(11) 및 샤워헤드(11)의 토출부측에 설치된 샤워플레이트(12)를 포함한다.
샤워헤드(11)는 양단이 개방되고, 그 일단은 물이 인입되는 인입부가 되고, 그 타단은 물이 토출되는 토출부가 된다. 샤워헤드(11)의 인입부에 인접한 내경면에는 나사결합부(11a)가 형성되며, 이 나사결합부(11a)는 헤드 어댑터(13)에 결합된다. 샤워헤드(11)의 토출부에는 걸림턱(11b)이 내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이 걸림턱(11b)에는 샤워플레이트(12)의 가장자리가 안착된다.
샤워플레이트(12)는 복수의 토출공(12a, 12b)을 가지고, 복수의 토출공(12a, 12b)은 복수의 중심토출공(12a) 및 복수의 주변토출공(1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샤워플레이트(12)는 금속판 재질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토출공(12a, 12b)은 에칭기법을 통해 그 직경이 0.05~1.0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샤워플레이트(12)가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계열일 경우에는 사출성형을 통해 0.05~1.0mm의 토출공(12a, 12b)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토출공(12a, 12b)는 다각형 구조 또는 미세 직경으로 형성할수록 레나드효과에 의한 음이온 발생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헤드 어댑터(13)는 그 하단에 샤워헤드(11)의 인입부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14)를 가지고, 그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연장부(18)를 가진다. 연장부(18)의 단부에는 호스 또는 커넥터 등이 결합되는 제2장착부(18a)가 형성되고, 이 연장부(18)는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헤드 어댑터(13)의 제1장착부(14)는 그 외주면에 샤워헤드(11)의 나사결합부(11a)와 나사결합하는 나사결합부(14a)를 가지고, 그 단부에 환형의 돌출부(14b) 를 가진다. 그리고, 헤드 어댑터(13)의 제1장착부(14)와 샤워플레이트(12)의 가장 자리 사이에는 환형의 밀봉부재(17)가 개재되고, 제1장착부(14)의 돌출부(14b)가 밀봉부재(17)를 가압함으로써 그 밀봉적 결합구조를 강화할 수 있다.
제1장착부(14)의 내측에는 부직포필터(25)가 설치되고, 이 부직포필터(25)에 의해 인입되는 물 내의 잔류염소 내지 기타 이물질 등이 여과될 수 있다.
한편, 부직포필터(25)는 케이스(20) 내에 설치됨으로써 부직포필터(25)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뿐만 아니라 부직포필터(25)가 외부로 누출됨을 방지할수 있다.
케이스(20)는 측벽(21) 및 바닥면(22)을 가지고, 제1장착부(14)의 내측에 설치된다. 케이스(20)의 상면은 개방되고, 이 개방된 상면에는 덮개(24)가 결합된다. 측벽(21)의 상부 내벽면에는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21a)가 내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이 끼움돌기(21a)의 하부에는 끼움홈(21b)이 형성된다.
또한, 바닥면(22)은 그 하부에 복수의 이격돌기(22b)를 가지고, 복수의 이격돌기(22b)는 밀봉부재(17)의 내측 가장자리 또는 샤워플레이트(12)의 이면과 접촉할 수 있다. 복수의 이격돌기(22b)는 케이스(20)와 샤워플레이트(1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이격시킴으로써 부직포필터(25)를 통과한 물이 샤워플레이트(12)의 각 통수공(12a, 12b)으로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한다.
덮개(24)는 그 가장자리가 측벽(21)의 끼움돌기(21a) 및 끼움홈(21b)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측벽(21)의 상부측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면(21) 및 덮개(24) 각각은 복수의 통수공(21a, 24a)을 가지고, 각 통수공(21a, 24a)을 통해 물이 통과한다.
