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937B1 -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937B1
KR101222937B1 KR1020110096732A KR20110096732A KR101222937B1 KR 101222937 B1 KR101222937 B1 KR 101222937B1 KR 1020110096732 A KR1020110096732 A KR 1020110096732A KR 20110096732 A KR20110096732 A KR 20110096732A KR 101222937 B1 KR101222937 B1 KR 101222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n
amount
account
product
collat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정재덕
이태경
신성우
고진숙
심충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씽크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씽크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씽크풀
Priority to KR1020110096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원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은,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금을 대출받고 담보로 설정된 담보계좌에 대해 제2대출상품에 의해 대출받을 수 있는 제2대출 가능금액을 판단하기 위한 대출 확인모듈, 상기 대출 확인모듈에 의해 판단된 제2대출 가능금액 중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제2대출금을 상기 담보계좌로 입금하도록 대출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대출 실행모듈, 및 상기 제1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1담보율 및 상기 제2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2담보율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담보계좌의 반대매매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Method and System for loan managing system using same account}
본 발명은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권계좌에서 제1대출상품(예컨대, 신용대출)을 통해 대출을 받은 계좌에 대해 제2대출상품(예컨대, 제1대출상품에 비해 대출레버리지가 높은 대출상품)을 통해 추가로 대출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대출상품에 따른 대출과 제2대출상품에 따른 추가 대출의 회수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식 투자를 수행할 수 있는 증권계좌에 일정한 자산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자산을 담보로 하여 대출을 해주는 대출상품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증권사에서 투자자가 신용거래를 수행할 때 제공하는 신용대출이 이러한 대출상품의 일 예이다(주식관련 신용대출은 증권사외에도 증권금융 등 기타 금융기관이 제공할 수도 있으나 통상 증권사를 통해서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증권사를 대표 대출금융기관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신용대출은 증권사별로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우량 종목들을 대상으로 소정의 증거금율(통상 주식종목별로 대출을 실행함에 있어서 투자자가 부담하여야 하는 비율)에 의해 대출이 수행될 수 있다.
증권사에서 투자자에게 제공하는 신용대출은 크게 주식을 매입할 때 일정 비율(예컨대, 60%)을 제공하는 주식매입자금대출(통상 협의의 개념으로 '신용대출'이라 함)과 주식을 매입한 이후이거나 입고 등의 방식으로 투자자가 계좌에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담보로 대출을 제공하는 주식담보대출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의 증권사의 신용대출이라 하면 이들 모두를 포괄하여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한다. 그런데 실시예는 통상의 협의의 신용대출(주식매입자금대출) 방식을 중심으로 예시한다. 왜냐하면 협의의 증권사 신용대출(주식매입자금대출)과 주식담보대출은 단지 매수시점에 신용공여를 하느냐 여부에 큰 차이가 있을 뿐 그 신용공여의 방식이 유사하고 또한 담보율 계산방식이나 반대매매 실시 방식도 거의 동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실시예를 통한 증권사 신용대출 상품의 확장 이해와 그 실시 방식을 다양화하는 것은 매우 용이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대출상품과 그 방식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증권사의 신용대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소정의 투자자는 신용거래가 가능한 특정 종목(예컨대, A 종목)을 신용거래로 매수하고자 할 수 있다. 신용거래를 위해서는 매수하고자 하는 금액의 일정 비율, 즉 증거금율(예컨대, 40%)만 현재 투자자의 계좌에 가지고 있으면, 매수하고자 하는 금액만큼 상기 A 종목을 매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매수된 금액과 증거금율의 차액(예컨대, 매수금액의 60%)만큼은 증권사에서 투자자에게 대출을 해준 것으로 처리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투자자의 계좌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계좌는 상기 대출에 대한 담보계좌로 설정될 수 있으며, 증권사에서는 상기 계좌의 대출금액 대비 상기 계좌평가금액의 비율인 담보율을 모니터링하면서, 담보율이 미리 설정된 최저담보유지비율(예컨대, 140%) 이하가 되면 상기 계좌에 존재하는 주식을 반대매매하여 대출금을 회수하게 된다.
이러한 신용대출은 미리 정해진 종목들을 대상으로 제공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로 비교적 간편한 절차를 통해 대출을 받을 수 있어서 투자자들이 널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신용대출을 이용하여 투자를 수행하는 투자자들이 추가로 대출을 받고자 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신용대출의 만기가 도래하였는데 만기 연장이 불가능하거나 특정 종목이 신용대출 가능종목에서 제외되는 경우에는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하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종목이 반대매매가 될 수 있다. 또는, 주가하락으로 담보계좌가 상술한 바와 같은 최저유지담보비율 이하가 되면 투자자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반대매매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투자자는 반대매매를 방지하기 위해 추가적인 금액이 필요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반대매매의 위험이 없더라도 투자자는 투자금액을 더 늘리기 위해 추가적인 자금을 더 필요로 할 수도 있다. 투자자는 또는 증권사 신용대출에서는 대출이 발생하지 않지만 다른 대출상품에서는 대출이 가능한 종목을 대출을 받아 매수하고자 하는 필요를 가질 수도 있다. 어떤 경우이든 투자자는 상기 담보계좌에 존재하는 차입(대출받은) 자산과는 별도로 자금을 마련하여 반대매매를 방지하는데 사용하거나 추가 투자를 수행하는데 사용하고자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신용대출과는 대출 레버리지 및 대출 시에 설정 가능한 담보의 대상이 서로 다른 대출상품이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10-0864369, "온라인 주식 거래 및 대출을 위한 실시간 리스크관리/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이하, '등록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은 주식매입자금/담보대출이 이러한 대출상품일 수 있다.
