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253B1 - 기능성 생수통용 마개 - Google Patents

기능성 생수통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253B1
KR101227253B1 KR1020100112810A KR20100112810A KR101227253B1 KR 101227253 B1 KR101227253 B1 KR 101227253B1 KR 1020100112810 A KR1020100112810 A KR 1020100112810A KR 20100112810 A KR20100112810 A KR 20100112810A KR 101227253 B1 KR101227253 B1 KR 101227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bottled water
injection hole
hole
b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1393A (ko
Inventor
임미숙
Original Assignee
임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미숙 filed Critical 임미숙
Priority to KR1020100112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253B1/ko
Publication of KR20120051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185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the outer closure being a foil memb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 및 회수가 가능함은 물론 생수기의 생수통을 교체할 때 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생수통의 표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생수기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생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생수통(2)의 개방구(3)에 착탈되어 밀폐하는 생수통용 마개에 있어서, 저면 테두리에 상기 개방구(3)가 삽입고정되는 고정요홈(5)이 구비된 몸체(4)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4)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주입공(6)이 형성되되 상기 주입공(6)은 차단벽(7)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한 몸체(4)의 외주면에는 생수통(2)의 상면을 덮도록 된 덮개(12)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12)에는 생수통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밀착부재가 마련된 생수통용 마개를 제공한다.
또한, 생수통의 개방구에 착탈되어 밀폐하는 생수통용 마개에 있어서, 저면 테두리에 상기 개방구가 삽입고정되는 고정요홈이 구비된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주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주입공의 내부에는 막음부재 결합부 및 탈착식 막음부재가 구비되고, 몸체의 내측에는 주입공과 연통된 다수의 통공을 가지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기능성 충진재가 충진되며, 상기 주입공은 통공형 차단판으로 차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용 마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생수통용 마개{A functional Stopper of the Tub for Spring water}
본 발명은 생수통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환 및 회수가 가능함은 물론 생수기의 생수통을 교체할 때 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생수통의 표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생수기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생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된 생수통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구의 증가 및 산업화에 따른 환경오염과 그 피해로 인하여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인체의 70%를 구성하고 있는 물의 기능과 필요성 그리고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근자에는 상기와 같은 물에 대한 우려로 인하여 수돗물보다는 환경친화적인 생수에 대한 소비가 증가 되고 있다.
이러한 생수의 대부분은 비교적 오염이 덜 된 산(山) 또는 바다의 지하 암반층에서 뽑아 올린 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근래에 들어 급격하게 그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생수를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반 및 음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편으로 생수통이 개발되어 가정 및 상업시설 그리고 공공시설 등에 다양하게 공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생수통은 보편적으로 생수통의 개방구를 폐쇄하는 마개를 제거하고 온냉 기능을 가진 생수기의 상부에 거꾸로 반전시켜 세운 후 생수기의 투입구에 삽입한 상태로 사용하게 되어 있다.
이때 생수통을 거꾸로 세워서 생수기에 설치 시 생수통의 담겨 있는 생수가 생수통의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다량 유출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어 대부분의 사용자가 아예 생수통의 마개를 벗겨내지 않고 배달된 상태 그대로 생수기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생수기의 투입구에는 상기 마개를 파괴하는 파괴봉이 구비되어 있어, 투입구로 삽입된 생수통의 마개를 파괴하여 생수통에 담긴 생수가 생수기의 내부로 주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로써는 생수통의 마개가 파괴봉에 의해 파괴될 때 마개 조각들이 발생되고 생수기의 내부로 부유되어 인체에 흡수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을 음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개의 표면에 상업용잉크가 인쇄되어 있을 경우 및 외부 환경으로부터 오염되어 있을 경우 마개를 벗겨내지 않고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인체가 오염원을 음용하는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투입구의 내부에 위치된 생수통의 표면에 다수 잔존하는 이물질이 생수와 혼합되어 생수기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 및 회수가 가능함은 물론 생수기의 생수통을 교체할 때 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생수통의 