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277B1 - 타건음 향상을 위한 컴퓨터 키보드 - Google Patents

타건음 향상을 위한 컴퓨터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277B1
KR102152277B1 KR1020200038701A KR20200038701A KR102152277B1 KR 102152277 B1 KR102152277 B1 KR 102152277B1 KR 1020200038701 A KR1020200038701 A KR 1020200038701A KR 20200038701 A KR20200038701 A KR 20200038701A KR 102152277 B1 KR102152277 B1 KR 102152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bolt
key
reinforc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Original Assignee
몬스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몬스타(주) filed Critical 몬스타(주)
Priority to KR1020200038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맑은 타건음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판 프레임 및 하판 프레임에 대한 보강판과 PCB 기판의 접촉 부위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장 많은 울림을 발생하는 보강판은 비교적 가벼운 무게의 상판 프레임에 복수의 볼트 결합용 돌출부에 의하여 연결되어 최소 부위가 접촉되도록 하고, PCB 기판은 하판 프레임에 마련된 PCB 기판 지지구에 의해서 최소 부위가 지지되도록 한다.

Description

타건음 향상을 위한 컴퓨터 키보드{COMPUTER KEYBOARD WITH ENHANCED }
본 발명은, 컴퓨터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판 프레임 및 하판 프레임에 대한 보강판과 PCB 기판의 접촉 부위가 최소화되도록 하여 타건음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컴퓨터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키보드는 타자기처럼 생긴 컴퓨터 입력 장치로서, 자판·글자판·글쇠판이라고도 한다.
컴퓨터 키보드를 통하여 한글, 영어, 숫자 및 특수문자 등이 입력되며, 단독으로는 사용할 수 없고 영상표시장치, 예컨대 모니터와 한조를 이루어 입력된 내용을 확인하면서 입력이 수행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컴퓨터 키보드는 대부분 106개의 글자판이 있는 윈도우 용이다. 키보드는 자판이 배열된 형태에 따라 한글 2벌식과 한글 3벌식, 영문 쿼티(qwerty)와 영문 드보락 자판으로 구분된다.
한편 컴퓨터 키보드는 키보드 스위치에 따라서 크게 기계식 키보드와 멤브레인 방식 키보드로 구분될 수 있다.
기계식 키보드는 멤브레인 방식과는 확연히 다른 타건감과 타건음으로 인하여 작가, 프로그래머, 게이머 등에게 특히 선호도가 높다.
이와 같은 기계식 키보드는 키 모듈에 따라 그 타건감 및 타건음이 상이하며, 제조업체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키 모듈을 채택한 컴퓨터 키보드를 개발, 제조 및 판매 중이다.
한편, 이와 같은 키 모듈의 발전과는 달리, 컴퓨터 키보드의 전체적인 조립 구조는 종래의 일반적인 방식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즉, 일반적으로 기계식 키보드는 상판 프레임과 하판 프레임 사이에 키 모듈과 보강판과 PCB 기판이 마련된다.
