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199B1 - 휴대용 정수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199B1
KR100846199B1 KR1020070017283A KR20070017283A KR100846199B1 KR 100846199 B1 KR100846199 B1 KR 100846199B1 KR 1020070017283 A KR1020070017283 A KR 1020070017283A KR 20070017283 A KR20070017283 A KR 20070017283A KR 100846199 B1 KR100846199 B1 KR 100846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ter
water purifier
portable wat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홈인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홈인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홈인솔루션
Priority to KR1020070017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duction
    • C02F1/705Reduction by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bott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는 내부가 밀폐된 수용공간의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이 밀폐 또는 개방되도록 하는 덮개부를 구비한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구부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의 충진공간 상부에 수납되며, 내부 중앙에 형성시킨 걸름망을 통하여 투과되는 액체에 함유된 미립화된 이물질을 흡착 및 포집 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필터와, 외부에 복수개의 통공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에 충진된 물을 알칼리수로 환원시키는 광물질의 환원제를 수납한 케이스를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시킨 환원카트리지로 구성한다.
정수. 휴대, 환원, 카트리지

Description

휴대용 정수기{portable water purifier}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에서 환원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용 정수기 110 : 용기
110a : 수용공간 110b : 지지대
111 : 덮개부 111a : 내부마개
111b : 뚜껑 120 : 필터
121 : 단턱 122 : 플랜지
123 : 걸름망 130 : 환원카트리지
131 : 환원제 132 : 케이스
132a : 통공 132b : 고정홈
본 발명은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용기 내부에 환원제를 수납한 카트리지를 장착하여 휴대하면서 환원된 알칼리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는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수돗물에 포함된 각종 중금속, 세균, 소독약을 제거하는 정수기를 사용하여 물을 여과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는 활성탄, 이온막 등을 구비하는 필터를 이용하여 물에 함유된 산화물, 중금속, 먼지 및 찌꺼기 등을 필터링(Filtering)하여 정화시키는 기기로써, 초기에 알려진 정수기는 정수통에 활성탄을 적층시킨 다음 정수통에 물을 부어 자연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후 정화가 이루어진 음용수가 공급밸브를 통하여 출수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정수통의 내부를 자주 청소하지 않을 경우 이물질이 활성탄 또는 정수통의 내부에 퇴적되어 정수된 물이 부패 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근래에 들어 다양한 정수기기가 개발되어 왔으며, 단순히 정화 기능뿐만 아니라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수로 환원하는 정수기가 출시되고 있다.
음용되는 식수(食水)는 각종 중금속과 유해물질 및 세균이 없고 적당량의 미 네랄이 함유된 물로서, 약알카리성의 Ca+ ,Na+ 등이 함유된 생수(生水)가 이상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알칼리수는 PH 7.5 이상의 수소가 매우 풍부한 육각수로서. 일반 물에 비해 물분자활동이 탁월하여 짧은 시간 내 체내흡수가 가능하고, 체내에 있는 독성물질을 몸 밖으로 배출시키고 인체에 유해한 활성산소(ROS)를 제거함으로 산성 체질을 바꿔 아토피의 증상을 완화 개선시키고, 항암효과, 당뇨병 예방, 만성설사, 소화불량, 위장 내 이상발효, 제산, 위산 과다에 유효한 효과가 발현되는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진 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효능을 가진 알칼리수는 일반적으로 물을 전기분해하여 얻어지는데, 이러한 전기분해방식을 응용하여 일반 음용수를 알칼리수로 환원시키는 장치들이 이미 국내 특허 및 실용신안 공보를 통해 다양하게 제안된바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일례로서 전기분해 정수기의 통상적인 구조는 정수부와 전해부로 구성되어 있고, 전기분해가 일어나는 전해부에는 한 개의 양극 전극판과 2개의 음극 전극판이 물속에 함유된 이온의 이동만이 가능토록 된 2개의 격막 사이에 설치되어 3개의 전극실로 구성토록 됨으로서 2개의 음극 전극실로부터는 강알칼리수(pH 9∼10)와 약알칼리수(pH 7.4∼8.5)가 생성토록 되고 양극 전극실로부터는 산성수(pH 5∼6)의 전해이온수가 생성토록 되어, 이 중 음용 가능한 약알칼리수를 식수로 사용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반응은 물의 전기분해 과정에서, 염소, 황산, 유황 등의 음이온은 양 극 전극판으로 이동되어 양극 전해수와 함께 배출됨과 동시에 수산이온(OH_)이 양극에 전자 (e-)를 빼앗겨 산화반응이 일어나서 산소분자(O2)로 되기 때문에, 이때 배출되는 양극 전해수는 수소이온농도가 높아져 산성으로 되는 것이다.
