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532B1 -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그레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532B1
KR101223532B1 KR1020120074156A KR20120074156A KR101223532B1 KR 101223532 B1 KR101223532 B1 KR 101223532B1 KR 1020120074156 A KR1020120074156 A KR 1020120074156A KR 20120074156 A KR20120074156 A KR 20120074156A KR 101223532 B1 KR101223532 B1 KR 101223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plate
hole
drain pipe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명
Original Assignee
권혁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명 filed Critical 권혁명
Priority to KR1020120074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6Gully grat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against vandalis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관 덮개용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은 다수의 개수공이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개수공에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랜지가 구비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폭 방향의 양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측판; 상기 상판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측판; 및 상기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보강 리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그레이팅{GRATING}
본 발명은 배수관 덮개용 그레이팅 및 그레이팅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링 공정에 의해 개수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하중을 견딜 수 있는 그레이팅 및 그레이팅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주차장, 건물, 공장 등에는 배수관이 설치되고, 배수관 일측의 배수구에는 그레이팅이 설치된다. 그레이팅은, 보행자 및 자동차가 배수관에 빠지지 않게 하면서도, 빗물, 하수 및 오수가 원활하게 배수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구 덮개로 사용된다. 이를 위해, 그레이팅은, 자동차와 같은 고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강도가 우수한 재질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그레이팅의 사시도이다. 다수의 베어링바(11)가 한 쌍의 제1 플레이트(13)와 한 쌍의 제2 플레이트(14)로 구성된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용접되어 있다. 다수의 베어링바(11)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부로부터의 하중에 의한 비틀림이 억제되도록 다수의 크로스바(12)가 베어링바(11)와 직교되도록 배치된 후 용접된다. 크로스바(12)는 통상 사각형상의 봉이 비틀림에 의해 꼬여진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베어링바(11)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 내에 삽입되고, 양 단부가 한 쌍의 제2 플레이트(14)에 용접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바(11)에 대해서 크로스바(12)가 유동하지 않도록 베어링바(11)와 크로스바(12)의 접촉부분이 용접된다. 다수의 베어링바(11) 및 크로스바(12)가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제1 플레이트(13) 및 제2 플레이트(14)에 용접됨으로써, 그레이팅(100)은 보행자 및 자동차를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빗물 등이 그레이팅(100)을 통해 배수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그레이팅은 다수의 베어링바 및 크로스바를 용접시켜 고정하므로 큰 하중에 견디는 힘이 떨어져 내구성이 약한 단점이 있다. 도 2에는 고하중에 의해 모양이 변형된 종래의 그레이팅이 도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그레이팅은 고하중이 인가될 경우 뒤틀리거나 처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레이팅에 변형이 발생하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행자 및 자동차의 통행에도 지장을 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그레이팅은 제1 플레이트(13), 제2 플레이트(14), 베어링바(11) 및 크로스바(12)를 별로도 제조한 후 이를 소정의 배턴으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일련의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그레이팅은 제조 시에 인력에 의한 용접 공정이 필수적으로 수반되므로 생산 자동화가 어려우며 인건비 투입에 따른 제품의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 능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고하중에도 변형되지 않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에 의하지 않고도 그레이팅을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생산의 자동화가 가능한 그레이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개수공이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개수공에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랜지가 구비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폭 방향의 양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측판; 상기 상판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측판; 및 상기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보강 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상판, 상기 한 쌍의 제1 측판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판은 하나의 패널로부터 벤딩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측판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판 중 어느 하나의 양단에는 각각 제1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돌기가 삽입되는 제1 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보강 리브의 양단에는 각각 제2 돌기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측판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판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 돌기가 삽입되는 제2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돌기의 선단은 코킹 처리에 의해 단면적이 확장됨으로써 상기 제1 홀로부터 빠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돌기의 선단은 코킹 처리에 의해 단면적이 확장됨으로써 상기 제2 홀로부터 빠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 리브의 양 측면은 상기 보강 리브의 폭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는 플랜지의 외주면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측판에는 그레이팅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측판에는 이격하여 나란하게 절개되는 절개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 사이의 부분이 상기 그레이팅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돌출편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판에 다수의 개수공이 형성되고, 개수공의 둘레에는 하반으로 절곡되는 플랜지가 형성됨으로써, 그레이팅의 전체 중량은 감소하면서 내구성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그레이팅을 제조하기 위하여 용접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 