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764B1 -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 - Google Patents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764B1
KR101836764B1 KR1020170029521A KR20170029521A KR101836764B1 KR 101836764 B1 KR101836764 B1 KR 101836764B1 KR 1020170029521 A KR1020170029521 A KR 1020170029521A KR 20170029521 A KR20170029521 A KR 20170029521A KR 101836764 B1 KR101836764 B1 KR 101836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gnet
functional
water bott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병욱
Original Assignee
지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병욱 filed Critical 지병욱
Priority to KR1020170029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병의 내부에 기능성 부재들이 채워진 다수의 기능수 생성 조형체를 수직으로 적층함으로써 기능수 생성 조형체의 개수의 조절을 통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기능수의 생성 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수 생성 물병에 관한 것으로, 내부의 상,하부가 개방된 물병과; 상기 물병의 상부에 개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캡과; 상기 물병의 하부에 개방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판의 상면 중앙에는 둘레가 원형인 돌출부가 형성되는 하부캡과; 상기 돌출부의 외주연에 삽입 장착되고 상부에는 부착 자석부가 구비되는 하부 고정체와, 상기 하부 자석부의 상부에 자력에 의해 수직으로 적충 부착되고 각각의 내부에는 수직 자석부가 구비되며 각각의 내부에는 기능성 부재들이 채워진 다수의 기능수 생성 조형체로 이루어진 복합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Functional water bottle with composite filter}
본 발명은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고정체 및 기능수 생성 조형체로 된 복합필터를 구비하여 물병의 내부에 기능성 부재들이 채워진 다수의 기능수 생성 조형체를 자력을 통해 하부 고정체에 수직으로 적층함으로써 물병의 미관은 물론 자화수 및 수소수 등 다양한 기능수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기능수 생성 조형체의 개수의 조절을 통해 기능수의 생성 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지하수, 강물, 호수, 하천 및 바다가 오염되면서 음용수의 수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으며,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 정수기를 설치하거나 생수를 구입하여 음용수로 사용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시판 생수의 경우에도 세균이나 환경오염에 안전하다 할 수 없고, 산이나 들에서 길어오는 샘물 또한 가축이나 축사, 조류 등의 살 처분 등 여러 환경오염의 영향으로 병원균이나 미생물이 들어 있는 등 음용수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지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면, 생수의 경우 수질검사를 통해 먹는 샘물의 기준에 맞는 물이라도 제품마다 잔존하는 세균이 얼마인지 모르고, 생수공장 관리 운영상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먹는 샘물의 기준은 지하에서 올라오는 물 자체만을 먹는 샘물로 규정하고 있기에 만약 지하로부터 지하수의 오염에 의한 세균 및 오염된 물이 혼합되어 올라오게 된다면, 이는 그대로 용기에 포장되어 소비자에게 전달될 수밖에 없다.
또한 아무리 수질검사에 합격하고 알칼리도가 7.0 이상의 알칼리수라고 해도 물의 특성상 1초에도 일억번 이상 변한다는 물분자 운동과 유통 기간 내에서의 변질은 산화수로 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또한 정수기의 경우에도 여러 구조상의 문제로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까지 제거하여 증류수 수준의 음용수를 제공한다는 문제점과 정수기의 수조통과 수도꼭지 등에서 2차 세균번식 문제가 끊이지 않고 있다.
그리고, 현대인들은 운동, 등산, 기타 다양한 레포츠활동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수시로 수분을 보충하기 위하여 패트병 물이나 생수통의 물을 사먹기도 하고, 휴대용 물병에 물을 받아쓰기도 한다.
이렇게 생수를 사먹거나 물병이나 물통을 들고 산에 가서 취수하여 재사용하거나 물을 보관하는 경우 물이 쉽게 세균에 오염되어 부패하기 쉬우며, 특히 여름철에는 세균번식으로 물의 부패가 빠르게 진행된다.
