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455B1 -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 - Google Patents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455B1
KR101226455B1 KR1020120090437A KR20120090437A KR101226455B1 KR 101226455 B1 KR101226455 B1 KR 101226455B1 KR 1020120090437 A KR1020120090437 A KR 1020120090437A KR 20120090437 A KR20120090437 A KR 20120090437A KR 101226455 B1 KR101226455 B1 KR 101226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cover
discharge
raw material
extru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연
Original Assignee
(주)한도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도기공 filed Critical (주)한도기공
Priority to KR1020120090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455B1/ko
Priority to PCT/KR2013/007237 priority patent/WO201403087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1Extruder feed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2Extrusion nozzles or dies being adjustable, i.e. having adjustable exit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는 압출기(2)에서 이송되는 원료(P)가 유입되도록 일측면에 형성된 유입구(11)와, 유입된 원료(P)가 상기 압출기다이스(1)의 내부에서 이송되도록 상기 유입구(11)의 타측면으로 천공된 확관형상의 이송로(12)와, 상기 이송로(12)에 유입된 원료(P)가 직각으로 꺽여져 토출되도록 상기 이송로(12)의 내주연에서 외측으로 절개된 측면배출로(13)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분할되는 다이스본체(10)와; 상기 다이스본체(10)의 유입구(11) 타측면에 상하로 분할된 상기 다이스본체(10)를 고정시키고, 상기 이송로(12)에서 이송되는 원료(P)가 타측면으로 토출되는 것이 차단되거나 유동되도록 개폐되는 다이스커버(20);로 이루어져 압출기의 일면에 "L"형상 즉, 직각형으로 원료를 이송시키는 토출로가 형성된 압출기다이스를 구비하여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고 시트의 폭을 다양하게 제작하고, 압출기다이스의 일면에 개폐가능한 다이스커버를 구비하여 청소 및 정비가 용이하며 원료의 최초유입시 기포가 포함된 원료를 외부로 배출하여 시트의 불량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 { Perpendicular to the discharge dies for forming a sheet }
본 발명은 시트성형용 직각토출 다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의 폭에 대한 길이가 다양해지고 다이스의 설치면적이 적어지도록 압출기의 일면에 "L"형상으로 원료를 이송시키는 토출로가 형성된 압출기다이스를 구비하고, 청소 및 정비가 용이하며 원료의 최초유입시 기포가 포함된 원료를 외부로 배출하여 시트의 불량이 차단되도록 압출기다이스의 일면에 개폐가능한 다이스커버가 구비된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를 성형하는 압출기에는 마무리공정에 원하는 형상으로 최종성형하는 다이스(Dies)가 구비된다.
상기, 다이스는 원형상으로 최종성형을 할 경우에는 다이스의 토출구를 원형상으로 형성하고, 사각형상으로 최종성형을 할 경우에는 다이스의 토출구를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과 같이 토출구 형상으로 최종성형의 형상이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압출기다이스중 T형다이스를 도시한 개요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압출기 T형다이스는 상부면에 상판(10a)이 볼트(B)로 체결되는 장방형의 상부다이(10)와, 상기 상부다이(10) 하단에 볼트(B)로 체결되어 내부에 유로(A)가 형성되도록 대칭되는 장방형의 하부다이(20)와, 상기 상부다이(10)의 상부가이드홈(11)과 하부다이(20)의 하부가이드홈(21)에 각각 삽입되는 간극조정블럭(30)과, 상기 상,하부다이(10,20) 양측면에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40)와, 외부를 덮어주는 상,하부커버(51,55)로 이루어진 커버(50)로 구성된다.
