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536B1 -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536B1
KR101227536B1 KR1020110139277A KR20110139277A KR101227536B1 KR 101227536 B1 KR101227536 B1 KR 101227536B1 KR 1020110139277 A KR1020110139277 A KR 1020110139277A KR 20110139277 A KR20110139277 A KR 20110139277A KR 101227536 B1 KR101227536 B1 KR 101227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key
keypad
detection patter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Priority to KR1020110139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7Surveillance aspects at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4Tools and structures for managing or administering access contro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asing, e.g. sealed casings or casings reducible in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판부, 상기 하판부 상에 위치하되 제1 검출패턴 및 칩을 포함하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제1 검출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도전부를 포함하는 키패드부, 및 상기 키패드부 상에 위치하되, 상기 키패드부의 각각의 키가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상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칩은, 상기 제1 도전부와 상기 제1 검출패턴의 전기적 접촉이 끊어지면 상기 칩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기판부, 키패드부, 하판부를 상호 분리하는 경우 칩이 저장된 데이터를 모두 삭제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Input device for ATM/CD}
본 발명은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인자동화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각 은행 및 우체국 등을 포함한 금융기관에서는 인건비 등의 경비절감 및 업무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현금자동지급기(CD; Cash Dispenser) 및/또는 소위 에이티엠(ATM; Automated Teller Machine)이라고 하는 지폐 자동입출금기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현금자동지급기는 금융업무전산화를 위한 초기 단계에서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현금만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고, 에이티엠은 현금자동지급기능에 부가하여 입금기능도 구비된 장치이다(이하에서는 현금자동지급기 및 에이티엠의 구별없이 모두 현금 자동입출금기라 표현함).
이러한 현금자동입출금기는 사용자가 금융기관에서 발급받은 현금카드나 통장 등을 사용하여 시간에 제약 없이 현금 또는 수표 등의 입출금 거래, 계좌이체 및 조회업무 등을 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금융업무를 신속하게 처리해줌으로써 금융업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현금자동입출금기가 현금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 요금 납부 및 티켓 발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면서, 은행과 같은 금융 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백화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현금자동입출금기에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나 통장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입력장치는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 방식과 키 버튼 방식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입력장치 중 키 버튼 방식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누를 수 있는 키가 구비된 키패드, 키패드로부터의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연산하는 칩이 구비된 기판, 키패드와 기판을 감싸기 위한 상판, 및 하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키패드의 키를 누르면, 칩은 해당 키가 눌러진 것을 인식하고 이를 연산하여 개인정보를 입력받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는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방안이 없어, 범죄자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유출하여 계좌에서 돈을 인출하는 등 범죄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범죄자는 직접 기판의 칩에 접근하여 칩으로부터 정보를 유출하거나, 기판 또는 키패드에 전선 등을 연결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알아내고, 알아낸 개인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돈을 인출하거나 범죄에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범죄자가 칩, 기판, 및/또는 키패드에 접근하면, 이를 칩이 인식하여 개인정보의 유출을 미연에 방지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는, 하판부, 상기 하판부 상에 위치하되 제1 검출패턴 및 칩을 포함하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제1 검출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도전부를 포함하는 키패드부, 및 상기 키패드부 상에 위치하되, 상기 키패드부의 각각의 키가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상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칩은, 상기 제1 도전부와 상기 제1 검출패턴의 전기적 접촉이 끊어지면 상기 칩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검출패턴은 상호 이격된 두 개의 서브패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도전부는 상기 두 개의 서브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칩은, 상기 제1 도전부와 상기 제1 검출패턴이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두 개의 서브패턴이 단선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칩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판부는 제2 검출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판부는 상기 제2 검출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 도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칩은, 상기 제2 도전부와 상기 제2 검출패턴의 전기적 접촉이 끊어지면 상기 칩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판부와 상기 키패드부의 둘레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되, 상기 기판부에 형성된 쌍으로 구성된 제3 