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034B1 - 기능성 물질을 알칼리수로 우려낼 수 있는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기능성 물질을 알칼리수로 우려낼 수 있는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034B1
KR101014034B1 KR1020080051402A KR20080051402A KR101014034B1 KR 101014034 B1 KR101014034 B1 KR 101014034B1 KR 1020080051402 A KR1020080051402 A KR 1020080051402A KR 20080051402 A KR20080051402 A KR 20080051402A KR 101014034 B1 KR101014034 B1 KR 101014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aline water
water
beverage container
reaction chamber
functional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5340A (ko
Inventor
신선식
Original Assignee
신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선식 filed Critical 신선식
Priority to KR1020080051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03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5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a And Coffe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칼리수를 생성할 수 있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칼리수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더 나아가 녹차 티백과 같이 인체에 유익할 수 있는 기능성 물질을 수용될 수 있게 하여 알칼리수에 의해서 기능성 물질의 생성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음료용기이며, 이를 위한 구성요소로서 상하부가 개구되며 물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측 개구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상부덮개와; 상기 몸체의 하부측 개구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하부덮개와; 상기 하부덮개의 상면에 결합되며 알칼리수를 만들 수 있는 환원제가 내장되는 반응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반응챔버와 인접하여 격벽으로 구분되는 보조챔버가 더 구비되어 상기 보조챔버에는 녹차 티백과 같은 기능성 물질을 넣어둘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합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질을 알칼리수로 우려낼 수 있는 음료용기에 관한 기술이다.
알칼리수, 음료용기, 녹차, 기능성물질, 반응챔버, 보조챔버, 환원제

