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904B1 - 액체 수용 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904B1
KR101301904B1 KR1020130012384A KR20130012384A KR101301904B1 KR 101301904 B1 KR101301904 B1 KR 101301904B1 KR 1020130012384 A KR1020130012384 A KR 1020130012384A KR 20130012384 A KR20130012384 A KR 20130012384A KR 101301904 B1 KR101301904 B1 KR 101301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quid
layer
lower layer
upp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균
Original Assignee
정용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균 filed Critical 정용균
Priority to KR1020130012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904B1/ko
Priority to PCT/KR2014/000504 priority patent/WO201411986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6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수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상방이 개구된 하층부(120)와, 상기 하층부(12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상층부로 이루어져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의 하층부(120)와 상층부에 형성되는 경계부(130)에서 움직임이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어 상기 하층부(120)에 공기블럭층(B)을 형성하는 상하분리판(200)을 포함하도록 하여, 환원제(R)를 이용한 화학적인 반응에 의해 일반 액체를 알칼리 환원수로 환원시키는 환원기능을 갖추게 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음용수를 손쉽고 편리하게 마실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용기에 수용된 액체와 공기블럭층에 의해 환원제가 공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원제 사용 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이한 종류의 액체를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나누거나 합칠 수 있게 하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액체 수용 용기{A Liquid Vessel}
본 발명은 액체 수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의 상층부와 하층부의 사이에 천공된 홀을 가진 상하분리판을 구비하여 한 용기 내에서 공기블럭층을 형성시켜 상층부와 하층부에 수용된 액체를 인위적으로 분리 혼합 가능하게 함으로써, 하층부에 알칼리 환원제가 구비되는 경우 공기 접촉을 차단하여 알칼리 환원제의 산화를 방지하며, 음용 시에는 알칼리 환원제에 의해 환원된 하층부의 환원수와 상층부의 액체를 혼합하여 희석된 알칼리 환원수를 제공하게 하고, 또한 서로 다른 두 액체를 분리 또는 혼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수 등의 음용수는 밀폐용 캡이 구비되어 있는 투명 용기(容器; a container)에 담아 보관하게 된다.
이러한 밀폐형 투명 용기는 수납되는 내용물에 따라 대략 병이나 그릇 형태로 그 종류가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내용물의 부패 방지 및 지연을 위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밀폐용 캡이 구비되어 있고, 밀폐 기능을 높여 진공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하는 진공 용기도 구비되어 있다.
또한, 투명용기는 보관 시 내부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빛이 투과 될 수 있는 유리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용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여러 유용한 성분을 배합하여 제작되기도 한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연 건강식품의 생성 및 보관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용기가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인간의 신진대사에 필요한 물의 중요성이 높이 인식됨에 따라, 소비자들은 깨끗한 물, 몸에 좋은 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인간의 몸속에서 노화나 성인병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활성산소 또는 산성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알칼리 환원수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알칼리 환원수를 생성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또는 장치 등이 제안되고 있다.
알칼리 환원수는 높은 PH 범위 (8.5 ~ 10)를 가지며, 0 ~ -200mV에 이르는 낮은 산화 환원 전위(ORP)를 갖도록 처리된 물이다. 이러한 물은 산성화된 체액을 알칼리성으로 되돌려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음용하면 위장증상(만성설사,소화불량,위장내 이상발효,위산과다) 개선에 도움이 된다.( 식약청 "알칼리이온수기 관리개선방안공지"2007년 11.30)
이러한 알칼리 환원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물을 전기 분해시키는 방법과, 마그네슘 칼슘등 알칼리토금속및 미네랄을 물과 반응시켜 만드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물의 전기 분해를 통하여 알칼리수를 생성하는 방법은 가격이 비싸며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며 휴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알칼리토 금속과 미네랄등을 물과 반응시켜 알칼리수를 생성시키는 방법(M+2H2O⇔M2 ++2OH-+H2(H+H H2), M=Mg 또는 Ca)이 적용된 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병(1)의 하부체(2)를 분할 형성하여 병(1)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부(1a)와 하부체(2)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부(2a)에 의하여 병(1)과 하부체(2)를 서로 결합분리 할 수 있게 하고 하부체(2)에는 알칼리토 금속이온(S) 또는 미네랄 등을 담는 망공(3a)이 형성된 망상용기(3)를 내장하여 상기 병(1)에 하부체(2)를 결합하여, 병(1)의 하단부가 망상용기(3)를 고정하게 되어 병에 담긴 물이 하부체(2)에 담긴 광물질(S)(물을 알칼리성으로 바꾸어 줄 수 있는 미네랄이 함유된 광물소재 세라믹들이 볼형태로 충진되어 있는 것으로, 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마그네슘, 칼슘과 같은 미네랄)과 반응할 경우 마그네슘 한 분자와 물 2분자가 반응을 하게 되며, 마그네슘은 유리되지 않고 수산화마그네슘이 형성, 이과정에서 마그네슘에서 나온 전자의 일부는 수소기체형성에 사용되고 나머지 전자는 물속에 남아 있음. 