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181B1 -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181B1
KR101226181B1 KR1020110020564A KR20110020564A KR101226181B1 KR 101226181 B1 KR101226181 B1 KR 101226181B1 KR 1020110020564 A KR1020110020564 A KR 1020110020564A KR 20110020564 A KR20110020564 A KR 20110020564A KR 101226181 B1 KR101226181 B1 KR 101226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key
identification information
key
authentic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2414A (ko
Inventor
정재열
이국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온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온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온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10020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181B1/ko
Publication of KR20120102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은, 스마트 키로부터 키식별정보를 수신하는 키식별정보 수신부; RFID 태그로부터 태그식별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 및 상기 키식별정보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키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RFID 리더로부터 태그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태그식별정보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을 동작 또는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Vehicle smart key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의 동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필수품인 자동차는 과거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제어되어 왔으며, 대표적인 차량 제어권을 얻는 방법으로서 열쇠 키를 사용하였다. 예컨대, 열쇠 키로 차문 잠금 장치를 해정 및 괘정하였으며, 열쇠 키를 이용하여 엔진 시동을 걸고 주행을 하였다.
그러나, 전자 제어 기술 및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차량 내 전자 장치들을 원격에서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현재에는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차문 잠금 장치의 해정 및 괘정을 제어하고 차량 시동 등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무선 제어 리모콘과 같은 장치가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RF 기술의 고도화를 통해, 리모콘이나 차 열쇠 키의 별도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무선 전자 키(스마트 키)를 들고 차량에 인접하였을 때 차문 잠금 장치를 자동으로 해정시키는 키리스 엔트리(Keyless Entry) 기능과 전자 키를 소지하고 차량에 탑승했을 때 시동을 걸 수 있는 권한을 주는 키리스 고(Keyless Go) 기능이 적용된 스마트 키 시스템이 개발되어, 차량의 보안은 물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키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스마트 키 시스템(100)은 스마트 키(110)의 인접 여부를 추적하기 위해 일정한 거리에 도달하는 웨이크 업(Wake Up) 신호를 차량 내부에 설치된 LF(Law Frequency) 안테나를 통해 발신하고, 스마트 키(110)가 웨이크 업(Wake Up) 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고유식별정보를 RF(Radio Frequency)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전송하면, 스마트 키 시스템(100)이 이를 수신하여 등록된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정당한 사용자임을 판단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100)은 스마트 키(110)의 고유식별정보(이하, '키식별정보'라 함)를 수신한 후 내부에 등록되어 있는 키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스마트 키의 인증 여부를 인증 상태로 하고, 도어락을 해정하도록 제어하며, 엔진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인증 상태에서 소정 시간의 타이머를 동작 시키고, 타이머 동작이 완료될 때마다 스마트 키의 인접 여부를 다시 확인하며, 만약 스마트 키가 발견되지 않으면 스마트 키가 이탈한 것으로 간주하여 스마트 키의 인증 여부를 불인증 상태로 변경한다. 그리고, 도어락을 괘정하도록 제어하고, 엔진 시동을 걸 수 없도록 일련의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스마트 키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스마트 키를 들고 스마트 키의 인접 여부가 판단되는 영역 경계에 서 있는 경우나 세차 등을 하기 위해 차량으로의 접근과 이탈을 반복하는 경우에 스마트 키의 인접(인증 상태)과 이탈(불인증 상태)의 판단을 번갈아서 반복하게 되며, 이에 따라 차량의 스마트 키 인증은 물론 차량 도어락의 해정 및 괘정을 반복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오작동에 대한 인식과 불편함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 키를 분실하였거나 또는 스마트 키가 고장나거나 배터리가 떨어져 동작이 불가능할 때에는 차량에 탑승하는 것이 어렵게 되며, 비록 기계적인 열쇠 키로 차문을 열고 들어가더라도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의 동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 키가 없더라도 RFID 태그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는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은, 스마트 키로부터 키식별정보를 수신하는 키식별정보 수신부; RFID 태그로부터 태그식별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 및 상기 키식별정보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키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RFID 리더로부터 태그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태그식별정보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을 동작 또는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스마트 키로부터 전송된 스마트 키 고유의 키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RFID 태그로부터 전송된 RFID 태그 고유의 태그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태그식별정보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식별정보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을 동작 또는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의 동작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작동하는 차량 도어락의 해정 및 괘정의 반복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RFID 태그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키가 없거나 작동이 안 되는 경우에도 차량을 운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마트 키 시스템을 차량에 적용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키 시스템을 차량에 적용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 동작 방법의 흐름도로서, 스마트 키 인증 기능과 관련된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 동작 방법의 흐름도로서, 타이머 기능과 관련된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 동작 방법의 흐름도로서, RFID 태그 인증과 관련된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200)은 차량식별정보 발신부(201), 키식별정보 수신부(202), RFID 리더(203), 차문 잠금 장치 제어부(204), 차문 개폐 감지부(205), 엔진 시동 제어부(206), 비밀번호 입력부(207), 중앙 제어부(208) 등을 포함한다.
