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846B1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846B1
KR101222846B1 KR1020110060015A KR20110060015A KR101222846B1 KR 101222846 B1 KR101222846 B1 KR 101222846B1 KR 1020110060015 A KR1020110060015 A KR 1020110060015A KR 20110060015 A KR20110060015 A KR 20110060015A KR 101222846 B1 KR101222846 B1 KR 101222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tact
support member
horizontal direction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439A (ko
Inventor
다카히로 야마지
아키라 기무라
가즈시 가마타
슈이치 이시다
도모미 사카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2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05Intermediate parts for distributing signal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 조립체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커넥터는 접속대상물에 탑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커넥터는 제1콘택트와 제1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1콘택트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2커넥터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와 하측방향을 따라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커넥터는 제2콘택트와 제2지지부재와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2콘택트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제2콘택트는,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하고 있는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콘택트와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측방향을 따라 힘이 상기 조작부에 가하여졌을 때에도 상기 상방과 직교하는 제1수평방향 또는 상기 제1수평방향의 역방향인 제2수평방향을 따라 힘이 상기 조작부에 가하여졌을 때에도 상기 조작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와의 위치적 관계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2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 대하여 상기 상측방향을 따라 힘을 가하였을 경우이더라도 상기 제1수평방향 또는 상기 제2수평방향을 따라 힘을 가하였을 경우이더라도 상기 제1커넥터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커넥터(connector)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0-215951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공보의 내용을 일부 참조한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0-215951호의 커넥터는 제1부재(第一部材)와 제2부재(第二部材)를 구비하고 있다. 제1부재는 기판(基板)에 탑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부재는 상대측 커넥터와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부재는,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와 결합할 때에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contact)와 접촉하는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가 여러 번 삽입·제거되면, 제2커넥터 부재의 콘택트가 마모될 가능성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0-215951호의 커넥터에 대해서는, 제2부재의 콘택트가 마모되었을 때에 제2부재만을 신품(新品)으로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부재의 콘택트에 대한 마모의 수리는 용이하다.
커넥터 상호간이 빈번하게 결합·제거된다는 조건하에 있어서는, 수리의 용이성에 추가하여 커넥터 조립체의 커넥터 상호간이 용이하게 결합·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0-215951호
그래서 본 발명은 보다 용이하게 접속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2개의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커넥터는 우수한 조작성으로 결합·제거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一側面)은,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를 제공한다. 상기 제1커넥터는 접속대상물에 탑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커넥터는 제1콘택트(first contact)와 제1지지부재(第一支持部材)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1콘택트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2커넥터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와 하측방향을 따라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커넥터는 제2콘택트와 제2지지부재와 조작부(操作部)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2콘택트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제2콘택트는,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하고 있는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콘택트와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측방향을 따라 힘이 상기 조작부에 가하여졌을 때에도 상기 상측방향과 직교하는 제1수평방향 또는 상기 제1수평방향의 역방향(逆方向)인 제2수평방향을 따라 힘이 상기 조작부에 가하여졌을 때에도 상기 조작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와의 위치적 관계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2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 대하여 상기 상측방향을 따라 힘을 가하였을 경우이더라도 상기 제1수평방향 또는 상기 제2수평방향을 따라 힘을 가하였을 경우이더라도 상기 제1커넥터로부터 제거 가능하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선의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정확하게 이해되고 또 그 구성에 대하여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커넥터는, 커넥터 상호간이 빈번하게 결합·제거된다는 조건하에 있어서는, 수리의 용이성에 추가하여 커넥터 조립체의 커넥터 상호간이 용이하게 결합·제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커넥터는 우수한 조작성으로 결합·제거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커넥터 조립체의 제1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커넥터 조립체의 제3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도2의 제1커넥터를 Ⅳ-Ⅳ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도3의 제3커넥터를 V-V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도2의 제1커넥터와 도3의 제3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커넥터 및 제3커넥터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
도7은, 도1의 커넥터 조립체의 제2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은, 도7의 제2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9는, 도7의 제2커넥터와 도3의 제3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3커넥터는 제2커넥터 상에 재치되어 있다.
도10은, 도1의 제2커넥터의 지지부재 결합부 및 뚜껑 결합부 부근을 X-X선을 따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11은, 도1의 커넥터 조립체를 XⅠ-XⅠ선을 따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는 아직 결합되어 있지 않다.
도12는, 도1의 커넥터 조립체를 XⅠ-XⅠ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는 결합상태에 있다.
도13은, 도1의 커넥터 조립체를 XⅢ-XⅢ선을 따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14는, 도1의 커넥터 조립체의 한 변형예에 있어서의 록부재 및 제1셀을 나타내는 부분사시 단면도이다.
도15는, 도1의 커넥터 조립체의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록부재 및 제1셀을 나타내는 부분사시 단면도이다.
도16은, 도1의 커넥터 조립체의 또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록부재 및 제1셀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할 수 있지만, 그 일례로서,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특정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는, 제1커넥터(first connector)(100)와, 제2커넥터(second connector)(200)와, 제3커넥터(third connector)(300)로 구성되어 있다. 제1커넥터(100) 및 제3커넥터(300)는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6 참조). 제1커넥터(100) 및 제3커넥터(300)의 각각은 콘택트(contact)를 구비하고 있다. 제1커넥터(100)의 콘택트 및 제3커넥터(300)의 콘택트는, 제1커넥터(100) 및 제3커넥터(300)가 서로 결합될 때에 서로 접촉된다. 제1커넥터(100)는 접속대상물(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탑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접속대상물은 예를 들면 기판(基板)이다. 제1커넥터(100)가 탑재된 기판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의 확인을 포함한 제품검사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다.