등록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은 대출상품은 통상의 신용대출과는 달리 보다 큰 레버리지(leverage)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담보로 설정할 수 있는 주식종목도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신용대출에서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우량 종목들에 대해서만 대출이 발생할 수 있는 반면, 등록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은 대출상품은 신용대출이 발생할 수 없는 우량성이 다소 떨어지는 종목들도 담보의 대상이 되어 대출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신용대출에서는 주식 종목에 대해서만 대출이 발생하지만 등록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은 대출상품은 투자자의 특정 계좌 전체를 담보자산으로 하여 대출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현금을 담보로 하여 대출이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미 소정의 제1대출상품(예컨대, 신용대출)에 의해 대출이 발생하여 담보로 이미 설정된 계좌에 대해, 대출 레버리지 및/또는 담보 대상이 상이한 제2대출상품을 이용한 추가대출을 수행하여 상기 계좌에 존재하는 자산만으로도 추가자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하나의 증권계좌에 대해 복수의 대출상품들을 통해 복수의 대출을 각각 일으킬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제1대출상품을 통해 담보계좌로 설정된 계좌에 대해, 대출 레버리지가 높거나 담보대상이 넓은 제2대출상품을 통해 추가로 대출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계좌에 대해 상기 제2대출상품으로 추가 대출을 수행하고자 할 때, 합리적으로 추가 대출이 가능한 금액을 산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동일한 계좌에 대해 복수의 대출상품들을 통한 대출이 수행될 때, 복수의 대출상품들 각각에 따른 대출금의 회수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1대출상품을 통해 대출을 받은 주식 계좌가 손실이 발생하여 반대매매가 실시되거나 실시될 수 있는 우려가 있는 경우, 동일 담보계좌로 제2대출상품을 통해 별도로 대출을 받아 기존 대출금을 적어도 일부라도 상환하여 담보율을 높이거나 최저유지담보비율이 낮은 대출 상품으로 제1대출상품에 의한 대출을 대체함으로써 반대매매를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은,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금을 대출받고 담보로 설정된 담보계좌에 대해 제2대출상품에 의해 대출받을 수 있는 제2대출 가능금액을 판단하기 위한 대출 확인모듈, 상기 대출 확인모듈에 의해 판단된 제2대출 가능금액 중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제2대출금을 상기 담보계좌로 입금하도록 대출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대출 실행모듈, 및 상기 제1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1담보율 및 상기 제2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2담보율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담보계좌의 반대매매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대출 확인모듈은 상기 담보계좌의 계좌평가금액에서 상기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금액을 제외한 자기자산에 대해 상기 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를 적용한 제1금액 또는 상기 최대 레버리지를 적용한 상기 제1금액에서 상기 제1대출금액을 제외한 제2금액을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대출금이 상기 제2금액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대출금에서 상기 제2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은 상기 제1대출금을 상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대출 확인모듈은 상기 담보계좌에 포함된 자산 중 제2대출상품에서 담보로 설정되지 못하는 담보불가 자산이 포함된 경우, 상기 계좌평가금액에서 상기 담보불가 자산만큼의 금액을 더 제외한 금액에 대해 상기 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대출 확인모듈은 상기 담보계좌에 포함되며 상기 제1대출상품에 의한 대출을 발생시킨 제1자산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자산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자산의 평가금액에서 상기 제1대출금을 제외한 금액에 상기 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를 적용한 금액에서, 상기 제1대출금을 제외한 금액인 추가 대출가능 금액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자산 중 상기 제2대출상품의 담보 불가자산을 제외한 자산들의 평가금액에 상기 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를 적용한 신규 대출가능금액을 각각 확인하고, 상기 추가대출가능 금액과 상기 신규 대출가능 금액의 합을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최저유지담보비율에 의한 반대매매가 수행되기 전에 상기 제1최저유지담보비율에 의한 반대매매를 먼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담보계좌의 계좌평가금액에서 제2대출금액을 제외한 금액의 상기 제1대출금액에 대한 비율을 상기 제1담보율로 계산하고, 상기 제1대출금액 및 상기 제2대출금액의 합에 대한 상기 계좌평가금액의 비율을 제2담보율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계좌평가금액에서 제2대출금을 제외한 금액의 상기 제1대출금액에 대한 비율을 상기 제1담보율로 계산하고, 상기 계좌평가금액의 총대출금액에 대한 비율을 상기 제2담보율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계좌평가금액에서 상기 제1대출상품의 담보불가자산에 해당하는 금액 및 상기 제2대출금을 제외한 금액의 상기 제1대출금액에 대한 비율을 상기 제1담보율로 계산하고, 상기 계좌평가금액에서 상기 제2대출상품의 담보불가자산에 해당하는 금액을 제외한 금액의 총대출금액에 대한 비율을 상기 제2담보율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담보율이 상기 제1대출상품의 제1최저유지담보비율 이하가 되면, 상기 제1대출금액에 상응하는 액수만큼 상기 담보계좌에 포함된 주식종목의 반대매매를 수행하고, 상기 제1대출금액의 원리금이 상환된 후의 상기 담보계좌에 대해 상기 제2담보율을 이용하여 상기 담보계좌의 반대매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담보율이 상기 제1대출상품의 제1최저유지담보비율을 기준으로 소정의 값 이내가 되면, 상기 제2대출금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대출금의 적어도 일부를 상환하도록 하여 상기 제1담보율을 높이거나, 상기 제2대출금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대출금을 전부 상환하고 상기 제2담보율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제1대출상품 및 상기 제2대출상품은 대출 레버리지가 제2대출상품이 제1대출상품보다 높고 최저 담보유지비율은 제2대출상품이 제1대출상품보다 낮은 대출상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소정의 계좌를 담보계좌로 설정하고 제2대출상품에 의한 대출을 발생시켜 상기 담보계좌에 대출금을 입금하기 위한 대출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은 상기 담보계좌가 제1대출상품에 의한 대출을 받은 계좌인 경우, 상기 담보계좌의 제2대출상품에 의한 담보가능한 자산의 총액, 상기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금액, 및 상기 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대출상품에 따른 상기 담보계좌의 제2대출가능 금액에 대한 정보를 판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 및 제2대출상품에 의한 제2대출이 발생한 담보계좌에 대해 반대매매를 수행할 수 있는 대출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1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1담보율 및 상기 제2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2담보율을 각각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담보율에 따른 반대매매를 제2담보율에 따른 반대매매보다 먼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이 발생한 담보계좌에 대해 반대매매를 수행할 수 있는 대출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1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1담보율이 제1최저유지 담보비율을 기준으로 소정의 값 이내가 되면, 상기 담보계좌를 담보로 제2대출상품에 따른 제2대출금 중 적어도 일부를 이 용하여 상기 제1대출상품에 따른 제1대출금을 적어도 일부 상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1대출금이 일부 상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대출상품에 따른 제1담보율 및 상기 제2대출상품에 따른 제2담보율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1대출금이 전부 상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대출상품에 따른 제2담보율을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담보계좌에 포함된 주식의 반대매매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방법은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이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금을 대출받고 담보로 설정된 담보계좌에 대해 제2대출상품에 의해 별도로 대출받을 수 있는 제2대출 가능금액을 판단하는 단계, 제2대출 가능금액 중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제2대출금을 상기 담보계좌로 입금하도록 대출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수행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대출금이 상기 담보계좌로 입금되면, 상기 담보계좌의 계좌평가금액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담보계좌의 반대매매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담보계좌의 반대매매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는 제1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1담보율 및 상기 제2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2담보율을 각각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담보계좌의 상기 제2대출상품에 의한 담보가능한 자산의 총액, 상기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금액, 및 상기 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대출상품에 따른 상기 담보계좌의 제2대출가능 금액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보계좌의 반대매매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담보율에 의한 반대매매가 수행되기 전에 상기 제1담보율에 의한 반대매매를 먼저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보계좌의 반대매매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계좌평가금액에서 상기 제2대출금을 제외한 금액 대비 상기 제1대출금에 대한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제1담보율을 계산하고, 상기 계좌평금액대비 총대출금액에 대한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제2담보율을 계산하는 단계 또는 상기 계좌평가금액에서 상기 제1대출상품의 담보 불가능한 자산에 해당하는 금액 및 제2대출금을 제외한 금액의 상기 제1대출금액에 대한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제1담보율로 계산하고, 상기 계좌평가금액에서 상기 제2대출상품의 담보 불가종목에 해당하는 자산을 제외한 금액의 총대출금액에 대한 비율을 상기 제2담보율로 계산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보계좌의 반대매매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담보율이 상기 제1대출상품의 제1최저유지담보비율 이하가 되면, 상기 제1대출금액에 상응하는 액수만큼 상기 담보계좌에 포함된 주식종목의 반대매매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대출금액의 원리금이 상환된 후의 상기 담보계좌에 대해 상기 제2담보율을 이용하여 상기 담보계좌의 반대매매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방법은 담보계좌가 제1대출상품에 의한 대출을 받은 계좌인 경우, 대출관리 시스템이 상기 담보계좌의 상기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금액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대출상품에 의한 담보가능한 자산의 총액, 확인된 상기 제1대출금액, 및 상기 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대출상품에 따른 상기 담보계좌의 제2대출가능 금액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 및 제2대출상품에 의한 제2대출이 발생한 담보계좌에 대해 반대매매를 수행할 수 있는 대출관리 방법은 대출관리 시스템이 상기 제1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1담보율 및 상기 제2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2담보율을 각각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담보율에 따른 반대매매를 제2담보율에 따른 반대매매보다 먼저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이 발생한 담보계좌에 대해 반대매매를 수행할 수 있는 대출관리 방법은 대출관리 시스템이 상기 담보계좌의 상기 제1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1담보율이 제1최저유지 담보비율을 기준으로 소정의 값 이내가 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이 상기 담보계좌를 담보로 제2대출상품에 따른 제2대출금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대출상품에 따른 제1대출금을 적어도 일부 상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방법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동일 증권계좌에 대해 복수의 담보대출을 수행할 수 있어서 투자자는 투자자금이 더 필요한 경우에 외부에서 자금을 마련하지 않고도 상기 담보계좌만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투자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담보계좌의 담보가치의 하락 또는 제1대출상품의 대출기간의 만료 등으로 원하지 않는 반대매매가 발생할 수 있을 때, 투자자는 별도로 자금을 마련하지 않아도 대출금 일부 상환을 통해 담보비율을 상향시키거나, 최저담보유지비율이 낮은 제2대출금으로 제1대출금을 상환하고 대출 대체하여 원하지 않는 반대매매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투자자가 대출을 받은 증권계좌에서 반대매매가 실행되고 나면, 남은 금액으로 투자수익을 얻는 것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점을 감안할 때 본 발명의 반대매매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는 투자자에게 매우 유용한 효과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담보계좌가 반대매매가 실시되어 대출이 해지되고 나면, 상기 대출 상품의 대출 주체(제1대출상품과 제1대출상품의 대출주체가 동일 금융기관이든 상이한 금융기관이든 상관없이)의 이자수익이 소멸하게 되나, 본 발명에 따른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해 대출 연장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대출 금융기관은 이로 인한 추가수익(이자)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기 위한 도면의 개략적인 설명은 아래와 같다.
