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317B1 - 해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해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317B1
KR101224317B1 KR1020100064378A KR20100064378A KR101224317B1 KR 101224317 B1 KR101224317 B1 KR 101224317B1 KR 1020100064378 A KR1020100064378 A KR 1020100064378A KR 20100064378 A KR20100064378 A KR 20100064378A KR 101224317 B1 KR101224317 B1 KR 101224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ine life
seawater
container
vacuum
ma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656A (ko
Inventor
지효근
Original Assignee
지효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효근 filed Critical 지효근
Priority to KR1020100064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31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3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02B1/006Arresting, diverting or chasing away fish in water-courses or water intake ducts, seas or lakes, e.g. fish barrages, deterrent devices ; Devices for cleaning fish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2Water-ways
    • E02B9/04Free-flow canals or flumes; Int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에 잔존하는 해파리를 해수취수구에서 수거한 후 별도의 장소로 자동이송시킨 후 고온의 열탕에서 삶은 다음 압착기로 압착하여 케이크 형상으로 배출하도록 되어 해수를 통해 유입되는 해파리 및 해초류를 자동적으로 처리함으로서 해수의 관리 유지를 원활하게 함은 물론 인적자원의 투입을 절감하여 경제적으로 해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발전소 및 생산시설의 취수구로 유입되는 해수에서 해양생물을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취수구에서 수거되는 해양생물을 수집하도록 된 인양수단과,
상기 인양수단을 통해 수거된 해양생물을 진공흡입하여 별도의 장소로 이송시키며 진공모터와 상기 진공모터의 축에 끼워져 회전되게 결합되고 외측이 넓고 내측이 좁은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구획칸이 다수개 형성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발생된 진공흡입력에 의해 수거통에 수거된 해양생물이 흡입되는 흡입구와 토출되는 토출구가 구비된 펌프실로 이루어진 진공강자흡식펌프로 이루어진 이송수단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해양생물을 유입받아 고온의 열탕으로 삶음과 동시에 삶아진 해양생물을 운반하도록 된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해양생물을 유입받아 저장하도록 된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해양생물을 공급받아 압착하도록 된 압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해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진공강자흡식펌프의 토출구는 상기 수거통의 내부에서 왕복수단으로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되며, 상기 왕복수단은 수거통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왕복모터의 순/역회전에 의해 순/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벨트와, 상기 회전벨트의 일단에 고정됨과 동시에 수거통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봉에 가이드되고 종단에 상기 토출구가 고정된 이동바와, 상기 회전벨트의 하측에 고정된 스톱돌기와, 상기 스톱돌기와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왕복모터의 회전방향으로 역방향으로 절환시키도록 되어 상기 토출구의 왕복거리를 제어하도록 이격되게 설치된 제1,2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수 처리장치{A Processing system of the Seawater}
본 발명은 대량의 냉각해수를 필요로 하는 생산업체나 발전소 등의 해수취수구로 유입되는 해초류 및 해파리를 수거하여 처리하는 해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에 잔존하는 해파리를 해수취수구에서 수거한 후 별도의 장소로 자동이송시킨 후 고온의 열탕에서 삶은 다음 압착기로 압착하여 케이크 형상으로 배출하도록 되어 해수를 통해 유입되는 해파리 및 해초류를 자동적으로 처리함으로서 해수의 관리 유지를 원활하게 함은 물론 인적자원의 투입을 절감하여 경제적으로 해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된 해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순환 냉각수로 해수를 사용하는 원자력이나 화력 발전소의 취수구로 대량 유입되는 각종 해초류 및 해파리 등과 같은 해양생물에 의해 발전이 정지되는 사례가 수차례 발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해양생물 중 새우와 멸치 같은 어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다량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나, 특히 해파리의 경우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도 퇴치가 불가능하므로 해파리에 의한 피해를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자에는 발전소의 취수구로 대량 유입되는 해파리 및 해초류 등 해양생물을 제거하는 시스템 및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안된 시스템 및 방법들 중 일례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제20-172814호(명칭: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그물망)가 있으며, 그 구성은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그물망을 서로 연결하여 취수구의 해수를 구획하고, 그물망은 입구는 넓고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며 연속해서 연결되는 망과 낮설망의 그물코가 많아지도록 하는 이종망을 하나의 망이되도록 연결실로 연결하여 유입물이 선단에 포집되어 취수구로의 유입을 차단하도록하여 해양생물의 유입에 의한 발전중단사태를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일례로는 한국특허제10-558267호(명칭: 발전소 취수구 유입 해양생물 제거시스템 및 제거방법)이 있으며, 그 구성은 발전소 취수구 유입 해양생물 제거시스템은, 취수구로 유입되는 해양생물을 인양하는 해양생물 인양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해양생물 인양장치는, 상기 취수구의 전부 또는 일부 가로막을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하측 스프로킷휠에 치합되어 취수구의
