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254B1 - 승압형 dc-dc 및 승압형 dc-dc 를 갖는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승압형 dc-dc 및 승압형 dc-dc 를 갖는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254B1
KR101228254B1 KR1020120120040A KR20120120040A KR101228254B1 KR 101228254 B1 KR101228254 B1 KR 101228254B1 KR 1020120120040 A KR1020120120040 A KR 1020120120040A KR 20120120040 A KR20120120040 A KR 20120120040A KR 101228254 B1 KR101228254 B1 KR 101228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ircuit
power supply
voltage
switch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5974A (ko
Inventor
후미야스 우츠노미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5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과제
승압 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을, 전원과 승압 회로의 승압 전력으로부터 공급하는 승압형 DC-DC 에 있어서, 기동 전압이 낮은 승압형 DC-DC 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전원과 승압 회로의 승압 출력 사이에 스위치 소자를 형성하고, 또한 승압 회로에 입력되는 전력을 축전하고, 이 축전 전력으로 승압 회로를 소정 시간 동작시키는 축전 용량을 추가하고, 스위치 소자를 오프하더라도, 승압 회로가 승압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경우에 스위치 소자를 오프하는 구성의 승압형 DC-DC 이다.

Description

승압형 DC-DC 및 승압형 DC-DC 를 갖는 반도체 장치{BOOST DC-DC CONVERTER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BOOST DC-DC CONVERTER}
본 발명은, 입력 전력을 입력 전력의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의 출력 전력으로 변환하는 승압형 DC-DC 를 갖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승압형 DC-DC 가 일단 기동하면, 그 승압형 DC-DC 는 상기 출력 전력으로 동작하는 구성의 승압형 DC-DC 를 갖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3 은 종래의 승압형 DC-DC 를 갖는 반도체 장치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 (101) 과, 전원 (101) 의 전력을 보다 전압이 높은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는 승압 회로 (102) 와 쇼트키 다이오드 (304) 와, 승압 전력으로 동작하는 부하 (103) 로 구성되어 있고, 승압 회로 (102) 의 입력 단자 (111) 와 승압 회로 (102) 의 전원 단자 (112) 사이에 쇼트키 다이오드 (304) 가 승압 회로 (102) 의 입력 단자 (111) 로부터 승압 회로 (102) 의 전원 단자 (112) 의 방향이 순방향이 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승압 회로 (102) 의 출력 단자 (113) 는 승압 회로 (102) 의 전원 단자 (112) 와 부하 (103) 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승압 회로 (102) 의 기동시에는, 승압 회로 (102) 의 입력 단자 (111) 에 입력되는 전원 (101) 의 전력이 쇼트키 다이오드 (304) 를 통해 승압 회로 (102) 의 전원 단자 (112) 에 입력되기 때문에, 승압 회로 (102) 는 기동을 개시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또한 승압 회로 (102) 가 기동하고, 승압 회로 (102) 의 출력 단자 (113) 에 승압 전력이 발생하면, 승압 회로 (102) 는, 이 승압 전력을 승압 회로 (102) 의 전원 단자 (112) 로 되돌림으로써 승압 동작을 지속할 수 있다. 물론, 이 승압 전력은 쇼트키 다이오드 (304) 의 정류 작용에 의해 전원 (101) 으로 역류하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승압 회로 (102) 를 기동할 때, 전원 (101) 의 전압이 쇼트키 다이오드 (304) 를 통해 승압 회로 (102) 의 전원 단자 (112) 에 공급되기 때문에, 승압 회로 (102) 의 최저 기동 전압보다도, 쇼트키 다이오드 (304) 의 순방향 드롭 전압 (이후 Vf 라고 약칭한다.) 만큼 높은 전원 전압을 입력하지 않으면 승압 회로 (102) 가 기동할 수 없고, 또한, 승압 회로 (102) 가 기동시에 부하 (103) 가 동작하고 있으면 Vf 가 더욱 증가하고, 승압 회로 (102) 의 입력 단자 (111) 로부터 승압 회로 (102) 의 전원 단자 (112) 사이에 기생 저항 등이 직렬로 존재한 경우, 보다 높은 전원 전압을 입력하지 않으면 승압 회로 (102) 는 기동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승압형 DC-DC 는, 특허 문헌 1 에서는 상기 구성의 승압형 DC-DC 의 승압 회로 (102) 의 출력 단자 (113) 와 부하 (103) 사이에 스위치 소자를 형성하고, 승압 회로 (102) 가 기동할 때에는, 이 스위치 소자를 오프하여 부하 (103) 의 동작에 의한 Vf 의 증가를 없앰으로써 보다 낮은 전압의 전원 전압에 의해 승압 회로 (102) 를 기동시키도록 하고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304765호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승압형 DC-DC 를 기동하기 위해서는, 내부의 승압 회로가 기동할 수 있는 전압보다도, 쇼트키 다이오드의 Vf 만큼 높은 전원 전압을 입력하지 않으면 기동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수단으로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전력을, 그 전력의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의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는 승압 회로와, 상기 승압 전력으로 동작하는 부하와, 상기 전원과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전력의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로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전력을 