표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생수기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생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된 생수통용 마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생수통용 마개에 기능성 충진재를 충진하여 생수로 미네랄이 용출되게 하거나 불순물 제거 기능을 하게 하여 생수의 기능성을 증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수통용 마개는 생수통의 개방구에 착탈되어 밀폐하는 생수통용 마개에 있어서, 저면 테두리에 상기 개방구가 삽입고정되는 고정요홈이 구비된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주입공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주입공은 차단벽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몸체의 외주면에는 생수통의 상면을 덮도록 된 덮개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에는 생수통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밀착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생수통의 개방구에 착탈되어 밀폐하는 생수통용 마개에 있어서, 저면 테두리에 상기 개방구가 삽입고정되는 고정요홈이 구비된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주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주입공의 내부에는 막음부재 결합부 및 탈착식 막음부재가 구비되고, 몸체의 내측에는 주입공과 연통된 다수의 통공을 가지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기능성 충진재가 충진되며, 상기 주입공은 통공형 차단판으로 차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용 마개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생수통용 마개는 생수통의 개방구에 착탈됨으로써 생수기의 생수통 교체시에 교체되는 생수통에 부착한 후 생수기의 투입구에 투입하도록 되어 있어, 생수통의 내부에 충수된 생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며, 상기 덮개가 생수통의 표면을 덮도록 되어 있어 생수통의 표면이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있더라도 생수기의 내부로 전염되지 않아 청정한 생수를 음용할 수 있어 위생적인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공간부 또는/및 충진형 탈착식 막음부재에 기능성 충진재를 충진함에 따라 생수와 기능성 충진재가 접촉하여 미네랄의 생성, 불순물 제거 등과 같은 정수 작용 등의 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식 막음부재로 구성함에 따라 생수통을 생수기에 결합하여도 탈착식 막음부재가 생수통 내부로 유입이 되지 않아 미관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기능성 충진재를 재생 및 교체할 수 있어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한 탈착식 막음부재를 다시 본 발명인 생수통용 마개에 재결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성을 현저히 높였다.
또한 본 발명은 주입공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어떠한 종류 및 크기의 파열부를 갖는 생수기에도 적용이 가능한 적용유연성을 현저히 높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생수통용 마개를 보인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의 생수통용 마개가 생수통에 부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의 생수통용 마개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수통용 마개를 보인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막음부재 및 막음부재 결합부로 구성한 경우의 생수통용 마개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막음부재, 막음부재 결합부 및 돌출부로 구성한 경우의 생수통용 마개 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충진형 탈착식 막음부재를 구성한 경우의 생수통용 마개 단면 예시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충진형 탈착식 막음부재 단면 예시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충진형 탈착식 막음부재를 구성한 경우의 주입공 내주벽의 통공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 단면 예시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충진형 탈착식 막음부재의 막음부에 통공이 형성된 경우의 상태 단면 예시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충진형 탈착식 막음부재의 구성시 주입공 내주벽에 통공이 형성된 경우의 상태 단면 예시도.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충진형 탈착식 막음부재의 구성시 막음부 및 주입공 내주벽에 통공이 형성된 경우의 상태 단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진형 탈착식 막음부재로 구성한 생수통용 마개를 생수기에 결합한 상태 단면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진형 탈착식 막음부재로 구성한 생수통용 마개를 생수기에 결합했을 경우의 생수의 흐름 상태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생수통용 마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생수통용 마개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의 생수통용 마개(1)는 생수통(2)의 개방구(3)에 착탈되어 상기 개방구(3)를 밀폐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생수통용 마개(1)는 상기 개방구(3)에 착탈되는 몸체(4)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몸체(4)의 저면 테두리에는 상기 개방구(3)가 삽입고정되는 고정요홈(5)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요홈(5)에 개방구(3)의 내외주면이 삽입고정됨으로써 개방구(3)가 밀폐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4)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주입공(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공(6)은 차단판(7)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즉 개방구(3)에 고정된 몸체(4)는 개방구(3)를 밀폐하여 생수통(2)의 내부에 충수 된 생수가 외부로 누수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개방구(3)는 몸체(4)가 밀폐하며, 상기 몸체(4)의 주입공(6)은 차단판(7)이 밀폐함으로써 생수통(2)의 내부가 밀폐된다.
또한 상기한 몸체(4)의 내측에는 일정한 크기를 가진 공간부(8)가 마련되고, 상기 공간부(8)는 몸체(4)의 상부 및 주입공(6)의 내주측과 연통되는 다수의 통공(9)을 가진다.