이때 보강판과 PCB 기판은 서로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거나, 보강판과 PCB 기판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하판 프레임에 지지하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이와 같이 보강판과 PCB 기판이 일체화되거나 혹은 하판 프레임에 지지되는 구조는, 키 모듈의 타건 시에 보강판과 PCB 기판이 함께 울리거나 혹은 보강판과 PCB 기판은 물론이며 비교적 큰 중량을 가진 하판 프레임이 함께 울리게 되어 좋은 타건음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8005호 "조립식 컴퓨터 키보드"(2018. 6. 8. 등록) 또한 보강판과 PCB 기판 모두가 실질적으로 하판 프레임에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8005호 "조립식 컴퓨터 키보드"(2018. 6. 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8522호 "저소음 키보드"(2019. 8. 1.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판 프레임 및 하판 프레임에 대한 보강판과 PCB 기판의 접촉 부위가 최소화되고, 특히 가장 많은 울림을 발생하는 보강판은 비교적 가벼운 무게의 상판 프레임에 최소 부위가 접촉되도록 하여 보다 맑은 타건음을 얻을 수 있는 컴퓨터 키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되, 복수의 키 모듈용 홈이 형성되는 사각판 형태의 중앙 지지판과 상기 중앙 지지판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볼트 관통 구멍이 형성되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볼트 결합용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강판 ; 상기 보강판의 키 모듈용 홈에 장착되는 키 하우징과 상기 키 하우징에 마련되는 키 스위치와 상기 키 스위치의 상부에 장착되는 키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키 모듈 ; 상기 보강판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키 모듈의 키 스위치가 연결되는 PCB 기판 ; 상기 보강판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키 모듈을 위한 복수의 키 모듈용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복수의 볼트 결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볼트 결합 나사홈이 형성되는 상판 프레임 ; 상기 상판 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되, 중앙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상판 결합용 측벽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 결합용 측벽에 의하여 감싸인 공간에 상기 PCB 기판이 수용되기 위한 PCB 기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하판 프레임 ; 상기 PCB 기판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PCB 기판의 하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PCB 기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PCB 기판 지지구 ; 상기 보강판의 볼트 결합용 돌출부의 하면에 접하는 볼트 헤드와 상기 볼트 헤드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볼트 관통 구멍을 지나 상기 상판 프레임의 볼트 결합 나사홈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보강판 결합용 볼트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판 프레임의 바닥판의 상면 가장자리에 상기 PCB 기판 지지구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지지구 결합용 나사홈이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면서 형성되며, 상기 PCB 기판 지지구는 상기 지지구 결합용 나사홈에 나사결합되는 지지구용 수나사부와 상기 지지구용 수나사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구용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의 중앙 지지판은 상기 상판 프레임 및 상기 하판 프레임과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PCB 기판은 상기 상판 프레임 및 상기 하판 프레임과 접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 상기 상판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키 모듈용 개구부가 형성되는 중앙 덮개판과 상기 중앙 덮개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되 상기 중앙 덮개판보다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가장자리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에는 상기 보강판의 볼트 결합용 돌출부가 안착되기 위하여 상부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상부 함몰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함몰홈에 상기 볼트 결합 나사홈이 형성되며 ; 상기 하판 프레임이 상기 보강판 결합용 볼트의 볼트 헤드와 간섭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기 하판 프레임의 상판 결합용 측벽에는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의 상부 함몰홈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하부로 함몰되어 형성된 하부 함몰홈이 형성되는 것 ; 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상판 프레임 및 하판 프레임에 대한 보강판과 PCB 기판의 접촉 부위가 최소화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울림이 최소화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키 모듈의 타건 시에 가장 많은 울림을 발생하는 보강판은 비교적 가벼운 무게의 상판 프레임에 최소 부위가 접촉되도록 하고, PCB 기판은 보강판과의 직접적인 결합 구조를 가지지 않으면서 PCB 기판 지지구에 의해서만 지지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울림이 최소화되면서 보다 맑은 타건음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키보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개념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개념 분리 단면도,
도 5는 상판 프레임에 보강판이 결합된 상태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키 모듈과 PCB 기판의 주요부 촬영 사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키보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개념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개념 분리 단면도이며, 도 5는 상판 프레임에 보강판이 결합된 상태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키 모듈과 PCB 기판의 주요부 촬영 사진이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상판 프레임(110)과 하판 프레임(120)의 결합 관계, 보강판 결합용 볼트(240)에 의한 보강판(220)과 상판 프레임(110)의 결합 관계, PCB 기판 지지구(250)에 의한 PCB 기판(230)의 지지 구조를 한꺼번에 단면도로 보이기 위한 도면으로 실제와는 다소 상이하다.
본 컴퓨터 키보드는 크게 상판 프레임(110), 하판 프레임(120), 복수의 키 모듈(210), 보강판(220), PCB 기판(23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판 프레임(110)과 하판 프레임(120)을 설명한다.
상판 프레임(110)은 중앙 덮개판(111)과 가장자리 프레임(112)으로 이루어진다.
중앙 덮개판(111)에는 복수의 키 모듈용 개구부(111a)가 형성된다.
