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524B1 -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 - Google Patents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524B1
KR101226524B1 KR1020120062047A KR20120062047A KR101226524B1 KR 101226524 B1 KR101226524 B1 KR 101226524B1 KR 1020120062047 A KR1020120062047 A KR 1020120062047A KR 20120062047 A KR20120062047 A KR 20120062047A KR 101226524 B1 KR101226524 B1 KR 101226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upper plate
outer member
leveling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준
Original Assignee
김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준 filed Critical 김종준
Priority to KR1020120062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20Measuring flow in sewe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 저류조 내부를 형성하는 외곽부재, 기둥부재 및 상부부재를 조립식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는, 외곽부재(200), 기둥부재(400)의 하단에 삽입·고정되도록 바닥면에서 돌출되는 위치조정철근(102)과, 위치조정철근 사이에 위치하며 외곽부재(200), 기둥부재(400)의 설치위치를 지정하면서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레벨링철판(104)이 형성된 바닥부재(100)와; 저류조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202)와, T형측벽부(204), 모서리를 형성하는 모서리부(206)로 이루어지며, 하부면에 형성되어 바닥부재(100)의 위치조정철근이 삽입되는 제1 철근고정홈(212)과, 하부 일측에서 제1 철근고정홈(212)으로 연장되어 몰탈이 주입되는 제1 하부주입홈(214)과, 바닥부재(100)의 레벨링철판(104)의 폭에 일치되면서 하부면의 중앙부분에서 측면으로 연장된 제1 레벨링홈(260)과, 내측상부면에서 돌출된 상판지지부(250)를 구비하는 외곽부재(200)와; 외곽부재(200)의 내부에서 일방향으로 설치되며 하부면에 형성되어 바닥면의 위치조정철근이 삽입되는 제2 철근고정홈(402)과, 하부 일측에서 제2 철근고정홈(402)으로 연장되어 몰탈이 주입되는 제2 하부주입홈(404)과, 바닥부재(100)의 레벨링철판(104)의 폭에 일치되면서 하부면의 중앙부분에서 측면으로 연장된 제2 레벨링홈(406)과, 상부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철근을 구비하는 기둥부재(400)와; 서로 이웃하는 기둥부재(400)의 상단 사이에 체결되며, 기둥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철근을 감싸도록 양끝단에 형성된 관통공(502)과, 양끝단 상부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단턱(504)을 구비하는 상판고정부재(500)와; 외곽부재의 상판지지부(250)와 상판고정부재(500) 사이 또는 상판고정부재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판부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ASSEMBLING-TYPE RAIN WATER STORAGE CAPABLE OF INSTALLATION ACCURATELY}
본 발명은 우수 저류조를 형성하는 외곽부재, 기둥부재를 정확한 위치에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하천 유역의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우수의 유출량이 증대하게 되었다. 그로 인한 하천의 단면 부족으로 매년 홍수 시에는 많은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반복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우수 저류조를 주차장, 운동장, 공원 등의 지하에 매설하여 초기 강우량의 수질 오염을 저감시키고 누수 유출을 억제시켜 재난을 방지하여 수자원을 재활용하여 물 부족 현실에 기여할 수 있는 우수 저류조의 설치가 절실하게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82121호에서는 상면판과 저면판의 각 모서리에 기둥이 형성된 육면체의 저류블록을 다수개가 일직선상으로 반복적으로 배열하여 저류공간을 형성하는 우수저류조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82121호의 우수저류조는 기본구조로서 육면체형상을 갖기 때문에 우수저류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완성품을 현장으로 이동할 수 없어 현장에서 직접 우수처리조를 제작해야하는 단점과, 함께 우수처리조의 설치를 위해서는 대형 기중기 등이 필요한 문제와 함께 설치시 미세 조절에서도 거대한 무게로 인하여 조절이 어려운 단점 및 저류블록 자체가 육면체형상이기 때문에 우수저류조의 설치후 청소하기 위한 공간을 넓게 형성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38223호에서는 저류조의 측면블록, 스탠드블록, 상판블록 및 하부블록을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우수저류조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38223호는 우수저류조의 내부에 위치하는 스탠드블록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육면체 형상이기 때문에 우수저류조의 설치후 청소 및 유지관리하기 위한 공간을 충분히 넓게 형성하기 어렵고 측면블록, 스탠드블록, 상판블록 및 하부블록을 조립 할 때 시공오차 보정이 어려우며 그로 인해 발생하는 하부 방수문제 해결이 어려운 단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우수 