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202B1 - 디지털 자산 기반의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자산 기반의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202B1
KR102240202B1 KR1020200098501A KR20200098501A KR102240202B1 KR 102240202 B1 KR102240202 B1 KR 102240202B1 KR 1020200098501 A KR1020200098501 A KR 1020200098501A KR 20200098501 A KR20200098501 A KR 20200098501A KR 102240202 B1 KR102240202 B1 KR 102240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asset
user
loan
collateral
finan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권
Original Assignee
(주)민트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민트플렉스 filed Critical (주)민트플렉스
Priority to KR1020200098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40/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디지털 자산 기반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 보안키를 배포하고, 보안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을 생성하는 디지털 자산 관리 서버,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금융 신용 정보 및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 이력을 기초로 사용자의 융합신용도를 산출하는 신용도 관리 서버,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에 저장된 디지털 자산에 대한 평가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가액 및 융합신용도를 기초로 현금 대출 한도 및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 한도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금융 서비스 요청에 따라, 현금 대출 한도를 기초로 결정된 제1 담보 디지털 자산에 기반하여 금융기관 서버에서 사용자로의 현금 대출을 실행하거나, 또는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 한도를 기초로 결정된 제2 담보 디지털 자산에 기반하여 레버리지 대출을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자산 기반의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Digital Asset based Financial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자산 기반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암호화폐들(비트코인, 이더리움, 대시 등)과 산업재산권(즉,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저작권을 포함하는 지적재산권 및 초상권을 사고팔 수 있는 퍼블리시티권 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나, 제한된 용도로 활용될 뿐 그 자체로서 수익을 발생시키는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
암호화폐의 경우, 그 가치에 대한 불안이 존재하므로 암호화폐를 투기 수단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어 그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있는 실정이며, 산업재산권을 거래하는 인터넷 매매 사이트가 운영되고는 있으나, 산업재산권의 거래 종류가 매도나 매수 등과 같이 단순할 뿐만 아니라 매매금액에 대한 산정 및 이견 때문에 실질적 거래량이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디지털 자산들의 가치를 이용하여 실제 화폐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등 디지털 자산에 대한 투자 가치와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금융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시스템에서 다양한 디지털 자산 기반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자산의 활용 환경을 확장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자산의 가치 변동성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더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 보안키를 배포하고, 상기 보안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을 생성하는 디지털 자산 관리 서버,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금융 신용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 이력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융합신용도를 산출하는 신용도 관리 서버, 상기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에 저장된 디지털 자산에 대한 평가액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평가액 및 상기 융합신용도를 기초로 현금 대출 한도 및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 한도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금융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현금 대출 한도를 기초로 결정된 제1 담보 디지털 자산에 기반하여 상기 금융기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의 현금 대출을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 한도를 기초로 결정된 제2 담보 디지털 자산에 기반하여 레버리지 대출을 실행하는 금융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 보안키를 배포하고, 상기 보안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을 생성하는 단계,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금융 신용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 이력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융합신용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에 저장된 디지털 자산에 대한 평가액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평가액 및 상기 융합신용도를 기초로 현금 대출 한도 및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 한도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금융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현금 대출 한도를 기초로 결정된 제1 담보 디지털 자산에 기반하여 상기 금융기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의 현금 대출을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 한도를 기초로 결정된 제2 담보 디지털 자산에 기반하여 레버리지 대출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담보 디지털 자산은 상기 사용자의 현금 대출 요청이 수신되면 일시적 핫 월렛으로 이동되고, 상기 현금 대출이 완료되면 콜드 월렛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특히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자산을 매도하지 않고도 자금을 운용할 수 있도록 현금을 대출하므로, 디지털 자산의 활용 환경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담보 설정된 디지털 자산을 사용자가 임의 처분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담보 가치가 떨어질 경우 사업자의 임의 처분을 허용함으로써 시장 리스크로 인한 사업자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을 도시한 일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의 디지털 자산 관리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현금 대출 서비스가 실행됨에 따른 담보 디지털 자산의 이동을 도시한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의 신용도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용도 관리 서버가 융합신용도를 산출하는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의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의 금융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이 담보 디지털 자산을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모듈(Module)"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컴포넌트와 등가 혹은 둘 이상의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버 또는 단말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 모두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service)는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는 서버 또는 타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기초한 서비스, 디바이스 내에서 동작 가능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적용되는 서비스는 본 개시에 예로서 기재된 서비스 이외에도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10)을 도시한 일례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이 접근함에 따라 보안키를 배포하며, 보안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예컨대, 전자월렛)을 생성하는 디지털 자산 관리 서버(100), 사용자 단말(11)의 사용자의 신용도를 평가 및/또는 관리하는 신용도 관리 서버(200), 디지털 자산에 대한 평가액을 산정하고 금융 한도를 결정하는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11)의 사용자가 요청하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요청하는 금융 서비스의 종류(예컨대, 현금 대출 요청 등)에 따라 상기 시스템(10)은 금융기관 서버(12)와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10)과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 및 금융기관 서버(12)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들은 클라우드 서버, IMPS(IP Multimedia Subsystem) 서버, 텔레포니 어플리케이션(Telephony Application) 서버, IM(Instant Messaging) 서버,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서버, MSG(Messaging Gateway) 서버,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들은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객체를 지칭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은 본 발명의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10)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보유한 데스크탑PC, 랩탑 PC,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10)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 또는 각 서버 내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500)는 회원 DB(510), 디지털 자산 DB(520), 거래내역 DB(5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10)이 복수개의 서버 및 복수개의 데이터베이스로 구분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구현예에 따라서, 각 서버의 기능들은 더 작은 개수의 서버(및/또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더 많은 개수의 서버(및/또는 데이터베이스)로 구분되어 동작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11)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디지털 자산 금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10)에 접속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의 사용자가 디지털 자산 금융 어플리케이션의 회원가입을 하면, 디지털 자산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고, 기 설정된 방법으로 보안키를 생성 및 배포한 후,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한다.