특히 여름철 많이 사먹게 되는 1회용 페트병 물은 병마개를 딴 후 입을 대고 한 번에 마시고 버리지 않고, 보관하거나 들고 다니면서 목이 마를 때나 물을 먹고 싶을 때 여러 번 나누어서 마시는 경우가 있어 식중독이나 세균오염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페트병 생수나 생수통, 휴대용 물병 등에 담긴 물을 보다 깨끗하게 만들고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 물병 등에 담긴 물을 보다 깨끗하게 만들고 부패를 방지할 수 있도록,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48469호의 "기능성 항균 물병"(이하, "종래의 기능성 항균 물병"이라 한다.)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기능성 항균물병은 물을 넣고 다닐 수 있는 물병 및 캡; 상기 물병의 입구 내측에 장착되고 물을 따를 수 있는 홀을 가지는 내부 캡; 상기 물병의 내부에 수직 배치됨과 더불어 상단부를 통해 내부 캡에 결합 지지되고 내부에는 기능성 부재가 삽입되어 있는 관; 상기 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공기 중과 물 속에 각각 노출되면서 수면 위의 공기 중 및 물속의 세균을 살균하는 순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관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는 내부 캡의 저면에 결합되거나 물병의 내부 바닥에 놓여지게 되고, 관의 내측에 삽입되는 마개 및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홀을 가지는 원형의 지지체가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능성 항균 물병은 관의 내부에 채워진 기능성 부재를 통해, 자화수나 기능성 물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능성 항균물병을 사용할 경우에는, 기능성 부재가 채워진 수직의 관의 내부에서만 기능수가 생성됨으로써 기능수의 농도를 전혀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능성 항균 물병은 수직관의 내부에 채워진 기능성 부재의 교체가 어려움에 따라 여러 종류의 기능수를 생성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48469호의 "기능성 항균 물병"(2015.08.2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병 내에 하부 고정체 및 기능수 생성 조합체로 된 복합필터를 구비하여 물병의 내부에 기능성 부재들이 채워진 다수의 기능수 생성 조형체를 하부 고정체에 수직으로 적층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기능수를 생성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기능수 생성 조형체의 개수의 조절을 통해 기능수의 생성 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명이나 반투명의 물병의 내부에 다수의 조형체를 수직으로 적층함으로써 적층되는 다수의 조형체에 의해 물병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캡의 내부에 티백 투입홈을 형성하여 티백을 물병의 내부에 투입하여 티백과 물이 접촉되게 함으로써 차도 우려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캡의 상부에 하부 고정체와 다수의 기능수 생성 조형체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하부캡을 뒤집어 물통에 결합하는 과정만을 통해 간단하게 내부 구성품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캡을 분리하는 과정만을 통해 물통의 내부 구성품인 하부 고정체와 기능수 생성 조형체들을 외부로 함께 분리함으로써, 내부 구성품의 교체 및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은 내부의 상부가 개방된 물병과; 상기 물병의 상부에 개폐가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캡과; 상기 물병의 내부 하부에 위치되며 상부에는 부착 자석부가 구비되는 하부 고정체와, 하부 자석부의 자력에 의해 하부 고정체상에 수직으로 부착되고 내부에는 기능성 부재들이 채워진 기능수 생성 조형체의 조합으로 된 복합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의 상,하부가 개방된 물병과; 상기 물병의 상부에 개폐가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캡과; 상기 물병의 하부에 개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캡과; 상기 물병과 하부캡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며 상부에는 부착 자석부가 구비되는 하부 고정체와, 하부 자석부의 자력에 의해 하부 고정체 상에 수직으로 부착되고 내부에는 기능성 부재들이 채워진 기능수 생성 조형체의 조합으로 된 복합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고정체는 내부의 하부가 개방되며, 둘레와 상판 둘레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이 형성되며, 하단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며 밀봉패킹이 끼워지는 돌출턱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다수의 기능성 부재가 채워지는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상기 부착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착 자석부는 원통체 상판의 중앙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되어 자석이 내장되는 자석 장착홈이 형성된 원통관과, 상기 자석의 상부에 구비되어 자석의 밀봉되게 막는 밀봉 실리콘층과, 상기 자석 장착홈의 상부에 삽입되는 밀봉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통체 상판의 상면에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밀봉 마개에 의해 고정되고 둘레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이 형성된 순은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통체의 내부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이 형성되며, 하부 고정체 하측 둘레 내로 삽입되어 압입고정되는 수평 차단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차단판의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되고 내부의 하부가 개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이 형성되는 원뿔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차단판의 