저류조를 형성하는 외곽부재, 기둥부재를 정확한 위치에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외곽부재 설치시 이웃하는 외곽부재 사이에 고정부를 장착하여 내부의 수압에 의해서도 견고하게 원상태를 유지하면서 밀봉할 수 있는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는, 외곽부재(200), 기둥부재(400)의 하단에 삽입·고정되도록 바닥면에서 돌출되는 위치조정철근(102)과, 위치조정철근 사이에 위치하며 외곽부재(200), 기둥부재(400)의 설치위치를 지정하면서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레벨링철판(104)이 형성된 바닥부재(100)와; 저류조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202)와, T형측벽부(204), 모서리를 형성하는 모서리부(206)로 이루어지며, 하부면에 형성되어 바닥부재(100)의 위치조정철근이 삽입되는 제1 철근고정홈(212)과, 하부 일측에서 제1 철근고정홈(212)으로 연장되어 몰탈이 주입되는 제1 하부주입홈(214)과, 바닥부재(100)의 레벨링철판(104)의 폭에 일치되면서 하부면의 중앙부분에서 측면으로 연장된 제1 레벨링홈(260)과, 내측상부면에서 돌출된 상판지지부(250)를 구비하는 외곽부재(200)와; 외곽부재(200)의 내부에서 일방향으로 설치되며 하부면에 형성되어 바닥면의 위치조정철근이 삽입되는 제2 철근고정홈(402)과, 하부 일측에서 제2 철근고정홈(402)으로 연장되어 몰탈이 주입되는 제2 하부주입홈(404)과, 바닥부재(100)의 레벨링철판(104)의 폭에 일치되면서 하부면의 중앙부분에서 측면으로 연장된 제2 레벨링홈(406)과, 상부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철근을 구비하는 기둥부재(400)와; 서로 이웃하는 기둥부재(400)의 상단 사이에 체결되며, 기둥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철근을 감싸도록 양끝단에 형성된 관통공(502)과, 양끝단 상부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단턱(504)을 구비하는 상판고정부재(500)와; 외곽부재의 상판지지부(250)와 상판고정부재(500) 사이 또는 상판고정부재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판부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외곽부재는 양측면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된 삽입홈(220)이 형성되고, 외곽부재의 양측면이 밀착되면서 삽입홈(220)이 맞대면서 형성된 삽입구멍(222)에 삽입되며, 중앙에 상부면에서 하부로 연장된 몰탈주입홈(310)이 형성되고, 측면에 내부의 몰탈주입홈(310)에서 연장된 몰탈배출홈(312)이 다수개 형성된 외곽고정부재(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외곽부재는 하부면이 외부로 돌출된 받침편(210)이 형성되고, 받침편(210)에는 설치되는 방향으로 그라우팅홀(2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외곽부재의 하부에는 설치되는 방향으로 강선이 삽입되는 제1관통홀(23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설치되는 방향으로 강선이 삽입되는 제2관통홀(232)이 형성되며, 외곽고정부(300)의 상부에는 외곽부재(200)의 제2관통홀(232)에 대응하는 위치에 양측면이 서로 관통하는 제3관통홀(3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외곽부재는 삽입홈의 전후방에 상하로 탄성을 갖는 압착수지(2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외곽고정부재(300)의 몰탈배출홈(312)은 전면과 후면 및 양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외곽고정부재(300)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쇠구슬이 삽입되는 구슬삽입홈(3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판고정부재(500)의 단턱(504)에 인접하는 측면에는 관통공방향으로 철근(510)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외곽부재의 상판지지부(250)에 놓여지는 상판부재(600)는 외곽부재의 측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고, 상판고정부재(500)에 놓여지는 상판부재(600)는 서로 이웃하는 상판부재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외곽부재의 상부면에는 상판지지부(250)에 나란하게 돌출된 철판(252)이 형성되고, 상판부재(600)의 양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된 철판(602)이 각각 형성되며 상판고정부재(500)의 중앙에는 철근(520)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는 우수 저류조를 형성하는 외곽부재, 기둥부재에 형성된 레벨링홈을 레벨링철판에 일치시켜 설치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곽부재 설치시 이웃하는 외곽부재 사이에 고정부를 장착하여 내부의 수압에 의해서도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밀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곽부재와 상부부재에 각각 철판이 돌출시킨 상태에서 각각 별도의 철판으로 연결한 후에 몰탈 타설하기 때문에 외곽부재와 상부부재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저류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재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측벽부의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T형측벽부의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부의 사시도.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외각부재의 하부 사시도.
