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070Y1 - 알칼리수 환원 용기 - Google Patents

알칼리수 환원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070Y1
KR200363070Y1 KR20-2004-0019141U KR20040019141U KR200363070Y1 KR 200363070 Y1 KR200363070 Y1 KR 200363070Y1 KR 20040019141 U KR20040019141 U KR 20040019141U KR 200363070 Y1 KR200363070 Y1 KR 200363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water
container
reducing material
materia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몰라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몰라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몰라노
Priority to KR20-2004-00191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0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070Y1/ko
Priority to PCT/KR2005/002061 priority patent/WO2006004348A1/en
Priority to JP2007520223A priority patent/JP2008505749A/ja
Priority to US11/570,406 priority patent/US20070221556A1/en
Priority to CNA2005800203931A priority patent/CN1972874A/zh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5Systems or processes based on supernatural or anthroposophic principles, cosmic or terrestrial radiation, geomancy or rhabdomanc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duction
    • C02F1/705Reduction by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bott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광 음용수 컵과; 컵의 입구를 개폐하는 수밀 덮개와; 컵의 입구로 컵 내에 수용되고, 컵의 저부에 지지되고, 알칼리 환원재를 수용하고 및 환원재와 용수의 접촉을 허용하는 환원재 용기와; 컵의 저부 내면 및 환원재 용기 주면의 일 이상의 면에 설치되는 환원용기 지지 장치로 구성 한 알칼리수 환원 용기로서, 병과 같이 음용수를 저장하고 휴대 할 수 있는 알칼리수 환원 용기를 제공하고; 컵과 같이 저장된 음용수를 마실 수 있고; 음용수 저장 상태에서 용수를 알칼리 환원수로 순화시키고; 용기의 구조가 간결하여 청결을 유지 할 수 있는 실용성이 큰 고안이다.

Description

알칼리수 환원 용기 {Alkaline Water Restoration Container}
본 고안은 알칼리수 환원 용기에 관한 것이다. 자세히는 컵 타입 알칼리수 환원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알칼리수는 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는 이온화 용수이다. 최근 마그네슘, 칼슘 금운모(세라믹볼), 실버(세라믹볼) 야자활성탄, 황토(세립토)등 알칼리 환원에 사용되는 광물 환원재에 의한 화학적 처리로 알칼리 환원수(Reduced Alkaline Water, RAW)를 얻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마그네슘은 물과 서서히 반응한다.
환원재와 반응하여 얻는 알칼리 환원수는 물의 성질이 순화되어 6각수의 특성을 보인다. 알칼리 환원수는 인체를 외부의 교란으로부터 보호하여 안정을 유지시키고, 혈액의 산성화로 나타나는 신체의 부조화와 활성산소를 원인으로 하는 다양한 증세를 호전 시킨다. 건강에 좋은 반응을 활발히 일으키는 알칼리수의 알칼리 농도는 pH 9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알칼리수는 물속에서 활성산소(ROS)를 소거하여 신체의 소화계를 튼튼히 하고, 말기 신장환자(ESRD)의 혈액투석 과정에서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생체 내에서 세포의 산화 원인인 free radical을 소거하여 DNA를 보호하고, 항암효과, 당뇨병 예방 및 아토피성 피부 질환을 호전시키고, 체질개선 및 성장속도 촉진에 유력한 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전기식 알칼리수 생성장치로 등록 실용신안공보 20-0330824(이하 인용1장치라 함)에 유입되는 원수로부터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 필터를 경유한 정수로부터 전해수를 생성시키는 것으로서, 제1전해수를 생성하는 제1전극이 설치된 제1전해수생성부와, 제2전해수를 생성하는 제2전극이 설치된 제2전해수생성부와, 제1전해수생성부와 제2전해수생성부를 나누는 이온격막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해수생성유닛; 제1전해수와 제2전해수중 어느 하나가 출수되는 전해수출수부; 제1전해수와 제2전해수중 나머지 하나가 출수되는 전해수배수부; 정수가 출수되는 정수출수부; 제1전해수를 전해수출수부로 그리고 제2전해수를 전해수배수부로 흐르게 하거나, 제1전해수를 전해수배수부로 그리고 제2전해수를 전해수출수부로 흐르게 변환 가능한 것으로서, 전해수생성유닛과 전해수출수부 및 전해수배수부 사이에 설치되는 4-way 밸브; 전해수배수부에 설치되어 그 전해수배수부를 경유하는 전해수의 유량을 제한하는 오리피스; 필터와 전해수생성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 필터와 정수출수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 제1전극과 제2전극에 DC 전원을 공급하되, 그 전원극성을 반전시킬 수 있는 전원부;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마그네슘을 이용한 알칼리 환원수 제조장치로 실용신안등록공보 20-0348739(이하 인용2장치 라함)에 마그네슘을 주재로 한 알칼리 환원수 발생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유입 관과 배출 관을 갖는 본체 내에 이온카트리지를 교체 가능케 삽입하고, 유입관에 공급한 식용수가 마그네슘에 의한 알칼리 환원수로 배출되게 하고, 수소기체는 배출관에 장착한 압력밸브에서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하고 있다.