폭에 맞도록 다수개가 수직 배열되어 상면 체인 안내레일의 안내를 받는 무한궤도식 회전 체인에 다수개의 브러쉬가 설치되어 브러쉬 사이에 끼이거나 안착되어 이송되는 해양생물을 경사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브러쉬 회전 스크린; 및 상측 스프로킷휠부분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홈과 날이 상기 브러쉬 사이에 끼이거나 안착되어 이송되는 해양생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Scrapp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해양생물 배출장치는,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상기 스크레이퍼가 긁어낸 해양생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해양생물을 수집하는 수집 상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해수 처리장치들은 해수에서 해양생물을 수거할 때 다수의 인력이 필요하거나(한국등록실용신안제20-172814호), 그 구조가 복잡하고 취수구의 근처에 해양생물을 처리하는 설비(이송컨베이어, 수집상자 등)를 해야하는 등(한국특허제10-558267호)과 같은 공간적인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과도한 인력의 소모 및 설치경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수에 잔존하는 해파리를 해수취수구에서 수거한 후 별도의 장소로 자동이송시킨 후 고온의 열탕에서 삶은 다음 압착기로 압착하여 케이크 형상으로 배출함으로서 부피를 현저히 줄임과 동시에 해수를 통해 유입되는 해파리 및 해초류를 자동적으로 처리함으로서 해수의 관리 유지를 원활하게 함은 물론 인적자원의 투입을 절감하여 경제적으로 해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된 해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수 처리장치는 발전소 및 생산시설의 취수구로 유입되는 해수에서 해양생물을 처리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취수구를 연통되도록 해수 유입구와 해수 공급부로 분활구획하며 상부 스프로켓과 하부 스프로켓을 축으로 하여 가동모터의 동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체인벨트와 상기 체인벨트에 고정되며 수직상으로 다수의 관통홈이 형성된 갈고리 형상의 버켓과 상기 버켓을 통해 수거되는 해양생물을 수집하며 선단에 상기 관통홈을 통과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수집봉이 구비된 수거통으로 이루어진 인양수단과; 상기 수거통으로 수거된 해양생물을 진공흡입하여 별도의 장소로 이송시키며 진공모터와 상기 진공모터의 축에 끼워져 회전되게 결합되고 외측이 넓고 내측이 좁은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구획칸이 다수개 형성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발생된 진공흡입력에 의해 수거통에 수거된 해양생물이 흡입되는 흡입구와 토출되는 토출구가 구비된 펌프실로 이루어진 진공강자흡식펌프로 이루어진 이송수단과; 상기 흡입구를 통해 토출된 해양생물을 유입받아 고온의 열탕으로 삶도록 해양생물이 저장되며 내부에 통상의 전열기구가 구비되어 전열기구에 의해 가열되는 열탕이 수용된 가열조와, 상기 가열조의 내부에 구비되며 가열조의 내부에서 외부로 삶아진 해양생물을 운반하도록 이송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콘베이어로 이루어진 가열수단과; 상기 이송콘베이어에 의해 가열조의 외부로 이송된 해양생물을 유입받아 저장하며 기체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통상의 진동기구가 구비되어 진동되며 하단일측에 배출구가 구비된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의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된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저장수단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자유낙하되는 해양생물을 공급받아 압착하도록 해양생물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가지며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원통관 형상의 압착관과, 상기 압착관의 하단에 하부실린더에 의해 탈착되도록 승강되는 지지판과, 상기 압착관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부실린더에 의해 승강되어 압착관의 내부로 왕복되는 가압판으로 이루어진 압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해수 처리장치는 해수에 잔존하는 해파리 등과 같은 해양생물을 해수취수구에서 인양수단을 통해 수거한 후 이송수단을 통해 별도의 장소로 자동이송시킨 후 가열수단을 통해 고온의 열탕에서 삶은 다음 압착수단을 통해 압착하여 케이크 형상으로 배출함으로서 부피를 현저히 줄임은 물론 해수를 통해 유입되는 해파리 및 해초류를 자동적으로 처리함으로써 해수의 관리 유지를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물론 인적자원의 투입을 절감하여 경제적으로 해수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해수 처리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본 실시예에 의한 해수 처리장치의 일부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일부 확대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해수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이송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의한 