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209B1 -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방법 및 게임단말 - Google Patents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방법 및 게임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209B1
KR101228209B1 KR1020100121129A KR20100121129A KR101228209B1 KR 101228209 B1 KR101228209 B1 KR 101228209B1 KR 1020100121129 A KR1020100121129 A KR 1020100121129A KR 20100121129 A KR20100121129 A KR 20100121129A KR 101228209 B1 KR101228209 B1 KR 101228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character
game
shortcut key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6552A (ko
Inventor
임우재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00121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209B1/ko
Priority to PCT/KR2011/008682 priority patent/WO2012074227A1/ko
Publication of KR20120076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2Setup operations, e.g. calibration, key configuration or button assig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3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the player, e.g. authoring using a level edi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63F13/792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for payment purposes, e.g. monthly subscrip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2Ball games, e.g. soccer 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18Calibration; Key and button assig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4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the platform being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5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 A63F2300/5546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using player registration data, e.g. identification, account, preferences, game history
    • A63F2300/5553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using player registration data, e.g. identification, account, preferences, game history user representation in the game field, e.g. avata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game services offered to the player
    • A63F2300/57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game services offered to the player for trading virtual i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방법 및 게임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게임단말이 게임을 실행하는 단계, 게임단말이 게임 캐릭터의 액션에 대한 아이템을 구매하는 단계, 게임단말이 아이템을 단축키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게임단말이 게임 수행 도중 단축키가 입력되면, 단축키에 해당하는 아이템을 추출하는 단계 및 게임단말이 추출된 아이템을 캐릭터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방법 및 게임단말{Game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of Shortening Key}
본 발명은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방법 및 게임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게임에서 캐릭터에 적용 가능한 특정 기능에 단축키를 설정하여 사용자가 게임 진행 시 단축키의 입력으로 간단하게 특정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방법 및 게임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온라인게임은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고, 이로 인하여 게임 형태 또한 다양하게 진화되고 있다. 즉, 고전적인 형태의 RPG(Role Playing Game)는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로 진화하여 국내에서만 동시 접속자가 수만에 이르는 대형 MMORPG 온라인 게임으로 진화하기에 이르렀다.
이로 인해, 온라인 게임 제공업체들 간의 경쟁 또한 치열해지고 있으며, 온라인 게임 제공업체들은 보다 다양한 게임서비스를 개발하여 게임유저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게임유저들의 흥미를 충족시켜 게임유저들을 유지하고 또한 게임유저들을 유치하려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축구에 대한 관심사가 높아지면서 축구게임 전용 게임단말을 이용하거나, 온라인 축구게임을 즐기는 게임유저들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출시된 축구게임 전용 게임단말, 온라인 축구게임 등은 오프라인에서 이뤄지는 축구게임과 동일하게 구성될 뿐 아니라, 게임 속의 캐릭터 역시 실제 축구선수들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축구게임 전용 게임단말 또는 온라인 축구게임에서 캐릭터의 제어를 위해서는 단순히 키보드, 마우스 등에 형성된 버튼을 이용하기 때문에 실제 축구선수들의 개인기를 캐릭터에 적용하여 즐기기에는 조작이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게임유저들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키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축구게임 진행 시 캐릭터에 적용시키고자 하는 개인기의 종류를 단축키로 설정함으로써, 게임유저가 게임도중에 캐릭터에 개인기를 간단하게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방법 및 게임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제 축구선수들의 개인기를 캐릭터에 적용하여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게임유저들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방법 및 게임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방법은 게임단말이 게임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게임 캐릭터의 액션에 대한 아이템을 구매하는 단계,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아이템을 단축키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게임단말이 게임 수행 도중 상기 단축키가 입력되면, 