수산화마그네슘은 이온화되어 수산화기(OH-)가 형성되며, 마그네슘은 산화되고 대신 물은 환원되어 환원수가 되는 과정에서 인간의 노화 및 각종 성인병의 원인물질로 알려진 활성산소(FREE RADICAL)를 제거하는 활성수소가 풍부한 알칼리수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용기는 병(1)과 하부체(2)가 일체화된 구조이므로 외부로부터 음용수 투입 시 그 물이 하부체(2)에 있는 알칼리토 광물질과 반응하여 생성시킨 활성수소가 기포가 되어 바로 공기 중으로 날아가 버려 우리 몸에 좋은 활성수소가 풍부하게 용존 된 고품질의 알칼리이온수를 만드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용기는 서로 다른(종류 혹은 농도) 두 액체를 일정비율로 혼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커피, 분유, 농축 주스, 혼합주, 고농도 물질을 희석시키는데 외부의 또 다른 용기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액체 수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 내부에 인위적으로 공기블럭층을 형성시켜 미네랄 알칼리 환원제가 물과 반응하여 형성된 하층부에서 생성된 수소기체가 공기 중으로 쉽게 빠져 나가는 것을 막고 오래도록 물과 접촉하게 하여 높은 용존 수소를 함유한 알칼리 환원수를 만들 수 있게 하며, 또한 한 용기 내에서 서로 다른 내용물을 편리하게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상층부와, 상기 상층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하층부로 이루어져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층부와 하층부에 형성되는 경계부에서 움직임이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어 상기 하층부에 공기블럭층을 형성하는 상하분리판을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상하분리판은 복수의 통기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통기홀은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작은 상협하광의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층부와 하층부 사이에 형성된 상기 경계부는 상기 용기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경계부의 내측 높이가 상기 상하분리판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상하분리판이 상기 경계부 내측에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층부에는 알칼리 환원제가 구비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액체를 알칼리 환원수로 환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분리판은 여러 모양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는 상층부 상면을 개폐하는 제1커버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한 용기 내에서 인위적으로 공기 블럭층을 형성시켜 용기 내부에 형성된 상층부와 하층부의 액체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하여 환원제를 이용한 화학적인 반응에 의해 얻어진 활성산소 제거물질인 활성수소가 쉽게 날아가 없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며 이 기체가 용기 내 액체에 잘 녹게 하여 양질의 의료물질(알칼리 환원수)을 생성하게 한다.
또한, 용기에 수용된 액체와 공기블럭층에 의해 환원제가 공기에 노출되는 빈도수를 줄여 환원제의 산화를 방지하여 환원제 사용 기간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용기의 상층부와 하층부에 다른 종류의 액체를 수용시킨 상태에서 간단한 동작으로 액체의 혼합을 가능케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액체 수용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액체 수용 용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액체 수용 용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액체 수용 용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액체 수용 용기에서 경계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액체 수용 용기에서 환원제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액체 수용 용기의 상층부에 액체가 채워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액체 수용 용기가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액체 수용 용기의 상층부와 하층부에 액체가 채워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액체 수용 용기가 역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액체 수용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액체 수용 용기는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부(110)와 하층부(120)로 이루어져 물, 음료, 주류 등을 포함하는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100)와, 상층부(110)와 하층부(120)의 경계부(130)에 삽입되며 공기블럭층(B)을 형성하는 상하분리판(200)을 포함한다.
용기(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부(110)와 하층부(120)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때 상층부(110)의 높이와 하층부(120)의 높이에 대한 비율은 무관하지만 상층부(110)의 높이가 하층부(120)의 높이 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층부(110)의 액체가 하층부(120)로 이동한 후에도 일정량이 남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층부(110)는 하층부(120)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방과 하방이 개구되어 외부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아 하층부(120)로 액체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상층부(110) 상부에는 상층부(110)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는 제1커버(111)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층부(110)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한다.