Description

기능성 물질을 알칼리수로 우려낼 수 있는 음료용기{Beverage bottle making alkaline water and extracting functional substance with alkaline water}
본 발명은 알칼리수를 생성할 수 있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칼리수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더 나아가 녹차 티백과 같이 인체에 유익할 수 있는 기능성 물질을 수용될 수 있게 하여 알칼리수에 의해서 기능성 물질의 생성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알칼리수의 유익함은 익히 알려져 있는 사실이며 평범한 물에 비교하여 물분자 크기가 작아서 체내흡수율이 좋은 점이 있고 체내의 나쁜 물질을 배출시키기도 한다. 또한 인체에 유해한 활성산소를 제거하므로 각종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고 특히 칼슘흡수 및 골다공증 개선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칼리수의 제조방법으로는 전기분해를 이용하거나 환원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근래에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용기를 이용한 알칼리수의 제조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휴대가 가능한 알칼리수 제조용기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2004-0019141호, 등록특허번호 689050호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술들에서는 환원제를 이용하여 알칼리수를 생성하도록 하고 있다. 보통 상기 환원제로는 마그네슘, 칼슘, 칼륨 등의 미네랄을 함유하는 소재를 이용하게 된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알칼리수에 대한 관심 또한 증대되고 있으며 동시에 녹차음료와 같은 기능성 물질을 물로 우려내어 음용하여 식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발전되고 있다. 즉, 녹차, 홍차, 옥수수차 등을 차의 개념이 아닌 식수로 사용하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는 것이다. 단순히 평범한 물 또는 알칼리수 자체보다 여기에 녹차 등의 기능성물질이 추가된 식수는 인체에 보다 유익할 것은 자명하므로 이러한 추세는 보다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재에는 알칼리수 제조용기 자체에 녹차 티백과 같은 기능성 물질을 내장하여 생성된 알칼리수로 녹차 등을 우려낼 수 있는 용기가 없었다. 즉, 현재에는 알칼리수 제조용기에서 알칼리수를 만든 후 녹차 티백을 알칼리수에 침지시켜서 다시 한번 녹차를 우려야 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용기내에서 알칼리수의 생성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알칼리수에 의해서 녹차와 같은 기능성 물질을 우려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음료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제시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상하부가 개구되며 물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측 개구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상부덮개와; 상기 몸체의 하부측 개구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하부덮개와; 상기 하부덮개의 상면에 결합되며 알칼리수를 만들 수 있는 환원제가 내장되는 반응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반응챔버와 인접하여 격벽으로 구분되는 보조챔버가 더 구비되어 상기 보조챔버에는 녹차 티백과 같은 기능성 물질을 넣어둘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합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질을 알칼리수로 우려낼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합팩은 반응챔버 주위로 독립된 공간을 갖는 하나 이상의 보조챔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질을 알칼리수로 우려낼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챔버는 측면 또는 상면에 개폐시킬 수 있는 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질을 알칼리수로 우려낼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안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복합팩은 반응챔버와 보조챔버를 구분시키는 격벽에 물이 소통될 수 있는 관통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질을 알칼리수로 우려낼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기는 인체에 유익한 알칼리수의 제조가 가능하며 또한 녹차와 같은 기능성 물질을 담아두어 생성된 알칼리수에 의해서 녹차 등을 우려낼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알칼리수에 기능성 물질이 추가되므로 음용시 미감을 좋게할 뿐 아니라 인체에 보다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물질을 알칼리수로 우려낼 수 있는 음료용기(이하, 음료용기라 한다)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수단으로 개략적인 관련도면을 참조토록 한다.
첨부되는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제시되는 음료용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에 해당되며, 도2는 복합팩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료용기는 기본적으로 몸체(100), 상부덮개(200), 하부덮개(300)를 갖추게 되고 그 내부에 복합팩(400)이 설치된다. 상기 몸체(100)는 물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갖는 길다란 부재로서 상하부가 개구되는 것이며, 상기 몸체(100) 상부측 개구부에는 상부덮개(200)가 결합되어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덮개(200)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고 물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하부측에는 하부덮개(300)가 결합되어 개구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복합팩(400)은 몸체, 상부덮개 및 하부덮개에 의해 밀폐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덮개(300)의 상면에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복합팩(400)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하며 상기 복합팩(400)은 반응챔버(410)와 보조챔버(420)를 갖추게 된다. 상기 복합팩(400)의 내부로는 물이 자유롭게 출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반응챔버(410)에서 알칼리수가 생성되어 배출되며 또한 보조챔버(420)에 수용되는 기능성 물질에 알칼리수가 접촉되어 특정성분을 우려낼 수 있도록 한다. 즉, 보조챔버(420)의 측면 등을 통해서 물(혹은 알칼리수)이 내부로 유입되며 또한 보조챔버(420)의 물은 반응챔버(410)로도 흐를 수 있다.
다시말해서 상기 복합팩(400)은 물이 자유롭게 소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반응챔버(410)와 보조챔버(420)는 격벽(401)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한다. 특히 상기 반응챔버(410) 내부에는 알칼리수를 생성시킬 수 있는 환원제가 수용되는 공간이 되며, 보조챔버(420)에는 녹차 티백이나 녹차잎 그 외 각종의 기능성 물질을 넣어두는 공간이 된다.
상기 반응챔버(410)의 주위로 보조챔버(420)가 형성되는데 상기 보조챔버(420)의 갯수는 하나에서부터 2개 이상이 될 수 있으며, 각 보조챔버(420)는 독립적인 공간을 가지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응챔버(410)와 보조챔버(420)를 구분하는 격벽(401)에도 물이 소통될 수 있는 관통홀(402)을 두도록 한다.
특히, 상기 보조챔버(420)의 경우에는 수시로 녹차 티백과 같은 기능성 물질을 투입하거나 교체해야 하므로 개폐시킬 수 있는 도어(421)를 두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보조챔버(420)의 상면부나 측면부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 혹은 힌지방식으로 온오프될 수 있는 형태의 도어(421)를 두도록 함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100), 상부덮개(200), 하부덮개(300) 등은 여러 형태적 변형이 가능하고 상기 복합팩(400)의 결합구조 역시 다양한 형식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인 바, 본 발명의 주요한 기술적 사상인 복합팩(400)이 반응챔버(410)와 보조챔버(420)로 분리되어 상기 반응챔버(410)에는 환원제를 넣고 보조챔버(420)에는 기능성 물질을 넣어서 알칼리수로 기능성 물질을 우려낼 수 있는 구조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유용성은 환원제의 작용으로 알칼리수가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알칼리수에 의해서 기능성 물질이 원활하게 우려지게 된다는 점이다. 녹차의 경우 알칼리수를 이용하여 녹차물을 우려내는 경우 평범한 물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훨씬 빠르게 우려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기는 인체에 유익한 알칼리수의 생성이 가능함과 동시에 이를 이용해서 각종 기능성 물질을 우려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고부가가 치를 창출할 수 있는 음료용기로 실제 제품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기술이다.
특히, 이러한 음료용기는 웰빙 열풍을 타고 국내 뿐 아니라 차문화가 발달한 일본이나 중국 등지에서도 많은 판매가 기대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제시되는 음료용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2는 복합팩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몸체 200 : 상부덮개
300 : 하부덮개 400 : 복합팩
410 : 반응챔버 420 : 보조챔버
421 : 도어 401 : 격벽
402 : 관통홀

Claims (4)

