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904B1 -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904B1
KR101123904B1 KR1020090072141A KR20090072141A KR101123904B1 KR 101123904 B1 KR101123904 B1 KR 101123904B1 KR 1020090072141 A KR1020090072141 A KR 1020090072141A KR 20090072141 A KR20090072141 A KR 20090072141A KR 101123904 B1 KR101123904 B1 KR 101123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resin
resin composition
olefin
weight
propylene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4462A (ko
Inventor
이현섭
강귀성
Original Assignee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2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904B1/ko
Publication of KR20110014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9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83Nucleating agents promoting the crystallisation of the polymer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A) 아이소택틱 지수(I.I, Isotactic Index)가 97% 이상인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B)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캡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우수한 물성의 성형품을 제공한다.
폴리프로필렌,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 캡, 강성, 내마모성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캡 제조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 측면과 재활용에 대한 관심 확대로 인하여, 각종 음료용기에 사용되는 병뚜껑 소재의 플라스틱화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도 금속과 플라스틱이 병행하여 사용 중이나 금속의 경우, 소비자들이 용기와 뚜껑을 잘 분리하여 배출하지 않는 관계로, 재활용 시 추가적인 선별장비 등이 요구되고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플라스틱을 이용한 병뚜껑 소재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가공성, 기계적 물성, 외관, 내구성 및 경제성 등이 우수하며, 재활용에도 적합한 폴리올레핀 계열 수지를 이용한 기술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성형성 및 내약품성이 뛰어나며 가격대비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지니고 있어 자동차 적용부품, 가전제품, 또는 식품용기 등에 널리 사용되는 소재이며,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 크게 프로필렌 단독 공중합체,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프로필렌 단독 공중합체,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가 비탄산 음료의 캡 소재용으로는 적용되고 있다.
특히, 비탄산 음료가 아닌 탄산음료용과 과즙용기용 캡 소재의 경우에는 내압성, 강성 및 내열성이 우수해야 하고 제조 공정에서 금형내에서 설분 발생에 따른 생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우수한 내마모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과 같이 단순히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이나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사용하여서는 탄산음료용과 과즙용기용 캡 소재를 제조하기에 충분한 강성이나 내마모성 등의 물성을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탄산음료용과 과즙용기용 캡 소재용으로 사용 가능할 정도로 향상된 강성 및 내마모성 등의 물성을 확보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캡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A) 아이소택틱 지수(I.I, Isotactic Index)가 97% 이상인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B)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서 탄산음료용과 과즙용기용 캡 제조용으로 충분할 물성을 확보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효과적으로 혼합하여 우수한 강성 및 내마모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제조되는 플라스틱 캡의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A) 아이소택틱 지수(I.I, Isotactic Index)가 97% 이상인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B) 고 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대한 각각의 구성 성분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아이소택틱 지수(I.I, Isotactic Index)가 97% 이상,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높은 입체규칙성을 가짐으로써 강성, 내압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일반 폴리프로필렌은 97% 미만 또는 95% 내지 96%의 I.I(Isotactic Index)값을 가지나, 본 발명의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경우에는 97% 이상의 아이소택틱 지수(I.I)값을 가짐으로써, 기존 촉매품 대비 강성을 향상시키고 결정화 온도를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특정한 공정을 통해 제조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중합 반응기에 프로필렌을 넣고 트리에틸 알루미늄, 고결정성을 부여하는 프탈레이트 촉매, 및 실레인계 전자 공여자를 주입하고 65~75℃의 반응온도 및 32~34 기압 하에서 슬러리 벌크 중합을 실시하여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제조한 후 에틸렌과 공중합 반응을 수행하는 공정 등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에서 아이소택틱 지수(I.I)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아이소택틱 지수(I.I)와 대응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의 α-올레핀 함량은 4 내지 8 중량%가 바 람직하고, 5 내지 7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α-올레핀 함량은 충격강도 저하 및 성형 후 제품의 균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4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우수한 충격강도와 함께 향상된 강성 및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8 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의 용융지수는 2 내지 10 g/10min이 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즉, 적용하게 될 압출 성형기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2내지 3 g/10min 또는 6 내지 8 g/10min가 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용융지수가 2 g/10min 미만인 경우에는 제품의 성형성 및 생산성이 나빠질 수 있으며, 용융지수가 10 g/10min을 초과하면 제품의 압출 공정에서 용융강도가 떨어져 일정한 패리슨 형성이 균일하지 않아 불량률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70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 중량%가 될 수 있다. 