기판에 고정된 제1커넥터(100)의 제품검사에 있어서는, 제1커넥터(100)를 제3커넥터(300)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기존의 제품검사에 있어서는, 제1커넥터(100)와 마찬가지로 제품으로서 제조된 제3커넥터(300)가 결합작업에 의하여 제1커넥터(100)와 결합되고 있었고, 제거작업에 의하여 제1커넥터(100)로부터 제거되고 있었다. 또한 복수의 제품검사에 있어서 동일한 제3커넥터(300)가 사용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제3커넥터(300)의 콘택트는 결합작업·제거작업을 할 때마다 마모되므로, 일정 회수의 제품검사마다 제3커넥터(300)를 교환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검사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될 우려가 있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2커넥터(200)를 경유하여 제1커넥터(100)를 제3커넥터(300)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커넥터(100)의 각각을, 공통의 제3커넥터(300)와 계속 결합되어 있는 공통의 제2커넥터(200)와 결합시킴으로써 복수의 제품검사를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3커넥터(300)의 콘택트가 아니라 제2커넥터(200)의 콘택트가 마모된다. 제2커넥터(200)가 제3커넥터(300)보다 저렴한 경우에 제품검사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2커넥터(200)와 제1커넥터(100)의 접속신뢰성을 유지하면서 결합작업 및 제거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도2 및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0)는, 제1콘택트(110)와, 제1지지부재(第一支持部材)(120)와, 제1셀(first shell)(130)을 구비하고 있다.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콘택트(110)는, SMT 단자(112)와, U자부(114)와, 접속부(接續部)(116)를 구비하고 있다. U자부(114)는 절곡(折曲)되어 U자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접속부(116)는 SMT 단자(112) 및 U자부(114)를 서로 접속시키고 있다. U자부(114)에는 제1접촉부(第一接觸部)(118)가 형성되어 있다. 제1접촉부(118)는 U자부(114)의 만곡(彎曲)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1콘택트(110)는 인서트 성형(insert 成形)되어 제1지지부재(120)에 조립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120)는, 주부(主部)(122)와, 2개의 측부(側部)(124)를 구비하고 있다. 주부(122)는 X방향(제3수평방향)에 있어서 양단부(兩端部)를 구비하고 있다. 측부(124)는, 주부(122)에 있어서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Y방향(제1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지지부재(120)는 전체로서 각괄호 형상(square bracket-like shape)을 구비하고 있다. 제1지지부재(120)의 주부(122)는 제1콘택트(110)를 지지하고 있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셀(130)은, 주부(132)와, 2개의 측부(140)를 구비하고 있다. 주부(132)는 X방향에 있어서 양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측부(140)는, 주부(132)에 있어서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Y방향(제2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셀(130)은 전체로서 각괄호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제1셀(130)은 제1지지부재(120)에 부착되어 있다. 측부(140)는, 제1지지부재(120)의 측부(124)와 Z방향에 있어서 각각 겹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한편 주부(132)는 제1지지부재(120)와 Z방향에 있어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셀(130)에 있어서의 측부(140)의 각각은, 고정부(固定部)(142)와, 측면(側面)(144)과, 상면(上面)(146)과, 측면(148)과, 되돌림부(150)와, 고정부(152)와, 접속부(160)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142)는 기판(基板)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측면(144)은 고정부(14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면(146)은 측면(144)으로부터 Y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측면(148)은 상면(146)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되돌림부(150)는 측면(154)을 구비하고 있다. 측면(154)은 Z방향에 있어서 하단(下端)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152)는 측면(154)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되돌림부(150)는, Y방향에 있어서 측면(154)의 하단과는 반대측의 다른 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접속부(160)는 되돌림부(150)의 반대측의 하단과 측면(148)을 접속시키고 있다.
