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281A - 샤워기용 연수기 - Google Patents

샤워기용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281A
KR20210152281A KR1020200069183A KR20200069183A KR20210152281A KR 20210152281 A KR20210152281 A KR 20210152281A KR 1020200069183 A KR1020200069183 A KR 1020200069183A KR 20200069183 A KR20200069183 A KR 20200069183A KR 20210152281 A KR20210152281 A KR 20210152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el composition
cap
show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표
Original Assignee
엠와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와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와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9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2281A/ko
Priority to CN202080003212.9A priority patent/CN114096321A/zh
Priority to PCT/KR2020/010473 priority patent/WO2021251547A1/ko
Priority to JP2020569889A priority patent/JP2022541080A/ja
Priority to US17/113,727 priority patent/US20210380447A1/en
Publication of KR20210152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2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1Accessories for showers or bathing douches, e.g. cleaning devices for walls or floors of sh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샤워용 연수기는 내부에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 유도체 100 중량부, 소금 100 중량부, 잔탄검 3 ~ 13 중량부를 포함하는 연수용 겔 조성물을 포함하여, 용수에 녹아 있는 염소를 제거함과 도이에 피부에 천연미네랄을 제공하여 피부미용에 도움을 주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샤워기용 연수기 {Water softner for shower}
본 발명은 물공급장치로부터 전달된 용수를 필터링하고 연수하여 샤워기 헤드로 전달하는 샤워기용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세안 및 목욕용수로 이용되는 물은 용수이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용수은 정수처리 시설에서 염소성분을 투입하여 소독하고 있으며, 이렇게 소독된 원수는 염소가 잔류한 상태로 가정에 공급된다.
원수 내에 용해된 잔류 염소는 민감한 피부와 반응하여 각종 피부 트러블을 야기하거나 발암물질의 발생 원인이 되기도 한다.
용수에 용해된 잔류 염소를 제거하기 위해 가정에서는 연수기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연수기는 양이온 교환수지와 필터로 경수를 걸러 용수에 포함된 염소, 칼슘, 마그네슘 등을 제거하여 연수로 만든다.
양이온 교환수지에는 염화나트륨이 고농도로 포함되어 있다. 상기 양이온 수지에 칼슘이나 마그네슘 등의 양이온이 포함된 경수를 통과시키면 이온 교환을 통해 경도 성분은 나트륨과 자리를 바꾸어 수지에 흡착되고 물에는 나트륨이 빠져 나와 연수가 된다.
그러나, 기존의 연수기에 포함된 양이온 교환수지는 고가이면서 사용수명이 짧고 잔류염소 제거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609040000 (2004.08.25 등록) 연수샤워기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수명의 샤워용 연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비용의 샤워용 연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미용에 도움을 주는 샤워용 연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수용 겔 조성물은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 유도체 100 중량부, 소금 100 중량부, 잔탄검 3 ~ 1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수용 겔 조성물은 메틸셀룰로오즈 3 ~ 13 중량부, 덱스트린 3 ~ 13 중량부, 옥수수전분 3 ~ 13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수용 겔 조성물은 꾸지뽕추출물, 녹차추출물, 병풍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와 분말우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용 연수기는 필터부재와 연수용 겔 조성물이 충진된 충진부를 수납하는 연수기 본체, 상기 연수기 본체의 제1 위치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용수를 전달받는 급수구를 갖는 급수캡, 상기 연수기 본체의 제2 위치에 결합하며, 필터링되고 연수된 용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수구를 갖는 출수캡,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충진부 하단과 상기 급수캡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급수캡을 통해 공급된 용수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부는 상기 연수용 겔 조성물이 충진되고 상부가 개방된 충진 하우징 및 상기 개방된 충진 하우징의 상부를 덮고, 상기 충진 하우징에 충진된 상기 연수용 겔 조성물 중 일부가 방출되는 방출홀이 형성된 충진 하우징 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에서 필터링된 용수는 상기 출수캡 내부에서 상기 연수용 겔 조성물과 혼합되어 상기 샤워기 헤드 또는 샤워기용 호스로 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샤워기용 연수기는 용수에 녹아 있는 염소를 제거함과 동시에 피부에 천연미네랄을 제공하여 피부미용에 도움을 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샤워기용 연수기는 소형이며 사용수명이 긴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샤워기용 연수기는 샤워기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샤워기용 연수기의 외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샤워기용 연수기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샤워기용 연수기의 내부에서 물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샤워기 헤드와 샤워기용 호스 사이에 본 발명의 샤워기용 연수기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수전과 샤워기용 호스 사이에 본 발명의 샤워기용 연수기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수라 함은 물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모든 물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용수는 지하수, 수돗물, 해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수용 겔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용 겔 조성물은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 유도체, 소금, 잔탄검, 메틸셀룰로오즈, 덱스트린, 옥수수전분, 기능성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용 겔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제조될 수 있다.