반면, 물 속에 함유된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의 미네랄 성분인 양이온은 음극 전극판으로 이동되어 방전된 후 물에 다시 용해되어 음극 전해수와 함께 배출됨과 동시에 수소이온(H+)이 음극에서 전자 (e-)를 얻어 활성수소가 생성되기 때문에, 이때 배출되는 음극 전해수는 수소이온(H+)농도가 일반적인 물보다 낮아져 알칼리성으로 되며 산화환원전위도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정수기는 3종류의 전해이온수(강알칼리수, 약알칼리수, 산성수)를 생성함에 있어서 물을 한 번만 전기분해하는 것이어서, 유입되는 물의 성질에 따라 음극 부근의 수소이온 농도가 일정치 않고, 양이온의 제거가 충분치 않고, 산화환원전위를 낮추기가 어려워 활성수소가 풍부한 약알칼리수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 본원출원인이 선등록한 특허등록 제419536호에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례 전기분해를 유도토록 함으로서 안정적인 알칼리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무 경막 전기분해 알카리수 및 산성수 제조장치는 전기식 구조를 가지는 장치로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일정 스페이스내에 거치시켜 놓고 사용하는 고정식이므로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할 수 없어 여행 또는 이동중에 수시로 음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 외에도 마그네슘을 주재료로 이용한 알칼리 환원수 제조장치가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348739호를 통해 제안된 바 있으나, 이에 개시된 제조장치 역시 기계적인 구성을 갖기 때문에 제조가 어렵고 휴대가 불가능한 문
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별도의 기계적 장치없이도 일반 음용수를 알칼리수로 간단하게 환원 시킬수 있으며 일반 휴대용 용기처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알칼리수 환원용기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 0363070호를 통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구성에 의하면,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음용수 컵의 입구에 수밀덮계가 개폐가능토록 체결되며, 컵 내부에는 컵의 저부 내경측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그 외주연에는 밀착돌기가 등간격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알칼리 환원제를 수용하고 있는 원통형의 환원제 용기가 탈착가능하게 조립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알칼리수 환원용기는 환원제를 내장한 환원제 용기 외주연에 밀착돌기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컵의 테이퍼진 내면에 억지끼움형식으로 끼워져 고정되므로 컵으로부터 환원제 저장통의 착탈이 용이하지 못하며, 상기 환원제 저장통이 컵내부 바다측에 착탈식으로 끼워질 수 있게 하기 위해선 이를 내 장하는 컵이 하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태를 취할 수 밖에 없으므로 컵이 특정한 형상에 한정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휴대가 간편한 용기의 내부 상, 하부에 환원제를 수납한 필터 환원카트리지를 장착하여 용이하게 용기의 휴대하고 다니면서 손쉽게 알칼리수로 환원된 음용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정수기 내부에 필터 및 환원카트리지의 간단한 구조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용 정수기의 부피를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의 내부에 간단한 탈착 구조로 필터와 환원카트리지를 장착함에 따라 휴대용 정수기의 세척 및 카트리지의 탈착이 원활하여 휴대용 정수기의 유지관리가 편리하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의 내부에 카트리지를 상하부로 각각 배치하는 동시에 환원재를 수납하는 케이스의 표면적을 넓게 형성시켜 통공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여 케이스 내부로 음용수의 유입량 및 교류를 향상시켜 음용수가 신속하게 환원될 수 있도록 하는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는 내부 가 밀폐된 