가장자리 프레임(112)은 중앙 덮개판(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되 중앙 덮개판(111)보다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도 4 등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가장자리 프레임(112)은 중앙 덮개판(111)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진다.
가장자리 프레임(112)은 후술하는 하판 프레임(120)과 결합되기 위한 부위이다.
상판 프레임(110)의 하부에 하판 프레임(120)이 결합된다.
하판 프레임(120)은 중앙의 사각형 형태의 바닥판(121)과, 바닥판(12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상판 결합용 측벽(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닥판(121)과 상판 결합용 측벽(122)에 의하여 감싸인 공간에 후술하는 PCB 기판(230)이 수용되기 위한 PCB 기판 수용 공간(123)이 형성된다.
상판 프레임(110)과 하판 프레임(120)의 결합을 위하여, 상판 프레임(110)에는 상하판 결합용 나사홈(114)이 형성되며, 하판 프레임(120)에는 상하판 결합용 관통공(124)이 형성되며, 상하판 결합용 볼트(140)의 볼트 몸체가 상하판 결합용 관통공(124)을 관통하여 상하판 결합용 나사홈(114)에 나사 체결된다. 이와 같은 상판 프레임(110)과 하판 프레임(120)의 결합 구조는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상판 프레임(110)과 하판 프레임(120) 사이에 보강판(220) 및 PCB 기판(230)이 마련되며, 보강판(220)과 PCB 기판(230)에 복수의 키 모듈(210)이 마련된다.
보강판(220)은 하나의 금속판을 가공한 것으로, 중앙 지지판(221)과, 중앙 지지판(221)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볼트 결합용 돌출부(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도 5 및 도 6 참조).
중앙 지지판(221)에는 복수의 키 모듈용 홈(221a)이 형성된다. 키 모듈용 홈(221a)은 후술하는 키 모듈(210)이 장착되기 위한 부위이므로, 키 모듈(210)의 개수와 키 모듈용 홈(221a)의 개수는 동일하다.
보강판(220)의 복수의 키 모듈용 홈(221a) 각각에 키 모듈(210)이 장착된다.
키 모듈(210)은, 도 7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키 하우징(211)과, 키 스위치(212)와, 키 캡(213)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키 하우징(211)은 보강판(220)의 키 모듈용 홈(221a)에 장착되는 부위이며, 내부에 키 스위치(212)가 마련된다.
키 스위치(212)는 키 하우징(211)에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키 슬라이더(212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키 스위치(212)의 상부에 키 캡(213)이 장착된다.
이와 같은 키 모듈(210)의 구조는 주로 기계식 키보드에서 일반적으로 채택되는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키 모듈(210)의 구조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보강판(220)의 하부에 PCB 기판(230)이 마련된다.
PCB 기판(230)의 상부에 복수의 키 모듈(210)의 키 스위치(212)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키 모듈(210)의 키 스위치(212)가 PCB 기판(230)에 연결된다는 것은, 키 모듈(210)이 PCB 기판(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퀵스왑(QUCIK SWAP) 방식의 키 스위치(212)의 경우 PCB 기판(23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PCB 기판(230)은 키 캡(213)의 하강에 따라 키 스위치(212)에서 발생한 신호를 컴퓨터에 전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PCB 기판(230)은 보강판(220)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채택하지 않는다. 즉 키 모듈(210)의 직접적인 진동이 PCB 기판(230)으로 전달될 수 있지만, 보강판(220)의 울림이 PCB 기판(230)으로 직접 전달되지는 않는다.
보강판(220)의 볼트 결합용 돌출부(222)에는 볼트 관통 구멍(222a)이 형성된다.
한편 상판 프레임(110)의 가장자리 프레임(112)에는 보강판(220)의 볼트 결합용 돌출부(222)가 안착되기 위하여 상부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부 함몰홈(112a)이 형성된다.
즉 보강판(220)의 복수의 볼트 결합용 돌출부(222)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상판 프레임(110)의 복수의 상부 함몰홈(112a)이 형성된다.
또한 그 상부 함몰홈(112a)마다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형태의 볼트 결합 나사홈(112a-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판 프레임(110)의 상부 함몰홈(112a)에 보강판(220)의 볼트 결합용 돌출부(222)가 안착되도록 하고, 하부에서 복수의 보강판 결합용 볼트(240)를 결합한다.
