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457B1 - 사물함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사물함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457B1
KR101222457B1 KR1020110030781A KR20110030781A KR101222457B1 KR 101222457 B1 KR101222457 B1 KR 101222457B1 KR 1020110030781 A KR1020110030781 A KR 1020110030781A KR 20110030781 A KR20110030781 A KR 20110030781A KR 101222457 B1 KR101222457 B1 KR 101222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plate
knob
cent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3071A (ko
Inventor
곽영준
Original Assignee
곽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영준 filed Critical 곽영준
Priority to KR1020110030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457B1/ko
Publication of KR20120113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16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two or more push or pull knobs, slid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58Leaf springs; Non-wound wire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함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물함(1)의 도어(5)에 장착되어, 노브(20)를 열림위치에서 닫힘 위치로 돌리면, 노브(20)의 회전축에 장착된 래치(30)가 90도 각회전되어, 래치(30)가 사물함(1)의 내측벽에 고정된 캐치부재(40)에 걸려 록킹되고, 노브(20)를 닫힘 위치에서 열림위치로 돌리면, 래치(30)가 반대로 90도 각회전되어 록킹이 해제되는 사물함 잠금장치에 있어서, 프론트 케이스(100)에 장착되는 버튼식 해정수단(200)을 포함하고, 프론트 케이스(100)에 장착되는 노브(20)의 회전축(21)이 버튼식 해정수단(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버튼식 해정수단(200)에 의해 회전축(21)의 작동이 구속되며, 버튼식 해정수단(200)에 장착되는 복원판(150)이 회전축(21)에 장착되는 리턴링(170)에 의해 작동되고, 복원판(150)에 의해 버튼식 해정수단(200)의 구성요소인 다수개의 버튼(210) 중 눌려진 비밀번호버튼(215)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물함 잠금장치{DEVICE FOR LOCKING A LOCKER}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2010-134308호(2010년 12월 24일, 출원)의 "사물함 잠금장치"를 개선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튼식 해정수단에 의해 노브의 회전축의 작동이 구속되며, 버튼식 해정수단에 장착되는 복원판이 회전축에 장착되는 리턴링에 의해 작동되어, 복원판에 의해 눌려진 비밀번호버튼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사물함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2010-134308호(2010년 12월 24일, 출원)의 "사물함 잠금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사물함 잠금장치는 사물함의 도어에 장착되어, 노브를 어느 한 방향으로 90도 돌리면, 래치가 90도 각회전되어 사물함의 내측벽에 고정된 캐치부재에 걸려 록킹되고, 노브를 반대 방향으로 90도 돌리면, 래치가 반대로 90도 회전되어 원위치됨으로써 록킹이 해제되는 사물함 잠금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정면 측부에 장착구멍이 형성되고, 장착구멍에 프론트 케이스의 축하우징이 끼워짐으로써, 프론트 케이스가 도어의 정면에 배치되고, 프론트 케이스의 노브구멍에 축하우징의 선단이 연결되고, 축하우징과 연결된 노브구멍의 둘레면에 절취부가 형성되며, 노브구멍을 통해 축하우징에 끼워지는 노브의 회전축에 록킹와셔가 장착되고, 록킹와셔의 외주면에 키홈이 형성되며,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에 키뭉치가 장착되고, 키뭉치에 장착된 키이(key)가 키뭉치에 장착되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키이가 키뭉치의 