축전 전력으로서 축전하고, 상기 전력의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로의 공급이 두절되더라도 상기 축전 전력으로 소정 시간 상기 승압 회로를 동작시킬 수 있는 축전 용량과,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의 전압을 검출하고 그 전압의 검출 결과에 따라 스위치 소자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전압 검출 회로를 갖고, 상기 승압 회로는 상기 스위치 소자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력, 또는, 상기 승압 전력을 상기 전원 단자에 입력함으로써 동작하고, 상기 전압 검출 회로는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가, 상기 승압 회로가 동작할 수 있는 전압보다 높은 제 1 전압 이상이 된 경우, 온되어 있던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오프하고, 일단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오프하면,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의 전압이, 상기 승압 회로가 동작할 수 있는 전압 이상으로 상기 제 1 전압 미만의 제 2 전압을 밑돌 때까지, 오프되어 있던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온하지 않고, 또한, 상기 스위치 소자를 일단 온하면,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의 전압이 상기 제 1 전압 이상이 될 때까지, 온되어 있던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오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였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종래의 승압형 DC-DC 에 비교하여, 낮은 전압의 전원 전압에 의해 기동하는 승압형 DC-DC 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 2 수단으로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전력을, 그 전력의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의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는 승압 회로와, 상기 승압 전력으로 동작하는 부하와, 상기 전원과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전력의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로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전력을 축전 전력으로서 축전하고, 상기 전력의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로의 공급이 두절되더라도 상기 축전 전력으로 소정 시간 상기 승압 회로를 동작시킬 수 있는 축전 용량과,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의 전압을 검출하고 그 전압의 검출 결과에 따라 스위치 소자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전압 검출 회로를 갖고, 상기 승압 회로는 상기 스위치 소자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력, 또는, 상기 승압 전력을 상기 전원 단자에 입력함으로써 동작하고, 상기 전압 검출 회로는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가, 상기 승압 회로가 동작할 수 있는 전압보다 높은 제 1 전압 이상이 된 경우, 온되어 있던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오프하고, 일단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오프하면, 소정 시간 오프되어 있던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였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1 수단과 마찬가지로, 상기 종래의 승압형 DC-DC 에 비교하여, 낮은 전압의 전원 전압에 의해 기동하는 승압형 DC-DC 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제 3 수단으로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전력을 그 전력의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의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는 승압 회로와, 상기 승압 전력으로 동작하는 부하와, 상기 전원과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전력의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로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전력을 축전 전력으로서 축전하고 상기 전력의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로의 공급이 두절되더라도 상기 축전 전력으로 소정 시간 상기 승압 회로를 동작시킬 수 있는 축전 용량과, 상기 승압 회로의 내부 발진 회로의 클록 신호가 출력되는 클록 출력 단자의 클록 신호의 주파수를 검출하고, 그 클록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스위치 소자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클록 검출 회로를 갖고, 상기 승압 회로는 상기 스위치 소자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력, 또는, 상기 승압 전력을 상기 전원 단자에 입력함으로써 동작하고, 상기 클록 검출 회로는 상기 클록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승압 회로가 상기 승압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주파수보다 높은 제 1 주파수 이상이 된 경우, 온되어 있던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오프하고, 일단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오프하면, 상기 클록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승압 회로가 상기 승압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주파수 이상으로 상기 제 1 주파수 미만의 제 