즉 보강판 결합용 볼트(240)는, 보강판(220)의 볼트 결합용 돌출부(222)의 하면에 접하는 볼트 헤드(241)와, 볼트 헤드(241)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볼트 관통 구멍(222a)을 지나 상판 프레임(110)의 볼트 결합 나사홈(112a-1)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 몸체(2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여 보강판(220)은 상판 프레임(110)에 연결되며, 특히 보강판(220)에서 극히 일부 면적을 차지하는 복수의 볼트 결합용 돌출부(222)만이 상판 프레임(110)에 연결되며, 보강판(220)의 대부분을 면적을 차지하는 중앙 지지판(221)은 상판 프레임(110)과 접촉되지 않는다.
한편, 하판 프레임(120)의 상판 결합용 측벽(122)의 상면에는 복수의 하부 함몰홈(122a)이 형성된다.
하부 함몰홈(122a)은, 상판 프레임(110)의 가장자리 프레임(112)의 상부 함몰홈(112a)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형성되며, 보강판 결합용 볼트(240)의 볼트 헤드(241)와 간섭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판 결합용 측벽(122)의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의하여 보강판(220) 및 보강판 결합용 볼트(240)는 상판 프레임(110)에만 결합되고, 하판 프레임(120)과는 어떠한 접촉도 형성되지 않는다.
즉 보강판(220)의 울림은 상판 프레임(110)에 전달될 뿐이며, 하판 프레임(120)에 전달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보강판(220)의 하부에 마련된 PCB 기판(230)은 하판 프레임(120)과는 상부로 이격 및 분리되면서 PCB 기판 지지구(250)에 의하여 지지된다.
PCB 기판 지지구(250)는, PCB 기판 수용 공간(123)에 배치되는 PCB 기판(230)의 하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하여, 하판 프레임(120)의 바닥판(121)에 복수로 마련되는 것이다.
즉 PCB 기판 수용 공간(123)을 형성하는 바닥판(121)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PCB 기판 지지구(250)가 서로 이격되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하판 프레임(120)의 바닥판(121)의 상면 가장자리에 PCB 기판 지지구(250)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지지구 결합용 나사홈(121a)이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면서 형성된다.
또한 PCB 기판 지지구(250)는, 지지구 결합용 나사홈(121a)에 나사결합되는 지지구용 수나사부(251)와, 지지구용 수나사부(251)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구용 몸체(2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PCB 기판(230)은 지지구용 몸체(252)의 높이만큼 하판 프레임(120)의 바닥판(121)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되며, PCB 기판(230)은 단지 8개의 PCB 기판 지지구(250)에 의하여 하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PCB 기판(230)은 PCB 기판 지지구(250)의 지지 면적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만큼, 실질적으로 하판 프레임(120)과는 분리된 상태라고 볼 수 있으며, PCB 기판(230)의 울림은 하판 프레임(120)에 실질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PCB 기판 또한 상판 프레임(110) 또는 하판 프레임(120)과는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하판 프레임(120)에 8개의 지지구 결합용 나사홈(121a)이 형성되며, 8개의 PCB 기판 지지구(250)가 마련되지만, 사용자는 자신의 선택에 따라 8개의 PCB 기판 지지구(250) 중 일부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실질적으로 3개~4개의 PCB 기판 지지구(250)만으로 PCB 기판(230)을 지지할 수 있으며, 타건감과 타건음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적절한 숫자의 PCB 기판 지지구(25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키 캡(213)의 타건은 보강판(220)과 PCB 기판(230)의 진동을 유발하며, 주로 보강판(220)의 진동을 유발한다.
이때 보강판(220)은 대부분의 면적이 상판 프레임(110) 또는 하판 프레임(120)과 접촉되지 않는 상태이며, 다만 보강판(220)에서 매우 작은 면적을 차지하는 8개의 볼트 결합용 돌출부(222)에 의해서만 상판 프레임(110)에 연결된다.