그러나, 원료의 특성에 따라 T형다이스의 내부에 장기간 머물게 될 경우에는 고온으로 인하여 수지원료의 경우 타버리게 되고, 고무원료인 경우 스코치(경화)가 발생되며 또한,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 표면이 눌림으로써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성형하고자 하는 시트제품의 면적이 증대되면 이와 비례하여 상기 T형다이스의 크기 또한 증대됨으로써, 설치장소가 비효율적으로 활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형 라이닝용 고무 시트의 생산에는 일반적으로 종이 및 피륙 등에 윤을 내는 카렌더(Calender)라는 압착롤러를 사용한 기기에서 생산이 가능하나 얇은 두께의 시트생산에는 압착롤러의 압연 한계를 초과하여 시트 내에 기포가 발생되어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출기의 일면에 "L"형상 즉, 직각형으로 원료를 이송시키는 토출로가 형성된 압출기다이스를 구비하여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고 시트의 폭을 다양하게 제작하고, 압출기다이스의 일면에 개폐가능한 다이스커버를 구비하여 청소 및 정비가 용이하며 원료의 최초유입시 기포가 포함된 원료를 외부로 배출하여 시트의 불량을 최소화하는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는 내부에 투입된 원료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압출기의 일면에 부착되어 이송되는 원료를 시트형상으로 토출시키는 압출기다이스로서 상기 압출기에서 이송되는 원료가 유입되도록 일측면에 형성된 유입구와, 유입된 원료가 상기 압출기다이스의 내부에서 이송되도록 상기 유입구의 타측면으로 천공된 확관형상의 이송로와, 상기 이송로에 유입된 원료가 직각으로 꺽여져 토출되도록 상기 이송로의 내주연에서 외측으로 절개된 측면배출로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분할되는 다이스본체와;
상기 다이스본체의 유입구 타측면에 상하로 분할된 상기 다이스본체를 고정시키고, 상기 이송로에서 이송되는 원료가 타측면으로 토출되는 것이 차단되거나 유동되도록 개폐되는 다이스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배출로의 하부 일면에는 상기 측면배출로의 상하높이를 가변시켜 상기 이송로에서 상기 측면배출로로 이송되는 원료의 양이 가변되도록 상하로 이송되는 토출량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토출량조절수단의 하부에는 상기 토출량조절수단의 상하이동이 가능토록 상기 다이스본체의 하면에서 관통되며 나사체결된 다수개의 토출량조절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량조절수단의 상면에는 상기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원료가 상기 측면배출로의 내부로 동일한 양이 유입되도록 상기 토출량조절수단의 유입구측의 높이가 높고, 상기 유입구측 반대편의 높이가 낮도록 경사진 토출량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스커버의 일측면에는 상기 다이스커버가 회전되며 개폐되도록 형성된 커버힌지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다이스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커버힌지연결부가 연결되어 힌지로 관통체결되도록 형성된 본체힌지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다이스커버의 일면에는 상기 다이스본체와 상기 다이스커버를 관통체결하는 다수개의 커버체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스커버에는 상기 이송로에서 이송된 원료가 배출되도록 상기 이송로와 연통된 커버이송로가 천공되고, 상기 다이스커버의 일면에는 상기 커버이송로가 개폐되도록 다이스보조커버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이송로의 내주연은 이송된 원료의 토출면적이 적어지도록 축관형상의 커버이송축관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스보조커버에는 상기 커버이송로에서 이송된 원료가 배출되도록 상기 커버이송로와 연통되며 천공된 보조커버이송로가 형성되고, 상기 다이스보조커버의 일면에는 상기 보조커버이송로가 개폐되도록 회전되는 보조커버개폐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커버개폐수단에는 상기 보조커버이송로와 연통되는 보조커버개폐공이 천공된 원통형상의 회전개폐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개폐구의 양측면에는 상기 회전개폐구가 요입되어 회전가능토록 내측이 천공된 회전개폐연결편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개폐구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개폐구를 회전시킬 경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회전레버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스본체의 측면배출로 외측부에는 상기 측면배출로로 유입되어 이송되는 원료가 정해진 두께로 토출되도록 상기 측면배출로의 상하높이가 가변되는 토출두께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의 상부에는 상기 다이스본체의 상면에서 관통되며 