반원부위 위로 출몰될 수 있음으로써, 키이의 상단부가 프론트 케이스의 절취부를 통해 록킹와셔의 키홈에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사물함 잠금장치는 키뭉치의 고리부에 거는 자물쇠가 별도로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튼식 해정수단에 의해 노브의 회전축의 작동이 구속되며, 버튼식 해정수단에 장착되는 복원판이 회전축에 장착되는 리턴링에 의해 작동됨으로써, 래치를 캐치부재에 록킹한 후, 별도의 잠금수단이 더 요구되지 않고, 간단하게 노브를 잠금 위치에서 리스타트 위치로 더 돌림으로써, 눌려진 비밀번호버튼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사물함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는 사물함의 도어에 장착되어, 노브를 열림위치에서 닫힘 위치로 돌리면, 노브의 회전축에 장착된 래치가 90도 각회전되어, 래치가 사물함의 내측벽에 고정된 캐치부재에 걸려 록킹되고, 노브를 닫힘 위치에서 열림위치로 돌리면, 래치가 반대로 90도 각회전되어 록킹이 해제되는 사물함 잠금장치에 있어서, 프론트 케이스에 장착되는 버튼식 해정수단을 포함하고, 프론트 케이스에 장착되는 노브의 회전축이 버튼식 해정수단의 하부에 배치되어, 버튼식 해정수단에 의해 회전축의 작동이 구속되며, 버튼식 해정수단에 장착되는 복원판이 회전축에 장착되는 리턴링에 의해 작동되고, 복원판에 의해 버튼식 해정수단의 구성요소인 다수개의 버튼 중 눌려진 비밀번호버튼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상부에 표지판을 넣을 수 있는 표지판 장착부가 배치되고, 표지판 장착부의 하부에 다수개의 버튼 구멍이 형성된 버튼 장착부가 배치되고, 버튼 장착부의 하부에 회전축이 끼워지는 축하우징이 형성되고, 축하우징에 버튼식 해정수단의 구성요소인 해정판의 제 1 로드와 복원판의 제 2 로드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원판은 버튼식 해정수단의 버튼이 끼워지는 공간부가 수직격벽에 의해 다수개로 분할되고, 수직격벽의 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중간 받침부와 경사면이 형성된 하부 받침부가 형성되고, 하부 수평부의 중앙에 제 2 로드가 하부로 길게 연장되고, 상부 수평부의 중앙에 스프링 장착부가 형성되고, 스프링 장착부에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턴링은 사각 구멍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일부 구간에 절취 원호면이 형성되고, 절취 원호면의 끝에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식 해정수단은 버튼이 버튼이 미지정버튼과 비밀번호버튼으로 구분되고, 미지정버튼과 비밀번호버튼의 측면에 체크홈이 각각 형성되어, 비밀번호버튼에 형성된 체크홈의 위치와 미지정버튼에 형성된 체크홈의 위치가 다르게 배치되며, 프론트 케이스의 안쪽면에 배치되는 해정판의 다수개의 버튼구멍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버튼구멍에 버튼이 끼워지고, 버튼구멍의 높이가 버튼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버튼구멍에 끼워진 버튼의 하부에 소정 간격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버튼구멍의 하단 측부에 체크돌기가 형성되어, 체크돌기가 공간부의 일부를 점유하게 됨으로써, 비밀번호버튼은 눌렀을 때 체크홈이 체크돌기와 일치되고, 미지정버튼은 누르지 않았을 때 체크홈이 체크돌기와 일치되며, 해정판의 하단 중앙에 제 1 로드가 하부로 길게 돌출되고, 제 1 로드의 하단이 노브의 회전축에 장착된 작동링의 열림홈과 닫힘홈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정판은 상단 중앙에 스프링 장착부가 형성되고, 스프링 장착부에 스프링이 장착되고, 스프링의 상단이 리어커버판의 스프링 받침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식 해정수단은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커버판 사이에 해정판, 간격유지판 및 복원판이 배치되고, 해정판과 복원판 사이에 간격유지판이 배치되어, 간격유지판에 의해 해정판과 복원판이 똑바로 상하로 이동될 수 있으며, 리어커버판의 안쪽면 중앙에 판스프링이 장착되고, 판스프링에 의해 버튼의 자유로운 이동이 제한되고, 판스프링이 끼워진 리어커버판의 센터 돌기부가 간격유지판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봉의 선단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스프링은 리어커버판에 고정판부가 고정되고, 고정판부에서 다수개의 수직부가 굴절되어 연장되고, 수직부의 상단부에 "〈" 형상의 결합돌기부가 형성되어, 버튼의 측면에 형성된 2개의 노치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커버판은 