해수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가열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의한 해수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저장수단 및 압착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0은 본 실시예에 의한 해수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압착수단의 일부를 보인 개략 평면 예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실시예에 의한 해수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압착수단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해수 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해수 처리장치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의 해수 처리장치는 해수를 순환 냉각수로 사용하는 원자력 및 화력 발전소와 생산시설의 취수구(1)에서 유입되는 해양생물을 처리하는 것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해수 처리장치는 상기 취수구(1)를 연통되도록 해수 유입구(2)와 해수 공급부(3)로 분활구획하며 상부 스프로켓(4)과 하부 스프로켓(5)을 축으로 하여 가동모터(6)의 동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체인벨트(7)와 상기 체인벨트(7)에 고정되며 수직상으로 다수의 관통홈(8)이 형성된 갈고리 형상의 버켓(9)과 상기 버켓(9)을 통해 수거되는 해양생물을 수집하며 선단에 상기 관통홈(8)을 통과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수집봉(10)이 구비된 수거통(11)으로 이루어진 인양수단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해수 유입구(2)와 해수 공급부(3)는 버켓(9)의 관통홈을 통해 해수는 교류하지만 해파리 등과 같은 해양생물은 교류되지 못하고 회전하는 버켓(9)에 수거되어 인양됨과 동시에 수집봉(10)을 통해 수거되어 수거통(11)으로 저장된다.
이때 상기 수거통(11) 및 상기 상부 스프로켓(4)은 취수구(1)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수거통(11)이 상부 스프로켓(4)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부 스프로켓(4)을 통해 회전되어 수거통(11)의 상부에 위치된 버켓(9)에서 해양생물이 자유낙하되어 수거된다.
그리고 해양생물(특히 해파리)의 점성에 의한 버켓(9)의 표면과의 접착력이 커 자유 낙하되지 않은 해양생물은 상기 수집봉(10)이 관통홈(8)을 통과하는 중에 버켓(9)의 표면에서 들어내어 지게 됨에 따라 용이하고 완벽하게 수거된다.
따라서 버켓(9)에서 해양생물이 수거되지 않은 채로 해수 공급부(3)를 통과하지 않도록 되어 해양생물이 무단으로 해수 공급부(3)로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해수 처리장치는 상기 수거통(11)으로 수거된 해양생물을 진공흡입하여 별도의 장소로 이송시키며 진공모터(12)와 상기 진공모터(12)의 축에 끼워져 회전되게 결합되고 외측이 넓고 내측이 좁은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구획칸이 다수개 형성된 임펠러(13)와 상기 임펠러(13)의 회전에 따라 발생된 진공흡입력에 의해 수거통(11)에 수거된 해양생물이 흡입되는 흡입구(14)와 토출되는 토출구(15)가 구비된 펌프실로 이루어진 진공강자흡식펌프(16)로 이루어진 이송수단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취수구(1)와 수거된 해양생물을 후처리하는 장소가 근접될 필요가 없어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취수구(1)와 해양생물을 후처리하는 장소가 멀어도 상기 진공강자흡식펌프(16)에 의해 용이하게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강자흠식펌프(16)의 펌프실에서 토출구(15)로 토출되는 해양생물이 임펠러(13)와 토출구(15)와의 사이에서 절단되어 토출된다.
또한 상기한 진공강자흡식펌프(16)의 흡입구(14)는 상기 수거통(11)의 내부에서 왕복수단으로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되어 수거통(11)의 전면적에서 해양생물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왕복수단은 수거통(1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왕복모터(17)의 순/역회전에 의해 순/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벨트(18)와, 상기 회전벨트(18)의 일단에 고정됨과 동시에 수거통(1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봉에 가이드되고 종단에 상기 흡입구(14)가 고정된 이동바(19)와, 상기 회전벨트(18)의 하측에 고정된 스톱돌기(20)와, 상기 스톱돌기(20)와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왕복모터(17)의 회전방향으로 역방향으로 절환시키도록 되어 상기 토출구(15)의 왕복거리를 제어하도록 이격되게 설치된 제1,2센서(21)(2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14)는 상기 제1센서(21) 및 제2센서(22)의 이격된 거리 범위내에서 수거통(11)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해양생물을 진공흡수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해수 처리장치는 상기 토출구(15)를 통해 토출된 해양생물을 유입받아 고온의 열탕으로 삶도록 해양생물이 저장되며 내부에 통상의 전열기구(23)가 구비되어 전열기구(23)에 의해 가열되는 열탕이 수용된 가열조(24)와, 상기 가열조(24)의 내부에 구비되며 가열조(24)의 내부에서 외부로 삶아진 해양생물을 운반하도록 이송모터(25)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콘베이어(26)로 이루어진 가열수단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가열수단을 통해 수거된 해양생물이 삶아져 해양생물이 가진 고유의 점성 및 끈기가 제거되어 후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해수 처리장치는 상기 이송콘베이어(26)에 의해 가열조(24)의 외부로 이송된 해양생물을 유입받아 저장하며 기체(27)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통상의 진동기구(28)가 구비되어 진동되며 하단일측에 배출구(29)가 구비된 저장조(30)와, 상기 저장조(30)의 배출구(29)를 개폐하도록 된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저장수단을 구비한다.