(1)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 유도체 100 중량부, 소금 1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100~120 리터에 혼합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C 30~40kg, 소금 30~40kg을 100~120 리터 물에 혼합하여 비타민-소금 혼합 용액을 제조한다.
(2) 점도유지 성분을 제조한다. 상기 점도유지 성분은 잔탄검 3 ~ 13 중량부, 메틸셀룰로오즈 3 ~ 13 중량부, 덱스트린 3 ~ 13 중량부, 옥수수전분 3 ~ 13 중량부를 물에 혼합하여 제조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점도유지 성분은 잔탄검 1-5Kg와 물 10-20리터를 믹서를 이용하여 약 30분간 혼합한다. 이후, 메틸셀룰로오즈 1-5Kg와 물 10-20리터를 추가한 후 다시 믹서를 이용하여 30분간 혼합한다. 이후 덱스트린 1-5Kg과 옥수수 전분 1-5Kg을 추가하고 물 5-10리터를 추가하여 적정한 점도가 나오도록 믹서로 혼합한다.
(3) 상기 비타민-소금 혼합 용액에 상기 점도유지 성분을 추가하여,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 유도체와 소금이 물에 천천히 녹으며 최종적으로 비타민과 소금이 혼합된 형태의 겔 성분이 되도록 한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피부에 이로운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연수용 겔 조성물에는 꾸지뽕추출물, 녹차추출물, 병풍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와 분말우유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된 연수용 겔 조성물은 온도조절이 가능한 탱크로 이송된다. 탱크의 충진기를 이용하여 연수용 겔 조성물을 후술할 충진부(140)에 충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진기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충진 시 충진기 내부 온도를 40~70도로 유지하여 연수용 겔 조성물의 점도를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연수용 겔 조성물에 포함된 비타민 C는 전체 연수용 겔 조성물의 질량에서 35-45%를 차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수용 겔 조성물에 포함된 소금은 수돗물에 녹아 있는 염소를 제거함과 동시에 소금에 녹아 있는 천연 미네랄이 샤워 시 피부에 공급되어 피부 미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수용 겔 조성물은 샤워시 피부로 비타민 C와 함께 미네랄을 공급할 수 있어 기존의 비타민 C만 함유했던 샤워용 연수기에 비해 피부 미용에 더 적합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금은 염화나트륨 이외의 미네랄이 풍부한 핑크소금, 사해소금, 유황함유 소금(블랙소금)을 이용하여 기존의 양이온 교환수지에 함유되었던 단순 염화나트륨보다 피부미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샤워기용 연수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용 연수기(100)는 연수기 본체(110), 급수캡(120), 출수캡(130), 충진부(140), 필터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1) 연수기 본체(110)
상기 연수기 본체(110)는 내부에 상기 충진부(140)와 필터부재(150)를 수납한다.
상기 연수기 본체(110)와 충진부(140)는 일종의 용기로 충진 하우징(141) 내부에 연수용 겔 조성물이 충진된다.
