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130B1 - 흡착 방식의 낱장분리드럼을 구비한 합지장치 - Google Patents

흡착 방식의 낱장분리드럼을 구비한 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130B1
KR101227130B1 KR1020120040841A KR20120040841A KR101227130B1 KR 101227130 B1 KR101227130 B1 KR 101227130B1 KR 1020120040841 A KR1020120040841 A KR 1020120040841A KR 20120040841 A KR20120040841 A KR 20120040841A KR 101227130 B1 KR101227130 B1 KR 101227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drum
separation
sw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돈규
Original Assignee
박돈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돈규 filed Critical 박돈규
Priority to KR1020120040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1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70/10Feeding or positioning web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으로 두 시트가 중첩되어 생산되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시트들이 적층된 적재부에서 시트를 1장씩 분리하는 낱장분리부를 도입하고, 이송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제1시트 위에 정확하게 제2시트가 겹쳐지도록 하기 위하여 흡착분리부재와 낱장분리드럼을 구성한 시트공급부를 구비한 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 방식의 낱장분리드럼을 구비한 합지장치는 제1시트들이 적층되어 있는 제1적재부, 스윙받침부재와, 이 스윙받침부재와 교대로 제1적재부의 최하부 제1시트와 접촉하여 최하부 제1시트를 흡착하여 당기는 흡착분리부재를 포함하는 제1낱장분리부, 그리고 상기 제1낱장분리부의 흡착분리부재로부터 제1시트를 전달받는 제1낱장분리드럼을 포함하는 제1시트공급부; 제1시트공급부에서 제1시트를 전달받는 제1이송부; 제2시트들이 적층되어 있는 제2적재부, 스윙받침부재와, 이 스윙받침부재와 교대로 제2적재부의 최하부 제2시트와 접촉하여 최하부 제2시트를 흡착하여 당기는 흡착분리부재를 포함하는 제2낱장분리부, 그리고 상기 제2낱장분리부의 흡착분리부재로부터 제2시트를 전달받는 제2낱장분리드럼을 포함하는 제2시트공급부; 제2시트공급부에서 제2시트를 전달받아 제1시트 상부에 적층하는 제2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흡착 방식의 낱장분리드럼을 구비한 합지장치{LAMINATING APPARATUS EQUIPPED WITH ASPIRATING AND SEPARATING DRUM FOR A SHEET}
본 발명은 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두 시트가 중첩되어 생산되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시트들이 적층된 적재부에서 시트를 1장씩 분리하는 낱장분리부를 도입하고, 이송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제1시트 위에 정확하게 제2시트가 겹쳐지도록 하기 위하여 흡착분리부재와 낱장분리드럼, 나아가 제2시트를 위한 역전드럼을 더 도입한 시트공급부를 구성한 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합지장치 또는 흡착에 의한 시트 이송장치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197768호(등록일자 2000년07월14일) [종이 코팅용 급지장치]가 있는데,
상기 등록고안은 공기를 빨아 들일 때 발생되는 흡착력을 이용하여 인쇄종이가 낱장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수성 점착제가 도포된 필름 쪽으로 인쇄종이를 이송시켜 인쇄종이에 필름이 코팅되도록 한 종이 코팅용 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재부의 인쇄종이를 합지부 쪽으로 이송시켜 필름이 인쇄종이에 코팅되도록 인쇄종이를 이송시키는 종이 코팅용 급지장치에 있어서, 인쇄종이가 놓이는 급지테이블이 구비되고 급지테이블의 저면에는 흡입파이프와 연결된 흡입실이 구비되며, 급지테이블에는 흡입실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급지테이블을 지나가는 흡착벨트에는 구멍과 연통되는 흡착구멍이 다수개 형성되어 흡입실의 흡입력이 구멍과 흡착구멍을 통해 흡착벨트 표면으로 전달되고 흡착벨트 표면에 놓인 인쇄종이가 흡착벨트에 달라 붙은 상태로 흡착벨트와 함께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특허등록 제10-1124421호(등록일자 2012년02월29일) [종이 용기의 제조장치]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코너부위를 밀봉시키는 접이식 날개가 없는 구조의 종이 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또 뚜껑 부분에 투명한 창이 형성되어 있어 내부의 내용물을 볼 수 있게 하는 투명 창을 갖는 종이 용기를 한 개의 기계 설비 및 일련의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특허등록 제10-1035861호(등록일자 2011년05월13일) [시이트 종이 보관 및 분배 장치]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테이프의 감김 및 풀림에 의해 시이트 종이를 보관하고 분배하는 시이트 종이 보관 및 분배 장치로, 이를 통하여 시이트 종이 보관 및 분배 장치는 테이프의 이송 속도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취하고 있다.