또한, 디지털 자산 관리 서버(100)는 보안키에 기반하여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을 생성한다. 여기서, 디지털 자산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과 같은 암호화폐, 특허, 상표권, 저작권, 퍼블리시티권 등의 산업재산권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교환 가치가 있는 전자 문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은 대한 정보를 관리하며, 이때 관리되는 정보는 디지털 자산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자산이 암호화폐인 경우, 월렛은 암호화폐의 주소, 개인키 정보, 상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디지털 자산이 산업재산권인 경우, 산업재산권의 등록 번호, 소유권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용도 관리 서버(200)는 디지털 자산 관리 서버(100)에서 사용자가 인증되면, 금융기관 서버(1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금융 신용 정보와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 이력을 기초로 융합신용도를 생성 및/또는 갱신할 수 있다. 융합신용도는 LTV(Loan to value ratio, 담보 인정 비율) 값, 레버리지율(leverage ratio), 금리 등과 연관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300)는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에 저장된 디지털 자산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평가액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자산이 암호화폐일 경우,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300)는 디지털 자산의 거래 금액 등을 기초로 대한 실물화폐 금액 또는 기준암호화폐 수량(예컨대, 비트코인 수량 등)을 산출할 수 있으며, 디지털 자산이 산업재산권일 경우,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300)는 사용자 보유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가치평가액, 실시권 설정액 등을 기초로 실물화폐 금액 또는 기준암호화폐 수량을 산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300)는 산출된 디지털 자산에 대한 평가액과 사용자의 융합신용도를 기초로 사용자의 현금 대출 한도,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leverage) 한도, 디지털 자산 예금 이자 등을 산출할 수 있다.
금융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11)을 통해 사용자가 금융 서비스를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현금 대출 서비스가 요청되면, 금융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300)에서 산출된 현금 대출 한도를 기초로 결정된 담보 디지털 자산에 기반하여 금융기관 서버(12)에서 사용자로의 현금 대출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가 요청되면, 금융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300)에서 산출된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 한도를 기초로 결정된 담보 디지털 자산에 기반하여 레버리지 대출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자산 예금이 요청되면, 금융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300)에서 산출된 예금 금리를 기초로 예금된 디지털 자산에 대한 이자를 지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금융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디지털 자산 거래가 요청되거나, 상품교환 거래가 요청되면 이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금융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통해 현금 대출 요청된 담보 디지털 자산은 일시적 핫 월렛(hot wallet)으로 이동되고, 현금 대출이 완료되면 해당 담보 디지털 자산을 콜드 월렛(cold wallet)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담보 디지털 자산을 사용자가 임의 처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금융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디지털 자산의 가치 변동성 및/또는 사용자의 신용도 변화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일정 조건 하에서 로스컷(loss-cut)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10)은 디지털 자산 기반으로 현금을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지털 자산을 매각하지 않으면서도 현금화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그 외에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자산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10)은 개인의 금융 신용 정보와 상기 시스템(10)에서의 신용 정보를 결합하여 기존의 금융시스템과는 상이한 신용도 평가를 제안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디지털 자산에 대한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10)은 담보 설정된 디지털 자산에 대한 로스컷을 실행함으로써, 사업자의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10)을 구성하는 각 서버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10)의 디지털 자산 관리 서버(1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 서버(100)는 회원 등록, 로그인 또는 회원 탈퇴 절차를 수행하는 회원 관리부(110), 등록된 회원에게 보안키를 생성 및 발급하는 보안키 생성부(120) 및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을 관리하는 디지털 자산 관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11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시스템(10)에 접근하면, 회원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ID, P/W, 생체 정보, 연락처 정보 등)는 회원 DB(51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회원 관리부(110)는 등록된 사용자를 로그인 처리하여 해당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회원 관리부(110)는 사용자 단말(11)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정보의 갱신, 회원 탈퇴 등의 관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보안키 생성부(120)는 회원 관리부(110)에 의해 회원 등록된 사용자에게 보안키를 생성 및 배포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보안키는 회원 DB(510)에 사용자 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자산 관리부(130)는 사용자 인증 후, 사용자가 보유한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을 생성 및/또는 갱신할 수 있다. 예를들어, 디지털 자산 월렛은 보안키로 암호화될 수 있으며, 타인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자산 관리부(130)는 사용자 단말(11)로부터 디지털 자산에 대한 보관 (또는 저장)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 자산 DB(520)에 저장하고, 저장된 주소값 등을 상기의 보안키로 암호화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을 통해 상기 시스템(10)에 접속하면, 디지털 자산 관리부(130)는 기 설정된 사용자의 보안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소유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1)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자산 관리부(130)는 현금 대출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담보 설정되는 디지털 자산을 사용자가 임의 처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디지털 자산 관리부(130)는 금융서비스 제공 서버(400)에서 대출 서비스가 수신되면, 일시적 핫 월렛(hot wallet)을 생성하여 해당 디지털 자산을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핫 월렛은 온라인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디지털 