또한 PCB 기판(230)은 대부분의 면적이 상판 프레임(110) 또는 하판 프레임(120)과 접촉되지 않는 상태이며, 다만 PCB 기판(230)의 매우 작은 면적이 하판 프레임(120)에 설치되는 PCB 기판 지지구(250)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키 캡(213)의 타건 진동은 보강판(220)과 PCB 기판(230)에 제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상판 프레임(110)에 보강판(220)의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상판 프레임(110)과 보강판(220)의 매우 작은 접촉 면적으로 인하여 상판 프레임(110)으로의 진동 전달이 제한되며, 하판 프레임(120)에 PCB 기판(230)의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PCB 기판 지지구(250)의 작은 지지 면적으로 인하여 하판 프레임(120)으로의 진동 전달이 제한된다.
또한 가장 많은 울림을 발생하는 보강판(220)은, 하판 프레임(120)과의 접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비교적 가벼운 무게의 상판 프레임(110)에 최소 부위가 접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키 캡(213)의 타건 진동이 비교적 작은 중량체의 울림을 유발할 뿐이라서 매우 맑은 타건음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보강판(220)이, 하판 프레임(120)보다 매우 가벼운 중량의 상판 프레임(110)에 결합되도록 하여, 보강판(220)과 함께 상판 프레임(110)이 진동하는 경우에도 비교적 맑은 타건음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상판 프레임
111 : 중앙 덮개판 111a : 키 모듈용 개구부
112 : 가장자리 프레임 112a : 상부 함몰홈
112a-1 : 볼트 결합 나사홈
120 : 하판 프레임
121 : 바닥판 121a : 지지구 결합용 나사홈
122 : 상판 결합용 측벽 122a : 하부 함몰홈
123 : PCB 기판 수용 공간
210 : 키 모듈 211 : 키 하우징
212 : 키 스위치 213 : 키 캡
220 : 보강판
221 : 중앙 지지판 221a : 키 모듈용 홈
222 : 볼트 결합용 돌출부 222a : 볼트 관통 구멍
230 : PCB 기판
240 : 보강판 결합용 볼트
241 : 볼트 헤드 242 : 볼트 몸체
250 : PCB 기판 지지구
251 : 지지구용 수나사부 252 : 지지구용 몸체

Claims (4)

  1. 금속판으로 형성되되, 복수의 키 모듈용 홈이 형성되는 사각판 형태의 중앙 지지판과 상기 중앙 지지판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볼트 관통 구멍이 형성되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볼트 결합용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강판 ;
    상기 보강판의 키 모듈용 홈에 장착되는 키 하우징과 상기 키 하우징에 마련되는 키 스위치와 상기 키 스위치의 상부에 장착되는 키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키 모듈 ;
    상기 보강판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키 모듈의 키 스위치가 연결되는 PCB 기판 ;
    상기 보강판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키 모듈을 위한 복수의 키 모듈용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복수의 볼트 결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볼트 결합 나사홈이 형성되는 상판 프레임 ;
    상기 상판 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되, 중앙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상판 결합용 측벽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 결합용 측벽에 의하여 감싸인 공간에 상기 PCB 기판이 수용되기 위한 PCB 기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하판 프레임 ;
    상기 PCB 기판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PCB 기판의 하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PCB 기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PCB 기판 지지구 ;
    상기 보강판의 볼트 결합용 돌출부의 하면에 접하는 볼트 헤드와 상기 볼트 헤드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볼트 관통 구멍을 지나 상기 상판 프레임의 볼트 결합 나사홈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보강판 결합용 볼트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판 프레임의 바닥판의 상면 가장자리에 상기 PCB 기판 지지구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지지구 결합용 나사홈이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면서 형성되며, 상기 PCB 기판 지지구는 상기 지지구 결합용 나사홈에 나사결합되는 지지구용 수나사부와 상기 지지구용 수나사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구용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건음 향상을 위한 컴퓨터 키보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의 중앙 지지판은 상기 상판 프레임 및 상기 하판 프레임과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PCB 기판은 상기 상판 프레임 및 상기 하판 프레임과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건음 향상을 위한 컴퓨터 키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상판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키 모듈용 개구부가 형성되는 중앙 덮개판과 상기 중앙 덮개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되 상기 중앙 덮개판보다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가장자리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에는 상기 보강판의 볼트 결합용 돌출부가 안착되기 위하여 상부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상부 함몰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함몰홈에 상기 볼트 결합 나사홈이 형성되며 ;
    상기 하판 프레임이 상기 보강판 결합용 볼트의 볼트 헤드와 간섭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기 하판 프레임의 상판 결합용 측벽에는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의 상부 함몰홈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하부로 함몰되어 형성된 하부 함몰홈이 형성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타건음 향상을 위한 컴퓨터 키보드.
