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601B1 - 기포를 발생시키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 - Google Patents

기포를 발생시키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601B1
KR101299601B1 KR1020110032302A KR20110032302A KR101299601B1 KR 101299601 B1 KR101299601 B1 KR 101299601B1 KR 1020110032302 A KR1020110032302 A KR 1020110032302A KR 20110032302 A KR20110032302 A KR 20110032302A KR 101299601 B1 KR101299601 B1 KR 101299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
cover
open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4649A (ko
Inventor
곽현준
Original Assignee
곽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현준 filed Critical 곽현준
Priority to KR1020110032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601B1/ko
Publication of KR20120114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4Jet regulators with ae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 Y02A20/411Water saving techniques at user lev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포를 발생시키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급수호스(300)와 연결되며 내부에 유로(151)와 유입공(150)이 형성된 결합부(15)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10)이 형성되며, 하부에 개구부(12)가 형성된 본체(1); 상기 본체(1)의 막음판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부(5); 상기 본체(1)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상기 유로(151)에 대응되는 분산판(22)이 형성되고, 토출공(23)이 형성된 덮개(2); 상기 덮개(2)를 덮도록 상기 본체(1)의 개구부(12)에 결합되며 다수의 세공(30)이 형성된 커버부재(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물을 절약할 수 있고 고압의 미세 기포를 발생시켜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피부에 닿는 촉감이 부드러워질 수 있고, 구성이 간결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포를 발생시키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WATER SAVING SINK HEAD FOR KITCHEN'S FAUCET}
본 발명은 기포를 발생시키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의 싱크대용 수전에 장착되는 것이며, 물을 절약할 수 있고 고압의 미세 기포를 발생시켜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피부에 닿는 촉감이 부드러워질 수 있고, 구성이 간결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기포를 발생시키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헤드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유로와 연통 되는 다수개의 토출구가 관통 형성되어 그 기단부가 물을 공급하는 급수호스에 연결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샤워헤드를 파지하여 사용하게 된다.
샤워헤드의 내부 유로로 공급되는 원수에는 소독처리를 위한 염소성분이 잔류하여 유해균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지만, 원수 내에 용해된 잔류염소는 수돗물 특유의 냄새를 유발하여 사용자에게 혐오감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민감한 피부와 반응하여 각종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며, 트릴할로메탄 등과 같은 발암물질의 발생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처럼 원수 내의 잔류염소는 원수의 소독처리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기는 하지만, 결과적으로 인체에 유해하기 때문에 사용시에는 잔류염소를 완전히 제거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샤워시 인체는 샤워기를 통해서 배출되는 유체에 직접 접촉되므로 잔류염소를 완벽하게 제거할 필요가 있다.
잔류염소를 제거하는 샤워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82101호(2007.02.06)의 "잔류염소 제거 및 향 발생기능을 구비한 샤워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비타민C의 방출시간을 늘림으로써 필터의 수명을 연장하고, 더불어 향을 발산하는 아로마테라피 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샤워기의 샤워헤드를 통해 분사되는 물 입자의 분산을 활성화하여 음이온 발생량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별도의 필터를 사용하므로 필터 비용이 증가되고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체할 필요가 있으므로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방의 싱크대용 수전에 장착되는 것이며, 물의 토출량을 절감시켜 절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아울러 와류 및 버블(미세 기포)의 생성에 의해 잔류 염소 등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고,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조가 간결하여 제조 비용을 월등히 절감할 수 있으며, 주방의 싱크대용 수전에 적용됨은 물론 욕실의 샤워기에도 적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향상된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호스과 연결되며 내부에 유로와 유입공이 형성된 결합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막음판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부;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상기 유로에 대응되는 분산판이 형성되고, 토출공이 형성된 덮개; 상기 덮개를 덮도록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다수의 세공이 형성된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막음판의 저면에는 결합부의 유입공에 인접되는 위치에 단턱이 형성되어 유입되는 물이 충돌하여 분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턱은 본체의 내측 벽면까지 연장 형성되며, 그 끝단은 덮개와 이격되는 위치까지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흡입부는 외부와 통하는 통기홀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기홀이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콘(corn) 형상으로 된 융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융기부의 끝단에는 노즐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막음판의 외면에는 상기 통기홀을 덮도록 마개가 결합되며, 상기 마개에는 통기홀 보다 직경이 작은 흡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방의 싱크대용 수전에 장착되어 물이 와류를 형성함과 동시에 잘게 부수어져 버블(미세 기포)이 형성됨으로써 잔류 염소 등의 불순물이 제거될 수 있으며 아울러 피부에 닿는 촉감이 부드러워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수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구조를 매우 간결하게 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월등히 절감될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방의 싱크대용 수전은 물론 욕실의 샤워기에도 적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발생시키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발생시키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의 