도 1은 종래의 증권사 신용대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추가대출 가능금액을 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추가대출 가능금액을 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대출상품에 따른 제1담보율과 제2대출상품에 따른 제2담보율을 이중으로 관리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담보율 및 제2담보율을 산정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이하, '대출관리 시스템', 100)은 제어모듈(110), 대출 확인모듈(120), 및 대출 실행모듈(130)을 포함한다.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계좌운용 시스템(200)에 포함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계좌운용 시스템(200)과는 별도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되며, 상기 계좌운용 시스템(2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계좌운용 시스템(200)은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100)에 의해 담보로 설정되고, 발생하는 대출금이 입금될 계좌를 관리 및/또는 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계좌운용 시스템(200)은 소정의 증권사 시스템 또는 상기 증권사 시스템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계좌의 명의로 투자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형태의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100)은 소정의 대출 시스템(30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대출 시스템(300)은 대출을 수행하고, 대출금을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100)에 의해 관리되는 계좌로 입금하는 대출주체가 운용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대출 시스템(300)은 상기 대출주체가 운용하는 소정의 시스템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시스템일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대출 시스템(300)은 증권사 시스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대출상품과 제2대출상품 중 적어도 하나는 증권사 금융상품일 수 있으며, 복수의 대출상품 모두 증권사 금융상품인 경우 상기 대출 시스템(300)은 증권사 시스템일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때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100)은 증권사 시스템에 내재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듈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하며 특정의 독립적인 물리적 구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한 논리적인 구성을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어느 하나의 물리적인 장치 또는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10), 상기 대출 확인모듈(120), 및/또는 상기 대출 실행모듈(130)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모듈(110), 상기 대출 확인모듈(120), 및/또는 상기 대출 실행모듈(130) 각각을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결합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상기 모듈들을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예컨대, 상기 대출 확인모듈(120), 및/또는 상기 대출 실행모듈(130) 등)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대출 확인모듈(120)은 소정의 계좌에 대해 제2대출상품에 의해 별도로(제1대출상품을 받은 상태에서 동일 담보계좌를 통해 제1대출금에 추가하여 제2대출상품으로 '추가 대출'을 받을 수도 있고, 또는 동일 담보계좌의 담보자산을 가지고 제2대출상품으로 새로이 대출을 받아 제1대출상품을 적어도 일부를 상환하는 '대출 대체'를 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여 "별도로" 대출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함) 대출받을 수 있는 금액인 제2대출 가능금액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은 상기 담보계좌의 자기자산에 제2대출레버리지를 적용한 제1금액일 수도 있고, 상기 제1금액에서 제1대출금을 제외한 금액인 제2금액일 수도 있다. 즉, 상기 대출 확인모듈(120)이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을 제2금액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2대출상품에 의해 추가로 대출 가능한 금액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을 제1금액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현재의 담보계좌의 상태에 따라 순수히 제2대출상품에 의해 대출가능한 금액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대출상품이 제1대출상품보다 대출 레버리지가 큰 경우에는, 상기 담보계좌를 이용하여 총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상기 담보계좌의 자기자산(예컨대, 100만원)에 상기 제2대출레버리지(예컨대, 300%)를 적용한 금액 즉, 제1금액(예컨대, 300만원)일 수 있다.
따라서, 이미 제1대출금(예컨대, 150만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출 확인모듈(120)은 상기 제2대출가능 금액을 상기 제1금액(예컨대, 300만원)에서 상기 제1대출금(예컨대, 150만원)을 제외한 금액인 제2금액(예컨대, 150만원)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상기 제1금액(예컨대, 300만원)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즉,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대출 확인모듈(120)은 이미 제1대출금(예컨대, 150만원)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2대출가능 금액을 상기 제1금액(예컨대, 300만원)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담보계좌를 이용한 총 대출금액(즉, 제1대출금 +제2대출금)은 상기 제1금액(예컨대, 300만원)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2대출가능 금액 범위 내에서 제2대출금이 결정되고, 상기 제2대출금(예컨대, 200만원)이 상기 제2금액(예컨대, 150만원)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2대출금(예컨대, 200만원)에서 상기 제2금액(예컨대, 150만원) 이상인 금액(예컨대, 50만원)은 상기 제1대출금을 상환하는데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면, 제1대출금은 150만원-50만원=100만원이 되고, 제2대출금은 200만원이 되므로 총 대출금액은 300만원 이내로 유지될 수 있다.