나사체결되어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다수개의 토출두께조절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의 전면에는 상하로 조정된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다이스본체의 일면과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을 관통체결하는 다수개의 두께조절체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트성형용 직각토출 다이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고온으로 소성된 고무 또는 수지원료를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압출기의 일면에 "L"형상 즉, 직각형으로 원료를 이송시키는 토출로가 형성된 압출기다이스를 구비함으로써, 공장내부의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고, 시트의 폭에 대한 다양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둘째, 상하로 분할된 다이스본체를 고정시키고, 다이스본체의 내부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는 원료를 차단되거나 개방시킬 수 있도록 다이스본체의 일측면에서 회전되는 다이스커버를 구비함으로써, 다이스커버를 밀폐하였을 경우 내부에 이송되는 원료를 측면배출로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며, 전개하였을 경우 내부의 청소 및 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셋째, 압출기에서 처음으로 유입되는 원료를 다이스본체의 내부에 충만시킬 수 있도록 측면배출로의 하부 일면에 상하로 이동되는 토출량조절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다이스본체의 내부에 원료가 충만될 때까지 토출량조절수단을 최상의 위치로 조정하여 놓은 후 원료가 충만되었을 경우 토출량조절수단을 최하의 위치로 조정하여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원료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으며,
넷째, 다이스커버에 내부에서 원료가 이송되는 커버이송로가 개방되거나 개폐되도록 다이스보조커버를 구비함으로써, 다이스본체와 직접적으로 결합된 다이스커버를 개폐하지 않고 간소하게 개폐할 수 있어 내부의 청소 및 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다섯째, 다이스커버의 일면에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한 회전레버구가 구비된 보조커버개폐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압출기에서 처음으로 유입되는 원료에 분포하는 기포 또는 불량원료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시트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품의 불량율을 대폭 하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대한 T형 압출기다이스를 나타내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기다이스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기다이스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부분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개폐구의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용상태도로서, 8a는 회전개폐구가 밀폐된 상태도이고, 8b는 회전개폐구가 개폐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투입된 원료(P)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압출기(2)의 일면에 부착되어 이송되는 원료(P)를 시트형상으로 토출시키는 압출기다이스(1)로서 상기 압출기(2)에서 이송되는 원료(P)가 유입되도록 일측면에 형성된 유입구(11)와, 유입된 원료(P)가 상기 압출기다이스(1)의 내부에서 이송되도록 상기 유입구(11)의 타측면으로 천공된 확관형상의 이송로(12)와, 상기 이송로(12)에 유입된 원료(P)가 직각으로 꺽여져 토출되도록 상기 이송로(12)의 내주연에서 외측으로 절개된 측면배출로(13)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분할되는 다이스본체(10)와; 상기 다이스본체(10)의 유입구(11) 타측면에 상하로 분할된 상기 다이스본체(10)를 고정시키고, 상기 이송로(12)에서 이송되는 원료(P)가 타측면으로 토출되는 것이 차단되거나 유동되도록 개폐되는 다이스커버(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11)는 상기 압출기(2)에서 유입되는 원료(P)의 이송력을 부과하기 위하여 이송방향으로 이동면서 직경이 작아지는 축관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하로 분할되는 다이스본체(10)를 결합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관통체결되는 다수개의 결합볼트(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이스본체(10)의 내부에는 고온에서 이송되는 원료(P)의 성질을 맞추기 위하여 고온의 용수가 