도 3e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곽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판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판부재의 사시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는 바닥부재(100), 외곽부재(200), 외곽고정부재(300), 기둥부재(400), 상판고정부재(500), 상판부재(600)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재(100)는 우수저류장치가 설치되는 지면에 콘크리트(106)로 타설되어 형성된다. 바닥부재는 외곽부재(200), 기둥부재(400)의 하단에 삽입·고정되도록 바닥면에서 돌출되는 위치조정철근(102)이 형성되고, 위치조정철근 사이에는 외곽부재(200), 기둥부재(400)의 설치위치를 지정하면서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레벨링철판(104)이 형성된다. 위치조정철근(102)과 레벨링철판(104)은 바닥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전에 설치되며, 위치조정철근(102)은 바닥면에서 2~3cm정도 돌출되고, 레벨링철판(104)은 상면이 바닥면과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바닥면에서 노출되고 레벨링철판의 상부면은 일정폭으로 형성된다.
도 3a 내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부재(200)는 저류조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저류조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202)와, T형측벽부(204), 모서리를 형성하는 모서리부(206)로 이루어진다. T형측벽부(204)는 측벽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T' 형상으로 형성되며, 모서리부(206)는 'ㄱ' 또는 '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외각부재(200)는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부로 돌출된 상판지지부(250)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외부로 돌출된 받침편(210)이 형성된다. 이때, 상판지지부(250)의 상부면은 기둥부재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받침편(210)에의 양끝단에는 삽입홈(220)에 연결된 그라우팅홀(216)이 형성된다.
외곽부재(200)의 하부면에는 바닥부재에서 돌출된 위치조정철근이 삽입되는 제1 위치고정홈(212)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제1 위치고정홈(212)으로 연장된 제1 몰탈주입홈(21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외곽부재를 바닥부재에 설치하는 경우에 외곽부재의 제1 위치고정홈(212)이 바닥부재에서 돌출된 위치조정철근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외곽부재의 제1 몰탈주입홈(214)을 통해 그라우트를 제1 위치고정홈(212)의 내부로 주입하여 완전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외곽부재(200)는 바닥부재(100)의 레벨링철판(104)의 폭에 일치되면서 하부면의 중앙부분에서 측면으로 연장된 제1 레벨링홈(260)이 형성된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부재의 제1 위치고정홈(212)이 바닥부재에서 돌출된 위치조정철근(102)에 삽입되면 외곽부재가 대략적으로 설치되는 위치주위에 놓여지게 된다. 그리고, 더욱 정확하게 외곽부재를 일치시키기 위해서 레벨링철판(104)과 제1 레벨링홈(260) 사이에 레벨링 강봉(270)을 넣으면 외곽부재가 위치조정철근에 삽입된 상태에서 약간 들리게 되면서 레벨링 강봉(270)이 롤러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외곽부재(200)의 레베링홈(260)을 레벨링철판(104)에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미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후에는 레벨링 강봉(270)을 제거하면 외곽부재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외곽부재(200)를 형성하는 측벽부(202), T형측벽부(204) 및 모서리부(206)의 양측면에는 상부에는 하부로 연장된 삽입홈(220)이 각각 형성된다. 서로 이웃하는 측벽부(202), T형측벽부(204) 및 모서리부(206)가 연결되면 삽입홈(220)은 외곽고정부재(300)가 삽입되는 삽입구멍(222)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외곽부재의 하부에는 설치되는 방향으로 제1관통홀(23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설치되는 방향으로 제2관통홀(232)이 형성된다. 이때, 제1관통홀(230)은 그라우팅홀(216)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관통홀(232)은 삽입홈(22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관통홀(230) 및 제2관통홀(232)에 강선을 삽입하여 조이면 서로 이웃하는 측벽부(202), T형측벽부(204) 및 모서리부(206) 사이를 서로 밀착시킬 수 있다.