자산을 처분할 수 있는 월렛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현금 대출이 완료되면, 디지털 자산 관리부(130)는 콜드 월렛(cold wallet)을 생성 및/또는 갱신하여, 해당 디지털 자산을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콜드 월렛은 오프라인 상태에서 디지털 자산을 보관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처분을 금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콜드 월렛에 저장되는 디지털 자산은 디지털 자산 DB(520)의 오프라인 영역에 저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시적 핫 월렛은 가상 계정에 연계될 수 있으며, 콜드 월렛은 사용자 계정에 연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출 서비스 요청 후에 사용자가 임의로 담보 디지털 자산을 처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대출 실행이 완료된 이후에는 사용자가 본인의 계정을 통해 담보 디지털 자산을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10)의 신용도 관리 서버(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용도 관리 서버(200)가 융합신용도를 산출하는 일례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용도 관리 서버(200)는 기준신용도 산출부(210) 및 융합신용도 산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신용도 산출부(210)는 금융기관 서버(12)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금융 신용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금융 신용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시스템(10)에서 사용하는 기준신용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금융기관 서버(12)는 상기 시스템(10)에서 사용자의 신용 정보가 요청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11)로 본인 인증을 위한 ARS, 개인 정보 인증 등의 작업을 수행한 후에 상기 시스템(10)으로 사용자의 금융 신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대출 한도 정보는 금융기관에서 해당 사용자의 신용 정보(즉, 여기에서 신용 정보는 통상적인 금융 기관에서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기반하여 평가하는 신용도를 의미한다)로부터 책정되는 대출 한도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금융 신용 정보는 LTV(Loan to Value Ratio), 레버리지율(leverage ratio), 금리, 대출 한도액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디지털 자산에 기반한 사용자의 대출한도는 디지털 자산의 가치 및 사용자의 융합 신용도에 기반하여 수행되나, 실시 예에 따라 금융기관에서 책정한 사용자의 신용도 혹은 실물자산에 기반하여 책정된 대출한도가 함께 고려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신용도 및 융합신용도를 산출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신용도 관리 서버(200)는 금융기관 서버(12)로부터 획득된 LTV 값(%)을 기초로 기준신용도를 산출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LTV 값이 70이라면 기준신용도는 5로 산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LTV 값이 130이라면 기준신용도는 2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LTV 값을 기준으로 기준신용도를 산출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기준신용도는 개인의 LTV 값, 레버리지율, 대출 한도액 중 최대 금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산출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신용도는 신용등급의 개념으로 낮을수록 좋은 것으로 평가될 수도 있고, 레벨의 개념으로 높을수록 좋은 것으로 평가될 수 있으며, 그 체계는 특정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융합신용도 산출부(220)는 기준신용도 산출부(210)에서 산출된 기준신용도에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 이력을 적용하여 융합신용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 사용 이력은, 예를 들어, 회원 추천 이력 디지털 자산 예금 이력 디지털 자산 저장 기간, 디지털 자산 저장량, 대출 상환 이력, 로스컷(loss-cut) 이력, 서비스 무응답 이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회원 DB(510)나 별도의 거래내역 DB(미도시) 등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각 시스템 사용 이력은 기준신용도를 상승시키거나 하락시킬 수 있다. 이때, 각 이력의 중요도에 따라 기준신용도가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정도는 상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기준신용도 5인 사용자가 회원 추천 이력이 있다면 사용자의 융합신용도는 1단계 상승하여 4로 산출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가 로스컷 이력이 있다면 융합신용도는 2단계 하락하여 7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합신용도는 LTV 값, 레버리지율, 금리 등에 매칭될 수 있다. 개인별 융합신용도는 회원 DB(510)에 저장되거나, 별도의 융합신용도 DB(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융합신용도 산출부(220)는 서비스 사용 이력이 새롭게 발생되거나 사용자의 금융 신용 정보가 변경되면, 융합신용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10)의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3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300)는 디지털 자산에 대한 평가액을 산출하는 평가액 산출부(310), 산출된 평가액과 사용자의 융합신용도에 기반하여 현금대출 한도를 산출하는 대출한도 산출부(320),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 한도를 산출하는 레버리지한도 산출부(330) 및 예금 이자를 산출하는 예금이자 산출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평가액 산출부(310)는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에 저장된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 자산 DB(520)로부터 독출하여 이에 대한 평가액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평가액은 실물화폐 금액, 기준 암호화폐(예컨대, 상기 시스템(10)이 발행하는 코인, 비트코인 등) 수량 등으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액 산출부(310)는 금융서비스 제공 서버(400)에서의 디지털 자산의 매수 및 매도 내역을 포함하는 거래내역 DB(530)를 참조하여 해당 시점의 실물화폐 매수가 및 매도가 중 적어도 하나의 가격을 이용하거나, 외부의 디지털 자산 거래 서버(미도시) 또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참조하여 해당 디지털 자산에 대한 평가액을 산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디지털 자산이 산업재산권일 경우, 디지털 자산에 대한 평가액은 가치평가 금액, 기존의 실시권 설정액 등을 기초로 평가액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평가액 산출부(310)는 담보로 기 설정된 디지털 자산에 대하여 일정 시간 간격 또는 임의 시간 간격으로 평가액을 갱신할 수 있다. 갱신된 평가액은 금융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금융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담보 디지털 자산에 대한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함일 수 있다.
대출한도 산출부(320)는 평가액 산출부(310)에서 사용자 보유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실물화폐 금액이 산출되면, 해당 금액에 사용자의 융합신용도에 매칭되는 LTV 값(%)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대출한도 산출부(320)는 사용자 보유 디지털 자산을 담보 설정했을 시의 대출 가능 금액(즉, 대출 한도)을 산출할 수 있다. 단, 대출한도 산출부(320)는 사용자의 금융 신용 정보의 대출 한도 금액이 산출된 대출 한도보다 작을 경우, 대출 한도를 금융 신용 정보의 대출 한도 금액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시스템(10)이 금융기관 서버(12)와 연계하여 현금 대출을 진행하기 때문일 수 있다.
