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341B1 - 조립식 키보드 - Google Patents

조립식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341B1
KR102518341B1 KR1020220171895A KR20220171895A KR102518341B1 KR 102518341 B1 KR102518341 B1 KR 102518341B1 KR 1020220171895 A KR1020220171895 A KR 1020220171895A KR 20220171895 A KR20220171895 A KR 20220171895A KR 102518341 B1 KR102518341 B1 KR 102518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alignment hole
keyboard
circuit board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1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찬
이승재
Original Assignee
몬스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몬스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몬스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71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방수성능 및 방진성능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키보드용 키캡이 상부에 결합되되 하부 중앙측으로부터 돌출고정부가 각각 돌출되는 복수개의 스위치가 관통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복수개의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고,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홈이 상향 함몰 형성되는 상부커버부; 상기 상부커버부의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스위치의 측면 둘레에 개별 대응되는 단면 윤곽으로 복수개의 키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에 정렬되도록 상기 키삽입홀과 이격되며 제1정렬홀이 관통 형성되는 보강판; 상기 보강판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키삽입홀에 연통되되 상기 키삽입홀에 대응되는 단면 윤곽으로 복수개의 안착홈이 하향 함몰 형성되며, 각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 중앙부에 상기 돌출고정부가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돌출고정부의 측면 둘레에 대응되는 단면 윤곽으로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정렬홀에 정렬되도록 상기 안착홈과 이격되며 제2정렬홀이 관통 형성되는 탄성재질의 방수흡음판; 상기 방수흡음판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정렬홀에 정렬되도록 제3정렬홀이 관통 형성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나사홈에 상호 대향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1정렬홀, 상기 제2정렬홀 및 상기 제3정렬홀에 관통 삽입되며 상향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홀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하부프레임부; 및 상호 정렬된 상기 나사홈 및 상기 조립홀부에 관통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조립식 키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키보드{custom keyboard}
본 발명은 조립식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성능 및 방진성능이 개선되는 조립식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보드는 타자기처럼 생긴 컴퓨터 입력 장치로서, 자판, 글자판, 글쇠판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키보드를 통해 한글, 영어, 숫자 및 특수문자 등이 입력되며, 단독으로는 사용할 수 없고 영상표시장치, 예컨대 모니터와 한조를 이루어 입력된 내용을 확인하면서 입력이 수행되게 된다.
그리고, 초기에는 키보드의 글자판이 83개 또는 84개 정도였으나 기능이 확장되면서 101개, 103개, 106개 등으로 점점 늘어났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키보드는 대부분 106개의 글자판이 있는 윈도우 용이다. 이때, 키보드는 자판이 배열된 형태에 따라 한글 2벌식과 한글 3벌식, 영문 쿼티(qwerty)와 영문 드보락 자판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영문 쿼티는 미국의 표준 자판으로 숫자 키 아래에 있는 첫 번째 줄의 영문자가 자판 왼쪽부터 Q, W, E, R, T, Y 순서로 되어 있어서 붙은 이름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자판 배열이다.