결합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발생시키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발생시키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를 샤워기에 연결시킨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발생시키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발생시키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의 결합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발생시키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발생시키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를 샤워기에 연결시킨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발생시키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A)는, 급수호스(300)와 연결되며 내부에 유로(151)와 유입공(150)이 형성된 결합부(15)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10)이 형성되며, 개구부(12)가 형성된 본체(1); 상기 본체(1)의 막음판(19)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부(5); 상기 본체(1)의 개구부(12)에 결합되며 상기 유로(151)에 대응되는 분산판(22)이 형성되고, 토출공(23)이 형성된 덮개(2); 상기 덮개(2)를 덮도록 상기 본체(1)의 개구부(12)에 결합되며 다수의 세공(30)이 형성된 커버부재(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는 통상의 주방 싱크대의 수전에 장착되는 싱크헤드와 마찬가지로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10)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공간(10)과 통하도록 유입공(150)과 유로(151)가 내부에 형성되며 급수호스(300)와 체결되는 결합부(15)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5)는 본체(1)로부터 일정 길이로 돌출된 원통형이며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으로, 급수호스(300)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200)가 중간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체(1)는 공간(10)과 통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개구부(12)가 형성되고, 그에 대향된 타측은 막혀있는 판 형상이다. 이 판을 설명의 편의상 막음판(19)이라 정한다.
상기 본체(1)의 막음판(19)의 저면에는 결합부(15)의 유입공(150)에 인접되는 위치에 단턱(13)이 형성됨으로써 유입공(15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단턱(13)에 충돌하여 분산되도록 한다.
상기 단턱(13)은 본체(1)의 내측 벽면까지 연장 형성되며, 그 끝단은 덮개(2)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는 위치까지로 한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공기흡입부(5)가 형성되는데 상기 공기흡입부(5)는 벤츄리 효과에 의해 외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된다.
상기 공기흡입부(5)는 외부와 통하는 통기홀(53)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기홀(53)이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콘(corn) 형상으로 된 융기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기홀(53)은 본체(1)의 막음판에 요입된 요홈(192)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보스(51)의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융기부(52)의 끝단에는 미세 직경의 통로를 갖는 노즐(55)이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가 통기홀(53)을 통해 빠른 속도로 유입되어 노즐(55)로부터 분사되고 이로 인해 버블이 생성될 수 있다.
본체(1)의 막음판(19)의 외면에는 상기 통기홀(53)을 덮도록 마개(4)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마개(4)는 상기 보스(51)에 결합되는 끼움부(42)가 일측에 형성된 원판형상이며, 그 중심부에는 통기홀(53)에 통하되 통기홀(53) 보다 직경이 작은 흡기홀(47)이 형성된다.
따라서 마개(4)의 끼움부(42)가 보스(51)에 끼워져 결합되며, 필요한 경우 탈거가 가능하도록 일측에는 손톱을 끼울 수 있는 틈새가 형성되도록 절개부(46)가 형성된다.
덮개(2)는 외주연에 소정 높이의 환턱(25)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유로(151)에 대응되는 분산판(22)이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토출공(23)이 형성된 원판 형상이다.
상기 환턱(25)이 본체(1)의 개구부(12)에 끼움 결합되어 덮개(2)가 결합된다.
상기 분산판(22)은 결합부(15)의 유입공(150)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물을 분산시키기 용이하도록 호형으로 형성된다.
물론 분산판(22)의 형상은 호형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물 분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분산판(22)의 높이는 단턱(13)에는 미치지 않을 정도로 설정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유입공(150)의 중심부 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있도록 설정된다.
상기 단턱(13)은 분산판(22) 보다 유입공(150)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도 2 참조). 따라서 단턱(13)에 의해 1차 분산된 물이 분산판(22)에 의해 2차로 분산되면서 와류가 생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3)는 덮개(2)를 덮도록 상기 본체(1)의 개구부에 나사 결합되며 다수의 세공(30)이 형성되어 있어 덮개(2)의 토출공(23)을 통해 토출된 물과 버블이 세공(30)을 통과하면서 샤워 형상으로 분사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의 개구부(12)에 덮개(2)를 끼움 결합시키고, 커버부재(3)를 나사결합시킨 다음 후면에는 마개(4)를 결합시킨다.
이렇게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A)를 주방 싱크대의 수전(100)에 장착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A)는 싱크대의 수전(100)의 토출관(110)과 연결시키기 위해 "ㄴ"자 형 엘보우,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ㄹ"자 형 연결부속(400)을 이용하여 장착한다.
상기 연결부속(400)의 일측을 싱크대 수전(100)의 토출관(110)에 결합시키고, 타측에 본체(1)의 결합부(15)를 연결시킨다.
이후 싱크대 수전(100)을 개방하면 유입공(150)으로 물이 공급되어 단턱(13)에 1차적으로 충돌하면서 분산되고, 아울러 단턱(13)의 형상으로 따라 이동되면서 와류가 발생한다.
이후 분산판(22)에 충돌하면서 2차 분산되고, 호형으로 된 상기 분산판(22)의 형상에 유도되어 와류형성이 더욱 촉진되면서 덮개(2)의 토출공(23)을 통과한 후 커버부재(3)의 세공(30)을 통과하여 분사된다.
한편 본체(1)의 공간(10)을 빠르게 흐르는 물의 압력차이에 의해 벤츄리 효과가 발생되어 공기흡입부(5)의 노즐(55)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따라서 분산과 와류를 형성하는 물에 공기가 고압으로 흡입되어 미세 기포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부에 닿는 촉감이 부드러워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100)은 욕실의 샤워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의 샤워용 수전에 연결된 급수호스(300)에 연결시키며, 필요한 경우에는 결합부(15)에 각종 기능성 필터(200)를 장착한 후 급수호스(300)와 연결시킨다.
기능성 필터(200)는 수질을 향상시키고 피부 미용을 촉진하는 용도로 시판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본체 2 : 덮개
3 : 커버부재 4 : 마개
5 : 공기흡입부 13 : 단턱
15 : 결합부 22 : 분산판
23 : 토출공 47 : 흡기홀
52 : 융기부 53 : 통기홀
55 : 노즐 100 : 수전
200 : 필터 300 : 호스
400 : 연결부속