상단에 스프링 받침판이 형성되고, 4개의 코너에 볼트구멍이 각각 형성되며, 중간에 다수개의 센터 돌기부가 일렬로 형성되어, 센터 돌기부에 판스프링이 끼워진 후, 센터 돌기부가 간격유지판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봉의 선단홈과 결합되고, 센터 돌기부의 상부 및 하부에 근접하게 판스프링 지지부가 형성되고, 판스프링 지지부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개의 가이드봉이 형성되어, 가이드봉이 버튼의 중공홈에 끼워짐으로써, 버튼이 가이드봉을 따라 똑바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는 래치를 캐치부재에 록킹한 후, 별도의 잠금수단이 더 요구되지 않고, 노브를 잠금 위치에서 리스타트 위치로 더 돌림으로써, 눌려진 비밀번호버튼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가 사물함에 장착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를 도시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노브의 회전축에 작동링, 스페이서 및 리턴링이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프론트 케이스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복원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리턴링에 의해 복원판이 작동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6은 복원판의 제 2 로드가 리턴링의 절취 원호면에 배치된 상태이고, 도 7은 복원판의 제 2 로드가 리턴링의 경사부 상단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복원판에 의해 눌려진 비밀번호버튼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버튼식 해정수단의 해정판에 버튼(해정미지정버튼 및 해정미지정버튼)이 끼워지는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버튼식 해정수단의 해정판에 버튼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써, 해정판의 제 1 로드가 작동링의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도 11은 버튼(해정미지정버튼 및 해정미지정버튼)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 6의 B-B선에 다른 단면도
도 12는 버튼식 해정수단의 해정판에 버튼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써, 해정판의 제 1 로드가 작동링의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도 13은 버튼식 해정수단의 구성요소인 해정판, 간격유지판, 복원판 및 리어커버판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판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판스프링과 버튼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리어커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10)는 사물함(1)의 도어(5)에 장착되어, 노브(20)를 열림위치에서 닫힘 위치로 돌리면, 노브(20)의 회전축에 장착된 래치(30)가 90도 각회전되어, 래치(30)가 사물함(1)의 내측벽에 고정된 캐치부재(40)에 걸려 록킹되고, 노브(20)를 닫힘 위치에서 열림위치로 돌리면, 래치(30)가 반대로 90도 각회전되어 록킹이 해제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10)는 프론트 케이스(100)에 장착되는 버튼식 해정수단(200)을 포함하고, 다수개의 버튼(210)이 장착되는 버튼식 해정수단(200)에 올바른 비밀번호버튼이 눌러졌을 때에만 노브(20)의 회전축(21)이 회전되도록 허용하는 해정판(220), 간격유지판(250) 및 눌려진 버튼을 원상태로 돌출시키기 위한 복원판(150)이 장착되고, 프론트 케이스(100)에 장착되는 노브(20)의 회전축(21)이 버튼식 해정수단(2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21)에 작동링(230), 간격유지링(180) 및 복원판(150)을 작동하기 위한 리턴링(170)이 장착되며, 해정판(220)에서 하부로 형성된 제 1 로드(225)의 하단이 작동링(2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열림홈(231 ; 도 10 참조) 또는 닫힘홈(232 ; 도 10 참조)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고, 복원판(150)에서 하부로 형성된 제 2 로드(158)의 하단이 리턴링(170)에 밀착되어, 리턴링(170)에 의해 복원판(150)이 작동된다.