상기 단축키에 해당하는 상기 아이템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추출된 아이템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이템을 추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추출된 아이템에 해당하는 액션에 방향성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추출된 아이템에 해당하는 액션의 방향성 존재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추출된 아이템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이템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액션에 방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외부로부터 방향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캐릭터의 이동방향과 상기 수신된 방향키에 대한 방향이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캐릭터의 이동방향 및 상기 방향키에 대한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에 상기 액션을 적용하고, 상기 캐릭터의 이동방향과 상기 수신된 방향키에 대한 방향이 동일하면 상기 액션의 적용을 취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이템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액션에 방향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외부로부터 방향키에 대한 입력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추출된 아이템에 해당하는 상기 액션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이템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게임단말이 단축키가 재입력되면, 상기 재입력된 단축키가 상기 캐릭터에 적용된 아이템에 대한 단축키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재입력된 단축키와 상기 캐릭터에 적용된 아이템에 대한 단축키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재입력된 단축키에 해당하는 아이템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고, 상기 재입력된 단축키와 상기 캐릭터에 적용된 아이템에 대한 단축키가 동일하면 상기 재입력된 단축키에 해당하는 아이템을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단말은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복수 개의 버튼을 갖는 입력부, 게임 캐릭터의 액션에 대한 아이템을 구매하고, 상기 아이템을 상기 입력부의 특정 버튼에 매핑하며 단축키를 설정하고, 상기 게임 도중 상기 단축키에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단축키에 해당하는 상기 아이템을 추출하여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단축키와 상기 아이템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축키에 매핑된 상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액션에 방향성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추출된 아이템에 해당하는 액션의 방향성 존재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추출된 아이템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결과, 상기 액션에 방향성이 존재하면 상기 입력부의 방향키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캐릭터의 이동 방향을 확인한 후, 상기 캐릭터의 이동방향과 상기 입력신호에 따른 방향이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캐릭터에 상기 액션을 적용하고, 상기 확인된 캐릭터의 이동방향과 상기 입력신호에 따른 방향이 동일하면 상기 캐릭터에 상기 액션의 적용을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결과, 상기 액션에 방향성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입력부의 방향키에 대한 입력신호의 수신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추출된 아이템에 해당하는 상기 액션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아이템에 대한 단축키가 재입력되면, 상기 재입력된 단축키가 상기 캐릭터에 적용된 아이템에 대한 단축키와 동일한지 판단하여, 상기 재입력된 단축키와 상기 캐릭터에 적용된 아이템에 대한 단축키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재입력된 단축키에 해당하는 아이템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고, 상기 재입력된 단축키와 상기 캐릭터에 적용된 아이템에 대한 단축키가 동일하면 상기 재입력된 단축키에 해당하는 아이템을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임은, 온라인 스포츠 게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게임단말이 게임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게임 캐릭터의 액션에 대한 아이템을 구매하는 단계,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아이템을 단축키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게임단말이 게임 수행 도중 상기 단축키가 입력되면, 상기 단축키에 해당하는 상기 아이템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추출된 아이템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를 따르면 본 발명은 축구게임 진행 시 캐릭터에 적용시키고자 하는 개인기의 종류를 단축키로 설정함으로써, 게임유저가 게임도중에 캐릭터에 개인기를 간단하게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축구선수들의 개인기를 캐릭터에 적용하여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게임유저들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시스템을 나타내는 시스템도
도 2는 도 1 에 도시된 게임단말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설정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방향에 따른 기능 적용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설정화면을 나타내는 화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시스템을 나타내는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도 1 에 도시된 게임단말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시스템(10)은 게임단말(100), 게임서버(200), 통신망(300)을 포함한다.
게임단말(100)은 게임서버(200)에 접속하여 게임 프로그램(이하, 게임이라 칭함)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하고, 게임에서 제공되는 캐릭터의 개인기 아이템을 구매하여 개인기 아이템에 단축키를 설정하고, 게임 진행 시에 단축키를 이용하여 개인기 아이템을 사용한다. 이때, 게임단말(100)은 휴대단말, 컴퓨터, 넷북, 랩탑 등의 다양한 단말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이를 위해, 게임단말(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제어부(150)로 구성되며, 저장부(140)는 단축키DB(141)를 구비하고, 제어부(150)는 결제부(151), 설정부(152), 인식부(153), 기능처리부(154)를 구비한다.