아울러 특허등록 제10-1050725호(등록일자 2011년07월14일) [터치패널용 시트 합지기 및 그에 사용되는 베이스]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단순한 구성과 프로세스에 의해 터치패널용 시트의 합지이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정해진 두께의 갭을 가지도록 제1기판과 제2기판을 합지시키는 프로세스가 안정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터치패널용 시트 합지기 및 그에 사용되는 베이스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들은 모두 흡착에 의한 시트 이송 기술을 제시하고 있으나,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대량의 시트가 적층된 적재부에서 시트의 낱장을 신속하게 연속 분리 공급하고, 중단 없이 이송되는 제1시트 위에 제2시트를 중첩 공급하는 기술을 제시한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과는 근본적인 차이를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은 자동으로 두 시트가 중첩되어 생산되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시트들이 적층된 적재부에서 시트를 1장씩 분리하는 낱장분리부를 도입하고, 이송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제1시트 위에 정확하게 제2시트가 겹쳐지도록 하기 위하여 흡착분리부재와 낱장분리드럼을 구성한 시트공급부를 갖는 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하 방향성을 갖는 시트에 대하여 특정 면이 하부를 향한 상태로 시트가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역전드럼을 더 도입한 시트공급부를 갖는 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장치에 의하여 제1시트 공급부 및 제2시트공급부가 작동하게 되고,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이송부를 도입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낱장분리드럼의 회전방향을 이송부의 이송방향과 동일하게 한 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적재부에 적층된 시트의 낱장이 흡착분리부재에 의하여 흡착되어 아래로 당겨진 상태에서 완전히 최하부 시트를 분리하기 위하여 시트를 끌기 위하여 갈퀴 역할을 하는 리세스를 낱장분리드럼에 형성한 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착 방식의 낱장분리드럼을 구비한 합지장치는
제1시트들이 적층되어 있는 제1적재부,
스윙받침부재와, 이 스윙받침부재와 교대로 제1적재부의 최하부 제1시트와 접촉하여 최하부 제1시트를 흡착하여 당기는 흡착분리부재를 포함하는 제1낱장분리부, 그리고
상기 제1낱장분리부의 흡착분리부재로부터 제1시트를 전달받고 흡착공을 구비한 제1낱장분리드럼
을 포함하는 제1시트공급부;
제1시트공급부에서 제1시트를 전달받고, 이송롤러와 시트누름부재를 구비한 제1이송부;
제2시트들이 적층되어 있는 제2적재부,
스윙받침부재와, 이 스윙받침부재와 교대로 제2적재부의 최하부 제2시트와 접촉하여 최하부 제2시트를 흡착하여 당기는 흡착분리부재를 포함하는 제2낱장분리부, 그리고
상기 제2낱장분리부의 흡착분리부재로부터 제2시트를 전달받는 제2낱장분리드럼
을 포함하는 제2시트공급부;
제1이송부와 연결되어 제1시트가 이송되고, 제2시트공급부에서 제2시트를 전달받아 제1시트 상부에 적층하고, 이송롤러와 시트누름부재를 구비한 제2이송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흡착 방식의 낱장분리드럼을 구비한 합지장치에서
제2시트공급부의 제2낱장분리드럼 하부에는 상호 접촉하는 제2시트 역전드럼이 더 구비되어 있고,
제1 및 제2 낱장분리드럼의 회전방향은 제1 및 제2 이송부의 이송방향과 동일하며,
제1시트공급부의 제1낱장분리드럼 또는 제2시트공급부의 제2낱장분리드럼, 또는 이들 모두는 외주면에 리세스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 방식의 낱장분리드럼을 구비한 합지장치는 자동으로 두 시트가 중첩되어 생산되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시트들이 적층된 적재부에서 시트를 1장씩 분리하는 낱장분리부를 도입하고, 이송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제1시트 위에 정확하게 제2시트가 겹쳐지도록 하기 위하여 흡착분리부재와 낱장분리드럼을 구성한 시트공급부를 도입하고, 또 상하 방향성을 갖는 시트에 대하여 특정 면이 하부를 향한 상태로 시트가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역전드럼을 더 도입하며, 나아가 하나의 구동장치에 의하여 제1시트 공급부 및 제2시트공급부가 작동하게 되고,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이송부를 도입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낱장분리드럼의 회전방향을 이송부의 이송방향과 동일하게 하고, 아울러 갈퀴 역할을 하는 리세스를 낱장분리드럼에 형성하여 적재부에 적층된 시트의 낱장이 흡착분리부재에 의하여 흡착되어 아래로 당겨진 상태에서 완전히 최하부 시트를 분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서 제1낱장분리부를 포함하는 제1시트공급부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서 제2낱장분리부를 포함하는 제2시트공급부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서 제1시트공급부의 동작 관련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서 제2시트공급부의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서 제1접이부에 대한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에서 제2 및 제3 접이부에 대한 요부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 방식의 낱장분리드럼을 구비한 합지장치(A)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제1시트(S1)가 적층된 제1적재부(11)측을 전방으로 정하고, 완성품배출부(60)측을 후방으로 정하며, 도시된 상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를 나누고, 관찰자가 완성품배출부(60)에서 제1적재부(11)를 바라 본 상태에서 좌우를 나누며,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특별한 언급(예: 시트(S1,S2)의 날개부와 관련한 설명)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기술한다(이를 '장치기준 방향'이라 칭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착 방식의 낱장분리드럼을 구비한 합지장치(A)는 제1 및 제2 시트(S1)(S2)를 합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허 본 발명의 합지장치는 두 시트를 합지하고 접어서 최종적으로 속지를 구비한 봉투(Se)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A)는 기본적으로 제1 및 제2 시트적재부(11)(21), 제1 및 제2 낱장분리부(13)(23), 제1 및 제2 낱장분리드럼(15)(25)을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시트공급부(10)(20)와, 제1시트공급부(10) 후방의 제1이송부(30), 그리고 제2시트공급부(20) 후방의 제이송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합지 대상인 제1 및 제2 시트(S1)(S2)(시트(S1,S2)의 날개부와 관련한 설명에서는 상하좌우 방향성은 시트만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이를 '시트기준 방향'으로 칭한다)는 제1 및 제2 시트적재부(11)(21)에 각각 적층되어 있고, 연속 공급되어 대량 생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제1시트적재부(11)에 적층된 제1시트(S1)는 상하좌우에 날개부(Wa,Wb,Wc,Wd)를 갖고, 하부 날개부(Wb)에는 접합선(WB)을 갖는다. 각 날개부(Wa,Wb,Wc,Wd)는 중앙의 직사각형 부위를 향하여 쉽게 접힐 수 있도록 접이선(미지시됨)을 갖는다.
제2시트적재부(21)에 적층된 제2시트(S2)는 상부에 날개부(WA)를 갖고, 사각 본체와의 경계에 접이선(미지시됨)을 갖고, 이 날개부(WA)는 합지후 제1시트(S1)의 상부 날개부(Wa)와 함께 접혀 봉투(Se)의 개구부 덮개 역할을 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시트 외에 다양한 시트가 둘 이상 적층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셋 이상의 시트 도입시에는 그에 맞게 제3의(또는 그 이상의) 시트공급부를 추가 구성하면 된다).
나아가 봉투(Se) 제조시 합지에 사용되는 제1시트(S1)는 겉면(이를 '봉투기준 방향'이라 칭한다)(봉투 외면에 노출되는 면, 제1적재부(11)에서 하부('장치기준 방향')를 향하여 배열되어 있다)이 화려한 종이이고,
제2시트(S2)는 내면('봉투기준 방향')(봉투에서 상부 날개부(Wa)(WA)를 들쳐 열었을 때 보이는 면, 제2적재부(21)에서 상부('장치기준 방향')를 향하여 배열되어 있다)이 화려한 종이이다. 화려하다는 것은 내외면('봉투기준 방향')의 색상, 문양, 질감 등이 달라 상호 구분된다는 보다 정확한 표현의 이례일 뿐이다.