이러한 키보드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본체 케이스를 형성하고, 본체 케이스 내부에 PCB 기판 등이 마련되며, 상부케이스로 복수의 키 모듈 내지 키 캡이 돌출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키보드는 숙련된 기술자를 제외하고는 분해 및 조립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디자인을 임의로 개조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계식 키보드는 상판 및 하판으로 구성된 하우징 구조로 인해 내부 특유의 공명이 있어 조용한 곳에서 타건할 때 거슬리는 통울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86800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수성능 및 방진성능이 개선되는 조립식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키보드용 키캡이 상부에 결합되되 하부 중앙측으로부터 돌출고정부가 각각 돌출되는 복수개의 스위치가 관통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복수개의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고,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홈이 상향 함몰 형성되는 상부커버부; 상기 상부커버부의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스위치의 측면 둘레에 개별 대응되는 단면 윤곽으로 복수개의 키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에 정렬되도록 상기 키삽입홀과 이격되며 제1정렬홀이 관통 형성되는 보강판; 상기 보강판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키삽입홀에 연통되되 상기 키삽입홀에 대응되는 단면 윤곽으로 복수개의 안착홈이 하향 함몰 형성되며, 각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 중앙부에 상기 돌출고정부가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돌출고정부의 측면 둘레에 대응되는 단면 윤곽으로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정렬홀에 정렬되도록 상기 안착홈과 이격되며 제2정렬홀이 관통 형성되는 탄성재질의 방수흡음판; 상기 방수흡음판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정렬홀에 정렬되도록 제3정렬홀이 관통 형성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나사홈에 상호 대향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1정렬홀, 상기 제2정렬홀 및 상기 제3정렬홀에 관통 삽입되며 상향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홀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하부프레임부; 및 상호 정렬된 상기 나사홈 및 상기 조립홀부에 관통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방수흡음판에는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밀착돌출부가 각각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체로 상향 돌출되되, 각 상기 밀착돌출부의 상단은 상기 상부커버부의 하면에 밀착 결합되고, 각 상기 밀착돌출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강판의 전단 및 후단이 밀착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키보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 및 상기 스위치의 외곽 하면 사이에 가압 밀착되되, 상기 고정홀의 내벽면에는 상기 돌출고정부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안착홈의 측벽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때, 상기 보강판에는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일체로 돌출되고, 각 상기 밀착돌출부의 내측면에는 각 상기 걸림돌기가 형합되도록 각 상기 걸림돌기에 대향되는 위치로부터 복수개의 걸림홈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부는, 상기 조립홀부가 형성되고 외곽 테두리가 둘레를 따라 일체로 상향 돌출되는 하부케이스부와,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하부케이스부 사이에 구비되되 측면부가 상기 하부케이스의 외곽 테두리에 감싸여지며 상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조립홀부가 관통 삽입되도록 제4정렬홀이 관통 형성되는 경사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경사판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 재질의 진동저감판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회로기판의 상면 및 스위치의 하우징 외곽 하면 사이에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방수흡음판에 일체로 형성된 안착홈이 가압 밀착되므로 수분 유입이 차단되어 방수 성능이 현저히 개선됨과 동시에 키캡의 타건시 충격이 흡수되어 부드러운 타건감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탄성재질의 방수흡음판에 형성된 안착홈의 측벽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스위치의 하우징 외측면이 끼움 결합되므로 스위치의 하우징 크기가 다르게 구비되더라도 경사진 안착홈의 측벽면에 밀착되며 견고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어 고정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방수흡음판에는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밀착돌출부가 각각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체로 상향 돌출되되 밀착돌출부의 상단은 상부커버부의 하면에 밀착 결합됨과 동시에 밀착돌출부의 내측면에는 보강판의 전단 및 후단이 밀착 결합되어 회로기판의 외곽으로 수분 유입이 차단되므로 방수성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키보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키보드를 나타낸 상면도.
도 3은 도 2의 A-A 방향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키보드에서 스위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키보드에서 탄발수용부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키보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키보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키보드를 나타낸 상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 방향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키보드에서 스위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키보드에서 탄발수용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키보드(300)는 상부커버부(210), 보강판(220), 방수흡음판(230), 회로기판(240), 하부프레임부(250) 및 체결수단(2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커버부(210)의 중앙부에는 복수개의 스위치(1)가 