원가가 절감되며 생산의 자동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그레이팅이 하나의 판재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므로 외관이 미려하게 되어 심미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강 리브의 삽입 돌기가 코킹 처리됨으로써 그레이팅에 고하중이 인가되더라도 보강 리브가 측판으로부터 빠지지 않기 때문에 그레이팅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측판에 돌출편이 형성됨으로써 보행자나 차량이 통과하더라도 그레이팅이 배수관에서 유동하지 않기 때문에 소음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그레이팅이 젖혀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 안정성이 향상되며, 작업자가 편안한 마음으로 작업에 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그레이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고하중에 의해 모양이 변형된 종래의 그레이팅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그레이팅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에 있어서 개수공의 다양한 배열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의 (a) 및 (b)는 각각 고하중이 인가되는 경우에 있어서 보강 리브가 코킹 처리가 되지 않은 경우와 코킹 처리가 된 경우에 보강 리브와 측판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이 배수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11은 배수관의 핀 홀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이 배수관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이 설치되는 배수관의 시공 상태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제조 방법에 따라 각 단계별로 그레이팅이 제조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제조 과정 중 버링 공정 과정에 이용되는 버링 장치(500)의 개략적인 구동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그레이팅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에 있어서 개수공의 다양한 배열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의 (a) 및 (b)는 각각 고하중이 인가되는 경우에 있어서 보강 리브가 코킹 처리가 되지 않은 경우와 코킹 처리가 된 경우에 보강 리브와 측판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이 배수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11은 배수관의 핀 홀의 확대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이 배수관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이 설치되는 배수관의 시공 상태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제조 방법에 따라 각 단계별로 그레이팅이 제조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각각 금속 패널이 피어싱 공정 단계, 버링 공정 단계, 벤딩 공정 단계, 및 코킹 공정 단계를 거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100)은 상판(110), 한 쌍의 제1 측판(120), 한 쌍의 제2 측판(130), 및 보강 리브(15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측판(120) 및 한 쌍의 제2 측판(130)은 각각 상판(110)으로부터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판(110)에는 다수의 개수공(112) 및 미끄럼방지 돌기(118)가 형성되고, 개수공(112)의 둘레에는 플랜지(114)가 상판(110)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제2 측판(130)의 양 단부에는 각각 제1 돌기(134)가 형성되고, 제1 측판(120)에는 상기 제1 돌기(134)가 삽입되는 제1 홀(122)이 형성된다. 보강 리브(150)의 양 단부에는 제2 돌기(152)가 형성되고, 제1 측판(120) 및/또는 제2 측판(130)에는 제2 돌기(152)가 삽입되는 제2 홀(124)이 형성된다. 제1 측판(120)에는 돌출편(128)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그레이팅(100)은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200)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판(230)에 제1 측판(120) 또는 제2 측판(130)이 안착되도록 시공된다. 그레이팅(100)이 배수관(200)에 시공된 상태에서 비가 내릴 경우, 빗물은 상판(110)에 형성된 개수공(112)을 통해 배수관(200) 내부로 유입된다.
배수관(200)은, 유로부 및 지지부를 포함하고, 유로부는 바닥판(210) 및 측벽판(220)을 포함하고, 지지부는 안착판(230) 및 고정판(2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판(11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개수공(112)이 형성된다. 한 쌍의 제1 측판(120)은 각각 상판(110)의 폭 방향의 양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한 쌍의 제2 측판(130)은 각각 상판(110)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되, 제1 측판(120) 및 제2 측판(130)은 상판(110)과 일체로 형성된다. 제1 측판(120) 및 제2 측판(130)은 배수관(200)의 안착판(230)에 안착되어 상판(110)을 지지한다. 제1 측판(120) 및 제2 측판(130)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되, 그레이팅(100)이 배수관(200)에 안착 시에 배수관(200)과 그레이팅(100) 사이의 경계에서 높이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다시 말해 그레이팅(100)의 상면이 배수관(200)의 상면과 일치되도록 제1 측판(120) 및 제2 측판(130)의 높이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판(120) 및 제2 측판(130)은 하나의 금속 패널의 중심에 상판(110)이 위치하고, 상판(110)의 양 옆으로 각각 한 쌍의 제1 측판(120)이 위치하며, 상판(11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한 쌍의 제2 측판(130)이 위치한 상태에서, 제1 측판(120) 및 제2 측판(130)을 상판(110)의 하측으로 벤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판(120) 및 제2 측판(130)이 상판(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제1 측판(120) 및 제2 측판(130)의 양단은 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서 제1 측판(120) 및 제2 측판(130)의 양단을 서로 용접시키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용접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자동화가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측판(120) 및 제2 측판(130)의 양단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1 측판(120) 및 제2 측판(130)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돌기(134)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1 돌기(134)가 삽입되는 제1 홀(12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측판(130)에 제1 돌기(134)가 형성되고, 제1 측판(120)에 제1 홀(122)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반대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측판(120) 및 제2 측판(130)이 상판(110)에 대해 하측으로 절곡되면 제1 돌기(134)가 제1 홀(122)에 삽입되는데, 제1 홀(122)에 삽입된 제1 돌기(134)가 다시 제1 홀(122)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제1 돌기(134)의 선단을 절곡시키거나 비틀거나 코킹(caulking) 처리를 해줄 수 있다. 