도 1과 도 3 [A], 도 4 [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제1 및 제2 시트(S1)(S2)가 각각 적층된 제1 및 제2 적재부(11)(21)는 각각 제1 및 제2 지지패널(11B,21B)을 갖고, 그 위에 복수의 제1 및 제2 지지폴(11A,21A)이 구비되어 있다.
합지되는 시트의 크기에 따라 지지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적재부(11)(21)는 각각 제1 및 제2 일단이 지지패널(11B,21B)에 고정되어 선회될 수 있는 제1 및 제2 가이더(11a,21a)를 갖고, 각 가이더에는 슬롯(미지시 됨)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폴(11A,21A)과 가이더(11a,21a)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링크(11c,21c)가 가이더의 슬롯을 따라 움직이고 선회될 수 있다.
각 가이더(11a,21a)의 선회 상태와 각 링크(11c,21c)의 선회 및 슬라이딩 상태는 각각 홀더(11b,21b)를 통하여 볼트와 너트를 조이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한편, 시트의 임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방측이 높게 상향 경사 배열된 제1 및 제2 지지패널(11B,21B)의 후단에 제1 및 제2 시트(S1)(S2)는 일부 지지되지 않은 상태로 노출부(Sd)(도 5 참조)를 이루어 낱장불리부(13,23) 및 낱장분리드럼(15,25)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으며, 주된 시트(S1)(S2)는 역시 각 지지패널(11B,21B)에 머물고 있는 상태로 적층되어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제1 및 제2 낱장분리부(13,23), 제1 및 제2 낱장분리드럼(15), 역전드럼(27), 제1 및 제2 이송부(30)(40), 접이부(50A,50B,50C), 그리고 흡착분리부재(15B,25B) 등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동력장치는 하부 베이스(B)의 수납부(Bs)에 내장되어 있어 깔끔함을 보장하고 작업장의 공간 활용성을 높이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베이스(B) 상부에 이송부(30,40)가 구성됨은 물론, 시트공급부(10,20)를 위한 지지대(B1)(B2)가 구비되어 있다.
합지장치(A)의 전체 사시도인 도 1 및 전체 사시도인 도 2(도 1은 전방 위주로 관찰함, 도 2는 후방 위주로 관찰함)와,
제1시트공급부(10) 중심의 사시도인 도 3 및 제2시트공급부(20) 중심의 사시도인 도 4(도 3 및 도 4 각각에서 [A]는 전방 위주로 관찰한 것이고, [B]는 후방 위주로 관찰한 것임)와,
제1시트공급부(10) 중심의 일련의 동작과 관련된 사시도인 도 5 및 제2시트공급부(20) 중심의 도면인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낱장분리부((13)(23)는 공통적으로 (편의상 '제1 및 제2'는 생략함) 스윙받침부재(13A,23A)와 흡착분리부재(13B,23B)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스윙받침부재(13A,23A)는 두 개가 조를 이뤄 각 시트(S1)(S2)의 노출부(Sd)를 받치고 있는데, 각 스윙받침부재(13A,23A)는 실제 시트의 노출부를 받치는 받침발(13a,23a), 받침발을 스윙 왕복운동시키는 스윙축(13c), 그리고 받침발과 스윙축을 연결하는 연결바(13b), 그리고 받침발(13a,23a) 상부에 구비되어 받침발을 따라 움직여 적층된 시트에 대한 받침발의 정지 한계 지점 역할을 하는 스토퍼(13s,23s)를 갖는다.
또 각 흡착분리부재(13B,23B)는 적층된 각 시트(S1)(S2) 중 최하부 시트의 노출부(Sd)를 흡착하여 아래로 당기는 흡판(13d)(23d), 이 흡판과 받침발(13a,23a)이 교차하는 형태(시트를 받침발이 받치면 흡판은 하강하고, 받침발이 시트를 받치지 않으면 흡판은 상승하여 최하부 시트 노출부를 흡착하여 아래로 당긴다)로 스윙 왕복운동시키는 스윙축(13f)(23f), 그리고 흡판과 스윙축을 연결하는 연결바(13e,23e)로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하나의 구동수단(예: 모터)에 의하여 스윙받침부재(13A,23A)와 흡착분리부재(13B,23B)를 교차로 스윙시키기 위하여 캠 수단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도 3 [B] 및 도 4 [B]의 상부 일점 쇄선 원내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수단의 동력을 다양한 수단(벨트, 체인, 기어 등)에 의하여 전달받는 종동롤러(25a)는 내면에 구성된 캠부재(25c)와, 이 캠부재와 결합되어 연동되는 결합돌기(15d,25d)를 일단에 갖고 타단은 스윙축(13c,23c)(13f,23f)과 연결된 연동링크(15b,25b)로 구성된다.
종동롤러(15a,25a)의 선회에 따라 캠부재가 선회하고, 캠부재와 맞물린 결합돌기가 움직이면서 연동링크는 스윙축을 일정 각도로 정역회전시키게 된다.
스윙받침부재(13A,23A)와 흡착분리부재(13B,23B)의 연결바(13b,23b)(13e,23e)가 스윙 왕복운동을 하고, 받침발(13a,23a) 및 흡판(13d,23d)은 교대로 움직이게 되어,
시트(S1)(S2)를 받침발(13a,23a)이 받치면 흡판(13d,23d)은 하강하여 최하단 시트(S1)(S2)의 노출부(Sd)와 접하지 않고, 받침발(13a,23a))이 시트를 받치지 않으면 흡판(13d,23d)은 상승하여 최하부 시트 노출부를 흡착하여 아래로 당기게 된다.