헤드 어댑터(13)는 그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제1유입공간(13a), 제1유입공간(13a)의 전방에 형성된 제2유입공간(13c)을 가진다. 제2유입공간(13c)에는 구형 또는 그외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고형물이 충전되고, 이 기능성 고형물은 세라믹, 활성탄, 비타민C, 아류산칼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세라믹은 유황볼, 토르말린원석, 셀레늄, 음이온수지, 알칼리수지, 게르마늄, 황토, 맥반석, 제올라이트, 세리사이트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이 혼합된 기능성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세라믹 고형물(28)들은 항균, 탈취, 세척, 원적외선 방사, 음이온 방사 등의 효과를 구현함에 따라 본 발명의 샤워기는 그 세척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세라믹 고형물(28)은 그 내부에 복수의 공극을 가진 다공성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다공성 구조의 고형물(20)에 의해 물과 접촉하는 표면적이 증대됨으로써 그 세척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세라믹 고형물(28)은 강력한 원적외선을 방사함으로써 수소결합을 작은 원자로 나누어 물분자를 분해할 수 있고, 이러한 분해과정에서 물질들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분자운동과 세척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세라믹 고형물(28)은 그 외면에 은이 코팅되거나 은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항균성, 제균성 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세라믹 고형물(28)의 외면에 은성분이 코팅됨에 따라 항균성, 제균성 등의 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식기 등의 세척 도중에 상처가 나더라도 은 성분에 의해 세균억제 효과때문에 2차 감염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라믹 고형물(28) 이외에도 활성탄, 입상 혹은 고형화된 비타민C, 아류산칼슘 등을 혼합할 수도 있고, 활성탄, 입상 혹은 고형화된 비타민C, 아류산칼슘 등을 세라믹 고형물(28)에 대체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활성탄, 입상 혹은 고형화된 비타민C, 아류산칼슘 등을 통해 잔류염소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제2유입공간(13c)의 하부에는 지지판(27)이 설치되고, 지지판(27)은 그 가장자리가 제2유입공간(13c)의 하부 내벽면에 형성된 끼움홈(13d) 및 끼움돌기(13e) 사이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제2유입공간(13c)의 하부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지지판(27)은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통공(27a)을 가진다. 그리고, 제1 및 제2 유입공간(13a, 13c) 사이에는 복수의 통수슬롯(13b)이 형성되고, 이 통수슬롯(13b)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망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세라믹 고형물(28)의 크기는 지지판(27)의 통공(27a) 및 통수슬롯(13b) 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세라믹 고형물(28)이 지지판(27)의 통공(27a) 및 통수슬롯(13b)을 통과하여 외부로 누출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샤워기(10')는 샤워헤드(11)와 헤드 어댑터(13) 사이에 중간몸체(30)가 개재되고, 이 중간몸체(30)에는 토출되는 물을 직수 또는 분류 형태로 선택하도록 하는 유로변환기구(40)가 내장되어 있 다.
중간몸체(30)는 양단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 수평격벽(31)을 가지며, 그 하단에는 장착부(32)가 하부로 연장되고, 이 장착부(32)에는 샤워헤드(11)가 장착된다. 수평격벽(31)은 그 중심부에 통수공(31a)을 가진다. 장착부(32)는 그 외주면에 나사결합부(32a)가 형성되고, 장착부(32)의 단부에는 환형의 돌출부(32b)가 돌출된다. 장착부(32)의 나사결합부(32a)에는 샤워헤드(11)의 나사결합부(11a)가 나사결합된다. 샤워플레이트(12)의 가장자리는 샤워헤드(11)의 걸림턱(11b)에 안착되고, 이 샤워플레이트(12)의 가장자리 상면과 중간몸체(30)의 장착부(32) 사이에는 환형의 제1밀봉부재(17a)가 개재되고, 중간몸체(30)의 돌출부(32b)가 제1밀봉부재(17a)를 가압함으로써 그 밀봉적 결합구조를 강화할 수 있다.
중간몸체(30)의 상단 내경면에는 헤드 어댑터(13)에 결합되는 나사결합부(30a)가 형성되고, 헤드 어댑터(13)의 제1장착부(14)와 중간몸체(30)의 수평격벽(31) 가장자리 사이에는 환형의 제2밀봉부재(17b)가 개재되고, 제1장착부(14)의 돌출부(14b)가 제2밀봉부재(17b)를 가압함으로써 그 밀봉적 결합구조를 강화할 수 있다.