상면 둘레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이 형성되는 순은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캡의 하판 상면 중앙에는 돌출부를 형성하되, 상기 돌출부는 하부 고정체 하부의 둘레 내로 삽입되어 상면이 수평 차단판에 밀착되며 내측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티백이 투입되는 티백 투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능수 생성 조형체는 상,하로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가 비어 있고 다수의 물 통과홀이 형성된 입체 케이스와, 상기 입체 케이스의 내부 중앙 수직으로 구비되는 수직 자석부와, 상기 입체 케이스의 내부에 채워지는 다수의 기능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병은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이나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물병의 내부에 수직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입체 케이스는 형상이 같거나 또는 형상이 각기 틀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병의 내부에 수직으로 적층되는 각각의 기능수 생성 조형체에 내장되는 다수의 기능성 부재는, 마그네슘볼, 맥반석볼, 토르말린볼, 바이오세라믹볼, 황토볼, 자철광볼, 칼슘볼 중의 어느 한 가지가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의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이 함께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병의 내부에 수직으로 적층되는 각각의 기능수 생성 조형체에 내장되는 다수의 기능성 부재는, 종류가 동일한 기능성 부재가 채워지거나 또는 각기 종류가 다른 기능성 부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자석부는 상하부에 구비되어 서로 인력이 작용되는 상,하부 자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자석부는 입체 케이스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하부가 개방되고 자석이 내장되는 자석 장착홈이 형성된 원통관과, 상기 자석의 하부에 구비되어 자석을 밀봉되게 막는 밀봉 실리콘층과, 상기 원통관의 하부를 밀봉되게 막는 밀봉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자석부는 입체 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자석이 내장죈 자석 장착홈이 형성된 원통관과, 상기 자석의 상부에 구비되어 자석을 밀봉되게 막는 밀봉 실리콘층과, 상기 원통관의 상부를 밀봉되게 막는 밀봉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물병의 내부에 기능성 부재들이 채워진 다수의 기능수 생성 조형체를 하부 고정체에 수직으로 적층함으로써, 기능수 생성 조형체의 개수의 조절을 통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기능수의 생성 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기능수를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병의 내부에 적층되는 각각의 기능수 생성수 조형체에 채워지는 기능성 부재의 종류를 달리하여 사용자가 기능수 생성체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기능수를 생성시켜 음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이나 반투명의 물병의 내부에 다수의 기능수 생성 조형체를 수직으로 적층함으로써, 적층되는 다수의 기능성 생성 조형체에 의해 물병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자인 우수한 기능성 항균 물병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티백을 하부캡의 내부에 투입하여 티백과 물이 접촉되게 함으로써 차도 우려서 음용할 수 있는 기능성 항균 물병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캡의 상부에 하부 고정체와 다수의 기능수 생성 조형체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하부캡을 뒤집어 물통에 결합하는 과정만을 통해 간단하게 내부 구성품을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립성이 우수한 기능성 항균 물병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캡을 분리하는 과정만을 통해 물병의 내부 구성품인 하부 고정체와 기능수 생성 조형체들을 외부로 함께 분리함에 따라, 내부 구성품의 교체 및 세척을 용이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기능성 항균 물병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병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병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병에 따는 물병의 하부 고정체와 기능수 생성 조형체를 확대 되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부착 자석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물병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병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병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병에 따는 물병의 하부 고정체와 기능수 생성 조형체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부착 자석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물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병(1)은 내부의 상,하부가 개방된 물병(1)과, 상기 물병(1)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캡(2)과, 상기 물병(1)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캡(3)에 구비되어 물병(1)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고정체(4)와 하부 고정체(4)의 자력에 의해 적층 부착되는 다수의 기능수 생성 조형체(5)로 이루어진 복합필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물병(1)은 도 5의 다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캡(3)을 가지지 않고 상부캡(2)만을 가진 물병으로도 대체가 가능함을 먼저 밝혀둔다.