외곽부재(200)는 삽입홈(220)의 전후방에 상하로 PVC, PE,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압착수지(240)가 설치된다. 압착수지(240)는 서로 이웃하는 측벽부(202), T형측벽부(204) 및 모서리부(206)가 강선에 의해 밀착되면 각각의 압착지수(240)가 압축되면서 각 부재간의 긴밀한 방수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고정부재(300)는 측벽부(202), T형측벽부(204) 및 모서리부(206)의 양측면이 밀착되면서 삽입홈(220)이 맞대면서 형성된 삽입구멍(222)에 삽입된다. 외곽고정부재(300)는 중앙에 상부면에서 하부로 연장된 몰탈주입홈(310)이 형성되고, 전·후면 및 측면에는 내부의 몰탈주입홈(310)에서 연장된 몰탈배출홈(312)이 다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외곽고정부재(300)는 삽입구멍(2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중앙에 형성된 몰탈주입홈(310)을 따라 몰탈이 주입되면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몰탈배출홈(312)을 따라 몰탈이 배출되면서 삽입구멍 전체에 몰탈이 채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측벽부(202), T형측벽부(204) 및 모서리부(206)의 외곽부재를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외곽고정부재(300)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쇠구슬이 삽입되는 구슬삽입홈(320)이 형성된다. 구슬삽입홀(320)에 구슬(322)을 삽입한 상태에서 외곽고정부재(300)를 삽입구멍(222)에 삽입하면 구슬(322)이 롤러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외곽고정부재(300)를 삽입구멍(222)의 내부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외곽고정부재(300)의 상부에는 외곽부재(200)의 제2관통홀(232)에 대응하는 위치에 양측면이 서로 관통하는 제3관통홀(330)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재(400)는 외곽부재(200)의 내부에서 일방향으로 설치되며 하부면에는 바닥면에서 돌출된 위치조정철근(102)이 삽입되는 제2 철근고정홈(402)이 형성되고, 하부일측에는 제2 철근고정홈(402)으로 연장된 제2 하부주입홈(404)이 형성되며, 바닥면의 레벨링철판(104)에 대응되도록 제2 레벨링홈(406)이 형성된다. 또한, 기둥부재(400)의 상부면은 상판고정부재(600)와 체결되도록 철근(410)이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기둥부재(400)를 바닥면에 설치하는 경우에 기둥부재(400)의 제2 철근고정홈(402)에 바닥면에서 돌출된 위치조정철근(102)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레벨링철판과 제2 레벨링홈(406) 사이에 레벨링 강봉(미도시)을 위치시켜 기둥부재(400)를 정확하게 설치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레벨링 강봉을 제거한 후에 제2 하부주입홈(404)을 통해 그라우트를 제2 철근고정홈(402)의 내부로 주입하여 기둥부재를 바닥에 고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고정부재(500)는 서로 이웃하는 기둥부재(400)의 상단 사이에 체결된다. 상판고정부재(500)의 양끝단은 기둥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철근을 감싸도록 관통공(502)이 형성되고, 양끝단 상부면은 내측으로 단턱(504)이 형성된다. 또한, 단턱(504)에 인접하는 측면에는 관통공방향으로 철근(510)이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상판고정부재(500)는 관통공(502)으로 기둥부재의 상부면에서 돌출된 철근(410)을 감싸도록 위치시키고, 몰탈을 관통공(502)에 주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서로 돌출된 철근(510)을 용접하여 연결한 상태에서 몰탈을 관통공에 채워 넣으면 기둥부재에서 돌출된 철근과 관통공으로 돌출된 철근이 몰탈에 잠기게 되어 상판고정부재와 기둥부재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재(600)는 외곽부재의 상판지지부(250)와 기둥부재(400)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상판고정부재(500) 사이에 위치하며 저류조의 상부외곽을 형성한다. 이때, 외곽부재의 상판지지부(250)에 놓여지는 상판부재(600)는 외곽부재의 측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고, 상판고정부재(500)에 놓이는 상판부재(600)는 서로 이웃하는 상판부재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위치한다.