통신부(110)는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게임서버(200)에 접속하여 유선통신이나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일례로 통신부(110)는 유무선 인터넷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모듈이다. 통신부(110)는 공지의 모뎀과 유무선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부(120)는 게임단말(100)을 제어하고 게임을 조작하기 위한 각종 사용자 행위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제공한다. 특히, 입력부(120)는 게임 상의 캐릭터에 대한 개인기 적용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단축키로 사용할 키, 복수의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등의 입력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게임단말(100)의 내부 블록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동작상태와 동작결과 및 다수의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게임단말(100)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게임단말(100)에서 실행하기 위한 게임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40)의 단축키DB(141)는 게임의 캐릭터에 적용하기 위해 게임유저가 구매한 개인기 아이템과 개인기 아이템을 캐릭터에 적용시키기 위한 단축키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제어부(150)는 게임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의 구체적인 제어기능에 대해서는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결제부(151)는 입력부(120)에서 선택된 개인기 아이템에 대한 결제요청 신호가 입력부(120)로부터 수신되면 카드결제, 실시간계좌이체, 휴대단말결제, 사이버머니결제 등을 이용한 방법으로 개인기 아이템에 대한 비용의 결제를 수행한다.
설정부(152)는 입력부(12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개인기 아이템을 캐릭터에 적용하기 위한 단축키를 설정한다.
인식부(153)는 게임 수행 중에 입력부(120)로부터 단축키가 입력되면, 단축키에 매핑된 개인기 아이템을 단축키DB(141)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개인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액션에 대한 방향성 존재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인식부(153)는 개인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액션에 방향성이 존재하면 현재 이동 중인 캐릭터의 이동방향을 확인하여 개인기 아이템의 실행방향을 설정한다. 인식부(153)는 개인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액션에 방향성이 존재하지 않으면 개인기 아이템 실행신호를 기능처리부(154)로 제공한다.
한편, 인식부(153)는 입력부(120)로부터 연속적으로 단축키가 입력되면, 현재 입력된 단축키와 이전에 입력된 단축키와의 동일여부를 판단하여, 현재 입력된 단축키가 이전에 입력된 단축키와 동일하지 않으면 현재 입력된 단축키에 해당하는 개인기 아이템을 캐릭터에 적용하도록 개인기 아이템 실행신호를 기능처리부(154)로 제공한다.
반대로, 인식부(153)는 현재 입력된 단축키가 이전에 입력된 단축키와 동일하면 소정 시간(예컨대, 10초)이 경과한 이후에 현재 입력된 단축키에 해당하는 개인기 아이템을 캐릭터에 적용하도록 개인기 아이템 실행신호를 기능처리부(154)로 제공한다. 이는, 게임유저가 구매한 개인기 아이템의 과도한 연속사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기능처리부(154)는 인식부(153)에서 설정된 개인기 아이템의 실행방향에 따라 개인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액션을 캐릭터에 적용한다.
기능처리부(154)는 인식부(153)에서 현재 이동 중인 캐릭터의 이동방향과 개인기 아이템의 실행방향이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개인기 아이템의 적용을 취소한다. 물론, 게임의 종류 또는 게임유저의 설정에 따라 캐릭터의 이동방향과 개인기 아이템의 실행방향이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캐릭터의 이동방향과 개인기 아이템의 실행방향으로 개인기 아이템을 캐릭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
기능처리부(154)는 인식부(153)에서 수신된 개인기 아이템 실행신호에 따라 캐릭터의 이동방향에 관계없이 개인기 아이템을 실행한다.
게임서버(200)는 게임단말(100)의 요청에 의해 게임단말(100)로 게임을 제공하고, 게임단말(100)에서 개인기 아이템 구매를 위하여 결제요청이 되면 결제를 완료한다. 그리고 게임서버(200)는 결제가 완료된 개인기 아이템을 게임에 적용할 수 있도록 게임단말(100)로 제공한다.