종래에는 부동산 담보대출 상품 등과 달리, 특정 대출상품이나 특정 금융기관에 의해 담보로 설정된 증권계좌는 더 이상 다른 대출상품이나 금융기관의 담보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이미 소정의 제1대출상품(예컨대,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신용대출)에 의해 담보계좌로 설정된 계좌에 대해 제2대출상품을 이용하여 별도로 대출을 발생시킬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한다. 따라서, 투자자는 이미 대출을 받을 때 이용했던 계좌 즉, 동일한 증권계좌를 이용해 별도로 투자금을 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제1대출상품과 상기 제2대출상품은 대출 레버리지가 다른 대출 상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대출상품에서 담보로 이용될 수 있는 주식과 상기 제2대출상품에서 담보로 이용될 수 있는 주식의 종류가 다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대출상품은 현금을 담보로 이용할 수 없으나 제2대출상품에서는 현금을 담보로 하여 대출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대출상품은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신용대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용대출은 주식을 매입할 때 소정의 증거금율에 의해 레버리지가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40%의 증거금율을 갖는 특정 종목인 경우, 60%가 대출이 되므로 레버리지는 1.5배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대출상품은 상기 종목에 대해 3배까지 대출을 해줄 수 있는 상품일 수 있다. 예컨대, 투자자가 40만원만 가진 상태에서 상기 특정 종목을 100만원어치 매수하고자 할 때, 제1대출상품에 의해 60만원의 대출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제2대출상품에 의해서는 자기자산(투자자 본인의 자산 즉, 40만원)에 대해 3배까지 대출이 가능하므로, 제2대출상품에 의한 최대 대출가능금액은 120만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투자자의 계좌에 상기 특정 종목만 존재하고,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금 60만원을 포함하여 100만원치의 특정 종목이 존재하는 경우, 제2대출상품에 의해 추가로 60만원(120만원-60만원(제1대출금))의 대출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는 제2대출상품에 의해 120만원의 대출을 받아 제1대출금 60만원을 상환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의 예에서 투자자의 제2대출상품에 의한 대출 가능 금액은 60만원~120만원인데, 60만원을 초과하는 부분은 제1대출금을 상환하는 조건으로만 가능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1대출금과 제2대출금을 합하여 총대출금이 상기 자기자산(40만원)의 최대 레버리지인 3배를 초과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상기 투자자의 계좌에 상기 특정 종목 이외에 다른 종목이나 현금이 더 포함된 경우에는 제2대출상품에 의해 추가로 대출가능한 금액은 더 커질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다른 종목이나 현금 등 기타 자기자산이 존재하지 않고 증거금율이 20%인 종목에 대해 제1대출상품으로 인한 대출이 수행된 계좌에 대해서는, 제1대출상품으로 인한 레버리지가 제2대출상품으로 인한 레버리지보다 더 클 수도 있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제2대출상품으로 인한 추가 대출가능금액은 없을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제1대출상품이 증권사의 신용대출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매입자금 대출이외에도 이미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입고되는 주식을 담보로 대출을 수행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때에는 일반적으로 상기 제1대출상품의 레버리지는 최대 150%~200% 미만일 수 있으므로, 상기 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가 300%인 경우에는 추가 대출이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제2대출상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증권계좌를 담보로 대출을 수행하는 상품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대출상품은 전술한 바와 같이 등록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은 대출상품일 수는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대출상품은 상기 제1대출상품보다 대출 레버리지가 높을 수 있다. 물론,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2대출상품의 레버리지가 더 낮을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제2대출상품에 의한 추가 대출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대출상품은 상기 제1대출상품과 최대 레버리지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담보 가능한 대상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즉, 담보 가능한 대상 자산에 차이가 있을 수 있고, 현금이나 채권 등 기타 유동 자산에 대한 담보 가능 여부도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대출상품과는 최저유지 담보비율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1대출상품에 비해 상기 제2대출상품의 레버리지가 높은 경우 또는 상기 제1대출상품에 의해서는 담보의 대상이 아닌 소정의 자산(예컨대, 주식종목, 현금, 또는 채권 등)이 상기 제2대출상품에 의해서는 담보의 대상이 되는 경우, 상기 대출 레버리지의 차이 및/또는 상기 담보의 대상 자산의 차이에 의해 상기 제1대출상품에 의해 대출을 받고 담보계좌로 설정된 계좌에 대해서도 상기 제2대출상품에 의해 추가 대출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대출상품과 상기 제2대출상품 각각의 최저유지담보비율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제1대출상품에 따른 제1담보율과 상기 제2대출상품에 따른 제2담보율을 각각 관리하고, 제1담보율이 제1최저유지담보비율 이하가 되면 제1대출금에 상응하는 액수만큼 반대매매를 수행하고, 제2담보율이 제2최저유지담보비율 이하가 되면 제2대출금에 상응하는 액수만큼 반대매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대출금 및 상기 제2대출금에 상응하는 액수만큼 반대매매를 수행한다고 함은, 상기 제1대출금이나 상기 제2대출금 각각의 전액에 해당하는 반대매매를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각각 최저유지담보비율을 상회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부분적으로 반대매매를 실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이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출관리 시스템(100)은 이중으로 담보율을 관리하면서, 각각의 대출상품에 대한 대출금(원금 및 이자를 포함할 수 있음) 회수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제1대출상품이 우선적으로 대출이 일어난 권리이므로, 상기 제1대출상품에 따른 제1대출금이 우선적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최저유지담보비율이 높은 대출금이 우선적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대출상품에 따른 제1최저유지담보비율은 140%일 수 있고, 제2대출상품에 따른 제2최저유지담보비율은 115%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대출상품에 따른 제1담보율에 따라 리스크 관리를 수행하다가, 상기 제1대출상품에 따른 제1대출금의 회수에 리스크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예컨대, 제1최저유지담보비율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100)은 제1대출금을 반대매매를 통해 먼저 회수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최저유지담보비율이 상이하기 때문에 제2대출금은 회수되지 않고, 그대로 대출이 유지될 수 있다. 그 후, 제2담보율에 따른 제2대출금의 회수에 리스크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반대매매를 통해 제2대출금의 회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이중으로 담보율을 관리하고, 대출금의 회수도 별개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출 확인모듈(120)이 상기 제1대출상품에 의해 담보가 되어 있는 담보계좌에 대해 추가로 대출가능한 금액 즉, 제2대출 가능금액을 판단하는 방식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가대출 가능금액을 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추가대출 가능금액을 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소정의 계좌 1은 자기자산(담보가 가능한 투자자의 자산) 100만원이 존재한 상태에서 소정의 제1대출상품을 통해 제1대출금 100만원을 대출받은 계좌일 수 있다. 상기 제1대출금 100만원은 상기 제1대출상품의 최대 대출 레버리지(제1대출 가능금액) 내에서 자동으로 또는 상기 투자자에 의해 결정된 대출금일 수 있다.
상기 계좌 1이 이처럼 제1대출상품에 의해 대출을 받고, 담보계좌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대출 확인모듈(120)은 상기 계좌 1이 제2대출상품에 의해 대출받을 수 있는 제2대출 가능금액이 얼마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대출 확인모듈(120)이 제2대출 가능금액을 판단하는 시기는 상기 계좌 1의 소유주인 투자자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요청이 없어도 미리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을 판단해둘 수도 있고, 또는 소정의 상황이 되면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컨대, 투자자로부터 미리 약정이 된 경우, 상기 계좌 1이 상기 제1대출상품에 따른 반대매매가 수행될 위험에 처한 경우(예컨대, 계좌 1의 담보율이 최저유지담보비율에 소정의 범위 내로 접근한 경우),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100)은 자동으로 상기 제2대출상품에 의한 대출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대출 확인모듈(120)은 자동으로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대출 확인모듈(120)은 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가 300%라고 하면, 상기 대출 확인모듈(120)은 상기 계좌 1의 자기자산(예컨대, 100 만원) 대비 3배 즉, 300만원에서 이미 상기 제1대출상품에 의해 대출된 금액(100만원)을 제외한 금액 즉, 200만원을 추가로 대출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300만원을 대출가능금액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실제 제2대출금이 200만원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모듈(110)에 의해 200만원 이상의 금액은 상기 제1대출금(100만원) 중 적어도 일부를 상환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기자산 중에서는 상기 제2대출상품의 담보로 설정될 수 없는 자산이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주식 중에는 관리종목, 경고종목, 또는 소정의 기준에 의해 상기 제2대출상품의 담보로 설정되지 못하는 자산이 상기 계좌 1에 포함된 경우, 상기 대출 확인모듈(120)은 상기 계좌 1의 계좌평가금액에서 담보불가능 자산을 제외한 금액에 상기 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를 적용하고, 적용된 금액에서 상기 제1대출금을 차감한 금액을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계좌 1에 A 자산(예컨대, 50만원어치의 소정의 제1주식) 및 B 자산(예컨대, 50만원어치의 제2주식 또는 현금이나 채권 등의 유동자산)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별도의 자기자산을 담보로 하여 제1대출상품을 통해 대출(100만원)을 받아 C 종목(예컨대, 150만원)을 매수할 수 있다.
