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299B1 -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 - Google Patents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299B1
KR101227299B1 KR1020087002965A KR20087002965A KR101227299B1 KR 101227299 B1 KR101227299 B1 KR 101227299B1 KR 1020087002965 A KR1020087002965 A KR 1020087002965A KR 20087002965 A KR20087002965 A KR 20087002965A KR 101227299 B1 KR101227299 B1 KR 101227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cover
sealed container
deforma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2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4832A (ko
Inventor
오사무 호리이
마사끼 나까야
Original Assignee
기린비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린비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린비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4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4Caps or cap-like covers made of shrinkable material or formed in situ by dipping, e.g. using gelatine or cellul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65D41/18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non-metallic, e.g. made of paper or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리사이클성이 양호하고, 투명성을 갖고, 저렴하며, 화학적 개질이 불필요하고, 깨지기 어렵고 또한 누설되기 어려워, 재밀봉할 수 있는 끼워 넣음식 밀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는, 통 형상의 입구부를 갖는 용기 몸통체와, 천장면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입구부의 외측으로부터 끼워 넣음으로써 입구부를 밀폐하는 덮개를 구비한다. 용기 몸통체는 몸통부에 응력이 가해졌을 때에 몸통부의 변형이 몸통부 내에 한정됨으로써 입구부의 변형이 억제되는 구조를 갖고, 또한 PET 수지로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입구부는 통 외벽에 둘레 방향을 따라 하나로 이어진 고리 형상 볼록부를 갖고, 덮개는 통 내벽에 둘레 방향을 따라 고리 형상 볼록부를 끼우기 위한 하나로 이어진 고리 형상 오목부를 갖고, 또한 밀도 1.320 내지 1.340 g/㎤인 비정질 PET 수지로 성형되어 이루어지고, 두께가 80 ㎛ 이상 390 ㎛ 미만이다.
밀봉 용기, 입구부, 덮개, 용기 몸통체, 고리 형상 볼록부

Description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SEALED CONTAINER WITH RESEALABILITY}
본 발명은 식품이나 음료와 같은 내용물을 수용하게 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 함) 수지제의 용기 몸통체에 대해, 리사이클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PET 수지제 덮개로 밀봉하는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재밀봉성이라 함은, 다시 덮개를 덮었을 때에, 용기를 손으로 잡거나 혹은 가방 등에 넣어 반송하는 경우 등, 용기에 하중이 걸린 상황에서 사용하였을 때에 적어도 물이 누설되지 않을 정도의 밀봉성이 얻어지는 특성을 말한다.
밀봉 용기, 예를 들어 음료용 용기로는, 병, 캔, 플라스틱 용기 등의 각종 용기가 알려져 있다. 최근, 그 핸들링 양호성 등의 편리성의 관점에서 플라스틱 용기, 특히 PET 수지제 용기(PET 보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용기의 리사이클을 위해서는, PET 보틀의 덮개는 동일한 재료인 PET 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PET 수지제 덮개는, 깨지기 쉽고, 또한 밀봉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을 참조),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로 하여, 그 밖에 폴리에틸렌 등 유연성이나 신장성이 풍부한 플라스틱 재료가 덮개의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를 참조).
PET 수지를 덮개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폴리에틸렌과의 코폴리머 등 PET 수 지의 대폭적인 화학적 개질을 필요로 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3을 참조).
또한 PET 보틀에 있어서는, 보틀 입구부에 덮개를 돌려 넣는 방식이 밀봉 방식으로서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을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139061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48326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02133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기술을 비롯하여, 덮개를 폴리프로필렌 수지제로 한 경우, 리사이클을 하기 위해서는, 용기 몸통체와 덮개를 분별해야 해, 수고를 필요로 한다. 또한, 투명성이 용기 몸통체와 비교하여 뒤떨어진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기술과 같이, PET 수지를 개질하여 덮개를 형성한 경우, 개질에 수반되는 비용이 상승하고, 또한 리사이클성이 불충분한 경우도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덮개를 비롯하여, 돌려 넣음식 덮개는, 두께를 크게 하여 강성을 갖게 하므로, 덮개가 용기 전체 중에서 큰 비용 상승 요인으로 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사이클성이 양호하고, 투명성을 갖고, 저렴하며, 화학적 개질이 불필요하고, 깨지기 어렵고 또한 누설되기 어려워, 재밀봉할 수 있는 끼워 넣음식 PET 수지제 덮개를 이용한 밀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에 대해 예의 검토한 바, (1) 용기 몸통체를 단단한 PET 수지로 형성하고, 덮개를 부드러운 PET 수지로 형성하고, 밀폐 방식을 돌려 넣음식이 아닌 끼워 넣음식으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는, 통 형상의 입구부를 갖는 용기 몸통체와, 천장면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의 외측으로부터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입구부를 밀폐하는 덮개를 구비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통체는 몸통부에 응력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몸통부의 변형이 상기 몸통부 내에 한정됨으로써 상기 입구부의 변형이 억제되는 구조를 갖고,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성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입구부는 통 외벽에 둘레 방향을 따라 하나로 이어진 고리 형상 볼록부를 갖고, 상기 덮개는 통 내벽에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고리 형상 볼록부를 끼우기 위한 하나로 이어진 고리 형상 오목부를 갖고, 또한 밀도 1.320 내지 1.340 g/㎤인 비정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성형되어 이루어지고, 두께가 80 ㎛ 이상 390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서는, 상기 덮개는 압공 성형법 혹은 진공 성형법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공 성형법 혹은 진공 성형법으로 성형된 덮개는 두께가 작고, 또한 저렴하다.
본 발명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서는, 상기 용기 몸통체는, 블로우 성형 혹은 사출 성형법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로우 성형 혹은 사출 성형법으로 성형함으로써, 입구부의 변형이 억제되는 구조를 용이하게 얻기 쉽다.
본 발명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서는, 상기 덮개의 천장면을 상부 방향으로 인장하여, 상기 덮개가 개봉될 때까지 측정한 상기 덮개의 밀착력이 9.8 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용물의 튀어나옴이 곤란해지는 동시에, 개봉한 덮개로 다시 덮개를 덮었을 때에 충분한 밀봉성이 얻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서는, 상기 입구부의 변형이 억제되는 구조는, 상기 용기 몸통체가, 상기 입구부로부터 30 ㎜ 이상 떨어진 부분에, 몸통 직경이 최대 혹은 대략 최대에서 쥠부로 되는 몸통부를 갖고, 또한 상기 몸통부와 상기 입구부 사이에 견부를 갖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를 마련함으로써, 손잡이부인 몸통부에만 응력이 가해지기 쉬워져, 그 몸통부가 응력에 의해 변형되어도 견부를 마련함으로써 변형의 전달을 차단한다. 이에 의해 입구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 결과 내용물이 누설되기 어렵다.