상기한 개폐부재는 상기 배출구(29)의 종단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된 개폐판(31)과, 상기 개폐판(31)을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된 회전실린더(3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저장조(30)에 저장된 삶아진 해양생물을 상기 배출구(29)로 배출할 때 원하는 시간 동안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해수 처리장치는 상기 배출구(29)를 통해 배출되어 자유 낙하되는 해양생물을 공급받아 압착하도록 해양생물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가지며 다수의 배수공(33)이 형성된 원통관 형상의 압착관(34)과, 상기 압착관(34)의 하단에 하부실린더(35)에 의해 탈착되도록 승강되는 지지판(36)과, 상기 압착관(34)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부실린더(37)에 의해 승강되어 압착관(34)의 내부로 왕복되는 가압판(38)으로 이루어진 압착수단을 더욱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개폐부재에 의해 배출구(29)가 개방되면 저장조(30)에 저장된 해양생물이 상기 압착관(34)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저장조(30)의 배출구(29)는 진동기구(28)에 의해 진동되어 용이하게 해양생물을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압착관(34)으로 공급된 해양생물은 압착관(34)의 내부에서 지지판(36)과 가압판(38)에 의해 케이크형상으로 압착되며, 압착이 완료되면 지지판(36)의 하강으로 압착관(34)에서 배출된다.
또한 상기한 지지판(36)이 하강되었을 때 회전되어 지지판(36)에 놓인 해양생물케이크가 지지판(36)에서 수집통(39)으로 토출되도록 타격모터(40)에 의해 회전되어 해양생물케이크를 타격하도록 된 타격봉(41)이 마련되어 있어, 압착관(34)에서 배출된 해양생물케이크가 타격봉(41)에 의해 타격되어 수집통(39)으로 수집된 후 별도로 처리된다.
그리고 상기한 압착수단의 압착관(34)의 외부에는 압착관(34)에서 배수되는 물을 유입받아 배수관(42)으로 배출하도록 된 배수조(43)가 구비되어, 압착관(34)에서 압착되어 해양생물에서 배출되는 배수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해수 처리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취수구(1)에 설치된 인양수단의 가동모터(6)를 구동하면 상기 체인벨트(7)가 상부 스프로켓(4)과 하부 스프로켓(4)의 사이에서 수직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인벨트(7)가 수직상으로 회전됨에 따라 체인벨트(7)에 고정된 버켓(9)이 수직상으로 회전을 하게 되어 해수 유입구(2)를 통해 유입된 해양생물이 해수 공급부(3)로 이동되는 중에 포집됨과 동시에 상부로 상승된다.
즉 버켓(9)에 포집된 상태로 회전을 하게 되고 상부 스프로켓(4)을 경유한 후 자유낙하되어 수거통(11)으로 수거된다.
이때 해양생물(특히 해파리)의 점성에 의한 버켓(9)의 표면과의 접착력이 커 자유낙하되지 않은 해양생물은 상기 수집봉(10)이 관통홈(8)을 통과하는 중에 버켓(9)의 표면에서 들어내어 지게 됨에 용이하게 완벽하게 수거된다.
이와 같이 수거통(11)에 수거된 해양생물은 상기 진공강자흡식펌프(16)에 의해 별도의 장소에 마련된 상기 가열수단으로 이송된다.
즉 취수구(1)와 해양생물을 후처리하는 가열수단이 마련된 장소가 멀어도 상기 진공강자흡식펌프(16)에 의해 용이하게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강자흠식펌프(16)의 펌프실에서 토출구(15)로 토출될 때 해양생물이 임펠러(13)와 토출구(15)와의 사이에서 절단되어 토출된다.