즉 상기 통공(9)을 통해 주입공(6)의 내주측과 몸체(4)의 상면이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8)에는 기능성 충진재(10)가 충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할 탈착식 막음부재와 막음부재 결합부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의 몸체의 상부는 통공이 형성되지 않아 액체의 유통을 방지한다. 즉 탈착식 막음부재와 막음부재 결합부가 구비된 경우에는 밀폐커버를 사용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몸체의 상부는 통공이 형성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충진재는 활성탄을 비롯하여 세라믹볼, 미네랄 함유 세라믹볼 등으로서 불순물 제거 또는/및 미네랄 등의 영양소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는 충진재를 의미한다.
따라서 미네랄이 함유된 활성탄, 세라믹볼 등을 충진재로 할 수 있으며 세라믹볼은 맥반석 세라믹볼, 산호사 세라믹볼, 칼슘 세라믹볼, 제오라이트 세라믹볼, 토르마린 세라믹볼 등의 기능성 세라믹볼을 포함하는 포괄적 의미의 세라믹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충진재의 예로서 다양한 기능성 세라믹볼에 대한 설명을 한다.
맥반석 세라믹볼은 원적외선 에너지를 풍부하게 방사함으로써, 물을 활성화시켜 물분자의 클러스터(물분자 집단)를 작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 맥반석 세라믹볼은 맥반석이 주원료로 하여 구성되어, 통과되는 물의 물분자 클러스터가 작아지므로 인체 내에서의 흡수가 빠르게 된다. 아래 표 1에는 그 가장 바람직한 성분구성이 나타나 있으며, 각 함량은 ±10% 범위 내에서 다소 적거나 많게 설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0074067582-pat00001
산호사 세라믹볼은 칼슘,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등 천연의 각종 미네랄을 용출시키고, 물속의 미네랄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천연 광천수와 같은 미네랄 밸런스를 유지시켜서 물맛을 좋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는 산호사(Coral Sand)를 주원료로 구성된다. 아래 표 2에는 그 가장 바람직한 성분구성이 나타나 있으며, 그 각 함량은 ±10% 범위 내에서 다소 적거나 많게 설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0074067582-pat00002
칼슘 세라믹볼은 칼슘 등을 용출하여 물의 pH를 조정함으로써 신체에 적합한 약알칼리성의 물로 만들어주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서, pH조정 세라믹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주로 산호사, 맥반석, 제오라이트, 혹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아래 표 3에는 가장 바람직한 성분구성이 나타나 있으며, 각 함량은 ±10% 범위 내에서 다소 적거나 많게 설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0074067582-pat00003
제오라이트 세라믹볼은 제오라이트와 화운석으로 된 볼에 은이 첨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첨착된 은으로부터 은이온(Ag + ) 등이 연속적으로 용출하게 되어 있다. 상기 은이온(Ag + )은 항균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필터 내부의 미생물 발생을 억제하며, 각종 냄새성분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생수통 내부에 저장되고 있는 물이 외부공기와의 접촉으로 세균오염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아래 표 4에는 그 가장 바람직한 성분구성이 나타나 있으며, 각 함량은 ±10% 범위 내에서 다소 적거나 많게 설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0074067582-pat00004
토르마린(Tourmaline) 세라믹볼은 토르마린, 제오라이트, 화운석을 주원료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미약전류를 발생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을 발생시키고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인체에 유익한 에너지를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래 표 5에는 그 가장 바람직한 성분구성이 나타나 있으며, 각 함량은 ±10% 범위 내에서 다소 적거나 많게 설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0074067582-pat00005
상기와 같은 세라믹볼에 대한 설명은 기능성 충진재의 예로서 설명하는 것일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차단판(7)은 상기 주입공(6)의 내주측에 형성된 통공(9)의 하부 즉 주입공의 끝 부분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몸체(4)가 생수통(2)의 개방구(3)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통공(9)들과 생수통(2)의 내부의 사이에 차단판(7)이 위치하여 생수통(2)의 생수가 통공(9)을 통해 배출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는 상기 차단판 대신에 통공이 형성된 통공형 차단판(70)으로 대체하여 하기할 탈착식 막음부재(100)를 사용할 경우 생수 등의 액체가 세라믹 등의 충진재가 충진된 공간부로 유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통공형 차단판을 사용할 경우 생수통을 생수기에 결합할 때 생수기에 장착된 파괴봉이 탈착식 막음부재로 힘이 가해져서 탈착식 막음부재가 탈리되더라도 탈착식 막음부재가 생수통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탈착식 막음부재의 생수통 내부 유입 방지 기능으로 탈리된 탈착식 막음부재가 생수통 내부에서 유영하는 것을 방지하게 됨에 따라 생수통의 미관상의 문제 및 소비자의 위생상의 불안감을 해소하게 된다.