이때, A 자산은 제1대출상품 및 제2대출상품의 담보가 될 수 없는 종목일 수 있고, B 자산은 제1대출상품의 담보는 될 수 없지만, 제2대출상품의 담보는 가능한 자산일 수 있다. C 종목은 제1대출상품 및 제2대출상품의 담보가 될 수 있는 종목일 수 있다.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은 기준에 의하면, 예컨대 계좌평가금액이 250만원이라고 하면 250만원에서 제1대출금(100만원)과 담보 불가능 자산(A 종목, 50만원)을 차감한 즉, 100만원이 상기 제2대출상품에 의해 최종적으로 담보로 사용될 수 있는 자산이고, 여기에 상기 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예컨대, 300%)를 적용하면 300만원이 된다. 그러면, 300만원에서 상기 제1대출금액(100만원)을 제외하면, 200만원이 상기 제2대출상품에 의해 추가로 대출가능한 제2대출 가능금액이 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2대출상품에 따른 제2대출 가능금액은 300만원이 될 수도 있다. 이때 실제 제2대출금액이 300만원이 되면, 300만원 중 100만원은 제1대출금액을 상환 대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100만원은 상기 제1대출금액을 상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이 소정의 금액(예컨대, 100만원)을 상기 제1대출금액을 상환하도록 제어한다고 함은, 상기 금액(예컨대, 100만원)이 상기 대출시스템(300)에서 상기 제1대출상품을 발생시킨 주체(예컨대, 증권사 시스템)의 상환계좌로 바로 입금되도록 상기 대출시스템(300)으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제2대출금액(예컨대, 300만원)이 상기 담보계좌로 입금되면, 입금된 상기 제2대출금액(예컨대, 300만원) 중 상기 금액(예컨대, 100만원)을 상기 제1대출상품을 발생시킨 주체(예컨대, 증권사 시스템)가 인출해가도록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담보계좌에 복수의 자산(A, B, C)이 존재하고, 그 중에서 제2대출상품의 담보 불가능 자산(A)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정 자산(C)이 이미 제1대출상품의 담보로 사용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제1대출상품의 담보로 사용된(또는 대출을 발생시킨) 종목(C)에 대해서는 추가로 대출이 발생하고, 제1대출상품의 담보로 사용되지 않고 제2대출상품의 담보로 사용가능하는 자산(B)에 대해서는 신규로 대출이 발생하며, 제2대출상품의 담보로 설정될 수 없는 자산(A)에 대해서는 대출이 발생하지 않는 결과가 된다.
예컨대, C 종목에 대해서는 (150만원-100만원)*300%가 되어 150만원이 되고, B 종목에 대해서는(50만원)*300%가 되어 150만원이 되고, A 종목에 대해서는 대출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0원이 된다. 그러면, C 종목에 대해서는 추가로 50만원이 대출가능하게 되고, B 종목에 대해서는 신규로 최대 150만원이 대출될 수 있어서, 추가로 대출 가능한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은 200만원이 될 수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 제1대출금의 대출대체가 이루어지도록 미리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은 300만원이 될 수도 있다.
즉 투자자가 대출받을 수 있는 총 대출 가능금액은 300만원이 되는데, 그 구성을 제1대출금 100만원, 제2대출금 200만원으로 할 것인지, 아니면 제2대출금을 3백만원으로 하고 제2대출금 300만원 중 백만원을 제1대출금 백만원을 상환하는데 사용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이든, 상기 대출 확인모듈(120)은 복수의 주식이 담보계좌에 설정된 경우, 상기 제1대출상품의 담보로 이용되었거나(대출을 발생시킨) 자산(C)에 대해서는 {(자산 평가금액-제1대출금액)*(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 -제1대출금액}이 상기 종목에 대한 추가 대출가능금액이 된다.
또한, 나머지 자산들(A, B) 중 제2대출상품의 담보로 설정 가능한 자산들에 대해서는 (해당 종목 평가금액)*((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가 신규 대출가능금액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대출가능금액과 상기 신규 대출가능금액의 합이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출 실행모듈(130)은 상기 대출 확인모듈(120)에 의해 판단된 제2대출 가능 금액 중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제2대출금을 상기 담보계좌로 입금하기 위해 대출 시스템(3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대출금은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 내에서 투자자의 선택에 의해 또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기준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대출 실행모듈(130)은 제2대출금을 결정할 수 있는 소정의 UI를 상기 제2투자자의 단말기(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2대출금은 미리 상기 투자자에 의해 결정된 기준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투자자는 상기 제1대출상품에 따른 반대매매가 수행될 위험에 처한 경우,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 전부를 대출을 받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대출 실행모듈(130)은 상기 대출 확인모듈(120)에 의해 확인된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의 대출을 발생시켜 상기 담보계좌로 입금되도록 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의 일부(예컨대, 50%)만 자동으로 대출이 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대출금이 상기 담보계좌로 입금되면, 상기 제1대출상품에 따른 반대매매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상기 제2대출금이 상기 담보계좌로 입금되고 상기 담보계좌의 계좌평가금액이 추가로 하락하여 다시 상기 제1대출상품에 따른 제1담보율이 제1최저유지담보비율 이하가 되면, 그때에는 제1대출상품에 따른 반대매매가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대출상품에 의한 추가 대출이 가능한 경우라면(예컨대, 이전에 제2대출가능 금액의 일부만 대출받은 경우), 다시 상기 제2대출상품에 의한 추가 대출이 발생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대출상품은 최대 대출레버리지가 150%에 최저유지담보비율이 140%이고 제2대출상품은 최대 대출레버리지 300%에 최저유지담보비율이 115%일 때 투자자가 100만원을 가지고 제1대출상품으로 150만원을 대출을 받았다고 가정한다. 그런데 주가 하락으로 제1최저유지담보비율까지 담보비율이 하락하면, 즉 투자자의 계좌평가금액이 250원에서 210만원(=150만원*140%)까지 하락하면 제1대출상품 기준으로 반대매매가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제2대출상품으로 대출을 받으면 그 대출가능금액은 자기자산이 60만원이 되고(=210만원(현재 계좌평가금액)-150만원(제1대출금액)), 자기자산의 300%(60만원*300%=180만원)까지 제2대출상품에 의한 대출이 가능하므로 180만원을 대출받아 제1대출금 150만원을 상환하면 계좌평가금액은 240만원(자기자산 60만원 + 제2대출금 180만원)이 되고, 담보비율은 133.33%(=240만원/180만원)로 제2최저유지담보비율인 115%를 상회하게 되어 반대매매를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제2대출상품으로 최대한의 대출가능금액까지 대출을 받는 것이 아니라 일정 부분만 대출받아 제1대출금을 적어도 일부분 상환하여 반대매매를 방지할 수도 있다.