본 발명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서는, 상기 견부는, 상기 몸통부로부터 상기 입구부에 걸쳐 직경을 축소시키는 비율을 변화시킨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인 몸통부의 변형량이 커도 견부에서 그 변형의 전달을 차단하여, 입구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서는, 상기 입구부의 변형이 억제되는 구조는, 적어도 상기 견부가, 상기 몸통부와 비교하여 두꺼운 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거나, 혹은 적어도 상기 견부가 결정화되어 있는 구조이거나, 혹은 상기 입구부 혹은 상기 견부의 외벽에 둘레 방향을 따라 리브 형상의 보강 링을 마련한 구조이거나, 혹은 이들 구조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몸통부에 가해지는 응력이 커도, 상기 구조에 의해 견부 자체의 강성을 높이고 있으므로, 입구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서는, 상기 용기 몸통체는 컵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입구부의 변형이 억제되는 구조는, 적어도 상기 입구부보다도 아래 부분이 상기 몸통부와 비교하여 두꺼운 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거나, 혹은 적어도 상기 입구부보다도 아래 부분이 결정화되어 있는 구조이거나, 혹은 상기 입구부 혹은 상기 입구부보다도 아래 부분의 외벽에 둘레 방향을 따라 리브 형상의 보강 링을 마련한 구조이거나, 혹은 이들 구조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몸통체가 컵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몸통부에 응력이 가해졌을 때에, 몸통부의 변형이 입구부로 전달되기 쉽다. 그러나, 상기한 입구부의 변형이 억제되는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용기 몸통체가 컵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몸통부의 변형이 입구부로 전달되기 어렵다.
본 발명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서는, 상기 몸통부를 몸통 직경 방향으로 10 % 눌러 찌부러뜨렸을 때의 상기 입구부의 구경 방향의 (수학식 1)에서 산출되는 변형률이 0.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률이 0.50 % 이하가 되는, 입구부의 변형이 억제되는 구조를 부여함으로써, 덮개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어, 내용물의 누설을 거의 없앨 수 있다.
(수학식 1)
변형률(%) = {(미하중시의 구경 최소치 - 변형시의 구경 최소치)/미하중시의 구경 최소치} × 100
본 발명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서는, 상기 덮개와 상기 입구부가 겹치는 영역의 외주부에 소정 하중을 가하였을 때에, 상기 입구부의 변형량이 상기 덮개의 변형량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보다도 입구부를 단단하게 함으로써, 덮개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어, 내용물의 누설을 거의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서는, 또한, 상기 입구부의 통 외벽 중 상기 고리 형상 볼록부보다도 몸통부측에 리브 형상의 네크 링을 마련하고, 상기 덮개의 통 단부에 외측을 향해 플랜지를 마련하고, 또한 상기 네크 링과 상기 플랜지가 융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용물이 예를 들어 탄산 음료라도, 덮개의 튀어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봉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서는, 또한 상기 덮개에 손잡이를 마련하고, 상기 입구부의 통 외벽 중 상기 고리 형상 볼록부보다도 몸통부측에 절결부를 구비한 리브 형상의 네크 링을 마련하고, 또한 상기 손잡이를 상기 절결부에 거는 것에 의해, 상기 덮개의 튀어 나옴을 방지하는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용물이 예를 들어 탄산 음료라도, 덮개의 튀어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서는, 상기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를 밀폐하고 있는 상기 덮개를 피복한 수축(shrink) 필름 커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비자에게 도달할 때까지, 덮개의 튀어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봉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서는, 상기 용기 몸통체 또는 상기 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표면에 가스 배리어성 박막이 성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의 가스 배리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소비 기한 또는 유통 기한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밀봉 용기는, 리사이클성이 양호하고, 투명성을 갖고, 저렴하며, 화학적 개질이 불필요하고, 깨지기 어렵고 또한 누설되기 어려워, 밀봉성을 확보하면서 재밀봉할 수 있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의 일 형태의 종단면에서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압공 성형법을 이용한 덮개의 성형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2의 (a)는 시트 가열 단계, 도2의 (b)는 압공 성형 단계, 도2의 (c)는 탈형 단계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도1에 도시한 밀봉 용기(100)에 응력이 가해졌을 때의 변형 모습을 도해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로, 도3의 (a)는 변형 전의 상태, 도3의 (b)는 변형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의 다른 형태의 종단면에서의 개략도로, 도4의 (a)는 몸통부로부터 입구부에 걸쳐 직경을 축소시키는 비율을 변화시킨 견부 형상을 갖는 경우, 도4의 (b)는 몸통부와 비교하여 두꺼운 벽으로 형성한 견부를 갖는 경우, 도4의 (c)는 결정화되어 있는 견부를 갖는 경우, 도4의 (d)는 입구부 혹은 견부의 외벽에 둘레 방향을 따라 리브 형상의 보강 링을 마련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컵형의 용기 몸통체를 갖는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의 종단면에서의 개략도로, 도5의 (a)는 벽의 두께 증가에 의해 보강하는 경우, 도5의 (b)는 벽의 결정화에 의해 보강하는 경우, 도5의 (c)는 리브 형상의 보강 링에 의해 보강하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덮개의 튀어나옴 방지 기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7은 밀봉 용기(100)에 수축 필름 커버를 피복한 형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용기 몸통체
2 : 덮개
3 : 입구부
4 : 몸통부
5 : 덮개의 천장면
6, 6a, 6b : 고리 형상 볼록부
7, 7a, 7b : 고리 형상 오목부
8 : 견부
10 : 응력
11 : 잘록부
12 : 보강 링
13 : 링
14, 32 : 네크 링
15, 30 : 손잡이
16 : 플랜지
18 : 걸림부
19 : 밀착 부분
21 : 히팅 플레이트
22 : 금형
23 : 시트
24 : 압축 공기
25 : 입구부보다도 아래 부분