순환되는 온조순환로(미도시)가 형성되거나 전기를 인가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히터봉(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면배출로(13)의 하부 일면에는 상기 측면배출로(13)의 상하높이를 가변시켜 상기 이송로(12)에서 상기 측면배출로(13)로 이송되는 원료(P)의 양이 가변되도록 상하로 이송되는 토출량조절수단(14)이 구비되고, 상기 토출량조절수단(14)의 하부에는 상기 토출량조절수단(14)의 상하이동이 가능토록 상기 다이스본체(10)의 하면에서 관통되며 나사체결된 다수개의 토출량조절구(15)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측면배출로(13)의 하부면에는 상기 토출량조절수단(14)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공간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미도시)의 하면에는 상기 토출량조절구(15)가 나사체결되도록 상기 다이스본체(10)의 하면으로 관통된 다수개의 토출량조절구요입공(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토출량조절구(15)는 다수개로 열을 맞춰 구비되는데 첫번째는 상기 토출량조절수단(14)을 밀어올리는 푸쉬조절구(미도시)로 형성되고, 두번째는 상기 토출량조절수단(14)을 끌어당기는 당김조절구(미도시)로 번갈아 가면서 반복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출량조절수단(14)의 상면에는 상기 유입구(11)에서 유입되는 원료(P)가 상기 측면배출로(13)의 내부로 동일한 양이 유입되도록 상기 토출량조절수단(14)의 유입구(11)측의 높이가 높고, 상기 유입구(11)측 반대편의 높이가 낮도록 경사진 토출량경사부(14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스커버(20)의 일측면에는 상기 다이스커버(20)가 회전되며 개폐되도록 형성된 커버힌지연결부(21)가 구비되고, 상기 다이스본체(10)의 일면에는 상기 커버힌지연결부(21)가 연결되어 힌지(h)로 관통체결되도록 형성된 본체힌지연결부(16)가 형성되며, 상기 다이스커버(20)의 일면에는 상기 다이스본체(10)와 상기 다이스커버(20)를 관통체결하는 다수개의 커버체결구(2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힌지연결부(21)의 상하면과 상기 본체힌지연결부(16)의 상하면에는 상기 힌지(h)가 요입되도록 상호 동일한 직경의 힌지요입홈(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다이스커버(20)에는 상기 커버체결구(22)가 관통되는 관통공(미도시)과 상기 다이스본체(10)에는 상기 커버체결구(22)가 나사체결되도록 나사공(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다이스커버(20) 또는 다이스본체(10)의 상호 접촉면에는 내부에서 이동하는 원료(P)가 밖으로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밀폐패킹(미도시)가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이스커버(20)에는 상기 이송로(12)에서 이송된 원료(P)가 배출되도록 상기 이송로(12)와 연통된 커버이송로(23)가 천공되고, 상기 다이스커버(20)의 일면에는 상기 커버이송로(23)가 개폐되도록 다이스보조커버(24)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이송로(23)의 내주연은 이송된 원료(P)의 토출면적이 적어지도록 축관형상의 커버이송축관로(23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이스보조커버(24)의 하부면에는 상기 다이스보조커버(24)가 상하로 회전되며 개폐될 수 있도록 힌지(h)가 연결되는 힌지연결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상기 다이스보조커버(24)를 밀폐한 후 고정시키는 보조커버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이스보조커버(24)에는 상기 커버이송로(23)에서 이송된 원료(P)가 배출되도록 상기 커버이송로(23)와 연통된 보조커버이송로(25)가 천공되고, 상기 다이스보조커버(24)의 일면에는 상기 보조커버이송로(25)가 개폐되도록 회전되는 보조커버개폐수단(2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커버개폐수단(26)에는 상기 보조커버이송로(25)와 연통되는 보조커버개폐공(26b)이 천공된 원통형상의 회전개폐구(26a)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개폐구(26a)의 양측면에는 상기 회전개폐구(26a)가 요입되어 회전가능토록 내측이 천공된 회전개폐연결편(26c)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개폐구(26a)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개폐구(26a)를 회전시킬 경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회전레버구(26d)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커버개폐공(26b)은 상기 회전개폐구(26a)의 회전으로 상기 보조커버이송로(25)와 연통되거나 보조커버이송로(25)가 밀폐되도록 상기 회전개폐구(26a)의 외주연에 상기 보조커버이송로(25)와 동일한 직경으로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이스본체(10)의 측면배출로(13) 