중간몸체(30)의 일측에는 내부 및 외부를 구획하는 구획벽(35)이 형성되고, 이 구획벽(35)의 외측에는 피벗공(34a)을 가진 피벗설치리브(34)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몸체(30)의 수평격벽(31) 하부에는 유로변환기구(40)가 설치되고, 이 유로변환기구(40)는 물의 유로를 샤워플레이트(12)의 중심토출공(12a) 또는 주변토출공(12b)으로 변환함으로써 직수 또는 분류 형태로 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예컨대, 유로변환기구(40)에 의해 중심토출공(12a)을 통해 토출되는 물은 직수 형태로 토출되고, 주변토출공(12b)들을 통해 토출되는 물은 분류 형태로 토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샤워플레이트(12)는 절수효과를 높이기 위한 인입부의 단면적 대비 주변토출공(12b)들 총단면적 비율은 1 : 0.2~0.6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변토출공(12b)들의 총단면적이 인입부의 단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됨에 따라 주변토출공(12b)으로만 물이 토출될 경우 대략 40~80%의 절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면에, 인입부의 단면적 대비 중심토출공(12a)의 총단면적 비율은 1 : 0.6~1.5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중심토출공(12a)으로만 물이 토출될 경우 주로 음료용으로 주전자 등에 물을 받기 위한 것이므로, 그 상대적으로 절수의 필요성이 낮기 때문이다.
유로변환기구(40)는 전환스위치(41), 전환스위치(41)와 함께 중간몸체(30)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밸브(42), 중심토출공(12a)과 소통하는 제1토출공간(44a) 및 주변토출공(12b)과 소통하는 제2토출공간(44b)을 가진 유로가이드(44)를 포함한다.
전환스위치(41)는 직수 또는 분류 형태로 물을 토출시키도록 조작하기 위한 구성으로, 그 일면에는 직수 또는 분류를 나타내는 표시부(41a)가 배치되고, 그 타면에는 밸브(42)의 피벗부(42a)에 끼워지는 끼움구멍(41b)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42)는 그 일단에 피벗부(42a)를 가지고, 그 타단에는 밸브부(42b)가 형성되어 있다. 피벗부(42a)는 중간몸체(30)의 피벗설치리브(34)의 피벗공(34a)에 끼워지고, 이에 전환스위치(41)를 조작함에 따라 밸브(42)는 그 피벗부(42a)를 중심으로 피벗된다. 밸브부(42b)의 내부에는 구형상의 밸브체(42c) 및 이 밸브체(42c)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42d)가 설치된다.
유로가이드(44)는 그 하부 내측공간에 격벽(44c)에 의해 구획된 제1 및 제2 토출공간(44a, 44b)을 가진다. 제1토출공간(44a)은 샤워플레이트(12)의 중심토출공(12a)과 소통하며, 제2토출공간(44b)은 샤워플레이트(12)의 주변토출공(12b)과 소통한다. 유로가이드(44)의 상부에는 제1소통공(44f) 및 제2소통공(44g)이 형성된다. 제1소통공(44f)은 그 일측이 제1토출공간(44a)으로 개방됨으로써 제1소통공(44f)은 제1토출공간(44a)과 소통하고, 제2소통공(44g)은 그 일측이 제2토출공간(44b)으로 개방됨으로써 제2토출공간(44b)과 소통한다.
한편, 유로가이드(44)의 측면에는 끼움홈(44f)이 형성되고, 이 끼움홈(44f)에는 밀봉부재(47)가 설치되며, 밀봉부재(47)의 일측은 중간몸체(30)의 내벽면에 밀착됨으로써 유로가이드(44)의 상부 및 하부는 서로 밀봉적으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유로가이드(44)의 격벽(44c)은 그 하단에 끼움홈(44f)을 가지고, 이 끼움홈(44f)에 밀봉부재(46)가 설치되며, 이 밀봉부재(46)의 하단은 샤워플레이트(12)의 중심토출공(12a) 및 주변토출공(12b) 사이의 상면 부분에 밀착됨으로써 제1 및 제2 토출공간(44a, 44b)은 서로 밀봉적으로 구획될 수 있다.