이를 상술하면, 먼저 차량식별정보 발신부(201)는 차량 고유의 차량식별정보가 포함된 무선 신호(차량식별신호)를 발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차량 주위로 일정한 도달 거리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 장파 또는 초장파와 같은 LF(Low Frequency)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으로는 자계를 기반으로 하는 상호유도작용방식의 신호 전송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마트 키(210)는 차량식별신호의 도달 거리 내에 위치할 경우 차량식별정보 발신부(201)가 발신한 무선 신호(차량식별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신호에 포함된 차량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스마트 키(210)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식별정보와 비교한다. 그리고, 만약 수신된 차량식별정보가 스마트 키(210)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식별정보와 일치하면, 스마트 키(210)는 기 저장되어 있는 스마트 키 고유의 키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키식별신호)를 발신한다. 즉, 스마트 키(210)는 평시에는 수신 대기 상태로 있으며, 차량 인접 거리에 발신되는 차량식별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신호로부터 차량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기 저장된 차량식별정보와 비교하고, 만약 일치하는 경우 키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키식별신호)를 차량으로 발신한다.
키식별정보 수신부(202)는 스마트 키(210)가 발신하는 무선 신호(키식별신호)를 수신하여 키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중앙 제어부(208)로 전달한다. 그러면, 중앙 제어부(208)는 키식별정보 수신부(202)로부터 전송된 키식별정보를 내부 메모리 등에 기 저장되어 있는 키식별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키가 차량 사용 권한이 있는 정당한 키인가를 인증함으로써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을 수행한다.
RFID 리더(203)는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 등에 위치하여 RFID 태그(230)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무선 전자파를 발신하고, RFID 태그(230)로부터 태그식별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중앙 제어부(208)로 전송한다.
여기서, RFID 태그(230)는 RFID 리더(203)와 RFID 통신을 수행하여 태그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장치로서, RFID 리더(203)에 가까이 위치시켰을 때 RFID 리더(203)에서 공급되는 무선 전자파를 이용하여 내부 동작전력을 충전하고, 충분히 충전되었을 때 태그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장치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RFID 태그(230)는 사용자(운전자)가 휴대할 수 있는 카드 형태의 수동형 RFID 태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RFID 태그와 RFID 리더 사이의 통신 거리는 20cm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문 잠금 장치 제어부(204)는 차문 잠금 장치(24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차문 잠금 장치가 괘정 또는 해정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중앙 제어부(208)가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을 수행하여 해당 키가 정당한 키로 판단된 경우(즉, 인증 상태인 경우) 차문 잠금 장치 제어부(204)로 해정을 요청하고, 이에 차문 잠금 장치 제어부(204)는 차문 잠금 장치(240)로 제어 신호를 보내 차문 잠금 장치를 해정한다.
차문 개폐 감지부(205)는 차문 개폐 감지 장치(250)로부터 차문개폐정보를 수신하여 중앙 제어부(208)로 전송한다. 이 때, 중앙 제어부(208)는 스마트 키 인증 상태에서 차문이 열린 경우(즉, 등록된 사용자가 차문을 여는 경우) 사용자의 탑승으로 간주하게 된다.
엔진 시동 제어부(206)는 엔진 시동 장치(26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엔진 시동 장치가 엔진을 시동하도록 제어한다. 참고로, 엔진 시동 장치(260)는 스타트 모터로 전류를 인가하여 스타트 모터로 하여금 엔진을 회전시키도록 하여 시동이 걸리도록 하는 장치이다.
비밀번호 입력부(207)는 스마트 키가 없을 경우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기존의 차량 오디오에 구비된 버튼(예, 라디오 선국을 위한 숫자 버튼) 등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받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입력된 비밀번호는 중앙 제어부(208)로 전송된다.
마지막으로, 중앙 제어부(208)는 스마트 키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를 전반적으로 제어하여 스마트 키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중앙 제어부(208)는 키식별정보 수신부(202)로부터 전송된 키식별정보를 기초로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을 수행하고, 만약 정당한 사용자로 인증된 경우(즉, 인증 상태인 경우) 차문 잠금 장치 제어부(204)로 해정을 요청하여 차량의 차문 잠금 장치(240)가 해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중앙 제어부(208)는 차문 개폐 감지부(205)로부터 차문개폐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탑승 후 차문이 닫힌 상태에서 엔진 스타트 버튼이 눌려지면, 엔진 시동 제어부(206)로 엔진 시동을 요청한다.