이 중에서, 제1 돌기(134)의 선단을 절곡시키거나 비트는 것은 제1 돌기(134)의 선단이 제1 측판(120)(제1 돌기(134)가 제1 측판(12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2 측판(13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많이 남는 결과를 낳기 때문에 그레이팅(100)과 다른 부품과의 조립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제1 돌기(134)의 선단에는 코킹 처리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킹 처리란 제1 홀(122)에 삽입된 제1 돌기(134)의 선단을 코킹 툴을 이용하여 선단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찍어서 선단의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제1 홀(122)에 삽입된 제1 돌기(134)의 선단이 코킹 처리되면 제1 돌기(134)의 선단의 단면적이 제1 홀(122)보다 넓게 확장됨으로써 제1 돌기(134)가 제1 홀(122)으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개수공(112)은 상판(11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며, 소정의 패턴을 이루며 다수가 형성된다. 개수공(112)은 타원 형상을 이루며, 개수공(112)의 둘레에는 하측으로 절곡되는 플랜지(114)가 형성된다. 플랜지(114)는 상판(110)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연장된다. 배수관(200) 외부의 빗물은 개수공(112)을 통해 배수관(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개수공(112)은 플랜지(114)의 가공 시 발생될 수 있는 응력 집중을 줄이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개수공(112)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원형, 사각형, 다각형과 같은 여러 가지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플랜지(114)는 개수공(112)의 둘레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다. 플랜지(114)는 개수공(112)에 작용하는 수직 방향의 하중에 의해 개수공(112)이 처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개수공(112)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의 흐름을 안내하여 빗물이 원활하게 배수관(20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에 단순히 관통공이 형성되면 관통공의 주위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여 구조적으로 취약해지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100)은 상판(110)에 다수의 개수공(112)이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개수공(112)의 둘레에 플랜지(114)가 형성됨으로써 개수공(112) 부분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그레이팅(100)의 전체 중량은 감소될 수 있으면서도 고하중에도 변형되지 않고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그레이팅(100)의 상판(110) 면적 대비 개수공(112)의 면적이 넓게 형성됨으로써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보강 리브(150)는 긴 판재형 부재로서, 상판(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판(110)을 지지한다. 보강 리브(150)의 상면은 상판(110)의 하면에 접촉되며, 보강 리브(150)의 양단은 각각 제1 측판(120)에 고정된다. 보강 리브(150)는 다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보강 리브(150)의 폭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보강 리브(150)는 상판(110)에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상판(110)이 처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상판(110)을 지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리브(150)는 양단이 제1 측판(120)에 고정되도록 그레이팅(100)의 폭 방향을 따라 놓일 수 있다. 또한, 보강 리브(15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양단이 제2 측판(130)에 고정되도록 그레이팅(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놓일 수 있으며, 서로 직교하여 격자 형상을 이루도록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을 따라 동시에 놓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강 리브(150)의 양단이 제1 측판(120)에 고정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보강 리브(150)는 다양한 방식으로 측판(120, 130)에 고정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 리브(150)는 측판(120, 13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를 위해, 보강 리브(150)의 양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152)가 형성되고, 측판(120, 130)에는 제2 돌기(152)가 삽입되는 제2 홀(124)이 형성된다. 제2 돌기(152)가 제2 홀(124)에 삽입되면 보강 리브(150)의 양단이 측판(120, 130)에 고정된다. 이때, 제조 공정의 간소화를 위해, 제2 홀(124)은 제1 측판(120)과 제2 측판(130) 중에서 보강 리브(150)의 양단이 고정되는 것에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와 같이, 보강 리브(150)가 제1 측판(120)에 고정되는 경우, 제2 홀(124)은 제1 측판(120)에만 형성되고 제2 측판(130)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처음 제조시부터 제2 홀(124)이 제1 측판(120)과 제2 측판(130)에 모두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자유롭게 보강 리브(150)의 설치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그레이팅(100)에 고하중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단순히 보강 리브(150)의 제2 돌기(152)가 측판(120, 130)의 제2 홀(124)에 삽입되는 것만으로도 보강 리브(150)가 제1 측판(12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100)의 상부에 고하중이 인가되는 경우 보강 리브(150)가 하측으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강 리브(150)의 양단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제2 돌기(152)가 제2 홀(124)으로부터 빠질 수 있다. 보강 리브(150)가 제1 측판(120)으로부터 분리되면 그레이팅(100)의 내구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고하중에 의해 보강 리브(150)가 변형되더라도 제2 돌기(152)가 제2 홀(124)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2 돌기(152)가 제2 홀(1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돌기(152)의 선단을 절곡시키거나 비틀거나 코킹 처리를 해줄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돌기(152)의 선단을 절곡시키거나 비트는 것은 제1 돌기(134)의 선단이 제1 측판(12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많이 남는 결과를 낳기 때문에 그레이팅(100)과 다른 부품과의 조립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제2 돌기(152)의 선단에는 코킹 처리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돌기(152)가 제2 홀(1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돌기(152)의 선단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찍어서 제2 돌기(152)의 선단의 단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제2 돌기(152)가 제2 홀(124)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코킹 처리한다. 보강 리브(150)의 제2 돌기(152)가 코킹 처리가 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100)에 고하중이 인가되더라도 보강 리브(150)가 측판(120, 130)으로부터 빠지지 않아 그레이팅(10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개수공(112)은 다양한 배턴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수공(112)들은 행과 열을 맞추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개수공(11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과 열 중 어느 하나는 맞추어서 배열되되, 다른 하나는 교차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개수공(11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수공(112)의 길이 방향이 상판(110)의 테두리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될 수도 있다.