2 주파수를 밑돌 때까지, 오프되어 있던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온하지 않고, 또한, 상기 스위치 소자를 일단 온하면, 상기 클록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 1 주파수 이상이 될 때까지, 온되어 있던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오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였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종래의 승압형 DC-DC 에 비교하여, 낮은 전압의 전원 전압에 의해 기동하는 승압형 DC-DC 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제 1 과 제 2 수단의 승압형 DC-DC 보다도 더욱 낮은 전압의 전원 전압에 의해 기동하는 승압형 DC-DC 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4 수단으로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전력을 그 전력의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의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는 승압 회로와, 상기 승압 전력으로 동작하는 부하와, 상기 전원과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전력의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로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전력을 축전 전력으로서 축전하고 상기 전력의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로의 공급이 두절되더라도 상기 축전 전력으로 소정 시간 상기 승압 회로를 동작시킬 수 있는 축전 용량과, 상기 승압 회로의 내부 발진 회로의 클록 신호가 출력되는 클록 출력 단자의 클록 신호의 주파수를 검출하고 그 클록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스위치 소자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클록 검출 회로를 갖고, 상기 승압 회로는 상기 스위치 소자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력, 또는, 상기 승압 전력을 상기 전원 단자에 입력함으로써 동작하고, 상기 클록 검출 회로는 상기 클록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승압 회로가 상기 승압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주파수보다 높은 제 1 주파수 이상이 된 경우, 온되어 있던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오프하고, 일단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오프하면, 소정 시간 오프되어 있던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였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종래의 승압형 DC-DC 에 비교하여, 낮은 전압의 전원 전압에 의해 기동하는 승압형 DC-DC 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제 3 수단의 승압형 DC-DC 와 동일한 정도로 낮은 전원 전압으로 기동할 수 있는 승압형 DC-DC 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승압형 DC-DC 는 종래의 승압형 DC-DC 에 비교하여, 낮은 전압의 전원 전압에 의해 기동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승압형 DC-DC 를 갖는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승압형 DC-DC 를 갖는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종래의 승압형 DC-DC 를 갖는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전원 102, 202 : 승압 회로
103 : 부하 104 : PMOS
105 : 전압 검출 회로 106 : 축전 용량
205 : 클록 검출 회로 304 : 쇼트키 다이오드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승압형 DC-DC 를 갖는 반도체 장치를 도 1 에 나타낸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승압형 DC-DC 의 구성에서 사용한 쇼트키 다이오드 대신에 스위치 소자인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이후 PMOS 라고 약기한다 ; 104) 를 형성하고, 또한, 종래의 승압형 DC-DC 의 구성에 승압 회로 (102) 의 전원 단자 (112) 의 전압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 PMOS (104) 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전압 검출 회로 (105) 와, 승압 회로 (102) 의 전원 단자 (112) 로의 전력 공급이 두절되더라도, 축전한 전력으로 소정 시간 승압 회로 (102) 를 동작시킬 수 있는 축전 용량 (106) 을 추가한 구성으로서, 승압 회로 (102) 의 입력 단자 (111) 와 승압 회로 (102) 의 전원 단자 (112) 사이에 PMOS (104) 가 직렬 접속되고, 승압 회로 (102) 의 출력 단자 (113) 는, 승압 회로 (102) 의 전원 단자 (112) 와 부하 (103) 에 접속되고, 축전 용량 (106) 은 승압 회로 (102) 의 전원 단자 (112) 와 GND 단자 사이에 접속된 구성이다. 그리고, 또한, 전압 검출 회로 (105) 는 승압 회로 (102) 의 전원 단자 (112) 의 전압이, 승압 회로 (102) 를 기동시킬 수 있는 최저 전압보다 0.05V 정도 높은 제 1 전압 이상으로 된 경우에, PMOS (104) 를 오프하고, 일단 PMOS (104) 를 오프하면, 승압 회로 (102) 의 전원 단자 (112) 의 전압이 상기 제 1 전압보다 0.05V 정도 저하되지 않으면, PMOS (104) 를 온하지 않는 히스테리시스를 갖게 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동작은, 먼저 승압 회로 (102) 의 입력 단자 (111) 에 입력되는 전원 (101) 의 전압이 낮고, 승압 회로 (102) 의 전원 단자 (112) 가, 승압 회로 (102) 가 기동할 수 있는 소정 전압에 달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압 검출 회로 (105) 는 PMOS (104) 를 온한다. 따라서, 전원 (101) 의 전압과 동일한 전압이 승압 회로 (102) 의 전원 단자 (112) 에 공급된다.