등록 실용신안공보 20-0342178(이하 인용3장치 라함)에서 통상 생수 물통 상부와 하부를 나사결합 할 수 있게 분할하고 상부 용기 내부에 맥반석을 채운 상태로 물통에 물을 주입하고 정수기에서 물통을 꺼구로 세우면 생수가 맥반석 용기를통하여 배출되면서 미네랄이 용해되어 좋은 물을 마실 수 있는 맥반석 용기가 내장된 생수물통이 개시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공보 20-0333989(이하 인용4장치 라함)에 통의 상부 내부에 맥반석을 채워 넣는 망상 튜브를 지름방향으로 설치하고 통에 생수를 담아 밀봉하면, 운반, 보관, 설치 상태에서 튜브내 맥반석에서 미네랄이 용출되어 좋은 물 맛을 유지하는 생수용 물통이 개시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공보 20-0332588(이하 인용5장치 라함)에 병 하부를 분할하여 나사로 결합하고, 하부 결합체에 맥반석을 담은 망 용기를 내장한 후 병에 결합한 상태에서 병에 물을 부어 두므로 맥반석이 물을 활성화 시켜 지하수와 같은 물맛을 보이게 한 맥반석을 내장하는 생수 물병이 개시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공보 20-0286668(이하 인용6장치 라함)에서 물병의 입구 내 주면에 지지캡을 가지며, 지지캡 저면에 주면에 구멍이 배열된 파이프를 설치하고, 정제된 황토분말, 맥반석가루, 숯 가루 등 정수여재를 여과포로 감싼 다음 파이프 내에 넣어 되는 지장수 제조 물병이 개시되고 있다.
공개특허 10-2004-0015695(이하 인용7장치 라함)에서 상단에 개폐 뚜껑을 갖고, 물, 주스 또는 기능성 음료수를 담는 소정 체적의 용기 몸체; 몸체의 하단에 결합되고, 내측 중앙에 융기된 결합돌기에 의하여 수납부가 형성된 바닥 캡; 바닥 캡의 수납부에 수납되는 음료수 정화재; 수납부에 끼워지고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제1 캡; 결합돌기의 외주연에 형성된 요홈에 착탈되고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제2 캡; 및 상기 제1 캡과 제2 캡의 사이에 삽입되는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음료수 용기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인용1장치는 전기 알칼리수 생성장치이고; 인용2장치는 기계적인 음용수 관로에 설치하는 알칼리수 생성장치이고, 인용3장치와 인용4장치는 생수물통에 적용되는 맥반석 미네랄 용출장치이고, 인용5장치는 병 하부를 분할하여 나사로 결합한 하부결합체에 맥반석 망 용기를 내장한 것으로, 이는 병 용기를 컵으로 겸용할 수 없고 복잡한 병의 하부 구조가 음료수 컵으로의 청결을 유지하기 어려운 생수 물병이다. 인용6장치는 병 내부에 파이프가 설치되어 음용수 용기로서 불편한 지장수 제조 물병이고, 인용7장치는 컵으로 사용할 수 없고 병의 하부구조인 바닥캡의 수납부 구조가 음용 수 컵으로서 부적합한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병과 같이 음용수를 저장하고 휴대 할 수 있는 알칼리수 환원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컵과 같이 저장된 음용수를 마실 수 있는 알칼리수 환원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음용수 저장 상태에서 용수를 알칼리 환원수로 순화시키는 알칼리수 환원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간결하여 청결을 유지 할 수 있는 알칼리수 환원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 용기의 실시 예 사시도
도2는 도1 용기의 단면도
도3은 도1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도1 컵의 저부 확대 단면도
도5는 도1 환원재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고안 용기의 다른 실시 예 사시도
도7는 도6 용기의 단면도
도8은 도6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9는 도6 컵의 덮개 수밀 결합부 확대 단면도
도10는 도6 환원재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면 주요부호의 설명>
11은 상광 음용수 컵; 21은 수밀 덮개; 31은 환원재 용기; 41은 지지장치
본 고안을 실시 예 첨부 도면에 따라서 싱세 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용기 내에 음용수와 알칼리 환원재를 투입하여 구성하는 알칼리수 환원용기의 하나이다.