상기 물병(1)은 내부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재 또는 반투명재의 합성수지나 유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물병(1)은 물을 충분히 담을 수 있도록 원통형이나 다각통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원통형으로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상부캡(2)은 물병(1)의 상부 개방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물병(1)의 상부에 개폐가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2)은 원터치 식으로 상기 물병(1)의 상부 개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또는 체결식으로 물병(1)의 상부 개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나사 체결식으로 상부캡(2)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하부캡(3)은 상기 물병(1)의 하부 개방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물병(1)의 하부에 개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캡(3)은 원터치 식으로 상기 물병(1)의 하부 개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또는 체결식으로 물병(1)의 하부 개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나사 체결식으로 하부캡(3)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하부캡(3)의 하판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하부 고정체(4)를 삽입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둘레가 원형인 돌출부(31)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고정체(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캡(3)에 형성된 돌출부(31)의 외주연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기능수 생성 조형체(5)들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하부 고정체(4)는 상부에 상기 기능수 생성 조형체(5)를 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부착 자석부(42)가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고정체(4)는 내부에 기능성 부재(F)를 채워 기능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31)에 삽입 고정되는 원통체(41)와 원통체(41)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상기 부착 자석부(4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체(41)는 내부의 하부가 개방되어 하부의 둘레가 상기 돌출부(31)에 삽입되고 둘레와 상판 둘레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H)이 형성되게 구성되고, 내부에는 물과 접촉되어 기능수를 생성하는 다수의 기능성 부재(F)가 채워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통체(41)의 둘레에 형성되는 물 통과홀(H)을 물이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수직의 장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체(41)의 하단의 둘레에는 후술할 밀봉패킹(412)을 장착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턱(411)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돌출턱(411)에는 돌출턱(411)의 상,하면과 둘레 단부에 밀착되게 끼워져 상,하면이 상기 물병(1)의 하단과 상기 하부캡(3)의 하판 상면에 밀착되는 밀봉패킹(412)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5의 다른 실시예의 물병과 같이 하부캡(3)을 구비하지 않은 물병의 경우에, 상기 밀봉패킹(412)이 결합되는 돌출턱(411)은 물병의 내부 하단부 내주연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더 연장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원통체(41)의 내부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H)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1)의 상면에 밀착되는 수평 차단판(4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31)의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티백(T)이 투입되고 물병(1)의 내부의 물이 유입되는 티백 투입홈(311)이 더 형성될 수 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캡(3)에 형성된 티백 투입홈(311)에 사용자의 취양에 따른 티백(T)을 투입하여 티백(T)과 물이 접촉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따른 기능수 생성 물병(1)을 통해 차를 우려서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평 차단판(43)의 중앙에는 티백 투입홈(311)으로 물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되고 내부의 하부가 개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H)이 형성되는 원뿔관(431)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뿔관(431)의 둘레에 형성된 물 통과홀(H)은 물을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도록 수직장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차단판(43)의 상면 둘레에는 하부 