다음으로, 전원 (101) 의 전압이 상승하고, 승압 회로 (102) 의 입력 단자 (111) 의 전압이 상승함으로써 승압 회로 (102) 의 전원 단자 (112) 의 전압도 상승하고, 승압 회로 (102) 의 전원 단자 (112) 의 전압이, 승압 회로 (102) 를 기동시킬 수 있는 최저의 전압보다도 0.05V 정도 높은 상기 제 1 전압 이상이 된 경우, 전압 검출 회로 (105) 는 PMOS (104) 를 오프한다. 따라서, 전원 (101) 으로부터 승압 회로 (102) 의 전원 단자 (112) 로의 전력 공급은 두절되지만, 축전 용량 (106) 의 축전 전력에 의해, 승압 회로 (102) 는 잠시 동안 기동 동작을 지속할 수 있고, 승압 회로 (102) 의 전원 단자 (112) 가 상기 제 1 전압보다 0.05V 정도 저하되고, 전압 검출 회로 (105) 가 PMOS (104) 를 온하기 전에, 승압 전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이 승압 전력은 PMOS (104) 가 오프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 (101) 으로는 역류하지 않는다. 따라서, 승압 회로 (102) 의 출력 단자 (113) 와 전원 단자 (112) 는, 부하 (103) 가 동작할 수 있는 전압까지 상승하고, 부하 (103) 는 동작을 개시할 수 있고, 승압 회로 (102) 는 승압 전력으로 동작을 지속할 수 있기 때문에, 일단 승압 전력이 발생하면, 전원 (101) 의 전압이 승압 회로 (102) 를 기동시킬 수 있는 전압보다 저하되더라도, 전원 (101) 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승압 전력의 전압이 승압 회로 (102) 의 기동 전압 이상을 유지할 수 있는 전력 이상이면, 승압 회로 (102) 는 승압 전력을 계속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승압형 DC-DC 는, 내부의 승압 회로가 기동할 수 있는 전압보다도, 쇼트키 다이오드의 Vf 전압 (0.15V ∼ 0.3V) 만큼 입력 전압을 상승시킬 필요가 있었지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승압형 DC-DC 는, 내부의 승압 회로를 기동시킬 수 있는 전압보다도 0.05V 정도 밖에 입력 전압을 상승시킬 필요는 없다. 바꿔 말하면, 종래의 승압형 DC-DC 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승압형 DC-DC 가 0.1V ∼ 0.25V 정도 기동 전압을 낮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전압 검출 회로는 히스테리시스를 갖는 경우에서 서술하였지만, 이 히스테리시스 대신에, PMOS 가 일단 오프하면 잠시 동안 온하지 않도록 지연 시간을 형성하고, 이 지연 시간 사이에 승압 회로를 기동시키는 방법이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승압 회로는, 코일이나 트랜스를 사용하는 타입이나, 커패시터를 사용하는 타입이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승압형 DC-DC 를 갖는 반도체 장치를 도 2 에 나타낸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 에서 나타낸 제 1 실시예인 승압형 DC-DC 의 승압 회로 (102) 와, 전압 검출 회로 (105) 대신에, 도 1 에서 나타내는 승압 회로 (102) 에, 승압 회로 (102) 의 내부 발진 회로의 클록 신호를 출력하는 클록 출력 단자 (114) 를 추가한 승압 회로 (202) 와, 승압 회로 (202) 의 클록 출력 단자 (114) 로부터 출력되는 클록 신호가, 승압 회로 (202) 가 승압 전력을 발생 가능한 주파수보다도 약간 높은 주파수인 제 1 주파수 이상이 된 경우, PMOS (104) 를 오프하고, 이 클록 신호의 주파수가, 승압 회로 (202) 가 승압 전력을 발생 가능한 주파수 미만인 경우에는 PMOS (104) 를 온하는 클록 검출 회로 (205) 를 형성한 구성으로, 그 밖의 구성이나 동작은, 상기한 도 1 에서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와 완전히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승압형 DC-DC 는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제 1 실시예의 전압 검출 회로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승압 회로가 기동할 수 있는 클록 주파수가 되는 것을, 그 승압 회로의 전원 전압으로 간접적으로 검출하고 있기 때문에 검출 정밀도가 나쁘고, 그 때문에 검출 전압의 마진을 넓게 취할 필요가 있어, 그 마진분 승압 회로의 기동 전압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지만, 클록 검출 회로를 사용하여 승압 회로가 기동할 수 있는 클록 주파수를 직접 검출하기 때문에 검출 정도(檢出精度)가 양호해지고, 상기 제 1 실시예보다 상기 제 2 실시예가, 상기 마진이 적은 양으로, 보다 낮은 입력 전압에 의해 승압 회로가 기동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승압형 DC-DC 의 기동 전압을 보다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제 2 실시예에서는, 클록 검출 회로는 검출하는 클록 주파수에 히스테리시스를 형성하는 경우에서 서술하였지만, 이 히스테리시스 대신에 PMOS 가 일단 오프하면 잠시 동안 온하지 않도록 지연 시간을 형성하고, 이 지연 시간 사이에 승압 회로를 기동시키는 방법이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승압 회로는, 코일이나 트랜스를 사용하는 타입, 또는 커패시터를 사용하는 타입이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의 승압형 DC-DC 는, 전압이 낮은 전원의 전력을, 부하가 동작할 수 있는 전압의 전력으로 변환하는 경우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주목되고 있는 연료 전지나 태양 전지 등의 자연 에너지 발전의 전원에서는, 소형화 때문에 출력되는 전압은 저하되고 있고, 이와 같은 전원의 전력을, 부하를 동작시킬 수 있는 전압의 전력으로 변환하는 경우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전력을, 그 전력의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의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는 승압 회로와,
    상기 승압 전력으로 동작하는 부하와,
    상기 전원과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간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의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에로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전력을 축전 전력으로서 축전하고, 상기 전력의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로의 공급이 끊어져도, 상기 축전 전력으로 소정 시간 상기 승압 회로를 동작시킬 수 있는 축전 용량과,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의 전압을 검출하고, 그 전압의 검출 결과에 따라, 스위치 소자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전압 검출 회로를 갖고,