31 : 절결부
40 : 수축 필름 커버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 밀봉 용기
X : 용기의 축
(작용)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는, 리사이클성을 확보하기 위해 용기 몸통체와 덮개를 모두 PET 수지로 성형한다. 여기서, 재밀봉성을 확보하기 위해 돌려 넣음식 덮개를 PET 수지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하면, 밀봉성이 불충분하고 균열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PET 수지의 화학적 개질이 필요해진다. 그래서, 범용의 PET 수지를 이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밀봉성의 확보와 균열 방지를 양립시키기 위해, 용기 몸통체, 특히 그 입구부를 단단하게 하는 한편, 덮개를 부드럽게 한다. 또한 덮개를 돌려 넣음식이 아닌 끼워 넣음식으로 한다. 입구부를 단단하게 함으로써 변형에 의해 밀봉성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덮개를 부드럽게 함으로써 덮개의 균열을 저감시킨다. 덮개를 부드럽게 할 경우, 돌려 넣음식 덮개로 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끼워 넣음식 덮개를 채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여기서, 입구부를 단단하게 하기 위해 입구부의 벽의 두께를 크게 하는 수단이 고려되지만, 이 수단에 의해 높일 수 있는 입구부의 경도에는 한도가 있다. 그래서, 몸통부에 응력이 가해졌을 때에 몸통부의 변형이 몸통부 내에 한정됨으로써 입구부의 변형이 억제되는 구조를 용기 몸통체에 갖게 함으로써, 입구부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기재에 한정하여 해석되지 않는다. 우선,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를 설명한다. 또한, 동일 부재·동일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1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의 일 형태의 종단면에서의 개략도를 도시하였다. 도1에 도시한 밀봉 용기(100)는, 통 형상의 입구부(3)를 갖는 용기 몸통체(1)와, 천장면(5)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입구부(3)의 외측으로부터 끼워 넣음으로써 입구부(3)를 밀폐하는 덮개(2)를 구비하고, 용기 몸통체(1)는 몸통부(4)에 응력이 가해졌을 때에 몸통부(4)의 변형이 몸통부(4) 내에 한정됨으로써 입구부(3)의 변형이 억제되는 구조를 갖고,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성형되어 이루어지고, 입구부(3)는 통 외벽에 둘레 방향을 따라 하나로 이어진 고리 형상 볼록부(6)를 갖고, 덮개(2)는 통 내벽에 둘레 방향을 따라 고리 형상 볼록부(6)를 끼우기 위한 하나로 이어진 고리 형상 오목부(7)를 갖고, 또한 밀도 1.320 내지 1.340 g/㎤인 비정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성형되어 이루어지고, 두께가 80 ㎛ 이상 390 ㎛ 미만이다.
용기 몸통체(1)는, 이른바 보틀 형상을 갖고 있고, 입구부(3)는 통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말하는 통 형상이라 함은, 원통 형상뿐만 아니라, 축(X) 방향을 따라 구경이 커지는 경우 혹은 작아지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축(X)에 대한 횡단면의 형상이, 원형뿐만 아니라, 타원형, 직사각형 혹은 다각형인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용기 몸통체(1)는 컵형으로 성형되어 있어도 좋고(예를 들어, 도5), 이 경우도 입구부(3)는 통 형상을 갖는다.
용기 몸통체(1)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수지)를 이용하여, 공지 공용의 성형 방법, 예를 들어 블로우 성형 또는 사출 성형법에 의해 성형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PET 수지에는 리사이클에 있어서 PET 수지와 동등한 것으로서 취급할 수 있는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G) 등의 변성 PET 수지가 포함된다.
용기 몸통체(1)에 충전되는 내용물은, 주로 맥주, 발포주, 탄산 음료, 청량 음료 등의 각종 음료이며, 조미료, 식용유 또는 식품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밀봉 용기는, 재밀봉성, 즉 다시 덮개를 덮었을 때에, 용기를 손으로 잡거나 혹은 가방 등에 넣어 반송하는 경우 등, 용기에 하중이 가해진 상황에서 사용하였을 때에 적어도 물이 누설되지 않을 정도의 밀봉성이 얻어지는 특성이 요구되는 내용물을 충전하는 것에 적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1리터 이상의 대용량 용기로서의 적성도 갖고 있다.
입구부(3)에는 통 외벽에 둘레 방향을 따라 하나로 이어진 고리 형상 볼록부(6)를 마련한다. 도1에 도시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100)에서는, 고리 형상 볼록부(6)로서 통 끝측의 고리 형상 볼록부(6a)와 그것의 하방에 마련한 고리 형상 볼록부(6b)의 2개를 마련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고리 형상 볼록부(6)는 1개만 마련해도 좋고, 혹은 3개 이상 마련해도 좋다. 고리 형상 볼록부(6)의 개수는 많을수록 덮개(2)의 밀착력이 높아지므로, 요구되는 내압 강도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된다. 또한, 입구부(3)의 통 길이에 따라 그 개수는 제한을 받는다.
덮개(2)는 천장면(5)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입구부(3)의 외측으로부터 끼워 넣음으로써 입구부(3)를 밀폐한다. 여기서 말하는 통 형상은, 덮개(2)의 통의 측면 부분이 입구부(3)의 측면에 접하는 형상을 취하므로, 입구부(3)의 측면과 거의 동일 형상이 된다. 따라서, 원통 형상뿐만 아니라, 축(X) 방향을 따라 구경이 커지는 경우 혹은 작아지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축(X)에 대한 횡단면 형상이, 원형뿐만 아니라, 타원형, 직사각형 혹은 다각형인 경우도 포함한다. 덮개(2)에는 그 통 내벽에 둘레 방향을 따라 고리 형상 볼록부(6)를 끼우기 위한 하나로 이어진 고리 형상 오목부(7)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2)는 밀도 1.320 내지 1.340 g/㎤인 비정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된다. 덮개(2)는 투광성을 가져, 내용물의 확인을, 덮개(2)를 통해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비정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서는, 일반적으로 A-PET라 불리워지는 것이나 PETG라 불리워지는 것이 있고, 결정화 저해 물질을 PET 수지 중에 함유시키거나 혹은 PET의 결정 구조 중에 구조의 일부로서 중합시킴으로써 비정질화를 실현하고 있다. 이 수지를 이용하여 두께가 80 ㎛ 이상 390 ㎛ 미만,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00 ㎛로 성형함으로써, 유연성이 풍부하여 균열되는 일이 없고, 밀착성이 양호한 덮개가 된다. 적절한 유연성을 가지므로, 덮개(2)를 용기 몸통체(1)의 입구부(3)에 다시 장착할 때에, 덮개(2)의 변형은 소성 변형의 범위가 되어, 밀봉성을 확보하면서 재밀봉성을 얻을 수 있다. 덮개(2)의 두께가 80 ㎛ 미만이면 유연성은 갖지만, 얇기 때문에 내용물이 탄산 음료인 경우 등 내압이 높은 경우에는 파열되는 경우가 있고, 한편 390 ㎛ 이상이면 유연성이 부족해져 균열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지량이 증가하므로 경제성이 저하된다.