도3 및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커넥터(300)는, 제3콘택트(310)와, 제3지지부재(320)와, 제3셀(330)을 구비하고 있다. 제3커넥터(300)는 제1커넥터(100)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3커넥터(300)는 케이블(cable)(340)이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케이블(340)은 신호선(信號線)(342)을 구비하고 있다.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콘택트(310)는 훅(hook)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3콘택트(310)는 절곡되어 있는 부분과 직선 모양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제3콘택트(310)가 절곡되어 있는 부분에는, 2개의 제2커넥터 접속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제2커넥터 접속부(312)는, Z방향에 있어서 서로 마주 향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3콘택트(310)의 직선 모양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그 단부에 형성된 케이블 접속부(314)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블 접속부(314)는 케이블(340)의 신호선(342)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커넥터 접속부(312)는, 제3커넥터(300)와 제1커넥터(100)가 서로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 제1콘택트(110)의 U자부(114)를 Z방향에 있어서 삽입하고, 이에 따라 제3커넥터(300)와 제1커넥터(10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4 내지 도6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0)와 제3커넥터(300)는, 이하에 기재하는 방법으로 결합된다. 우선 제3커넥터(300)를 Z방향을 따라 이동시켜서 제1커넥터(100)에 올려놓는다. 다음에 제3커넥터(300)를 -Y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콘택트(110)와 제3콘택트(310)를 서로 접촉시킨다.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커넥터(200)는, 복수의 제2콘택트(210)와, 제2지지부재(220)와, 뚜껑부(240)와, 조작부(操作部)(250)와, 록부재(lock部材)(26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2커넥터(200)는, 제1커넥터(100) 및 제3커넥터(300)의 쌍방에 대하여 결합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제1커넥터(100)도 제3커넥터(300)도, 제2커넥터(200)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커넥터(200)는 제1커넥터(100)와 제3커넥터(30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8 및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콘택트(210)는, 주부(211)와, 제3커넥터 접속부(212)와, 압입부(壓入部)(213)와, 제1커넥터 접속부(214)와, 지지스프링부(216)를 구비하고 있다. 주부(211)는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커넥터 접속부(212)는 L자 형상을 구비하도록 하여 주부(21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압입부(213)는 주부(211)의 -Y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스프링부(216)는 S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스프링부(216)는 제1커넥터 접속부(214)와 주부(211)를 서로 접속시키고 있다. 제2지지부재(220)에는 피압입부(被壓入部)(229)가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콘택트(210)는, 압입부(213)를 피압입부(229)에 압입함으로써 제2지지부재(220)에 고정·지지되어 있다.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커넥터 접속부(214)에는, 제2접촉부(218)와, 서마운팅부(surmounting部)(219)가 형성되어 있다. 서마운팅부(219)는 Z방향에 있어서 제2접촉부(218)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서마운팅부(219)는 -Y방향에 있어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서마운팅부(219)의 돌출부는 쐐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커넥터 접속부(214)는 지지스프링부(216)의 앞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스프링부(216)는 제1커넥터 접속부(214)의 제2접촉부(218)와 서마운팅부(219)를 탄성지지(彈性支持)하고 있다. 지지스프링부(216)는 S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긴 스프링 길이와 유연성을 구비하고 있다.
도11 및 도12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커넥터(200)는, 제1커넥터(100)가 제2커넥터(200)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1커넥터(100)와 -Z방향(하측 방향)을 따라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 말하는 바와 같이 제2커넥터(200)는 제1커넥터(100)를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제1커넥터(100)와 결합한다. 우선 제2커넥터(200)는 제1커넥터(100)로부터 분리된 분리상태에 있다. 분리상태에 있는 제2커넥터(200)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접촉부(218)와 제1커넥터(100)의 제1접촉부(118)가 접촉하는 결합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제2커넥터(200)가 결합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제2커넥터(200)는 제1커넥터(100)와 결합하고 있는 결합상태에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콘택트(210)는 결합상태에 있어서 제1콘택트(110)와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커넥터(200)가 분리상태로부터 결합상태로 이동할 때에, 서마운팅부(219)는 -Z방향(하측 방향)에 있어서 제2접촉부(218)의 하방에 위치하여 제1커넥터(100)의 제1접촉부(118)와 접촉한다. 제1접촉부(118)는 서마운팅부(219)를 +Y방향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서마운팅부(219)는 제1접촉부(118)를 타고 넘어간다. 서마운팅부(219)가 제1접촉부(118)를 타고 넘어갔을 때에 제2커넥터(200)는 결합상태에 도달한다. 결합상태에 있어서, 지지스프링부(216)는 제2접촉부(218)를 -Y방향(제1수평방향)을 따라 제1접촉부(118)에 대하여 가압하고 있고, 이에 따라 제2접촉부(218)는 제1접촉부(118)와 접촉하고 있어, 제2커넥터(200)는 제1커넥터(1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서마운팅부(219)는, 결합상태에 있어서 제1접촉부(118)의 비스듬하게 하측(즉 Z방향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하고 있고, 이에 따라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도1, 도4 및 도12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상태에 있어서, 제2지지부재(220)는 -Y방향(제1수평방향) 및 +Y방향(제2수평방향)에 있어서 제1지지부재(120)를 덮고 있다. 도12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상태에 있어서, 제2접촉부(218)는 제1접촉부(118)에 대하여 -Y방향을 따르는 힘을 가하는 한편, 제1접촉부(118)로부터 +Y방향을 따르는 반력(反力)을 받는다. 이 반력이 제2커넥터(200)에 가해지기 때문에, 이에 따라 제2지지부재(220)의 일부는 제1커넥터(100)의 일부인 제1지지부재(120) 또는 제1셀(130)에 대하여 +Y방향(제2수평방향)을 따라 가압된다. 예를 들면 도13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지지부재(220)의 일부는 제1셀(130)의 측면(144)에 가압되고 있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0)는, 제2접촉부(218)로부터의 -Y방향을 따른 힘과, 제2지지부재(220)의 일부로부터의 +Y방향을 따른 힘의 쌍방을 받는다. 바꾸어 말하면 제1커넥터(100)는 서로 마주 보는 힘에 의하여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도7 및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지지부재(220)는, 주부(222)와, 측부(224)와, 접속부(242)를 구비하고 있다. 주부(222)는 X방향에 있어서 양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측부(224)는 주부(222)의 단부에 1개 형성되어 있고, +Z방향을 따라 세워져 있다. 접속부(242)는 주부(222)의 다른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측부(224)와는 X방향에 있어서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주부(222)는, 복수의 제2콘택트 수용부(second contact 收容部)(226)와, 록부재 수용부(lock部材 收容部)(228)와, 피압입부(229)(도11 참조)와, 수용부(收容部)(230)를 구비하고 있다. 제2콘택트 수용부(226)의 각각은 제2콘택트(210)의 각각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록부재 수용부(228)의 각각은 록부재(260)의 각각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압입부(229)의 각각은 제2콘택트(210)의 압입부(213)(도11 참조)의 각각이 압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용부(230)는 제3커넥터(300)가 재치(載置) 및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측부(224)에는, 측부(224)를 X방향에 있어서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은 내측에 형성된 상면을 구비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멍의 상면은 지지부재 결합부(支持部材 結合部)(232)로서 기능을 한다.