이와 같은 통공형 차단판의 재질은 다양하게 채용할 수 있으나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의 고분자 화합물로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7 에서 보는 것처럼 생수기에 장착된 파괴봉의 어떤 크기의 길이에도 다 적용이 가능하도록 상기한 주입공이 외부로 더 돌출되어 돌출부(2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돌출부는 생수기에 장착된 파괴봉의 길이가 긴 경우에도 탈착식 막음부재를 생수통 내부로 이탈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 돌출부는 상기한 차단판을 대체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통공이 없는 경우 모두 다 가능하다. 다만 통공이 없는 경우는 상기한 공간부의 상부(80)가 통공형으로 되어 있어 야 생수통에서 생수가 공간부를 통하여 주입공으로 유입이 가능하게 된다.
만약 돌출부가 통공이 형성된 통공형 돌출부인 경우는 생수통에서 생수가 돌출부의 통공을 통하여 유입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한 공간부의 상부가 통공이 형성되든 형성이 되지 않든 무방하다.
상기한 몸체(4)의 상면에는 상기 주입공(6)을 밀폐하는 밀폐커버(11)가 착탈가능하게 접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평상시에는 상기 몸체(4)의 통공(9) 및 주입공(6)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어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큰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밀폐커버를 사용하지 않고 주입공 내부에 막음부재 결합부(110)와 탈착식 막음부재(100)로 구성하여 간편하고 편리한 밀폐기능 및 생수통을 생수기에 결합할 때 편리성을 높인 점을 들 수 있다.
상기의 밀폐커버를 사용하는 경우 생수통을 생수기에 결합할 때 밀폐커버를 떼 내어 생수기에 생수통을 결합함에 따라 물이 흘리거나 쏟아지는 불편함이 있거나, 밀폐커버를 떼지 않고 생수기에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밀폐커버가 그냥 붙어 있어 위생적인 문제점이 발생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주입공 내부에 막음부재 결합부와 탈착식 막음부재를 구성하게 되면 상기한 문제점은 깨끗이 해결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입공 내부에 막음부재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막음부재 결합부에 탈착식 막음부재가 결합되어 액체(생수, 물 등)의 누수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 예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입공 내부에 막음부재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막음부재 결합부에 꼭 맞아서 끼워지는 탈차긱 막음부재로 차단을 하게 된다. 다만 도 6은 탈착식 막음부재에 대한 하나의 예시이므로 본 발명의 내용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의 탈착식 막음부재는 구멍을 막아서 액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차단 기능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 된다. 또한 재질에 있어서도 어떠한 재질이든 모두 가능하며 다만 바람직하게는 나무 또는 고무,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의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며 약간의 탄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좋다.
막음부재 결합부는 탈착식 막음부재가 끼워져서 어떤 공간을 밀폐를 할 수 있는 형태 또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 하나의 예로 용기의 입구 모양의 형태를 가진 관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능성 충진재가 충진되는 공간부와 주입공 사이(이것을 주입공 내주벽이라 칭한다)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막음부재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막음부재 결합부는 통공이 없으므로 주입공 내주벽의 통공을 막는 가능을 수행한다.