덮개(2)는 두께를 80 ㎛ 이상 390 ㎛ 미만으로 성형하기 위해, 압공 성형법 혹은 진공 성형법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공 성형법 혹은 진공 성형법으로 성형된 덮개는, 상기 두께 범위로 성형이 가능하며, 또한 저렴하다. 도2는 압공 성형법을 이용한 덮개(2)의 성형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2의 (a)는 시트 가열 단계, 도2의 (b)는 압공 성형 단계, 도2의 (c)는 탈형 단계를 각각 도시한다. 예를 들어, 두께 80 ㎛ 이상 390 ㎛ 미만이고, 밀도가 1.320 내지 1.340 g/㎤인 비정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제 시트(23)를 준비하고, 히팅 플레이트(21)로 가열한다[도2의 (a)를 참조]. 다음에, 금형(22)과 히팅 플레이트(21) 사이에 시트(23)를 끼워, 압축 공기(24)를 히팅 플레이트(21)의 면으로부터 뿜어 나오게 해, 금형(22)의 내면으로 시트(23)를 압박한다[도2의 (b)를 참조]. 시트(23)를 덮개(2)의 형상으로 변형시킨 후, 금형(22)으로부터 덮개(2)를 취출한다[도2의 (c)를 참조]. 1매의 시트(23)로 다수의 덮개(2)를 성형할 수 있으므로, 덮개(2)를 하나하나 커트하여, 분리시킨다(도시하지 않음).
다음에, 용기 몸통체(1)의 고리 형상 볼록부(6)와 덮개(2)의 고리 형상 오목부(7)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고리 형상 볼록부(6)의 형상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의 종단부면에 있어서, 반원 형상의 볼록부로 하는 것이 좋다. 혹은 반타원형으로 해도 좋다. 고리 형상 볼록부(6)의 표면이 모나 있으면, 덮개 개방 및 덮개 폐쇄가 원활하게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밀봉성을 높이기 위해, 고리 형상 볼록부(6)의 형상은 고리 형상 오목부(7)가 끼워지도록 고리 형상 오목부(7)의 형상과 반전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에 도시한 밀봉 용기(100)에서는, 고리 형상 볼록부(6a)가 고리 형상 오목부(7a)와 반전 관계의 형상을 갖고 있고, 또한 고리 형상 볼록부(6b)가 고리 형상 오목부(7b)와 반전 관계의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고리 형상 볼록부(6a)가 고리 형상 오목부(7a)에 끼워지고, 고리 형상 볼록부(6b)가 고리 형상 오목부(7b)에 끼워진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서는, 덮개(2)의 천장면을 상부 방향으로 인장하여, 덮개(2)가 개봉될 때까지 측정한 덮개의 밀착력이 9.8 N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용물의 튀어나옴이 저감되는 동시에, 개봉했었던 덮개로, 밀봉성을 확보하면서 재밀봉하기 쉽다. 덮개의 밀착력은, 고리 형상 볼록부(6)의 높이 및 그에 대응한 고리 형상 오목부(7)의 깊이가 클수록 커지고, 고리 형상 볼록부(6) 및 고리 형상 오목부(7)의 표면이 모나 있을수록 커지고, 또한 고리 형상 볼록부(6) 및 고리 형상 오목부(7)의 세트수가 많을수록 커진다. 또한, 덮개의 밀착력이 클수록 재밀봉할 때에 힘이 필요해지므로, 덮개의 밀착력은 바람직하게는 50 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의 밀착력의 측정은, 덮개를 덮은 밀봉 용기의 용기 몸통체를 고정하고, 덮개의 천장면에 금속제 지그를 접착하여, 인장 시험기로 50 mm/분의 속도로 금속제 지그를 인장하고, 고리 형상 볼록부(6)로부터 고리 형상 오목부(7)의 어느 한 부위가 벗어난 시점에서의 응력을 측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서는, 덮개(2)와 입구부(3)가 겹치는 영역의 외주부에 소정 하중을 가하였을 때에, 입구부(3)의 변형량이 덮개(2)의 변형량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2)보다도 입구부(3)를 단단하게 함으로써, 덮개(2)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어, 내용물의 누설을 거의 없앨 수 있다. 입구부(3)의 경도는 벽을 두껍게 함으로써, 혹은 입구부(3)를 결정화시킴으로써 높일 수 있다.
또한,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리 형상 볼록부(6)를 고리 형상 오목부(7)에 끼웠을 때에, 입구부(3)의 통 끝의 단부면과 덮개(2)의 내면이 밀착하도록 덮개(2)를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의 밀봉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에 도시한 밀봉 용기(100)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서는, 네크 링(14)에 플랜지(16)의 일단부에 마련한 걸림부(18)를 걸고, 플랜지(16)의 타단부에 마련한 손잡이(15)를 링(13)에 걸어 고정해 둠으로써, 덮개(2)의 튀어나옴 방지 기구를 마련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몸통부(4)에 응력이 가해졌을 때에 몸통부(4)의 변형이 몸통부(4) 내에 한정됨으로써 입구부(3)의 변형이 억제되는 구조에 대해, 각종 형태를 도1, 도3 및 도4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어 설명한다.
도3은 도1에 도시한 밀봉 용기(100)에 응력이 가해졌을 때의 변형 모습을 도해적으로 도시한 개략도로, 도3의 (a)는 변형 전의 상태, 도3의 (b)는 변형 후의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구부(3)의 변형이 억제되는 구조라 함은, 구체적으로는 용기 몸통체(1)의 몸통부(4)의 어느 한 부위에 응력(10)이 가해졌을 때에[도3의 (a)], 몸통부(4)에 잘록부(11)가 발생하여 변형해도, 잘록부(11)가, 견부(8)에서 차단되어 입구부(3)까지 전달되지 않아[도3의 (b)], 입구부(3)에 변형이 생기기 어려운 구조이다.
입구부(3)의 변형이 억제되는 구조로 하기 위해서는, 우선 첫 번째로 도1에 도시한 구조와 같이, 용기 몸통체(1)가, 입구부(3)로부터 30 ㎜ 이상 떨어진 부분에, 몸통 직경이 최대 혹은 대략 최대에서 쥠부로 되는 몸통부(4)를 갖고, 또한 몸통부(4)와 입구부(3) 사이에 견부(8)를 갖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몸통체(1)를 이른바 보틀 형상으로 하고, 또한 입구부(3)와 몸통부(4)를 분리시킨 구조이다. 손잡이부를 마련함으로써, 손잡이부인 몸통부(4)에만 응력이 가해지기 쉬워진다. 최대 몸통 직경이 되는 부위에서 충돌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몸통부가 응력에 의해 변형되어도 견부(8)를 마련함으로써 변형의 전달을 차단한다. 입구부(3)와 몸통부(4)가 떨어져 있을수록 변형의 전달을 차단하는 효과가 높다. 그래서 입구부(3)와 몸통부(4)의 간격을 30 ㎜ 이상으로 하면 좋다. 이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입구부(3)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 결과 용기 몸통체(1)에 충전된 내용물이 누설되기 어렵다.