또한, 게임서버(200)는 게임을 이용하는 게임유저의 아이디, 비밀번호를 비롯한 개인정보, 아이템 정보, 레벨정보, 게임유저가 사용하는 캐릭터, 게임유저의 캐릭터가 속한 팀, 게임유저가 구매한 개인기 아이템 등의 정보를 게임유저별로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때, 게임유저가 구매한 개인기 아이템을 하기의 표 1과 같이 관리할 수 있다. 하기의 표 1에서 Team A와 Team B는 각각의 팀에 속한 게임유저를 나타내고, Slot 1, Slot 2, Slot 3, Slot 4는 각 게임유저가 구매한 개인기 아이템을 나타낸다. 개인기 아이템의 이름은 하기의 표 2를 참조한다. 아울러, 게임서버(200)는 Team A, Team B에 해당하는 게임유저에게 상대 게임유저가 구매한 개인기 아이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lot 1 Slot 2 Slot 3 Slot 4
Team A 5000039 5000040 5000044 5000045
Team B 5000045 5000045 5000045 5000045
통신망(300)은 게임단말(100)과 게임서버(2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설정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11단계에서 게임단말(100)은 게임을 통해 게임서버(200)로 접속한다. S12단계에서 게임단말(100)은 표시부(130)에 출력된 게임의 메인화면에서 로그인을 수행하고, S13단계에서 게임단말(100)은 로그인 결과로서, 게임서버(200)를 통해 수신된 개인정보를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인정보는 게임서버(200)에서 게임유저별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정보 중에서 로그인한 게임유저가 구비하고 있는 아이템 정보, 레벨정보, 게임유저가 사용하는 캐릭터, 게임유저의 캐릭터가 속한 팀 등에 대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S14단계에서 게임단말(100)은 입력부(120)로부터 개인기에 대한 아이템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신호가 수신되면 S17단계로 진행하고, 구매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S15단계로 진행한다.
S15단계에서 게임단말(100)은 입력부(120)로부터 게임을 시작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S16단계로 진행하여 게임을 수행하고, 게임을 시작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S13단계로 진행하여 개인정보의 출력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이어서, S17단계에서 게임단말(100)은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된 개인기 아이템 구매신호를 게임서버(200)로 전송하여, 게임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기 아이템을 판매하기 위한 판매화면을 표시부(130)에 출력한다. 이때, 판매화면에 표시되는 개인기 아이템의 목록은 하기의 표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표 2는 개인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 즉, 개인기 이름, 영문 이름, 한글 이름, BEtext resourceID(각 아이템에 할당되는 ID)를 포함한다.
개인기 이름(code) 영문 이름 한글 이름 BEtext resourceID
Flip Flop Flip Flop 헛다리 짚기 5000039
Ronaldo Stepover Ronaldo Stepover 호나우두 헛다리 5000040
Ronald 90 Ronald 90 호나우두 90°턴 5000042
RollCastle RollCastle 마르세유턴 5000043
Rainbow Rainbow 사포 5000044
Blanco Blanco 블랑코 점프 5000045
S18단계에서 게임단말(100)은 입력부(120)로부터 표시된 판매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인기 아이템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S19단계로 진행하고, 선택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S17단계로 회귀하여 판매화면을 지속적으로 출력한다.
S19단계에서 게임단말(100)은 선택된 개인기 아이템에 대한 결제요청을 위한 창을 표시부(130)에 출력하고, S20단계에서 게임단말(100)은 개인기 아이템에 대한 결제완료가 확인되면 S21단계로 진행한다. 반대로, 게임단말(100)은 개인기 아이템에 대한 결제완료가 확인되지 않으면 S19단계로 회귀하여 결제요청을 위한 창을 지속적으로 출력한다.
S21단계에서 게임단말(100)은 결제가 완료된 개인기 아이템을 캐릭터에 적용하기 위한 단축키를 설정하고, S22단계에서 게임단말(100)은 개인기 아이템과 단축키를 매핑하여 저장부(140)의 단축키DB(141)에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방향에 따른 기능 적용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S31단계에서 게임단말(100)은 게임을 통해 게임서버(200)로 접속하여 게임을 수행하고, S32단계에서 게임단말(100)은 게임 수행 도중에 입력부(120)로부터 특정 개인기 아이템에 매핑된 단축키가 입력됨을 확인한다.
S32단계의 확인결과, 특정 개인기 아이템에 매핑된 단축키가 입력되면 게임단말(100)은 S33단계로 진행하고, 단축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게임단말(100)은 S31단계로 회귀하여 게임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이어서, S33단계에서 게임단말(100)은 S32단계에서 입력된 단축키에 매핑되어 저장된 개인기 아이템을 단축키DB(141)에서 추출하고, S34단계에서 게임단말(100)은 S33단계에서 추출된 개인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액션에 방향성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S34단계의 확인결과, 추출된 개인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액션에 방향성이 존재하지 않으면 게임단말(100)은 S38단계로 진행하여 S33단계에서 추출된 개인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액션을 캐릭터에 적용한다.
반대로, S34단계의 확인결과, 추출된 개인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액션에 방향성이 존재하면 S35단계에서 게임단말(100)은 입력부(120)로부터 방향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여 S36단계로 진행한다.