필요에 따라 스윙축(13c,23c)(13f,23f)의 교차 운동을 위한 다양한 수단이 도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a] 및 도 6과,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제1 및 제2 낱장분리드럼(15,25)을 설명한다. 각 낱장분리드럼(15,25)은 공통적으로 리세스(15B,25B)를 갖는데,
이는 흡착분리부재(13B,23B)가 움직여 시트(S1)(S2)를 받침발(13a,23a)이 받치지 않은 상태에서 흡판(13d,23d)이 스윙 상승하고,
흡입력이 작용하여 최하부 시트의 노출부(Sd) 하면을 흡착한 후,
다시 흡판이 스윙 하강하여 최하부 시트(S1)(S2)를 당겨 그 위 적층된 시트층과 노출부(Sd)를 분리하면,
낱장분리드럼(15,25)이 선회하면서 리세스(15B,25B)가 하강·분리된 노출부(Sd)와 만나 갈퀴와 같이 시트를 끌어내려(정확하게는 리세스(일종의 단절부) 시작 부위의 단부(15a,25a)가 시트를 끌어 내린다)
최하부 시트의 상면('장치기준 방향')이 낱장분리드럼(15,25)의 외주면과 접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1낱장분리드럼(15)에는 흡착력이 가해지는 흡착공(15h)(도 5 [c] 참조)이 구비되어 있어 시트를 흡착(이때 흡판(13d)에 가해지던 흡입력을 순간적인 밸브의 폐쇄로 제거된다)에 하여 흡착분리부재(15B)의 흡판(13d)(그리고 지지패널(11B))에서 떼어내어(전달받아) 제1시트(S1)를 제1이송부의 전단 이송롤러(31)로 전달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마이컴 또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등으로 컨트롤러를 구성하고, 센서 등의 감지 또는 타이밍 계측에 의하여 밸브를 개폐하여 제1낱장분리드럼(15)에는 흡착력이 가해지는 경우, 흡착분리부재(15B)의 흡판(13d)에 작용하는 흡입력은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낱장분리드럼(15)의 흡착공(15h)(도 5 [c] 참조)에 흡입력이 발생되어 제1시트를 넘겨받은 후 다시 전단 이송롤러(31)로 시트를 전달하여 제1이송부(30)를 따라 제1시트가 이송되는 경우, 흡착공(15)에 가해진 흡입력 또한 순간적인 밸브의 폐쇄로 제거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적인 방식은 예를 들어 진공펌프와 연결된 배관과 흡착공(15h)의 연결 상태는 밸브를 닫아 차단하고, 신속한 흡입력 제거를 위하여 압력해소공(15A)(도 5 [b] 참조)과 흡착공(15h)을 연결하는 유로를 개방하여 외기의 유입으로 흡입압력이 신속하게 해소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제1이송부(30)를 따라 연속 전달되는 제1시트(S1) 위에 제2시트(S2)를 중첩·시키기 위하여 제2시트공급부(20)의 제2적재부(21)에서 낱장분리부(23)의 흡착분리부재(25B)에서 최하부 제2시트(S2)를 분리하는 제2낱장분리드럼(25)은 흡착공이나 해소공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즉, 제2낱장분리드럼(25)의 리세스(25B)(정확하게는 리세스 시작 부위의 단부(25a))에 의하여 최하부 제2시트(S2)의 상면('장치기준 방향')이 하강하고, 제2낱장분리드럼(25)의 외주면에 제2시트 상면이 접하면, 제2낱장분리드럼(25)과 맞물리는 전방 중계롤러(25A) 사이에 끼어
제2시트는 흡착분리부재(25B)의 흡판(23d) 및 지지패널(21B)에서 완전히 분리(이때 흡판(23d)에 가해지던 흡입력을 순간적인 밸브의 폐쇄로 제거된다)되고, 이후 역전드럼(27)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제2낱장분리드럼(25)에 흡착공을 도입하지 않은 것은 선택적인 것이며, 얼마든지 상황에 맞게 흡착공을 형성하고 흡착력을 통하여 시트 낱장을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시트의 상하면이 색상, 문양, 질감 등이 서로 다른 경우를 고려하여, 제1 및 제2 시트가 특정방향으로 중첩되도록 하면서도,
일정 시간차를 두고 연속 공급되는 제1시트 상면에 정확하게 제2시트가 겹쳐져 합지되도록 하고,
또 제1세트공급부(10)와 제1이송부(30)와는 달리 시간차를 두고 제2시트가 공급·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2시트공급부(20)에서는 제1시트공급부와 달리 시간차를 두고 제2시트를 공급하는 것은
낱장분리드럼(15)(25), 역전드럼(27A,27B), 이송롤러(31)(41)(그리고 시트누름부재를 이루는 롤러 역시) 등이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여야 제1 및 제2 시트의 파손이 방지(시트의 파손 여부는 시트가 더 얇고 물성이 더 약할수록 더욱더 시트 양면과 접촉하는 두 롤러에 대한 속도 차이에 의하여 민감하게 좌우된다)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이에 비하여 제1이송부를 통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이송되는 제1시트를 고려하면, 제2시트의 공급은 그만큼 시차를 두고 제2시트공급부(20)와 만나는 제1이송부(30)에 알맞게 전달되어야하기 때문이다.
또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1 및 제2 낱장분리드럼의 회전방향은 제1 및 제2 이송부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낱장분리드럼(25) 하부에는 역전드럼(27)이 구비되어 있다.
도 6 및 도 1, 도 2,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역전드럼(27)은 두 역전드럼(27A)(27B)으로 구성되며,
먼저 제1역전드럼(27A)를 설명하면,
제2낱장분리드럼(25)(제2시트 상면(하면보다 더 화려함)이 제2낱장분리드럼 외주면과 접한다)과 제2시트와 중계롤러(25A) 사이에 끼어 전달된 제2시트는
제1역전드럼(27A)과 만나는데, 제1역전드럼(27A)에도 흡착공(27a)이 구비되어 있어 제1역전드럼 외주면을 둥글게 감싸는 형태로 제2시트(S2)가 변형되어 완전히 감싸게 된다(제2시트 하면이 제1역전드럼 외주면과 접한다).
이어 제1역전드럼 하부에 구비된 제2역전드럼(27B)으로 제2시트가 전달(이때 제1역전드럼의 흡착공에 흡입력을 순간적인 밸브의 폐쇄로 제거된다)되는데, 역시 흡착공(27b)이 구비되어 있어 역시 제2역전드럼 외주면을 둥글게 감싸는 형태로 제2시트(S2)가 변형되어 완전히 감싸게 된다(제2시트 상면이 제1역전드럼 외주면과 접한다).
다음으로 제1이송부(30)의 후단 이송롤러(31)를 지나는 제1시트(S1) 위에 제2역전드럼(27B)으로부터 제2시트(S2)가 정확하게 겹쳐지는 형태로 전달(이때 역시 제2역전드럼의 흡착공에 흡입력을 순간적인 밸브의 폐쇄로 제거된다)되는데,
이 경우 비로소 제2시트(S2) 하면이 제1시트(S1) 상면과 접하게 된다('장치기준 방향').
즉, '봉투기준 방향' 화려한 겉면('장치기준 방향' 기준 하면)을 갖는 제1시트(S1)(제1적재부(11)에서 하부('장치기준 방향')를 향하여 배열되어 있다)는
겉면이 아래로 향한 상태로 제1이송부(30)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이송된다.