또한, 중앙 제어부(208)는 인증 상태에서 소정 시간의 타이머를 동작 시키고, 타이머 동작이 완료될 때마다 스마트 키의 인접 여부를 다시 확인하며, 만약 스마트 키가 발견되지 않으면 스마트 키가 이탈한 것으로 간주하여 스마트 키의 인증 여부를 불인증 상태로 변경한다. 그리고, 중앙 제어부(208)는 차문 잠금 장치 제어부(204)로 괘정을 요청하여 차문 잠금 장치(240)가 괘정되도록 하고, 엔진 시동 제어부(206)를 제어하여 엔진 시동을 걸 수 없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 제어부(208)는 RFID 리더(203)로부터 태그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전술한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을 동작시키거나 중단시킨다. 즉,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이 동작 중인 상태에서 RFID 리더(203)가 RFID 태그(230)를 인식하여 태그식별정보를 전송할 경우, 중앙 제어부(208)는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을 중단시키고 차문 잠금 장치 제어부(204)를 제어하여 차문 잠금 장치(240)의 작동(해정 및 괘정)을 중단시킨다. 반대로,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이 중단된 상태에서 RFID 리더(203)가 RFID 태그(230)를 인식하여 태그식별정보를 전송할 경우, 중앙 제어부(208)는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을 다시 동작 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상세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 동작 방법의 흐름도로서, 스마트 키 인증 기능과 관련된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10에서, 스마트 키 시스템은 차량식별정보 발신부를 통해 차량 고유의 차량식별정보가 포함된 차량식별신호를 발신한다. 이 경우, 만약 스마트 키가 차량식별신호의 도달 거리 내에 위치하면, 스마트 키는 차량식별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스마트 키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식별정보와 비교한 후 일치하면 스마트 키 고유의 키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키식별신호를 발신한다.
단계 S420에서, 스마트 키 시스템은 스마트 키로부터 발신된 키식별정보를 수신하였는지 확인하고, 만약 키식별정보를 수신하였다면 내부 메모리 등에 기 저장되어 있는 키식별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키가 차량 사용 권한이 있는 정당한 키인가를 인증한다. 그리고, 만약 키식별정보의 수신 및/또는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는 단계 S410으로 돌아가 차량식별정보를 발신하게 된다.
한편, 만약 키식별정보의 수신 및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는, 단계 S430에서, 스마트 키 시스템은 차문 잠금 장치 제어부를 통해 차문 잠금 장치를 해정시킨다.
그리고, 단계 S440에서, 스마트 키 시스템은 주기적인 인증을 위해 소정 시간의 타이머를 동작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 동작 방법의 흐름도로서, 타이머 기능과 관련된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단계 S510에서, 소정 시간(즉, 인증 유효기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타이머가 동작한다.
그리고, 단계 S520에서, 스마트 키 시스템은 인증 유효기간이 만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인증 유효기간이 만료되지 않았다면 단계 S510으로 진행되어 타이머의 동작이 계속된다.
한편, 만약 인증 유효기간이 만료되었다면, 단계 S530에서, 스마트 키 시스템은 차량식별정보 발신부를 통해 차량 고유의 차량식별정보가 포함된 차량식별신호를 발신한다.
그리고, 단계 S540에서, 스마트 키 시스템은 스마트 키로부터 발신된 키식별정보를 수신하였는지 확인하고, 만약 키식별정보를 수신하였다면 해당 키가 차량 사용 권한이 있는 정당한 키인가를 인증한다. 참고로, 단계 S530 및 단계 S540은 전술한 도 4의 단계 S410 및 단계 S420과 동일한 과정이다.
만약, 단계 S540에서 키식별정보의 수신 및/또는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는, 단계 S550으로 진행되어, 타이머를 다시 동작시켜 인증 유효기간을 갱신한다. 그리고, 단계 S510으로 진행되어 전술한 단계를 되풀이한다.
그러나, 만약 단계 S540에서 키식별정보의 수신 및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는, 단계 S560으로 진행되어, 스마트 키 시스템은 차문 잠금 장치 제어부를 통해 차문 잠금 장치를 괘정시킨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 동작 방법의 흐름도로서, RFID 태그 인증과 관련된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단계 S610에서, 스마트 키 시스템은 RFID 리더를 통해 무선 전자파를 발신한다. 이 경우, 만약 사용자가 RFID 태그를 RFID 리더에 가까이 위치시키게 되면, RFID 태그는 RFID 리더에서 공급되는 무선 전자파를 이용하여 내부 동작전력을 충전하게 되고, 충분히 충전되면 태그식별정보를 발신하게 된다.
단계 S620에서, 스마트 키 시스템은 RFID 태그로부터 태그식별정보를 수신하였는지 확인하고, 만약 태그식별정보를 수신하였다면 내부 메모리 등에 기 저장되어 있는 태그식별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RFID 태그가 차량 사용 권한이 있는 정당한 사용자의 태그인지를 인증한다. 그리고, 만약 태그식별정보의 수신 및/또는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는 단계 S610으로 돌아가게 된다.