관통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관통홀(21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위치(1)는 상기 상부커버부(10)의 상측으로 노출 배치되는 키보드용 키캡(미도시)이 상부에 결합되되 하부 중앙측으로부터 돌출고정부(3a)가 각각 단차지게 돌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위치(1)는 상기 관통홀(211)에 관통 삽입되는 하우징(3)과, 상부가 상기 키캡(미도시)에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구비되되 사용자의 가압시 하강되고 가압 해제시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배치된 스프링(6)에 의해 상승되는 승강부(2)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1)는 상기 하우징(3)의 내부 일측에 상기 승강부(2)와 이격 배치되되 상기 회로기판(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접점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부(2)의 일측에는 캠부(2a)가 돌출되어 상기 접점부(4,5) 중 어느 하나가 탄발 압축되도록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키캡(미도시)의 하강시 상기 승강부(2)가 연동되며 하강되면 상기 캠부(2a)가 상기 접점부(4,5)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호 이격된 상태의 각 상기 접점부(4,5)가 상호간 접촉되어 통전됨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240)에서 키 입력을 위한 전기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접점부(4,5)의 상부는 상기 하우징(3) 내부에 배치되되 하부는 상기 하우징(3)의 바닥면 및 상기 방수흡읍판(230)에 각각 관통된 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회로기판(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고정부(3a)는 상기 하우징(3)의 하면 중앙으로부터 하향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3)의 평탄한 형태의 외곽 하면(3b)이 상기 돌출고정부(3a)와 상호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부(210)는 사각형 단면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외곽 테두리(213)이 둘레를 따라 일체로 하향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커버부(210)에는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홈(미도시)이 상향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커버부(10)는 아크릴 수지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220)은 상기 상부커버부(210)의 하측에 구비되되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1)의 하우징(3) 측면 둘레에 개별 대응되는 단면 윤곽으로 복수개의 키삽입홀(22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미도시)에 정렬되도록 상기 키삽입홀(221)과 이격되며 상기 나사홈(미도시)에 대응되는 개수로 제1정렬홀(22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강판(220)은 금속 재질로 구비됨이 가장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아크릴 수지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수흡음판(230)은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강판(220)의 하측에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수흡음판(230)은 상기 키삽입홀(221)에 연통되되 상기 키삽입홀(221)에 대응되는 단면 윤곽으로 복수개의 안착홈(231)이 하향 함몰 형성되며, 각 상기 안착홈(231)의 바닥면 중앙부에 상기 돌출고정부(3a)가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돌출고정부(3a)의 측면 둘레에 대응되는 단면 윤곽으로 고정홀(23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안착홈(231)은 상기 회로기판(240)의 상면 및 상기 스위치(1)의 하우징(3) 외곽 하면(3b) 사이에 가압 밀착되되, 상기 고정홀(232)의 내벽면에는 상기 돌출고정부(3a)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1)의 하우징(3)이 상기 안착홈(231)에 밀착되며 끼움 결합되므로 상기 키캡(미도시)의 승강시 발생하는 진동이 최소화되며 상기 회로기판(240)으로의 수분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231)의 측벽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 상기 안착홈(231)의 측벽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안착홈(231)의 측벽면 상단은 상기 키삽입홀(221)의 내벽면과 연속적인 윤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3)의 외측면이 상기 안착홈(231)의 측벽면에 끼움 결합되어 진동 발생이 최소화되며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회로기판(240)으로의 수분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3)의 하우징(3) 크기가 다르게 구비되더라도 상기 스위치(3)의 하우징(3)이 경사진 상기 안착홈(231)의 측벽면에 밀착되며 견고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어 고정력 및 호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수흡음판(230)에는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밀착돌출부(234)가 각각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체로 상향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밀착돌출부가 상기 방수흡음판(230)의 외곽 둘레를 따라 일체로 상향 연장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밀착돌출부(234)가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로 구비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각 상기 밀착돌출부(234)의 상단은 상기 상부커버부(210)의 하면에 밀착 결합되고, 각 상기 밀착돌출부(234)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강판(220)의 전단 및 후단이 밀착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상부커버부(210)에는 하면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하향 연장 돌출되는 커버밀착부(2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상기 밀착돌출부(234)의 상단은 상기 커버밀착부(212)의 하단에 가압되며 밀착되고 각 상기 밀착돌출부(234)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강판(220)의 전단 및 후단이 밀착 결합됨에 따라, 진동 발생이 최소화되며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회로기판(240)으로의 