  1. 상하부가 개구되며 물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측 개구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상부덮개와;
    상기 몸체의 하부측 개구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하부덮개와;
    상기 하부덮개의 상면에 결합되며 알칼리수를 만들 수 있는 환원제가 내장되는 반응챔버가 구비되고, 측면 또는 상면에 개폐시킬 수 있는 도어가 구비되되 상기 반응챔버와 인접하여 격벽으로 구분되는 보조챔버가 더 구비되어 상기 보조챔버에는 녹차 티백과 같은 기능성 물질을 넣어둘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합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질을 알칼리수로 우려낼 수 있는 음료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팩은,
    반응챔버 주위로 독립된 공간을 갖는 하나 이상의 보조챔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질을 알칼리수로 우려낼 수 있는 음료용기.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팩은,
    반응챔버와 보조챔버를 구분시키는 격벽에 물이 소통될 수 있는 관통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질을 알칼리수로 우려낼 수 있는 음료용기.
KR1020080051402A 2008-06-02 2008-06-02 기능성 물질을 알칼리수로 우려낼 수 있는 음료용기 KR101014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402A KR101014034B1 (ko) 2008-06-02 2008-06-02 기능성 물질을 알칼리수로 우려낼 수 있는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402A KR101014034B1 (ko) 2008-06-02 2008-06-02 기능성 물질을 알칼리수로 우려낼 수 있는 음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340A KR20090125340A (ko) 2009-12-07
KR101014034B1 true KR101014034B1 (ko) 2011-02-14

Family

ID=4168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402A KR101014034B1 (ko) 2008-06-02 2008-06-02 기능성 물질을 알칼리수로 우려낼 수 있는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0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1302A (zh) * 2017-05-19 2017-08-08 深圳鼎加弘思饮品科技有限公司 具备多种配方混合调配的胶囊结构及其冲泡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893B1 (ko) * 2016-04-08 2019-04-26 주식회사 에스이씨오 수소발생기를 구비한 휴대용 물통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070A (ko) * 2002-01-21 2003-07-28 다이낙스 코포레이션 고체고분자형 연료전지용 격리판의 제조방법
KR20040015695A (ko) * 2002-08-13 2004-02-19 강원형 음료수 용기
KR200363070Y1 (ko) 2004-07-06 2004-09-23 주식회사 몰라노 알칼리수 환원 용기
KR20050103741A (ko) * 2004-04-27 2005-11-01 주식회사 아모텍 단일 인쇄회로기판을 갖는 어스퍼레이션 모터
KR100689050B1 (ko) 2006-11-23 2007-03-02 주식회사 경일하이텍 휴대용 알칼리수 제조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070A (ko) * 2002-01-21 2003-07-28 다이낙스 코포레이션 고체고분자형 연료전지용 격리판의 제조방법
KR20040015695A (ko) * 2002-08-13 2004-02-19 강원형 음료수 용기
KR20050103741A (ko) * 2004-04-27 2005-11-01 주식회사 아모텍 단일 인쇄회로기판을 갖는 어스퍼레이션 모터
KR200363070Y1 (ko) 2004-07-06 2004-09-23 주식회사 몰라노 알칼리수 환원 용기
KR100689050B1 (ko) 2006-11-23 2007-03-02 주식회사 경일하이텍 휴대용 알칼리수 제조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1302A (zh) * 2017-05-19 2017-08-08 深圳鼎加弘思饮品科技有限公司 具备多种配方混合调配的胶囊结构及其冲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340A (ko) 2009-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0156B2 (ja) 水素生成器、及び、水素生成容器
US20070221556A1 (en) Container for Reducing alkaline Water
JP2004243151A (ja) 水素溶存水製造具
WO2005091761A3 (en) Wash bag assembly
MX2010004403A (es) Elemento de embudo para moca provisto con medios de perforacion y cartucho para el mismo.
TW200420257A (en)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PL2365120T3 (pl) Pralka ze zbiornikiem przepływowym i wyjmowalnym pojemnikiem
EP1829797A4 (en) OUTPUT BIN
KR101014034B1 (ko) 기능성 물질을 알칼리수로 우려낼 수 있는 음료용기
KR20190001245U (ko) 텀블러 세척장치
KR100689050B1 (ko) 휴대용 알칼리수 제조용기
CN204071524U (zh) 一种新型保温杯出水开关
CN207389497U (zh) 一种防翻救生筏
JP5780494B2 (ja) 浄水器
KR200363070Y1 (ko) 알칼리수 환원 용기
KR101301904B1 (ko) 액체 수용 용기
KR20120062958A (ko) 오버히팅 방지 기능을 갖는 정수기의 온수통
KR20070111822A (ko) 알칼리 환원수 물통
CN201160726Y (zh) 一种微电解活化水容器
RU18204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очищенной щелочной воды
KR101672373B1 (ko) 수 처리기구가 구비된 휴대용 수통
CN205150574U (zh) 一种化学药剂安全回收袋
CN100546713C (zh) 纯天然块状活性炭消毒产品及其生产与再生方法
CN101485550A (zh) 一种水过滤沐浴装置
KR101227253B1 (ko) 기능성 생수통용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