외측부에는 상기 측면배출로(13)로 유입되어 이송되는 원료(P)가 정해진 두께로 토출되도록 상기 측면배출로(13)의 상하높이가 가변되는 토출두께조절수단(17)이 구비되고,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17)의 상부에는 상기 다이스본체(10)의 상면에서 관통되며 나사체결되어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17)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다수개의 토출두께조절구(17a)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17)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다이스본체(10)의 외측면에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17)이 안착되는 안착홈(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17)의 전면에는 상하로 조정된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17)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다이스본체(10)의 일면과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17)을 관통체결하는 다수개의 두께조절체결구(17b)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17)에는 상하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두께조절체결구(17b)가 요입되는 관통공(미도시)이 장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시트성형용 직각토출 다이스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으로 소성된 고무 또는 수지원료(P)를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압출기(2)의 일면에 "L"형상 즉, 직각형으로 원료를 이송시키는 토출로가 형성된 압출기다이스(1)를 구비함으로써, 공장내부의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있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출기(2)의 일측으로 이송되는 원료(P)가 유입되도록 상기 다이스본체(10)의 일측면에 축관형상의 유입구(11)를 형성하여 유입되는 원료(P)의 이송력을 단면적에 반비례하는 압력으로 인한 고압으로 유입시킴으로써, 상기 압출기(2)에서 유입되는 원료(P)를 상기 이송로(12)에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 이송로(12)의 내주면 일측에 외측으로 절개된 측면배출로(13)로 인하여 상기 이송로(12)에서 일측으로 이송되는 원료(P)가 직각으로 꺽어져 외부로 토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다이스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이송로(12)를 이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직경이 커지는 확관형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이송로(12)로 유입되는 원료(P)의 압력이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스본체(10)의 타측면에 구비된 다이스커버(20)로 인하여 상하로 분할된 상기 다이스본체(10)를 고정시키고, 상기 이송로(12)에서 이송되는 원료(P)가 타측면으로 토출되는 것이 차단되거나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다이스커버(20)를 밀폐하였을 경우 내부에 이송되는 원료(P)를 상기 측면배출로(13)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며, 전개하였을 경우 내부의 청소 및 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출기(2)에서 처음으로 유입되는 원료(P)를 상기 이송로(12)의 내부에 안전하게 충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측면배출로(13)의 하부 일면에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토출량조절수단(14)으로 인하여 상기 이송로(12)의 내부에 원료(P)가 충만될 때까지 상기 토출량조절수단(14)을 최상의 위치로 조정하여 놓은 후 원료(P)가 충만되었을 경우 상기 토출량조절수단(14)을 최하의 위치로 조정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원료(P)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와 같이 상기 토출량조절수단(14)의 하부에 상하높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된 토출량조절구(15)로 인하여 상기 측면배출로(13)로 유입되는 원료(P)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량조절수단(14)의 상면에 상기 유입구(11) 방향의 높이(h1)가 높고, 상기 유입구(11) 반대편의 높이(h2)가 낮도록 경사진 토출량경사부(14a)로 인하여 상기 유입구(11) 측면의 측면배출로(13)로 유입되는 원료(P)의 양과 상기 유입구(11)의 반대측면의 측면배출로(13)로 유입되는 원료(P)의 양을 소정 비례하도록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토출량조절구(15)를 