수분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판(220)에는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복수개의 걸림돌기(223)가 일체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걸림돌기(223)는 상기 보강판(220)의 전단으로부터 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일체로 전향 돌출되되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223)는 상기 보강판(220)의 후단으로부터 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일체로 후향 돌출되되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각 상기 밀착돌출부(234)의 내측면에는 각 상기 걸림돌기(223)가 형합되도록 각 상기 걸림돌기(223)에 대향되는 위치로부터 복수개의 걸림홈(235)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걸림홈(235)은 상기 방수흡음판(230)의 전방측에 형성된 상기 밀착돌출부(234)의 후면에 각 상기 걸림돌기(223)에 대응되는 길이로 횡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되 전방으로 각각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홈(235)은 상기 방수흡음판(230)의 후방측에 형성된 상기 밀착돌출부(234)의 전면에 각 상기 걸림돌기(223)에 대응되는 길이로 횡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되 후방으로 각각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걸림돌기(223)는 상기 밀착돌출부(234)를 가압하여 일시적으로 탄발 변형시키면서 각 상기 걸림홈(235)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강판(220)의 전단 및 후단이 각 상기 밀착돌출부(234)의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진동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방수흡음판(230)에는 상기 제1정렬홀(222)에 정렬되도록 상기 안착홈(231)과 이격되며 제2정렬홀(233)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정렬홀(233)은 상기 나사홈(미도시) 및 상기 제1정렬홀(222)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로기판(240)은 상기 방수흡음판(230)의 하측에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구비되며, 상측이 상기 고정홀(232)에 연통되되 상기 돌출고정부(3a)의 측면 둘레에 대응되는 단면 윤곽으로 끼움홀(24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홀(232) 및 상기 끼움홀(241)의 내벽면은 상호간 연속적인 외면 윤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240)에는 상기 제2정렬홀(233)에 정렬되도록 상기 끼움홀(241)과 이격되며 제3정렬홀(24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3정렬홀(242)은 상기 나사홈(미도시), 상기 제1정렬홀(222) 및 상기 제2정렬홀(233)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부프레임부(250)는 상기 회로기판(240)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나사홈(미도시)에 상호 대향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1정렬홀(222), 상기 제2정렬홀(233), 상기 제3정렬홀(242), 후술되는 제4정렬홀(254) 및 제5정렬홀(272)에 관통 삽입되며 상향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홀부(251a)가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조립홀부(251a)의 중앙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조립홀부(251a)의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프레임부(250)는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구비되되 일측에 상기 나사홈(미도시)에 대응되는 개수로 상기 조립홀부(251a)가 형성되고 외곽 테두리(251b)가 둘레를 따라 일체로 상향 돌출되는 하부케이스부(25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부(251)의 외곽 테두리(251b)의 외측면에는 상기 상부커버부(210)의 외곽 테두리(213)의 내측면이 상호 면접촉되며 밀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하부프레임부(250)는 상기 회로기판(240)의 하측 및 상기 하부케이스부(251) 사이에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구비되되 측면부가 상기 하부케이스(251)의 외곽 테두리(251b) 내측면에 감싸여지며 상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부(25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사판부(252)의 상측에 후술되는 진동저감판(270), 상기 회로기판(240), 상기 방수흡음판(230), 상기 보강판(220) 및 상기 상부커버부(2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사판부(252)의 상면 경사에 의해 상기 조립식 키보드(300)의 상부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판부(252)에는 상기 조립홀부(251a)가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제4정렬홀(253)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4정렬홀(253)은 상기 나사홈(미도시), 상기 제1정렬홀(222), 상기 제2정렬홀(233), 상기 제3정렬홀(242)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부(251) 및 상기 경사판부(252)는 아크릴 수지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립식 키보드(300)는 상기 회로기판(240) 및 상기 경사판부(252) 사이에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구비되는 상기 진동저감판(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저감판(270)에는 각 상기 돌출고정부(3a)의 하단에 대향되는 위치마다 수용홀(271)이 각각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조립식 키보드(300)는 각 상기 수용홀(271)에 구비되되 상부에 각 상기 돌출고정부(3a)의 하단이 삽입되는 수용안내홈(273a)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구되되 양측면부에 조립홈(273b)이 상향 함몰 형성되는 복수개의 탄발수용부(273)와, 각 상기 조립홈(273b)에 일측이 탄발 결합되고 상기 수용홀(271)의 내벽면에 타측이 끼움 결합되는 탄발연결부재(2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발수용부(273)의 하면은 상기 경사판부(252)의 상면과 이격 배치됨에 따라 상기 수용홀(271) 내부에 빈공간을 형성하여 타건시 고급화된 타건감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탄발연결부재(274)는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길이방향 양측으로부터 조립돌기가 일체로 상향 연장되되, 상기 조립돌기의 단면이 'M'자, 'W'자 형태로 절곡지게 형성되어 탄발 가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발연결부재(274)의 