도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의 다른 형태의 종단면에서의 개략도로, 도4의 (a)는 몸통부(4)로부터 입구부(3)에 걸쳐 직경 축소시키는 비율을 변화시킨 견부(8) 형상을 갖는 경우, 도4의 (b)는 몸통부(4)와 비교하여 두꺼운 벽으로 형성한 견부(8)를 갖는 경우, 도4의 (c)는 결정화되어 있는 견부(8)를 갖는 경우, 도4의 (d)는 입구부(3) 혹은 견부(8)의 외벽에 둘레 방향을 따라 리브 형상의 보강 링을 마련한 경우를 각각 도시하였다. 여기서 도4의 (a) 내지 도4의 (c)에서는, 용기의 축(X)에 대해 좌측 부분은 대칭이므로 기재를 생략하였다. 또한, 도4의 (d)에서는, 덮개(2)를 장착하고 있지 않을 때의 입구부(3)를 도시하였다.
도4의 (a)에 도시한 밀봉 용기(200)와 같이, 견부(8)는 몸통부(4)로부터 입구부(3)에 걸쳐 직경 축소시키는 비율을 변화시킨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몸통부(4)로부터 입구부(3)에 걸쳐 직경 축소시키는 비율을 처음에는 크게 하고, 서서히 그 비율을 작게 변화시킴으로써, 견부(8)가 각이진 경우이다. 밀봉 용기(100)의 견부(8)가, 몸통부(4)와 입구부(3)가 매끄럽게 이어져 있는 모양 인 데 반해, 밀봉 용기(200)의 견부(8)는 몸통부(4)로부터 입구부(3)에 걸쳐 직경을 축소시키는 비율을 변화시킨 형상을 가지므로, 손잡이부인 몸통부(4)의 변형량이 보다 큰 경우라도 견부(8)에서 그 변형의 전달을 차단하여, 입구부(3)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4의 (b)에 도시한 밀봉 용기(300)와 같이, 견부(8)는 몸통부(4)와 비교하여 두꺼운 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통부(4)에 가해지는 응력이 커도, 상기 구조에 의해 견부(8) 자체의 강성을 높이고 있으므로, 입구부(3)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4의 (c)에 도시한 밀봉 용기(400)와 같이, 적어도 견부(8)가 결정화되어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의 (c) 중의 점으로 되어 있는 부분은, 결정화되어 있는 것을 나타냈다. 몸통부(4)에 가해지는 응력이 커도, 상기 구조에 의해 견부(8) 자체의 강성을 높이고 있으므로, 입구부(3)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4의 (c)에 도시한 밀봉 용기(400)에서는, 견부(8)만을 결정화시킨 형태를 도시하였지만, 몸통부(4) 또는 입구부(3)도 결정화시켜 용기 몸통체(1) 전체의 강성을 높여도 좋다.
도4의 (d)에 도시한 밀봉 용기(500)(덮개는 도시하지 않음)와 같이, 입구부(3) 혹은 견부(8)의 외벽에 둘레 방향을 따라 리브 형상의 보강 링(12)을 마련한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링(12)은 입구부(3)의 구경 방향의 변형에 대해 보강 효과를 가지므로, 몸통부[도4의 (d)에서는 도시하지 않음]가 몸통 직경 방향으로 찌부러지는 응력을 받은 경우에, 몸통부의 잘록해짐의 전파가 보강 링(12) 에 있어서 멈추기 쉽다. 보강 링(12)은 밀봉되는 부분, 즉 도1에서 나타내면 고리 형상 볼록부(6)와 고리 형상 오목부(7)의 밀착 부분에 가까울수록 당해 밀착 부분에서의 변형을 억제하여, 그 결과 밀봉이 파열되어 누설로 이어지는 경우가 적어지지만, 그 반면 마시기 용이함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입구부(3) 혹은 견부(8)의 외벽 중 어느 하나의 장소에, 마시기 용이함이나 용기의 디자인성을 고려하여 마련한다.
또한, 도4의 (d)에 도시한 밀봉 용기(500)의 보강 링(12)은, 도1에서 나타낸 네크 링(14) 혹은 손잡이(15)를 걸어 고정해 두기 위한 링(13)으로 겸용시켜도 좋다.
도4의 (a) 내지 도4의 (d)에 도시한 입구부(3)의 변형이 억제되는 각 구조는, 각각 단독으로 용기에 내장해도 좋고, 혹은 2개 이상의 구조를 동시에 조합하여 용기에 내장해도 좋다.
용기 몸통체를 컵형으로 성형한 경우에는 견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도5에 도시한 각 구조를 용기 몸통체에 내장함으로써 입구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도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컵형의 용기 몸통체를 갖는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의 종단면에서의 개략도로, 도5의 (a)는 벽의 두께 증가에 의해 보강하는 경우, 도5의 (b)는 벽의 결정화에 의해 보강하는 경우, 도5의 (c)는 리브 형상의 보강 링에 의해 보강하는 경우를 각각 도시하였다. 도5의 (a)에서는, 적어도 입구부(3)보다도 아래 부분(25)이, 몸통부(4)와 비교하여 두꺼운 벽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 몸통체가 컵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몸통부(4)에서의 변형이 입구부(3)로 전달 되기 어렵다. 도5의 (b)에서는, 적어도 입구부(3)보다도 아래 부분(25)이 결정화되어 있으므로, 용기 몸통체가 컵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몸통부(4)에서의 변형이 입구부(3)로 전달되기 어렵다. 용기 전체를 결정화시켜도 좋다. 도5의 (c)에서는, 입구부(3) 혹은 입구부(3)보다도 아래 부분(25)의 외벽에 둘레 방향을 따라 리브 형상의 보강 링(12)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용기 몸통체가 컵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몸통부(4)에서의 변형이 입구부(3)로 전달되기 어렵다. 각 구조의 보강 원리는, 도4의 (b) 내지 도4의 (d)의 각각과 동일하다. 도5의 (a) 내지 도5의 (c)에 도시한 각 구조를 조합하여 내장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서는, 도1, 도3 및 도4에 도시한 보틀 형상 밀봉 용기 또는 도5에 도시한 컵형 밀봉 용기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예를 들어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응력(10)을 가하여, 몸통부(4)를 몸통 직경 방향으로 10 % 눌러 찌부러뜨렸을 때의 입구부(3)의 구경 방향의 (수학식 1)에서 산출되는 변형률이 0.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의 용량 또는 몸통부(4)의 몸통 직경 또는 입구부(3)의 구경의 크기에 따라, 밀봉성을 확보하는 면에서의, 허용되는 입구부(3)의 구경 방향의 변형률은 변화하지만, 예를 들어 500 ml 용량의 음료용 보틀이면, 변형률을 0.50 % 이하로 함으로써, 변형에 의해 고리 형상 볼록부(6)와 고리 형상 오목부(7)의 밀착 부분이 떨어져 내용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변형률이 0.50 % 이하가 되는, 입구부의 변형이 억제되는 구조를 부여함으로써 덮개(2)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어, 내용물의 누설을 거의 없앨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입구부(3)의 통 외벽 중 고리 형상 볼록부(6)보다도 몸통부(4)측에 리브 형상의 네크 링(14)을 마련하고, 덮개(2)의 통 단부에 외측을 향하게 하여 플랜지(16)를 마련하고, 또한 네크 링(14)과 플랜지(16)가 융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에서는, 네크 링(14)과 플랜지(16)의 밀착 부분(19)이 융착된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내용물이, 예를 들어 탄산 음료라도, 덮개의 튀어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에게 도달할 때까지, 개봉되었었는지 여부의 확인을 할 수도 있다.