각각 다르게 회전하여 상기 토출량조절수단(14)의 일측과 타측의 각도를 임의적으로 조절가능하게 됨으로써, 상기 측면배출로(13)를 밀폐시키거나 개폐하며 또는 측면배출로(13)의 일측과 타측의 상하높이를 다르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배출로(13)의 외측부에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비된 토출두께조절수단(17)으로 인하여 상기 토출량조절수단(14)을 통과한 원료(P)가 상기 압출기다이스(1)의 외부로 토출되며 정해진 두께를 가진 시트(S)로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17)의 상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토출두께조절구(17a)로 인하여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17)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압출기다이스(1)의 외부로 토출되는 시트(S)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17)의 전면에 상기 다이스본체(10)의 일면과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17)을 관통체결하는 다수개의 두께조절체결구(17b)로 인하여 내부에서 토출되는 원료(P)로 발생되는 압력으로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17)이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상기 두께조절체결구(17b)가 요입되는 요입공을 장공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17)의 상하이동이 가능해 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17)이 정해진 두께로 세팅된 후 배출되는 시트(S)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상기 토출량조절수단(14)의 양측 높이가 불일치하도록 상기 토출량조절구(15)를 조정하여 상기 시트(S)의 두께가 얇은 부분에는 상기 토출량조절수단(14)을 내려 원료(P)의 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시트(S)의 두께를 보완하고, 시트(S)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는 상기 토출량조절수단(14)을 올려 원료(P)의 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시트(S)의 두께를 축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이스커버(20)에는 커버이송로(23)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된 다이스보조커버(24)로 인하여 상기 다이스본체(10)와 직접적으로 결합된 다이스커버(20)를 개폐하지 않고 간소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되어 내부의 청소 및 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다이스보조커버(24)의 하부에 힌지(h)가 연결되는 힌지연결부(미도시)로 인하여 하향으로 회전되며 상부에 상기 다이스보조커버(24)와 다이스커버(20)를 탈착체결하는 보조커버고정부(미도시)로 인하여 상기 다이스보조커버(24)를 간소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다이스보조커버(24)의 일면에 손쉽게 내부를 밀폐하거나 개폐할 수 있는 회전개폐구(26a)가 구비된 보조커버개폐수단(26)으로 인하여 상기 보조커버개폐수단(26)에 구비된 회전레버구(26d)를 파지한 후 회전함으로써, 상기 다이스본체(10)의 내부에 충만된 원료(P)를 임의적으로 매우 손쉽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개폐구(26a)의 내부에 천공된 보조커버개폐공(26b)을 수직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개폐구(26a)의 외주연으로 상기 보조커버이송로(25)를 밀폐하게 되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개폐구(26a)의 내부에 천공된 보조커버개폐공(26b)을 수평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보조커버이송로(25)와 보조커버개폐공(26b)을 상호 연통시켜 내부의 원료(P)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압출기(2)에서 처음으로 유입되는 원료(P)에 분포하는 기포 또는 불량원료(P)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시트(S)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품의 불량율을 대폭 하락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출기다이스 2 : 압출기
10 : 다이스본체 11 : 유입구
12 : 이송로 13 : 측면배출로
14 : 토출량조절수단 14a : 토출량경사부
15 : 토출량조절구 16 : 본체힌지연결부
17 : 토출두께조절수단 17a : 토출두께조절구
17b : 두께조절체결구 20 : 다이스커버
21 : 커버힌지연결부 22 : 커버체결구
23 : 커버이송로 23a : 커버이송축관로
24 : 다이스보조커버 25 : 보조커버이송로
26 : 보조커버개폐수단 26a : 회전개폐구
26b : 보조커버개폐공 26c : 회전개폐연결편