상기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함량은 제조된 수지의 흐름성 향상 및 가공성 개선 측면에서 70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내마모성 및 용융장력 개선 효과 측면에서 95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B)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상기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와 함께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강성, 내압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라 함은 용융장력의 효과를 얻기에 충분한 물성값의 연신후화도(SHI, Strain Hardening Index)를 갖는 수지로서, 예를 들면 연신후화도가 3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의 물성값을 갖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수지는 인장강도, 굴곡강도 등 물성도 비교적 우수하여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 사슬의 선형 구조 특성상 용융시 용융장력이 온도 상승에 따라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유기 과산화물을 이용하여 단일 폴리프로필렌 만으로 압출한 경우보다 고분자량 폴리프로필렌와 저분자량 폴리프로필렌을 적절히 혼합하여 압출 후 분자량 분포가 넓어져 용융 장력을 증가시킨 것이 될 수 있다. 이다. 이 때, 반감기가 아주 짧은 유기 과산화물을 첨가하여 폴리프로필렌을 분해시키지 않고 장측쇄 구조 및 가교 구조를 생성하여 강성 및 내마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같이 종래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보다 향상된 강성 및 내마모성을 갖는 상기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 내에 효과적으로 블렌딩함으로써, 강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압출 공정시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지수는 0.3 내지 10 g/10min,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g/10min가 될 수 있다. 상기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지수가 0.3 g/10min 미만인 경우에는 제품 내에 겔 형성이 될 수 있어 생산성이 나빠질 수 있으며, 10 g/10min을 초과하면 제품에서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굴곡탄성률이 16,000 kgf/cm2 내지 20,000 kgf/cm2 이고, 바람직하게는 17,000 kgf/cm2 내지 19,000 kgf/cm2 가 될 수 있다. 상기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굴곡탄성률이 16,000 kgf/cm2 미만인 경우에는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가 바람직하며, 10 내지 20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내마모성 및 용융장력 개선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흐름성이 떨어져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효과적으로 혼합하여 우수한 강성 및 내마모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만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탄산음료용과 과즙용기용 캡 제조용으로 충분할 물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고용융장력 수지만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동성이 떨어져 제품 성형 자체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의 강성, 내열성, 및 결정화 속도를 향상하기 위해 (C) 핵제, 예를 들어, 유기계 핵제 또는 무기계 핵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핵제로는 솔비톨계 화합물, 인산 에스비르계 화합물 등의 유기계 핵제 및 탈크 등의 무기계 핵제를 1종 이상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좀더 바람직하게는 인산 에스비르계 화합물을 사용하여 강성을 현저히 향상시키고 결정화 속도를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핵제의 함량은 상기 (A)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B)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0.3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0.0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내열성 및 결정화 속도 발현이 떨어지며, 0.3 중량부를 초과하면 추가적인 물성 향상이 보이지 않는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A) 아이소택틱 지수(I.I, Isotactic Index)가 97% 이상인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 70 내지 95 중량%, 및 (B)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고, (C) 상기 (A)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B)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핵제 0.05 내지 0.3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화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슬립제, 안티블럭킹제, 안료 또는 무기제가 첨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은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캡을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시 발생될 수 있는 설분발생률이 급격히 감소되며, 고온에서 과즙 살균시 캡의 변형을 막을 수 있어 탄산음료용과 과즙용기용 캡 소재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성형품은 탄산음료용 또는 과즙용기용 플라스틱 캡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품은 ASTM 평가법 D790에 따른 굴곡탄성율이 18,000 kgf/cm2 내지 18,100 kgf/cm2 이고, ASTM 평가법 D256에 따른 충격강도가 9.4 kg?cm/cm 내지 9.5 kg?cm/cm 이고, ASTM 평가법 D1175에 따른 TABER지수는 0.096 내지 0.111가 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향상된 굴곡탄성율, 충격강도, 및 TABER 지수를 확보하여 우수한 강성 및 내마모성으로 탄산음료용과 과즙용기용 플라스틱 캡 소재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재된 내용 이외의 사항은 필요에 따라 가감이 가능한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에 고용융장력 수지를 혼합 하여 사용함으로써,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캡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압출성형공정 등을 이용하여 내열용 캡, 내압용 캡 제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하기의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에서 각각의 공중합체 및 수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물성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용융지수: ASTM 평가법 D1238에 따라 230 ℃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하였다.
2)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 ASTM 평가법 D256에 따라 23 ℃, 50% 상대습도에서 눈금(notched) 사출시편을 측정하였다.
3) 굴곡탄성율: ASTM 평가법 D790에 의거 23 ℃, 50% 상대습도에서 사출시편을 측정하였다.
4) 열변형온도: ASTM 평가법 D648에 의거 4.6 kg.f 하중에서 사출시편을 측정하였다.