이것에 의해, 버튼식 해정수단(200)의 비밀번호버튼을 누르고, 노브(20)를 열림 위치로 돌리면, 노브(20)의 회전축(21)에 끼워진 작동링(230)이 각회전되면서, 해정판(220)의 제 1 로드(225)가 작동링(230)의 닫힘홈(232)에서 열림홈(231)으로 이동되고, 캐치부재(40)에 걸린 래치(30)가 90도 회전되면서 록킹이 해제된다. 그리고, 노브(20)를 열림 위치로 돌리면, 노브(20)의 회전축에 장착된 래치(30)가 90도 각회전되어, 래치(30)가 사물함(1)의 내측벽에 고정된 캐치부재(40)에 걸려 록킹되고, 해정판(220)의 제 1 로드(225)가 작동링(230)의 열림홈(231)에서 닫힘홈(232)으로 이동된다. 이후, 노브(20)를 닫힘 위치에서 도 7의 리스타트 위치로 더 돌리면, 복원판(150)의 제 2 로드(158)가 리턴링(170)에 밀착되어 있어, 노브(20)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리턴링(170)의해 복원판(150)이 위로 상승되면서 눌려진 비밀번호버튼을 밀어내어, 비밀번호버튼이 원위치로 돌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21)은 노브(20)가 형성된 스커트부(22)에 밀착되게 사각형의 장착부(23)가 형성되어, 장착부(23)에 사각구멍을 갖는 작동링(230), 간격유지링(180) 및 리턴링(170)이 끼워지고, 단부에 래치홈(24)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는 상부에 표지판을 넣을 수 있는 표지판 장착부(110)가 배치되고, 표지판 장착부(110)의 하부에 다수개의 버튼 구멍(121)이 형성된 버튼 장착부(120)가 배치되고, 버튼 장착부(120)의 하부에 회전축(21)이 끼워지는 축하우징(130)이 형성되고, 축하우징(130)에 버튼식 해정수단(200)의 구성요소인 해정판(220 ; 도 2 참조)의 제 1 로드(225)와 복원판(150 ; 도 2 참조)의 제 2 로드(158)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131)이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복원판(150)은 버튼식 해정수단(200)의 버튼(210)이 끼워지는 공간부(151)가 수직격벽(152)에 의해 다수개로 분할되고, 수직격벽(152)의 측면에 경사면(154)이 형성된 중간 받침부(153)와 경사면(156)이 형성된 하부 받침부(155)가 형성되고, 하부 수평부(157)의 중앙에 제 2 로드(158)가 하부로 연장되고, 상부 수평부(159)의 중앙에서 스프링 장착부(160)가 형성되고, 스프링 장착부(160)에 스프링(161 ; 도 2 참조)이 장착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리턴링(170)은 사각 구멍이 형성되고, 소경부(172)와 대경부(174)가 경사부(173)에 의해 구분되고, 소경부(172)가 대경부(174)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심으로부터 작은 반경을 갖는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이것에 의해, 복원판(150)에 형성된 제 2 로드(158)의 하단이 리턴링(170)의 소경부(172)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노브(20)를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로로 돌리거나, 노브(20)를 닫힘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돌릴 때에는 복원판(150)이 움직이지 않으며, 도 6의 닫힘 위치에서 도 7의 리스타트 위치로 노브(20)를 반시계 방향으로 더 돌리면, 제 2 로드(158)의 하단이 리턴링(170)의 경사면(173)을 통해 따라 대경부(174)에 위치됨으로써, 제 2 로드(158)가 화살표(162) 방향과 같이 위로 상승되어, 복원판(150)이 위로 상승되고, 스프링(161)이 압축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복원판(150)의 중간 받침부(153) 및 하부 받침부(155)에 형성된 경사면(154, 156)이 눌려진 비밀번호버튼(215)의 단부를 밀어내, 눌려진 비밀번호버튼(215)이 화살표(159) 방향과 같이 돌출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비밀번호버튼(215)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후, 사용자가 노브(20)를 놓으면, 압축되었던 스프링(161)의 복원력에 의해 복원판(150)이 아래로 하강되어 원위치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버튼식 해정수단(200)은 버튼(210)이 미지정버튼(211)과 비밀번호버튼(215)으로 구분되고, 미지정버튼(211)과 비밀번호버튼(215)의 측면에 체크홈(212, 216)이 각각 형성되어, 비밀번호버튼(215)에 형성된 체크홈(216)의 위치와 미지정버튼(211)에 형성된 체크홈(212)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배치되며, 프론트 케이스(100)의 안쪽면에 배치되는 해정판(220)의 다수개의 버튼구멍(221)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버튼구멍(221)에 버튼(210)이 끼워지고, 버튼구멍(221)의 높이(S1)가 버튼(210)의 두께(S2)보다 크게 형성되어, 버튼구멍(221)에 끼워진 버튼(210)의 하부에 소정 간격(S3)의 공간부(222)가 형성되고, 버튼구멍(221)의 하단 측부에 체크돌기(223)가 형성되어, 체크돌기(223)가 공간부(222)의 일부를 점유하게 됨으로써, 비밀번호버튼(215)은 눌렀을 때 비밀번호버튼(215)의 체크홈(216)이 해정판(220)의 체크돌기(223) 바로 위에 배치되고, 미지정버튼(211)은 누르지 않았을 때 체크홈(212)이 체크돌기(223) 바로 위에 배치되며, 해정판(210)의 하단 중앙에서 제 1 로드(225)가 하부로 연장되고, 제 1 로드(225)의 하단이 노브(20)의 회전축(21)에 장착된 작동링(230)의 열림홈(231)과 닫힘홈(232)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진다.