밀착 부분(19)의 융착은 레이저 용접법에 의해 융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를 열원으로 하여 열 융착시킨 경우와 비교하면 융착 부분과 비융착 부분의 경계가 명료해, 고정밀도의 융착이 가능하다. 융착 부분이 될 융착 예정 부위, 즉 밀착 부분(19)은 레이저 광이 흡수되기 쉽도록, 레이저 광을 흡수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밀착 부분(19)에 레이저 광을 흡수하는 도료가 도포되어 있거나, 혹은 밀착 부분(19)에 레이저 광을 흡수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물체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레이저 용접법에 의해 융착시키는 경우, 레이저 광을 피융착물이 흡수하지 않는 경우라도, 밀착 부분(19)에 레이저 광에 대해 흡수성이 있는 착색을 실시함으로써, 밀착 부분(19)을 직접 가열할 수 있다. 밀착 부분(19)을, 레이저 광을 흡수하는 재료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수지에 염료 또는 안료를 포함시켜 용기 몸통체(1) 또는 덮개(2) 혹은 그 모두를 형성한다. 밀착 부분(19)을, 레이저 광을 흡수하는 도료로 도포하기 위해서는, 예 를 들어 그 도료를 각종 인쇄법에 의해 인쇄한다. 밀착 부분(19)에 배치하는, 레이저 광을 흡수하는 재료라 함은, 예를 들어 용기 몸통체(1) 또는 덮개(2)와 동일한 재료에, 도료를 도포하거나, 혹은 염료 또는 안료를 함유시킨 것이 있다. 이와 같이 레이저 광에 대한 흡수부를 마련함으로써, 레이저의 흡수율이 높아져, 작은 에너지로 레이저 용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염료 또는 안료는, 예를 들어 금속 재료, 세라믹, 혹은 유기 안료로, 레이저 광을 흡수하는 것이다. 레이저 광에 대한 흡수부의 흡수 정도에 따라, 레이저 광의 파장, 레이저 파워, 레이저 주사 속도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용접에 이용하는 레이저 발진 소자는, 예를 들어 반도체 레이저, 탄산 가스 레이저 등의 가스 레이저, YAG 레이저이다. 레이저 용접을 행하는 용기 몸통체(1) 및 덮개(2)의 재질, 레이저 조사 이동 속도, 조사 스폿 형상 등의 각종 파라미터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한다. 레이저 광의 파장은, 예를 들어 800 내지 1000 ㎚인 반도체 레이저가 바람직하다. 밀착 부분(19)에 조사하는 레이저 광의 에너지 밀도는 융착 면적 1 ㎠당 예를 들어 150 J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 변형을 발생시키지 않고, 융착을 종료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이저 용접법 대신에, 다음 용접법도 적용할 수 있다. 즉, 밀착 부분(19)이, 임펄스 시일링법, 고주파 용접법, 진동 용접법, 스핀 용접법, 초음파 용접법, 열풍 용접법 또는 열 밀봉법에 의해 융착되어, 밀봉 용기가 제조되는 경우이다.
임펄스 시일링법은, 밀착 부분(19)을, 리본 히터에 급속하게 강전류를 흘려 가열 용접하는 방법이다. 고주파 용접법은, 고주파 전류를 유전율 및 유전 정접이 큰 밀착 부분(19)에 흡수시키는, 내부 가열에 의한 용접법이다. 유전율, 유전 정접이 큰 필름을 사용한다. 진동 용접법은, 스핀 대신에 밀착 부분(19)을 서로 문질러 발열시켜 용융 접착시키는 용접법이다. 스핀 용접법은 밀착 부분(19)을 회전시키고, 서로 문질러, 마찰열에 의해 용융 용접시키는 방법이다. 초음파 용접법은, 초음파 진동 에너지를 가하여, 밀착 부분(19)을 용융 접합하는 방법이다. 열풍 용접법은, 가열된 히터에 대기 또는 가스를 보내, 밀착 부분(19)에 내뿜어 용접하는 방법이다. 열 밀봉법은, 가열판 사이에 밀착 부분(19)을 끼운 상태에서, 가압 가열시켜 용접시키는 방법이다. 각각의 용접법은, 용기의 형상에 맞추어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서는, 도1에 도시한 덮개의 튀어나옴 방지 기구보다도 더욱 덮개의 튀어나옴을 방지하기 위해 도6에 도시한 덮개의 튀어나옴 방지 기구를 형성해도 좋다. 도6은 덮개의 튀어나옴 방지 기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6에 도시한 밀봉 용기(900)는, 또한 덮개(2)에 손잡이(30)를 마련하고, 입구부(3)의 통 외벽 중 고리 형상 볼록부(6)보다도 몸통부측에 절결부(31)가 구비된 리브 형상의 네크 링(32)을 마련하고, 또한 손잡이(30)를 절결부(31)에 거는 것에 의해, 덮개(2)의 튀어나옴을 방지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내용물이 예를 들어 탄산 음료라도, 덮개(2)의 튀어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도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밀봉 용기에 수축 필름 커버를 피복한 형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서는,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용기(100)에, 입구부(3)와 입구부(3)를 밀폐하고 있는 덮개(2)를 피복한 수축 필름 커버(4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비자에게 도달할 때까지, 덮개의 튀어나옴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봉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서는, 용기 몸통체(1) 또는 덮개(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표면에 가스 배리어성 박막이 성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의 가스 배리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소비 기한 또는 유효 기한을 연장시킬 수 있다. 가스 배리어성 박막으로서는, 예를 들어 다이아몬드 라이크 카본(DLC)막, Si 함유 DLC막 또는 SiOx막이 있다. 가스 배리어성 박막의 성막 방법은, 공지의 성막법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2788412호, 일본 특허 제3072269호 또는 일본 특허 제3115252호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가스 배리어성 박막의 성막은, 용기 몸통체(1)의 내표면 혹은 외표면에 행하고, 덮개(2)의 내표면 혹은 외표면에 행한다. 용기 몸통체(1)와 덮개(2) 모두의 내표면 혹은 외표면에 가스 배리어성 박막의 성막을 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샘플 1)
비정질 PET 수지제 시트(덴까 A-PET 시트)를 이용하여, 도1에 도시한 타입의 덮개를 압공 성형법으로 성형하였다. 덮개의 외경은 21.7 ㎜로 하였다. 이때 천장면의 면적은 3.71 ㎠였다. 이때 덮개의 두께를 485 ㎛로 하였다. 덮개의 두께는 고리 형상 오목부의 부위를 측정하였다. 이것을 3개 준비하였다(n = 3). 그리 고 덮개의 밀도는 1.326 g/㎤였다. 덮개의 결정화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결정화도의 차이에 기인하여 변화하는 밀도를 결정화도의 지표로 하였다. 밀도가 높으면 결정화도가 높고, 밀도가 작으면 결정화도가 낮다고 하는 관계가 있다. 밀도는 밀도 구배법 비중 측정기(아사히 쇼오꼬오 가부시끼가이샤)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밀도 측정의 전제로서, DSC법으로 측정 샘플이 PET의 열 흡수 특성을 나타내고, 다른 성분의 흡열·배열 피크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사용 기기 : DSC-60 시마쯔 세이사꾸쇼). PET 수지제 용기 몸통체에 덮개를 장착한 후, 덮개를 제거한다고 하는 행위를 10회 반복한 결과, 덮개에 균열이 생긴 경우에는 내균열성을 갖지 않고(×라 기재), 덮개에 균열이 생기지 않은 경우에는 내균열성을 갖는(○라 기재)다고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샘플 2 내지 샘플 10)