상기 연수기 본체(110)는 출수면과 급수면이 모두 개방된 중공형태이다. 예컨대, 상기 연수기 본체(110)는 상면과 하면이 모두 개방되며,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용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수기 본체(110)는 상면과 하면이 모두 개방된 원통일 수 있다.
상기 출수면이라 함은 연수된 용수가 출수되는 쪽의 면을 지칭하며, 급수면이라 함은 이물질과 중금속이 포함된 용수가 급수되는 쪽의 면을 지칭한다.
중공 형상의 연수기 본체(110) 내부에 필터부재(150), 충진부(140)가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급수면 상부에 필터부재(150)가 배치되고, 상기 필터부재 상부에 충진부(140)가 배치된다. 출수면 - 충진부(140) - 필터부재(150) 순으로 배치된다.
(2) 급수캡(120)
상기 연수기 본체(110)의 개방된 급수면에는 상기 급수면을 덮고, 상기 급수면의 적어도 일부를 밀폐하는 급수캡(120)이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면은 이물질과 중금속이 포함된 용수가 급수되는 면으로 상기 급수캡(120)은 외부로부터 용수를 전달받아 연수기 본체(110) 내부로 전달하는 기능과 급수면을 덮어 상기 급수면의 적어도 일부를 밀폐하는 기능을 겸한다.
상기 급수캡(120)에는 외부로부터 용수를 전달받기 위한 급수구(121)가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급수구(121)는 샤워기용 호스(30)와 결합되어, 샤워기용 호스(30)로부터 용수를 전달받아 상기 연수기 본체(110)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급수구(121)는 수전(20)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전(20)로부터 용수를 전달받아 상기 연수기 본체(110)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급수캡(120)에서 상기 연수기 본체(110)와 만나는 쪽의 단면은 상기 연수기 본체(11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이면서, 상기 연수기 본체(110)의 단면의 넓이보다 커 상기 급수캡(120)의 내면에 연수기 본체(110) 외면이 접한다.
상기 급수캡(120)은 고속융착, 접착, 열융착 등을 통해 연수기 본체(110)에 고정된다.
(3) 필터부재(150)
상기 필터부재(150)는 충진부(140) 하부와 급수면 상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구(121)를 통해 유입된 용수에는 각종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50)는 유입된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부재(150)에서 필터링된 용수는 충진 하우징(141)과 충진 하우징 캡캡(142)의 외면을 따라서 출수캡(130) 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필터링된 용수는 충진부(140)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에는 충진부(140)에 충진된 연수용 겔 조성물과 섞이지 않는다.
(4) 충진부(140)
상기 충진부(140)는 충진 하우징(141)와 충진 하우징 캡(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 하우징(141)는 하면이 밀폐되고 상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연수용 겔 조성물이 충진되는 일종의 용기이다. 상기 연수기 본체(11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이면서, 상기 연수기 본체(110)의 단면의 넓이보다 작아 연수기 본체(11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충진 하우징(141)는 연수용 겔 조성물이 외부로 방출될 수 없는 재질로 바람직하게는 PET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충진 하우징 캡(142)은 충진 하우징(14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충진 하우징(141)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어 밀폐함과 동시에 충진 하우징(141)에 충진된 연수용 겔 조성물 중 일부를 방출시킬 수 있다.