또한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충진재가 충진되는 공간부의 앞쪽(즉, 밀폐커버를 사용할 경우 밀폐커버가 부착되는 부분)은 밀폐커버가 이용되지 않으므로 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막음부재 결합부와 탈착식 막음부재의 구성으로 이미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수통을 생수기에 결합할 때 생수기에 장착된 파괴봉이 탈착식 막음부재로 힘이 가해져서 탈착식 막음부재를 탈리시키더라도 탈착식 막음부재는 상기한 차단판에 의해 주입공에 머무르게 되고 생수통 내부로 유입이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이 주입공에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어서 어떠한 크기의 생수기 파괴봉을 사용하더라도 탈착식 막음부재는 이 돌출부에 의해 생수통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탈착식 막음부재에 또 다른 특별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탈착식 막음부재는 기능성 충진재를 충진할 수 있는 충진재공간부가 부가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충진형 탈착식 막음부재가 된 것이 특별한 기술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진형 탈착식 막음부재(300)는 도 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막음부(310), 충진재공간부(320) 그리고 칸막이(33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충진형 탈착식 막음부재를 사용하는 경우는 앞서 설명한 차단판이나 돌출부의 구성은 필요 없게 된다.
막음부의 기능은 막음부가 생수통 마개의 주입공의 내주벽과 접촉하여 생수통을 뒤집어도 생수통 내의 생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막음부는 도 9a에서처럼 통공이 형성된 통공부분(311)과 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비통공부분(3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주입공의 내주벽(60)은 도 9b에서처럼 통공이 형성된 통공부분(61)과 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비통공부분(62)으로 구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도 12에서처럼 막음부와 주입공의 내주벽 모두 통공이 형성된 통공부분과 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비통공부분으로 구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충진재공간부가 있는 충진형 탈착식 막음부재가 생수통에 결합되어 있을 때는 도 10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막음부의 통공부분이 주입공의 비통공부분과 겹쳐지고 막음부의 비통공부분은 주입공 내주벽의 비통공부분과 겹쳐져서 생수통이 뒤집어져도 생수통의 액체가 유출되지 않는 구성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도 10a나 도 10b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막음부나 주입공 내주벽 중 하나에 통공부분이 형성된 경우에는 막음부나 주입공 내주벽의 통공부분이 이에 대응 접촉하는 막음부나 주입공의 비통공부분과 접촉되어 밀폐되므로 생수통의 액체가 유출되지 않는 구성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생수통이 생수기에 결합되는 경우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수기의 파괴봉이 탈착식 막음부재를 이동시키면 막음부의 통공부분과 주입공의 통공부분이 겹쳐지게 되어 이 겹쳐진 통공을 통하여 생수통의 액체가 유출이 되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또는 도 10a의 경우처럼 막음부에만 통공부분이 있는 경우는 탈착식 막음부재가 이동되면 막음부의 통공부분이 생수통의 생수에 노출되어 액체가 이 통공부분으로 통과가 가능하게 된다.
또는 도 10b의 경우처럼 주입공의 내주벽에만 통공부분이 있는 경우는 탈착식 막음부재가 이동되면 주입공의 내주벽의 통공부분이 주입공에 연결되므로 이 통공부분으로 생수통의 액체가 유출되도록 하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효과로 충진재공간부에 충진된 기능성 충진재를 통과한 생수가 유출되므로 기능성 충진재의 성분인 미네랄이 용출되어 나오거나 활성탄, 세라믹볼 등에 의하여 기능 처리된 생수를 음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충진재공간부는 상기한 기능성 충진재가 충진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그리고 충진재 공간부에 충진된 기능성 충진재와 생수와의 접촉을 위하여 충진재 공간부의 외벽은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충진재 공간부와 막음부 사이의 칸막이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생수의 통과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충진형 탈착식 막음부재는 충진재공간부에 기능성 충진재가 충진되므로 앞서 설명한 공간부에 충진재를 충진하는 경우와 충진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만약 공간부에 충진재를 충진하는 구성을 취한다면 이 공간부의 상부는 통공형 또는 비통공형으로 할 수도 있다.