덮개의 밀도, 두께 및 성형 방법을 바꾸어, 내균열성의 평가를 행하고,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표1에는, 덮개의 밀도, 두께 및 성형 방법의 조건도 동시에 나타내었다.
[표1]
Figure 112008009086241-pct00001
표1의 결과로부터 다음의 것을 알 수 있다. 덮개의 두께는 80 ㎛ 이상 390 ㎛ 미만이고 밀도가 1.320 내지 1.340 g/㎤인 비정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성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덮개는 필요 충분한 유연성을 가지므로, 덮개의 개폐 반복에 의한 균열이 생기지 않는다.
도1의 타입의 밀봉 용기를 준비하여, 용기 몸통체에 물을 충전한 후, 샘플 4의 덮개를 장착하였다.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통부를 1 ㎝ 내지 2 ㎝의 범위에서 찌부러뜨렸을 때에, 입구부의 변형률을 산출하고, 물의 누설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변형률은 (수학식 1)에서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표2]
Figure 112008009086241-pct00002
표2의 결과로부터, 변형률이 0 % 이상 0.52 % 미만인 경우, 누설이 생기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5)

  1. 통 형상의 입구부(3)를 갖는 용기 몸통체(1)와, 천장면(5)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3)의 외측으로부터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입구부(3)를 밀폐하는 덮개(2)를 구비한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통체(1)는, 몸통부(4)에 응력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몸통부(4)의 변형이 상기 몸통부(4) 내에 한정됨으로써 상기 입구부(3)의 변형이 억제되는 구조를 갖고,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성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입구부(3)는 통 외벽에 둘레 방향을 따라 하나로 이어진 고리 형상 볼록부(6)를 갖고,
    상기 덮개(2)는 통 내벽에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고리 형상 볼록부(6)를 끼우기 위한 하나로 이어진 고리 형상 오목부(7)를 갖고, 또한 밀도 1.320 내지 1.340 g/㎤인 비정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성형되어 이루어지고, 두께가 80 ㎛ 이상 390 ㎛ 미만이고,
    또한, 상기 입구부(3)의 통 외벽 중 상기 고리 형상 볼록부(6)보다도 몸통부(4)측에 리브 형상의 네크 링(14)을 마련하고, 상기 덮개(2)의 통 단부에 외측을 향해 플랜지(16)를 마련하고, 또한 상기 네크 링(14)과 상기 플랜지(16)가 융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는 압공 성형법 혹은 진공 성형법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통체(1)는 블로우 성형 혹은 사출 성형법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의 천장면(5)을 상부 방향으로 인장하여, 상기 덮개(2)가 개봉될 때까지 측정한 상기 덮개(2)의 밀착력이 9.8 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3)의 변형이 억제되는 구조는, 상기 용기 몸통체(1)가, 상기 입구부(3)로부터 30 ㎜ 이상 떨어진 부분에, 몸통 직경이 최대에서 쥠부로 되는 몸통부(4)를 갖고, 또한 상기 몸통부(4)와 상기 입구부(3) 사이에 견부(8)를 갖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견부(8)는 상기 몸통부(4)로부터 상기 입구부(3)에 걸쳐 직경 축소시키는 비율을 변화시킨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3)의 변형이 억제되는 구조는,
    적어도 상기 견부(8)가, 상기 몸통부(4)와 비교하여 두꺼운 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거나, 혹은
    적어도 상기 견부(8)가 결정화되어 있는 구조이거나, 혹은
    상기 입구부(3) 혹은 상기 견부(8)의 외벽에 둘레 방향을 따라 리브 형상의 보강 링(12)을 마련한 구조이거나, 혹은
    이들 구조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3)의 변형이 억제되는 구조는,
    적어도 상기 견부(8)가, 상기 몸통부(4)와 비교하여 두꺼운 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거나, 혹은
    적어도 상기 견부(8)가 결정화되어 있는 구조이거나, 혹은
    상기 입구부(3) 혹은 상기 견부(8)의 외벽에 둘레 방향을 따라 리브 형상의 보강 링(12)을 마련한 구조이거나, 혹은
    이들 구조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통체(1)는 컵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입구부(3)의 변형이 억제되는 구조는,
    적어도 상기 입구부(3)보다도 아래 부분(25)이, 상기 몸통부(4)와 비교하여 두꺼운 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거나, 혹은
    적어도 상기 입구부(3)보다도 아래 부분(25)이 결정화되어 있는 구조이거나, 혹은
    상기 입구부(3) 혹은 상기 입구부(3)보다도 아래 부분(25)의 외벽에 둘레 방향을 따라 리브 형상의 보강 링(12)을 마련한 구조이거나, 혹은
    이들 구조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4)를 몸통 직경 방향으로 10 % 눌러 찌부러뜨렸을 때의 상기 입구부(3)의 구경 방향의 (수학식 1)에서 산출되는 변형률이 0.5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
    (수학식 1)
    변형률(%) = {(미하중시의 구경 최소치 - 변형시의 구경 최소치)/미하중시의 구경 최소치} × 100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와 상기 입구부(3)가 겹치는 영역의 외주부에 소정 하중을 가하였을 때에, 상기 입구부(3)의 변형량이 상기 덮개(2)의 변형량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덮개(2)에 손잡이(30)를 마련하고, 상기 입구부(3)의 통 외벽 중 상기 고리 형상 볼록부(6)보다도 몸통부측에 절결부(31)가 구비된 리브 형상의 네크 링(32)을 마련하고, 또한 상기 손잡이(30)를 상기 절결부(31)에 거는 것에 의해, 상기 덮개(2)의 튀어나옴을 방지하는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3)와 상기 입구부(3)를 밀폐하고 있는 상기 덮개(2)를 피복한 수축(shrink) 필름 커버(4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통체(1) 또는 상기 덮개(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표면에 가스 배리어성 박막이 성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
  15. 삭제
KR1020087002965A 2005-08-05 2006-07-28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 KR101227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27873A JP4757563B2 (ja) 2005-08-05 2005-08-05 リシール性を有する密封容器
JPJP-P-2005-00227873 2005-08-05