본 고안 알칼리수 환원 용기는 상광 음용수 컵(11)과; 컵(11)의 입구를 개폐하는 수밀 덮개(21)와; 컵(11)의 입구로 컵 내에 수용되고, 컵(11)의 저부에 지지되고, 알칼리 환원재(51)를 수용하고 및 환원재(51)와 용수의 접촉을 허용하는 환원재 용기(31)와; 컵(11)의 저부 내면 및 환원재 용기(31) 주면의 일 이상의 면에 설치되는 환원재 용기 지지장치(41)로 구성하였다.
상기 환원재 용기(31)에 마그네슘, 칼슘 금운모(구립), 실버(구립) 야자활성탄, 황토(세립)를 포함하는 알칼리 환원용 광물 환원재(51)를 충진 한다. 환원재(51)가 충진된 환원재 용기(31)를 컵(11)에 수용하고 컵(11)에 물을 채우고 덮개(21)를 덮어둔다. 이 상태로 방치하면 컵(11)에 담긴 물은 서서히 알칼리수로 환원된다. 마그네슘 환원재를 사용한 경우의 알칼리수 환원과정을 화학식으로 인용하면 "Mg + 2H2O ?? Mg2++ 2OH-+ H2(=2H· + 2e-)??"이다. 이 식에서 환원재 용기(31)내에서 H2 마이너스 이온 수소 기포 군이 물 위로 떠오르게 되므로 본 고안 사용자는 이 기포의 이동을 육안으로 살펴 볼 수 있다. 이대로 일정 시간 방치하면 컵에 담긴 물은 육각수의 특징을 보이는 알칼리 환원수가 되어 건강수로 음용할 수 있다. 응용하고자 할 때 컵(11)의 덮개(21)를 개방하고 음용한다. 또는 다른 용기에 따라 음용한다. 덮개(21)는 알칼리수 환원과정에 관여되지 않는 것이고 다만 음용수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환원재(51)는 1~6개월 정도 반복 사용 할 수 있다. 컵(11)은 반복사용으로 쉽게 더러 워 지며 세척이 필요할 때 덮개(21)는 컵(11)에서 분리된다. 알칼리 환원재 용기(31)도 컵(11)의 세척을 위해 자주 컵(11)에서 분리하게 된다. 본 고안 용수의 알칼리 환원 용기는 수밀 덮개(21)가구비되어 있어 나들이나 출타시 또는 자동차 운전자의 차량에 물을 담아 쉽게 휴대 할 수 있고, 이동 중에 알칼리수 환원이 진행되고, 출타지에서 음용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용적인 휴대 기능은 용기의 기본형을 컵으로 제작하여 응용에 편리하게 하는 배려와 함께 건강수 이용을 널리 장려하는 실용적 효과를 목표로 하는 것이다.
도1 내지 도5 예에서 본 고안의 상기 수밀 덮개(21)는 컵과 수밀을 유지하기위한 결합부로 스크류 결합부(22)를 설치하였다. 수밀 결합부는 스크류 외에도 탄성 결합부 테이퍼 결합부 등 기존의 다양한 수밀 결합 구조를 이용 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4에서 본 고안의 상기 수밀 덮개(21)는 스크류 마개(23)로 개폐되는 병구(24)를 설치하였다. 본 고안 상기 컵(11)은 덮개(21)로 폐쇄된 경우 음료수 병과 유사한 형태이다. 야외에서 컵의 사용이 불편한 경우가 있다. 본 고안 스크류 마개(23)와 병구(24)는 본 고안 용기를 음료수 병과 같이 사용 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한층 더 실용성을 높여 준다.
도2 내지 도4에서 본 고안의 상기 환원재 용기(31)는 2층의 망 용기 이다. 상부용기(32)는 저부용기(33) 위에 중첩 되고, 상부용기(32)위에 덮개판(34)이 덮혀 있다. 이들은 모두 통수구멍(35)이 배열되고 덮개판(34) 저면 러그(34a)가 상부용기(32) 상면 홀(32b)에 삽입되고, 상부용기(32) 저면 러그(32a)가 저부용기 상면홀(33b)에 삽입되어 조립된다. 환원재 용기 구조는 이 외에도 쉽게 조립하고 분해 할 수 있고, 용수가 통수되는 구조이면 대체로 동일하게 사용 할 수 있다.