29 : 회전레버구 P : 원료
S : 시트

Claims (9)

  1. 내부에 투입된 원료(P)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압출기(2)의 일면에 부착되어 이송되는 원료(P)를 시트형상으로 토출시키는 압출기다이스(1)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2)에서 이송되는 원료(P)가 유입되도록 일측면에 형성된 유입구(11)와, 유입된 원료(P)가 상기 압출기다이스(1)의 내부에서 이송되도록 상기 유입구(11)의 타측면으로 천공된 확관형상의 이송로(12)와, 상기 이송로(12)에 유입된 원료(P)가 직각으로 꺽여져 토출되도록 상기 이송로(12)의 내주연에서 외측으로 절개된 측면배출로(13)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분할되는 다이스본체(10)와;
    상기 다이스본체(10)의 유입구(11) 타측면에 상하로 분할된 상기 다이스본체(10)를 고정시키고, 상기 이송로(12)에서 이송되는 원료(P)가 타측면으로 토출되는 것이 차단되거나 유동되도록 개폐되는 다이스커버(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이스커버(20)에는 상기 이송로(12)에서 이송된 원료(P)가 배출되도록 상기 이송로(12)와 연통된 커버이송로(23)가 천공되고, 상기 다이스커버(20)의 일면에는 상기 커버이송로(23)가 개폐되도록 다이스보조커버(24)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이송로(23)의 내주연은 이송된 원료(P)의 토출면적이 적어지도록 축관형상의 커버이송축관로(23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배출로(13)의 하부 일면에는 상기 측면배출로(13)의 상하높이를 가변시켜 상기 이송로(12)에서 상기 측면배출로(13)로 이송되는 원료(P)의 양이 가변되도록 상하로 이송되는 토출량조절수단(14)이 구비되고,
    상기 토출량조절수단(14)의 하부에는 상기 토출량조절수단(14)의 상하이동이 가능토록 상기 다이스본체(10)의 하면에서 관통되며 나사체결된 다수개의 토출량조절구(1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량조절수단(14)의 상면에는 상기 유입구(11)에서 유입되는 원료(P)가 상기 측면배출로(13)의 내부로 동일한 양이 유입되도록 상기 토출량조절수단(14)의 유입구(11)측의 높이가 높고, 상기 유입구(11)측 반대편의 높이가 낮도록 경사진 토출량경사부(14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스커버(20)의 일측면에는 상기 다이스커버(20)가 회전되며 개폐되도록 형성된 커버힌지연결부(21)가 구비되고, 상기 다이스본체(10)의 일면에는 상기 커버힌지연결부(21)가 연결되어 힌지(h)로 관통체결되도록 형성된 본체힌지연결부(16)가 형성되며, 상기 다이스커버(20)의 일면에는 상기 다이스본체(10)와 상기 다이스커버(20)를 관통체결하는 다수개의 커버체결구(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스보조커버(24)에는 상기 커버이송로(23)에서 이송된 원료(P)가 배출되도록 상기 커버이송로(23)와 연통되며 천공된 보조커버이송로(25)가 형성되고, 상기 다이스보조커버(24)의 일면에는 상기 보조커버이송로(25)가 개폐되도록 회전되는 보조커버개폐수단(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개폐수단(26)에는 상기 보조커버이송로(25)와 연통되는 보조커버개폐공(26b)이 천공된 원통형상의 회전개폐구(26a)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개폐구(26a)의 양측면에는 상기 회전개폐구(26a)가 요입되어 회전가능토록 내측이 천공된 회전개폐연결편(26c)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개폐구(26a)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개폐구(26a)를 회전시킬 경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회전레버구(2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스본체(10)의 측면배출로(13) 외측부에는 상기 측면배출로(13)로 유입되어 이송되는 원료(P)가 정해진 두께로 토출되도록 상기 측면배출로(13)의 상하높이가 가변되는 토출두께조절수단(17)이 구비되고,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17)의 상부에는 상기 다이스본체(10)의 상면에서 관통되며 나사체결되어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17)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다수개의 토출두께조절구(17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17)의 전면에는 상하로 조정된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17)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다이스본체(10)의 일면과 상기 토출두께조절수단(17)을 관통체결하는 다수개의 두께조절체결구(17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
KR1020120090437A 2012-08-20 2012-08-20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 KR101226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437A KR101226455B1 (ko) 2012-08-20 2012-08-20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