5) 결정화 온도: DSC 장비를 이용하여 승온속도를 10 ℃/min로 하여 측정하였다.
6) 내마모성 평가: 시료를 규정 연마석에 의하여 일정한 하중(1,000 g)을 준 상태에서 회전(1,000 회)시켜 시료의 중량 감량을 통해 마모도를 측정하여, 하기 계산식 1에 따라 TABER 지수를 산측하였다.
장비 표준규격은 JIS A 1453, K 6902, K 7204, ASTM D 1175, D 1044를 근거로 제작되고, 상기 평가 기준에 따라 측정되었다.
[계산식 1]
TABER 지수 = (표준 회전수)/(시험 회전수) × 손실무게(mg)
제조예 :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제조
중합 반응기에 프로필렌을 넣고 트리에틸 알루미늄, 고결정성을 부여하는 프탈레이트 촉매, 및 실레인계 전자 공여자를 주입하고 65~75 ℃의 반응온도 및 32~34기압 하에서 슬러리 벌크 중합을 실시하여 아이소택틱 지수 99%인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제조한 후 에틸렌과 공중합 반응을 시켜 α-올레핀 함량이 6 중량%인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제조하였고 수소에 의해 용융지수를 8.0 g/10min으로 조절하였다.
실시예 1~2
하기 표1에서와 같이,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 A 및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 B1의 조성 및 함량비를 달리하며 혼합하여 폴리프로필렌 조 성물을 제조한 후에, 인산 에스비르계 화합물(제조사: ADEKA)을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중량부의 함량으로 추가하고, 핸셀 믹서에서 3분간 혼합한 후 170~220 ℃의 이축 압출기로 압출하여 펠렛상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얻었다.
비교예 1~3
다음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A
(중량%)
B1
(중량%)
B2
(중량%)
B3
(중량%)
C
(중량부)
실시예 1 90 10 - - 0.2
실시예 2 85 15 - - 0.2
비교예 1 100 - - - 0.2
비교예 2 90 - 10 - 0.2
비교예 3 90 10 0.2
A: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용융지수8.0 g/10min(230 ℃, 2.16 kg 하중), α-올레핀 함량 6 중량%, 아이소택틱 지수 99%
B1: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연신후화도 66, 용융지수 1.8 g/10min, 굴곡탄성률 18,000 kgf/cm2)
B2: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용융지수 1.0 g/10min, 아이소택틱 지수 95%
B3: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용융지수1.8 g/10min, α-올레핀 함량 6 중량%, 아이소택틱 지수 95%
C: 유기계 핵제(인산 에스비르계 화합물)
실험예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에 따라 제조된 펠렛상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LS 전선 140톤 성형사출기로 사출하여 탄산음료용 또는 과즙용기용 플라스틱 캡 소재의 물성 측정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내마모성 시편은 프레스 성형기로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각각의 시편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고, 그의 측정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용융지수
(g/10min)
굴곡탄성률
(kg.f/cm2)
아이조드
충격강도
(kg?cm/cm)
결정화온도
(℃)
결정화시간
(sec)
TABER지수
실시예 1 9.3 18,100 9.4 130.6 84.6 0.111
실시예 2 9.1 18,000 9.5 130.5 84.1 0.096
비교예 1 9.5 18,100 8.9 130.3 93.1 0.145
비교예 2 8.2 18,200 9.0 130.2 92.4 0.122
비교예 3 8.8 17,900 8.9 130.5 91.4 0.105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A)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와 (B)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실시예 1~2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굴곡탄성률이 18,000 kgf/cm2 내지 18,100 kgf/cm2 이고 충격강도가 9.4 kg?cm/cm 내지 9.5 kg?cm/cm으로 향상된 강성 및 충격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반면에,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만으로 이루어진 비교예 1~3은 실시예 1~2에 비해, 강성은 유사하게 유지하지만 충격강도가 8.9 kg?cm/cm 내지 9.0 kg?cm/cm 정도로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충격강도가 떨어지는 경우, 최종 제조된 성형 제품에 크랙(crack) 등이 발생하여 탄산음료용과 과즙용기용 플라스틱 캡 소재로서 기밀성 유지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실시예 1~2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결정화 시간이 84.1 sec 내지 84.6 sec가 되며, 비교예 1~3에 따른 조성물의 결정화 시간이 91.4 내지 93.1임에 비해 현저히 단축되어, 실제 제조 공정에서 우수한 현저한 생산성 향상을 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내마모성 측정 결과에서도 실시예 1~2에 대한 TABER지수는 0.096 내지 0.111로서, 비교예 1~3 관련 TABER 지수가 0.105 내지 0.145임에 비해 매우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3에서와 같이 내마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경우에, 연속적인 캡 성형 시 금형 내에 설분 발생 가능성이 높아 생산성 저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에 고용융장력 수지를 효과적으로 블렌딩한 수지가 강성이 유지되고 충격강도가 개선되며 내마모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와 함께 결정화 속도가 빨라짐으로써 현저한 생산성 향상이 가능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4)

  1. (A) 아이소택틱 지수(I.I, Isotactic Index)가 97% 이상인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 70 내지 95 중량%, 및
    (B)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 5 내지 30 중량%
    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A)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의 α-올레핀 함량은 4 내지 8 중량%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A)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용융지수가 2 내지 10 g/10min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A)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아이소택틱 지수(I.I, Isotactic Index)가 99%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B)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용융지수가 0.3 내지 10 g/10min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B)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연신후화도(SHI, Strain Hardening Index)가 30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B)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굴곡탄성률이 16,000 kgf/cm2 내지20,000 kgf/cm2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A)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80 내지 90 중량%이고, (B)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C) 핵제를 상기 (A)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B)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0.3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C) 핵제가 솔비톨계 화합물, 인산 에스비르계 화합물,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A) 아이소택틱 지수(I.I, Isotactic Index)가 97% 이상인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 70 내지 95 중량%, 및