한편, 대출한도 산출부(320)는 일부 디지털 자산을 제외한 나머지 디지털 자산을 이용하여 대출 한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때, 일부 디지털 자산은 증거 디지털 자산으로서, 추후 디지털 자산의 가치 변동으로 인해 담보 디지털 자산의 담보 비율이 감소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함일 수 있다. 증거 디지털 자산은 사용자의 융합신용도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들어, 전체 디지털 자산 중에서 20%에 해당하는 디지털 자산이 증거 디지털 자산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레버리지한도 산출부(330)는 평가액 산출부(310)에서 사용자 보유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기준 암호화폐 수량이 산출되면, 이에 사용자의 융합신용도에 매칭되는 레버리지율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레버리지한도 산출부(330)는 사용자 보유 디지털 자산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담보 설정했을 시의 레버리지 가능 수량(즉, 레버리지 한도)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레버리지 한도가 기준 암호화폐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레버리지 한도는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을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보유의 디지털 자산이 기준 암호화폐인 경우에만 레버리지 대출이 허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 보유의 디지털 자산이 기준 암호화폐가 아닌 경우, 레버리지 한도는 0일 수 있다.
예금이자 산출부(340)는 평가액 산출부(310)에서 사용자 보유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실물화폐 액수 및/또는 기준 암호화폐 수량이 산출되면, 이에 사용자의 융합신용도에 매칭되는 금리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예금이자 산출부(340)는 사용자 보유 디지털 자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일정기간 예금한 경우 제공되는 이자를 산출할 수 있다. 이자는 실물화폐 또는 기준 암호화폐의 수량으로 산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이자는 사용자 보유의 디지털 자산의 종류로 산출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10)의 금융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11)로부터 금융 서비스 요청을 수신 및 확인하는 서비스 확인부(410), 디지털 자산을 담보로 현금 대출을 실행하는 현금 대출부(420), 디지털 자산을 담보로 레버리지 대출을 실행하는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부(430), 대출이 실행됨에 따라 담보 디지털 자산에 리스크를 관리하는 담보 관리부(440), 디지털 자산이 예치됨에 따라 이자를 지급하는 디지털 자산 예금부(450), 사용자들 간 및/또는 사용자와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10) 간의 디지털 자산 거래를 중계하는 디지털 자산 거래부(460) 및 디지털 자산 기반의 상품교환을 중계하는 상품교환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확인부(410)는 사용자 단말(11)로부터 금융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해당 요청이 유효한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확인부(410)는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에 저장된 디지털 자산이 없는 사용자가 현금 대출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잘못된 요청임을 알림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확인부(410)는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11)로부터 금융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이 필요함을 알림할 수 있다.
서비스 확인부(410)는 유효한 서비스가 요청되면, 현금 대출부(420),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부(430), 디지털 자산 예금부(450), 디지털 자산 거래부(460) 또는 상품교환부(470)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현금 대출부(420)는 서비스 확인부(410)에서 현금 대출 요청이 확인됨에 따라,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300)에서 산출된 현금 대출 한도와 담보 디지털 자산을 사용자 단말(11)로 알림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1)로부터 담보 설정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의 현금 대출 한도에 대한 채권 보증서(예컨대, 전자 문서)를 금융기관 서버(1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채권 보증서는 대출 금액(즉,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300)에서 산출된 현금 대출 한도), 사용자 정보 등이 기 저장된 채권 보증 양식에 자동 기입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후, 금융기관 서버(12)는 채권 보증서에 기반하여 사용자 계좌로 현금 대출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1)과 금융기관 서버(12)가 대출 계약서 및 전자 서명을 주고받을 수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한편, 사용자 단말(11)로부터 희망 대출 금액이 수신되는 경우, 현금 대출부(420)는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300)에서 산출된 현금 대출 한도와 담보 디지털 자산을 조정할 수 있다. 즉, 현금 대출부(420)는 해당 희망 대출 금액을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300)에서 산출된 대출 한도와 비교하여 더 작은 금액을 최종 대출 한도로 조정하고, 조정된 대출 한도에 사용자의 융합신용도에 매칭되는 LTV 값을 이용하여 담보 디지털 자산을 조정할 수 있다(예컨대, (담보 디지털 자산)=(조정된 대출 한도)*(1/LTV)).
또한, 사용자 단말(11)로부터 현금 대출이 요청됨에 따라, 디지털 자산 관리 서버(100)의 디지털 자산 관리부(130)는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에서 담보 디지털 자산을 일시적 핫 월렛으로 이동시키고, 이후 실제 대출이 행해지면 일시적 핫 월렛에 저장된 담보 디지털 자산을 콜드 월렛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부(430)는 서비스 확인부(410)에서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 요청이 확인됨에 따라,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300)에서 산출된 레버리지 한도와 담보 디지털 자산을 사용자 단말(11)로 알림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1)로부터 담보 설정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의 레버리지 한도로 디지털 자산 대출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1)로부터 희망 레버리지 수량을 수신하는 경우,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부(430)는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300)에서 산출된 레버리지 한도와 담보 디지털 자산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부(430)는 희망 레버리지 수량을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 한도와 비교하여 더 작은 값을 레버리지 한도로 조정하고, 조정된 레버리지 한도에 사용자의 융합신용도에 매칭되는 레버리지율을 적용하여 담보 디지털 자산을 조정할 수 있다(예컨대, (담보 디지털 자산)=(조정된 레버리지 한도)/(레버리지율)).