PCT/KR2013/007237 WO2014030870A1 (ko) 2012-08-20 2013-08-12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437A KR101226455B1 (ko) 2012-08-20 2012-08-20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6455B1 true KR101226455B1 (ko) 2013-01-28

Family

ID=4784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437A KR101226455B1 (ko) 2012-08-20 2012-08-20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26455B1 (ko)
WO (1) WO201403087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887B1 (ko) * 2014-01-14 2014-10-06 (주)한도기공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
KR20160079226A (ko) * 2014-12-26 2016-07-06 주식회사 한얼도예 평면도자기 제조용 토출 다이의 토출량 조절장치
WO2018124377A1 (ko) * 2017-01-02 2018-07-05 (주)경동월드와이드 Wpc 판재 제조 방법 및 평탄화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9878A (ko) * 2008-06-13 2009-12-17 신정아 토출구 간극 조절수단을 갖는 압출 패널 제조장치와 방법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이중 압축 패널
KR101140685B1 (ko) * 2011-07-21 2012-05-03 (주)한도기공 대형시트 제작용 압출기다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0601A1 (ja) * 2008-03-06 2009-09-11 サン・トックス株式会社 熱成形シート積層用フィルム
KR101018726B1 (ko) * 2009-10-30 2011-03-04 주식회사 현대인더스트리 판재의 제조장치 및 그 판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9878A (ko) * 2008-06-13 2009-12-17 신정아 토출구 간극 조절수단을 갖는 압출 패널 제조장치와 방법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이중 압축 패널
KR101140685B1 (ko) * 2011-07-21 2012-05-03 (주)한도기공 대형시트 제작용 압출기다이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887B1 (ko) * 2014-01-14 2014-10-06 (주)한도기공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
KR20160079226A (ko) * 2014-12-26 2016-07-06 주식회사 한얼도예 평면도자기 제조용 토출 다이의 토출량 조절장치
KR101638383B1 (ko) * 2014-12-26 2016-07-11 주식회사 한얼도예 평면도자기 제조용 토출 다이의 토출량 조절장치
WO2018124377A1 (ko) * 2017-01-02 2018-07-05 (주)경동월드와이드 Wpc 판재 제조 방법 및 평탄화장치
KR20180079770A (ko) * 2017-01-02 2018-07-11 (주)경동월드와이드 Wpc 판재 제조 방법 및 평탄화장치
KR101951656B1 (ko) 2017-01-02 2019-03-04 (주)경동월드와이드 Wpc 판재 제조 방법 및 평탄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0870A1 (ko)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455B1 (ko) 직각으로 토출되는 시트성형용 압출기다이스
CN103103908A (zh) 沥青混合料烘干滚筒
CN203884587U (zh) 一种新型茶叶杀青机
CN104807309A (zh) 一种建筑用竖立螺旋式烘干机
CN203144867U (zh) 一种沥青混合料烘干滚筒
CN211084705U (zh) 一种旋转烘干机
CN210308650U (zh) 一种用于生产止水带的硫化装置
CN106318742A (zh) 一种洗衣片专用生产装置
CN105667900A (zh) 电热收缩炉
CN206392369U (zh) 一种蜂窝板涂层双面烘干装置
CN203884586U (zh) 一种新型滚筒式杀青机
CN209075484U (zh) 一种中药蒸药器
CN209944928U (zh) 一种可快速烘干化工产品的烘干装置
CN209491934U (zh) 保温材料生产设备
CN105442415A (zh) 一种立式烘干塔及沥青搅拌设备
CN203353555U (zh) 用于豆皮成型设备上的加热装置
CN216011646U (zh) 一种节能的干燥设备
CN207789525U (zh) 一种用于纳米微晶板的延压成型装置
CN210683683U (zh) 一种污泥炭化炉用控制排料装置
CN205528539U (zh) 一种变性淀粉烤箱
CN206847314U (zh) 一种流延式电池材料干燥装置
CN208759974U (zh) 一种pla和pbat混合改性材料的造粒设备
CN110027098A (zh) 一种用于免烧材料的高效节能立体养护系统及其运行工艺
CN208164150U (zh) 一种橡胶生产加工用压片机
CN207345002U (zh) 一种液态硅胶模具生产用无水口唧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