예를들어,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5번 버튼과 6번 버튼이 미지정버튼(211)이고, 7번 버튼과 8번 버튼이 비밀번호버튼(215)일 경우, 미지정버튼(211)은 누르지 않았을 때 체크홈(212)이 해정판(220)의 체크돌기(223)와 일치되어, 체크돌기(223)가 체크홈(212)에 끼워질 수 있고, 미지정버튼(211)을 눌렀을 경우, 체크홈(212)의 위치가 체크돌기(223)의 위치와 어긋나 체크돌기(223)가 체크홈(212)에 끼워질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비밀번호버튼(215)은 누르지 않았을 때, 도 11의 7번 버튼처럼 체크홈(216)의 위치가 체크돌기(223)의 위치와 어긋나 체크돌기(223)가 체크홈(216)에 끼워질 수 없게 되고, 도 11의 8번 버튼처럼, 눌렀을 때, 체크홈(216)의 위치가 체크돌기(223)의 위치와 일치되어, 체크돌기(223)가 체크홈(216)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비밀번호버튼(215)을 누르면, 미지정버튼(211)의 체크홈(212)와 비밀번호버튼(215)의 체크홈(216) 모두가 해정판(220)의 체크돌기(223)과 일치되어, 노브(20)를 도 10의 닫힘 위치에서 도 12의 열림 위치로 돌리면, 해정판(220)이 화살표(229) 방향으로 상승되면서 해정판(220)의 체크돌기(223)에 끼워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비밀번호버튼(215)을 누른 후, 노브(20)를 닫힘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돌림으로써, 캐치부재(40)에 걸린 래치(30)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해정판(220)은 상단 중앙에 스프링 장착부(226)가 형성되고, 스프링 장착부(226)에 스프링(227)이 장착되고, 스프링(227)의 상단이 프론트 케이스(100)와 결합되는 리어커버판(300)의 스프링 받침대(310)에 밀착된다.
이것에 의해, 노브(20)가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로 각회전되어, 해정판(220)이 화살표(229) 방향으로 상승되면, 스프링(227)이 압축되고, 노브(20)가 닫힘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각회전되면, 스프링(227)의 복원력에 의해 해정판(220)이 원위치로 하강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또한, 상기 버튼식 해정수단(200)은 프론트 케이스(100)와 리어커버판(300) 사이에 해정판(220), 간격유지판(250) 및 복원판(150)이 배치되고, 해정판(220)과 복원판(150) 사이에 간격유지판(250)이 배치되어, 간격유지판(250)에 의해 해정판(220)과 복원판(150)이 똑바로 상하로 이동될 수 있으며, 리어커버판(300)의 안쪽면 중앙에 판스프링(260)이 장착되고, 판스프링(260)에 의해 버튼(210)의 자유로운 이동이 제한되고, 판스프링(260)이 끼워진 리어커버판(300)의 센터 돌기부(320)가 간격유지판(250)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봉(251)의 선단홈에 끼워진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판스프링(260)은 리어커버판(300)에 고정판부(261)가 고정되고, 고정판부(261)에서 다수개의 수직부(262)가 굴절되어 연장되고, 수직부(262)의 상단부에 부등호 형상으로 절곡된 결합돌기부(263)가 형성되어, 버튼(210)의 측면에 형성된 2개의 노치(217, 218)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리어커버판(300)은 상단에 스프링 받침판(310)이 형성되고, 4개의 코너에 볼트구멍(315)이 각각 형성되며, 중간에 다수개의 센터 돌기부(320)가 일렬로 형성되어, 센터 돌기부(320)에 판스프링(260)이 끼워진 후, 센터 돌기부(320)가 간격유지판(250)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봉(251)의 선단홈과 결합되고, 센터 돌기부(320)의 상부 및 하부에 근접하게 판스프링 지지부(330)가 형성되고, 판스프링 지지부(330)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개의 가이드봉(350)이 형성되어, 가이드봉(350)이 버튼(210)의 중공홈(214)에 끼워짐으로써, 버튼(210)이 가이드봉(350)을 따라 똑바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사물함 도어를 열 때, 사용자가 비밀번호버튼(210)을 누른 후, 노브(20)를 잠금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돌리면, 해정판(220)이 상승되면서 회전축(21)의 각회전이 되고, 회전축(21)에 의해 회전축(21)의 단부에 결합된 래치(30)가 90도 각회전되어 록킹이 해제된다.