검출패턴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랜드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칩은, 쌍으로 구성된 상기 제3 검출패턴 간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면 상기 칩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판부, 상기 기판부, 상기 키패드부, 및 상기 상판부를 고정하되, 상기 제1 검출패턴과 상기 제1 도전부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접촉 압력을 제공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부 각각의 상기 키는 키 도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는 각각의 상기 키 도전부에 이격하여 위치되는 키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칩은, 상기 키 도전부와 상기 키 패턴이 전기적으로 접촉되면 해당 키의 입력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부의 노출된 상기 키를 보호하도록, 상기 상판부 상에 위치하는 보호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도전부는 도전성 러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판부는 상기 칩을 둘러싸는 에폭시 수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는 범죄자가 기판부와 키패드부를 분리하거나 하판부와 기판부를 분리하는 경우, 칩이 내부에 저장되는 개인정보 등의 데이터를 모두 삭제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유출을 미연에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칩을 둘러싸도록 에폭시 수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범죄자가 칩에 직접 접근하여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한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에 형성된 제1 도전부와 제1 검출패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한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에 형성된 키 도전부와 키 패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한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에 형성된 제2 도전부와 제2 검출패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에 형성된 랜드클립과 제3 검출패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100)를 상부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100)를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한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100)에 형성된 제1 도전부(122)와 제1 검출패턴(112)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한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100)에 형성된 키 도전부(123)와 키 패턴(115)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한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100)에 형성된 제2 도전부(131)와 제2 검출패턴(113)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100)에 형성된 랜드클립(150)과 제3 검출패턴(114)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100)는 기판부(110), 키패드부(120), 하판부(130), 상판부(140), 랜드클립(150), 및 보호패드부(160)를 포함하고, 기판부(110)의 제1 검출패턴(112)과 키패드부(120)의 제1 도전부(122) 간, 기판부(110)의 제2 검출패턴(113)과 하판부(130)의 제2 도전부(131) 간, 기판부(110)의 제3 검출패턴(114)과 랜드클립(150) 간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면, 기판부(110)의 칩(111)이 데이터를 모두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판부(110)는 하판부(130)와 상판부(14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부재로서, 하판부(130) 및 키패드부(120) 간에 위치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기판부(110)는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PCB; Printer Circuit Board)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칩(111), 제1 검출패턴(112), 제2 검출패턴(113), 제3 검출패턴(114), 및 키 패턴(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칩(111)은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100)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연산하는 부재로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 칩, 집적회로(IC; Integrated Circuit)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칩(111)은 제1 검출패턴(112)과 제1 도전부(122) 간, 제2 검출패턴(113)과 제2 도전부(131) 간, 제3 검출패턴(114)과 랜드클립(150) 간의 전기적 연결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들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진 경우 칩(111)에 저장된 데이터를 모두 삭제하여 통장 비밀번호, 계좌번호 등의 개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판부(110)는 칩(111)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에폭시 수지부(116)를 더 포함함으로써, 범죄자가 칩(111)에 쉽게 접근할 수 없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 검출패턴(112) 및 키 패턴(115)은 기판부(110)의 양면 중 키패드부(120)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제2 검출패턴(113)은 하판부(130)를 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검출패턴(112)과 제2 검출패턴(113)은 기판의 반대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칩(111)은 제2 검출패턴(113)과 함께 하판부(130)를 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판부(110)에 형성되는 제1 검출패턴(112), 제2 검출패턴(113), 및 키 패턴(115)은 각각 상호 이격된 두 개의 서브패턴(112a, 112b, 113a, 113b, 115a, 115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서브패턴(112a, 112b, 113a, 113b, 115a, 115b)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도전부(122, 123, 131)가 두 서브패턴(112a, 112b, 113a, 113b, 115a, 115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지 않는 이상 두 서브패턴(112a, 112b, 113a, 113b, 115a, 115b)은 서로 통전될 수 없다. 또한, 제3 검출패턴(114)도 이격된 A 패턴(114a)과 B 패턴(114b)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 설명하듯이 랜드클립(150)에 의해 상호 통전될 수 있다.