상기 충진 하우징 캡(142)엔 직경 0.02~0.1mm 정도의 방출홀(142a)이 형성되어 충진 하우징(141) 내부에 충진된 연수용 겔 조성물이 매우 느리게 방출되도록 하여 기존의 샤워기용 연수기보다 사용기간이 길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충진 하우징 캡(142)의 외면에는 다수의 돌기(142)가 형성되어 충진부(140)가 연수기 본체(110)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수기 본체(110) 내부에 필터부재(150)를 먼저 삽입하고, 그 다음에 연수용 겔 조성물이 충진된 충진 하우징(141)을 삽입한 이후 충진 하우징(141)의 개방된 상부에 충진 하우징 캡(142)을 고정시켜, 충진부(140)가 연수기 본체(110) 내부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예로 상기 충진 하우징(141) 상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충진 하우징 캡(142) 내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충진 하우징(141)와 충진 하우징 캡(142)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상기 충진 하우징(141) 상부의 외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충진 하우징 캡(142)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충진 하우징(141)와 충진 하우징 캡(142)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로 상기 충진 하우징(141)와 충진 하우징 캡(142)은 열융착, 고속융착 등의 융착 과정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3 실시예로 상기 충진 하우징(141)와 충진 하우징 캡(142)은 접착제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5) 출수캡(130)
상기 연수기 본체(110)의 개방된 출수면에는 상기 출수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밀폐하는 출수캡(130)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캡(130)에는 출수구(131)가 형성되어 필터링되고 연수된 용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출수구(131)는 샤워헤드(10)와 연결되어, 연수기 본체(110) 내부에서 필터링되고 연수된 용수를 상기 샤워헤드(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출수구(131)는 샤워헤드(10)로 용수를 공급하는 샤워기용 호스(20)와 결합되어, 연수기 본체(110) 내부에서 필터링되고 연수된 용수를 상기 샤워헤드(1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출수캡(130)의 일부 면은 상기 연수기 본체(11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이면서, 상기 연수기 본체(110)의 단면의 넓이보다 커 상기 출수캡(130)의 내면에 연수기 본체(110) 외면이 접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부재(150)에서 필터링된 용수는 불투습성 재질의 충진 하우징(141)과 충진 하우징 캡(142)의 외면을 따라서 상기 출수캡(130) 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충진 하우징(141)에 충진된 연수용 겔 조성물은 역시 충진 하우징 캡(142)에 형성된 미세한 구멍인 방출홀(142a)을 통해 방출되어 출수캡(130) 쪽으로 이동되며 출수캡(130) 내부에서 필터링된 용수와 혼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출수캡(130) 내부에서 필터링되고 연수된 용수는 출수구(131)를 통해 샤워기 헤드(10) 쪽으로 방출된다.
상기 출수캡(130)은 고속융착, 접착, 열융착 등을 통해 연수기 본체(11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연수기 본체(110), 급수캡(120), 출수캡(130), 충진 하우징(141)은 불투습성의 재질로 바람직하게는 PET 재질일 수 있다.

Claims (6)

  1.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 유도체 100 중량부, 소금 100 중량부, 잔탄검 3 ~ 13 중량부를 포함하는 연수용 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용 겔 조성물은
    메틸셀룰로오즈 3 ~ 13 중량부, 덱스트린 3 ~ 13 중량부, 옥수수전분 3 ~ 13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연수용 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용 겔 조성물은 꾸지뽕추출물, 녹차추출물, 병풍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와 분말우유를 더 포함하는 연수용 겔 조성물.
  4. 필터부재(150)와 연수용 겔 조성물이 충진된 충진부(140)를 수납하는 연수기 본체(110);
    상기 연수기 본체(110)의 제1 위치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용수를 전달받는 급수구(121)를 갖는 급수캡(120);
    상기 연수기 본체(110)의 제2 위치에 결합하며, 필터링되고 연수된 용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수구(131)를 갖는 출수캡(130);을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재(150)는 상기 충진부(140) 하단과 상기 급수캡(12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급수캡(120)을 통해 공급된 용수를 필터링하고,
    상기 충진부(140)는
    상기 연수용 겔 조성물이 충진되고 상부가 개방된 충진 하우징(141) 및 상기 개방된 충진 하우징(141)의 상부를 덮고, 상기 충진 하우징(141)에 충진된 상기 연수용 겔 조성물 중 일부가 방출되는 방출홀(142a)이 형성된 충진 하우징 캡(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용 연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150)에서 필터링된 용수는 상기 출수캡(130) 내부에서 상기 연수용 겔 조성물과 혼합되어 상기 샤워기 헤드(10) 또는 샤워기용 호스(30)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용 연수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용 겔 조성물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의 연수용 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용 연수기.