고정체(4)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살균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물 통과홀(H)이 형성되는 순은판(S)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순은판(S)은 상기 수평 차단판(43)에 부착을 통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원뿔관(431)에 쐐기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부착 자석부(42)는 내장되는 자석(M)을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내장되는 자석(M)의 자력을 통해 자화수와 같은 기능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원통체(41) 상판의 중앙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되어 자석(M)이 내장되는 자석 장착홈(G)이 형성된 원통관(P)과, 상기 자석(M)의 상부에 구비되어 자석(M)의 밀봉되게 막는 밀봉 실리콘층(C1)과, 상기 자석 장착홈(G)의 상부에 삽입되는 밀봉 마개(C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원통체(41)는 상기 돌출부(31)에 쐐기식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수평 차단판(43)이 쐐기식으로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 될 수 있도록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차단판(43)의 둘레에는 상기 원통체(41) 내면에 쐐기식으로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쐐기식 끼움관(432)이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원통체(41)의 내부에 수평 차단판(43)을 삽입 고정할 경우에는 원통관(P)의 하부에서 상부로 압입하는 과정만을 통해 용이하게 삽입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통체(41)를 하부캡(3)의 돌출부(31)에 삽입 할 경우에는 하부캡(3)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31)를 상기 원통체(41)의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원통체(41)를 하부캡(3)의 돌출부(31)에 용이하게 삽입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원통체(41) 상판의 상면에는 물병(1)에 채워진 물을 살균시킬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홀에 형성되어 상기 밀봉 마개(C2)에 의해 고정되고 둘레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H)이 형성된 순은판(S)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착 자석부(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체(41)의 상판 상면을 평탄면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원통체(41) 상판의 하부 중앙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하부 개방되어 자석(M)이 내장되는 자석 장착홈(G)이 형성되는 원통관(P)과, 상기 자석(M)의 하부에 구비되어 자석(M)의 밀봉되게 막는 밀봉 실리콘층(C1)과, 상기 자석 장착홈(G)의 하부에 삽입되는 밀봉 마개(C2)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체(41) 상판의 상면의 둘레에는 물병(1)에 채워진 물을 살균시킬 수 있도록 둘레에 다수의 물 통과홀(H)이 형성된 순은판(S)이 더 부착되어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 고정체(4)에 내장되는 다수의 기능성 부재(F)는 마그네슘볼, 맥반석볼, 토르말린볼, 바이오세라믹볼, 황토볼, 자철광볼, 칼슘볼 중의 어느 한 가지가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의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슘볼, 맥반석볼, 토르말린볼, 바이오세라믹볼, 황토볼, 자철광볼, 칼슘볼의 기능수 생성 효과는 이미 공지된 것이다.
또한, 상기 기능수 생성 조형체(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자석부(52b)의 상부에 다수가 자력에 의해 수직으로 적층 부착되어 자화수를 포함한 수소수 등 기능수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다수의 기능수 생성 조형체(5)는 각각의 내부에 수직 자석부(52)가 구비되고, 각각의 내부에는 기능성 부재(F)들이 채워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능수 생성 조형체(5)는 내부에 기능성 부재(F)를 채우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상,하로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면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H)이 형성되며, 내부에 다수의 기능성 부재(F)가 채워지는 입체 케이스(5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능수 생성 조형체(5)는 상기 입체 케이스(51)의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수직 자석부(5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직 자석부(52)는 기능수 생성 조형체(5)를 상기 하부 고정체(4)의 상부에 부착시키거나 상부에 다른 기능수 생성 조형체(5)를 적층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고 자력에 의해 자화수를 생성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수직 자석부(52)는 입체 케이스(51)내에 수직으로 배열한 하나의 자석부를 가지는 것만으로도 수행이 가능하지만, 더 바람직하게 입체 케이스(51) 내부의 상,하부에 구비되어 서로 인력이 작용되는 상,하부 자석부(52a)(52b)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상부 자석부(52a)는 내장되는 