한편, 상기 시스템(10)은 상기의 담보 가산자산에 대해서는 담보 에스크로와 손해보험을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담보 관리부(440)는 대출 및/또는 레버리지 실행 완료된 후, 담보 가치의 변동 또는 융합신용도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다. 담보 관리부(440)는 일정 시간 간격 또는 임의 시간 간격으로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300)로부터 담보 디지털 자산에 대한 갱신된 평가액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담보 관리부(440)는 담보 디지털 자산의 갱신된 평가액을 기초로, 담보 디지털 자산의 담보 비율(예컨대, (담보 비율)=(대출 금액)/(담보 디지털 자산 평가액)*100)을 산출할 수 있다. 담보 관리부(440)는 대출 만기 이전에, 산출된 담보 비율이 사용자의 융합신용도에 대응하는 LTV 값보다 임계값(예컨대, 20 등)이하로 낮아지는 경우, 로스컷(loss-cut)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담보 관리부(440)는 레버리지 상환일 이전에, 담보 디지털 자산에 대한 갱신된 평가액이 임계값(예컨대, 70% 등)보다 낮아지는 경우, 로스컷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로스컷(loss-cut, 또는 반대매매)은 상기 시스템(10)의 사업자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디지털 자산의 가치가 크게 하락하거나 대출 금액이 회수되지 않을 경우, 사업자가 사용자의 자산을 임의처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담보 관리부(440)는 로스컷을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에 증거 디지털 자산이 존재하면, 해당 증거 디지털 자산을 콜드 월렛으로 이동시켜 담보 디지털 자산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담보 관리부(440)는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에 저장된 증거 디지털 자산을 모니터링하고 사용자가 임의로 증거 디지털 자산을 처분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림할 수 있다. 만약, 일정 기간 내에 증거 디지털 자산이 복구되지 않는다면, 담보 관리부(440)는 로스컷을 실행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담보 관리부(440)는 만기가 도래하였으나, 사용자가 현금 및/또는 디지털 자산의 대출을 상환하지 않는 경우, 로스컷을 실행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현금 대출을 상환한 경우, 담보 관리부(440)는 콜드 월렛에 저장된 담보 디지털 자산을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으로 복구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사용자는 본인의 디지털 자산이 로스컷에 의하여 처분되는 것을 원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로스컷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 서버는 사용자에게 로스컷 조건이 발생하였음을 통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로스컷을 막기 위해 추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지털 자산을 추가로 담보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대출금의 적어도 일부를 상환할 수 있으며, 신용도를 높이기 위한 동작(예: 다른 사용자 소개, 서비스 이용 등)을 수행하여 로스컷 조건을 해소할 수도 있다.
로스컷이 실행되면, 담보 관리부(440)는 담보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이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보 관리부(440)는 소유권을 상기 시스템(10)의 사업자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금융기관 서버(12)를 통해 현금 대출이 이뤄진 경우, 담보 관리부(440)는 금융기관 서버(12)로 제3자 변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담보 관리부(440)는 사용자의 융합신용도를 모니터링하고, 융합신용도가 임계값 이상 변경되면, 로스컷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신용도 하락에 따른 손실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예금부(450)는 서비스 확인부(410)에서 예금 요청이 확인됨에 따라, 예금 요청된 디지털 자산을 락업(lock-up)하고, 락업된 기간 동안 이자를 지급할 수 있다. 락업되는 기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거나, 디지털 자산 예금부(450)에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지급되는 이자는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300)에서 산출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거래부(460)는 사용자 단말(11) 간 또는 사용자 단말(11)과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10) 간의 디지털 자산 거래를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거래부(460)는 디지털 자산을 매수(또는 매도)하려는 사용자 단말(11)로부터 해당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정보 및 매수가(또는 매도가)를 수신하고, 해당 디지털 자산을 해당 매수가(또는 매도가)에 매도(또는 매도)하려는 다른 사용자 단말(미도시) 간의 트랜잭션(transaction)을 중계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디지털 자산에 대한 매매 정보는 거래내역 DB(5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자산 거래부(460)는 각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거래내역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자산 거래부(460)는 거래에 따라 발생된 트랜잭션 정보를 비교하여 거래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시스템(10)은 개인들 간의 안전한 거래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자산 거래부(460)는 사용자 단말들 간의 거래 내역 또는 외부 디지털 자산 거래 서버(미도시)의 매매가를 이용하여, 개인의 디지털 자산을 매수하고, 매수된 디지털 자산을 매도할 수도 있다.
상품교환부(470)는 디지털 자산과 상품을 교환할 수 있다. 상품교환부(470)는 상품 목록을 사용자 단말(11)로 제공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을 이용하여 해당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면,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에서 선택된 상품에 대응하는 디지털 자산을 산출할 수 있다. 상품교환부(470)는 산출된 디지털 자산을 일시적 핫 월렛으로 이동시키고, 상품 교환이 완료된 후에 일시적 핫 월렛에 저장된 디지털 자산을 상품 제공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시스템(10)은 상품의 교환을 중계함으로써 상기 시스템(10)의 사용자들이 안정적으로 거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상품이 실물화폐로 판매되거나, 상품 제공자와 사용자 간에 서로 다른 디지털 자산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 상품교환부(470)는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에서 상품에 대응하는 디지털 자산을 일시적 핫 월렛으로 이동시킨 후, 상품 교환이 완료되면, 해당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상기 시스템(10) 사업자로 변경한 후, 상품 제공자의 계정으로 실물화폐(또는 취급 디지털 자산)를 지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품 교환에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의 종류를 제한할 수도 있다.
도 9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10)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및 도 10에 도시된 순서도는, 앞서 설명된 도 1 내지 도 8 에서 설명된 실시예들과 관련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여도, 도 1 내지 도 8에서 앞서 설명된 내용들은, 도 9및 도 10의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1)로 보안키를 배포하고, 보안키에 기반하여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을 생성할 수 있다(S91).