즉, 제1대출상품에 따른 반대매매의 위험이 존재하게 되는 경우에는, 대출레버리지가 더 크고 최저유지담보비율이 더 낮은 제2대출상품으로 상기 제1대출상품에 따른 대출금액을 적어도 일부 대체함으로써 반대매매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담보계좌에 제1대출금과 제2대출금이 혼재하는 경우, 서로 다른 종류의 대출상품(제1대출상품 및 제2대출상품)의 원리금 회수 리스크를 각각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대출상품 및 제2대출상품 각각의 레버리지 및 이율, 최저유지담보비율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출관리 시스템(100)은 각각 서로 다른 리스크를 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제1대출상품에 따른 담보율과 상기 제2대출상품에 따른 담보율을 각각 관리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담보율의 관리를 통한 리스크의 통제는 상기 제어모듈(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일 실시예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대출상품에 따른 제1담보율과 제2대출상품에 따른 제2담보율을 이중으로 관리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담보율 및 제2담보율을 산정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출관리 시스템(100)은 제1담보율과 제2담보율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제1담보율은 상기 제1대출상품에 대한 원리금 회수 리스크를 판단하기 위한 소정의 기준일 수 있으며, 상기 제2담보율은 상기 제2대출상품에 대한 원리금 회수 리스크를 판단하기 위한 소정의 기준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대출상품의 최저유지담보비율 즉, 제1최저유지담보비율은 상기 제2대출상품의 최저유지담보비율 즉, 제2최저유지담보비율보다 높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대출상품이 증권사의 신용대출인 경우는 상기 최저담보유지비율은 140%일 수 있다. 또한, 제2대출상품이 등록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은 주식담보대출인 경우, 상기 제2최저담보유지비율은 11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제1대출상품에 의해 먼저 대출이 된 상태에서 상기 제2대출상품에 의한 추가대출이 수행되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고 제1대출상품의 최저유지담보비율이 제2대출상품보다 높은 경우를 가정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제1대출상품에 의한 원리금 회수를 우선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담보계좌가 제2대출상품에 의한 대출이 추가로 수행된 경우에도, 원래의 상기 제1대출상품에 의한 최저유지담보비율을 그대로 상기 제1최저유지담보비율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대출상품에 의한 제2최저유지담보비율도 원래 제2대출상품의 최저유지담보비율 그대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대출상품의 원래 최저유지담보비율과 상기 제2대출상품의 원래 최저유지담보비율이 그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제1최저유지담보비율 및 제2최저유지담보비율로 설정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담보계좌의 계좌평가금액이 상기 제1담보율이 상기 제1최저유지담보비율 이하가 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반대매매를 수행하여 상기 제1대출금에 따른 원리금을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이 수행하는 반대매매의 규모는 상기 제1대출금의 원리금을 회수할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제1대출금의 원리금을 회수할 수 있을 만큼 또는 그 이상의 주식을 반대매매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금의 원리금을 상기 제2대출상품에 의한 제2대출금의 원리금보다 우선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반대매매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110)에 의해 관리 및/또는 설정될 수 있는 제1담보율 및 제2담보율과 상기 제1최저유지담보비율 및 상기 제2최저유지담보비율은 계좌평가금액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1담보율이 상기 제1최저유지담보비율 이하로 되는 경우가, 상기 제2담보율이 상기 제2최저유지담보비율 이하로 되는 경우보다 먼저 발생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제1담보율 및 상기 제2담보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출관리 시스템(100)에 의해 제1대출상품 및 제2대출상품에 의해 대출이 수행된 계좌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종목, B 종목, C 종목, 및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계좌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제1담보율을 계산하기 위해 제2대출금액은 상기 제1대출상품에 의해 담보가 되지 않는 자산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금의 원리금이 상기 제2대출금의 원리금보다 먼저 회수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2대출금 자체는 상기 제1대출금의 담보자산으로 평가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110)은 수학식 1과 같이 상기 제1담보율을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1074603747-pat00001
한편, 상기 제2담보율은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1074603747-pat00002
여기서, A, B, C는 각각 A 종목, B 종목, 및 C 종목의 평가금액일 수 있다.
수학식 2에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대출상품에 대한 제2담보율은 계좌평가금액 대비 총대출금액(즉, 제1대출금 + 제2대출금)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을 판단할 때 이미 제1대출금을 고려하였으므로, 상기 제2대출상품에 대한 제2담보율은 총대출금액을 회수할 수 있는 리스크를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 정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보다 보수적으로 상기 제1담보율 및 상기 제2담보율이 정의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상기 제1대출상품 및 상기 제2대출상품 각각에 따라 담보로 설정될 수 없는 자산의 종류가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으므로, 현재 계좌평가금액에서 이러한 담보불가종목들은 담보되는 자산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 통상의 경우에는 담보불가종목들도 주식매도를 하면 현금이 될 수 있으므로 담보자산은 될 수 없어도 계좌평가금액에는 포함될 수 있으나(매도해서 현금화할 수 없는 거래정지 종목이나 상장폐지를 앞두고 있는 종목 등은 예외일 수 있음), 담보율을 보수적으로 산정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담보불가종목들은 계좌평가금액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
예컨대, A 종목은 제1대출상품 및 제2대출상품의 담보불가종목이고, B 종목은 제1대출상품의 담보불가종목이며, C 종목은 제1대출상품 및 제2대출상품 각각에 담보로 설정될 수 있는 종목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가장 보수적으로 담보율을 산정한다면, 상기 제어모듈(110)에 의해 계산되는 상기 제1담보율은 {(C+현금)-(제2대출금)}/제1대출금 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담보율은 (B+C+현금)/총대출금액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담보불가종목으로 대출을 발생시키지는 못하도록 계좌평가총액에 포함되어 담보율 평가를 할 때에는 포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상기 제어모듈(110)은 소정의 방식으로 상기 제1담보율 및 상기 제2담보율을 정의하고, 반대매매를 수행하는 기준이 되는 제1최저유지담보비율 및 제2최저유지담보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계좌평가금액의 변동에 의해 상기 제1담보율이 상기 제1최저유지담보비율 이하가 되면, 상기 제1대출금액에 상응하는 액수만큼 상기 담보계좌에 포함된 주식종목의 반대매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대출금액에 상응하는 액수라 함은, 상기 제1대출금액의 원리금 이상의 금액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대출상품에 따른 반대매매가 수행되고, 상기 제1대출금액에 따른 원리금이 상환되어도 상기 제2대출상품에 의한 대출은 유지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제2대출상품에 의한 담보율만 관리 및/또는 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100)은 변동성이 심한 증권계좌에 대해서도 복수의 대출상품을 이용하여 복수의 대출을 일으킬 수 있고, 복수의 대출상품 각각의 원리금 회수 리스크도 이중으로 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대출주체의 입장에서는 대출의 유지 및 신규 대출로 인한 수익의 증가가 존재할 수 있고,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담보계좌 이외의 별도의 자금을 마련하지 않고도 이미 대출로 인해 담보계좌가 된 계좌를 이용하여 추가로 투자금을 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자금 없이도 원래의 대출 즉, 제1대출상품에 의한 반대매매를 방지하여 계속적으로 투자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제2대출상품에 따른 대출의 발생은 소정의 조건이 되었을 때에 자동으로 또는 투자자의 승인 후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대출상품에 의해 제1대출금만큼 대출을 받은 계좌의 제1담보율이 일정기준이 되었을 때, 상기 제2대출상품에 따른 대출이 수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담보율이 제1최저유지 담보비율(예컨대, 140%) 기준 소정의 값(예컨대, 0~5%) 이내가 되면 상기 제2대출상품에 따른 대출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대출상품에 따른 제2대출금만큼의 대출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제2대출금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대출금을 상환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대출금이 일부 상환되면, 상기 제1담보율이 상승하므로 제1대출상품에 따른 반대매매가 방지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제1담보율과 제2대출상품에 따른 제2담보율을 각각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대출금이 전부 상환되면, 상기 제1대출상품에 따른 대출금은 모두 상환되게 된다. 즉, 제2대출상품으로 상기 제1대출상품이 대체되게 되며, 이때에는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100)은 제2대출상품에 따른 반대매매만 제어할 수 있다.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6)

  1.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금으로 인해 담보로 설정된 담보계좌에 대해, 상기 제1대출금의 제1대출금액 및 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2대출상품에 의해 대출 가능한 제2대출 가능금액을 판단하기 위한 대출 확인모듈;
    상기 대출 확인모듈에 의해 판단된 제2대출 가능금액 중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제2대출금을 상기 담보계좌로 입금하도록 대출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대출 실행모듈; 및
    상기 대출 실행모듈과 상기 대출 시스템의 통신에 의해 제2대출금이 상기 담보계좌에 입금되면, 상기 제2대출금이 입금된 상기 담보계좌의 계좌평가금액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담보계좌의 계좌평가금액에서 상기 제2대출금을 제외한 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제1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1담보율을 모니터링하며, 소정의 방식으로 상기 제2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2담보율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담보계좌의 반대매매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출 확인모듈은,
    상기 담보계좌의 계좌평가금액에서 상기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금액을 제외한 자기자산에 대해 상기 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를 적용한 제1금액; 또는
