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083B1 -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083B1
KR101225083B1 KR1020060132025A KR20060132025A KR101225083B1 KR 101225083 B1 KR101225083 B1 KR 101225083B1 KR 1020060132025 A KR1020060132025 A KR 1020060132025A KR 20060132025 A KR20060132025 A KR 20060132025A KR 101225083 B1 KR101225083 B1 KR 101225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
scan area
area
touch scree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8012A (ko
Inventor
빈성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2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083B1/ko
Publication of KR20080058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69Digital image input
    • H04N1/00177Digital image input from a user terminal, e.g. personal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을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스캐너에서,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및 입력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영역을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이 화상을 인식하는 스캔 영역으로 설정하는 스캔 영역 설정부를 포함함으로서, 터치스크린의 간편한 터치만으로 화상을 인식하는 스캔 영역을 지정하여 원하는 영역만을 빠르게 스캔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to control scan region}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캐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캐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입력되는 스캔을 시작하는 시작점의 위치 및 스캔을 종료하는 종료점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입력되는 다수의 스캔 시작점의 위치 및 스캔 종료점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에서 다수 버튼들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스 캔 영역을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버튼들을 이용하여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및 다수의 버튼들을 이용하여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캐너(Scanner)에서 화상을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은 홈 센서(Home sensor)의 기본 위치에서부터 스캔을 시작하여 스캔 영역 내의 스캔 영역 지정 센서를 만나면, 그 지점에서 스캔을 완료하고, 최초 홈 센서의 기본 위치로 돌아온다. 따라서, 스캔하고자 하는 원고가 평판부의 일부분에만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이미지 센서 모듈은 전 영역에 스캔을 수행하는 비효율적인 면이 있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캐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캐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스캐너는 평판부(100), 홈센서(Home Sensor)(110), 스캔 영역 지정 센서(120) 및 스캔 영역 지정 센서와 연결된 손잡이(130)를 포함한다.
평판부(100)는 스캔(Scan)하고자 하는 원고가 놓여지는 유리판을 의미한다.
홈센서(110)는 화상을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의 시작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센서로 이미지 센서 모듈의 시작점 부위에 고정되어 위치한다.
스캔 영역 지정 센서(120)는 화상을 인식하는 홈센서(110)의 위치에서 이동을 시작한 이미지 센서 모듈이 이동하는 최종적인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스캔 영역 지정 센서와 연결된 손잡이(130)는 스캔 영역 지정 센서(120)와 연결되어 있고, 평판부(100)의 긴 사이지의 용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캔 영역 지정 센서와 연결된 손잡이(130)를 평판부(100)의 긴 사이즈의 용지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캔 영역 지정 센서(120)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 모듈은 홈센서(110)의 위치에서 이동을 시작하여 스캔 영역 지정 센서(130)가 감지되는 부분까지 스캔한 후, 다시 홈센서(110) 위치로 돌아간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스캐너(Scanner)에서는 홈센서(110)의 기본 위치에서 이동을 시작한 이미지 센서 모듈이 스캔 영역 내에 위치한 스캔 영역 지정 센서(120)까지 이동하면, 그 위치에서 스캔을 완료하고 다시 홈센서(110)의 위치로 돌아가게 하여, 원하는 영역을 골라 스캔할 수 있는 구성이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스캐너에서는 스캔하기 위한 종료점만을 지정할 수 있으므로, 항상 홈센서(110)의 위치부터 스캔함으로서 스캔하기 위한 원고가 홈 센서의 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면, 그 지점까지 스캔한 후, 다시 홈 센서의 위치까지 돌아와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캔할 영역을 지정하기 위해서는 스캔 영역 지정 센서의 위치를 조정하는데, 이러한 스캔 영역 지정 센서의 위치는 스캔 영역 지정 센서와 연결된 손잡이를 이동시켜 조정하였으므로 스캔 영역 지정 센서의 위치를 조정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상을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스캐너에서,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에 입력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영역을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이 화상을 인식하는 스캔 영역으로 설정하는 스캔 영역 설정부를 포함함으로서, 터치 스크린의 간편한 터치만으로 스캔 영역을 지정하여 원하는 영역만을 빠르게 스캔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을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스캐너에서,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및 