자석(M)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내장된 자석(M)이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입체 케이스(51)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하부가 개방되고 자석(M)이 내장되는 자석 장착홈(G)이 형성된 원통관(P)과, 상기 자석(M)의 하부에 구비되어 자석(M)을 밀봉되게 막는 밀봉 실리콘층(C1)과, 상기 원통관(P)의 하부를 밀봉되게 막는 밀봉 마개(C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자석부(52b)는 내장되는 자석(M)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내장된 자석(M)이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입체 케이스(51)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자석(M)이 내장된 자석 장착홈(G)이 형성된 원통관(P)과, 상기 자석(M)의 상부에 구비되어 자석(M)을 밀봉되게 막는 밀봉 실리콘층(C1)과, 상기 원통관(P)의 상부를 밀봉되게 막는 밀봉 마개(C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병(1)의 내부에 수직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입체 케이스(51)는 형상이 같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물병(1)의 내부에 수직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입체 케이스(51)의 형상을 각기 틀리게 함으로써 심미성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입체 케이스(51)는 물통의 심미성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형, 다면체, 원뿔체, 원통체, 입체 캐릭터 형상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병(1)의 내부에 수직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입체 케이스(51)는 외면의 색깔이 같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물병(1)의 내부에 수직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입체 케이스(51)의 색깔을 각기 틀리게 함으로써 심미성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병(1)의 내부에 수직으로 적층되는 각각의 기능수 생성 조형체(5)에 내장되는 다수의 기능성 부재(F)는 마그네슘볼, 맥반석볼, 토르말린볼, 바이오세라믹볼, 황토볼, 자철광볼, 칼슘볼 중의 어느 한 가지가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의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슘볼, 맥반석볼, 토르말린볼, 바이오세라믹볼, 황토볼, 자철광볼, 칼슘볼의 기능수 생성 효과는 이미 공지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물병(1)의 내부에 수직으로 적층되는 각각의 기능수 생성 조형체(5)에 내장되는 다수의 기능성 부재(F)는 종류가 동일한 기능성 부재(F)가 채워지거나 각기 종류가 다른 기능성 부재(F)가 채워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병(1)의 내부에 적층되는 각각의 기능수 생성 조형체(5)에 채워지는 기능성 부재(F)들의 종류를 달리하여 사용자가 기능수 생성 조형체(5)를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기능수를 생성시켜 음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수 생성 물병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항균 물병(1)이 분해된 상태에서 조립할 경우에는, 상기 하부 고정체(4)를 뒤집어 하부 고정체(4)의 내부에 기능성 부재(F)들을 채운다. 다음, 하부 고정체(4)를 뒤집은 상태에서 하부 고정체(4)의 내부에 수평 차단판(43)을 쐐기식으로 삽입하여 압입 고정한다. 그리고 하부 고정체(4)의 하부에 하부캡(3)에 형성된 돌출부(31)를 삽입함으로써 하부 고정체(4)와 하부캡(3)을 서로 조립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31)는 수평 차단판(43)의 저면에 밀착되므로서 고정력을 더 향상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하부캡(3)과 하부 고정체(4)를 바로 세운 후 하부 고정체(4)의 상부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기능수 생성 조형체(5)를 1단 이상으로 적층하여 부착한다. 그리고, 물병(1)을 뒤집은 상태에서 상기 서로 연결된 하부캡(3)과 하부 고정체(4) 및 다수의 기능수 생성 조형체(5)를 뒤집어 물병(1)에 삽입한 후, 하부캡(3)을 물병(1)의 하부에 체결하는 과정을 통해 간단하게 하부캡(3)과 하부 고정체(4) 및 다수의 기능수 생성 조형체(5)의 조립을 완료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부캡(3)과 하부 고정체(4) 및 다수의 기능수 생성 조형체(5)의 조립을 완료된 후에는 물병(1)을 바로 세워 상부 개방부를 통해 물을 채우고 상부캡(2)을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물병(1)에 물을 채우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물병(1)에 물을 채운 상태에서는 하부 고정체(4) 및 기능수 생성 조형체(5)들에 내장된 기능성 부재(F)들에 물이 접촉되고 하부 자석부(52b) 및 수직 자석부(52)에서 발생되는 자력이 물에 침투됨으로써 자화수를 포함하는 기능수가 생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하부캡(3)의 상부에 하부 고정체(4)와 다수의 기능수 생성 조형체(5)를 적층 연결시킨 상태에서, 하부캡(3)과 하부 고정체(4) 및 다수의 기능수 생성 조형체(5)를 뒤집어 물통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과정만을 통해 간단하게 내부 구성품을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립성이 우수한 기능성 항균 물병(1)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반대로 본 발명은 하부캡(3)을 분리하는 과정만을 통해 물병(1)의 내부 구성품인 하부 고정체(4)와 기능수 생성 조형체(5)들을 외부로 함께 분리함에 따라, 내부 구성품의 교체 및 세척을 용이함으로서 사용이 편리한 기능성 항균 물병(1)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능수 생성 물병(1)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물병(1)의 내부에 수직으로 적층 구비된 기능수 생성 조형체(5)의 개수의 조절을 통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기능수의 생성 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기능수를 음용할 수도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물병