    상기 최대 레버리지를 적용한 상기 제1금액에서 상기 제1대출금액을 제외한 제2금액을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으로 판단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대출금이 상기 제2금액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대출금에서 상기 제2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은 상기 제1대출금을 상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출 확인모듈은,
    상기 담보계좌에 포함된 자산 중 제2대출상품에서 담보로 설정되지 못하는 담보불가 자산이 포함된 경우, 상기 계좌평가금액에서 상기 담보불가 자산만큼의 금액을 더 제외한 금액에 대해 상기 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를 적용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출 확인모듈은,
    상기 담보계좌에 포함되며 상기 제1대출상품에 의한 대출을 발생시킨 제1자산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자산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자산의 평가금액에서 상기 제1대출금을 제외한 금액에 상기 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를 적용한 금액에서, 상기 제1대출금을 제외한 금액인 추가 대출가능 금액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자산 중 상기 제2대출상품의 담보 불가자산을 제외한 자산들의 평가금액에 상기 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를 적용한 신규 대출가능금액을 각각 확인하고,
    상기 추가대출가능 금액과 상기 신규 대출가능 금액의 합을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으로 판단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대출상품의 제2최저유지담보비율에 의한 반대매매가 수행되기 전에 상기 제1대출상품의 제1최저유지담보비율에 의한 반대매매를 먼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담보계좌의 계좌평가금액에서 제2대출금액을 제외한 금액의 상기 제1대출금의 액수에 대한 비율을 상기 제1담보율로 계산하고,
    상기 제1대출금액 및 상기 제2대출금액의 합에 대한 상기 계좌평가금액의 비율을 제2담보율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담보계좌의 계좌평가금액에서 제2대출금을 제외한 금액의 상기 제1대출금에 대한 비율을 상기 제1담보율로 계산하고,
    상기 계좌평가금액의 총대출금액에 대한 비율을 상기 제2담보율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담보계좌의 계좌평가금액에서 상기 제1대출상품의 담보불가자산에 해당하는 금액 및 상기 제2대출금을 제외한 금액의 상기 제1대출금에 대한 비율을 상기 제1담보율로 계산하고,
    상기 계좌평가금액에서 상기 제2대출상품의 담보불가자산에 해당하는 금액을 제외한 금액의 총대출금액에 대한 비율을 상기 제2담보율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담보율이 상기 제1대출상품의 제1최저유지담보비율 이하가 되면, 상기 제1대출금액에 상응하는 액수만큼 상기 담보계좌에 포함된 주식종목의 반대매매를 수행하고,
    상기 제1대출금액의 원리금이 상환된 후의 상기 담보계좌에 대해 상기 제2담보율을 이용하여 상기 담보계좌의 반대매매를 제어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담보율이 상기 제1대출상품의 제1최저유지담보비율을 기준으로 소정의 값 이내가 되면,
    상기 제2대출금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대출금의 적어도 일부를 상환하도록 하여 상기 제1담보율을 높이거나,
    상기 제2대출금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대출금을 전부 상환하고 상기 제2담보율을 모니터링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대출상품 및 상기 제2대출상품은,
    대출 레버리지가 제2대출상품이 제1대출상품보다 높고 최저 담보유지비율은 제2대출상품이 제1대출상품보다 낮은 대출상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13. 소정의 계좌를 담보계좌로 설정하고 제2대출상품에 의한 대출을 발생시켜 상기 담보계좌에 대출금을 입금하기 위한 대출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은 대출 확인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대출 확인모듈은,
    상기 담보계좌가 제1대출상품에 의한 대출을 받은 계좌인 경우, 상기 제1대출상품의 제1대출 가능금액 내에서 자동으로 설정된 또는 투자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담보계좌의 상기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금액을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제1대출금액, 상기 담보계좌의 제2대출상품에 의한 담보가능한 자산의 총액, 및 상기 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대출상품에 따른 상기 담보계좌의 제2대출가능 금액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며,
    상기 담보계좌의 계좌평가금액에서 상기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금액을 제외한 자기자산에 대해 상기 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를 적용한 제1금액; 또는
    상기 최대 레버리지를 적용한 상기 제1금액에서 상기 제1대출금액을 제외한 제2금액을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으로 판단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14.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 및 제2대출상품에 의한 제2대출이 발생한 담보계좌에 대해 반대매매를 수행할 수 있는 대출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은,
    상기 담보계좌의 계좌평가금액에서 상기 제2대출에 의한 제2대출금을 제외한 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제1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1담보율을 모니터링하며, 소정의 방식으로 상기 제2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2담보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모니터링 결과 상기 제1담보율 및 상기 제2담보율이 각각 상기 제1대출상품의 제1최저유지 담보비율 및 상기 제2대출상품의 제2최저유지 담보비율 이하가 되면, 상기 제1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상기 제1담보율에 따른 반대매매를 상기 제2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상기 제2담보율에 따른 반대매매보다 먼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15.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이 발생한 담보계좌에 대해 반대매매를 수행할 수 있는 대출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은,
    상기 담보계좌의 상기 제1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1담보율이 제1최저유지 담보비율을 기준으로 소정의 값 이내가 되면, 상기 담보계좌를 담보로 발생한 제2대출상품에 따른 제2대출금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대출상품에 따른 제1대출금을 적어도 일부 상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대출금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대출상품을 발생시킨 주체의 상환계좌로 입금하거나, 상기 제2대출금이 상기 담보계좌로 입금되면 상기 제1대출상품을 발생시킨 대출 시스템이 상기 제2대출금 중 적어도 일부를 인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대출금이 일부 상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대출상품에 따른 제1담보율 및 상기 제2대출상품에 따른 제2담보율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1대출금이 전부 상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대출상품에 따른 제2담보율을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담보계좌에 포함된 주식의 반대매매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17.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이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금으로 인해 담보로 설정된 담보계좌에 대해, 상기 제1대출금의 제1대출금액 및 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2대출상품에 의해 별도로 대출받을 수 있는 제2대출 가능금액을 소정의 대출 시스템과의 통신 또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기준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이 판단된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 중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제2대출금을 상기 담보계좌로 입금하도록 대출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수행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대출금이 상기 담보계좌로 입금되면, 상기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이 상기 제2대출금이 입금된 상기 담보계좌의 계좌평가금액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담보계좌의 계좌평가금액에서 상기 제2대출금을 제외한 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제1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1담보율을 모니터링하며, 소정의 방식으로 상기 제2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2담보율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담보계좌의 반대매매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계좌의 반대매매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는,
    제1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1담보율 및 상기 제2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2담보율을 각각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담보계좌의 상기 제2대출상품에 의한 담보가능한 자산의 총액, 상기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금액, 및 상기 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대출상품에 따른 상기 담보계좌의 제2대출가능 금액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계좌의 반대매매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담보율에 의한 반대매매가 수행되기 전에 상기 제1담보율에 의한 반대매매를 먼저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방법.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계좌의 반대매매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계좌평가금액에서 상기 제2대출금을 제외한 금액 대비 상기 제1대출금에 대한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제1담보율을 계산하고, 상기 계좌평가금액대비 총대출금액에 대한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제2담보율을 계산하는 단계; 또는
    상기 계좌평가금액에서 상기 제1대출상품의 담보 불가능한 자산에 해당하는 금액 및 제2대출금을 제외한 금액의 상기 제1대출금에 대한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제1담보율로 계산하고, 상기 계좌평가금액에서 상기 제2대출상품의 담보 불가종목에 해당하는 자산을 제외한 금액의 총대출금액에 대한 비율을 상기 제2담보율로 계산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방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계좌의 반대매매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담보율이 상기 제1대출상품의 제1최저유지담보비율 이하가 되면, 상기 제1대출금에 상응하는 액수만큼 상기 담보계좌에 포함된 주식종목의 반대매매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대출금의 원리금이 상환된 후의 상기 담보계좌에 대해 상기 제2담보율을 이용하여 상기 담보계좌의 반대매매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방법.
