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136Y1 - 버튼식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버튼식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136Y1
KR200251136Y1 KR2020010020800U KR20010020800U KR200251136Y1 KR 200251136 Y1 KR200251136 Y1 KR 200251136Y1 KR 2020010020800 U KR2020010020800 U KR 2020010020800U KR 20010020800 U KR20010020800 U KR 20010020800U KR 200251136 Y1 KR200251136 Y1 KR 200251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plate
locking
password
lock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쇠
Original Assignee
이강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쇠 filed Critical 이강쇠
Priority to KR2020010020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1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136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튼식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외측 장좌 케이스 표면에 다수의 버튼이 배열되어 있고, 각각의 버튼에 정해진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미리 정한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르면 도어의 괘정구가 해정되는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잠금장치는 그 구성이 기계식으로 제작되어 견고하고 고장날 염려가 전혀 없는 것이며, 효과도 우수하여 그 효율성이 아주 뛰어난 것이다. 또한 암호변경도 내부에서 수시로 변경가능하므로, 외부인이 비밀번호를 파악하여 문을 열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으며, 또한 본 고안은 보조키 역할을 하는 키 실린더 장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에서 열어주지 않는 한 절대로 문안으로 침범할 수 없는 버튼식 도어 잠금장치이다.

Description

버튼식 도어 잠금장치{button operated combination lock}
본 고안은 버튼식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외측 장좌 케이스 표면에 다수의 버튼이 배열되어 있고, 각각의 버튼에 정해진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미리 정한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르면 도어의 괘정구가 해정되는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별도의 열쇠가 필요없이 버튼을 암호순으로 누르면 해정되게 하는 도어잠금장치는 열쇠를 휴대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지정한 비밀번호만 기억하면 되기 때문에 열쇠분실의 염려가 없는 것이며, 또한 비밀번호를 모르면 그 어떠한 타인도 문을 열수가 없기 때문에 안전도가 높다는 점에서 그 편리성이 인정되나, 전자 및 전기로 만든 보턴키는 내부구성이 복잡하고 고장이 빈번하게 일어나 그 수명이 짧으며, 또한 제작단가가 고가이어서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었다. 또한 상기 키들은 보턴을 눌러도 손 끝에 보턴을 눌렀다는 감각이 전달되지 아니하여 실효성이 없어 결국은 키실린더를 사용하게 되며, 따라서 보턴키라기 보다는 일반 실린더 키와 다를바 없어 도범방지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그 내부구성이 간편하고 견고하여 고장날 염려가 전혀 없도록 한 것이다.
또한 버튼 자물통 외에도 키 실린더장치를 별도로 마련하여 보조키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일단 안에서 문을 잠그면 절대로 들어올 수 없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의 개략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구성품에 있어 고정판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구성품에 있어 작동판의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구성품에 있어 걸림판의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구성품에 있어 덮개판의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구성품에 있어 버튼의 분해사시도.
도8은 비밀번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잠금핀이 삽입된 상태의 개략사시도.
도9는 비밀번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잠금핀이 눌리어졌을때의 개략사시도.
도10은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잠금핀이 삽입된 상태의 개략사시도.
도11은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잠금핀이 눌리어졌을때의 개략사시도.
도12는 버튼이 눌리어지지 아니한 상태에서의 잠금핀과 걸림핀의 상태도.
도13은 버튼이 눌리어진 상태에서의 잠금핀과 걸림핀의 상태도.
도14는 작동판과 손잡이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측면도.
도15는 본 고안의 구성품에 있어 잠금핀의 사시도.
도16은 본 고안의 구성품에 있어 잠금핀의 측면도.
도17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18은 C 버튼의 내측에 삽입된 잠금핀과 걸림판과의 관계를 나타낸 상태도.
도19는 도18에 있어서 잠금핀이 눌리어졌을때의 상태도
본 고안은 외측으로 다수개의 버튼(60)이 삽치된 실외측 장좌 케이스(10) 내측에 다수개의 통공(11)이 형성된 고정판(20), 작동판(30), 걸림판(40), 덮개판(50)을 순서대로 내장시키되, 상기 고정판(20)과 덮개판(50)은 나사(9)로 고정시키고 작동판(30)과 걸림판(40)은 손잡이(80)의 회전에 의하여 위쪽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부착하며, 각각의 통공(11) 내측에는 잠금핀(70)을 삽치하되,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버튼(60)을 누르면 잠금핀(70)의 삼각형 돌편(72)이 걸림판(40)의 통공 내측에 형성된 걸림핀(41)에 걸려 작동판(30)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줌으로서, 손잡이(8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도어를 열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도어 및 보조 키 실린더 장치를 겸한 잠금장치(1)이다.
상기에 있어 버튼(60)은 그 내측에 안내편(61)과 스프링(62)이 삽치되어지며, 스프링(62) 내측에는 잠금핀(70)의 하단부가 삽치되어 지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은 이중으로 열쇠를 이용하여서도 도어를 열수 있도록, 하부에 보조키 열쇠를 이용하여 해정할 수 있는 잠금장치(14)를 별도로 마련하여 보턴키를 열었다하여도 잠금장치를 안에서 고정시켜 밖에서는 열수 없도록 하였다.