또한 상기한 진공강자흡식펌프(16)의 흡입구(14)가 상기 왕복수단으로 수거통(11)의 내부에서 수거통(11)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되어 수거통(11)의 전면적에서 해양생물을 용이하게 수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14)는 상기 제1센서(21) 및 제2센서(22)의 이격된 거리 범위내에서 수거통(11)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해양생물을 진공흡수하여 이송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열수단으로 이송된 해양생물은 고온의 열탕에서 삶아진 후 이송콘베이어(26)를 통해 저장수단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열수단을 통해 삶아진 해양생물은 고유의 점성 및 끈기가 제거되어 후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송콘베이어(26)에 의해 저장수단의 저장조(30)에 저장된 해양생물은 배출구(29)를 통해 압착관(34)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저장조(30)에 저장된 삶아진 해양생물을 상기 배출구(29)로 배출할 때 개폐판(31)의 개폐주기를 설정함에 따라 원하는 시간 동안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압착관(34)으로 공급된 해양생물은 압착관(34)의 내부에서 지지판(36)과 가압판(38)에 의해 케이크형상으로 압착되며, 압착이 완료되면 지지판(36)의 하강으로 압착관(34)에서 배출된다.
그리고 압착관(34)에서 해양생물이 압착될 때 해양생물에서 배출되는 배수는 배수조(43)를 통해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해양생물의 압착이 완료되면 가압판(38)은 상부실린더(37)에 의해 상승하여 압착관(34)에서 이탈되고, 상기 지지판(36)은 하부실린더(35)에 의해 하강하게 되어 해양생물케이크가 압축관(34)에서 이탈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판(36)이 하강되었을 때 상기 타격봉(41)이 타격모터(40)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지지판(36)에 놓인 해양생물케이크를 타격하면 수집통(39)으로 수집된 후 별도로 처리된다.
상술한 방법들을 순차적으로 반복하면 해수에 잔존하는 해양생물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1 : 취수구, 2 : 해수 유입부,
3 : 해수 공급부, 4 : 상부 스프로켓,
5 : 하부 스프로켓, 6 : 가동모터,
7 : 체인벨트, 8 : 관통홈,
9 : 버켓, 10 : 수집봉,
11 : 수거통, 12 : 진공모터,
13 : 임펠러, 14 : 흡입구,
15 : 토출구, 16 : 진공갑자흡식펌프,
17 : 왕복모터, 18 : 회전벨트,
19 : 이동바, 20 : 스톱돌기,
21 : 제1센서, 22 : 제2센서,
23 : 전열기구, 24 : 가열조,
25 : 이송모터, 26 : 이송콘베이어,
27 : 기체, 28 : 진동기구,
29 : 배출구, 30 : 저장조,
31 : 개폐판, 32 : 회전실린더,
33 : 배수공, 34 : 압착관,
35 : 하부실린더, 36 : 지지판,
37 : 상부실린더, 38 : 가압판,
39 : 수집통, 40 : 타격모터,
41 : 타격봉, 42 : 배수관,
43 : 배수조.

Claims (5)

  1. 발전소 및 생산시설의 취수구로 유입되는 해수에서 해양생물을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취수구에서 수거되는 해양생물을 수집하도록 된 인양수단과,
    상기 인양수단을 통해 수거된 해양생물을 진공흡입하여 별도의 장소로 이송시키며 진공모터와 상기 진공모터의 축에 끼워져 회전되게 결합되고 외측이 넓고 내측이 좁은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구획칸이 다수개 형성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발생된 진공흡입력에 의해 수거통에 수거된 해양생물이 흡입되는 흡입구와 토출되는 토출구가 구비된 펌프실로 이루어진 진공강자흡식펌프로 이루어진 이송수단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해양생물을 유입받아 고온의 열탕으로 삶음과 동시에 삶아진 해양생물을 운반하도록 된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해양생물을 유입받아 저장하도록 된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해양생물을 공급받아 압착하도록 된 압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해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진공강자흡식펌프의 토출구는 상기 수거통의 내부에서 왕복수단으로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되며, 상기 왕복수단은 수거통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왕복모터의 순/역회전에 의해 순/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벨트와, 상기 회전벨트의 일단에 고정됨과 동시에 수거통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봉에 가이드되고 종단에 상기 토출구가 고정된 이동바와, 상기 회전벨트의 하측에 고정된 스톱돌기와, 상기 스톱돌기와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왕복모터의 회전방향으로 역방향으로 절환시키도록 되어 상기 토출구의 왕복거리를 제어하도록 이격되게 설치된 제1,2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처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저장수단은 상기한 가열수단을 통해 가열되어 이송된 해양생물을 유입받아 저장하며 기체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통상의 진동기구가 구비되어 진동되며 하단일측에 배출구가 