하층부(120) 또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상층부(1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방이 개구된 상태로 이루어져 상층부(110)의 액체를 공급받을 수 있게 한다.
한편, 하층부(120)의 빈 공간에는 액체를 공급받고 남은 공간에 공기블럭층(B, 도 6 및 도 8 참조)이 형성되는데 공기블럭층(B)은 용기(100)의 경계부(130)에 삽입된 상하분리판(200)에 의해 형성된다.
하층부(120) 하부에는 저면이 평평한 제2커버(121)가 구비되도록 하여 용기(100)를 테이블이나 식탁, 또는 바닥과 같은 곳에 놓을 때 넘어지지 않고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층부(110)의 상부와 하층부(120)의 하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게 하며, 제1커버(111)와 제2커버(121) 내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게 하여 제1커버(111)와 제2커버(121)가 회전에 의해 상층부(110)와 하층부(120)로부터 개폐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층부(110)와 하층부(120)로 이루어진 용기(100)는 투명 재질로 구비되며, 외측에는 눈금이 표시되어 용기(100)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양을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층부(11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의 길이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하층부(120)는 상층부(110)에 비해 직경의 길이가 넓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기(100)의 상부를 잡을 때 뿐만 아니라 용기(100)의 중간 부위를 잡을 때도 상층부(110)와 하층부(120)의 직경 차이로 인해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분리판(200)은 상층부(110)와 하층부(120) 사이에 삽입되는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용기(100)의 상층부(110)와 하층부(120) 사이에 상층부(110)와 하층부(120)를 구분하는 소정 높이의 경계부(130)가 형성되게 하며, 경계부(130) 내측에 상하분리판(200)이 소정 각도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삽입 장착된다.
상하분리판(200)은 복수의 통기홀(210)이 관통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용기(100)에 액체 수용 시 상층부(110)의 액체가 하층부(120)로 전달되거나 하층부(120)의 액체가 상층부(110)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층부(110)와 하층부(120) 사이에 형성된 경계부(130)는 용기(1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경계부(130)의 내측 높이가 상하분리판(200)의 두께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하분리판(200)이 경계부(130) 내측에서 소정 각도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경계부(130)의 내경이 상하분리판(2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경계부(130)와 상하분리판(200) 사이의 갭으로 액체와 공기가 이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상층부(110)와 내경이 상층부(110) 보다 넓게 형성된 하층부(120) 사이에 형성된 경계부(130)에 상하분리판(200)을 삽입시키는 공법은 용기(100)의 경계부(130) 외측에 열을 가하여 경계부(130)를 팽창시킨 상태에서 용기(100)의 상층부(110) 내부를 통해 상하분리판(200)을 삽입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하분리판(200)은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용기에 따라 여러 모양으로 적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하분리판(200)의 형상이 변경되면 상하분리판(200)을 수용하는 경계부(130)의 형상도 변경되는 것이 당연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홀(210)은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작은 상협하광의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부 직경은 1.3mm ~ 1.7mm로 설정하며 하부 직경은 상부 직경보다 대략 1.0mm 넓은 2.3mm ~ 2.7mm 정도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통기홀(210)의 상부 직경을 작게 하는 주된 이유는 액체의 표면장력에 의하여 상층부(110)의 액체가 하층부(120)로 쉽게 유입되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하부 직경을 크게 하는 이유는 상하분리판(200)의 이동에 따라 상층부(110)의 액체가 하층부(120)로 유입될 때 하층부(120)에 형성된 공기블럭층(B)의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상층부(110)로 배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층부(110)와 하층부(120) 사이의 액체 통과가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통기홀(210)이 형성된 상하분리판(200)이 용기(100)의 경계면 내부에서 소정 각도 움직이게 됨으로 인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층부(110)와 하층부(120) 사이의 액체가 상하분리판(200)을 통과하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를 세운 상태에서 용기(100)의 상층부(110)에 액체가 공급되면 그 액체가 상하분리판(200)을 통과하여 하층부(120)로 전달되지 못하고 상층부(110)에 고이게 되는데 이는 상하분리판(200)에 형성된 통기홀(210)의 상부 직경이나 상하분리판(200)의 두께가 액체의 표면장력을 일으키는 구조로 되어있어 상층부(110) 내부에 고인 액체의 수압이 하층부(120)에 형성된 공기블럭층(B)을 통과하지 못하여 하층부(120)로의 액체 전달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를 소정 각도 기울이게 되면 경계부(130) 내부의 상하분리판(200)도 기울어지면서 상하분리판(200)과 경계부(130) 사이에 갭(gap)이 발생되며, 이 갭을 통해 상층부(110)의 액체가 하층부(120)로 유입된다. 