도3 내지 도5에서 본 고안의 환원재 용기 지지장치(41)는 용기(31) 저면의테이퍼 내주면(42)과 용기(31) 외주면의 밀착 돌조(43)로 구성하였다. 도면에서 환원재(51)를 수용하도록 조립된 용기는 컵(11)에 삽입되어 밀착돌조(43)가 컵(11)의 테이퍼 내주면(42)에 압력을 가하여 밀착됨으로 지지력이 발생하고, 컵에서 탈거 할 때 용기(31)에 인장력을 가하여 컵(11)에서 이탈 시킨다. 본 고안에서 환원재 용기의 지지장치는 상기 도시된 장치 외에 컵의 테이퍼 내주면과 환원재 용기의 테이퍼 외주면 으로 구성 한것; 컵의 내주면에 설치하여 환원재 용기 수용시 환원재 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돌기; 컵의 바닥에 설치하여 환원재 용기의 저면과 결합되게 하는 지지구; 컵의 내주면과 환원재 용기의 외주면에 설치한 부합되는 스크류; 및 환원재 용기 외주면에 부설하여 컵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탄성 돌조의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도6내지 도10에 본 고안 다른 실시 예를 인용하였다. 도6 내지 도10 예에서 본 고안의 상기 수밀 덮개(21)는 컵과 수밀 결합되기 위한 탄성 결합부(26) 이다. 도9에서 수밀 덮개(21)는 덮개(21) 탄성 외륜(27)이 컵 외주면(17)에 탄접되고 컵의 상단연(16)이 덮개 내면 환구(28)에 부합 밀착되어 수밀을 유지한다. 이러한 덮개 구성은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덮개로 외양이 콤팩트하다. 도9 덮개에서 컵 외주면(17)을 컵(11) 본체와 같은 두께를 유지시켜 제조하여도 좋다. 도10에서 환원재 용기(31)는 단순한 용기 이다. 이 용기는 상하에 통수구멍(35)이 배열된 하나의 수용실(36)에 환원재(51)를 수용한다. 도10의 용기(31)는 상하로 분리되는 개폐구조를 포함시키거나 분리 불능한 벙어리 타입으로 제조 할 수 있다. 도10의 환원재 용기(31) 지지장치(41)는 용기(31) 테이퍼 외주면(46)과 컵의 테이퍼내주면(47)의 밀착에 의한 지지구조이다. 도10의 지지장치(41)는 컵의 내주면에 설치하여 환원재 용기(31) 수용시 환원재 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돌기(48)가 부가되어 있다. 상기 테이퍼(46,47)에 의한 지지장치나 지지돌기(48)장치는 선택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실시 예
600㎖ 용량인 휴대용 합성수지 투명 컵용기를 제조하였다.
70㎖용적인 환원재 망 용기를 제조하였다.
환원재 용기 지지장치는 환원재 용기 테이퍼 외주면과 컵의 테이퍼 내주면이 밀착되는 지지장치로 하였다.
환원재 용기에 마그네슘 입자를 채우고 컵 용기 저부에 지지시켰다.
컵 용기에 500㎖의 생수(시판 생수)를 주입한 후 기포의 발생이 관찰되었다.
30분 후 컵의 물의 취하여 알칼리 농도를 검사하였다.
검사 결과 pH 11이고 ORP 는 -100mv이하로 낮아졌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병과 같이 음용수를 저장하고 휴대 할 수 있는 알칼리수 환원 용기를 제공하고; 컵과 같이 저장된 음용수를 마실 수 있고; 음용수 저장 상태에서 용수를 알칼리 환원수로 순화시키고; 간결하여 청결을 유지 할 수 있는 알칼리수 환원 용기를 제공한다.

Claims (3)

  1. 용기 내에 음용수와 알칼리 환원재를 투입 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광 음용수 컵과; 컵의 입구를 개폐하는 수밀 덮개와; 컵의 입구로 컵 내에 수용되고, 컵의 저부에 지지되고, 알칼리 환원재를 수용하고 및 환원재와 용수의 접촉을 허용하는 환원재 용기와; 컵의 저부 내면 및 환원재 용기 주면의 일 이상의 면에 설치되는 환원용기 지지 장치로 구성 한 알칼리수 환원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환원재 용기 지지장치는 컵의 테이퍼 내주면과 환원재용기의 테이퍼 외주면 으로 구성 한것; 컵의 내주면에 설치하여 환원재 용기 수용시 환원재 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돌기; 컵의 바닥에 설치하여 환원재 용기의 저면과 결합되게 하는 지지구; 컵의 내주면과 환원재 용기의 외주면에 설치한 부합되는 스크류; 및 환원재 용기 외주면에 부설하여 컵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탄성 돌기의 어느 하나인 알칼리수 환원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수밀 덮개는 컵과 수밀 결합되기 위한 스크류 결합부, 탄성 밀착 결합부, 테이퍼 결합부를 포함하는 어느 하나의 결합부와; 마개로 개폐되는 병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알칼리수 환원 용기.