공간부의 상부가 통공형인 경우는 주입공 내주벽도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그래야 공간부의 상부 통공을 통하여 생수의 통과가 가능하여 충진재와 접촉이 가능하고 주입공 내주벽 통공을 통하여도 주입공으로 생수가 유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공간부의 상부가 비통공형인 경우는 주입공의 내주벽이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가 되어야 주입공의 내주벽을 통하여 생수가 통과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공간부의 충진재와 생수가 접촉하여 유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몸체(4)의 외주면에는 생수통(2)의 상면을 덮도록 된 덮개(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12)에는 생수통(2)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밀착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밀착부재는 덮개(12)의 하단 내측에 구비된 접착테이프(13)로 이루어지거나,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2)의 하단 외측에 구비된 탄성링(13)으로 이루어지는 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덮개(12)의 밀착력과 위생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탄성링(13)은 상기 덮개(12)의 상단 외축에 이루어지거나 상기 덮개(12)의 하단 및 상단 내축에 매설되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덮개(12)가 생수통(2)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된 상태를 확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생수통용 마개(1)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생수통(2)의 개방구(3)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이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생수통(2)의 개방구(3)에서 기존의 커버를 제거한 후 본 실시예의 마개(1)를 부착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마개(1)는 생수기(15)의 주변에 마련된 보관함에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마개(1)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요홈(5)에 상기 생수통(2)의 개방구(3)가 삽입되게 하여 고정하면 된다.
상기에서 고정요홈(5)의 형상은 개방구(3)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밀착성을 높이는 데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한 덮개(12)를 이용하여 생수통(2)의 상부 외주면을 덮은 후 밀착부재를 이용하여 생수통(2)의 외주면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몸체(4) 및 덮개(12)가 개방구(3) 및 생수통(2)의 외주면에 고정되면,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커버(11)를 몸체(4)에서 떼어내어 제거하고,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생수통(2)을 상하로 반전시킨 후, 생수기(15)의 투입구(16)에 투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탈착식 막음부재를 이용한 경우는 밀폐커버가 필요 없으므로 상기한 밀폐커버 제거과정 없이 생수기의 투입구에 생수통을 상하로 반전시킨 후 투입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투입구(16)에 생수통(2)의 개방구(3)가 투입될 때, 투입구(16)에 마련된 파괴봉(17)이 상기 몸체(4)의 차단판(7)을 파괴하여 주입공(6)을 개방함으로써 생수통(2)의 내부와 주입공(6)을 연통시키게 된다.
즉 생수통(6)의 내부에 충수 된 생수가 주입공(6)으로 자유 낙하되어 배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탈착식 막음부재를 사용할 경우는 탈착식 막음부재가 파괴봉에 의해 이탈되므로 차단판을 파괴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 탈착식 막음부재는 주입공 또는 주입공의 돌출부에 남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주입공(6)으로 유입된 생수는 주입공(6)의 내주벽에 형성된 통공(9)을 통해 공간부(8)로 유입된 후 상면에 형성된 통공(9)을 통해 투입구(16)의 내부로 투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탈착식 막음부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공간부의 상면은 통공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생수는 주입공을 통하여 투입구의 내부로 투입된다.
이때 상기 공간부(8)상에서 기능성 충재재(10)와 생수가 접촉되어 기능성 충진재에 함유된 미네랄성분이 용해되어 생수가 미네랄이 함유된 상태로 투입구에 투입되어 사용자가 음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생수기(15)의 투입구(16)에 생수통(3)의 내외주면이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몸체(4) 및 덮개(12)에 의해 차폐되도록 되어 있어, 생수통(2)의 외주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투입구(16)로 유출되지 않아 사용자가 항상 청결한 생수를 음용할 수 있어 위생적이다.
그리고 사용이 완료된 생수통(2)에서 본 실시예의 마개(1)를 회수한 후 별도로 구비되는 일회용 차단판을 재부착하면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경제적이면서 불필요한 쓰레기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탈착식 막음부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탈착식 막음부재를 회수하여 본 발명인 기능성 생수통용 마개에 재결합하면 재사용이 가능해져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충진재는 재생이 가능하므로 성능이 떨어졌을 경우에는 재생을 하거나 교체를 하여 사용함으로서 반영구적인 기능성 생수통용 마개로 사용이 가능하다.