키패드부(120)는 복수의 키(121)를 포함하여 실제 사용자가 터치하여 입력하는 부분으로서, 기판부(110)와 상판부(140) 간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키패드부(120) 각각의 키(121)는 상판부(140)의 개구부(141)를 통해 노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각의 키(121)를 직접 누르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키(121)는 문자 입력키 및/또는 숫자 입력키가 될 수 있으며, 엔터 키나 취소 키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패드부(120)의 양면 중 기판부(110)를 향하는 면에는 제1 도전부(122)와 키 도전부(1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작용은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여 키패드부(120)의 제1 도전부(122)와 기판부(110)의 제1 검출패턴(112)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키패드부(120)는 제1 도전부(122)를 포함할 수 있고, 기판부(110)의 제1 검출패턴(112)은 두 개의 상호 이격된 서브패턴(112a, 11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부(110)의 제1 검출패턴(112)과 제1 도전부(122)는 평소에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서브패턴(112a, 112b)은 제1 도전부(122)를 통해 상호 전기가 통할 수 있고, 칩(111)은 이러한 전기적 접촉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다음,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범죄자가 개인 정보를 유출하기 위하여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100)의 내부에 전선을 설치하려고 할 때, 키패드부(120)를 기판부(110)로부터 분리하면, 제1 검출패턴(112)과 제1 도전부(122)의 전기적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제1 검출패턴(112)과 제1 도전부(122)의 전기적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 칩(111)은 제1 검출패턴(112)과 제1 도전부(12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을 인식하고 칩(111)에 저장된 데이터를 모두 삭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칩(111)은 제1 도전부(122)에 연결되지 않은 두 개의 서브패턴(112a, 112b)이 상호 단선된 것을 인지함으로써, 칩(111)에 저장된 데이터를 모두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범죄자가 기판부(110), 및/또는 키패드부(120)에 전선을 연결하더라도 개인 정보 등을 유출할 수 없게 된다.
한편, 키패드부(120)의 제1 도전부(122)는 도전성 러버로 구성될 수 있어, 예를 들어, 구리나 은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1 검출패턴(112)과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금속적인 마찰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여, 키패드부(120)의 키 도전부(123)와 기판부(110)의 키 패턴(115)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무런 키(121)를 누르지 않는 경우에는 키(121)의 각각에 형성되는 키 도전부(123)와 기판부(110)에 형성되는 키 패턴(115)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키(121)를 누르는 경우 특정 키(121)에 형성된 키 도전부(123)와 키 패턴(115)이 사용자의 누름 압력에 의하여 서로 접촉하게 되고, 칩(111)은 이러한 전기적 접촉을 인지하여 특정 키(121)가 눌러진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키 패턴(115) 또한 두 개의 상호 이격된 서브패턴(115a, 115b)으로 구성되고, 키 도전부(123)가 키 패턴(115)에 접촉하여 상호 이격된 서브패턴(115a, 115b)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칩(111)은 특정 키(121)가 눌러진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키패드부(120)는 탄성력이 있는 부재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특정 키(121)에 대한 입력을 해제하면, 특정 키(121)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원위치로 회복되어 키 도전부(123)와 대응 키 패턴(115)의 접촉 또한 해제될 수 있다.
한편, 키패드부(120)의 키 도전부(123) 또한 제1 도전부(122)와 마찬가지로 도전성 러버로 구성될 수 있다.
하판부(130)는 기판부(110)의 하부에 위치되는 부재로서, 제2 도전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판부(130)는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100)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부재로서, 현금자동입출금기의 본체(미도시)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하판부(130)는 상판부(140)와 함께 기판부(110) 및 키패드부(120)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감쌀 수 있다. 한편, 하판부(130)의 바로 상부에는 기판부(110)가 위치하는바, 하판부(130)에도 범죄자의 정보 유출을 예방할 수 있는 부재로서 제2 도전부(131)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 및 5B를 참고하여 하판부(130)의 제2 도전부(131)와 기판부(110)의 제2 검출패턴(113)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판부(130)의 제2 도전부(131)와 기판부(110)의 제2 검출패턴(113)은 평소에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범죄자가 기판부(110) 또는 칩(111)에 접근하기 위하여, 기판부(110)를 하판부(130)로부터 들어내면, 제2 도전부(131)와 제2 검출패턴(113)의 전기적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칩(111)은 제2 검출패턴(113)과 제2 도전부(13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을 인식하고 칩(111)에 저장된 데이터를 모두 삭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검출패턴(113)은 상호 이격된 두 개의 서브패턴(113a, 113b)으로 구성되고, 칩(111)은 두 개의 서브패턴(113a, 113b)이 단선된 것을 감지하여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범죄자가 칩(111) 또는 기판부(110)에 전선을 연결하더라도 개인 정보 등을 유출할 수 없게 된다.
한편, 하판부(130)의 제2 도전부(131) 또한 제1 도전부(122)와 마찬가지로 도전성 러버로 구성될 수 있다.