수용공간의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이 밀폐 또는 개방되도록 하는 덮개부를 구비한 용기과, 상기 용기의 개구부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의 충진공간 상부에 수납되며, 내부 중앙에 형성시킨 걸름망을 통하여 투과되는 액체에 함유된 미립화된 이물질을 흡착 및 포집 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필터와, 외부에 복수개의 통공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에 충진된 물을 알칼리수로 환원시키는 광물질의 환원제를 수납한 케이스를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시킨 환원카트리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용기는 수용공간 바닥면 중앙에 수직 상향으로 지지대를 설치하여 상기 환원카트리지 하부면에 형성시킨 고정홈을 끼움 결합시키고 상기 용기의 개구부 외주연 단부에는 덮개부를 결합하여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밀폐 또는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덮개부는 상단부가 경사지게 개구된 내부마개를 개구부에 단부 외주연에 체결한 다음, 상기 내부마개의 개구된 상단부에 뚜껑을 개폐 가능하게 끼움 결합시키되 상기 내부마개와 뚜껑은 힌지 결합되어 회전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터는 용기의 개구부 단부와 동일한 크기의 단턱을 형성시키고 그 하부 방향으로 플랜지를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시키며, 상기 플랜지의 내주연에는 걸름망을 설치하여 개구부 상단부에 단턱이 안착되면서 수용공간 상부에 걸름망이 배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환원카트리지의 케이스는 상부와 하부가 상호 볼록하게 만곡되도록 형성시키거나 또는 다단의 형태로 상부에서 하부의 전체적인 형상을 상협하광으로 형성시켜 케이스의 표면적을 넓혀 통공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에서 환원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100)는 환원대상이 되는 물을 내부의 수용공간(110a)에 충진하는 용기(110)과, 상기 용기(110)의 수용공간(110a) 상부에 배치하여 물의 내부에 함유된 이물질을 포집시키는 필터(120)와, 상기 용기(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음용수를 알칼리수로 환원하는 환원카트리지(130)로 구성한다.
상기 용기(110)은 내부가 밀폐된 수용공간(110a)의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수용공간(110a)이 밀폐 또는 개방되도록 하는 덮개부(111)를 구비한다.
여기서 용기(110)의 수용공간(110a) 바닥면에는 수직 상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지지대(110b)를 설치하여 상기 환원카트리지(130)의 하부면에 형성시킨 고정홈(132b)을 끼움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용기(110)의 외부로 환원카트리지(130)자체를 탈착 할 수 있도록 하여 용기(110) 및 환원카트리지(130)의 세척 또는 환원카트리지의 교환을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덮개부(111)는 내부마개(111a)와 뚜껑(111b)으로 구성되어 용기(110)의 개구부 외주연 단부에 내부마개(111a)를 결합하고 상기 뚜껑(111b)은 내부마개(111a)에 회전 방식으로 내부마개(111a)의 개구된 상부를 밀폐 또는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내부마개(111a)의 하부 내주연에 형성시킨 암나사공(미부호)을 용기(110)의 개구부에 단부 외주연에 형성시킨 숫나사(미부호)에 체결하여 내부마개(111a)와 용기(110)을 상호 긴밀하게 결합시켜 체결된 결합부분을 통하여 외부로 음용수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내부마개(111a)의 개구된 상단부에는 뚜껑(111b)을 개폐 가능하게 끼움 결합시키되 상기 내부마개(111a)와 뚜껑(111b)은 힌지 결합시켜 뚜껑(111b)이 회전방식으로 내부마개(111a)의 상단부에서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내부마개(111a)는 내부를 개구시키고 상단부를 경사지게 형성시켜 사용자가 음용수를 섭취할 때 음용수가 용이하게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용기(110)의 수용공간(110a) 내부에는 음용수의 정수 및 환원을 위한 