    (B)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고,
    (C) 상기 (A) 고결정성 α-올레핀-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B)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핵제 0.05 내지 0.3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13. 제12항에 있어서,
    탄산음료용 또는 과즙용기용 플라스틱 캡인 성형품.
  14. 제12항에 있어서,
    ASTM 평가법 D790에 따른 굴곡탄성율이 18,000 kgf/cm2 내지 18,100 kgf/cm2 이고, ASTM 평가법 D256에 따른 충격강도가 9.4 kg?cm/cm 내지 9.5 kg?cm/cm 이고, ASTM 평가법 D1175 에 따른 TABER지수가 0.096 내지 0.111인 성형품.
KR1020090072141A 2009-08-05 2009-08-05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123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141A KR101123904B1 (ko) 2009-08-05 2009-08-05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141A KR101123904B1 (ko) 2009-08-05 2009-08-05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462A KR20110014462A (ko) 2011-02-11
KR101123904B1 true KR101123904B1 (ko) 2012-03-23

Family

ID=43773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141A KR101123904B1 (ko) 2009-08-05 2009-08-05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9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528B1 (ko) * 2013-06-27 2015-02-1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저온 충격성이 향상된 가요전선관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가요전선관
KR102013915B1 (ko) * 2016-03-16 2019-08-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라스틱 수지 성형품의 물성 평가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854A (ko) * 2000-12-20 2002-06-26 유현식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KR20050049570A (ko) * 2003-11-21 2005-05-27 삼성토탈 주식회사 고투명성, 고강성 및 고충격특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US20060135672A1 (en) * 2004-12-17 2006-06-2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854A (ko) * 2000-12-20 2002-06-26 유현식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KR20050049570A (ko) * 2003-11-21 2005-05-27 삼성토탈 주식회사 고투명성, 고강성 및 고충격특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US20060135672A1 (en) * 2004-12-17 2006-06-2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462A (ko) 201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22017B1 (en) Pp-rich material composition having high stiffness and processability
EP3017003B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s containing glass fiber fillers
CN100503712C (zh) 新型丙烯聚合物组合物
US9139724B2 (en) Talc containing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excellent thermomechanical properties
US6642312B2 (en) Polyolefin-based composite resin composition having high strength and low linear expansion
KR101185710B1 (ko) 투명성 및 내충격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EP3632979B1 (en) Highly rigid composit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tactility and heat resistance and article molded therefrom
KR20130074805A (ko) 미세 사출 발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836627B1 (ko) 촉감과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고강성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US7268185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its injection molded article
KR101123904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017061595A (ja) 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KR20130055167A (ko)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865255B1 (ko) 내충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218756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1352760B1 (ko) 저 비중, 내스크래치 및 외관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EP3665224B1 (en) Composition comprising heterophasic propylene copolymer
KR101385379B1 (ko) 우수한 내충격성, 굴곡탄성율 및 저취기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물
KR100814985B1 (ko)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814986B1 (ko)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00118664A (ko) 플로우마크 억제특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226864B1 (ko) 병뚜껑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101188924B1 (ko) 투명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0152320B1 (ko) 폐기 폴리우레탄 발포체 혼입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549329B1 (ko) 사출 성형품 제조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