개수공(112)의 배열 패턴에 따라 상판(110)의 하면에는 플랜지(114)에 의한 직선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개수공(112)들이 행과 열을 맞추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경우, 상판(110)의 하면에는 어느 한 행 상에 배치되는 개수공(112a)들의 플랜지(114a)와 인접한 다른 행 상에 배치되는 개수공(112b)들의 플랜지(114b)에 의해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채널(116)이 형성된다. 또한, 어느 한 열 상에 배치되는 개수공(112)들의 플랜지(114)와 인접한 다른 열 상에 배치되는 개수공(112)들의 플랜지(114)에 의해 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리브(150)는 이 직선 채널(116)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강 리브(150)의 폭 방향의 양 측면은 보강 리브(150)의 양측에 배치되는 플랜지(114)의 외주면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수공(112)이 상판(110)의 테두리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되는 경우에도 인접하여 나란하게 배열되는 개수공(112)의 플랜지(114)에 의해 직선 채널(116)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도, 보강 리브(150)는 직선 채널(116)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보강 리브(150)의 양 측면이 보강 리브(150)의 양측에 배치된는 플랜지(114)에 접한다. 이와 같이, 보강 리브(150)가 직선 채널(116) 내에 안착되되 보강 리브(150)의 양 측면이 직선 채널(116)의 양측에 배치되는 플랜지(114)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보강 리브(150)가 플랜지(114)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보강 리브(150)가 측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보강 리브(150)가 그레이팅(100)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 돌기(118)는 상판(110)에 있어서 개수공(112)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에 상판(110)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미끄럼방지 돌기(118)는 원형의 관통공의 둘레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미끄럼방지 돌기(118)는 관통공의 둘레가 상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마찰력이 더욱 증가하기 때문에 그레이팅(100)의 상판(110)에 물이 고여 있거나 눈이 쌓이더라도 보행자나 차량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미끄럼방지 돌기(118) 주변의 빗물이나 눈이 미끄럼방지 돌기(118)의 관통공을 통해 배수관(200)으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상판(110)의 마찰력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돌출편(128)은 제1 측판(120)에 그레이팅(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돌출편(128)은 제1 측판(120)에 이격하여 나란하게 절개되는 절개선(129) 사이의 내측 부분이 그레이팅(100)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레이팅(100)이 배수관(200)에 원활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그레이팅(100)의 폭은 배수관(200)의 안착판(230)의 내측 폭보다 작게 제조되기 때문에 그레이팅(100)과 배수관(200) 사이에는 유격이 존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하여, 그레이팅(100)이 배수관(2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유동할 수 있으며, 특히 자동차가 빠른 속도로 그레이팅(100)을 통과할 경우 그레이팅(100)이 심하게 유동하여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측판(120)에 돌출편(128)이 형성되는 경우 그레이팅(100)과 배수관(200) 사이의 유격을 돌출편(128)이 보상해줌으로써 그레이팅(100)의 유동이 방지된다. 다시 말해, 돌출편(128)은 그레이팅(1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작업자가 그레이팅(100)을 배수관(200)에 밀어 넣을 때는 그레이팅(100)의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그레이팅(100)이 배수관(20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탄성력에 의해 고정판(240)의 내벽을 가압함으로써 그레이팅(100)을 배수관(200)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그레이팅(100)의 유동에 의한 소음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배수관(200)의 구성을 살펴본다.