유로가이드(44)의 상면 일측에는 유로부재(43)가 기밀하게 끼움결합되고, 이 유로부재(43)는 제1 및 제2 유통공(43a, 43b)을 가진다. 유로부재(43)의 제1유통공(43a)은 유로가이드(44)의 제1소통공(44f)과 소통하고, 이에 제1유통공(43a)은 제1소통공(44f)을 통해 유로가이드(44)의 제1토출공간(44a)과 소통한다. 유로부 재(43)의 제2유통공(43b)은 유로가이드(44)의 제2소통공(44g)과 소통하고, 이에 제2유통공(43b)은 제2소통공(44g)을 통해 유로가이드(44)의 제2토출공간(44b)과 소통한다.
제1유통공(43a)은 그 직경이 5.5~6.0mm 범위 내이고, 제2 유통공(43b)은 2.0~6.0mm 범위 내이다. 특히, 제2유통공(43b)은 제1유통공(43a)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제2유로(44b) 및 주변토출공(12b)을 통해 분류 형태로 토출되는 물의 절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로변환기구(40)는 직수 또는 분류 형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물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전환스위치(41)를 조작하면, 이 전환스위치(41)의 조작에 연동하여 밸브(42)는 그 피벗부(42a)를 중심으로 피벗하고, 이에 밸브(42)의 밸브체(42c)가 유로부재(43)의 제1 및 제2 유통공(43a, 43b)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폐쇄할 경우 개방된 나머지 유통공(43a, 43b)을 통해 물이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물은 개방된 유통공(43a, 43b)을 통과하여 유로가이드(44)의 제1 및 제2 토출공간(44a, 44b) 중에서 어느 일측으로 유입된 후에 샤워플레이트(12)의 중심토출공(12a) 및 주변토출공(12b) 중에서 어느 일측을 통해 토출된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동관계는 선행하는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샤워기(10")를 도시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샤워기(10")는 샤워헤드(11), 샤워플레이트(12), 중간몸체(30) 및 유로변환기구(40)를 포함한다. 한편, 제3실시예의 헤드 어댑터(13)는 그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간(13c)을 가지고, 이 유입공간(13c)의 상부에는 수평격벽(19)이 형성되며, 수평격벽(19)은 복수의 통공(19a)을 가진다. 그리고, 유입공간(13c)의 하부에는 지지판(27)이 설치되고, 이 지지판(27)은 복수의 통공(27a)을 가진다. 이에 수평격벽(19) 및 지지판(27) 사이에 복수의 세라믹 고형물(28)이 배치되고, 세라믹 고형물(28)은 수평격벽(19) 및 지지판(27)의 통공(19a, 27a) 보다 큰 직경으로 구성됨에 따라 외부로 누출됨이 방지된다.
한편, 제3실시예의 헤드 어댑터(13)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달리 그 일측에 손잡이 역할을 하는 연장부를 가지지 않고, 헤드 어댑터(13)의 상단에 호스 또는 커넥터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나사결합부(13g)를 가지고, 이 나사결합부(13g)에 호스 또는 커넥터가 결합되며, 이 나사결합부(13g)의 하부측에는 밀봉부재(13h)가 설치된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선행하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3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부직포필터의 케이스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7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로가이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밸브체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샤워기 11: 샤워 헤드
12: 샤워플레이트 13: 헤드 어댑터

Claims (5)

  1. 복수의 중심토출공 및 상기 중심토출공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주변토출공을 가진 샤워플레이트;
    상기 샤워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샤워헤드;
    상기 샤워헤드가 밀봉적으로 장착되는 헤드 어댑터;
    상기 헤드 어댑터 내에 배치되고, 세라믹, 활성탄, 비타민C, 아류산칼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기능성 고형물;
    상기 헤드 어댑터 내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기능성 고형물을 지지하고, 복수의 통수공을 가진 지지판;
    상기 헤드 어댑터 및 샤워헤드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부직포필터; 및
    상기 부직포필터가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측벽 및 바닥면을 가지고, 그 상부는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상부에는 덮개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 및 덮개는 물이 통과하는 복수의 통수공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 하부에는 복수의 이격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가 내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끼움돌기에 의해 상기 덮개가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결합되며,