    상기 승압 회로는, 상기 스위치 소자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상기 전력, 또는 상기 승압 전력을 상기 전원 단자에 입력함으로써 동작하고,
    상기 전압 검출 회로는,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가 상기 승압 회로를 동작할 수 있는 전압보다 높은 제 1 전압 이상이 되는 경우, 온하고 있던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오프하고,
    일단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오프한다면,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의 전압이 상기 승압 회로가 동작 가능한 전압 이상이며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은 제 2 전압을 밑돌 때까지 상기 스위치 소자의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상기 스위치 소자를 일단 온한다면,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의 전압이 상기 제 1 전압 이상이 될 때까지 상기 스위치 소자의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전력을, 그 전력의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의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는 승압 회로와,
    상기 승압 전력으로 동작하는 부하와,
    상기 전원과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간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의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에로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전력을 축전 전력으로서 축전하고, 상기 전력의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로의 공급이 끊어져도, 상기 축전 전력으로 소정 시간 상기 승압 회로를 동작시킬 수 있는 축전 용량과,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의 전압을 검출하고, 그 전압의 검출 결과에 따라, 스위치 소자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전압 검출 회로를 갖고,
    상기 승압 회로는, 상기 스위치 소자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상기 전력, 또는 상기 승압 전력을 상기 전원 단자에 입력함으로써 동작하고,
    상기 전압 검출 회로는,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가, 상기 승압 회로를 동작할 수 있는 전압보다 높은 제 1 전압 이상이 되는 경우, 온하고 있던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오프하고, 일단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오프한다면, 소정 시간 상기 스위치 소자의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전력을, 그 전력의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의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는 승압 회로와,
    상기 승압 전력으로 동작하는 부하와,
    상기 전원과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간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의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에로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전력을 축전 전력으로서 축전하고, 상기 전력의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로의 공급이 끊어져도, 상기 축전 전력으로 소정 시간 상기 승압 회로를 동작시킬 수 있는 축전 용량과,
    상기 승압 회로의 내부 발진 회로의 클록 신호가 출력되는 클록 출력 단자의 클록 신호의 주파수를 검출하고, 그 클록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스위치 소자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클록 검출 회로를 갖고,
    상기 승압 회로는, 상기 스위치 소자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상기 전력, 또는 상기 승압 전력을 상기 전원 단자에 입력함으로써 동작하고,
    상기 클록 검출 회로는, 상기 클록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승압 회로가 상기 승압 전력을 발생할 수 있는 주파수보다 높은 제 1 주파수 이상이 되는 경우, 온하고 있던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오프하고,
    일단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오프한다면, 상기 클록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승압 회로가 상기 승압 전력을 발생할 수 있는 주파수 이상이며 상기 제 1 주파수보다 낮은 제 2 주파수를 밑돌 때까지 상기 스위치 소자의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상기 스위치 소자를 일단 온한다면, 상기 클록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 1 주파수 이상이 될 때까지 상기 스위치 소자의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전력을, 그 전력의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의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는 승압 회로와,
    상기 승압 전력으로 동작하는 부하와,
    상기 전원과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간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의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에로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전력을 축전 전력으로서 축전하고, 상기 전력의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로의 공급이 끊어져도, 상기 축전 전력으로 소정 시간 상기 승압 회로를 동작시킬 수 있는 축전 용량과,