뚜껑부(240)는, -Y방향(제1수평방향)과 직교하는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 2개의 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뚜껑부(240)는 제2지지부재(2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접속부(242)와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뚜껑부(240)에 있어서의 단부의 하나는 제2지지부재(220)와 힌지(hinge) 모양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에 따라 뚜껑부(240)는 힌지 모양으로 접속된 부분의 둘레를 회전할 수 있다. 뚜껑부(240)의 다른 단부에는 뚜껑 결합부(244)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 결합부(244)는 돌출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1 및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뚜껑부(240)는 접속부(242)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2지지부재(220)에 대하여 개폐(開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뚜껑부(240)는 제2지지부재(220)로부터 뚜껑부(240)가 일어서 있는 열린 상태와, 뚜껑부(240)가 제2지지부재(220)를 덮고 있는 닫힌 상태의 사이를 이동한다.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뚜껑부(240)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에, 제3커넥터(300)를 수용부(230)에 재치할 수 있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커넥터(300)가 수용부(230)에 재치된 상태에서 뚜껑부(240)를 제3커넥터(300)를 향하여 쓰러뜨리면, 뚜껑부(240)는 닫힌 상태로 천이되어, 뚜껑부(240)는 제3커넥터(300)의 상면을 덮어, 제3커넥터(300)는 수용부(230)에 수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뚜껑부(240)는, 제3커넥터(300)가 수용부(230)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제3커넥터(30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하여 제2지지부재(220)에 고정되어 있다.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닫힌 상태에 있어서, 뚜껑부(240)에 형성된 뚜껑 결합부(244)와, 제2지지부재(220)의 측부(224)의 구멍에 형성된 지지부재 결합부(232)는 서로 결합하기 때문에 뚜껑부(240)는 닫힌 상태로 록(lock) 된다. 도9 및 도11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3커넥터(300)는 수용부(230) 상에 재치되어 제2커넥터(200)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커넥터(300)가 제2커넥터(200)와 결합하고 있을 때에, 제3콘택트(310)는 제2콘택트(210)와 접속되어 있다.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뚜껑부(240)에는 조작부(250)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250)는, +Z방향(상방) 및 -Y방향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의 쌍방으로 연장되는 판자 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뚜껑부(240)는 -Y방향(제1수평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조작부(250)에는 구멍부(252)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252)는 조작부(250)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Y방향(제1수평방향)을 따라 조작부(250)를 관통하고 있다. 닫힌 상태에 있어서는, 뚜껑 결합부(244)가 지지부재 결합부(232)에 결합됨으로써 뚜껑부(240)가 제2지지부재(220)에 고정된다. 따라서 조작부(250)에 대하여 어느 쪽의 방향을 따라 어떤 힘이 가하여지더라도 조작부(250)와 제2지지부재(220)와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는 변동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조작부(250)는, +Z방향(상방)을 따라 힘이 조작부(250)에 가하여졌을 때에도, -Y방향(제1수평방향) 또는 +Y방향(제2수평방향)을 따라 힘이 조작부(250)에 가하여졌을 때에도 조작부(250)와 제2지지부재(220)와의 위치적 관계가 유지되도록 제2지지부재(220)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닫힌 상태에 있어서는, 조작부(250)와 제2지지부재(220)는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조작부(250)를 이동시킴으로써 제2지지부재(220)를 포함하는 제2커넥터(200)의 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작부(250)는 뚜껑부(240)를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로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250)는 제2커넥터(200)를 제1커넥터(100)와 결합, 제거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조작부(250)에는 구멍부(25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멍부(252)를 통과시킨 테이프 등에 의하여 조작부(250)를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뚜껑부(240)는 접속부(242)에 의하여 제2지지부재(220)에 접속되어 있고, 제2지지부재(2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뚜껑부(240)는, 닫힌 상태에 있어서 제2지지부재(220)와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 제2지지부재(220)와는 다른 부재로서 형성하더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구멍부(252)는 조작부(250) 뿐만 아니라 뚜껑부(240)를 관통하고 있다. 구멍부(252)는 뚜껑부(240)를 2개로 나누고 있다. 이 때문에 조작부(250)는 각괄호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뚜껑부(240)는 연속하도록 형성하더라도 좋고, 조작부(250)은 O자 형상을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록부재(260)는, 상부(261)와, 제1훅지지부(first hook 支持部)(262)와, 제2훅지지부(264)와, 고정부(266, 268)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261)는 XY평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제1훅지지부(262)는 상부(261)의 +Y측의 단부로부터 -Z방향(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훅지지부(264)는 -Y측의 단부로부터 -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고정부(266, 268)는 상부(261)의 X방향의 양단부로부터 -Z방향(하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다. 고정부(266, 268)는 제2지지부재(220)에 압입되고, 이에 따라 록부재(260)는 제2커넥터(200)의 제2지지부재(220)에 고정·지지된다. 고정부(266, 268)는 록부재(260)와 제2지지부재(220)와의 위치관계를 규정하고 있다.