배수관(200)은 유입된 빗물이 유동하는 유로로서 기능하는 유로부 및 유로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그레이팅(100)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유로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판(210) 및 각각 바닥판(210)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측벽판(220)을 포함한다. 지지부는 각각 측벽판(220)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안착판(230) 및 안착판(230)으로부터 다시 상측으로 절곡되는 고정판(240)을 포함한다.
일렬로 배치되는 배수관(200)과 다른 배수관(200')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배수관(200)은 연결편(27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배수관(200)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는 각각 연결편(270)이 삽입되는 제1 슬릿(2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릿(222)은 측벽판(220)에 수직 방향으로 나란하게 절개되어 형성된다. 연결편(270)의 삽입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제1 슬릿(222)의 내측 부분(223)은 배수관(200)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편(27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평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삽입부(272)와, 삽입부(272)의 일측 단부로부터 절곡되는 걸림부(273)를 포함한다. 배수관(200)의 단부와 다른 배수관(200')의 단부를 맞대면 각 배수관(200)의 제1 슬릿(222)이 일렬로 배치되며, 이 상태에서 연결편(270)의 삽입부(272)를 제1 슬릿(222)에 삽입하면 삽입부(272)가 양 배수관(200, 200')의 제1 슬릿(222)에 차례로 삽입되며, 연결편(270)이 소정 거리로 삽입되면 걸림부(273)가 제1 슬릿(222)의 내측 부분(223)에 걸려 연결편(270)이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이때, 양 배수관(200, 200')의 제1 슬릿(222)은 연결편(270)에 의해 구속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양 배수관(200, 200')은 서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종래에는 배수관을 설치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굳힌 후에 다시 거푸집을 철거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배수관(200)이 거푸집의 역할을 겸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배수관(200)의 주변에는 철근이 매설되어야 할 경우가 있는데, 이를 위해 배수관(200)에는 지지편(280)이 구비되고, 측벽판(220)에는 제2 슬릿(224)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편(280)은 판 형상의 부재가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되, 삽입부(282), 삽입부(282)로부터 배수관(200)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지지부(283), 및 지지부(283)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가이드부(284)를 포함한다. 제2 슬릿(224)은 측벽판(220)에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절개되어 형성된다. 지지편(280)의 삽입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제2 슬릿(224)의 내측 부분(225)은 배수관(200)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편(280)의 삽입부(282)가 제2 슬릿(224)에 삽입되면 지지부(283)가 제2 슬릿(224)의 내측 부분(225)에 걸림으로써 지지편(280)이 배수관(200)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330)이 지지부(283)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284)에 의해 철이 배수관(20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철근(33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배수관(20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배수관(200)을 설치 경로를 따라 베이스층(310) 상부에 배치한다. 이때, 베이스층(310)은 지반이거나 1차적으로 타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층일 수 있다. 둘 이상의 배수관(200)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연결편(270)을 이용하여 인접한 배수관(200)을 연결시킨다.
배수관(200)의 배치가 완료되면, 배수관(200)의 외측면에 콘크리트(320)를 타설하여 양생한다. 콘크리트(320)는 배수관(200)의 고정판(240)이 위치하는 높이까지 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관(200)의 외측에 타설된 콘크리트(320)의 양생이 완료되면 그레이팅(100)을 안착판(230)에 안착시킨다. 그레이팅(100)을 배수관(200)에 안착시키는 것은 배수관(200)의 외측에 콘크리트(320)를 타설하기 전 또는 타설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관(200)은 콘크리트 타설 시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정이 간단하며 공기가 단축될 수 있다.
그레이팅(100)은 배수관(200)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을 것이 요구된다. 만약, 그레이팅(100)이 배수관(200)에 고정되지 않고 유동된다면, 자동차가 그레이팅(100)을 고속으로 통과할 경우 압력차에 의해 그레이팅(100)이 배수관(20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집중호우가 발생할 경우 배수관(200)을 흐르는 물이 다시 그레이팅(100)으로 역류함으로써 그레이팅(100)이 배수관(200)으로부터 이탈될 위험이 있다. 또한, 최근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인하여 금속 구조물에 대한 절도가 빈전해지고 있는데, 그레이팅(100)이 배수관(20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경우에는 도난의 우려가 있다.