  23. 소정의 계좌를 담보계좌로 설정하고 제2대출상품에 의한 대출을 발생시켜 상기 담보계좌에 대출금을 입금하기 위한 대출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담보계좌가 제1대출상품에 의한 대출을 받은 계좌인 경우, 대출관리 시스템이 상기 제1대출상품의 제1대출 가능금액 내에서 자동으로 설정된 또는 투자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담보계좌의 상기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금액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이 상기 제2대출상품에 의한 담보가능한 자산의 총액, 확인된 상기 제1대출금액, 및 상기 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대출상품에 따른 상기 담보계좌의 제2대출가능 금액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담보계좌의 제2대출가능 금액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담보계좌의 계좌평가금액에서 상기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금액을 제외한 자기자산에 대해 상기 제2대출상품의 최대 레버리지를 적용한 제1금액 또는 상기 최대 레버리지를 적용한 상기 제1금액에서 상기 제1대출금액을 제외한 제2금액을 상기 제2대출 가능금액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방법.
  24.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 및 제2대출상품에 의한 제2대출이 발생한 담보계좌에 대해 반대매매를 수행할 수 있는 대출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담보계좌의 계좌평가금액에서 상기 제2대출에 의한 제2대출금을 제외한 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제1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1담보율을 모니터링하며, 소정의 방식으로 상기 제2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2담보율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 결과 상기 제1담보율 및 상기 제2담보율이 각각 상기 제1대출상품의 제1최저유지 담보이율 및 상기 제2대출상품의 제2최저유지 담보비율 이하가 되면,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이 상기 제1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상기 제1담보율에 따른 반대매매를 상기 제2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상기 제2담보율에 따른 반대매매보다 먼저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방법.
  25. 제1대출상품에 의한 제1대출이 발생한 담보계좌에 대해 반대매매를 수행할 수 있는 대출관리 방법에 있어서,
    대출관리 시스템이 상기 담보계좌의 상기 제1대출상품에 상응하는 제1담보율이 제1최저유지 담보비율을 기준으로 소정의 값 이내가 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결과 상기 제1담보율이 제1최저유지 담보비율을 기준으로 소정의 값 이내가 되면, 상기 대출관리 시스템이 상기 담보계좌를 담보로 발생한 제2대출상품에 따른 제2대출금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대출상품에 따른 제1대출금을 적어도 일부 상환되도록 상기 제1대출상품을 발생시킨 주체의 상환계좌로 입금하거나, 상기 제2대출금이 상기 담보계좌로 입금되면 상기 제1대출상품을 발생시킨 대출 시스템이 상기 제2대출금 중 적어도 일부를 인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방법.
  26. 제 17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10096732A 2011-09-26 2011-09-26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22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732A KR101222937B1 (ko) 2011-09-26 2011-09-26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732A KR101222937B1 (ko) 2011-09-26 2011-09-26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2937B1 true KR101222937B1 (ko) 2013-01-17

Family

ID=4784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732A KR101222937B1 (ko) 2011-09-26 2011-09-26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9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297A (ko) * 2014-07-11 2016-01-20 키움증권 주식회사 확장된 대여 풀을 갖는 대차거래 관리 시스템
KR20180116886A (ko) * 2017-04-18 2018-10-26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 스톡 옵션을 위한 대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09927A (ko) * 2019-07-18 2021-01-27 주식회사 모핀 공모주 재청약을 위한 대출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
KR102240202B1 (ko) * 2020-08-06 2021-04-15 (주)민트플렉스 디지털 자산 기반의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510A (ko) * 2005-11-30 2006-03-1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고객 예금 대출 처리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060073445A (ko) * 2005-11-30 2006-06-2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예금 대출 처리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매체
KR20070045615A (ko) * 2005-10-27 2007-05-02 강경호 담보유가증권의 상승가치분의 활용 시스템 및 방법
KR100922107B1 (ko) 2007-05-29 2009-10-16 주식회사 신한은행 담보주식 운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5615A (ko) * 2005-10-27 2007-05-02 강경호 담보유가증권의 상승가치분의 활용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23510A (ko) * 2005-11-30 2006-03-1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고객 예금 대출 처리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060073445A (ko) * 2005-11-30 2006-06-2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예금 대출 처리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매체
KR100922107B1 (ko) 2007-05-29 2009-10-16 주식회사 신한은행 담보주식 운용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297A (ko) * 2014-07-11 2016-01-20 키움증권 주식회사 확장된 대여 풀을 갖는 대차거래 관리 시스템
KR101629892B1 (ko) * 2014-07-11 2016-06-13 키움증권 주식회사 확장된 대여 풀을 갖는 대차거래 관리 시스템
KR20180116886A (ko) * 2017-04-18 2018-10-26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 스톡 옵션을 위한 대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77743B1 (ko) * 2017-04-18 2019-05-13 엔에이치투자증권주식회사 스톡 옵션을 위한 대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09927A (ko) * 2019-07-18 2021-01-27 주식회사 모핀 공모주 재청약을 위한 대출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
KR102288162B1 (ko) * 2019-07-18 2021-08-10 주식회사 모핀 공모주 재청약을 위한 대출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
KR102240202B1 (ko) * 2020-08-06 2021-04-15 (주)민트플렉스 디지털 자산 기반의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94871A (zh) 用于使用信用链来增强组织透明度的系统和方法
US20140316823A1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mote Computerized Insurance Premium Quotes for losses suffered by Crowd Funding Website Subscribers
KR101980307B1 (ko) 피투피(p2p) 투자 중개 시스템
KR101222937B1 (ko)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60250B1 (ko) 대차거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020137B1 (ko) 공모주 청약 대출방법
CN106557978A (zh) 一种限定亏损的金融交易系统
KR101310356B1 (ko) 유가증권 거래 방법 및 장치
KR101991769B1 (ko) 전자 화폐를 채권 증서로 이용하는 투자 중개 시스템
KR101226917B1 (ko) 대차거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696356B1 (ko) 담보물건을 활용한 대차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72150B1 (ko) 금융기관의 대출금 회수방법과 상기 방법에 관련된 장치
JP2005085133A (ja) 貸借取引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KR101730531B1 (ko) 유가증권 거래 방법 및 장치
KR20100082951A (ko) 금융상품 거래를 위한 중계 방법 및 인터넷 거래 시스템
KR102424423B1 (ko) 유가증권 담보 대출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229978B1 (ko) 반대매매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95026B1 (ko) 대차거래 활성화를 위한 대차거래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52003B1 (ko) 대차거래 활성화를 위한 대차거래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70327B1 (ko) 주식 배당권 담보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440986B1 (ko) 주택담보 부실채권 활성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주택담보 부실채권 거래 시스템
KR102052194B1 (ko) P2p 기반 대출금 상환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314718B1 (ko) 이중대출상품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977743B1 (ko) 스톡 옵션을 위한 대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136461A (ko) 미수 대출 시스템 및 미수 대출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