    상기 승압 회로의 내부 발진 회로의 클록 신호가 출력되는 클록 출력 단자의 클록 신호의 주파수를 검출하고, 그 클록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스위치 소자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클록 검출 회로를 갖고,
    상기 승압 회로는, 상기 스위치 소자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상기 전력, 또는 상기 승압 전력을 상기 전원 단자에 입력함으로써 동작하고,
    상기 클록 검출 회로는, 상기 클록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승압 회로가 상기 승압 전력을 발생할 수 있는 주파수보다 높은 제 1 주파수 이상이 되는 경우, 온하고 있던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오프하고, 일단 상기 스위치 소자를 오프한다면, 소정 시간 상기 스위치 소자의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KR1020120120040A 2005-04-28 2012-10-26 승압형 dc-dc 및 승압형 dc-dc 를 갖는 반도체 장치 KR1012282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132521 2005-04-28
JP2005132521A JP4628172B2 (ja) 2005-04-28 2005-04-28 昇圧型dc−dc、および、昇圧型dc−dcを有する半導体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838A Division KR20060113546A (ko) 2005-04-28 2006-04-28 승압형 dc-dc 및 승압형 dc-dc 를 갖는 반도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974A KR20120125974A (ko) 2012-11-19
KR101228254B1 true KR101228254B1 (ko) 2013-01-30

Family

ID=373902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838A KR20060113546A (ko) 2005-04-28 2006-04-28 승압형 dc-dc 및 승압형 dc-dc 를 갖는 반도체장치
KR1020120120040A KR101228254B1 (ko) 2005-04-28 2012-10-26 승압형 dc-dc 및 승압형 dc-dc 를 갖는 반도체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838A KR20060113546A (ko) 2005-04-28 2006-04-28 승압형 dc-dc 및 승압형 dc-dc 를 갖는 반도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43152B2 (ko)
JP (1) JP4628172B2 (ko)
KR (2) KR20060113546A (ko)
CN (1) CN1862934B (ko)
TW (1) TWI4122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1814B2 (en) 2005-12-05 2024-01-23 Solaredge Technologies Ltd. Testing of a photovoltaic panel
US10693415B2 (en) 2007-12-05 2020-06-23 Solaredge Technologies Ltd. Testing of a photovoltaic panel
US11687112B2 (en) 2006-12-06 2023-06-27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11735910B2 (en) 2006-12-06 2023-08-22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system using direct current power sources
US8618692B2 (en) 2007-12-04 2013-12-31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system using direct current power sources
US8319471B2 (en) 2006-12-06 2012-11-27 Solaredge, Ltd. Battery power delivery module
US8963369B2 (en) 2007-12-04 2015-02-24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11296650B2 (en) 2006-12-06 2022-04-05 Solaredge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during inverter shutdown in distributed power installations
US8473250B2 (en) 2006-12-06 2013-06-25 Solaredge, Ltd. Monitoring of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9112379B2 (en) 2006-12-06 2015-08-18 Solaredge Technologies Ltd. Pairing of components in a direct current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system
US11888387B2 (en) 2006-12-06 2024-01-30 Solaredge Technologies Ltd. Safety mechanisms, wake up and shutdown methods in distributed power installations
US11309832B2 (en) 2006-12-06 2022-04-19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9088178B2 (en) 2006-12-06 2015-07-21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11728768B2 (en) 2006-12-06 2023-08-15 Solaredge Technologies Ltd. Pairing of components in a direct current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system
US8384243B2 (en) 2007-12-04 2013-02-26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11569659B2 (en) 2006-12-06 2023-01-31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8816535B2 (en) 2007-10-10 2014-08-26 Solaredge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during inverter shutdown in distributed power installations
US8947194B2 (en) 2009-05-26 2015-02-03 Solaredge Technologies Ltd. Theft detection and prevention in a power generation system
US8319483B2 (en) 2007-08-06 2012-11-27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gital average input current control in power converter