제1훅지지부(262)와 제2훅지지부(264)에는, 제1훅부(first hook portion)(272)와 제2훅부(second hook portion)(28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커넥터(200)의 록부재(260)는 훅부를 2개(즉 적어도 1개)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1훅부(272)와 제2훅부(282)는 -Y방향과 +Y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다. 제1훅부(272)와 제2훅부(282)는, 서로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하여 제1훅지지부(262) 및 제2훅지지부(264)에 의하여 각각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훅부(272)는 상부 테두리(274)와 하부 테두리(276)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테두리(274)와 하부 테두리(276)의 각각은, -Z방향(하측 방향)과 사교(斜交)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1훅부(272)는 X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예각 삼각형 모양을 구비하고 있다. 예각 삼각형의 1개의 정점(頂點)은 -Y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부 테두리(274) 및 하부 테두리(276)는 쐐기 모양을 형성하고 또한 90도 미만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훅부(282)는 상부 테두리(284)와 하부 테두리(286)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테두리(284)와 하부 테두리(286)는 -Z방향과 각각 사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2훅부(282)는 X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예각 삼각형 모양을 구비하고 있다. 예각 삼각형의 1개의 정점은 +Y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부 테두리(284) 및 하부 테두리(286)는 쐐기 모양을 형성하고 또한 90도 미만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커넥터(100)의 제1셀(130)에는, 제1결합부(164)와 제2결합부(168)가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커넥터(100)는 결합부를 2개(즉 적어도 1개) 구비하고 있다.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결합상태에 있어서, 제1훅부(272) 및 제2훅부(282)는 제1셀(130)을 삽입하도록 하여 제1셀(130)의 제1결합부(164) 및 제2결합부(168)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결합상태의 유지가 강고하게 된다. 결합상태에 있어서, 제1훅지지부(262) 및 제2훅지지부(264)는 제1훅부(272) 및 제2훅부(282)를 제1결합부(164) 및 제2결합부(168)에 각각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결합상태의 유지가 더 강고하게 된다.
제1훅부(272)의 상부 테두리(274) 및 제2훅부(282)의 상부 테두리(284)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결합상태에 있는 제2커넥터(200)는, 조작부(250)에 대하여 +Z방향을 따르는 힘(도12의 F1)을 가함으로써 제1커넥터(10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결합상태에 있는 제2커넥터(200)는, 조작부(250)에 대하여 +Y방향을 따르는 힘(도12의 F2)을 가함으로써 제1커넥터(100)로부터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250)에 힘(F2)을 가하면, 제2커넥터(200)에 있어서의 제2지지부재(220)의 단부(端部)(291)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제2커넥터(200)가 회전하여, +Y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커넥터(100)로부터 제거된다. 마찬가지로 조작부(250)에 대하여 -Y방향을 따르는 힘(F3)을 가하면, 제2커넥터(200)에 있어서의 제2지지부재(220)의 단부(292)를 지점으로 하여 제2커넥터(200)가 회전하여, -Y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커넥터(100)로부터 제거된다. 이와 같이 제2커넥터(200)는, 결합상태에 있어서 조작부(250)에 대하여 -Z방향(상방)을 따라 힘을 가하였을 경우이더라도, -Y방향(제1수평방향) 또는 +Y방향(제2수평방향)을 따라 힘을 가하였을 경우이더라도 제1커넥터(100)로부터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2커넥터(200)는, Z방향으로만 이동시킴으로써 제1커넥터(100)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커넥터(200)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작부(250)는 제2지지부재(220)에 고정·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2지지부재(2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이렇게 구성된 제2커넥터(200)는, 조작부(250)가 상방으로 당겨졌을 경우뿐만 아니라 조작부(250)가 -Y방향 또는 +Y방향의 힘을 받았을 경우이더라도 제1커넥터(100)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2커넥터(200)는 -Y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또는 +Y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조작부(250)를 넘어뜨림으로써 제1커넥터(100)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제2커넥터(200)는, 조작부(250)를 삽입하고 회전력과는 반대측의 지점의 둘레로 조작부(250)를 회전시킴으로써도 제1커넥터(100)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따라서 제거작업의 효율화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를 사용함으로써 제품검사를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은 제품검사 이외의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2커넥터(200)는 제1커넥터(100)의 제1콘택트(110)와 제3커넥터(300)의 제3콘택트(310)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중계 커넥터(中繼 connector)로서 기능을 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1커넥터(100)는, 제3커넥터(300)보다 저렴한 제2커넥터(200)를 통하여 제3커넥터(300)와 접속되어 있다. 