이어서, S36단계에서 게임단말(100)은 현재 게임을 수행하고 있는 캐릭터의 이동방향을 확인하고, S37단계에서 게임단말(100)은 S34단계에서 입력된 방향키의 방향과 캐릭터의 이동방향이 동일한지 판단한다.
S37단계의 판단결과, 방향키의 방향과 캐릭터의 이동방향이 동일하면 게임단말(100)은 S39단계로 진행하여 개인기 적용을 취소한다.
한편, S37단계의 판단결과, 방향키의 방향과 캐릭터의 이동방향이 동일하지 않으면 게임단말(100)은 S38단계로 진행하여 액션을 캐릭터에 적용하고, 개인기 아이템의 잔여횟수를 차감한다. 이때, 방향키의 방향과 캐릭터의 이동방향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 액션의 적용 방향은 하기의 표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캐릭터의 이동방향 좌측 방향 우측 방향
1 2 4
2 6 4
3 6 2
4 2 8
6 8 2
7 4 8
8 4 6
9 8 6
표 3과 도 5를 참조하여 캐릭터의 이동방향과 방향키의 방향에 따른 개인기의 적용방법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도 5에 나타난 숫자판은 입력부(120)에서 방향성을 갖는 키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단축키가 입력되어 단축키에 해당하는 개인기 아이템을 표 2에서 추출하고, 방향키 2번 키에 해당하는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추출된 개인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액션이 마르세유턴이면 액션에 방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하여 캐릭터의 이동방향을 확인한다.
캐릭터 이동방향이 1번 키에 해당되는 방향이고, 방향키로써 2번 키가 입력되었으므로, 캐릭터는 2번 키에 해당하는 방향 즉, 캐릭터가 캐릭터의 좌측 방향으로 마르세유턴을 수행하도록 캐릭터에 액션을 적용한다.
아울러, 액션에 방향성이 존재하고, 캐릭터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방향키가 입력되면 캐릭터에 액션의 적용을 취소한다.
그러나 단축키에 해당하는 액션이 블랑코 점프이면 액션에 방향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여 캐릭터의 이동방향에 관계없이 캐릭터에 액션을 적용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게임단말(100)은 캐릭터에 개인기 아이템에 대한 액션을 적용한 이후에, 입력부(120)로부터 단축키가 재입력되면, 재입력된 단축키가 S38단계에서 캐릭터에 적용된 아이템에 대한 단축키와 동일한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게임단말(100)은 재입력된 단축키가 S38단계에서 캐릭터에 적용된 개인기 아이템이 매핑된 단축키와 동일하면, 재입력된 단축키에 해당하는 개인기 아이템을 소정 시간(예컨대, 10초)이 경과한 이후에 캐릭터에 적용한다. 이는, 게임유저가 구매한 개인기 아이템의 과도한 연속사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게임단말(100)은 재입력된 단축키가 S38단계에서 캐릭터에 적용된 개인기 아이템이 매핑된 단축키와 동일하면 소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재입력된 단축키에 해당하는 개인기 아이템을 캐릭터에 적용할 수 있음을 게임유저에게 알릴 수 있다. 이 경우에 게임단말(100)은 소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재입력된 단축키에 해당하는 개인기 아이템을 캐릭터에 적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게임단말(100)은 재입력된 단축키가 S38단계에서 캐릭터에 적용된 개인기 아이템이 매핑된 단축키와 동일하지 않으면, 재입력된 단축키에 해당하는 개인기 아이템을 추출하여 개인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액션을 캐릭터에 적용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설정화면을 나타내는 화면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면부호 A는 게임유저가 게임에 접속했을 때 보여지는 화면이다. 도면부호 B는 게임유저가 사용하는 캐릭터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C는 게임유저가 사용하는 캐릭터의 정보를 나타낸다. 도면부호 D는 게임유저의 캐릭터가 속한 팀의 포메이션, 보관선수 및 게임유저가 보유하고 있는 개인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도면부호 E는 게임유저의 캐릭터가 속한 팀이 베스트 일레븐의 정보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F는 후보캐릭터의 정보를 나타낸다. 아울러, 도면부호 G는 게임유저의 캐릭터가 속한 팀 내의 유니폼, 캐릭터관리를 위한 정보를 나타낸다.