US9130401B2 (en) 2006-12-06 2015-09-08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11855231B2 (en) 2006-12-06 2023-12-26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8013472B2 (en) 2006-12-06 2011-09-06 Solaredge, Ltd. Method for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using DC power sources
JP4577331B2 (ja) * 2007-06-22 2010-11-10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圧生成装置
US8049523B2 (en) 2007-12-05 2011-11-01 Solaredge Technologies Ltd. Current sensing on a MOSFET
US8289742B2 (en) 2007-12-05 2012-10-16 Solaredge Ltd. Parallel connected inverters
EP3496258A1 (en) 2007-12-05 2019-06-12 Solaredge Technologies Ltd. Safety mechanisms in distributed power installations
WO2009072075A2 (en) 2007-12-05 2009-06-11 Solaredge Technologies Ltd. Photovoltaic system power tracking method
US11264947B2 (en) 2007-12-05 2022-03-01 Solaredge Technologies Ltd. Testing of a photovoltaic panel
EP2269290B1 (en) 2008-03-24 2018-12-19 Solaredge Technologies Ltd. Switch mode converter including active clamp for achieving zero voltage switching
EP2294669B8 (en) 2008-05-05 2016-12-07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rect current power combiner
JP4995890B2 (ja) 2009-12-25 2012-08-08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及びdc−dcコンバータ
US10230310B2 (en) 2016-04-05 2019-03-12 Solaredge Technologies Ltd Safety switch for photovoltaic systems
US10673222B2 (en) 2010-11-09 2020-06-02 Solaredge Technologies Ltd. Arc detection and prevention in a power generation system
US10673229B2 (en) 2010-11-09 2020-06-02 Solaredge Technologies Ltd. Arc detection and prevention in a power generation system
GB2485527B (en) 2010-11-09 2012-12-19 Solaredge Technologies Ltd Arc detection and prevention in a power generation system
GB2486408A (en) 2010-12-09 2012-06-20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connection of a string carrying direct current
GB2483317B (en) 2011-01-12 2012-08-22 Solaredge Technologies Ltd Serially connected inverters
US8570005B2 (en) 2011-09-12 2013-10-29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rect current link circuit
GB2498365A (en) 2012-01-11 2013-07-17 Solaredge Technologies Ltd Photovoltaic module
US9853565B2 (en) 2012-01-30 2017-12-26 Solaredge Technologies Ltd. Maximized power in a photovoltaic distributed power system
GB2498790A (en) 2012-01-30 2013-07-31 Solaredge Technologies Ltd Maximising power in a photovoltaic distributed power system
GB2498791A (en) 2012-01-30 2013-07-31 Solaredge Technologies Ltd Photovoltaic panel circuitry
GB2499991A (en) 2012-03-05 2013-09-11 Solaredge Technologies Ltd DC link circuit for photovoltaic array
US8598946B2 (en) * 2012-05-01 2013-12-03 Silicon Laboratories Inc. Digitally programmable high voltage charge pump
US10115841B2 (en) 2012-06-04 2018-10-30 Solaredge Technologies Ltd. Integrated photovoltaic panel circuitry
US9548619B2 (en) 2013-03-14 2017-01-17 Solaredge Technolog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depleting energy
US9941813B2 (en) 2013-03-14 2018-04-10 Solaredge Technologies Ltd. High frequency multi-level inverter
EP3506370B1 (en) 2013-03-15 2023-12-20 Solaredge Technologies Ltd. Bypass mechanism
US20150253825A1 (en) * 2014-03-04 2015-09-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ower supply for a two-wire module
US9318974B2 (en) 2014-03-26 2016-04-19 Solaredge Technologies Ltd. Multi-level inverter with flying capacitor topology
DE102015108771A1 (de) * 2014-06-10 2015-12-17 Johnson Electric Germany GmbH & Co. KG Schalter zur Steuerung elektrischer Geräte
JP6543133B2 (ja) * 2015-08-19 2019-07-10 株式会社東芝 電力供給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1018623B2 (en) 2016-04-05 2021-05-25 Solaredge Technologies Ltd. Safety switch for photovoltaic systems
US11177663B2 (en) 2016-04-05 2021-11-16 Solaredge Technologies Ltd. Chain of power devices
JP6770412B2 (ja) * 2016-11-25 2020-10-14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電源装置