KR1020200069183A 2020-06-08 2020-06-08 샤워기용 연수기 KR2021015228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183A KR20210152281A (ko) 2020-06-08 2020-06-08 샤워기용 연수기
CN202080003212.9A CN114096321A (zh) 2020-06-08 2020-08-07 淋浴器过滤器
PCT/KR2020/010473 WO2021251547A1 (ko) 2020-06-08 2020-08-07 샤워기용 필터
JP2020569889A JP2022541080A (ja) 2020-06-08 2020-08-07 シャワー器用フィルタ
US17/113,727 US20210380447A1 (en) 2020-06-08 2020-12-07 Shower fi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183A KR20210152281A (ko) 2020-06-08 2020-06-08 샤워기용 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281A true KR20210152281A (ko) 2021-12-15

Family

ID=78846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183A KR20210152281A (ko) 2020-06-08 2020-06-08 샤워기용 연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52281A (ko)
WO (1) WO202125154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904Y1 (ko) 2004-06-21 2004-09-07 앨트웰텍 주식회사 연수샤워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27474B (en) * 2001-04-06 2010-07-21 Neochemir Inc Kit for preparation of carbon dioxide agent for external use.
JP2003210348A (ja) * 2001-11-13 2003-07-29 Yukio Iijima 浄水器付シャワー器具
KR20090119417A (ko) * 2008-05-16 2009-11-19 신아에이티(주)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구조와 그 제조방법
KR20150066228A (ko) * 2013-12-06 2015-06-16 (주)범안에코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방법
KR101917566B1 (ko) * 2018-03-28 2018-11-09 주식회사 굿웰코퍼레이션 수처리 필터용 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904Y1 (ko) 2004-06-21 2004-09-07 앨트웰텍 주식회사 연수샤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1547A1 (ko)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541080A (ja) シャワー器用フィルタ
EP2133413A1 (en) Device for treating and purifying a liquid product
KR20210152281A (ko) 샤워기용 연수기
JP2989150B2 (ja) 肌用水調製器
CN102462560A (zh) 洗牙装置及洗牙方法
US2067328A (en) Liquid treating means
CN201437438U (zh) 可添加第二种物料的饮料容器
CN211797705U (zh) 取液装置及具有该取液装置的药瓶组件
EP2130786A1 (en) Device for treating and purifying a liquid product
KR100793984B1 (ko) 기능성 복합수 샤워 시스템
KR20150000611U (ko) 탄산 가스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KR20050045492A (ko) 음용 또는 미용 목적의 기능성 필터 카트리지
US3838516A (en) Water supply system for dental instruments
CN211310992U (zh) 一种密封可更换式管道用药盒连接装置
CA2309407A1 (en) Lawn fertilizing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body which has two separate water outlets defined therein
KR100536638B1 (ko) 필터형 카트리지 및 수처리 방법
CN208199702U (zh) 一种滤料投放装置
RU2525761C2 (ru) Устройство с наполнителем для укупоривания бутылки и обработки находящего в ней жидкого продукта
KR20180057848A (ko) 비타민필터 조성물 및 제조방법 및 필터
EP0353207A3 (en) A device for supplying a disinfectant and/or cleansing fluid automatically and continuously to the water outlets of dental surgery apparatus
KR101227253B1 (ko) 기능성 생수통용 마개
CN220827279U (zh) 一种微酸性溶液发生器
KR200325992Y1 (ko) 여과체가 구비된 샤워기 헤드
KR200468342Y1 (ko) 이종의 화장액 공급장치
KR102231036B1 (ko) 세드멘트필터와 노니 추출물 함유 기능성분이 내장된 카트리지가 결합된 정수필터를 내장한 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