이러한 상판부재(600)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외곽부재의 상부면에는 상판지지부(250)에 나란하게 돌출된 철판(252)이 형성되고, 상판부재(600)의 양측면에도 외부로 돌출된 철판(602)이 각각 형성되고, 상판고정부재(500)의 중앙에는 철근(520)이 돌출된다. 이에 따라 외곽부재와 상판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 및 상판부재와 상판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서 외곽부재의 철판(252)과 상판부재의 철판(602)을 별도의 철판을 사용하여 용접 접합시키고, 서로 이웃하는 상판부재의 철판(602)을 별도의 철판을 사용하여 용접 접합시킨 후에 철근을 덮도록 몰탈을 주입하면 외곽부재와 상판부재 및 상판부재들이 서로 철판으로 연결되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바닥부재 102 : 위치조정철근
104 : 레벨링철판 200 : 외곽부재
202 : 측벽부 204 : T형측벽부
206 : 모서리부 210 : 받침편
212 : 제1 철근고정홈 214 : 제1 하부주입홈
216 : 그라우팅홀 220 : 삽입홈
222 : 삽입구멍 230 : 제1관통홀
232 : 제2관통홀 240 : 압착수지
250 : 상판지지부 252 : 철판
260 : 제1 레벨링홈 270 : 레벨링 강봉
300 : 외곽고정부재 310 : 몰탈주입홈
312 : 몰탈배출홈 320 : 구슬삽입홈
400 : 기둥부재 402 : 제2 철근고정홈
404 : 제2 하부주입홈 406 : 제2 레벨링홈
410 : 철근 500 : 상판고정부재
502 : 관통공 504 : 단턱
510 : 철근 520 : 철근
600 : 상판부재 602 : 철판

Claims (10)

  1. 외곽부재, 기둥부재의 하단에 삽입·고정되도록 바닥면에서 돌출되는 위치조정철근과, 위치조정철근 사이에 위치하며 외곽부재, 기둥부재의 설치위치를 지정하면서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레벨링철판이 형성된 바닥부재와;
    저류조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와, T형측벽부, 모서리를 형성하는 모서리부로 이루어지며, 하부면에 형성되어 바닥부재의 위치조정철근이 삽입되는 제1 철근고정홈과, 하부 일측에서 제1 철근고정홈으로 연장되어 몰탈이 주입되는 제1 하부주입홈과, 바닥부재의 레벨링철판의 폭에 일치되면서 하부면의 중앙부분에서 측면으로 연장된 제1 레벨링홈과, 내측상부면에서 돌출된 상판지지부를 구비하는 외곽부재와;
    외곽부재의 내부에서 일방향으로 설치되며 하부면에 형성되어 바닥면의 위치조정철근이 삽입되는 제2 철근고정홈과, 하부 일측에서 제2 철근고정홈으로 연장되어 몰탈이 주입되는 제2 하부주입홈과, 바닥부재의 레벨링철판의 폭에 일치되면서 하부면의 중앙부분에서 측면으로 연장된 제2 레벨링홈과, 상부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철근을 구비하는 기둥부재와;
    서로 이웃하는 기둥부재의 상단 사이에 체결되며, 기둥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철근을 감싸도록 양끝단에 형성된 관통공과, 양끝단 상부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단턱을 구비하는 상판고정부재와;
    외곽부재의 상판지지부와 상판고정부재 사이 또는 상판고정부재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외곽부재는 양측면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외곽부재의 양측면이 밀착되면서 삽입홈이 맞대면서 형성된 삽입구멍에 삽입되며, 중앙에 상부면에서 하부로 연장된 몰탈주입홈이 형성되고, 측면에 내부의 몰탈주입홈에서 연장된 몰탈배출홈이 다수개 형성된 외곽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외곽부재는 하부면이 외부로 돌출된 받침편이 형성되고, 받침편에는 설치되는 방향으로 그라우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외곽부재의 하부에는 설치되는 방향으로 강선이 삽입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설치되는 방향으로 강선이 삽입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외곽고정부의 상부에는 외곽부재의 제2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양측면이 서로 관통하는 제3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외곽부재는 삽입홈의 전후방에 상하로 탄성을 갖는 압착수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외곽고정부재의 몰탈배출홈은 전면과 후면 및 양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외곽고정부재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쇠구슬이 삽입되는 구슬삽입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판고정부재의 단턱에 인접하는 측면에는 관통공방향으로 철근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외곽부재의 상판지지부에 놓여지는 상판부재는 외곽부재의 측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고, 상판고정부재에 놓여지는 상판부재는 서로 이웃하는 상판부재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외곽부재의 상부면에는 상판지지부에 나란하게 돌출된 철판가 형성되고, 상판부재의 양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된 철판가 각각 형성되고, 상판고정부재의 중앙에는 철근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
KR1020120062047A 2012-06-11 2012-06-11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 KR101226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047A KR101226524B1 (ko) 2012-06-11 2012-06-11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047A KR101226524B1 (ko) 2012-06-11 2012-06-11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6524B1 true KR101226524B1 (ko) 2013-01-25