이때, 하층부(120)의 공기블럭층(B)의 공기는 상하분리판(200)의 통기홀(210)을 통해 액체가 하층부(120)로 유입된 만큼 기포를 형성하여 상층부(110)로 배출되면서 상층부(110)와 하층부(120)의 액체를 혼합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하층부(120)에 일정량의 액체가 유입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를 다시 세우게 되면 하층부(120)에 일정량의 액체가 채워지게 되며 상층부(110)에는 일정량의 액체가 소진되고 남은 액체 고이게 되고, 하층부(120)의 공기블럭층(B)은 액체가 채워진 만큼 그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를 역방향으로 기울이게 되면 경계부(130) 내부의 상하분리판(200)도 기울어지면서 상하분리판(200)과 경계부(130) 사이에 갭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 갭을 통해 하층부(120)의 액체가 다시 상층부(110)로 유입된다. 또한, 하층부(120)의 액체가 상층부(110)로 유입된 만큼 하층부(120)의 공기블럭층(B)은 그 크기가 커지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용기(100)의 상층부(110)에 채워진 액체가 용기(100)의 기울어짐에 따라 하층부(120)로 전달되게 하며, 하층부(120)로 전달된 액체 또한 용기(100)의 기울어짐에 따라 다시 상층부(110)로 전달되게 하는 것이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의 하층부(120)에 알칼리 환원제(R)를 구비시킨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각도 기울여 하층부(120)의 액체를 알칼리 환원수로 환원시킨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으로 기울이게 되면 하층부(120)의 알칼리 환원수가 상층부(110)의 액체와 혼합되어 희석된 알칼리 환원수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100) 상부를 잡은 상태에서 손목을 일정속도로 1회 또는 2회 회전시킨 후 멈추면 회전하는 힘에 의하여 용기(100)내 하층부(120)의 액체와 공기블럭층(B)의 공기가 상하분리판(200)의 통기홀(210)을 통하여 상층부(110)로 올라오며 이때 하층부(120)의 공기가 상하분리판(200)의 통기홀(210)을 빠져나가는 유속에 의하여 압력차가 발생하여 상하분리판(200)이 그 유격 내에서 움직이며 상층부(110)의 액체가 상하분리판(200)의 움직임에 의해 생긴 틈 사이로 하층부(120)로 이동함으로써 하층부(120)의 액체와 상층부(110)의 액체가 서로 빠른 속도로 혼합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의 하층부(120)에 수용된 액체는 환원제(R)가 공기에 노출되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원제(R) 사용 기간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즉, 상하분리판(200)을 통해 하층부(120)에 수용되는 액체의 양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어 환원제(R)가 공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술자리에서 혼합주를 제조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인 액체 수용 용기를 사용할 수 있는데 먼저 상층부(110)에 제1주류(X)를 넣고 소정 각도 기울여 상층부(110)의 제1주류(X)를 모두 하층부(120)로 유입시킨 다음 상층부(110)에 제2주류(Y)를 일정량 넣고 제1커버(111)를 닫은 후 용기(100) 상부를 잡은 상태에서 손목을 일정속도로 1회 또는 2회 회전시킨 후 멈추면 회전하는 힘에 의하여 용기(100)내 하층부(120)의 제1주류(X)와 공기블럭층(B)의 공기가 상하분리판(200)의 통기홀(210)을 통하여 상층부(110)로 올라오며 이때 하층부(120)의 공기가 상하분리판(200)의 통기홀(210)을 빠져나가는 유속에 의하여 압력차가 발생하여 상하분리판(200)이 그 유격 내에서 움직이며 상층부(110)의 제2주류(Y)가 상하분리판(200)의 움직임에 의해 생긴 틈 사이로 하층부(120)로 이동함으로써 하층부(120)의 제1주류(X)와 상층부(110)의 제2주류(Y)가 서로 빠른 속도로 혼합되게 하여 혼합주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용기 110 : 상층부
111 : 제1커버 120 : 하층부
121 : 제2커버 130 : 경계부
200 : 상하분리판 210 : 통기홀
R : 환원제 B : 공기블럭층

Claims (7)