회로기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고정된 제1커넥터(100)의 제품검사에 있어서는, 제3커넥터(300)의 제3콘택트(310)가 아니라 제2커넥터(200)의 제2콘택트(210)가 마모되는 것이 예상된다. 이 경우에 제3커넥터(300)가 아니라 제2커넥터(200)가 교환된다. 즉 검사에 있어서 제3커넥터(300)를 더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검사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록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200)에 대신하여 제1커넥터(100a) 및 제2커넥터(200a)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제1커넥터(100a)는 제1셀(130a)을 구비하고 있다. 제1셀(130a)은 측면(154a)을 구비하는 되돌림부(150a)를 구비하고 있다. 측면(154a)에는 결합부(174a)가 형성되어 있다. 제2커넥터(200a)는 제2지지부재(220a)와 록부재(260a)를 구비하고 있다. 록부재(260a)는 제1훅지지부(262a)와 제1훅부(272a)를 구비하고 있다. 제1훅지지부(262a)는 제2커넥터(200a)의 +Y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훅부(272a)는 제1커넥터(100a)와 제2커넥터(200a)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결합상태에 있어서, 결합부(174a)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4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상태에 있어서, 제1훅부(272a)는 제1셀(130a)에 대하여 -Y방향을 따르는 힘을 가하는 한편, 제1셀(130a)로부터 +Y방향을 따른 반력을 받는다. 제2지지부재(220a)는 이 반력에 의하여 +Y방향을 따라 제1셀(130a)의 측면(144a)에 가압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훅부(272a)로부터의 -Y방향을 따른 힘과, 제2지지부재(220a)로부터의 +Y방향을 따른 힘에 의하여 제2커넥터(200a)와 제1커넥터(100a)의 결합상태가 지지된다. 제1훅부(272a)는 상부 테두리(274a)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상부 테두리(274a)는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2커넥터(200a)의 조작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대하여 +Z방향을 따르는 힘(도14의 F1)을 가하였을 때보다 -Y방향을 따른 힘(도14의 F3)을 가하였을 때가 더 간단하게 제거작업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에 대하여 힘(F1)이 가하여졌을 경우에 제2커넥터(200a)는 제2지지부재(220a)의 -Y측의 하단(290a)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한다. 제2커넥터(200a)는 -Y방향으로 쓰러지면서 제1커넥터(100a)로부터 제거된다. 한편 조작부에 대하여 +Y방향을 따르는 힘을 가하였을 경우에 상부 테두리(274a)와 결합부(174a)의 상면이 결합함으로써 제1커넥터(100a)로부터의 제거가 방지된다.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조립체는, 제1커넥터(100b)와, 제2커넥터(200b)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제1커넥터(100b)는 제1셀(130b)을 구비하고 있다. 제1셀(130b)에는 결합부(174b)가 형성되어 있다. 제2커넥터(200b)는 제2지지부재(220b)와 록부재(260b)를 구비하고 있다. 록부재(260b)는 제1훅부(272b)를 구비하고 있다. 제1훅부(272b)는 제1커넥터(100b)와 제2커넥터(200b)가 서로 결합하고 있는 결합상태에 있어서, 결합부(174b)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훅부(272b)는 상부 테두리(274b)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상부 테두리(274b)는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2커넥터(200b)의 조작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대하여 +Z방향을 따르는 힘(도15의 F1)을 가하였을 때보다 -Y방향을 따른 힘(도15의 F3)을 가하였을 때가 더 간단하게 제거작업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에 대하여 힘(F1)이 가하여졌을 경우에 제2커넥터(200b)는 제2지지부재(220b)의 -Y측의 하단(290b)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한다. 제2커넥터(200b)는 -Y방향으로 쓰러지면서 제1커넥터(100b)로부터 제거된다. 한편 조작부에 대하여 +Y방향을 따르는 힘을 가하였을 경우에, 상부 테두리(274b)와 결합부(174b)의 상면이 결합함으로써 제1커넥터(100b)로부터의 제거가 방지된다. 도15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상태에 있어서, 제1훅부(272b)는 제1셀(130b)에 대하여 -Y방향을 따르는 힘을 가하는 한편, 제1셀(130b)로부터 +Y방향을 따르는 반력을 받는다. 제2지지부재(220b)는 이 반력에 의하여 +Y방향을 따라 제1셀(130b)의 측면(144b)에 가압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훅부(272b)로부터의 -Y방향을 따르는 힘과, 제2지지부재(220b)로부터의 +Y방향을 따르는 힘에 의하여 제2커넥터(200b)와 제1커넥터(100b)의 결합상태가 지지된다.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조립체는, 제1커넥터(100c)와, 제2커넥터(200c)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제1커넥터(100c)는 제1셀(130c)을 구비하고 있다. 제1셀(130c)에는 결합부(174c)가 형성되어 있다. 제2커넥터(200c)는 록부재(260c)를 구비하고 있다. 록부재(260c)는 제1훅부(272c) 및 제2훅부(282c)를 구비하고 있다. 제1훅부(272c) 및 제2훅부(282c)는 모두 +Y방향으로만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훅부(272c)와 제2훅부(282c)는 상부 테두리(274c, 284c)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상부 테두리(274c, 284c)는 모두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2커넥터(200c)의 조작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대하여 +Z방향을 따른 힘(도16의 F1)을 가하였을 때보다 +Y방향을 따른 힘(도16의 F2)을 가하였을 때가 더 간단하게 제거작업을 할 수 있다. 조작부에 대하여 -Y방향을 따른 힘을 가하였을 경우에, 상부 테두리(274c)와 결합부(174c)의 상측면이 결합함으로써 제1커넥터(100c)로부터의 제거가 방지된다.