필터(120)와 환원카트리지(130)를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120)는 용기(110)의 개구부 단부에 결합시켜 상기 용기(110)의 충진공간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여 내부 중앙에 형성시킨 걸름망(123)에 용기(110) 외부로 배출되거나 내부로 공급되는 음용수를 투과시켜 음용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름망(123)에 흡착 및 포집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필터(120)는 용기(110)의 개구부 단부와 동일한 크기의 단턱(111b)을 형성시키고, 그 하부 방향으로 플랜지(122)를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시키며, 상기 플랜지(122)의 내주연에는 걸름망(123)을 설치하여 개구부 상단부에 단턱(111b)이 안착되면서 수용공간(110a) 상부에 걸름망(123)이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름망(123)은 활성탄과 은나노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그 함량은 40:60 ~ 60:4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음용수에 함유된 미립자를 효과적으로 흡착하여 포집 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환원카트리지(130)는 외부에 복수개의 통공(132a)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110a)에 충진된 물을 알칼리수로 환원시키는 광물질의 환원제(131)를 수납한 케이스(132)를 수용공간(110a) 내부 바닥면에 배치시켜 수용공간(110a) 내부에 충진된 음용수가 통공(132a)을 통하여 환원제(131)와 교류되도록 하여 음용수가 알칼리수로 환원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케이스(132)는 상부와 하부가 상호 볼록하게 만곡되도록 형성시키거나 또는 케이스(132) 상부에 꼭지점에서 하부로 확개되는 상협하광 형상으로 형성시키되 이를 다단으로 형성시켜 케이스(132)의 표면적을 넓게 형성시켜 통공(132a)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스(132) 내부에 수납한 환원제(131)와 음용수가 원활하게 교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환원제(131)는 마그네슘, 향균재, 토르말린, 세라믹, 카본 등의 광물질이 적정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도록 하여 마그네슘에 의하여 pH를 증가시켜 음용수를 알칼리수로 환원시키고, 미약 전류를 발생시키는 토르마린에 의해 수분(H₂0)이 전기분해되어 환원수를 미립화시켜 음용수가 체내에 용이하게 흡수되도록 하고, 세라믹에 의해 물을 부드럽게 하며 항균재 및 카본에 의해 음용수 내부에 함유된 이물질을 흡착하여 포집하면서 항균 작용하여 음용수가 정수 및 알칼리수로 환원되도록 한다.
특히, 마그네슘(Mg)의 함량은 5 ~ 20중량%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마그네슘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일 경우 알칼리 환원 정도가 낮고, 20중량% 이상일 경우 pH값을 9.2 ~ 10.0으로 상승시켜 음용수의 알칼리 성분을 증강시킨다.
Mg + 2H2O → MgO2 + 4H+
여기서, 환원제(131)는 구 형상으로 형성시킨 복수개의 환원제(131)를 케이스(132) 내부에 혼합 형태로 수납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10)의 내부에 환원카트리지(130)와 필터(120)를 장착한 상태에서 음용수를 용기(110)의 수용공간(110a) 내부에 충진하게 되면, 필터(120)의 걸름망(123)에 음용수가 투과되면서 음용수 내부에 함유된 미립화된 이물질을 흡착하여 포집시켜 이물질을 걸러 주는 기능을 하며, 동시에 음용수의 항균작용을 하여 수용공간(110a)에 투입되는 음용수를 1차로 정수시킨다.
이후, 용기(110)의 수용공간(110a) 내부에 음용수를 충진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환원카트리지(130)의 통공(132a)을 통하여 음용수가 환원재와 교류되면서 케이스(132) 내부로 유입된 음용수에 함유된 산성수의 분자가 H2O에서 H+, OH-로 변환되어 산성물질을 중화시켜 투입된 음용수의 pH를 증가시킴에 따라 음용수를 알칼리수로 환원시키게 된다.
아래 [표 1]은 수도수 500mL를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100)의 수용공간(110a)에 충진시킨 후 5분 및 24시간 경과 후 상기 정수기 내부의 상기 수도수의 성분 및 함량을 측정한 표이다.