그런데, 그레이팅(100)을 배수관(200)에 가장 강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로서 그레이팅(100)을 배수관(200)에 용접시키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그레이팅(100)을 배수관(200)에 용접시킬 경우 그레이팅(100)이 반영구적으로 배수관(200)에 고정되기 때문에, 배수관(200)의 청소, 유지 및 보수가 필요한 경우 그레이팅(100)을 절단하여 배수관(200)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그레이팅(100)을 배수관(20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되 필요한 경우 배수관(200)을 개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그레이팅(100)이 배수관(200)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수관(200)과 그레이팅(100)은 힌지핀(26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고정판(240)에는 힌지핀(260)이 삽입되는 핀 홀(242)이 형성되고, 그레이팅(100)의 한 쌍의 제1 측판(120) 또는 한 쌍의 제2 측판(130) 중 어느 하나에는 핀 가이드 홀(126)이 각각 형성된다. 힌지핀(260)은 그레이팅(100)의 핀 가이드 홀(126) 및 배수관(200)의 핀 홀(242)에 차례로 삽입되어 그레이팅(100)을 배수관(20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핀 가이드 홀(126)이 제1 측판(12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레이팅(100)이 폭 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핀 가이드 홀(126)이 제2 측판(13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레이팅(100)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자동차가 그레이팅(100)을 빠른 속도로 통과하거나 배수관(200)에서 빗물이 역류하더라도 그레이팅(100)이 배수관(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필요한 경우 그레이팅(100)을 힌지핀(260)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작업자가 배수관(200) 내부로 접근할 수 있다.
힌지핀(260)은 그레이팅(100)이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배수관(200)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200)의 핀 홀(242)의 내주면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243)가 형성된다. 돌기(243)는 핀 홀(242)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43)가 다수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돌기(243)들은 핀 홀(242)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 홀(242)에 있어서 돌기(243)가 형성되는 부분의 내경은 힌지핀(260)의 외경보다 작다. 따라서, 힌지핀(260)은 핀 홀(242)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며, 힌지핀(260)이 핀 홀(242)에 삽입된 후에는 힌지핀(260)이 잘 빠지지 않게 된다.
핀 가이드 홀(126)은 중단부가 그레이팅(100)의 최내측에 위치하고 양 단부(126b, 126c)가 각각 그레이팅(100)의 외측으로 상향 및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원호 형상이며, 중단부에는 그레이팅(100)의 내측으로 만입되는 만입부(126a)가 형성된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100)이 힌지핀(260)에 의해 배수관(200)에 결합되어 닫혀진 상태에서는 힌지핀(260)이 핀 가이드 홀(126)의 만입부(126a)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그레이팅(100)을 들어 올리면,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100)이 힌지핀(26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힌지핀(260)이 상대적으로 핀 가이드 홀(126)의 하측방향의 단부(126c)로 이동하게 되며, 그레이팅(100)이 더욱 회동하면 그레이팅(100)의 상판(110)의 모서리(111)가 배수관(200)에 걸리게 됨으로써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100)이 더 이상 회동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그레이팅(100)을 상측으로 살짝 들어 올리면 상판(110)의 모서리(111)가 배수관(200)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도 1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100)이 더 회동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그레이팅(100)를 더 젖히면 도 12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100)이 완전히 젖혀진다. 그레이팅(100)이 후방으로 완전히 젖혀지면, 그레이팅(100)의 무게 중심이 힌지핀(260)의 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레이팅(100)을 젖혀진 상태로 두더라도 그레이팅(100)이 전방으로 닫히지 않는다. 또한, 그레이팅(100)이 젖혀진 상태에서 바람이 불거나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그레이팅(100)이 전방으로 젖혀지는 경우에도, 도 12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100)의 측판이 배수관(200)에 걸림으로써 그레이팅(100)은 닫히지 않는다. 그레이팅(100)을 완전히 닫기 위해서는 힌지핀(260)이 만입부(126a)에 위치하도록 그레이팅(100)을 후방 측으로 밀어준 다음 그레이팅(100)을 회동시킴으로써 그레이팅(100)을 닫을 수 있다.
따라서, 배수관(200)의 청소 또는 보수 작업 시에 그레이팅(100)이 젖혀진 상태가 계속 유지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상이 방지되며 작업자는 편안한 마음으로 작업에 임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제조 방법은 준비된 금속 판재에 버링 홀을 포함한 각종 홀을 형성하는 피어싱 공정 단계, 버링 홀을 가공하여 플랜지를 성형하는 버링 공정 단계,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을 벤딩시키는 벤딩 공정 단계, 결합 돌기 및 삽입 돌기를 코킹 처리하는 코킹 공정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어싱 공정 단계에서는, 평평한 패널(400)에 버링 홀(410)들이 성형된다. 패널(400)은 상판(110), 제1 측판(120) 및 제2 측판(130)이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된 금속으로 된 평평한 패널이다. 버링 홀(410)은 패널(400)을 관통하여 성형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패널(400)에는 제2 홀(124), 핀 가이드 홀(126), 미끄럼방지 돌기용 홀(420), 돌출편용 절개선(129)이 함께 성형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피어싱 공정 단계가 수행된 패널(400)에 대해 버링 공정 단계가 수행된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링 공정 단계에서는, 피어싱 공정 단계에서 성형된 버링 홀(410)이 확장되어 개수공(112)으로 성형되는 것과 동시에 개수공(112)의 둘레에 플랜지가 성형된다. 버링(Burring)은 패널(400)에 형성된 관통공에 구멍의 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버링 펀치(burring punch)나 프레스 펀치(press punch)를 삽입하여 관통공을 확장시키거나 관통공의 둘레에 플랜지를 성형시키는 가공법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제조 과정 중 버링 공정 과정에 이용되는 버링 장치(500)의 개략적인 구동 상태도이다. 버링 장치(500)는 상부 금형(510), 하부 금형(520), 및 버링 펀치(530)를 포함한다.
