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864B1 - 병뚜껑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병뚜껑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864B1
KR101226864B1 KR20100131312A KR20100131312A KR101226864B1 KR 101226864 B1 KR101226864 B1 KR 101226864B1 KR 20100131312 A KR20100131312 A KR 20100131312A KR 20100131312 A KR20100131312 A KR 20100131312A KR 101226864 B1 KR101226864 B1 KR 101226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weight
parts
propylene random
polypropyle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31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9960A (ko
Inventor
정지웅
전용성
김창희
Original Assignee
삼성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131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864B1/ko
Publication of KR20120069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864B1/ko

L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뚜껑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에틸렌 함량이 0.5~3 중량%인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40~60 중량부; 및 에틸렌 함량이 6~15 중량%인 제 2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40~60 중량부가 단일상으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병뚜껑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병뚜껑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내충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병뚜껑을 경제적인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병뚜껑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BOTTLE CAP}
본 발명은 내충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병뚜껑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포장용기의 다양화 및 친환경측면에서의 분리수거의 확대로 인하여, 유리병,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병 등의 음료용기에 사용되는 병뚜껑 소재의 플라스틱화가 증가되고 있다. 플라스틱 병뚜껑 소재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소재를 기재로 한 병뚜껑은 알루미늄 소재의 병뚜껑에 비해 가볍고 부식성이 없으며, 성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의 성형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플라스틱 병뚜껑 소재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폴리프로필렌에 비해 유연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내충격성이 우수하지만, 제품의 투명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반면에, 폴리프로필렌의 경우에는 핵제를 첨가하거나, 공중합 기법을 이용하여 투명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핵제의 사용으로 내충격성 특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의 충격강도에 대한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메탈로센 에틸렌계 고무를 블렌드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고무의 가격이 비싸 경제성이 떨어지며, 일정 고무함량 이상에서 투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나타나므로 그 이용에 제한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여 제조된 병뚜껑은 1m 높이에서 낙하시의 깨짐의 정도를 측정하는 충격테스트에서 70~90% 정도로 깨지지 않는 정도의 보통수준의 내충격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우수한 내충격성 및 투명성을 가지는 병뚜껑용 플라스틱 소재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비용이 경제적이며, 우수한 투명성 및 내충격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병뚜껑을 제조할 수 있는 병뚜껑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상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a)에틸렌 함량이 0.5~3 중량%인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40~60 중량부; 및
b)에틸렌 함량이 6~15 중량%인 제 2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40~60 중량부가 단일상으로 혼합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병뚜껑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용융지수가 1~10 g/10분(230℃)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1~0.5 중량부의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1~0.5 중량부의 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5~2.0 중량부의 촉매 중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 함량이 상이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단일상으로 이루어진 수지를 이용하기에 고가의 메탈로센 에틸렌계 고무의 사용 없이 우수한 투명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 플라스틱 병뚜껑을 경제적인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 함량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에틸렌 함량이 상이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들은 성분들 간에 상용성이 우수하고, 단순 블렌딩 방법에 의한 혼합물과는 달리 상분리가 없는 단일상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에틸렌 함량이 상이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들의 단일상 수지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균일한 조성을 제공하고, 사출 성형품의 내충격성 및 투명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에틸렌 함량이 상이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2종 이상이 단일상으로 이루어진 수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에 대해 0.5~3 중량%인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 함량이 제 2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에 대해 6~15 중량%인 제 2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에서 에틸렌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상기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3 중량%를 초과하면 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가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4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가 40 중량부 및 60 중량부를 벗어나면 상기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및 투명성의 개선 효과를 얻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 제 2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에서 에틸렌 함량이 6 중량% 미만이면 내충격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15 중량%를 초과하면 에틸렌 함량이 증가되어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들 간의 뭉침 현상이 발생하고, 상용성이 떨어져 단일상 수지로 혼합되기가 힘들 수 있으며, 상분리가 발생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가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100 중량부에 대해 4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가 40 중량부 및 60 중량부를 벗어나면 상기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및 투명성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융융지수가 1~10 g/10분((ASTM D 1238, 230℃, 2.16kg 하중)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용융지수가 1 g/10분 미만이면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가공성 및 제품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10 g/10분을 초과하면 용융강도가 낮아져서 성형물의 절단이 깨끗하게 되지 않기 때문에 압출 공정에서 불량률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 특성이 저하되어 최종 제품이 플라스틱 병뚜껑으로 적용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기상 중합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기상 중합 방법은 제 1 기상 중합 단계 및 제 2 기상 중합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상 중합 단계는 촉매의 존재 하에서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주입하여 기상 중합법으로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 1 기상 중합 단계에서 제조되는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미세한 입자로 중합되고, 동시에 중합조 내의 가스 상으로 분산된다.