사물함 도어를 닫을 때, 사용자가 노브(20)를 잠금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돌리면, 스프링(227)에 의해 해정판(220)이 원위치로 하강되고, 회전축(21)이 반대방향으로 90도 각회전되어, 래치(30)가 해치부재(40)에 록킹된다. 이후, 노브(20)를 잠금 위치에서 리스타트 위치로 더 돌리면, 복원판(150)이 리턴링(170)에 의해 위로 상승되면서, 복원판(150)의 중간 받침부(153) 및 하부 받침부(155)에 형성된 경사면(154, 156)이 눌려진 비밀번호버튼(215)의 단부를 밀어내, 눌려진 비밀번호버튼(215)이 원위치로 나오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노브(20)를 놓으면, 압축되었던 스프링(161)의 복원력에 의해 복원판(150)이 아래로 하강되어 원위치된다.
1 : 사물함 5 : 도어
20 : 노브 21 : 회전축
30 : 래치 40 : 캐치부재
100 : 프론트 케이스 150 : 복원판
170 : 리턴링 200 : 버튼식 해정수단

Claims (9)

  1. 사물함(1)의 도어(5)에 장착되어, 노브(20)를 열림위치에서 닫힘 위치로 돌리면, 노브(20)의 회전축에 장착된 래치(30)가 90도 각회전되어, 래치(30)가 사물함(1)의 내측벽에 고정된 캐치부재(40)에 걸려 록킹되고, 노브(20)를 닫힘 위치에서 열림위치로 돌리면, 래치(30)가 반대로 90도 각회전되어 록킹이 해제되는 사물함 잠금장치에 있어서,
    프론트 케이스(100)에 장착되는 버튼식 해정수단(200)을 포함하고, 다수개의 버튼(210)이 장착되는 버튼식 해정수단(200)에 비밀번호버튼이 눌러졌을 때에만 노브(20)의 회전축(21)이 회전되도록 허용하는 해정판(220), 간격유지판(250) 및 눌려진 버튼을 원상태로 돌출시키기 위한 복원판(150)이 장착되고, 프론트 케이스(100)에 장착되는 노브(20)의 회전축(21)이 버튼식 해정수단(2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21)에 작동링(230), 간격유지링(180) 및 복원판(150)을 작동하기 위한 리턴링(170)이 장착되며, 해정판(220)에서 하부로 형성된 제 1 로드(225)의 하단이 작동링(2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열림홈(231) 또는 닫힘홈(232)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고, 복원판(150)에서 하부로 형성된 제 2 로드(158)의 하단이 리턴링(170)에 밀착되어, 리턴링(170)에 의해 복원판(150)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100)는 상부에 표지판을 넣을 수 있는 표지판 장착부(110)가 배치되고, 표지판 장착부(110)의 하부에 다수개의 버튼 구멍(121)이 형성된 버튼 장착부(120)가 배치되고, 버튼 장착부(120)의 하부에 회전축(21)이 끼워지는 축하우징(130)이 형성되고, 축하우징(130)에 버튼식 해정수단(200)의 구성요소인 해정판(220)의 제 1 로드(225)와 복원판(150)의 제 2 로드(158)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1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판(150)은 버튼식 해정수단(200)의 버튼(210)이 끼워지는 공간부(151)가 수직격벽(152)에 의해 다수개로 분할되고, 수직격벽(152)의 측면에 경사면(154)이 형성된 중간 받침부(153)와 경사면(156)이 형성된 하부 받침부(155)가 형성되고, 하부 수평부(157)의 중앙에서 제 2 로드(158)가 하부로 연장되고, 상부 수평부(159)의 중앙에 스프링 장착부(160)가 형성되고, 스프링 장착부(160)에 스프링(161)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잠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링(170)은 사각 구멍이 형성되고, 소경부(172)와 대경부(174)가 경사부(173)에 의해 구분되고, 소경부(172)가 대경부(174)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심으로부터 작은 반경을 갖는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잠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식 