이후, 상기 시스템(10)은 사용자의 금융 신용 정보 및 상기 시스템(10)에 대한 사용 이력을 기초로 융합신용도를 산출할 수 있다(S92).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10)은 금융기관 서버(12)로부터 금융 신용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금융 신용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LTV(loan to value ratio), 대출 한도 금액 및 최대 금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기초로 기준신용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10)은 회원 추천 이력, 디지털 자산 예금 이력, 디지털 자산 저장 기간, 디지털 자산 저장량, 대출 상환 이력, 로스컷(loss-cut) 이력 및 서비스 무응답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 이력에 따라 기준신용도를 상승 또는 하락시켜 융합신용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10)은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에 저장된 디지털 자산에 대한 평가액을 산출할 수 있다(S93). 이때, 평가액은 실물화폐 금액, 기준 암호화폐(예컨대, 상기 시스템(10)이 발행하는 코인, 비트코인 등) 수량 등으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10)은 평가액 및 융합신용도를 기초로 현금 대출 한도 및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 한도를 산출할 수 있다(S94).
현금 대출 한도는, 단계 S93에서 사용자 보유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평가액(즉, 실물화폐 금액)이 산출되면, 해당 금액에 사용자의 융합신용도에 매칭되는 LTV 값(%)을 적용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금융 신용 정보의 대출 한도액으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 한도는 사용자 보유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기준 암호화폐 수량이 산출되면, 이에 사용자의 융합신용도에 매칭되는 레버리지율을 적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보유의 디지털 자산의 종류가 기준 암호화폐로 제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사용자 단말(11)로부터 금융 서비스가 요청되면(S95), 상기 시스템(10)은 현금 대출 한도 기초로 결정된 제1 담보 디지털 자산에 기반하여 현금 대출을 실행하거나(S96), 레버리지 한도를 기초로 결정된 제2 담보 디지털 자산에 기반하여 레버리지 대출을 실행하거나(S97), 또는 기타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98). 여기서, 기타 금융 서비스는 디지털 자산 예금, 디지털 자산 거래 및 디지털 자산 기반의 상품교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1)로부터 디지털 자산 예금 서비스가 요청됨에 따라, 예금 요청된 디지털 자산을 락업(lock-up)하고, 상기 락업된 기간 동안 이자를 지급하거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디지털 자산 거래가 요청됨에 따라,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들 사이에서의 트랜잭션(transaction)을 중계하고,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1)로 상품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1)에서 상품 목록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선택되면,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에서 선택된 상품에 대응하는 디지털 자산을 상품 제공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단계 S96에서 상기 시스템(10)은 현금 대출이 요청됨에 따라, 제1 담보 디지털 자산을 일시적 핫 월렛(hot wallet)으로 이동시키고, 이후 현금 대출이 실행됨에 따라 콜드 월렛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임의 처분을 방지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은 가치 변동이 크므로, 금융 서비스가 실행된 이후, 상기 시스템(10)은 담보 디지털 자산에 대한 관리를 실행할 수 있다(S99). 이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10)이 담보 디지털 자산을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상기 시스템(10)은 대출 상환 기간이 도래했는지 판단한다(S101). 만약, 대출 상환 기간이 미도래 상태이면, 상기 시스템(10)은 담보 디지털 자산의 평가액을 갱신한다(S104).
상기 시스템(10)은 현금 대출에 따른 담보 디지털 자산의 담보 비율이 사용자의 융합신용도에 매칭하는 LTV 값보다 제1 임계값 이하로 낮아지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담보비율≤(LTV-제1임계값)), 레버리지 대출에 의한 담보 디지털 자산이 제2 임계값 이하로 낮아지는지 여부(평가액≤제2 임계값)를 판단할 수 있다(S705). 이는 담보 디지털 자산의 가치 하락으로 인한 리스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일 수 있다.
만약, 단계 S105의 조건을 만족하면(즉, 리스크가 발생하면), 상기 시스템(10)은 로스컷을 실행할 수 있다(S107). 이때,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증거 디지털 자산을 보유한 경우(S106-1), 상기 시스템(10)은 증거 디지털 자산을 콜드 월렛으로 이동시켜, 담보 디지털 자산의 양을 변경시킨다(S106-2). 만약, 변경된 담보 디지털 자산에 따른 담보 비율도 단계 S105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시스템(10)은 로스컷을 실행할 수 있다(S107).
로스컷이 실행되면, 상기 시스템(10)은 기 설정된 담보 설정 계약 또는 약관 등에 따라, 콜드 월렛에 저장된 담보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상기 시스템(10)의 사업자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현금 대출 서비스인 경우, 상기 시스템(10)은 상환 기간의 도래 여부와 관계없이 금융기관 서버(12)로 제3자 변제를 진행할 수 있다.
만약, 단계 S101 에서 상환 기간이 도래한 경우, 상기 시스템(10)은 사용자의 대출 상환 여부를 확인한다(S102). 대출 상환이 완료되면, 상기 시스템(10)은 담보 디지털 자산을 사용자에게 반환할 수 있다(S103). 그러나, 대출 상환이 완료되지 않으면, 상기 시스템(10)은 담보 디지털 자산에 대한 로스컷을 실행할 수 있다(S107).