제 2 기상 중합 단계는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존재 하에서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주입하여 촉매의 존재 하에서 기상 중합법으로 제 2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 2 기상 중합 단계에서 상기 제 2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상기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가 가스 상에서 미세한 입자로 분산된 상태에서 중합되고, 상기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와 같이 미세한 입자로 중합되어 가스 상으로 분산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서로 상이한 에틸렌 함량을 가진다. 상기 제1기상 중합 단계 및 제 2 기상 중합 단계는 발명의 목적에 맞게 일정한 주기로 연속적으로 반복될 수 있고, 동일 또는 상이한 중합조에서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1) 단일 중합조를 구비한 기상 반응기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 상기 중합조는 제 1 구역 및 제 2구역으로 구별된다. 상기 제 1 구역에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주입하고, 촉매의 존재 하에서 기상 중합법으로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상기 제 2 구역으로 옮기고, 상기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존재 하에서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주입하고, 촉매를 이용하여 기상 중합법으로 제 2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제 1 및 제 2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다시 제 1 구역으로 옮겨지고, 제 1 구역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존재 하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기상 중합은 상기 방법에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2) 제 1 및 제 2 중합조가 직렬로 연결된 기상 반응기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 제 1 중합조에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주입하고, 촉매의 존재 하에서 기상 중합법으로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제 2 중합조에 옮긴다. 상기 제 2 중합조에서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존재 하에서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주입하고, 촉매를 이용하여 기상 중합법으로 제 2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기상 중합은 상기 방법에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제 2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들은 중합 공정 중에 균일하게 혼합되어 용융 혼련시 수지들 간의 단순 블렌딩 방법에 의한 수지 혼합물에 비해 상분리가 없는 단일상의 수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가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1~0.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수지 조성물의 장기내열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0.5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품의 내열안정이 더 이상 개선되지 않으며, 과도한 산화방지제의 사용으로 제품의 경제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실릴네이트), 및 1,3,5-트리메틸-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 벤젠) 등과 같은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놀)포스파이트 등과 같은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핵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1~0.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핵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장기내열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0.5 중량부를 초과하면 사출 성형품의 내열안정을 증가시킬 수 없고,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핵제는 벤질리덴솔비톨, 메틸벤질리덴솔비톨, 에틸벤질리덴솔비톨 및 3,4-디메틸벤질리덴솔비톨 등과 같은 솔비톨계 핵제, 알루미늄히드록시-디-t-부틸벤조에이트 등과 같은 알루미늄계 핵제, 소듐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나트륨계 핵제 및 산화마그네슘실리케이트(탈크: MgO·Si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촉매중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매중화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5~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촉매중화제의 함량이 0.0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너무 소량으로 포함되어 중합체 합성시 사용된 촉매가 중합체 내에 잔류하여 촉매 잔류물로 남을 경우에 촉매의 중화가 어려울 수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촉매중화제가 과량으로 사용되어 제품 생산의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촉매중화제는 칼슘스테아레이트 또는 합성 히드로탈사이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성분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보강재, 충전재, 내열안정제, 내후안정제, 활제, 슬립제, 대전방지제 등과 같이 병뚜껑용 수지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각종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함량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적절히 조절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의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통상적으로 알려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을 그대로 또는 적절히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의 각 성분들을, 특별한 순서의 제한 없이 원하는 순서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혼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또는 기타 첨가제를 필요한 양만큼 니더, 롤, 반바리 믹서 등의 혼련기 또는 1축/2축 압출기 등에 투입한 다음, 이들 기기들을 사용하여 투입된 원료들을 혼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디에톡시마그네슘을 탄화수소용매의 존재하에서 사염화티타늄 화합물 및 내부전자공여체인 숙시네이트계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 다공성의 고체티타늄 촉매를 이용하여, 직렬 배치된 2조의 중합조 중 제 1중합조에서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주입하여 기상 중합시켜 에틸렌 함량이 2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한 후, 생성된 공중합체를 제 2중합조로 옮긴다. 다음으로, 제 2중합조에서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투입하여 상기의 방법과 같이 에틸렌 함량이 6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들을 2축 압출기를 통하여 용융 혼합하여 펠렛(pellet)화하였다.
상기 제조된 펠렛을 삼성클뢰크너 FCM-110(형체력 110톤) 사출기에 투입하고 200/210/210/210의 온도구배 및 60 ℃(금형온도)에서 사출 압력 70~120바 범위에서 사출하여, 필요한 물성 측정용 시편(ASTM Family 4호)을 각각 제작하였다. 상기 제조된 펠렛으로 사출 성형장비를 이용하여 병뚜껑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표1에 제시한 바와 같이 에틸렌 함량 및 첨가제에서 차이가 있을 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펠렛, 사출시편 및 병뚜껑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메탈로센 고무에서 차이가 있을 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기상 중합하여 제조하고, 펠렛, 사출시편 및 병뚜껑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구성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1 100
A-2 100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B-1 100 90
B-2 100
메탈로센계 고무 C 10
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1: 에틸렌 함량이 2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와 에틸렌 함량이 5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중합비 50:50 (중량%)의 혼합수지
A-2: 에틸렌 함량이 1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와 에틸렌 함량이 7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중합비 50:50 (중량%)의 혼합수지
2)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B-1: 에틸렌 함량이 2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B-2: 에틸렌 함량이 3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3) 메탈로센계 고무:
메탈로센 C2-C4고무(Tafmer, 미쓰이화학(주) 제품)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펠렛의 용융지수 및 사출된 시편의 물성, 즉, 흐림도, 충격강도 및 내충격성, 및 병뚜껑의 충격 테스트를 하기의 물성 측정방법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방법
하기 표 2에 나타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의 물성들은 다음과 같이 측정되었다:
1) 용융지수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용융지수는 ASTM D1238 방법으로 230 ℃, 2.16 kg 하중 하에서 측정하였다.