2 : 상부캡
3 : 하부캡
31 : 돌출부, 311 : 티백 투입홈
4 : 하부 고정체
41 : 원통체, 411 : 돌출턱,
412 : 밀봉패킹, 42 : 부착 자석부,
43 : 수평 차단판, 431 : 원뿔관,
432 : 쐐기식 끼움관
5 : 기능수 생성 조형체
51 : 입체 케이스, 52 : 수직 자석부
52a : 상부 자석부, 52b : 하부 자석부
F : 기능성 부재
H : 물 통과홀
S : 순은판

Claims (14)

  1. 내부의 상,하부가 개방된 물병(1)과;
    상기 물병(1)의 상부에 개폐가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캡(2)과;
    상기 물병(1)의 하부에 개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캡(3)과;
    상기 물병(1)과 하부캡(3)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며 상부에는 부착 자석부(42)가 구비되는 하부 고정체(4)와, 하부 자석부(52b)의 자력에 의해 하부 고정체(4) 상에 수직으로 부착되고 내부에는 기능성 부재(F)들이 채워진 기능수 생성 조형체(5)의 조합으로 된 복합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고정체(4)는 내부의 하부가 개방되며, 둘레와 상판 둘레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H)이 형성되며, 하단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며 밀봉패킹(412)이 끼워지는 돌출턱(411)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다수의 기능성 부재(F)가 채워지는 원통체(41)와, 상기 원통체(41)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상기 부착 자석부(42)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체(41)의 내부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H)이 형성되며, 하부 고정체 하측 둘레 내로 삽입되어 압입고정되는 수평 차단판(43)이 더 구비되고,
    상기 수평 차단판(43)의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되고 내부의 하부가 개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H)이 형성되는 원뿔관(43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자석부(42)는
    원통체(41) 상판의 중앙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되어 자석(M)이 내장되는 자석 장착홈(G)이 형성된 원통관(P)과,
    상기 자석(M)의 상부에 구비되어 자석(M)의 밀봉되게 막는 밀봉 실리콘층(C1)과,
    상기 자석 장착홈(G)의 상부에 삽입되는 밀봉 마개(C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41) 상판의 상면에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밀봉 마개(C2)에 의해 고정되고 둘레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H)이 형성된 순은판(S)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차단판(43)의 상면 둘레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H)이 형성되는 순은판(S)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
  5. 제1항에 있어서,
    하부캡의 하판 상면 중앙에는 돌출부(31)를 형성하되,
    상기 돌출부는 하부 고정체 하부의 둘레 내로 삽입되어 상면이 수평 차단판에 밀착되며 내측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티백(T)이 투입되는 티백 투입홈(3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수 생성 조형체(5)는
    상,하로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가 비어 있고 다수의 물 통과홀(H)이 형성된 입체 케이스(51)와,
    상기 입체 케이스(51)의 내부 중앙 수직으로 구비되는 수직 자석부(52)와,
    상기 입체 케이스(51)의 내부에 채워지는 다수의 기능성 부재(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병(1)은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이나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물병(1)의 내부에 수직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입체 케이스(51)는 형상이 같거나 또는 형상이 각기 틀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병(1)의 내부에 수직으로 적층되는 각각의 기능수 생성 조형체(5)에 내장되는 다수의 기능성 부재(F)는,
    마그네슘볼, 맥반석볼, 토르말린볼, 바이오세라믹볼, 황토볼, 자철광볼, 칼슘볼 중의 어느 한 가지가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의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이 함께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병(1)의 내부에 수직으로 적층되는 각각의 기능수 생성 조형체(5)에 내장되는 다수의 기능성 부재(F)는,