상기 입력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영역을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이 화상을 인식하는 스캔 영역으로 설정하는 스캔 영역 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상을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스캐너에서,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 서 모듈의 위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버튼들; 및 상기 버튼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2개의 버튼 사이의 영역을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이 화상을 인식하는 스캔 영역으로 설정하는 스캔 영역 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상을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스캐너에서,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영역을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이 화상을 인식하는 스캔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상을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스캐너에서,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는 터치 스크린(200) 및 스캔 영역 설정부(210)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200)에는 스캔하고자 하는 원고가 평판부(미도시)에서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스캔을 시작하는 시작점의 위치 및 스캔을 종료하는 종료점의 위치가 입력된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입력되는 스캔을 시작하는 시작점의 위치 및 스캔을 종료하는 종료점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도 2의 터치 스크린(200)에 입력되는 스캔을 시작하는 시작점의 위치 및 스캔을 종료하는 종료점의 위치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터치 스크린(200)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부(220)의 긴 사이즈 용지 방향에 평행하게 위치한다. 이때, 스캔을 시작하는 시작점 및 스캔을 종료하는 종료점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200)에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입력된다. 즉, 사용자는 스캔하고자 하는 원고가 평판부(220)의 어느 곳에 위치한지를 고려하여 터치 스크린(200)을 손으로 터치하여 스캔을 시작하는 시작점의 위치 및 스캔을 종료하는 종료점의 위치를 선택한다. 스캔하고자 하는 원고가 평판부(220)의 구간 A에 존재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200)에서 제 1 위치(300) 및 제 2 위치(310)을 터치하고, 이러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제 1 위치(300) 및 제 2 위치(310)는 터치 스크린(200)에 스캔의 시작점의 위치 및 종료점의 위치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200)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스캔을 시작하는 시작점의 위치 및 스캔을 종료하는 종료점의 위치를 입력받는다.
스캔을 시작하는 시작점의 위치 및 스캔을 종료하는 종료점의 위치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드래그(Drag)에 의해 터치 스크린(200)에 입력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스캔하고자 하는 원고가 평판부(220)의 어느 곳에 위치한지 를 고려하여 터치 스크린(200)에서 스캔을 시작하는 시작점의 위치부터 스캔을 종료하는 종료점의 위치까지 손으로 연속적으로 터치, 즉 드래그하여 시작점 및 종료점을 선택하고, 터치 스크린(200)은 이를 통해 스캔을 시작하는 시작점의 위치 및 스캔을 종료하는 종료점의 위치를 입력 받는다. 스캔하고자 하는 원고가 평판부(220)의 구간 B에 존재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200)에서 제 3 위치(320)부터 제 4 위치(330)까지 연속적으로 터치한다.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200)은 사용자가 처음 터치한 제 3 위치(320)와 사용자가 터치를 중단한 제 4 위치(330)를 각각 스캔을 시작하는 시작점의 위치 및 스캔을 종료하는 종료점의 위치로 입력 받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의 터치 스크린은 다수의 스캔 시작점 및 스캔 종료점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입력되는 다수의 스캔 시작점의 위치 및 스캔 종료점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의 터치 스크린(200)에 다수의 스캔 시작점 및 스캔 종료점이 입력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다만, 터치 스크린(200)에 다수의 스캔 시작점 및 스캔 종료점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다중 선택 버튼(340)을 구비하여야 한다.
스캔하고자 하는 원고가 평판부(220)의 구간 C 및 구간 D에 존재하면, 사용 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위치(350)부터 제 6 위치(360)까지 드래그하여 터치 스크린(340)에 그 위치를 입력하고, 다중 선택 버튼(340)을 누른 후, 다시 제 7 위치(370)부터 제 8 위치(380)까지 드래그하여 터치 스크린(200)에 그 위치를 입력한다. 이와 같이 다중 선택 버튼(340)을 이용하여 2 개의 시작점(제 5 위치(350) 및 제 7위치(370))과 2 개의 종료점(제 6 위치(360) 및 제 8 위치(380))을 터치 스크린(200)에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스캔 영역 설정부(210)는 터치 스크린(200)에 입력되는 시작점의 위치 및 종료점의 위치를 이용하여 스캔 영역을 설정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제 1 위치(300) 및 제 2 위치(310)가 터치 스크린(200)에 입력되면, 스캔 영역 설정부(210)는 입력되는 제 1 위치(300)와 제 2 위치 사이(310)의 영역(구간 A)을 이미지 센서 모듈(미도시)이 화상을 인식하는 스캔 영역으로 설정한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3 위치(320)부터 제 4 위치(330)까지 연속적으로 터치하여 선택된 제 3 위치(320) 및 제 4 위치(330)가 터치 스크린(200)에 입력되면, 스캔 영역 설정부(210)는 입력되는 제 3 위치(320)와 제 4 위치(330) 사이의 영역(구간 B)을 이미지 센서 모듈(미도시)이 화상을 인식하는 스캔 영역으로 설정한다.