KR20-2004-0019141U 2004-07-06 2004-07-06 알칼리수 환원 용기 KR200363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141U KR200363070Y1 (ko) 2004-07-06 2004-07-06 알칼리수 환원 용기
PCT/KR2005/002061 WO2006004348A1 (en) 2004-07-06 2005-06-30 Container for reducing alkaline water
JP2007520223A JP2008505749A (ja) 2004-07-06 2005-06-30 アルカリ水の還元容器
US11/570,406 US20070221556A1 (en) 2004-07-06 2005-06-30 Container for Reducing alkaline Water
CNA2005800203931A CN1972874A (zh) 2004-07-06 2005-06-30 还原碱性水的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141U KR200363070Y1 (ko) 2004-07-06 2004-07-06 알칼리수 환원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070Y1 true KR200363070Y1 (ko) 2004-09-23

Family

ID=3811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141U KR200363070Y1 (ko) 2004-07-06 2004-07-06 알칼리수 환원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63070Y1 (ko)
CN (1) CN197287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167B1 (ko) 2006-03-30 2007-01-29 주식회사 거산 휴대용 알칼리환원 수 생성기
KR100689050B1 (ko) 2006-11-23 2007-03-02 주식회사 경일하이텍 휴대용 알칼리수 제조용기
KR100846199B1 (ko) 2007-02-21 2008-07-14 주식회사 홈인솔루션 휴대용 정수기
KR101014034B1 (ko) 2008-06-02 2011-02-14 신선식 기능성 물질을 알칼리수로 우려낼 수 있는 음료용기
KR101331894B1 (ko) 2013-02-19 2013-11-21 박병기 알칼리 환원수를 제조하기 위한 항아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167B1 (ko) 2006-03-30 2007-01-29 주식회사 거산 휴대용 알칼리환원 수 생성기
KR100689050B1 (ko) 2006-11-23 2007-03-02 주식회사 경일하이텍 휴대용 알칼리수 제조용기
KR100846199B1 (ko) 2007-02-21 2008-07-14 주식회사 홈인솔루션 휴대용 정수기
KR101014034B1 (ko) 2008-06-02 2011-02-14 신선식 기능성 물질을 알칼리수로 우려낼 수 있는 음료용기
KR101331894B1 (ko) 2013-02-19 2013-11-21 박병기 알칼리 환원수를 제조하기 위한 항아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72874A (zh)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1556A1 (en) Container for Reducing alkaline Water
JP6330156B2 (ja) 水素生成器、及び、水素生成容器
KR101893186B1 (ko) 융합형 전기분해를 통한 수소의 다목적 용도로 이용 가능한 전기분해장치
CN201454183U (zh) 一种便携式净化水滤芯和设有该滤芯的容器
KR20090011222U (ko) 휴대용 정수기
KR200408986Y1 (ko)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제조용기
KR200363070Y1 (ko) 알칼리수 환원 용기
KR20160041550A (ko) 휴대용 중성 수소풍부 전해수 생성기
KR100846199B1 (ko) 휴대용 정수기
KR20160041549A (ko) 휴대용 수소수생성기
KR101446193B1 (ko) 전극을 이용한 수소수 생성 장치
CN201755068U (zh) 吸取式过滤水杯
KR200429134Y1 (ko) 자연 여과식 정수기능을 구비한 알칼리 환원수 생성기
KR200408984Y1 (ko)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제조용기
CN201718928U (zh) 设有可拆卸滤芯的水杯杯盖
CN101972093B (zh) 设有滤芯的水杯杯盖及过滤水杯
KR20160041543A (ko) 가온이 가능한 수소수생성기
JP3126287U (ja) 水改質装置
KR20130124086A (ko) 휴대용 정수기
JP2004321982A (ja) 水素水発生装置
KR101972893B1 (ko) 수소발생기를 구비한 휴대용 물통
CN103880116A (zh) 一种可更换滤芯的饮用水滤水壶
KR20120133815A (ko)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가 부착된 생수통 뚜껑 결합장치
CN2915836Y (zh) 一种自来水净化饮水杯
KR101924865B1 (ko) 정수기능이 구비된 물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