    종류가 동일한 기능성 부재(F)가 채워지거나 또는 각기 종류가 다른 기능성 부재(F)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자석부(52)는 상하부에 구비되어 서로 인력이 작용되는 상,하부 자석부(52a,52b)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자석부(52a)는
    입체 케이스(51)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하부가 개방되고 자석(M)이 내장되는 자석 장착홈(G)이 형성된 원통관(P)과,
    상기 자석(M)의 하부에 구비되어 자석(M)을 밀봉되게 막는 밀봉 실리콘층(C1)과,
    상기 원통관(P)의 하부를 밀봉되게 막는 밀봉 마개(C2)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자석부(52b)는
    입체 케이스(51)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자석(M)이 내장된 자석 장착홈(G)이 형성된 원통관(P)과,
    상기 자석(M)의 상부에 구비되어 자석(M)을 밀봉되게 막는 밀봉 실리콘층(C1)과,
    상기 원통관(P)의 상부를 밀봉되게 막는 밀봉 마개(C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70029521A 2017-03-08 2017-03-08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 KR101836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521A KR101836764B1 (ko) 2017-03-08 2017-03-08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521A KR101836764B1 (ko) 2017-03-08 2017-03-08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764B1 true KR101836764B1 (ko) 2018-03-08

Family

ID=61725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521A KR101836764B1 (ko) 2017-03-08 2017-03-08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5754A (ko) 2022-04-11 2023-10-18 지병욱 자동 살균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병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695A (ko) * 2002-08-13 2004-02-19 강원형 음료수 용기
KR200475129Y1 (ko) * 2014-02-28 2014-11-07 임상만 찻잎을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차 물병
KR101670202B1 (ko) * 2016-02-24 2016-10-27 지병욱 수소수 및 자화수 생성 물병
KR101673841B1 (ko) * 2016-02-24 2016-11-07 지병욱 회전체를 이용한 기능성 자화수 생성 물병
KR101712325B1 (ko) * 2016-07-18 2017-03-03 지병욱 기능수 생성 물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695A (ko) * 2002-08-13 2004-02-19 강원형 음료수 용기
KR200475129Y1 (ko) * 2014-02-28 2014-11-07 임상만 찻잎을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차 물병
KR101670202B1 (ko) * 2016-02-24 2016-10-27 지병욱 수소수 및 자화수 생성 물병
KR101673841B1 (ko) * 2016-02-24 2016-11-07 지병욱 회전체를 이용한 기능성 자화수 생성 물병
KR101712325B1 (ko) * 2016-07-18 2017-03-03 지병욱 기능수 생성 물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5754A (ko) 2022-04-11 2023-10-18 지병욱 자동 살균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202B1 (ko) 수소수 및 자화수 생성 물병
US20070221556A1 (en) Container for Reducing alkaline Water
US20120091070A1 (en) Multi-Stage Water Treatment and Enrichment Method and Apparatus
US20130032566A1 (en) Compound sports water bottle
KR101422443B1 (ko) 공기와 물을 동시에 살균 가능한 항균 캡슐
US20060144781A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US7049615B1 (en) Portable ultraviolet water purifier
US20150014252A1 (en) Water bottle coupled with filtration device
KR101836764B1 (ko) 복합필터를 갖는 기능성 물병
KR101673841B1 (ko) 회전체를 이용한 기능성 자화수 생성 물병
KR20170136172A (ko) 물병용 고정형 캡슐
KR200479296Y1 (ko) 정수재 및 그 정수재를 이용한 기능성 물병
KR101830505B1 (ko) 자화수 생성물병
JP2008056244A (ja) 飲料包装容器
KR20080022345A (ko) 휴대용 정수 카트리지
KR101712325B1 (ko) 기능수 생성 물병
WO2007042484A3 (en) Tamperproof cap for sealing bottles using a stretchable plastic polymer membrane on a hollow frame within a preformed rigid cover
KR101830499B1 (ko) 정수용 항균 캡슐
KR200429134Y1 (ko) 자연 여과식 정수기능을 구비한 알칼리 환원수 생성기
DE50309749D1 (de) Luftventil für deckel mit einem trink-mundstück
KR200407459Y1 (ko) 장식품이 구비된 다기능 용기
US9833089B2 (en) Weaning clip
KR200408984Y1 (ko)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제조용기
KR20180128217A (ko) 기능성 차 우림 물병
KR102638289B1 (ko) 자동 살균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