여기에 화려한 내면('봉투기준 방향')('장치기준 방향' 기준 상면)을 갖는 제2시트(S2)는 접면('봉투기준 방향')('장치기준 방향' 기준 하면)이 역전드럼(27A)(27B)을 거치면서
제1시트(S1) 내면에 접하게 되어, 중첩시트(Sp)를 형성하며 제2이송부(40)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된다.
나아가 제1 및 제2 역전드럼(27A)(27B) 모두 하나 또는 복수의 마찰링(r1,r2)을 가져 보다 잘(제1시트 보다 박형인 제2시트(봉투(Se)의 속지 특성에 적합함)인 경우에도 더 쉽게) 분리·전달되도록 할 수 있고,
각 역전드럼에는 마찰링이 소정 깊이(마찰링 외주면이 노출될 수 있게)로 삽입되도록 하는 환형 홈이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제1이송부(30) 후단에 구비된 제2시트공급부(20)에서 제2시트가 공급되어 두 시트(S1)(S2)가 합지되어 중첩시트(Sp)를 구성하는 경우,
제2시트가 제2낱장분리드럼(15) 및 두 역전드럼(27A,27B)을 거치면서 평면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다가 합시시트를 형성하면 제2시트는 제1시트에 밀착되지 못하고 들뜨게 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정위치 이탈로 불량품이 되는 사태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마찰링(r1)이 제1역전드럼(27A)만을 감싸는 것과 달리, 제2역전드럼(27B)의 마찰링(r2)은 이격된 누름롤러(27C)까지 감싸고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즉, 후방 관찰 사시도인 도 6 [A] 및 측면도인 도 6 [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시트가 합지된 중첩시트(Sp)는 제2이송부(40)가 시작되는 지점에 구비된 하부롤러(27c)와 누름롤러(27C) 사이를 지나는 경우
제2역전드럼(27B)과 누름롤러(27C)에 구비된 마찰링(r2)에 의하여 눌려 제2시트(S2)가 들뜨고 이탈되지 않고 제2이송부(40)를 따라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마찰링은 필요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롤러(31)에도 구비될 수 있다(특히 제1시트공급부(10) 직하부의, 제1이송부 시작지점).
한편, 제1 및 제2 흡착분리부재(15B)(25B), 제1낱장분리드럼(15), 역전드럼(27)에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베이스(B)의 수납부(Bs)에는 적정용량의 펌프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흡입력을 배관을 통하여 흡착분리부재, 낱장분리드럼, 역전드럼 등으로 전달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펌프의 흡입력은 컴프레서로 기능하도록 전환 구성하여 압축된 공기는 탱크에 저장되었다가 작업장의 다른 공정을 위하여 활용하여 에너지 절감에 일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이송부를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1과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이송부(30)는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고, 연속 배열된 복수의 이송롤러(31)와 그 위의 시트누름부재로 구성된다.
시트누름부재는 이송롤러와 맞물리는 롤러(특히 동력과 연결되지 않은 아이들롤러)일 수 있다.
또 도 3의 [A] 상부 우측 확대된 일점 쇄선 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누름부재(33)는 이송럴러(31) 상부에 이격 배열된 지지바(33a)와 이 지지바 하부에 이격 배열된 복수의 누름브러시(33b)로 구성되어
화려한 외면('봉투기준 방향')을 위하여 요철 처리된 제1시트(S1)가 제1이송부(30)를 지나면서 상하 롤러로 이송부를 구성하는 경우 과도한 눌림으로 파손되는 상황을 방지(이는 누름 역할의 상부 롤러 외주면에 실리콘 등의 탄성체를 피복하고, 또 상부 롤러의 축핀이 승하강할 수 있도록 탄지되는 형태로도 대체될 수 있다)할 수 있고,
그러면서도 제1시트가 이송과정에서 정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이송부(40) 역시 베이스(B) 상부에 구비된 이송롤러(41)와 다양한 시트누름부재로 구성된다.
한편, 제1이송부에는 제1 및 제2 시트(S1)(S2)의 분리방지를 위하여 제2시트공굽부(20) 도달 전에 제1시트 내면('봉투기준 방향')에 접착제를 바르는 접착제 도포드럼(35)이 구비되어 있다.
제1 및 제2 시트(S1)(S2)의 분리방지는 접착제의 포인트 도포로도 충분하므로 접착제 도포드럼(35)에는 작은 원 형태로 접착제를 제1시트 내면에 찍는 전달포인트(35a)(도 2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이 도포드럼(35)의 전달포인트(35a)에 정확하고 연속적으로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 저장탱크 및 디스펜서는 본 발명의 핵심에 대한 설명 집중을 위하여 편의상 생략하였으나, 당업자는 큰 어려움 없이 완벽한 접착제 공급 및 도포 장치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접착제 도포드럼(35)으로 인하여 중첩시트(Sp)에서 제1 및 제2 시트는 포인트 접합된다. 또 앞서 설명한 제2역전드럼(27B)의 마찰링(r2)은 접착제 도포드럼(35)의 전달 포인트(35a)에 의하여 도포된 접착제 포인트를 정확하게 누를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여 안정된 합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러한 역할은 제2역전드럼 중앙에 구비된 마찰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있다).
이어서, 도 2 및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시트의 겹침으로 형성된 중첩시트(Sp)는 제2이송부(40)에 이어 접이부(50A,50B,50C)를 지나면서 완성품인 봉투(Se)로 제조되기 위하여 날개부 접힘 과정을 거친다.
먼저, 도 2 및 도 7에서, 제1시트(S1)의 좌우 날개부(Wc,Wd)는 제2 이송부(30) 좌우 양측에 구비된 전방 상향레일(51)을 만나면서 들리고, 다시 연이어 모음레일(53)을 만나면서 더 들리고 90도 세워진 후 중앙부를 향하여 접히게 되며, 최종적으로 중앙부를 향하여 스윙 왕복운동을 하는 스윙바(55)에 의하여 접이선이 완전히 접혀지게 된다.
도 7 및 도 2와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특히 제2이송부(40)의 시트누름부재는 제1접이부(50A)에 의한 제1시트의 좌우 날개부 접힘 동작에도 중첩시트(Sp)가 정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1접이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이송롤러(41)의 상부에 누름롤러(43)(누름롤러 외주면에는 탄성체가 피복되어 있어 가압력을 완화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가 복수 개 구비되어 있다.