일측이 상기 조립홈(273b)에 탄발 결합되어 끼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상기 탄발연결부재(274)의 타측이 상기 수용홀(271)의 내벽면에 각각 동시에 밀착됨에 따라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돌출고정부(3a)의 하단이 상기 수용안내홈(273a)에 삽입되어 진동이 저감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수단(260)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상호 정렬된 상기 나사홈(미도시) 및 상기 조립홀부(251a)에 상기 하우징부(250)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관통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립홀부(251a)가 상기 제1정렬홀(222), 상기 제2정렬홀(233), 상기 제3정렬홀(242), 상기 제4정렬홀(254) 및 상기 제5정렬홀(272)에 관통 삽입되어 상단이 상기 나사홈(미도시)에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수단(260)에 의해 상기 조립식 키보드(300)가 용이하게 체결되므로 간편한 조립 구조를 제공하여 조립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회로기판(240)의 상면 및 상기 스위치(1)의 하우징(3) 외곽 하면(3b) 사이에 상기 방수흡음판(230)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안착홈(231)이 가압 밀착되므로 충격이 전면적으로 흡수되어 상기 키캡(미도시)의 타건시 더욱 부드러운 타건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캡(미도시)의 승강시 발생하는 진동이 최소화되며 상기 회로기판(240)으로의 수분 유입이 차단되어 방수 및 방진 성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231)의 측벽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3)의 외측면이 상기 안착홈(231)의 측벽면에 끼움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안착홈(231)의 중앙부에 관통된 상기 고정홀(232)의 내벽면에는 상기 스위치(3)의 하단측 돌출고정부(3a)가 끼움 결합되므로 상기 키캡(미도시)의 승강시 발생하는 진동이 최소화되며 상기 회로기판(240)으로의 수분 유입이 차단되어 방수 및 방진 성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흡음판(230)에는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밀착돌출부(234)가 각각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체로 상향 돌출되되 각 상기 밀착돌출부(234)의 상단은 상기 상부커버부(210)의 하면에 밀착 결합되고, 각 상기 밀착돌출부(234)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강판(220)의 전단 및 후단이 밀착 결합되므로 회로기판의 외곽으로 수분 유입이 차단되므로 방수성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스위치 3a: 돌출고정부
210: 상부커버부 220: 보강판
223: 걸림돌기 230: 방수흡음판
231: 안착홈 232: 고정홀
234: 밀착돌출부 235: 걸림홈
240: 회로기판 250: 하부프레임부
260: 체결수단 300: 조립식 키보드

Claims (5)

  1. 키보드용 키캡이 상부에 결합되되 하부 중앙측으로부터 돌출고정부가 각각 돌출되는 복수개의 스위치가 관통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복수개의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고,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홈이 상향 함몰 형성되는 상부커버부;
    상기 상부커버부의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스위치의 측면 둘레에 개별 대응되는 단면 윤곽으로 복수개의 키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에 정렬되도록 상기 키삽입홀과 이격되며 제1정렬홀이 관통 형성되는 보강판;
    상기 보강판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키삽입홀에 연통되되 상기 키삽입홀에 대응되는 단면 윤곽으로 복수개의 안착홈이 하향 함몰 형성되며, 각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 중앙부에 상기 돌출고정부가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돌출고정부의 측면 둘레에 대응되는 단면 윤곽으로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정렬홀에 정렬되도록 상기 안착홈과 이격되며 제2정렬홀이 관통 형성되는 탄성재질의 방수흡음판;
    상기 방수흡음판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정렬홀에 정렬되도록 제3정렬홀이 관통 형성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나사홈에 상호 대향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1정렬홀, 상기 제2정렬홀 및 상기 제3정렬홀에 관통 삽입되며 상향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홀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하부프레임부; 및
    상호 정렬된 상기 나사홈 및 상기 조립홀부에 관통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방수흡음판에는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밀착돌출부가 각각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체로 상향 돌출되되,
    각 상기 밀착돌출부의 상단은 상기 상부커버부의 하면에 밀착 결합되고, 각 상기 밀착돌출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강판의 전단 및 후단이 밀착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키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 및 상기 스위치의 외곽 하면 사이에 가압 밀착되되, 상기 고정홀의 내벽면에는 상기 돌출고정부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안착홈의 측벽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키보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에는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일체로 돌출되고,
    각 상기 밀착돌출부의 내측면에는 각 상기 걸림돌기가 형합되도록 각 상기 걸림돌기에 대향되는 위치로부터 복수개의 걸림홈이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키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부는, 상기 조립홀부가 형성되고 외곽 테두리가 둘레를 따라 일체로 상향 돌출되는 하부케이스부와,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하부케이스부 사이에 구비되되 측면부가 상기 하부케이스의 외곽 테두리에 감싸여지며 상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조립홀부가 관통 삽입되도록 제4정렬홀이 관통 형성되는 경사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경사판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 재질의 진동저감판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키보드.