본 발명은 2010년 06월 30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2010-150448호에 의거하고 있으며, 본 명세서는 그 내용의 일부를 참조하고 있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는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제1커넥터
110 : 제1콘택트
116 : 접속부
118 : 제1접촉부
120 : 제1지지부재
130 : 제1셀
160 : 접속부
164 : 제1결합부
168 : 제2결합부
200 : 제2커넥터
210 : 제2콘택트
212 : 제3커넥터 접속부
213 : 압입부
214 : 제1커넥터 접속부
216 : 지지스프링부
218 : 제2접촉부
219 : 서마운팅부
220 : 제2지지부재
226 : 제2콘택트 수용부
228 : 록부재 수용부
229 : 피압입부
230 : 수용부
232 : 지지부재 결합부
240 : 뚜껑부
244 : 뚜껑 결합부
250 : 조작부
260 : 록부재
262 : 제1훅지지부
264 : 제2훅지지부
272 : 제1훅부
282 : 제2훅부
274 : 상부 테두리
276 : 하부 테두리
300 : 제3커넥터
310 : 제3콘택트
320 : 제3지지부재
330 : 제3셀

Claims (12)

  1.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로서,
    상기 제1커넥터는 접속대상물에 탑재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1콘택트(first contact)와 제1지지부재(第一支持部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1콘택트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2커넥터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와 하측방향을 따라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커넥터는 제2콘택트와 제2지지부재와 조작부(操作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2콘택트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제2콘택트는,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하고 있는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콘택트와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는, 상측방향을 따라 힘이 상기 조작부에 가하여졌을 때에도 상기 상측방향과 직교하는 제1수평방향 또는 상기 제1수평방향의 역방향(逆方向)인 제2수평방향을 따라 힘이 상기 조작부에 가하여졌을 때에도 상기 조작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와의 위치적 관계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2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 대하여 상기 상측방향을 따라 힘을 가하였을 경우이더라도 상기 제1수평방향 또는 상기 제2수평방향을 따라 힘을 가하였을 경우이더라도 상기 제1커넥터로부터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택트는 제1접촉부(第一接觸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콘택트는 지지스프링부와 제2접촉부와 서마운팅부(surmounting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지스프링부는 상기 제2접촉부와 상기 서마운팅부를 탄성지지(彈性支持)하고 있고,
    상기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스프링부는 상기 제2접촉부를 상기 제1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접촉부에 대하여 가압하고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하고 있고,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결합상태로 이동할 때에 상기 서마운팅부는, 상기 하측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부의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접촉부를 타고 넘어가고,
    상기 서마운팅부는, 상기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의 비스듬하게 하측에 위치하고 있고, 이에 따라 상기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록부재(lock部材)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록부재는 상기 제2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훅부(hook部)를 적어도 1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커넥터에는 결합부(結合部)가 적어도 1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훅부가 결합되고, 이에 따라 상기 결합상태의 상기 유지가 강고(强固)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결합부를 2개 구비하고 있고,
    상기 록부재는 2개의 훅지지부(hook支持部)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훅지지부는 상기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록부재는 상기 훅부를 2개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훅부의 각각은 상부 테두리와 하부 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테두리 및 상기 하부 테두리는 상기 하측방향과 사교(斜交)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훅부의 각각은 예각(銳角) 삼각형 모양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훅부는 서로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훅지지부에 각각 지지되어 있고, 상기 훅부의 1개는 상기 제1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훅부의 다른 1개는 상기 제2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훅지지부가 상기 훅부를 상기 결합부에 각각 가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상기 제2수평방향으로만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방향 및 상기 제2수평방향 중 적어도 1개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를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로부터 반력(反力)을 받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수평방향을 따라 가압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3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3커넥터는 제3콘택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3콘택트는, 상기 제3커넥터가 상기 제2커넥터와 결합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2콘택트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제1콘택트와 상기 제3커넥터의 상기 제3콘택트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중계 커넥터(中繼 connector)로서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3커넥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커넥터는 뚜껑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제3커넥터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3커넥터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2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뚜껑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제1수평방향과 직교하는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 2개의 단부(端部)를 구비하고 있고,
    1개의 상기 단부는 상기 제2지지부재와 힌지(hinge) 모양으로 접속되어 있고,
    다른 상기 단부에는 뚜껑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부재에는 지지부재 결합부(支持部材 結合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 결합부가 상기 지지부재 결합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뚜껑부가 상기 제2지지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상측방향과, 상기 제1수평방향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의 쌍방(雙方)에 있어서 연장되는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부는 상기 조작부를 상기 제1수평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10060015A 2010-06-30 2011-06-21 커넥터 조립체 KR101222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50448A JP5090502B2 (ja) 2010-06-30 2010-06-30 コネクタ組立体