또 제1시트(S1)의 좌우 날개부(Wc,Wd)가 시차를 두고 접혀 충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나(예: 우측 날개부(Wd))는 먼저 접혀 아래쪽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예: 좌측 날개부(Wc))가 나중에 접혀 위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하게 제1접이부(50A)의 좌측 스윙바(55)가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롤러(43)가 구비된 계단형 지지체의 후단부에는 체류바(43a)가 돌출되어 있는데, 이 체류바는 약간의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접힌 우좌 날개부(Wd,Wc)가 바로 중앙 제2시트(S2) 상면('장치기준 방향')과 접히지 않고 들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이렇게 우좌 날개부(Wd,Wc)가 들린 상태에서 제1접이부(50A)의 우좌 스윙바(55)에 의하여 눌리게 되므로 우좌 날개부가 들뜨지 않고 더 확실하게 접혀 중앙부위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체류바(43a)는 좌우 날개부(Wc,Wd)가 시차를 두고 접혀 충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으로, 이 체류바가 좌측 날개부(Wc)와 충돌하게 구성하여 우측 날개부(Wd))는 먼저 접혀 아래쪽에 위치하고 좌측 날개부(Wc))가 나중에 접혀 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상향레일(51), 모음레일(53) 및 스윙바(55)로 구성된 제1접이부(50A)에 의하여 제1시트(S1)의 좌우 날개부(Wc,Wd)가 완전히 접힌 다음,
연속적으로 제2이송부(40)를 지나면서 제1시트(S1)의 하부 날개부(Wd)에 형성된 알파벳 'V'자 유사형 접합선(WB)에 상응하는 접착제 전달 포인트(45a)를 갖는 제2 접착제 도포드럼(45)이 구비되어 있다.
역시 설명의 단순화 및 발명 핵심 집중을 위하여 미도시된 접착제 저장탱크 및 디스펜서에서 공급된 접착제는 제2 접착제 도포드럼(45)과 맞물려 회전하는 펼침드럼(45A)에 의하여 일정 두께로 퍼지고,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 전달포인트(45a)만이 정확하게 제1시트(S1) 하부 날개부(Wd)의 접합선(WB)을 찍게 되므로, 접착제의 낭비가 방지되고, 접착제가 불필요한 곳에 도포되어 불량 발생의 원인이 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2와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시트(S1)의 하부 날개부(Wd)는 접이선을 경계로 접혀, 이이 접힌 좌우 날개부(Wc,Wd)에 부착되는데, 이를 위하여 제2접이부(50B)가 도입되어 있다.
제2접이부는 수직에 가깝게 세워진 격벽(50a)과 스키와 같이 하단 부위가 휘어진 가이더(50b), 그리고 안내롤러(50c)로 구성된다.
좌우 날개부(Wc,Wd)가 접힌 중첩시트(Sp)는 하부 날개부(Wb)가 안내롤러(50c)를 만나면서 살짝 들리고, 이어 하부 날개부(Wb)는 가이더(50b)에 의하여 완충된 후 격벽(50a)과 충돌하여 격벽 직하부와 제2이송부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면서 순간적으로 하부 날개부(Wb)가 접이선을 경계로 꺾이게 되어 접합선(WB)에 도포된 접착제로 인하여 하부 날개부가 접힌 좌우 날개부에 부착된다.
또 상기 안내롤러(50c)에는 하부 날개부(Wb)는 가이더(50b) 및 격벽(50a)과 만나는 순간에 맞게, 정확한 타이밍에 제1시트(S1)의 중앙 직사각형 본체 부위(하부 날개부(Wb)와 인접한 부위)를 흡착하는 흡착공(미도시, 미지칭됨)이 구비되어 있고, 역시 진공펌프의 흡입력은 배관 및 밸브에 의하여 이 흡착공에 전달되고 차단된다.
이어서 제1 및 제2 시트(S1)(S2)의 상부 날개부(Wa)(WA)만이 접히지 않은 반제품 상태의 봉투(Se)는 제3접이부(50C)를 만나면서 마지막으로 접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3접이부(50C)(편의상 격벽, 가이더, 안내롤러를 별도의 부호로 지칭하지 않았으며, 제2접이부와 동일한 부호로 지칭하여 설명한다)는 제2접이부(50B)와 유사하나 격벽(50a)이 보다 후방으로 눕혀져 있고, 안내롤러(50c)가 보다 상향 돌출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하부 날개부(Wb)까지 접힌 반제품 상태의 봉투(Se)는 제3접이부(50C)의 안내롤러(50c)를 만나면서 더 들리고
두꺼워지고 경질화된 하부 날개부(Wb)의 접힘부가 가이더(50b)와 충돌하면서 굽은 특유의 형상에 의하여 번쩍 들리고, 격벽(50a)과 만나면서 수직으로 거꾸로 세우지게 되고,
연속적으로 반제품 봉투의 하중과 상대적으로 연질의 상부 날개부(Wa)(WA)가 휘어지게 되고
안내롤러(50c)의 이송력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격벽 직하부와 제2이송부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면서
경계 접이선을 중심으로 상부 날개부(Wa)(WA)가 완전히 접혀 완전한 봉투(Se)가 된다.
이 경우 역시 상기 안내롤러(50c)에는 반제품 봉투의 상부 날개부(Wa) 인접한 중앙 직사각형 본체 부위 및 상부 날개부(Wa)를 연속 흡착할 수 있는 흡착공(미도시, 미지칭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흡착공에는 진공펌프의 흡입력이 배관 및 밸브에 의하여 정확한 타이밍에 전달되고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완성된 봉투(Se)는 완성품배출부(60)로 투입되어 포장 및 출하 상태로 이송된다.
완성품배출부(60)는 먼저 제3접이부(50C) 및 제2이송부(40) 후단부를 거쳐 순차적으로 수직 배출(날개부의 접힘 부위가 전방을 향한 상태로 수직 배출됨)하는 봉투 전달 갈퀴드럼(61)에 꽂히고,
다시 봉투(Se)는 전달 부러쉬롤(61A)과 만나면서 갈퀴드럼(61)에서 분리되고
적재패널(63)로 옮겨진다.
적재패널(63)에는 낱개의 봉투(Se)가 전달되면서 차곡차곡 쌓이는 과정에서 차츰 후퇴하는 후퇴막대(65)가 구비되어 흐트러지고 쓰러짐 없이 봉투의 수직 적층이 가능하게 된다.