상부 금형(510)과 하부 금형(520)은 버링 가공될 패널(400)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고정시킨다. 상부 금형(510)과 하부 금형(520)에 있어서 패널(400)과 접촉하는 부분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금형(510)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는 가이드 홀(512)이 구비된다. 가이드 홀(512)은 버링 펀치(53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하부 금형(520)에는 성형 홀(522)이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다.
버링 펀치(530)는 패널(400)에 형성된 버링 홀(410)에 플랜지(114)를 성형시킨다. 버링 펀치(530)는 상부 금형(510)의 가이드 홀(51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버링 공정 시 버링 펀치(530)는 패널(400) 측으로 가압되어 가이드 홀(512)을 따라 이동하여 선단이 상부 금형(510)의 하단으로 돌출되며, 패널(400)에 형성된 버링 홀(410)을 거쳐 하부 금형(520)의 성형 홀(522) 내부로 삽입된다.
버링 공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버링 가공을 위한 패널(400)이 상부 금형(510) 및 하부 금형(520) 사이로 로딩된다. 패널(400)이 상부 금형(510)과 하부 금형(520) 사이에 위치되면,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금형(510)과 하부 금형(520) 사이를 조정하여 패널(400)을 클램핑시킨다. 그 후, 버링 펀치(530)가 가이드 홀(512)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버링 펀치(53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버링 펀치(530)의 선단이 먼저 패널(400)에 접촉하게 된다. 버링 펀치(530)가 패널(400)에 접촉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계속 이동하면,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링 펀치(530)가 하부 금형(520)의 성형 홀(522)에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패널(400)의 버링 홀(410)의 둘레 부분이 하방으로 절곡되면서 플랜지(114)가 형성된다.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14)의 형성이 완료되면 버링 펀치(530)는 다시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부 금형(510)도 다시 하부금형(4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버링 가공이 수행된다.
한편, 상기 버링 공정 단계에서는 미끄럼방지 돌기용 홀(420)에도 버링 가공이 수행되어 미끄럼방지 돌기용 홀(420)의 둘레가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성형되어 미끄럼방지 돌기(118)가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버링 공정 단계에서는 돌출편용 절개선(129) 내측이 가압됨으로써 돌출편(128)이 성형될 수 있다.
패널(400)에 버링 공정 단계가 완료된 후, 제1 측판(120) 및 제2 측판(130)을 상판(110)에 대해 벤딩시킨다. 벤딩 공정 단계에서 제1 측판(120) 및 제2 측판(130)은 절곡선(430)을 따라 상판(110)에 대해 하측으로 벤딩된다. 이때, 제1 측판(120) 및 제2 측판(130)의 벤딩 과정에서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제1 돌기(134)가 제1 홀(1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측판(120) 및 제2 측판(130) 중 제1 돌기(134)가 형성된 것을 먼저 벤딩시킨 후에, 제1 홀(122)이 형성된 것을 이후에 벤딩시킨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돌기(134)가 형성된 제2 측판(130)을 먼저 벤딩시킨 후에, 제1 홀(122)이 형성된 제1 측판(120)을 벤딩시킴으로써 벤딩 공정 단계 동안 제1 돌기(134)가 제1 홀(122)에 저절로 삽입된다.