해정수단(200)은 버튼(210)이 미지정버튼(211)과 비밀번호버튼(215)으로 구분되고, 미지정버튼(211)과 비밀번호버튼(215)의 측면에 체크홈(212, 216)이 각각 형성되어, 비밀번호버튼(215)에 형성된 체크홈(216)의 위치와 미지정버튼(211)에 형성된 체크홈(212)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배치되며, 프론트 케이스(100)의 안쪽면에 배치되는 해정판(220)의 다수개의 버튼구멍(221)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버튼구멍(221)에 버튼(210)이 끼워지고, 버튼구멍(221)의 높이(S1)가 버튼(210)의 두께(S2)보다 크게 형성되어, 버튼구멍(221)에 끼워진 버튼(210)의 하부에 소정 간격(S3)의 공간부(222)가 형성되고, 버튼구멍(221)의 하단 측부에 체크돌기(223)가 형성되어, 체크돌기(223)가 공간부(222)의 일부를 점유하게 됨으로써, 비밀번호버튼(215)은 눌렀을 때 비밀번호버튼(215)의 체크홈(216)이 해정판(220)의 체크돌기(223) 바로 위에 배치되고, 미지정버튼(211)은 누르지 않았을 때 체크홈(212)이 체크돌기(223) 바로 위에 배치되며, 해정판(210)의 하단 중앙에서 제 1 로드(225)가 하부로 연장되고, 제 1 로드(225)의 하단이 노브(20)의 회전축(21)에 장착된 작동링(230)의 열림홈(231)과 닫힘홈(232)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잠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정판(220)은 상단 중앙에 스프링 장착부(226)가 형성되고, 스프링 장착부(226)에 스프링(227)이 장착되고, 스프링(227)의 상단이 프론트 케이스(100)와 결합되는 리어커버판(300)의 스프링 받침대(310)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잠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식 해정수단(200)은 프론트 케이스(100)와 리어커버판(300) 사이에 해정판(220), 간격유지판(250) 및 복원판(150)이 배치되고, 해정판(220)과 복원판(150) 사이에 간격유지판(250)이 배치되어, 간격유지판(250)에 의해 해정판(220)과 복원판(150)이 똑바로 상하로 이동될 수 있으며, 리어커버판(300)의 안쪽면 중앙에 판스프링(260)이 장착되고, 판스프링(260)이 끼워진 리어커버판(300)의 센터 돌기부(320)가 간격유지판(250)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봉(251)의 선단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잠금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260)은 리어커버판(300)에 고정판부(261)가 고정되고, 고정판부(261)에서 다수개의 수직부(262)가 굴절되어 연장되고, 수직부(262)의 상단부에부등호 형상으로 절곡된 결합돌기부(263)가 형성되어, 버튼(210)의 측면에 형성된 2개의 노치(217, 218)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잠금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커버판(300)은 상단에 스프링 받침판(310)이 형성되고, 4개의 코너에 볼트구멍(315)이 각각 형성되며, 중간에 다수개의 센터 돌기부(320)가 일렬로 형성되어, 센터 돌기부(320)에 판스프링(260)이 끼워진 후, 센터 돌기부(320)가 간격유지판(250)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봉(251)의 선단홈과 결합되고, 센터 돌기부(320)의 상부 및 하부에 근접하게 판스프링 지지부(330)가 형성되고, 판스프링 지지부(330)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개의 가이드봉(350)이 형성되어, 가이드봉(350)이 버튼(210)의 중공홈(214)에 끼워짐으로써, 버튼(210)이 가이드봉(350)을 따라 똑바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잠금장치.