후퇴막대(65)의 순차적 후퇴는 마찰력, 스프링탄성, 피스톤 이동, 모터에 의한 이동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합지 대상의 치수, 동력의 제원, 접착제 도포과정 및 연속 공급방식,
그리고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과 낱장분리부, 낱장분리드럼, 역전드럼, 이송부 등에 동력을 전달하고 운동방향을 전환하는 벨트(타이밍벨트), 체인, 각종 기어, 미세한 운동속도 조절을 위한 변속수단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구성, 형상과 구조를 갖는 합지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합지장치 A1: 흡착수단
AP:펌프 Ap: 배관
S1,S2: 시트 10,20: 시트공급부
11,21: 적재부 13,23: 낱장분리부
15,25: 낱장분리드럼 27,27A,27B: 역전드럼
30,40: 이송부 31,41: 이송롤러
33,43: 시트누름부재 35,45: 접착제 도포드럼
50A,50B,50C: 접이부 60: 완성품배출부

Claims (4)

  1. 제1시트들(S1)이 적층되어 있는 제1적재부(11),
    스윙받침부재(13A)와, 이 스윙받침부재(13A)와 교대로 제1적재부(11)의 최하부 제1시트(S1)와 접촉하여 최하부 제1시트(S1)를 흡착하여 당기는 흡착분리부재(13B)를 포함하는 제1낱장분리부(13), 그리고
    상기 제1낱장분리부(13)의 흡착분리부재(13B)로부터 제1시트(S1)를 전달받고 흡착공(15A)을 구비한 제1낱장분리드럼(15)을 포함하는 제1시트(S1)공급부;
    제1시트(S1)공급부에서 제1시트(S1)를 전달받고, 이송롤러(31)와 시트누름부재(33)를 구비한 제1이송부(30);
    제2시트(S2)들이 적층되어 있는 제2적재부(21),
    스윙받침부재(23A)와, 이 스윙받침부재(23A)와 교대로 제2적재부(21)의 최하부 제2시트(S2)와 접촉하여 최하부 제2시트(S2)를 흡착하여 당기는 흡착분리부재(23B)를 포함하는 제2낱장분리부(23), 그리고
    상기 제2낱장분리부(23)의 흡착분리부재(23B)로부터 제2시트(S2)를 전달받는 제2낱장분리드럼(25)을 포함하는 제2시트(S2)공급부;
    제1이송부(30)와 연결되어 제1시트(S1)가 이송되고, 제2시트 공급부에서 제2시트(S2)를 전달받아 제1시트(S1) 상부에 적층하고, 이송롤러(41)와 시트누름부재(43)를 구비한 제2이송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제1 및 제2 시트(S1)(S2)가 각각 적층된 제1 및 제2 적재부(11)(21)는 각각 제1 및 제2 지지패널(11B,21B)을 갖고, 그 위에 복수의 제1 및 제2 지지폴(11A,21A)이 구비되어 있고,
    합지되는 시트의 크기에 따라 지지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적재부(11)(21)는 각각 제1 및 제2 일단이 지지패널(11B,21B)에 고정되어 선회될 수 있는 제1 및 제2 가이더(11a,21a)를 갖고, 각 가이더에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폴(11A,21A)과 가이더(11a,21a)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링크(11c,21c)가 가이더의 슬롯을 따라 움직이며 선회되고,
    각 가이더(11a,21a)의 선회 상태와 각 링크(11c,21c)의 선회 및 슬라이딩 상태는 각각 홀더(11b,21b)를 통하여 고정되며,

    제1 및 제2 낱장분리부(13)(23)의 각 스윙받침부재(13A,23A)는 제1 및 제2 시트(S1)(S2)의 노출부(Sd)를 받치는 받침발(13a,23a), 받침발을 스윙 왕복운동시키는 스윙축(13c), 그리고 받침발과 스윙축을 연결하는 연결바(13b)를 갖고,
    제1 및 제2 낱장분리부(13)(23)의 각 흡착분리부재(13B,23B)는 적층된 제1 및 제2 시트(S1)(S2) 중 최하부 시트의 노출부(Sd)를 흡착하여 아래로 당기는 흡판(13d)(23d), 이 흡판과 받침발(13a,23a)이 교차하는 형태로 스윙 왕복운동시키는 스윙축(13f)(23f), 그리고 흡판과 스윙축을 연결하는 연결바(13e,23e)로 구성되어,
    스윙받침부재(13A,23A)와 흡착분리부재(13B,23B)의 연결바(13b,23b)(13e,23e)가 스윙 왕복운동을 하고, 받침발(13a,23a) 및 흡판(13d,23d)은 교대로 움직이게 되어, 시트(S1)(S2)를 받침발(13a,23a)이 받치면 흡판(13d,23d)은 하강하여 최하단 시트(S1)(S2)의 노출부(Sd)와 접하지 않고, 받침발(13a,23a))이 시트를 받치지 않으면 흡판(13d,23d)은 상승하여 최하부 시트 노출부를 흡착하여 아래로 당기게 되고,

    제1 및 제 2 시트공급부(10,20)의 제1 및 제2 낱장분리드럼(15,25)은 공통적으로 리세스(15B,25B)를 갖고,
    상기 흡착분리부재(13B,23B)가 움직여 시트(S1)(S2)를 받침발(13a,23a)이 받치지 않은 상태에서 흡판(13d,23d)이 스윙 상승하고,
    흡입력이 작용하여 최하부 시트의 노출부(Sd) 하면을 흡착한 후,
    다시 흡판이 스윙 하강하여 최하부 시트(S1)(S2)를 당겨 그 위 적층된 시트층과 노출부(Sd)를 분리하면,
    낱장분리드럼(15,25)이 선회하면서 리세스(15B,25B)가 하강·분리된 노출부(Sd)와 만나 갈퀴와 같이 시트를 끌어내려 최하부 시트의 상면이 낱장분리드럼(15,25)의 외주면과 접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2시트공급부(20)의 제2낱장분리드럼(25) 하부에는 상호 접촉하는 역전드럼(27)이 더 구비되어 있고,
    제1 및 제2 낱장분리드럼(15)(25)의 회전방향은 제1 및 제2 이송부(30)(40)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역전드럼(27)은 두 역전드럼(27A)(27B)으로 구성되며,
    제2낱장분리드럼(25) 하부에 배열된 제1역전드럼(27A)은 흡착공(27a)이 구비되어 있어 제1역전드럼(27A) 외주면을 둥글게 감싸는 형태로 제2시트(S2)가 변형되어 완전히 감싸게 되며,
    제1역전드럼(27A) 하부에 구비되어 제2시트(S2)를 전달받는 제2역전드럼(27B)은 흡착공(27b)이 구비되어 있어 제2역전드럼 외주면을 둥글게 감싸는 형태로 제2시트(S2)가 변형되어 완전히 감싸게 되고,
    제1 및 제2 역전드럼(27A)(27B)은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및 제2 마찰링(r1,r2)을 갖고,
    제1마찰링(r1)이 제1역전드럼(27A)만을 감싸고, 제2역전드럼(27B)의 마찰링(r2)은 이격된 누름롤러(27C)까지 감싸고 있는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지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시트(S1)는 상하좌우에 날개부(Wa,Wb,Wc,Wd)를 갖고, 각 날개부(Wa,Wb,Wc,Wd)는 중앙의 직사각형 부위를 향하여 쉽게 접힐 수 있도록 접이선을 갖고,