한편, 게임유저의 캐릭터가 속한 팀의 포메이션, 보관선수 및 게임유저가 보유하고 있는 개인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부호 D를 확대하면 도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게임유저가 보유할 수 있는 개인기 아이템은 총 네 종류이며, 1번 슬롯(slot 1)은 모든 게임유저에게 무료로 오픈되는 슬롯이다. 물론, 1번 슬롯에 장착할 아이템은 게임유저가 구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2번 슬롯(slot 2), 3번 슬롯(slot 3), 4번 슬롯(slot 4)은 락킹(locking)된 슬롯이다.
2번 내지 4번 슬롯과 같이 락킹(locking)표시가 되고, 락킹이 된 슬롯에 마우스 오버를 수행하면 해당 슬롯을 오픈하기 위해서 각 슬롯과 개인기 아이템을 구매하라는 메시지창을 오버레이하여 보여준다. 그리고 사용자가 슬롯을 클릭하면 개인기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화면을 보여준다.
이후, 게임유저가 락킹된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각각을 구매하여 1번 슬롯과 같이 오픈상태로 전환하고,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에 구매한 아이템을 보관할 수 있다. 게임유저는 구매한 아이템에 단축키를 설정하여 각 슬롯에 보관하고, 이를 게임 도중에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게임유저가 보유할 수 있는 개인기 아이템의 개수는 당업자에 의해 변경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개인기 아이템을 구매한 이후에 도 7에서와 같이 특정 슬롯에 마우스 오버하면 슬라이드 팝업창이 떠서 게임유저가 보유하고 있는 개인기 아이템의 아이콘을 슬롯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슬롯에 적용된 아이콘에 마우스 오버하면 해당 개인기 아이템에 대한 설명이 나타나고, 보유하고 있는 개인기 아이템은 남은 횟수가 아이콘의 좌측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단축키 사용 제공 게임시스템
100: 게임단말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표시부
140: 저장부 141: 단축키DB
150: 제어부 151: 결제부
152: 설정부 153: 인식부
154: 기능처리부 200: 게임서버
300: 통신망

Claims (12)

  1. 게임단말이 게임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게임 캐릭터의 액션에 대한 아이템을 구매하는 단계;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아이템을 단축키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게임단말이 게임 수행 도중 상기 단축키가 입력되면, 상기 단축키에 해당하는 상기 아이템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추출된 아이템에 해당하는 액션에 방향성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추출된 아이템에 해당하는 액션의 방향성 존재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추출된 아이템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액션에 방향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외부로부터의 방향키에 대한 입력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추출된 아이템에 해당하는 상기 액션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액션에 방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외부로부터 방향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캐릭터의 이동방향과 상기 수신된 방향키에 대한 방향이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캐릭터의 이동방향 및 상기 방향키에 대한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에 상기 액션을 적용하고, 상기 캐릭터의 이동방향과 상기 수신된 방향키에 대한 방향이 동일하면 상기 액션의 적용을 취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게임단말이 단축키가 재입력되면, 상기 재입력된 단축키가 상기 캐릭터에 적용된 아이템에 대한 단축키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재입력된 단축키와 상기 캐릭터에 적용된 아이템에 대한 단축키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재입력된 단축키에 해당하는 아이템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고, 상기 재입력된 단축키와 상기 캐릭터에 적용된 아이템에 대한 단축키가 동일하면 상기 재입력된 단축키에 해당하는 아이템을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방법.