    상기 헤드 어댑터 및 샤워 헤드 사이에는 중간몸체가 개재되고, 상기 중간몸체의 양단이 개방되며, 상기 중간몸체의 내부에는 수평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격벽의 중심부에는 통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몸체의 수평격벽 하부에는 유로변환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유로변환기구는 전환스위치, 상기 전환스위치와 함께 중간몸체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밸브, 상기 샤워플레이트의 중심토출공들과 소통하는 제1토출공간 및 상기 샤워플레이트의 주변토출공들과 소통하는 제2토출공간을 가진 유로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의 일단에는 중간몸체 측에 설치되는 피벗부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의 타단에는 밸브부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부의 내부에는 구형상의 밸브체 및 상기 밸브체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유로가이드의 상부에는 제1소통공 및 제2소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소통공은 상기 제1토출공간과 소통하고, 상기 제2소통공은 상기 제2토출공간과 소통하며,
    상기 유로가이드의 상면에는 유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유로부재는 제1 및 제2 유통공을 가지며, 상기 유로부재의 제1유통공은 상기 유로가이드의 제1소통공과 소통하고, 상기 제1유통공은 상기 제1소통공을 통해 상기 유로가이드의 제1토출공간과 소통하며, 상기 유로부재의 제2유통공은 상기 유로가이드의 제2소통공과 소통하고, 상기 제2유통공은 제2소통공을 통해 상기 유로가이드의 제2토출공간과 소통하며,
    상기 전환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밸브의 밸브체가 피벗부를 중심으로 피벗되어, 상기 유로부재의 제1 및 제2 유통공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폐쇄 또는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어댑터는 그 하단에 샤워헤드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지고, 상기 장착부의 하단에는 환형의 돌출부가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어댑터의 인입부 단면적 대비 상기 주변토출공의 총단면적의 비율은 1:0.2~0.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출공은 에칭기법 또는 사출성형을 통해 0.05~1.0mm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KR1020090014804A 2009-02-23 2009-02-23 샤워기 KR101228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804A KR101228501B1 (ko) 2009-02-23 2009-02-23 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804A KR101228501B1 (ko) 2009-02-23 2009-02-23 샤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802A KR20100095802A (ko) 2010-09-01
KR101228501B1 true KR101228501B1 (ko) 2013-01-31

Family

ID=43003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804A KR101228501B1 (ko) 2009-02-23 2009-02-23 샤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50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194A (ko) * 2014-01-27 2015-08-05 이장우 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된 유체 분사 장치
KR102049252B1 (ko) * 2018-06-25 2019-11-28 주식회사 웨트마니아 케미컬 처리장치용 하우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케미컬 처리장치
KR102053416B1 (ko) * 2018-11-29 2019-12-06 주식회사 유엔지 테크놀러지 화장수 공급장치
KR102238625B1 (ko) * 2020-10-23 2021-04-09 원스타산업 주식회사 반려동물 겸용 수소발생 샤워기
KR20210046417A (ko) 2019-10-18 2021-04-28 박학수 직수 및 분수 전환형 샤워 헤드
KR102321196B1 (ko) 2021-06-09 2021-11-02 최승혁 샤워기 헤드의 염소 제거용 비드의 활성화 장치
KR20220166954A (ko) * 2021-06-11 2022-12-20 배인선 설치케이스와 기능성필터의 성분 비접촉 제어정수필터