Family

ID=47842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047A KR101226524B1 (ko) 2012-06-11 2012-06-11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5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001B1 (ko) 2013-02-14 2014-06-09 김동수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
WO2014148686A1 (ko) * 2013-03-22 2014-09-25 대한이.이엔.씨(주) 친환경 우수저류조
KR101555960B1 (ko) * 2013-08-14 2015-09-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취수관용 수문 및 이를 구비한 빗물 저류조
CN112761400A (zh) * 2020-12-24 2021-05-07 中国水电基础局有限公司 一种平原河道垃圾临时收集站的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2870A (ja) * 1994-03-11 1995-10-03 Asahi Concrete Works Co Ltd 雨水貯溜槽
KR100938223B1 (ko) 2009-07-20 2010-01-22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조립식 우수저류조
KR100994805B1 (ko) 2010-03-05 2010-11-17 도청산업주식회사 복합저류장치
KR101056395B1 (ko) 2011-05-18 2011-08-11 덕산콘크리트(주)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및 상기 저류조 구조물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2870A (ja) * 1994-03-11 1995-10-03 Asahi Concrete Works Co Ltd 雨水貯溜槽
KR100938223B1 (ko) 2009-07-20 2010-01-22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조립식 우수저류조
KR100994805B1 (ko) 2010-03-05 2010-11-17 도청산업주식회사 복합저류장치
KR101056395B1 (ko) 2011-05-18 2011-08-11 덕산콘크리트(주)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및 상기 저류조 구조물의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001B1 (ko) 2013-02-14 2014-06-09 김동수 시공 높이에 따른 대응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빗물 집수시스템
WO2014148686A1 (ko) * 2013-03-22 2014-09-25 대한이.이엔.씨(주) 친환경 우수저류조
KR101555960B1 (ko) * 2013-08-14 2015-09-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취수관용 수문 및 이를 구비한 빗물 저류조
CN112761400A (zh) * 2020-12-24 2021-05-07 中国水电基础局有限公司 一种平原河道垃圾临时收集站的施工方法
CN112761400B (zh) * 2020-12-24 2022-04-15 中国水电基础局有限公司 一种平原河道垃圾临时收集站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805B1 (ko) 복합저류장치
KR100938223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
CN106759462B (zh) 一种适用于狭窄施工场地的预制管廊及其施工方法
KR101226524B1 (ko)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
KR101281070B1 (ko)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787178B1 (ko) 경량철골구조 기초바닥판 및 그 시공 방법
KR101183691B1 (ko)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88806B1 (ko)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7854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매립형 피씨 월 및 상기 피씨 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KR101774952B1 (ko) 친환경 우수저류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KR101632840B1 (ko) 가시설 겸 영구벽체의 배수구조체를 갖는 지하차도 시공방법
KR101935862B1 (ko) 콘트리트 우수저류조 제작방법
KR101441938B1 (ko) 빗물 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40127074A (ko)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KR101327378B1 (ko) 건물의 최저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CN205804365U (zh) 一种盖挖法顶板节点结构
JP6039186B2 (ja) 壁高欄の型枠
AU2008201825A1 (en) Method of constructing building slabs and pavements and storing water
KR101372223B1 (ko)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41943B1 (ko) 반자동체결부와 체결안착부를 구비한 빗물 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CN113802724A (zh) 一种外墙企口缝防渗施工结构及施工方法
KR101224380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
JP2017020331A (ja) 雨水貯留槽の設置方法
KR101056395B1 (ko)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및 상기 저류조 구조물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