시험 항목 단 위 시료 구분 결과치
pH - 5분 9.2
pH - 24시간 10.0
산화환원전위 mV 5분 -80
산화환원전위 24시간 -340
K mg/L 5분 24.7
K mg/L 24시간 67.0
Zn mg/L 5분 0.03
Zn mg/L 24시간 0.01
Fe mg/L 5분 0.07
Fe mg/L 24시간 0.01
Mg mg/L 5분 5.48
Mg mg/L 24시간 16.7
Ca mg/L 5분 19.4
Ca mg/L 24시간 16.6
Al mg/L 5분 0.26
Al mg/L 24시간 검출안됨
상기 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환원제를 통하여 중성인 음용수의 pH7.5 값이 5분 후 pH 9.2로 약알칼리성으로 환원되고 24시간 경과 후에는 pH 10.0으로 증가함에 따라 음용수를 섭취시 환원력이 강한 성질을 가지는 알칼리수는 수소기체를 포함하고 있어 인체 내에 있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음용수와 환원재의 화학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알칼리 환원수는 물의 성질이 순화되어 육각수의 특성을 보이게 됨에 따라 인체를 외부의 교란으로부터 보호하여 안정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는 휴대가 간편한 용기의 내부에 환원제를 수납한 필터 환원카트리지를 장착하여 용기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손쉽게 알칼리수로 환원된 음용수를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는 휴대용 정수기 내부에 필터 및 환원카트리지의 간단한 구조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용 정수기의 부피를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정수기의 휴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는 용기의 내부에 필터와 환원카트리지의 장착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휴대용 정수기의 세척 및 환원제 공급이 원활하여 유지관리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는 용기의 내부에 카트리지를 상하부로 각각 배치하는 동시에 환원재를 수납하는 케이스의 표면적을 넓게 형성시켜 통공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여 케이스 내부로 음용수의 유입량 및 교류를 향상시켜 음용수가 신속하게 환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내부가 밀폐된 수용공간의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이 밀폐 또는 개방되도록 하는 덮개부를 구비한 용기로 이루어진 휴대용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개구부 단부와 동일한 크기의 단턱을 형성시켜 상기 용기의 개구부 상단부에 안착되어 충진공간 상부에 수납되도록 하고, 상기 단턱의 하부 방향으로 플랜지를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시킨 다음 상기 플랜지의 내주연에 걸름망을 설치하여 수용공간 상부에 걸름망이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걸름망은 활성탄과 은나노 성분으로 이루어져 걸름망을 통하여 투과하는 액체에 함유된 미립화 이물질을 흡착 및 포집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필터와,
    상기 용기의 수용공간 바닥면 중앙에 수직 상향으로 형성시킨 지지대에 끼움 결합되도록 케이스의 하부면에 고정홈을 형성시켜 케이스를 용기의 바닥 부분에 위치시키고, 상기 케이스는 상부와 하부가 상호 볼록하게 만곡되도록 형성시킨 다음 외부에 복수개의 통공을 형성시키되, 케이스의 내부에는 마그네슘, 향균재, 토르말린, 세라믹 및 카본으로 이루어진 광물질의 환원제를 수납하여 수용공간에 충진된 물을 알칼리수로 환원시키도록 하는 환원카트리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과 은나노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걸름망은, 그 함량이 40:60 ~ 60:4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카트리지의 마그네슘 함량은 5~20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KR1020070017283A 2007-02-21 2007-02-21 휴대용 정수기 KR100846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283A KR100846199B1 (ko) 2007-02-21 2007-02-21 휴대용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283A KR100846199B1 (ko) 2007-02-21 2007-02-21 휴대용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199B1 true KR100846199B1 (ko) 2008-07-14

Family

ID=39824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283A KR100846199B1 (ko) 2007-02-21 2007-02-21 휴대용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19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792B1 (ko) 2008-07-15 2010-06-25 유진곤 휴대용 정수기
KR101414095B1 (ko) 2013-01-22 2014-07-01 한국과학기술원 휴대용 정수물통
KR200481586Y1 (ko) * 2016-04-14 2016-10-19 김해용 필터교환이 용이한 휴대용 용기