한편, 만약 태그식별정보의 수신 및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는, 단계 S630에서, 스마트 키 시스템은 현재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이 동작 중인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만약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이 현재 동작 중인 경우에는, 단계 S640으로 진행되어,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을 중단시킨다. 예컨대, 스마트 키 시스템은 차량식별신호의 발신을 정지시키고 타이머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그러나, 만약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이 현재 중단된 경우에는, 단계 S650으로 진행되어,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을 다시 동작시킨다. 예컨대, 스마트 키 시스템은 차량식별신호를 발신하고 타이머의 동작 역시 재개시킨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들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키로부터 스마트 키 고유의 키식별정보를 수신하는 키식별정보 수신부;
    RFID 태그로부터 RFID 태그 고유의 태그식별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비밀번호 입력부; 및
    상기 키식별정보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키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RFID 리더로부터 태그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태그식별정보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태그식별정보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을 동작 또는 중단시키며,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비밀번호 입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엔진 시동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 고유의 차량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발신하는 차량식별정보 발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키는 상기 차량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식별정보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차량식별정보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키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키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타이머를 통해 인증 유효기간의 만료를 확인하고, 인증 유효기간이 만료된 경우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을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차문 잠금 장치를 제어하는 차문 잠금 장치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키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차문 잠금 장치 제어부로 차문 잠금 장치의 해정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엔진 시동 장치를 제어하는 엔진 시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키의 인증이 성공한 상태에서 엔진 스타트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엔진 시동 제어부로 엔진 시동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이 중단될 때 상기 키식별정보 수신부의 기능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이 동작될 때 상기 키식별정보 수신부의 기능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키로부터 전송된 스마트 키 고유의 키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RFID 태그로부터 전송된 RFID 태그 고유의 태그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태그식별정보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태그식별정보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을 동작 또는 중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이 중단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엔진 시동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차량 고유의 차량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발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키는 상기 차량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식별정보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차량식별정보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키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삭제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키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타이머를 통해 인증 유효기간의 만료를 확인하고, 인증 유효기간이 만료된 경우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을 재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키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차문 잠금 장치의 해정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키의 인증이 성공한 상태에서 엔진 스타트 버튼이 눌려지면 엔진 시동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이 동작되면 차문 잠금장치의 괘정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키 인증 기능이 중단되면 차문 잠금장치의 해정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0020564A 2011-03-08 2011-03-08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226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564A KR101226181B1 (ko) 2011-03-08 2011-03-08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564A KR101226181B1 (ko) 2011-03-08 2011-03-08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414A KR20120102414A (ko) 2012-09-18
KR101226181B1 true KR101226181B1 (ko) 2013-01-24

Family

ID=47110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564A KR101226181B1 (ko) 2011-03-08 2011-03-08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1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6404A (ko) * 2012-10-10 2014-05-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마트키 시스템 및 설정 방법
KR102589038B1 (ko) 2018-06-28 2023-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
CN115150823A (zh) * 2022-06-30 2022-10-04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智能钥匙认证方法、系统及车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9606A (ko) * 2008-12-31 2010-07-08 김응열 스마트키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9606A (ko) * 2008-12-31 2010-07-08 김응열 스마트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414A (ko) 201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3109B2 (en) Vehicle control system to prevent relay attack
KR100586476B1 (ko) 보안관련 데이터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US95363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keyless entry and remote starting vehicle with an OEM remote embedded in vehicle
US10220814B2 (en) Vehicle control system
JP6790917B2 (ja) キーシステムを用いた車載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キーシステム
US11110894B2 (en) Car sharing system
JP2018062306A (ja) 生体認証併用電子キーシステム
CN111315948B (zh) 遥控无钥匙进入系统
JP6323298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携帯機
US20220180679A1 (en) Vehicle control system
JP5461956B2 (ja) 車両の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226181B1 (ko)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5193730B2 (ja) 位置教示機能備え付け物品の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KR101334461B1 (ko) 패시브 키리스 엔트리 스마트 키를 위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160703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11094459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US20170180082A1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vehicle-mounted device, and portable device
JP2005320708A (ja) 電子キーシステム、電子キー及び発信機
JP2018191451A (ja) 非接触式充電装置
WO2012131930A1 (ja) 入退室管理装置
JP6253003B1 (ja)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セキュリティユニット並びに電子キー
WO2019136332A1 (en) Multilane message counters to ensure order
KR102040560B1 (ko) 전계 통신과 lf 통신을 융합한 스마트 키를 이용한 차량 시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시동 방법
US20230219526A1 (en) Vehicle control system
KR20190127835A (ko) 자동차에 대한 안전한 접근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