2) 흐림도(%)(haze)
흐림도는 ASTM D1003 방법으로 측정하였다(두께: 1 mm).
3) 굴곡 탄성율
굴곡 탄성율은ASTM D638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4) 충격강도
충격강도는 Notched Izod 시편을 사용하여 ASTM D256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5) 충격테스트
출격테스트는 병뚜껑을 사출로 제조한 후 코카콜라 500ml PET 병에 코카콜라가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1.5m 높이에서 낙하시 깨진 병뚜껑의 개수를 비교하였다. 시편들이 >90% 안 깨질 경우 우수, 70~90% 안 깨질 경우 보통, >70% 깨질 경우 나쁨으로 표시하였다.
구성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1 비교예
2
비교예
3
용융지수(g/10분) 5 2 2 2 2
흐림도(%) 7.6 7.8 9.9 7.5 8.5
굴곡 탄성율(kgf/cm2) 10,600 8,500 13,300 10,700 10,500
Izod 충격 강도 23℃ (kgfcm/cm) 12 18 6 8 10
Izod 충격 강도 0℃ (kgfcm/cm) 6 8 4 5 5
충격 테스트 우수 우수 취약 보통 보통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에 1 및 실시예 2에 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계 병뚜껑은 에틸레-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단독으로 사용되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서 흐림도가 낮거나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은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계 병뚜껑의 제조에 이용되는 메탈로센계 고무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과 비교시 충격 강도가 낮고, 흐림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 함량이 상이한 에틸렌-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들 간의 상분리가 발생되지 않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하기에 우수한 내충격성 및 투명성을 가진 병뚜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고가의 페탈로센 에틸렌계 고무 사용을 줄일 수 있어 병뚜껑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Claims (6)

  1. a)에틸렌 함량이 0.5~3중량%인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b)에틸렌 함량이 6~15 중량%인 제 2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40 중량부 초과하고 6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고,
    상기 제 2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40 중량부 이상이고 6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며,
    상기 제 1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제 2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기상 중합 중에 서로 혼합된 단일상 수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용융지수가 1~10 g/10분(2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1~0.5 중량부의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1~0.5 중량부의 핵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5~2.0 중량부의 촉매 중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20100131312A 2010-12-21 2010-12-21 병뚜껑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101226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1312A KR101226864B1 (ko) 2010-12-21 2010-12-21 병뚜껑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1312A KR101226864B1 (ko) 2010-12-21 2010-12-21 병뚜껑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960A KR20120069960A (ko) 2012-06-29
KR101226864B1 true KR101226864B1 (ko) 2013-01-25

Family

ID=46687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31312A KR101226864B1 (ko) 2010-12-21 2010-12-21 병뚜껑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8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910B1 (ko) * 2012-12-06 2014-08-26 삼성토탈 주식회사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8385A (ja) * 1993-02-04 1994-08-16 Tonen Corp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KR20090067171A (ko) * 2006-09-12 2009-06-24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블로우 용기
KR20110062919A (ko) * 2009-12-04 2011-06-10 삼성토탈 주식회사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8385A (ja) * 1993-02-04 1994-08-16 Tonen Corp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KR20090067171A (ko) * 2006-09-12 2009-06-24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블로우 용기
KR20110062919A (ko) * 2009-12-04 2011-06-10 삼성토탈 주식회사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960A (ko) 201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9029B1 (en) Novel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s
KR20160021757A (ko) 핵화 조성물 및 이러한 핵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KR101501835B1 (ko) 내백화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494964B1 (ko) 내충격성, 투명성 및 힌지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1314B1 (ko)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185710B1 (ko) 투명성 및 내충격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131361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수지 조성물
KR101226864B1 (ko) 병뚜껑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100865255B1 (ko) 내충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1342785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14986B1 (ko)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309340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로 제조된 필름
KR100814985B1 (ko)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068714B1 (ko) 발포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포체
KR101123904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10770292B (zh) 包含异相丙烯共聚物的组合物
KR101188924B1 (ko) 투명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20100118664A (ko) 플로우마크 억제특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842787B1 (ko) 손잡이 일체형 중공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56911B1 (ko)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로 제조된 시트
KR102234585B1 (ko) 투명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EP3988615B1 (en) 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and bottle cap produced by the composition
KR101298312B1 (ko) 낙구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633789B1 (ko) 플라스틱 병뚜껑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230067351A (ko) 성형성이 우수한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