랜드클립(15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부(110)와 키패드부(120)의 둘레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랜드클립(150)은 도전성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판부(110)와 키패드부(120)의 둘레를 서로 고정하면서도, 기판부(110)에 형성된 제3 검출패턴(114)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검출패턴(114)은 A 패턴(114a)과 B 패턴(114b)의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랜드클립(150)은 A 패턴(114a)과 B 패턴(114b)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범죄자가 키패드부(120)와 기판부(110)를 분리하려는 경우 랜드클립(150)을 먼저 제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A 패턴(114a)과 B 패턴(114b)은 전기적 연결이 끊기게 된다. A 패턴(114a)과 B 패턴(114b)의 전기적 연결이 끊기고 나면, 칩(111)은 이러한 전기적 연결이 끊어진 것을 인지하고,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모두 삭제하게 된다. 따라서, 범죄자는 칩(111)으로부터 어떠한 개인 정보도 유출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랜드클립(150)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3 검출패턴(114) 또한 랜드클립(15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쌍(A 패턴(114a)과 B 패턴(114b)의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3 검출패턴(114)은 기판부(110)의 하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기판부(110)의 상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더욱이, 제3 검출패턴(114) 구성을 기판부(110)에 홈 또는 홀을 형성하고 도금한 것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랜드클립(150)을 상기 홈 또는 홀에 스냅핏 방식으로 고정하여, 전기적 도통력뿐만 아니라 기판부(110)와 키패드부(120) 간의 고정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판부(140)는 키패드부(120)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재로서, 복수의 개구부(141)가 형성되어 개구부(141)를 통해 키패드부(120)의 키(121)가 노출되게 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상판부(140)는 하판부(130)와 함께 기판부(110) 및 키패드부(120)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도록 감쌀 수 있다. 또한, 상판부(140)에는 키패드부(120)의 키(121)가 노출되는 개구부(1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100)의 사용자는 키(121)를 눌러, 키 도전부(123)와 키 패턴(115)의 접촉을 야기함으로써, 일정한 숫자 또는 문자를 현금자동입출금기에 입력할 수 있다.
한편, 개구부(141)와 키(121) 간의 이격 공간이 넓으면 범죄자가 이러한 이격 공간을 통해 전선 등을 삽입하거나 외부의 먼지가 입력장치(100)의 내부로 침투될 수 있는바, 개구부(141)와 키(121) 간의 이격 공간은 가능한 좁게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패드부(160)는 키패드부(120)의 노출된 키(121)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판부(140) 상에 위치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보호패드부(160)는 상판부(140)의 개구부(141)를 통해 노출된 키(121)를 서로 구분할 수 있도록 키(121)의 형상대로 구분이 될 수 있으며, 투명 또는 반투명한 부재로 구성되어 키(121)에 새겨진 문자 또는 숫자를 사용자가 인식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보호패드부(160)는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플렉서블한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키(121)를 원활하게 입력할 수 있다.
고정핀(170; 도 1 참조)은 하판부(130), 기판부(110), 키패드부(120), 상판부(140)를 서로 고정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고정핀(170)은 하판부(130), 기판부(110), 키패드부(120), 상판부(140)를 한번에 고정할 수도 있고, 또는 각각을 따로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핀(170)은 하판부(130), 기판부(110), 키패드부(120), 및/또는 상판부(140)에 형성된 고정홀을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고정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핀(170)과 고정홀은 나사결합을 이룰 수 있다. 이때, 고정핀(170)이 고정되면, 기판부(110)의 제1 검출패턴(112)과 키패드부(120)의 제1 도전부(122), 및 기판부(110)의 제2 검출패턴(113)과 키패드부(120)의 제2 도전부는 서로 접촉될 만큼 충분한 접촉 압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따라서, 범죄자가 고정핀(170)을 제거하는 경우 상기 접촉 압력이 사라지게 되고, 제1 검출패턴(112)과 제1 도전부(122), 또는 제2 검출패턴(113)과 제2 도전부(131)의 접촉이 바로 끊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칩(111)은 이를 인지하여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고정핀(170)이 삽입되더라도 기판부(110)의 키 패턴(115)과 키패드부(120)의 키 도전부(123)는 접촉되는 것이 아니며, 사용자가 키(121)를 눌러야만 접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 기판부 111 : 칩
112 : 제1 검출패턴 113 : 제2 검출패턴
114 : 제3 검출패턴 115 : 키 패턴
116 : 에폭시 수지부 120 : 키패드부
121 : 키 122 : 제1 도전부
123 : 키 도전부 130 : 하판부
131 : 제2 도전부 140 : 상판부
141 : 개구부 150 : 랜드클립
160 : 보호패드부 170 : 고정핀

Claims (12)

  1. 하판부;
    상기 하판부 상에 위치하되 제1 검출패턴 및 칩을 포함하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제1 검출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도전부를 포함하는 키패드부; 및