KR102636592B1 (ko) * 2023-02-14 2024-02-14 주식회사 보티 미스트 분무노즐이 구비된 다기능 샤워 헤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601B1 (ko) * 2011-04-07 2013-08-26 곽현준 기포를 발생시키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
KR101377284B1 (ko) * 2011-06-08 2014-03-26 (주)토경엔터프라이즈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발산되는 지압용 자화수 샤워기 헤드
KR101377283B1 (ko) * 2011-06-08 2014-03-26 (주)토경엔터프라이즈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발산되는 자화수 샤워기 헤드
WO2016047962A1 (ko) * 2014-09-24 2016-03-31 정태봉 샤워 헤드
KR101670960B1 (ko) * 2015-05-06 2016-11-01 고홍환 마이크로 버블 음이온 샤워기
KR101860451B1 (ko) * 2017-11-10 2018-05-23 김주현 비타민c를 이용한 염소 제거 필터
KR102119124B1 (ko) * 2019-10-04 2020-06-26 선정완 샤워 헤드
EP3998120B1 (en) * 2020-09-24 2023-06-21 Sinyu Technology (Fujian) Co., Ltd. Automatic return shower head and use method
KR102544758B1 (ko) * 2021-07-23 2023-06-21 주식회사 에어프릴 기능성 샤워기
KR102444245B1 (ko) * 2022-02-16 2022-09-19 (주)엣진 조립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킨 싱크대용 수전 헤드
KR102611150B1 (ko) * 2023-07-12 2023-12-06 이우종 음이온이 발산되는 자화활성수 생성 샤워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625A (ko) * 2004-11-29 2006-06-02 신아에이티(주) 샤워기용 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625A (ko) * 2004-11-29 2006-06-02 신아에이티(주) 샤워기용 필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194A (ko) * 2014-01-27 2015-08-05 이장우 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된 유체 분사 장치
KR101727192B1 (ko) * 2014-01-27 2017-04-14 이장우 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된 유체 분사 장치
KR102049252B1 (ko) * 2018-06-25 2019-11-28 주식회사 웨트마니아 케미컬 처리장치용 하우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케미컬 처리장치
KR102053416B1 (ko) * 2018-11-29 2019-12-06 주식회사 유엔지 테크놀러지 화장수 공급장치
KR20210046417A (ko) 2019-10-18 2021-04-28 박학수 직수 및 분수 전환형 샤워 헤드
KR102238625B1 (ko) * 2020-10-23 2021-04-09 원스타산업 주식회사 반려동물 겸용 수소발생 샤워기
KR102321196B1 (ko) 2021-06-09 2021-11-02 최승혁 샤워기 헤드의 염소 제거용 비드의 활성화 장치
KR20220166954A (ko) * 2021-06-11 2022-12-20 배인선 설치케이스와 기능성필터의 성분 비접촉 제어정수필터
KR102544379B1 (ko) 2021-06-11 2023-06-15 배인선 설치케이스와 기능성필터의 성분 비접촉 제어정수필터
KR102636592B1 (ko) * 2023-02-14 2024-02-14 주식회사 보티 미스트 분무노즐이 구비된 다기능 샤워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802A (ko)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501B1 (ko) 샤워기
US10682655B2 (en) Multifunction faucet spray head
RU239030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уша
CN107995879B (zh) 雾化喷嘴
US11167294B2 (en) Multifunctional pull-out spray head
CN216704726U (zh) 一种具有喷枪功能的花洒
KR20100109344A (ko) 비데 장치
CN210106676U (zh) 一种龙头
CN210196557U (zh) 一种多功能抽拉花洒
KR101132596B1 (ko) 샤워기
CN215886455U (zh) 龙头软水机
JP3635417B2 (ja) 処理水シャワー付切り替え弁装置
CN205653861U (zh) 清洗喷头与风干装置
KR102331869B1 (ko) 헤드부 교체가 용이한 인터락 방식의 샤워기기
CN110159808B (zh) 一种多功能抽拉花洒
CN209302996U (zh) 花洒和具有其的清洗装置
JP4260943B2 (ja) 止水機能付き吐水ヘッド
KR200325992Y1 (ko) 여과체가 구비된 샤워기 헤드
KR20200107736A (ko) 세면대용 led 정수 필터
CN212089333U (zh) 一种具有出水功能的镜柜
CN214160095U (zh) 一种自动出沐浴泡沫的花洒
JP4107747B2 (ja) 浄水シャワーシステム
CN211796288U (zh) 一种多功能组合式洗涤水槽及水槽式洗涤机
KR200239444Y1 (ko) 정수기의 보조저수통장치
CN211693635U (zh) 一种多功能集成出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