  6.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복수 개의 버튼을 갖는 입력부;
    게임 캐릭터의 액션에 대한 아이템을 구매하고, 상기 아이템을 상기 입력부의 특정 버튼에 매핑하며 단축키를 설정하고, 상기 게임 도중 상기 단축키에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단축키에 해당하는 상기 아이템을 추출한 뒤, 상기 단축키에 매핑된 상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액션에 방향성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추출된 아이템에 해당하는 액션의 방향성 존재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추출된 아이템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단축키와 상기 아이템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결과, 상기 액션에 방향성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입력부의 방향키에 대한 입력신호의 수신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추출된 아이템에 해당하는 상기 액션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단말.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결과, 상기 액션에 방향성이 존재하면 상기 입력부의 방향키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캐릭터의 이동 방향을 확인한 후, 상기 캐릭터의 이동방향과 상기 입력신호에 따른 방향이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캐릭터에 상기 액션을 적용하고, 상기 확인된 캐릭터의 이동방향과 상기 입력신호에 따른 방향이 동일하면 상기 캐릭터에 상기 액션의 적용을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단말.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아이템에 대한 단축키가 재입력되면, 상기 재입력된 단축키가 상기 캐릭터에 적용된 아이템에 대한 단축키와 동일한지 판단하여, 상기 재입력된 단축키와 상기 캐릭터에 적용된 아이템에 대한 단축키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재입력된 단축키에 해당하는 아이템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고, 상기 재입력된 단축키와 상기 캐릭터에 적용된 아이템에 대한 단축키가 동일하면 상기 재입력된 단축키에 해당하는 아이템을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단말.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은,
    온라인 스포츠 게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단말.
  12. 게임단말이 게임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게임 캐릭터의 액션에 대한 아이템을 구매하는 단계;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아이템을 단축키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게임단말이 게임 수행 도중 상기 단축키가 입력되면, 상기 단축키에 해당하는 상기 아이템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추출된 아이템에 해당하는 액션에 방향성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추출된 아이템에 해당하는 액션의 방향성 존재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추출된 아이템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단말이 상기 액션에 방향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외부로부터의 방향키에 대한 입력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추출된 아이템에 해당하는 상기 액션을 상기 캐릭터에 적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00121129A 2010-12-01 2010-12-01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방법 및 게임단말 KR101228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129A KR101228209B1 (ko) 2010-12-01 2010-12-01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방법 및 게임단말
PCT/KR2011/008682 WO2012074227A1 (ko) 2010-12-01 2011-11-15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방법 및 게임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129A KR101228209B1 (ko) 2010-12-01 2010-12-01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방법 및 게임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552A KR20120076552A (ko) 2012-07-09
KR101228209B1 true KR101228209B1 (ko) 2013-01-30

Family

ID=4617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129A KR101228209B1 (ko) 2010-12-01 2010-12-01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방법 및 게임단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28209B1 (ko)
WO (1) WO20120742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028B1 (ko) * 2012-12-21 2014-03-27 (주)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온라인 게임의 퀵 슬롯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072A (ko) * 1999-06-01 2001-01-05 부원영 네트웍을 이용한 온라인 축구 게임 및 그 방법
KR20010044757A (ko) * 2001-03-22 2001-06-05 안종선 사용자 맞춤형 에이전트, 그것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20090095111A (ko) * 2008-03-04 2009-09-09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온라인게임에서의 게임 캐릭터 원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15045A (ko) * 2009-04-17 2010-10-27 (주) 케이오지 Dsk 기반의 8방향 대전 게임을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072A (ko) * 1999-06-01 2001-01-05 부원영 네트웍을 이용한 온라인 축구 게임 및 그 방법
KR20010044757A (ko) * 2001-03-22 2001-06-05 안종선 사용자 맞춤형 에이전트, 그것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20090095111A (ko) * 2008-03-04 2009-09-09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온라인게임에서의 게임 캐릭터 원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15045A (ko) * 2009-04-17 2010-10-27 (주) 케이오지 Dsk 기반의 8방향 대전 게임을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74227A1 (ko) 2012-06-07
KR20120076552A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5442B2 (e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5841276B1 (ja) ゲーム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9333428B2 (en) Server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game program
JP2018011891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6128246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264659B2 (ja) ゲーム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60107085A1 (en) Computer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computer
JP7022725B2 (ja) 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5687324B1 (ja) サーバ装置、電子ゲーム装置及び電子ゲームプログラム
JP6002863B1 (ja) ゲーム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744397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228209B1 (ko) 단축키 사용을 제공하는 게임방법 및 게임단말
US20230311004A1 (en)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2018011961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13236833A (ja) ゲーム管理装置、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31522B2 (ja) ゲーム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5096227A (ja) サーバ装置、電子ゲーム装置及び電子ゲームプログラム
US20140287837A1 (en)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item overlap effect
JP5952482B1 (ja) ゲーム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5147037A (ja) ゲーム管理サーバ装置
JP2022010418A (ja) 情報処理装置
JP2022057093A (ja) プログラム、方法、電子装置、及びシステム
JP731488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822588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4028662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