  1.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상층부와, 상기 상층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하층부로 이루어져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층부와 하층부에 형성되는 경계부에서 움직임이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어 상기 하층부에 공기블럭층을 형성하는 상하분리판; 상하분리판은 복수의 통기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통기홀은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작은 상협하광의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층부와 하층부 사이에 형성된 상기 경계부는 상기 용기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경계부의 내측 높이가 상기 상하분리판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상하분리판이 상기 경계부 내측에서 움직임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층부에는 알칼리 환원제가 구비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액체를 알칼리 환원수로 환원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분리판은 원형 혹은 다각형의 모양으로 적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층부 상면을 개폐하는 제1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7. 삭제
KR1020130012384A 2013-02-04 2013-02-04 액체 수용 용기 KR101301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384A KR101301904B1 (ko) 2013-02-04 2013-02-04 액체 수용 용기
PCT/KR2014/000504 WO2014119863A1 (ko) 2013-02-04 2014-01-17 액체수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384A KR101301904B1 (ko) 2013-02-04 2013-02-04 액체 수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904B1 true KR101301904B1 (ko) 2013-08-29

Family

ID=49221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384A KR101301904B1 (ko) 2013-02-04 2013-02-04 액체 수용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1904B1 (ko)
WO (1) WO20141198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654A (ko) 2015-09-21 2017-03-29 안광호 휴대용 차(茶) 겸용 수소수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234B1 (ko) * 2016-05-04 2019-09-02 하디 슈타인만 휴대용 음료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991Y1 (ko) 2006-09-07 2006-11-27 최강수 휴대용 음용수 변환용기
KR20090038076A (ko) * 2007-10-15 2009-04-20 한기호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생성기
KR20090011222U (ko) * 2008-04-29 2009-11-03 주식회사 홈인솔루션 휴대용 정수기
KR20120109853A (ko) * 2011-03-28 2012-10-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기능수 보관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991Y1 (ko) 2006-09-07 2006-11-27 최강수 휴대용 음용수 변환용기
KR20090038076A (ko) * 2007-10-15 2009-04-20 한기호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생성기
KR20090011222U (ko) * 2008-04-29 2009-11-03 주식회사 홈인솔루션 휴대용 정수기
KR20120109853A (ko) * 2011-03-28 2012-10-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기능수 보관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654A (ko) 2015-09-21 2017-03-29 안광호 휴대용 차(茶) 겸용 수소수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9863A1 (ko)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5597B2 (en) Beverage container and lid assembly
US20070221556A1 (en) Container for Reducing alkaline Water
JP6181316B2 (ja) 機能水生成装置
AR075107A1 (es) Una capsula para la preparacion de una bebida a partir de una sustancia contenida en la misma y metodo para preparar dicha bebida
TWI660918B (zh) 水素水生成器和水素水生成容器
KR101972810B1 (ko) 첨가물 수납공간이 구비된 텀블러
CN107529873B (zh) 具有多功能杯盖的多功能水杯
JP2004174301A (ja) 高水素濃度水製造用構造物
KR101301904B1 (ko) 액체 수용 용기
US20190193913A1 (en) Hydrogen generator for beverages
KR200408986Y1 (ko)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제조용기
CN104477523B (zh) 一种内置固体饮料的即泡即饮式饮料瓶
WO2013001926A1 (ja) オゾン液生成器及びオゾン液生成方法ならびに便器
JP2013094747A (ja) オゾン液生成器及びオゾン液生成方法
CN105152304A (zh) 一种采用臭氧法处理尾矿浆或废水的反应器
KR101263148B1 (ko)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가 부착된 생수통 뚜껑 결합장치
CN206782482U (zh) 一种固液分装瓶盖及固液分装瓶
CN212667972U (zh) 带有隔板的容器
KR100985503B1 (ko) 탄산음료수 배출용 마개
JP2014094361A (ja) ガス発生装置
CN205240331U (zh) 一种拉爆式饮料瓶盖
KR101700091B1 (ko) 탄산을 추가하는 비드 및 상기 비드를 이용한 음료병
CN210823696U (zh) 一种容纳待泡物的盖体和可容纳待泡物的瓶子
CN205060359U (zh) 一种旋转式饮料瓶盖
KR20100000038A (ko) 병뚜껑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