1 : 마개 2 : 생수통
3 : 개방구 4 : 몸체
5 : 고정요홈 6 : 주입공
7 : 차단판 8 : 공간부
9 : 통공 10 : 기능성 충진재
11 : 밀폐커버 12 : 덮개
13 : 접착테이프 14 : 탄성링
15 : 생수기 16 : 투입구
17 : 파괴봉 70 : 통공형 차단판
80 : 공간부의 상부 100 : 탈착식 막음부재
110 : 막음부재 결합부 200 : 돌출부
300 : 충진형 탈착식 막음부재 310 : 막음부
320 : 충진재 공간부 330 : 칸막이
311 : 막음부 통공부분 312 : 막음부 비통공부분
60 : 주입공 내주벽 61 : 주입공 내주벽 통공부분
62 : 주입공 내주벽 비통공부분

Claims (4)

  1. 생수통(2)의 개방구(3)에 착탈되어 밀폐하는 생수통용 마개(1)에 있어서,
    상기 생수통의 개방구(3)에 삽입고정되는 고정요홈(5)이 구비된 몸체(4)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주입공(6)이 형성되어 있고,
    주입공의 내부에는 막음부재 결합부(110) 및 탈착식 막음부재(100)가 구비되고,
    상기 탈착식 막음부재는 막음부(310), 충진재 공간부(320) 및 칸막이(330)가 형성되어 있는 충진형 탈착식 막음부재(300)로 이루어지고,
    몸체의 내측에는 주입공(6)의 내주측과 연통되는 다수의 통공을 가지는 공간부(8)가 마련되고,
    상기 충진재 공간부(320) 및 공간부(8)에는 기능성 충진재(10)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용 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공의 내주벽(60)은 통공부분(61)과 비통공부분(62)으로 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용 마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부(310)는 통공부분(311)과 비통공부분(312)으로 구분되어 있고,
    충진형 탈착식 막음부재(300)가 이동되면 상기 막음부 통공부분 또는 주입공 내주벽 통공부분으로 액체의 통과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용 마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능성 충진재는 활성탄 또는 세라믹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용 마개.
KR1020100112810A 2010-11-12 2010-11-12 기능성 생수통용 마개 KR101227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810A KR101227253B1 (ko) 2010-11-12 2010-11-12 기능성 생수통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810A KR101227253B1 (ko) 2010-11-12 2010-11-12 기능성 생수통용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393A KR20120051393A (ko) 2012-05-22
KR101227253B1 true KR101227253B1 (ko) 2013-01-28

Family

ID=46268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810A KR101227253B1 (ko) 2010-11-12 2010-11-12 기능성 생수통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2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395A (ko) * 2001-06-29 2003-01-09 곽한붕 생수용기의 낙수방지 마개
KR200328358Y1 (ko) * 2003-06-17 2003-09-29 배준식 생수통 위생 마개
KR20090060516A (ko) * 2007-12-10 2009-06-15 백석균 생수통용 항균볼 저장용기의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395A (ko) * 2001-06-29 2003-01-09 곽한붕 생수용기의 낙수방지 마개
KR200328358Y1 (ko) * 2003-06-17 2003-09-29 배준식 생수통 위생 마개
KR20090060516A (ko) * 2007-12-10 2009-06-15 백석균 생수통용 항균볼 저장용기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393A (ko) 201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1316B2 (ja) 機能水生成装置
JP2004243151A (ja) 水素溶存水製造具
JP5068607B2 (ja) 飲料用容器
WO2011037605A3 (en) Water bottle with filter
JP4526181B2 (ja) 空ペットボトル用浄水カートリッジ
WO2015023210A1 (ru) Фильтрующий модуль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варианты)
CN204146778U (zh) 一种水杯
BRPI0720544A2 (pt) Garrafa plástica multiuso fabricada em peça única
US20150014252A1 (en) Water bottle coupled with filtration device
KR101227253B1 (ko) 기능성 생수통용 마개
KR20140059465A (ko) 물통팩의 생수주입을 위한 밸브 및 그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
TW201827112A (zh) 攜帶式過濾水容器
KR20100001554U (ko) 생수통 위생마개
EP2083068A1 (en) Device for treating and purifying a liquid product
EP2130786A1 (en) Device for treating and purifying a liquid product
KR20110013795A (ko) 생수통용 마개
CN202618750U (zh) 带净化装置的运动水壶
KR101836764B1 (ko)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
KR101014034B1 (ko) 기능성 물질을 알칼리수로 우려낼 수 있는 음료용기
JPH1177026A (ja) ボトル容器に取り付けて使用する貯水型浄水器
KR101440199B1 (ko) 휴대용 정수기
KR101789549B1 (ko)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KR20210152281A (ko) 샤워기용 연수기
JP5987313B2 (ja) 浄水器
CN203728678U (zh) 陶瓷饮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