JP6904798B2 (ja) * 2017-06-16 2021-07-21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電源装置
US10520964B1 (en) * 2018-07-05 2019-12-31 Wistron Neweb Corp. Communication system and voltage converter
CN112394335A (zh) * 2020-11-16 2021-02-23 江苏亮点光电研究有限公司 一种宽范围供电的激光测距机电路
TWI764813B (zh) * 2021-08-18 2022-05-11 立積電子股份有限公司 驅動電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8812A (en) * 1984-04-11 1986-10-21 Fuji Photo Film Co., Ltd. Direct current power control on selectable voltage step-up and step-down
US6037755A (en) * 1998-07-07 2000-03-14 Lucent Technologies Inc. Switching controller for a buck+boost converte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2004514397A (ja) * 2000-11-20 2004-05-1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多レベル入力ラインの力率修正用の切り換え可能な電力変換装置
JP2005102440A (ja) * 2003-09-26 2005-04-14 Seiko Instruments Inc 電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9570A (en) * 1980-03-14 1981-10-09 Mitsubishi Electric Corp Booster circuit
US5003454A (en) * 1990-01-09 1991-03-26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Power supply with improved power factor correction
JP3010511B2 (ja) * 1991-07-02 2000-02-21 株式会社リコー Dc−dcコンバータ制御用ic
JP3719303B2 (ja) * 1997-03-19 2005-11-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源供給装置
JP2000023452A (ja) * 1998-07-03 2000-0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力率改善回路
JP3394996B2 (ja) * 2001-03-09 2003-04-07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最大電力動作点追尾方法及びその装置
JP4364554B2 (ja) * 2002-06-07 2009-11-18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システム
JP4223041B2 (ja) * 2003-07-07 2009-02-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昇圧装置
JP4031399B2 (ja) * 2003-07-08 2008-01-0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4199706B2 (ja) * 2004-07-13 2008-12-17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降圧回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8812A (en) * 1984-04-11 1986-10-21 Fuji Photo Film Co., Ltd. Direct current power control on selectable voltage step-up and step-down
US6037755A (en) * 1998-07-07 2000-03-14 Lucent Technologies Inc. Switching controller for a buck+boost converte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2004514397A (ja) * 2000-11-20 2004-05-1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多レベル入力ラインの力率修正用の切り換え可能な電力変換装置
JP2005102440A (ja) * 2003-09-26 2005-04-14 Seiko Instruments Inc 電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56591A1 (en) 2006-11-16
CN1862934B (zh) 2010-06-16
US7443152B2 (en) 2008-10-28
TWI412218B (zh) 2013-10-11
KR20120125974A (ko) 2012-11-19
TW200703866A (en) 2007-01-16
JP2006311732A (ja) 2006-11-09
CN1862934A (zh) 2006-11-15
KR20060113546A (ko) 2006-11-02
JP4628172B2 (ja)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254B1 (ko) 승압형 dc-dc 및 승압형 dc-dc 를 갖는 반도체 장치
US7274577B2 (en) Electronic instrument having booster circuit
US7170762B2 (en) Low voltage DC-DC converter
JP4791132B2 (ja) 昇圧回路、昇圧回路を使用した定電圧回路及び昇圧回路を使用した定電流回路
KR101759808B1 (ko) 저 입력전압으로 작동하기 위한 플라이백 컨버터
JP3710469B1 (ja) 電源装置、及び携帯機器
JP3591496B2 (ja) 電源装置
CN101089768A (zh) 调节电压的电路及方法
KR101165282B1 (ko) 전력 제어 시스템 개시 방법 및 회로
US4962349A (en) Battery operated power supply with low voltage start circuit
JP2009022092A (ja) 多出力電源回路
KR20180137411A (ko) 전원 장치
US6362611B1 (en) Electronic portable appliance
US9793802B2 (en) MEMS capacitive sensor biasing circuit including an integrated inductor
JP4983275B2 (ja) Dc/dcコンバータ
US20220302829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oost circuit
US11011979B2 (en) Booster circuit
JP4609285B2 (ja) 電源用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電源装置
JP2005287255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JP2008131848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レータ
JP2005312183A (ja) 一定電圧を供給可能な電源回路
JP2007060872A (ja) 昇圧回路とそれを用いた電気機器
JP2005304194A (ja) 昇圧回路
JP2007209162A (ja) Dc/dcコンバ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