한편, 도 10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신용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융합신용도를 모니터링하고, 융합신용도의 하락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 로스컷을 실행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설명에서 각 단계들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소프트웨어로 생성되어 다양한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로 보안키를 배포하고, 상기 보안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을 생성하는 기능,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금융 신용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의 사용 이력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융합신용도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에 저장된 디지털 자산에 대한 평가액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평가액 및 상기 융합신용도를 기초로 현금 대출 한도 및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 한도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기능,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금융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현금 대출 한도를 기초로 결정된 제1 담보 디지털 자산에 기반하여 상기 금융기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의 현금 대출을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 한도를 기초로 결정된 제2 담보 디지털 자산에 기반하여 레버리지 대출을 실행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medium)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컴퓨터나 이와 동등한 수준의 디지털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혹은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
11: 사용자 단말
12: 금융기관 서버
100: 디지털 자산 관리 서버
110: 회원 관리부 120: 보안키 생성부
130: 디지털 자산 관리부
200: 신용도 관리 서버
210: 기준신용도 산출부 220: 융합신용도 산출부
300: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
310: 평가액 산출부 320: 대출한도 산출부
330: 레버리지한도 산출부 340: 예금이자 산출부
400: 금융서비스 제공 서버
410: 서비스 확인부 420: 현금 대출부
430: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부 440: 담보 관리부
450: 디지털 자산 예금부 460: 디지털 자산 거래부
470: 상품교환부
500: 데이터베이스
510: 회원 DB 520: 디지털 자산 DB
530: 거래내역 DB

Claims (10)

  1. 사용자 단말로 보안키를 배포하고, 상기 보안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을 생성하는 디지털 자산 관리 서버;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금융 신용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 이력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융합신용도를 산출하는 신용도 관리 서버;
    상기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에 저장된 디지털 자산에 대한 평가액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평가액 및 상기 융합신용도를 기초로 현금 대출 한도 및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 한도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금융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현금 대출 한도를 기초로 결정된 제1 담보 디지털 자산에 기반하여 상기 금융기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의 현금 대출을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 한도를 기초로 결정된 제2 담보 디지털 자산에 기반하여 레버리지 대출을 실행하는 금융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담보 디지털 자산은 상기 사용자의 현금 대출 요청이 수신되면 일시적 핫 월렛(hot wallet) - 상기 일시적 핫 월렛은 상기 사용자의 계정이 아닌 가상의 계정과 연계되어 생성된 것인 - 으로 이동되고, 상기 현금 대출이 완료되면 콜드 월렛(cold wallet) - 상기 콜드 월렛은 상기 사용자의 계정과 연계되어 생성된 것인 - 으로 이동되는,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도 관리 서버는,
    상기 금융 신용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LTV(loan to value ratio), 대출 한도 금액 및 최대 금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기초로 기준신용도를 결정하는 기준신용도 산출부; 및
    회원 추천 이력, 디지털 자산 예금 이력, 디지털 자산 저장 기간, 디지털 자산 저장량, 대출 상환 이력, 로스컷(loss-cut) 이력 및 서비스 무응답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 이력에 따라 상기 기준신용도를 상승 또는 하락시켜 융합신용도를 산출하는 융합신용도 산출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는
    실물화폐 금액 및 기준 암호화폐 수량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에 저장된 디지털 자산에 대한 평가액을 산출하는 평가액 산출부;
    실물화폐 금액으로 산출된 상기 평가액에 상기 융합신용도에 매칭되는 LTV 값을 적용하여 현금 대출 한도를 산출하는 대출한도 산출부; 및
    기준 암호화폐 수량으로 산출된 상기 평가액에 상기 융합신용도에 매칭되는 레버리지율을 적용하여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 한도를 산출하는 레버리지 산출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는
    실물화폐 금액 또는 기준 암호화폐 수량으로 산출된 상기 평가액에 상기 융합신용도에 매칭되는 금리를 적용하여 기 결정된 기간 동안 예금되는 디지털 자산에 대한 이자를 산출하는 예금이자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희망 대출 금액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현금 대출 한도 및 상기 제1 담보 디지털 자산을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제1 담보 디지털 자산에 기반하여 현금 대출을 실행하는 대출 서비스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희망 레버리지 수량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 한도 및 상기 제2 담보 디지털 자산을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제2 담보 디지털 자산에 기반하여 디지털 자산 대출을 실행하는 레버리지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현금 대출 또는 상기 레버리지 대출이 실행된 후, 상기 디지털 자산 평가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담보 디지털 자산의 갱신된 평가액을 제공받고, 상기 제1 담보 디지털 자산의 갱신된 평가액에 따른 담보 비율이 상기 사용자의 융합신용도에 매칭되는 LTV 값보다 제1 임계값 이하로 낮아지면 로스컷(loss-cut)을 실행하고, 상기 제2 담보 디지털 자산의 갱신된 평가액이 제2 임계값 이하로 낮아지면 로스컷을 실행하는 담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 관리부는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에 증거 디지털 자산이 존재하면, 상기 증거 디지털 자산을 상기 콜드 월렛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로스컷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콜드 월렛에 저장된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상기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의 사업자로 이전시키는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디지털 자산 예금이 요청됨에 따라, 예금 요청된 디지털 자산을 락업(lock-up)하고, 상기 락업된 기간 동안 이자를 지급하는 디지털 자산 예금부;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들 사이에서의 트랜잭션(transaction)을 중계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검증하는 디지털 자산 거래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품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상품 목록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에서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응하는 디지털 자산을 상품 제공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으로 이동시키는 상품교환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