    상기 키패드부 상에 위치하되, 상기 키패드부의 각각의 키가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상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칩은, 상기 제1 도전부와 상기 제1 검출패턴의 전기적 접촉이 끊어지면 상기 칩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패턴은 상호 이격된 두 개의 서브패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도전부는 상기 두 개의 서브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칩은, 상기 제1 도전부와 상기 제1 검출패턴이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두 개의 서브패턴이 단선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칩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제2 검출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판부는 상기 제2 검출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 도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칩은, 상기 제2 도전부와 상기 제2 검출패턴의 전기적 접촉이 끊어지면 상기 칩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와 상기 키패드부의 둘레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되, 상기 기판부에 형성된 쌍으로 구성된 제3 검출패턴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랜드클립;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칩은, 쌍으로 구성된 상기 제3 검출패턴 간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면 상기 칩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 상기 기판부, 상기 키패드부, 및 상기 상판부를 고정하되, 상기 제1 검출패턴과 상기 제1 도전부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접촉 압력을 제공하는 고정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부 각각의 상기 키는 키 도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는 각각의 상기 키 도전부에 이격하여 위치되는 키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칩은, 상기 키 도전부와 상기 키 패턴이 전기적으로 접촉되면 해당 키의 입력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부의 노출된 상기 키를 보호하도록, 상기 상판부 상에 위치하는 보호패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부는 도전성 러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상기 칩을 둘러싸는 에폭시 수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
KR1020110139277A 2011-12-21 2011-12-21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 KR101227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277A KR101227536B1 (ko) 2011-12-21 2011-12-21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277A KR101227536B1 (ko) 2011-12-21 2011-12-21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536B1 true KR101227536B1 (ko) 2013-01-31

Family

ID=47842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277A KR101227536B1 (ko) 2011-12-21 2011-12-21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5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277B1 (ko) * 2020-03-31 2020-09-04 몬스타(주) 타건음 향상을 위한 컴퓨터 키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284Y1 (ko) 2004-11-12 2005-01-2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핀패드 모듈의 보호장치
KR20060046933A (ko) * 2004-11-12 2006-05-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핀패드 모듈의 보호장치
KR100676086B1 (ko) 2005-03-24 2007-02-01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 장치의 접근 제어 방법
KR100903687B1 (ko) 2008-12-30 2009-06-18 두성산업 주식회사 정보유출 방지 및 인식율 향상을 위한 전자여권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284Y1 (ko) 2004-11-12 2005-01-2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핀패드 모듈의 보호장치
KR20060046933A (ko) * 2004-11-12 2006-05-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핀패드 모듈의 보호장치
KR100676086B1 (ko) 2005-03-24 2007-02-01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 장치의 접근 제어 방법
KR100903687B1 (ko) 2008-12-30 2009-06-18 두성산업 주식회사 정보유출 방지 및 인식율 향상을 위한 전자여권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277B1 (ko) * 2020-03-31 2020-09-04 몬스타(주) 타건음 향상을 위한 컴퓨터 키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5702B1 (en) Keypad having tamper-resistant keys
JP6052561B1 (ja) 取引端末装置および情報入力装置
US10657295B2 (en) Hardware encryption housing and payment device
CN104252608A (zh) 键板
JP6990870B1 (ja) 情報処理装置
CN101454784A (zh) 用于保护电子设备不受侵扰的装置
JP4919684B2 (ja) 生体認証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取引装置
JP2013003979A (ja) 情報処理装置
US9430675B2 (en) Encrypting pin pad
US10795462B2 (en) Device for entry on a touch-sensitive surface and corresponding method
KR101227536B1 (ko)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
JP2017117056A (ja) 取引端末装置および情報入力装置
JP2023006595A (ja) 情報処理装置
JP6296397B2 (ja) 取引端末装置
US10678949B2 (en) Sensitive element protection mechanism and payment device
JP2016206907A (ja) キーパッド及びキーパッド付き取引処理装置
US10175771B2 (en) Secured compact keyboard
US10990973B2 (en) Device for entry on a touch-sensitive surface and corresponding method
US9098848B2 (en) Safety cover design for financial transaction device
TWI512538B (zh) 具有安全防護設計的金融交易裝置
JP6883747B1 (ja) 情報処理装置
US20160253526A1 (en) Secure data entry device
US20160253527A1 (en) Secure data entry device
KR20160029189A (ko) 암호화 핀패드
JP2017219990A (ja) カバー開閉検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