WO2017217616A1 (ko) * 2016-06-16 2017-12-21 주식회사 플러스 휴대용 정수 수통
RU182048U1 (ru) * 2017-09-27 2018-08-0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Д "МЕР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очищенной щелочной воды
US10143949B2 (en) 2012-03-20 2018-12-04 Brita Gmbh Method of manufacturing a cartridge for a fluid treatment system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760Y1 (ko) 2004-04-06 2004-09-07 주식회사 워터스 휴대용 정수기
KR200363070Y1 (ko) 2004-07-06 2004-09-23 주식회사 몰라노 알칼리수 환원 용기
KR200370500Y1 (ko) 2004-09-07 2004-12-23 유창호 휴대용 알칼리수화 정수기
KR200408142Y1 (ko) * 2005-11-21 2006-02-07 주식회사 워터스 휴대용 정수기
KR200408986Y1 (ko) 2005-11-30 2006-02-20 주식회사 뮤보다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제조용기
KR200429134Y1 (ko) * 2006-08-09 2006-10-18 한국바이오기술공사 주식회사 자연 여과식 정수기능을 구비한 알칼리 환원수 생성기
KR100674167B1 (ko) * 2006-03-30 2007-01-29 주식회사 거산 휴대용 알칼리환원 수 생성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760Y1 (ko) 2004-04-06 2004-09-07 주식회사 워터스 휴대용 정수기
KR200363070Y1 (ko) 2004-07-06 2004-09-23 주식회사 몰라노 알칼리수 환원 용기
KR200370500Y1 (ko) 2004-09-07 2004-12-23 유창호 휴대용 알칼리수화 정수기
KR200408142Y1 (ko) * 2005-11-21 2006-02-07 주식회사 워터스 휴대용 정수기
KR200408986Y1 (ko) 2005-11-30 2006-02-20 주식회사 뮤보다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제조용기
KR100674167B1 (ko) * 2006-03-30 2007-01-29 주식회사 거산 휴대용 알칼리환원 수 생성기
KR200429134Y1 (ko) * 2006-08-09 2006-10-18 한국바이오기술공사 주식회사 자연 여과식 정수기능을 구비한 알칼리 환원수 생성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792B1 (ko) 2008-07-15 2010-06-25 유진곤 휴대용 정수기
US10143949B2 (en) 2012-03-20 2018-12-04 Brita Gmbh Method of manufacturing a cartridge for a fluid treatment system
KR101414095B1 (ko) 2013-01-22 2014-07-01 한국과학기술원 휴대용 정수물통
KR200481586Y1 (ko) * 2016-04-14 2016-10-19 김해용 필터교환이 용이한 휴대용 용기
WO2017217616A1 (ko) * 2016-06-16 2017-12-21 주식회사 플러스 휴대용 정수 수통
RU182048U1 (ru) * 2017-09-27 2018-08-0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Д "МЕР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очищенной щелочной вод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1222U (ko) 휴대용 정수기
KR100846199B1 (ko) 휴대용 정수기
TW536526B (en) Pitcher type water purifier and purification cartridge for the water purifier
RU2329084C2 (ru) Водный фильтр
CN205635107U (zh) 滤芯、滤芯组件以及洗漱水处理器
CN205974059U (zh) 滤芯、滤芯组件以及洗漱水处理器
KR200408986Y1 (ko)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제조용기
KR101120645B1 (ko) 기능성 복합 필터
CN110451713A (zh) 一种基于plc的游泳池循环水处理系统
CN203754525U (zh) 一种全自动反冲洗式制水设备
JP2009279574A (ja) 浄水器
JP2005013925A (ja) 還元水生成部材
CN205635235U (zh) 滤芯、滤芯组件以及洗漱水处理器
KR101929496B1 (ko) 수소함유수 제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텀블러
JP2004344777A (ja) 還元水生成具
KR200408984Y1 (ko)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제조용기
KR20080081672A (ko) 용존 산소 공급용 휴대 정수기
CN1673101A (zh) 便携袋式净水器
RU2264990C1 (ru)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одоочистки
KR100988465B1 (ko) 전기살균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CN209178151U (zh) 一种便捷式净水机
KR101972893B1 (ko) 수소발생기를 구비한 휴대용 물통
CN217947863U (zh) 一种净化组件以及净水器
KR200426293Y1 (ko) 맥반석 정수기
CN205635154U (zh) 滤芯、滤芯组件及具有滤芯组件的洗漱水处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