구비된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의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된 개폐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개폐부재는 상기 배출구의 종단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된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을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된 회전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압착수단은 상기 저장수단을 통해 저장된 해양생물을 공급받아 압착하도록 해양생물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가지며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원통관 형상의 압착관과, 상기 압착관의 하단에 하부실린더에 의해 탈착되도록 승강되는 지지판과, 상기 압착관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부실린더에 의해 승강되어 압착관의 내부로 왕복되는 가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판이 하강되었을 때 회전되어 지지판에 놓인 해양생물케이크이 지지판에서 수집통으로 토출되도록 타격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해양생물케이크를 타격하도록 된 타격봉이 더욱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한 압착수단의 압착관의 외부에는 압착관에서 배수되는 물을 유입받아 배수관으로 배출하도록 된 배수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처리장치
KR1020100064378A 2010-07-05 2010-07-05 해수 처리장치 KR101224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378A KR101224317B1 (ko) 2010-07-05 2010-07-05 해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378A KR101224317B1 (ko) 2010-07-05 2010-07-05 해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656A KR20120003656A (ko) 2012-01-11
KR101224317B1 true KR101224317B1 (ko) 2013-01-18

Family

ID=45610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378A KR101224317B1 (ko) 2010-07-05 2010-07-05 해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3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4444B (zh) * 2015-09-10 2020-10-23 宁波长荣酿造设备有限公司 谷物蒸煮系统
KR102287090B1 (ko) 2020-02-13 2021-08-05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콘 기반의 모바일 기기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4833A (ja) * 1998-03-03 1999-09-14 Ube Ind Ltd くらげの処理方法
JP2001329522A (ja) * 2000-05-19 2001-11-3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取水装置
JP2004097928A (ja) * 2002-09-09 2004-04-02 Isobe Tekko Kk クラゲの処理方法
JP2004232379A (ja) * 2003-01-31 2004-08-19 Nishi Nippon Plant Kogyo Kk 海水取水設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4833A (ja) * 1998-03-03 1999-09-14 Ube Ind Ltd くらげの処理方法
JP2001329522A (ja) * 2000-05-19 2001-11-3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取水装置
JP2004097928A (ja) * 2002-09-09 2004-04-02 Isobe Tekko Kk クラゲの処理方法
JP2004232379A (ja) * 2003-01-31 2004-08-19 Nishi Nippon Plant Kogyo Kk 海水取水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656A (ko)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02988B (zh) 一种药材清洗装置
CN108576860B (zh) 用于清洗莲藕的装置
CN106695921A (zh) 金针菇切割清洗装置
CN103610223B (zh) 一种卤制食品连续生产的方法和设备
CN105421318B (zh) 一种浮萍收集压缩遥控风扇艇及其使用方法
CN206527094U (zh) 一种节能环保牡蛎壳快速清洗设备及牡蛎壳加工系统
CN107252125A (zh) 一种芋头去泥清洗装置
CN107675750A (zh) 一种水库坝上居民取水设备
KR101224317B1 (ko) 해수 처리장치
KR20200120117A (ko) 절수형 구근세척기
CN204369076U (zh) 一种应用于虾皮加工的毛虾运输设备
CN202618164U (zh) 一种贝壳类海鲜清洗装置
CN206552214U (zh) 一种水产品采集船
CN109527058A (zh) 一种贻贝自动化加工处理的装置
CN205196947U (zh) 一种植物果实自动漂烫装置
CN208807596U (zh) 一种全自动剁辣椒生产加工设备
CN204120170U (zh) 一种易损蔬菜清洗设备
CN208446566U (zh) 一种蓝莓干用加工机
CN207443879U (zh) 一种畜牧养殖粪便收集系统
CN110144864A (zh) 一种水面垃圾过滤装置及其工作方法
CN107365624A (zh) 卧式履带式棕榈鲜果刹酵装置及刹酵工艺
CN208591336U (zh) 一种黄连加工设备
CN210929544U (zh) 一种蔬菜清洗脱水装置
CN207692930U (zh) 多级式马铃薯清洗机
CN106766551A (zh) 水产清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