본 고안에 있어 미설명부호 12는 열쇠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삽입구멍이며, 13은 손잡이가 설치되는 삽입구멍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작동판(30)에 의하여 저지당하고 있는 손잡이(80)가 회전될 수만 있으면 도어는 열리는 것이고, 작동판(30)이 잠금핀(70)에 걸려서 움직이지 못하면 손잡이(80)도 회전되지 아니하여 도어는 열리지 않게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은 버튼(60) 내측에 삽치된 잠금핀(70)의 삽입위치에 따라 도어의 괘해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버튼에 삽치된 잠금핀(70)과 도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밀번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버튼에 삽치되는 잠금핀(70)은 그 삽치방향이 정반대이다. 상기에 있어 잠금핀의 삽치방향을 쉽게 구별시키기 위하여 잠금핀 상단에 방향표시부(71)를 구성하였다. 따라서 도11에 보는 바와 같이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는 통공에 삽치된 잠금핀(70)이 작동판(30)의 움직임을 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도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80)를 회전시키면 작동판(30)이 위로 밀려 올라가면서 손잡이가 돌아가게 되어 도어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밀번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일반 버튼이 눌리어지면 잠금핀(70)의 돌편(74)이 작동판(30)의 움직임을 저지하게 되고, 따라서 작동판(30)이 전혀 움직이지를 못하게되므로 손잡이(80)도 회전이 되지 아니하여 결국은 문을 열지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래 버튼(60)은 그 내측에 안내편(61)과 스프링(62)이 삽치되어 있고, 안내편(61)이 고정판(20)의 통공(11) 좌우에 형성된 안내홈(22)을 따라 움직이도록 되어 있으며, 스프링(62)의 탄력에 의하여 버튼은 눌리어진 후에는 언제나 제자리로 되돌아 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62) 내측에는 잠금핀(70)의 하단 사각몸체(75)가 삽치 되어지므로, 버튼(60)을 누르면 잠금핀(70)은 앞으로 빠져나옴과 동시에 도13과 같이 걸림판(40)의 걸림핀(41)에 잠금핀(70)의 삼각돌턱(72)이 걸리게되어 움직임이 멈추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잠금핀(70)의 경우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잠금핀의 형상이나, 비밀번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잠금핀의 형상이나 그 형상은 동일하나, 비밀번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잠금핀은 도8과 같은 방향으로 삽치되는 것이며,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잠금핀은 도10과 같은 방향으로 잠금핀을 삽치하게 되어 그 삽입방향이 반대로 되는 것이다.
한편 잠금핀(70)에는 상하로 돌편(73)(74)이 형성되어 있고, 작동판(30)의 통공(11)에는 양측에 돌턱(31)(32)이 형성되어 있는바, 통공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31)은 그 길이가 길고, 타측의 걸림턱(32)은 그 길이가 짧다. 따라서 작동판(30)을 위로 밀어 올릴 때, 잠금핀(70)의 돌편(73)(74)이 길이가 긴 걸림턱(31)앞에 위치하게 되면, 걸림턱(31)이 돌편(73)에 걸리게 되어 작동판(30)의 움직임이 저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길이가 짧은 걸림턱(32) 쪽으로는 잠금핀(70)의 돌편(73)(74)이 앞을 가로막고 있어도 서로 걸리지 않게되어 작동판(30)이 위로 움직여짐에 있어 전혀 문제될 것이 없게 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요부라 할 수 있는 잠금핀, 고정판,작동판,걸림판의 관계를 살펴보는 바이다.
먼저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버튼의 내측에 삽치되는 잠금핀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잠금핀(70)은 고정판(20)의 통공에 도10과 같은 방향으로 재치되는 바, 이와 같은 방향으로 재치되어 있으면 버튼을 누르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잠금핀(70)의 돌편(73)에 작동판(30)의 통공에 형성된 걸림턱(31)이 걸려지게 되므로, 손잡이(80)를 회전시켜 작동판(30)을 위로 밀어 올려 보고 싶어도 작동판(30)이 전혀 움직일수가 없게 되므로, 결국은 손잡이 자체가 회전되지 않게 되는 것이어서 도어는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원래 작동판과 손잡이는 도14과 같이 약간 타원 상태로 접촉되어 있으므로,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작동판이 위로 상승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작동판이 잠금핀에 걸려 움직이지 못하면 손잡이 자체도 회전이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도11과 같이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버튼을 눌러서, 잠금핀(70)을 빠져나오게 하면 작동판(30)의 걸림턱(31)이 잠금핀(70)의 돌편(73)에 걸리지 아니한 상태로 되기때문에 손잡이(80)를 회전시킬때 작동판(30)의 걸림턱(31)이 잠금핀(70)의 돌편(73) 밑으로 빠져나오게 되어, 작동판 자체는 위로 밀어 올려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 버튼(60)의 누름에 의하여 앞으로 빠져나온 잠금핀(70)은 도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잠금핀의 삼각형 돌편(72)의 하단이 걸림판(40)의 걸림핀(41)에 걸쳐지면서 빠져나온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작동판이 순조롭게 위로 밀어올려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 버튼을 누르기 전에는 도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잠금핀의 삼각 돌편에 걸림판의 걸림핀이 걸쳐져 있게 되나, 버튼을 누르면, 삼각형으로 테이퍼진 삼각돌기가 걸림핀을 밀치면서 빠져나오게 되고, 빠져나온후에는 걸림핀이 삼각돌편 하단에 걸리게 되어 빠져나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원래 고정판(20)과 덮개판(50)은 나사(12)로 고정되어 움직이지 못하나, 작동판(30)과 걸림판(40)은 고정된 상태가 아니므로, 아래에서 힘을 주면 위로 상승하게 되어 있으며, 위로 올라간 상태에서는 스프링 및 자중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다시 아래로 내려오게 되어있다.