JPJP-P-2010-150448 2010-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439A KR20120002439A (ko) 2012-01-05
KR101222846B1 true KR101222846B1 (ko) 2013-01-16

Family

ID=45400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015A KR101222846B1 (ko) 2010-06-30 2011-06-21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23603B2 (ko)
JP (1) JP5090502B2 (ko)
KR (1) KR101222846B1 (ko)
CN (1) CN103066444B (ko)
TW (1) TWI4504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4125B2 (en) * 2012-06-27 2014-07-22 Virtium Technology, Inc. Side retainer assembly for heat sink and memory modules
JP6005575B2 (ja) * 2013-04-11 2016-10-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49676B2 (ja) * 2013-08-21 2017-12-20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電気コネクタ
GB2523344A (en) * 2014-02-20 2015-08-26 Sound Venture Co Ltd A personal listening device
CN110611221B (zh) * 2018-06-14 2021-02-26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锁固结构及采用该锁固结构的线缆接头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132A (ko) * 2002-03-06 2003-09-19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전기 커넥터
KR20070057286A (ko) * 2004-10-18 2007-06-04 암페놀 코포레이션 더블 사이드 마운팅 전기 커넥터
KR20090117469A (ko) * 2008-05-09 2009-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00004553U (ko) * 2008-10-24 2010-05-04 (주)템스 전장배선 분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9896A (en) * 1960-11-04 1964-09-22 Bendix Corp Electrical connector
JPS6380989U (ko) 1986-11-13 1988-05-27
US4859189A (en) * 1987-09-25 1989-08-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ltipurpose socket
JP2976327B2 (ja) * 1995-09-29 1999-11-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243709B2 (ja) * 1996-02-14 2002-01-07 ホシデン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306019B2 (ja) * 1998-08-18 2002-07-2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電気コネクタ
JP2000215951A (ja) * 1999-01-27 2000-08-04 Tyco Electronics Amp Kk 基板実装型コネクタ
JP2000235880A (ja) * 1999-02-15 2000-08-29 Kenwood Corp 脱着コネクタ及び可動パネル装備装置
JP2002324638A (ja) * 2001-04-26 2002-11-08 Jst Mfg Co Ltd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JP2003297482A (ja) * 2002-02-01 2003-10-1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プルタブを用いたロック解除機構及びコネクタ
JP4006408B2 (ja) * 2003-03-25 2007-11-14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用複合コネクタ
JP2005129255A (ja) * 2003-10-21 2005-05-19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4287825B2 (ja) * 2005-01-28 2009-07-0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接続用コネクタ
DE102005013633B4 (de) * 2005-03-24 2012-11-08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tecksystem für elektrische Steckverbinder
JP4889243B2 (ja) * 2005-06-09 2012-03-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装置
WO2008015817A1 (fr) * 2006-07-31 2008-02-07 Mitsumi Electric Co., Ltd. Connecteur pour connecter un composant électronique
TWM372566U (en) * 2009-05-12 2010-01-11 Tyco Electronics Holdings Bermuda No 7 Ltd Electrical connector
JP4792517B2 (ja) * 2009-07-07 2011-10-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4922420B2 (ja) * 2010-02-23 2012-04-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132A (ko) * 2002-03-06 2003-09-19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전기 커넥터
KR20070057286A (ko) * 2004-10-18 2007-06-04 암페놀 코포레이션 더블 사이드 마운팅 전기 커넥터
KR20090117469A (ko) * 2008-05-09 2009-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00004553U (ko) * 2008-10-24 2010-05-04 (주)템스 전장배선 분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66444A (zh) 2013-04-24
US8523603B2 (en) 2013-09-03
TWI450454B (zh) 2014-08-21
JP2012014959A (ja) 2012-01-19
US20120003857A1 (en) 2012-01-05
CN103066444B (zh) 2015-09-16
JP5090502B2 (ja) 2012-12-05
TW201223008A (en) 2012-06-01
KR20120002439A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846B1 (ko) 커넥터 조립체
JP5813349B2 (ja) コネクタ及び接続対象物
JP5383933B2 (ja) 湾曲ロック部材を備えた電気差込コネクタ
CN102683972B (zh) 电连接器
KR100987483B1 (ko)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JP5704319B2 (ja) コネクタ装置
TWI530027B (zh) Slide connector
KR101882622B1 (ko) 전기 커넥터
CA2843282C (en) Locking device for a plug-and-socket connector housing
CN102403622B (zh) 用于保持可连接至具有致动器的连接器的连接物体的保持构件
JP2007103249A (ja) 電気コネクタ
KR20120072385A (ko) 커넥터 및 차량 와이어 하네스 연결 구조물
JP2009205914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108695614A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US8398423B2 (en) Contacting plug as well as contacting plug-in connection
JP2013125668A (ja) 電気コネクタ
JP5772257B2 (ja) 電気コネクタ
CN102570211A (zh) 用于跨装式连接器的安装特征
EP0999613B1 (fr) Prise de connexion sur circuit imprime, comprenant une fiche et une embase
CN106025624A (zh) 移动终端和柔性电路板的连接固定装置
JP5283290B1 (ja) コネクタ
US20070059988A1 (en) Electrical circuit board and a multiconnector
KR101121506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 및 이를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
KR100969115B1 (ko) 커넥터 결합장치
JP2013051132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