KR1020110030781A 2011-04-04 2011-04-04 사물함 잠금장치 KR101222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781A KR101222457B1 (ko) 2011-04-04 2011-04-04 사물함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781A KR101222457B1 (ko) 2011-04-04 2011-04-04 사물함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071A KR20120113071A (ko) 2012-10-12
KR101222457B1 true KR101222457B1 (ko) 2013-01-16

Family

ID=4728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781A KR101222457B1 (ko) 2011-04-04 2011-04-04 사물함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4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852B1 (ko) * 1997-12-29 2007-07-12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2륜차량용고횡곡률타이어
KR101366652B1 (ko) * 2013-12-30 2014-02-27 이정훈 번호 노출 방지용 가림판을 갖는 이너 락
KR20210029374A (ko) * 2019-09-06 2021-03-16 황상식 원타임 타입 및 레귤러 타입 선택형 도어 잠금장치
KR102547566B1 (ko) 2022-10-20 2023-06-23 황상식 기계식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441B1 (ko) * 2013-04-04 2013-11-15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502823B1 (ko) * 2013-10-31 2015-03-18 곽영준 사물함 잠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136Y1 (ko) * 2001-07-10 2001-11-17 이강쇠 버튼식 도어 잠금장치
JP2003027787A (ja) 2001-07-19 2003-01-29 Yoshimiya:Kk 電子式ロッカー
KR200372102Y1 (ko) 2004-01-09 2005-01-15 박재수 디지털 도어락이 부착된 사물함
KR20100134308A (ko) * 2009-06-15 2010-12-23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용 배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136Y1 (ko) * 2001-07-10 2001-11-17 이강쇠 버튼식 도어 잠금장치
JP2003027787A (ja) 2001-07-19 2003-01-29 Yoshimiya:Kk 電子式ロッカー
KR200372102Y1 (ko) 2004-01-09 2005-01-15 박재수 디지털 도어락이 부착된 사물함
KR20100134308A (ko) * 2009-06-15 2010-12-23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용 배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852B1 (ko) * 1997-12-29 2007-07-12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2륜차량용고횡곡률타이어
KR101366652B1 (ko) * 2013-12-30 2014-02-27 이정훈 번호 노출 방지용 가림판을 갖는 이너 락
KR20210029374A (ko) * 2019-09-06 2021-03-16 황상식 원타임 타입 및 레귤러 타입 선택형 도어 잠금장치
KR102239884B1 (ko) 2019-09-06 2021-04-12 황상식 원타임 타입 및 레귤러 타입 선택형 도어 잠금장치
KR102547566B1 (ko) 2022-10-20 2023-06-23 황상식 기계식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071A (ko) 201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457B1 (ko) 사물함 잠금장치
KR101980094B1 (ko)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KR101012497B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WO2019184817A1 (en) Integrated zipper lock
KR101502823B1 (ko) 사물함 잠금장치
WO2020211324A1 (zh) 一种锁扣机构及具有该锁扣机构的箱包密码锁
US6557384B1 (en) Multifunction padlock
JP5886808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2495927B1 (ko) 비밀번호 변경이 용이한 다이얼 잠금장치
WO2009090982A1 (ja) ダイヤル錠
JP4481318B2 (ja) 符号錠装置
TWI695923B (zh) 鎖體的離合機構
JP5894218B2 (ja) 磁石サイドロック
KR200482418Y1 (ko) 다이얼 키이형 창문 잠금장치
JP6080347B2 (ja) 錠前装置
KR200481473Y1 (ko) 도어용 잠금장치
JP5493182B2 (ja) ダイアル錠
JP3181191U (ja)
JP3216898U (ja) 補助錠及びこれを備える収納ボックス
JPH10102846A (ja) カードキー式錠前の非常解錠装置
JP3180798U (ja) ファスナーロック装置
JP3181192U (ja)
JP5372688B2 (ja) ロッカーおよびロッカー用の符号錠装置
JP5305291B2 (ja) 施解錠装置及びこれを適用した収納家具
JP5177375B2 (ja) 防犯サムタ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