제1 측판(120) 및 제2 측판(130)의 벤딩 공정 중에, 보강 리브(150)의 양단이 삽입되는 제1 측판(120)을 벤딩시키기 전에 제1 측판(120) 사이에 보강 리브(150)를 위치시킨 후 제1 측판(120)을 벤딩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강 리브(150)를 별도의 추가 공정을 통해 제1 측판(120)에 삽입시킬 필요 없이 제1 측판(120)의 벤팅 공정 시에 자동으로 보강 리브(150)의 양단의 제2 돌기(152)가 제1 측판(120)의 제2 홀(124)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은 벤딩 공정 단계를 거치면,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판(120) 및 제2 측판(130)이 상판(110)에 대해 하측으로 절곡된 상태가 되며, 보강 리브(150)의 양단이 제1 측판(120) 사이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코킹 툴(600)을 이용하여 제2 측판(130)의 제1 돌기(134) 및 보강 리브(150)의 제2 돌기(152)에 코킹 처리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킹 처리란 제1 돌기(134) 및 제2 돌기(152)의 선단을 코킹 툴(600)을 이용하여 선단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찍어서 선단의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최종적으로 도 3에 도시된 그레이팅(100)이 제조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그레이팅 200: 배수관
400: 패널 500: 버링 장치
600: 코킹 툴

Claims (6)

  1. 다수의 개수공이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개수공에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랜지가 구비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폭 방향의 양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측판;
    상기 상판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측판; 및
    상기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보강 리브
    를 포함하되,
    상기 상판, 상기 한 쌍의 제1 측판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판은 하나의 패널로부터 벤딩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측판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판 중 어느 하나의 양단에는 각각 제1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돌기가 삽입되는 제1 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보강 리브의 양단에는 각각 제2 돌기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측판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판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 돌기가 삽입되는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 리브의 양 측면은 상기 보강 리브의 폭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는 플랜지의 외주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의 선단은 코킹 처리에 의해 단면적이 확장됨으로써 상기 제1 홀로부터 빠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의 선단은 코킹 처리에 의해 단면적이 확장됨으로써 상기 제2 홀로부터 빠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에는 그레이팅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에는 이격하여 나란하게 절개되는 절개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 사이의 부분이 상기 그레이팅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돌출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KR1020120074156A 2012-07-06 2012-07-06 그레이팅 KR101223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156A KR101223532B1 (ko) 2012-07-06 2012-07-06 그레이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156A KR101223532B1 (ko) 2012-07-06 2012-07-06 그레이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3532B1 true KR101223532B1 (ko) 2013-01-22

Family

ID=47842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156A KR101223532B1 (ko) 2012-07-06 2012-07-06 그레이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5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542A (ko) * 2004-06-17 2005-12-22 오송미 화이바 글라스 액을 희석한 몰탈을 매설한 금속 덮개판
KR20090125971A (ko) * 2008-06-03 2009-12-08 박봉환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137132A (ko) * 2009-06-22 2010-12-30 주식회사 신양에벤에셀 미끄럼방지형 강판그레이팅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92505A (ko) * 2010-02-09 2011-08-18 진우석 스틸 그레이팅의 베어링 바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542A (ko) * 2004-06-17 2005-12-22 오송미 화이바 글라스 액을 희석한 몰탈을 매설한 금속 덮개판
KR20090125971A (ko) * 2008-06-03 2009-12-08 박봉환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137132A (ko) * 2009-06-22 2010-12-30 주식회사 신양에벤에셀 미끄럼방지형 강판그레이팅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92505A (ko) * 2010-02-09 2011-08-18 진우석 스틸 그레이팅의 베어링 바 및 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3173Y1 (ko) 그레이팅
KR101245858B1 (ko) 그레이팅의 제조 방법
JP4674913B2 (ja) 型枠パネル壁
KR102299680B1 (ko) 갭 마감용 거푸집
KR101223533B1 (ko) 배수관 어셈블리
KR101497927B1 (ko) 그레이팅
KR101223532B1 (ko) 그레이팅
KR100888209B1 (ko) 알루미늄폼 거푸집 지지용 지지바 고정장치
KR101770155B1 (ko) 현장 조립형 배수 그레이팅
KR102198889B1 (ko) 가변형 보 거푸집
KR102198417B1 (ko) 데크 로드용 데크 플레이트와 이의 제작 방법
KR200446077Y1 (ko) 미끄럼방지용 강판 그레이팅
KR200439619Y1 (ko) 매입형 배수로 부재
KR101311777B1 (ko) 배수로용 그레이팅
KR200361653Y1 (ko) 배수로 구조물
WO2005122693A3 (en) Grille system and method
KR102232208B1 (ko)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그 설치 구조
KR102049984B1 (ko) 압축 강도가 강화된 배수용 그레이팅
KR200482083Y1 (ko) 변형 방지 기능을 가지는 데크로드용 f자형 연결프레임 및 데크로드 시스템
KR101803328B1 (ko) 압출형 알루미늄 그레이팅과 그 제조방법
KR101073527B1 (ko) 인도 확장장치
JP2019148156A (ja) 排水溝ユニ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353812B1 (ko)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유닛, 이를 포함하는 트렌치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0837654B1 (ko) 조립식 그레이팅
KR101543232B1 (ko) 스틸 그레이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