또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다중 선택 버튼(340)을 이용하여 2 개의 시작점의 위치(제 5 위치(350) 및 제 7 위치(370))와 2 개의 종료점의 위치(제 6 위치(360) 및 제 8 위치(380))가 터치 스크린(200)에 입력되면, 스캔 영역 설정부(210)는 입력되는 제 5 위치(350)와 제 6 위치(360) 사이의 영역(구간 C)과 입력되는 제 7 위치(370)와 제 8 위치(380) 사이의 영역(구간 D)을 각각 제 1 스캔 영역 및 제 2 스캔 영역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스캔 영역으로 설정하면, 이미지 센서 모듈은 제 1 영역을 스캔한 후, 제 2 영역을 스캔한다. 즉, 필요한 스캔 영역만을 스캔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는 다수의 버튼들(400, 410, 420, 430 및 440) 및 스캔 영역 설정부(450)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에서 다수 버튼들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도 4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버튼들(400, 410, 420, 430 및 440)은 평판부(460)의 긴 사이즈 용지 방향에 일렬로 평행하게 위치한다. 즉, 이미지 센서 모듈(미도시)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이미지 센서 모듈(미도시)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위치한다. 이와 같이 위치한 다수의 버튼들(400, 410, 420, 430 및 440) 중에서 사용자는 특정 버튼을 클릭하여 스캔의 시작점 및 종료점의 위치를 결정한다. 스캔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모두 결정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다수의 버튼들 중에서 서로 다른 2개의 버튼을 클릭하고, 스캔의 종료점의 위치만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도 5의 다수의 버튼들 중에서 하나의 버튼을 2번 클릭하면 된다.
예를 들어 스캔하고자 하는 원고가 평판부(460)에서 구간 G에 존재하면, 사용자는 제 3 버튼(420) 및 제 4 버튼(430)을 클릭하여 스캔의 시작점의 위치와 종료점의 위치를 결정한다. 반면에 스캔하고자 하는 원고가 평판부(460)에서 구간 E에 존재하면, 사용자는 제 2 버튼(410)를 두 번 클릭하여 스캔의 종료점의 위치만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다수의 버튼들(400, 410, 420, 430 및 440) 중에서 임의의 버튼을 클릭하여 스캔의 시작점의 위치와 종료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스캔 영역 설정부(450)는 사용자가 선택한 버튼들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스캔 영역을 결정한다. 즉, 사용자가 동일한 버튼을 2 번 클릭하여 동일한 버튼에서 2번의 신호가 입력되면, 신호가 입력되는 버튼의 위치를 스캔의 종료점으로 설정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서로 다른 버튼을 2번 클릭하여 서로 다른 버튼에서 각각 신호가 입력되면, 신호가 입력되는 버튼들의 위치를 각각 스캔의 시작점의 위치 및 스캔의 종료점의 위치로 결정하여 스캔 영역을 설정한다. 사용자가 제 3 버튼(520) 및 제 4 버튼(530)을 각각 클릭하면 스캔 영역 설정부(450)는 제 3 버튼과(520) 제 4 버튼(530)사이의 영역(구간 G)을 스캔 영역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 모듈(미도시)은 제 3 버튼(520)에 대응하는 평판부(560)의 위치부터 제 4 버튼(530)에 대응하는 평판부(560)의 위치까지 스캔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스 캔 영역을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600 단계에서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를 입력 받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의 터치 스크린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부의 긴 사이즈 용지 방향에 평행하게 위치한다. 이때, 터치 스크린에 입력되는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는 도 3a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각각 터치하여 선택될 수도 있고, 도 3b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터치(드래그)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제 610 단계에서는 터치 스크린에 입력되는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사이의 영역을 이미지 센서 모듈(미도시)이 화상을 인식하는 스캔 영역으로 설정한다. 즉, 이미지 센서 모듈(미도시)은 최초 위치에서 가까운 제 1 위치에서 스캔을 시작하여 제 2 위치에서 스캔을 종료한다. 즉, 이미지 센서 모듈(미도시)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영역만을 스캔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버튼들을 이용하여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700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 받는다. 도 5에 도시된 다수의 버튼들 중에서 사용자가 특정의 버튼을 클릭하면, 클릭한 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 받는다. 이 때, 사용자가 서로 다른 2 개의 버튼을 클릭하면, 각 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각각 입력 받고, 사용자가 동일한 버튼을 2 번 클릭하면, 2 번 클릭한 버튼을 통해 신호를 2번 입력 받는다.