KR1020200038701A 2020-03-31 2020-03-31 타건음 향상을 위한 컴퓨터 키보드 KR102152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701A KR102152277B1 (ko) 2020-03-31 2020-03-31 타건음 향상을 위한 컴퓨터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701A KR102152277B1 (ko) 2020-03-31 2020-03-31 타건음 향상을 위한 컴퓨터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277B1 true KR102152277B1 (ko) 2020-09-04

Family

ID=7247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701A KR102152277B1 (ko) 2020-03-31 2020-03-31 타건음 향상을 위한 컴퓨터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2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264B1 (ko) 2021-09-15 2022-01-21 몬스타 주식회사 타건감이 우수한 컴퓨터용 기계식 키보드
KR102361949B1 (ko) 2021-10-20 2022-02-14 몬스타 주식회사 타건음 조절이 가능한 컴퓨터용 기계식 키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536B1 (ko) * 2011-12-21 2013-01-31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
KR20130093958A (ko) * 2012-02-15 2013-08-23 리티스기술개발(홍콩) 유한회사 키보드
KR101868005B1 (ko) 2018-04-09 2018-06-20 몬스타 주식회사 조립식 컴퓨터 키보드
KR102008522B1 (ko) 2019-05-17 2019-08-07 양태진 저소음 키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536B1 (ko) * 2011-12-21 2013-01-31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현금자동입출금기용 입력장치
KR20130093958A (ko) * 2012-02-15 2013-08-23 리티스기술개발(홍콩) 유한회사 키보드
KR101868005B1 (ko) 2018-04-09 2018-06-20 몬스타 주식회사 조립식 컴퓨터 키보드
KR102008522B1 (ko) 2019-05-17 2019-08-07 양태진 저소음 키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264B1 (ko) 2021-09-15 2022-01-21 몬스타 주식회사 타건감이 우수한 컴퓨터용 기계식 키보드
KR102361949B1 (ko) 2021-10-20 2022-02-14 몬스타 주식회사 타건음 조절이 가능한 컴퓨터용 기계식 키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277B1 (ko) 타건음 향상을 위한 컴퓨터 키보드
US7576273B2 (en) Hammer keyboard system and chassis
CN210006005U (zh) 电子锁及其键盘模块
US20170169967A1 (en) Optical switch keyboard
JP2013089240A (ja) キーボード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393758B (zh) 一种无凸起按挚的薄型开关
CN113299511A (zh) 按键结构
JP4743701B2 (ja) 携帯電子機器
KR102354264B1 (ko) 타건감이 우수한 컴퓨터용 기계식 키보드
US9620306B2 (en) Magnetic keyboard
US6672781B1 (en) Reduced noise key unit
JP2007042431A (ja) 操作ボタンの取り付け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6179497B1 (en) Keyswitch for notebook computer
JP4333647B2 (ja) 電子鍵盤楽器における鍵盤構造
JP2000112629A (ja) キーボード装置
CN114141565A (zh) 键盘
US20110285630A1 (en) Electronic apparatus
KR102518335B1 (ko) 조립식 키보드
KR102518341B1 (ko) 조립식 키보드
JP4427301B2 (ja) ノート型の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
KR102518326B1 (ko) 조립식 키보드
CN218548287U (zh) 机械键盘
US20240147103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peaker module and microphone
JP5241130B2 (ja) スイッチ機構およびスイッチ機構を有する電子機器
JP4519067B2 (ja) 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