KR1020220171895A 2022-12-09 2022-12-09 조립식 키보드 KR102518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895A KR102518341B1 (ko) 2022-12-09 2022-12-09 조립식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895A KR102518341B1 (ko) 2022-12-09 2022-12-09 조립식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341B1 true KR102518341B1 (ko) 2023-04-05

Family

ID=8588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1895A KR102518341B1 (ko) 2022-12-09 2022-12-09 조립식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3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006U (ko) * 2007-04-25 2008-10-29 퉁-쳉 구 멀티미디어 키보드의 구조
KR20130115453A (ko) * 2012-04-12 2013-10-22 리티스기술개발(홍콩) 유한회사 키보드
KR101868005B1 (ko) 2018-04-09 2018-06-20 몬스타 주식회사 조립식 컴퓨터 키보드
CN208092667U (zh) * 2018-01-26 2018-11-13 东莞市大小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无线与有线切换功能的键盘
JP2022135168A (ja) * 2021-03-04 2022-09-15 オムロン株式会社 キー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006U (ko) * 2007-04-25 2008-10-29 퉁-쳉 구 멀티미디어 키보드의 구조
KR20130115453A (ko) * 2012-04-12 2013-10-22 리티스기술개발(홍콩) 유한회사 키보드
CN208092667U (zh) * 2018-01-26 2018-11-13 东莞市大小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无线与有线切换功能的键盘
KR101868005B1 (ko) 2018-04-09 2018-06-20 몬스타 주식회사 조립식 컴퓨터 키보드
JP2022135168A (ja) * 2021-03-04 2022-09-15 オムロン株式会社 キー入力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479Y1 (ko) 키보드
US7850378B1 (en) Webbed keyboard assembly
US6057522A (en) Keyswitch of multiple-width key
CA3063581C (en) Electric lock and keypad module thereof
EP1619703B1 (en) Key sheet and key sheet manufacturing method
US8816231B2 (en) Slim key structure and slim keyboard having the same
US10586662B2 (en) Keyboard device
US8426756B2 (en) Key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7393758B (zh) 一种无凸起按挚的薄型开关
US8280459B2 (en) Integral housing and user interface
JP4486395B2 (ja) キーシート及びキーシートの固定構造
JP4743701B2 (ja) 携帯電子機器
KR102518341B1 (ko) 조립식 키보드
US6956180B1 (en) Watertight key unit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2152277B1 (ko) 타건음 향상을 위한 컴퓨터 키보드
CN112242130A (zh) 键盘乐器及其制造方法
CN112242129A (zh) 键盘乐器及其制造方法
KR102446065B1 (ko) 기계식 키보드 스위치
KR102518326B1 (ko) 조립식 키보드
KR20032679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
JPH04315715A (ja) スイッチ用一体形キーボタン装置
KR102518335B1 (ko) 조립식 키보드
KR100647981B1 (ko)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
US11810733B1 (en) Key structure
CN217060940U (zh) 鼠标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