제 710 단계에서는 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스캔 영역을 설정한다. 즉, 서로 다른 2 개의 버튼을 통해 2 개의 신호가 입력되면, 신호가 입력되는 버튼들의 위치를 각각 스캔의 시작점 및 스캔의 종료점으로 하여 스캔 영역으로 설정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동일한 버튼을 2 번 클릭하여 동일한 버튼에서 신호를 2 번 입력 받으면, 신호가 입력되는 버튼의 위치를 스캔의 종료점으로 하여 스캔 영역을 설정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씨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을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스캐너에서,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및 입력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영역을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이 화상을 인식하는 스캔 영역으로 설정하는 스캔 영역 설정부를 포함함으로서, 터치스크린의 간편한 터치만으로 화상을 인식하는 스캔 영역을 지정하여 원하는 영역만을 빠르게 스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을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스캐너에서,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 모듈의 위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버튼들; 및 상기 버튼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2개의 버튼 사이의 영역을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이 화상을 인식하는 스캔 영역으로 설정하는 스캔 영역 설정부를 포함함으로서, 버튼의 클릭만으로 화상을 인식하는 스캔 영역을 지정하여 원하는 영역만을 빠르게 스캔할 수 있다.

Claims (5)

  1. 화상을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스캐너에서,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및
    상기 입력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영역을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이 화상을 인식하는 스캔 영역으로 설정하는 스캔 영역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영역 조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부터 상기 제 2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터치됨으로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영역 조정 장치.
  3. 화상을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스캐너에서,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의 위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버튼들; 및
    상기 버튼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2개의 버튼 사이의 영역을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이 화상을 인식하는 스캔 영역으로 설정하는 스캔 영역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영역 조정 장치.
  4. 화상을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스캐너에서,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영역을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이 화상을 인식하는 스캔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영역 조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부터 상기 제 2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터치됨으로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영역 조정 방법.
KR1020060132025A 2006-12-21 2006-12-21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225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025A KR101225083B1 (ko) 2006-12-21 2006-12-21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025A KR101225083B1 (ko) 2006-12-21 2006-12-21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012A KR20080058012A (ko) 2008-06-25
KR101225083B1 true KR101225083B1 (ko) 2013-01-22

Family

ID=3980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025A KR101225083B1 (ko) 2006-12-21 2006-12-21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0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925B1 (ko) * 2009-09-08 2011-06-17 한국과학기술원 터치스크린의 리드아웃 회로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620A (ko) * 1998-06-30 2000-01-25 윤종용 복수의 스캔 영역을 설정하여 스캐닝하는 방법
JP2002209064A (ja) * 2001-01-10 2002-07-26 Canon Inc 画像読取装置
KR20060015030A (ko) * 2004-08-13 200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캔영역 조절이 가능한 스캐너
KR20070031626A (ko) * 2005-09-15 2007-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620A (ko) * 1998-06-30 2000-01-25 윤종용 복수의 스캔 영역을 설정하여 스캐닝하는 방법
JP2002209064A (ja) * 2001-01-10 2002-07-26 Canon Inc 画像読取装置
KR20060015030A (ko) * 2004-08-13 200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캔영역 조절이 가능한 스캐너
KR20070031626A (ko) * 2005-09-15 2007-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012A (ko)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88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o be executed by the sam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terminal device
JP488816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158123B2 (en) Secondary touch contextual sub-menu navigation for touch screen interface
KR101121402B1 (ko) 입력 정밀도의 개선
JP586503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74465B2 (ja)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5573793B2 (ja)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05333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487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201612665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4057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01042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JP5589309B2 (ja) 表示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60266703A1 (en) Display device, image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9049323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content display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ncoded with content displaying program
JP5605333B2 (ja)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225083B1 (ko) 스캔 영역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9160102A (ja) 情報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4238700A (ja)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043423B2 (ja) 端末装置及びオブジェクト選択方法
JP2016139380A (ja) クラウドサーバ、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3439157B2 (ja) 文書処理装置、文書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621358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510294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327618A1 (en) Computer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