  8. 디지털 자산 금융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 보안키를 배포하고, 상기 보안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을 생성하는 단계;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금융 신용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 이력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융합신용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에 저장된 디지털 자산에 대한 평가액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평가액 및 상기 융합신용도를 기초로 현금 대출 한도 및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 한도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금융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현금 대출 한도를 기초로 결정된 제1 담보 디지털 자산에 기반하여 상기 금융기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로의 현금 대출을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 한도를 기초로 결정된 제2 담보 디지털 자산에 기반하여 레버리지 대출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담보 디지털 자산은 상기 사용자의 현금 대출 요청이 수신되면 일시적 핫 월렛(hot wallet) - 상기 일시적 핫 월렛은 상기 사용자의 계정이 아닌 가상의 계정과 연계되어 생성된 것임 - 으로 이동되고, 상기 현금 대출이 완료되면 콜드 월렛(cold wallet) - 상기 콜드 월렛은 상기 사용자의 계정과 연계되어 생성된 것임 - 으로 이동되는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신용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금융 신용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LTV(loan to value ratio), 대출 한도 금액 및 최대 금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기초로 기준신용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회원 추천 이력, 디지털 자산 예금 이력, 디지털 자산 저장 기간, 디지털 자산 저장량, 대출 상환 이력, 로스컷(loss-cut) 이력 및 서비스 무응답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 이력에 따라 상기 기준신용도를 상승 또는 하락시켜 상기 융합신용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현금 대출 및 상기 디지털 자산 레버리지가 실행된 후, 상기 제1 및 제2 담보 디지털 자산의 평가액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담보 디지털 자산의 갱신된 평가액에 따른 담보 비율이 상기 사용자의 융합신용도에 매칭되는 LTV 값보다 제1 임계값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제2 담보 디지털 자산의 갱신된 평가액이 제2 임계값 이하로 낮아지면, 면 로스컷(loss-cut)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디지털 자산 예금 서비스가 요청됨에 따라, 예금 요청된 디지털 자산을 락업(lock-up)하고, 상기 락업된 기간 동안 이자를 지급하거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디지털 자산 거래가 요청됨에 따라, 상기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들 사이에서의 트랜잭션(transaction)을 중계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검증하거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품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상품 목록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에서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응하는 디지털 자산을 상품 제공자의 디지털 자산 관리 월렛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KR1020200098501A 2020-08-06 2020-08-06 디지털 자산 기반의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240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501A KR102240202B1 (ko) 2020-08-06 2020-08-06 디지털 자산 기반의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501A KR102240202B1 (ko) 2020-08-06 2020-08-06 디지털 자산 기반의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202B1 true KR102240202B1 (ko) 2021-04-15

Family

ID=75440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501A KR102240202B1 (ko) 2020-08-06 2020-08-06 디지털 자산 기반의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2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673A (ko) * 2021-08-09 2023-02-16 (주)비티비엘 핫월렛 또는 콜드월렛의 조정이 가능한 하이브리드월렛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2639198B1 (ko) * 2023-09-04 2024-02-21 해피블록 주식회사 가상 자산 거래 및 투자 전략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6666A (ko) * 2008-06-05 2009-12-09 주진호 사이버활동 기반의 신용제공방법
KR101222937B1 (ko) * 2011-09-26 2013-01-17 주식회사 씽크풀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70951A (ko) * 2018-12-10 2020-06-18 천해(주) 암호화폐를 이용한 담보 대출방법
KR20200081156A (ko) * 2018-12-27 2020-07-07 황주원 암호화폐 사용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방법
KR20200081895A (ko) *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투디지트 암호화폐 거래시 에스크로 서비스 방법 및 에스크로 시스템
KR20200091882A (ko) * 2017-11-22 2020-07-31 솔트 블락체인 인코포레이티드 증분적으로 완성되는 디지털 자산 담보 지갑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6666A (ko) * 2008-06-05 2009-12-09 주진호 사이버활동 기반의 신용제공방법
KR101222937B1 (ko) * 2011-09-26 2013-01-17 주식회사 씽크풀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91882A (ko) * 2017-11-22 2020-07-31 솔트 블락체인 인코포레이티드 증분적으로 완성되는 디지털 자산 담보 지갑
KR20200070951A (ko) * 2018-12-10 2020-06-18 천해(주) 암호화폐를 이용한 담보 대출방법
KR20200081156A (ko) * 2018-12-27 2020-07-07 황주원 암호화폐 사용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방법
KR20200081895A (ko) *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투디지트 암호화폐 거래시 에스크로 서비스 방법 및 에스크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673A (ko) * 2021-08-09 2023-02-16 (주)비티비엘 핫월렛 또는 콜드월렛의 조정이 가능한 하이브리드월렛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2508555B1 (ko) * 2021-08-09 2023-03-09 (주)비티비엘 핫월렛 또는 콜드월렛의 조정이 가능한 하이브리드월렛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2639198B1 (ko) * 2023-09-04 2024-02-21 해피블록 주식회사 가상 자산 거래 및 투자 전략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2728B2 (en) Dynamic exchange item information for valid exchange item requests
JP6254204B2 (ja) モバイルデバイスによる支払い選択および承認
KR102111368B1 (ko)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US11282137B2 (en) Secure element method for distributed electronic ledger
US20180293553A1 (en) Account platform for a distributed network of nodes
US20190114706A1 (en) Blockchain oracle for managing loans collateralized by digital assets
JP2002123779A (ja) 決済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US20220174066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Operator Console Management System for Distributed Terminal Network
KR102240202B1 (ko) 디지털 자산 기반의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US20210288951A1 (en) Distributed Terminals Network Management, Systems, Interfaces and Workflows
CN106663272A (zh) 一种电子交易凭证管理系统
US20210173674A1 (en) Distributed Terminals Network Management, Systems, Interfaces and Workflows
US20220309511A1 (en) Determining a fraud abatement approach for a potentially fraudulent exchange item
EP3973430A1 (en) Method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warehouse receipt and device for it implementation
KR102336881B1 (ko) 지급결제시스템 및 지급결제방법
US11113665B1 (en) Distributed terminals network management, systems, interfaces and workflows
US11200548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operator console management system for distributed terminal network
US20220057918A1 (en) Distributed Terminals Network Management, Systems, Interfaces and Workflows
US20220351192A1 (en) Dynamically generating a security code for utilizing an exchange item
KR102319496B1 (ko) 금융상품의 거래관리컴퓨터, 금융상품 거래 시스템 및 금융상품 거래 방법
KR102252857B1 (ko) 거래내역을 이용한 동일성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JP6853422B1 (ja) オンライン取引情報保護システムおよびオンライン取引情報保護方法
KR102240201B1 (ko) 디지털 자산 기반의 대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109961A (ko) 전자상거래를 이용한 p2p 금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4536A (ko) 암호화폐간 p2p 거래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