Claims (4)

  1. 급수호스(300)와 연결되며 유로(151)와 유입공(150)을 갖는 결합부(15)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10)이 형성되며, 개구부(12)가 형성된 본체(1);
    상기 본체(1)의 막음판(19)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부(5);
    상기 본체(1)의 개구부(12)에 결합되며 상기 유로(151)에 대응되는 분산판(22)이 형성되고, 토출공(23)이 형성된 덮개(2);
    상기 덮개(2)를 덮도록 상기 본체(1)의 개구부(12)에 결합되며 다수의 세공(30)이 형성된 커버부재(3)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의 막음판(19)의 저면에는 결합부(15)의 유입공(150)에 인접되는 위치에 단턱(13)이 형성되어 유입되는 물이 상기 단턱(13)에 충돌하여 분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13)은 본체(1)의 내측 벽면까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부(5)는 외부와 통하는 통기홀(53)이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콘(corn) 형상으로 된 융기부(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




KR1020110032302A 2011-04-07 2011-04-07 기포를 발생시키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 KR101299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302A KR101299601B1 (ko) 2011-04-07 2011-04-07 기포를 발생시키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302A KR101299601B1 (ko) 2011-04-07 2011-04-07 기포를 발생시키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649A KR20120114649A (ko) 2012-10-17
KR101299601B1 true KR101299601B1 (ko) 2013-08-26

Family

ID=47283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302A KR101299601B1 (ko) 2011-04-07 2011-04-07 기포를 발생시키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6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907B1 (ko) * 2020-04-29 2021-01-05 주식회사 무진테크 미세기포 생성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0213A (ja) 1998-10-07 2000-04-18 Mym Corp 吐水ヘッド
KR20030051055A (ko) * 2001-12-20 2003-06-25 주식회사 포밍 샤워기
JP2008136931A (ja) * 2006-12-01 2008-06-19 Yoshito Ogawa 液吐出装置
KR20100095802A (ko) * 2009-02-23 2010-09-01 신아에이티(주) 샤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0213A (ja) 1998-10-07 2000-04-18 Mym Corp 吐水ヘッド
KR20030051055A (ko) * 2001-12-20 2003-06-25 주식회사 포밍 샤워기
JP2008136931A (ja) * 2006-12-01 2008-06-19 Yoshito Ogawa 液吐出装置
KR20100095802A (ko) * 2009-02-23 2010-09-01 신아에이티(주) 샤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649A (ko)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3627B2 (en) Rimless toilet
KR101602657B1 (ko) 살균정화 샤워기
JP5294103B2 (ja) シャワーヘッド
KR101946170B1 (ko) 미세버블 샤워헤드
CN108495715B (zh) 可安装在水龙头上的节水喷嘴
WO2010094200A1 (zh) 花洒喷溅水出水结构
CN102427794A (zh) 喷雾式保健清洗器
KR20130007107A (ko) 버블 샤워기의 헤드
KR20080092750A (ko) 욕조용 산소 마이크로버블 공급장치
JP6358901B2 (ja) 気泡混入装置及び気泡混入シャワー装置
KR101299601B1 (ko) 기포를 발생시키는 절수형 주방 싱크헤드
CA2959840A1 (en) Power sprayer
JP2010007315A (ja) マイクロバブル洗浄ノズル
CN102535605B (zh) 虹吸双冲马桶
KR20150118215A (ko) 노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비데
KR100784315B1 (ko) 가습기
JP5821081B2 (ja) 節水型の散水吐水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水栓
CN216631242U (zh) 一种具有微气泡装置的花洒
KR20150103492A (ko) 벽걸이식 세안장치
KR20060059624A (ko) 샤워기용 비타민필터
KR200414063Y1 (ko) 세정모드 조절이 가능한 비데
JP6727540B2 (ja) 噴霧ユニット
KR20150137522A (ko) 카트리지가 장착된 샤워기
CN210022533U (zh) 一种雾化水出水装置
KR102542799B1 (ko) 공기 혼합 샤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