    제2이송부(40)의 후방에는 접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접이부는 제1접이부(50A)를 포함하며, 이 제1시트(S1)의 좌우 날개부(Wc,Wd)는 제2 이송부(40) 좌우 양측에 구비된 전방 상향레일(51)을 만나면서 들리고, 다시 연이어 모음레일(53)을 만나면서 더 들리고 90도 세워진 후 중앙부를 향하여 접히게 되며, 최종적으로 중앙부를 향하여 스윙 왕복운동을 하는 스윙바(55)에 의하여 접이선이 완전히 접혀지게 되도록 제1시트(S1)의 좌우 날개부 접힘 동작을 수행하며,
    제2이송부(40)의 시트누름부재(43)는 중첩시트(Sp)가 정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1접이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이송롤러(41)의 상부에 누름롤러(43)가 복수 개 구비되어 있고,
    제1시트(S1)의 좌우 날개부(Wc,Wd)가 시차를 두고 접혀 충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나(예: 우측 날개부(Wd))는 먼저 접혀 아래쪽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예: 좌측 날개부(Wc))가 나중에 접혀 위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하게 제1접이부(50A)의 좌측 스윙바(55)가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고,
    누름롤러(43)가 구비된 지지체의 후단부에는 체류바(43a)가 돌출되어 있는데, 이 체류바는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접힌 우좌 날개부(Wd,Wc)가 바로 중앙 제2시트(S2) 상면과 접히지 않고 들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우좌 날개부(Wd,Wc)가 들린 상태에서 제1접이부(50A)의 우좌 스윙바(55)에 의하여 눌리게 되므로 우좌 날개부가 들뜨지 않고 더 확실하게 접혀 중앙부위에 밀착되며,
    상기 좌우 날개부(Wc,Wd)가 시차를 두고 접혀 충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상기 체류바(43a)는 좌측 날개부(Wc)와 충돌하게 구성하여 우측 날개부(Wd))는 먼저 접혀 아래쪽에 위치하고 좌측 날개부(Wc)가 나중에 접혀 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지장치.
KR1020120040841A 2012-04-19 2012-04-19 흡착 방식의 낱장분리드럼을 구비한 합지장치 KR101227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841A KR101227130B1 (ko) 2012-04-19 2012-04-19 흡착 방식의 낱장분리드럼을 구비한 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841A KR101227130B1 (ko) 2012-04-19 2012-04-19 흡착 방식의 낱장분리드럼을 구비한 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130B1 true KR101227130B1 (ko) 2013-01-29

Family

ID=47842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841A KR101227130B1 (ko) 2012-04-19 2012-04-19 흡착 방식의 낱장분리드럼을 구비한 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1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552B1 (ko) * 2013-02-26 2014-02-20 김외철 속지를 갖는 봉투 제조장치
KR20190037873A (ko) * 2017-09-29 2019-04-08 전재호 속지를 갖는 봉투 제조기의 합지장치
KR101981472B1 (ko) 2017-12-19 2019-05-24 김영이 합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0606U (ja) * 1993-04-28 1994-11-15 株式会社トーキン とじ代付袋取出装置
KR100854676B1 (ko) * 2008-01-28 2008-08-27 이재길 포장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0606U (ja) * 1993-04-28 1994-11-15 株式会社トーキン とじ代付袋取出装置
KR100854676B1 (ko) * 2008-01-28 2008-08-27 이재길 포장지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552B1 (ko) * 2013-02-26 2014-02-20 김외철 속지를 갖는 봉투 제조장치
KR20190037873A (ko) * 2017-09-29 2019-04-08 전재호 속지를 갖는 봉투 제조기의 합지장치
KR101987857B1 (ko) * 2017-09-29 2019-06-11 전재호 속지를 갖는 봉투 제조기의 합지장치
KR101981472B1 (ko) 2017-12-19 2019-05-24 김영이 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90362A (zh) 一种自动成型的折纸盒生产线
CN104441778B (zh) 包装盒面顶贴装机
CN204587379U (zh) 瓷片自动包装线
KR101227130B1 (ko) 흡착 방식의 낱장분리드럼을 구비한 합지장치
WO2024007371A1 (zh) 一种保鲜袋折叠装盒一体机
CN203046309U (zh) 一种多层纸袋加工机
CN104129527B (zh) 中包机
US11198268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a box from a chuck
CN106711378A (zh) 用于锂电池制造的三隔膜连续叠片生产线
CN106784524A (zh) 用于锂电池制造的双隔膜连续叠片生产线
CN210479156U (zh) 一种行星吸片式创口贴自动装盒机
CN205525199U (zh) 一种药盒捆包机的叠盒装置
CN103029324A (zh) 一种多层纸袋加工机
CN104129542B (zh) 一种扁卷卫生纸的包装方法
JPH0549529B2 (ko)
JP3176088U (ja) 製函装置
CN105819246A (zh) 高速负吸辊式折纸机
KR100910846B1 (ko) 약 봉투 자동 제작장치
CN212048113U (zh) 双臂协作开箱接料翻转机器人
JP2007185322A (ja) うちわ製造装置およびうちわ製造方法
JP5604211B2 (ja) 物品移し替え装置
JP5808642B2 (ja) 製函装置
CN207843388U (zh) 一种奶茶礼盒生产线
CN105731160A (zh) 维持纸材平整度的堆叠方法
JP3788154B2 (ja) うちわ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