PCT/JP2006/314991 WO2007018055A1 (ja) 2005-08-05 2006-07-28 リシール性を有する密封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832A KR20080044832A (ko) 2008-05-21
KR101227299B1 true KR101227299B1 (ko) 2013-01-29

Family

ID=3772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2965A KR101227299B1 (ko) 2005-08-05 2006-07-28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757563B2 (ko)
KR (1) KR101227299B1 (ko)
CN (1) CN100564176C (ko)
AU (1) AU2006277422B2 (ko)
RU (1) RU2363630C1 (ko)
WO (1) WO20070180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7563B2 (ja) * 2005-08-05 2011-08-24 麒麟麦酒株式会社 リシール性を有する密封容器
JP5064941B2 (ja) * 2007-09-03 2012-10-31 麒麟麦酒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の装着方法
JP5074618B1 (ja) * 2011-10-06 2012-11-14 博夫 市川 ボトル用キャップ
WO2013114584A1 (ja) * 2012-02-01 2013-08-08 株式会社石けん工房春風 チューブ容器
JP2015178371A (ja) * 2014-03-19 2015-10-08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Dlc膜コーティング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樹脂製容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9644A (ja) * 1996-10-29 1998-05-19 Rainingu Container- Kk ネジ付き容器
JP2004001481A (ja) * 2002-04-12 2004-01-08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結晶化の程度を徐々に変化させた容器フィニッシュ
KR20050008763A (ko) * 2002-06-05 2005-01-21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기능적 특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제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3080A (en) * 1980-07-16 1981-10-06 Letica Corporation Container construction
FR2516052A1 (fr) * 1981-11-06 1983-05-13 Plastigord Plastiques Perigord Boite a fermeture etanche formant conteneur pour produits divers
DE19645263A1 (de) * 1996-11-02 1998-05-07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Fließmittelpackung mit aseptisch dichtem Schnappdeckel und Vorformling zur Herstellung dieser Packung
JP2002510360A (ja) * 1998-03-25 2002-04-02 テトラ ラバル ホールデイングス エ フイナンス ソシエテ アノニム 容器の内壁を被覆する方法
JP2004106887A (ja) * 2002-09-18 2004-04-08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製蓋
US6931821B2 (en) * 2003-07-29 2005-08-23 Evergreen Industries, Inc. Tamper evident vial cap and integrity assurance method
JP4757563B2 (ja) * 2005-08-05 2011-08-24 麒麟麦酒株式会社 リシール性を有する密封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9644A (ja) * 1996-10-29 1998-05-19 Rainingu Container- Kk ネジ付き容器
JP2004001481A (ja) * 2002-04-12 2004-01-08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結晶化の程度を徐々に変化させた容器フィニッシュ
KR20050008763A (ko) * 2002-06-05 2005-01-21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기능적 특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제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57563B2 (ja) 2011-08-24
KR20080044832A (ko) 2008-05-21
CN100564176C (zh) 2009-12-02
RU2363630C1 (ru) 2009-08-10
AU2006277422A1 (en) 2007-02-15
WO2007018055A1 (ja) 2007-02-15
AU2006277422B2 (en) 2011-08-11
CN101238042A (zh) 2008-08-06
JP2007039117A (ja)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2527B1 (en) Method for sealing container and lid using laser welding
US5954217A (en) Packaging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27299B1 (ko) 재밀봉성을 갖는 밀봉 용기
AU2006277421B2 (en) Sealed container
JP4899923B2 (ja) 熱可塑性樹脂から成る層を有する部材の溶着方法及び蓋付熱可塑性樹脂容器
KR20100017663A (ko) 유동성 식품의 밀봉 용기를 위한 마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20070062952A1 (en) Container opening structure, container provide with the opening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pening structure
JPH01279056A (ja) 易開封性蓋
KR20140105480A (ko) 점성 유체의 배출에 이용하는 주출 부재
CA1284624C (en) Cover for a can-shaped container
EP2493774A1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a heat-sealed metal end, a metal end therefor, and a method for making same
JP5064941B2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の装着方法
TWI297318B (en) Container closures
JP5736704B2 (ja) リシール性を有する密封容器
US20200016842A1 (en) Method for creating a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consisting of different plastic materials and associated container with pouring attachment
AU2003202049A1 (en) Container closures
WO2003062061A1 (en) Container closures
JP5750882B2 (ja) 密封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84718A (ja) 注出具
JP2556426Y2 (ja) 容 器
JP2000281041A (ja) 複合容器
JP2021059343A (ja) 口栓、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包装容器
WO2019068486A1 (en) PACKAGING CONTAINER
US20070157561A1 (en) Induction sealing heat profile improvement
JPH01309742A (ja) 金属蓋付容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