따라서 손잡이를 회전시켜 작동판이 올라가는 경우(즉 도어가 열리는 경우)에는 작동판과 함께 걸림판도 올라가는 것이며, 이와 같이 걸림판이 올라가면 잠금핀의 삼각돌편(72)에 위치해 있던 걸림핀(41)이 잠금핀의 삼각돌편(72)에서 빠져나오게 되며, 걸림핀이 빠져나오면 잠금핀은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고, 걸림판과 작동판도 다시 아래로 내려오게 되어 버튼을 누르기 직전 상태 즉 처음의 상태로 다시 되돌아 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비밀번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잠금핀(70)은 도8과 같이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잠금핀과는 반대방향으로 재치되어 지며, 이와 같이 재치되어지면, 버튼을 누르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잠금핀(70)의 돌편(73) 위치가 턱의 길이가 짧은 걸림턱(32) 쪽으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걸리지 아니하여 작동판을 위로 밀어올릴때 쉽게 밀어올려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버튼을 잘못누르면 하단의 돌편(74)이 앞으로 나오게 되고, 상기 돌편(74)은 작동판(30)의 걸림턱(31)에걸려지게되어, 결국은 작동판의 진행을 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르게되면 작동판이 움직여져, 손잡이를 회전시킬수 있게되나, 비밀번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버튼을 누르게되면 오히려 작동판의 진행을 막게되어 손잡이자체가 회전을 하지 못하게되므로 도어를 열수가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버튼이나 비밀번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버튼이나, 일단 눌리어진 버튼은 걸림판의 걸림핀에 잠금핀의 삼각돌턱이 걸리게 되어 일단은 멈춤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만약 비밀번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버튼을 잘못 눌렀을 경우에는 이를 해지할 필요가 있게 되는 바, 이는 걸림판 맨위 상단에 있는 C 버튼을 눌러 해결한다. 즉 C 버튼에 해당하는 걸림판의 통공에는 걸림핀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C 버튼을 누를 경우(도18, 도19 참조) 잠금핀이 앞으로 나오면서 걸림판의 테이퍼진턱(42)을 위로 밀쳐서 올리게 되고, 이와 같이 걸림판이 위로 올라가게 되면, 잘못 눌려져 걸림핀에 걸쳐져 있던 잠금핀을 비롯하여 이미 눌러져서 걸림핀에 걸쳐져 있던 모든 잠금핀(비밀번호에 해당하는 잠금핀도 포함)이 모두 걸림핀에서 빠져나오게 되어 눌려진 상태는모두 해지되어 지는 것이다. 즉 한개의 버튼도 누르지 아니한 상태(처음의 상태)로 되돌아 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작동판과 걸림판이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위로 밀려올라갈때, 작동판이 잠금핀에 저지되지 아니하고 위로 올라갈수 있으면 손잡이도 회전이 가능해지므로 도어를 열수 있게되는 것이며, 손잡이의 회전으로 작동판을 위로 밀고 싶어도 잠금핀에 의하여 작동판의 위로 상승하는 진행이저지되면, 결국은 손잡이도 회전이 되지아니하여 도어를 열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동판의 움직임 여부는 잠금핀의 삽입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잠금핀과 비밀번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잠금핀의 형상은 완전히 동일하나 통공에 재치할 때 그 방향을 완전히 반대로 하여 작동판의 저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도어를 여는 방식이므로, 열쇠를 휴대할 필요가 없어 열쇠분실의 위험이 없으며, 또한 비밀번호를 알지 못하는 한 타인은 그 누구라도 도어를 열수가 없기 때문에 안전하며, 또한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번호만 누르고 손잡이를 돌리면 문이 열리므로 그 사용이 아주 편리한 것이다.
또한 버튼외에도 열쇠로도 문을 열수 있도록, 열쇠를 이용하는 잠금장치를 별도로 마련토록 함으로서, 이중으로 보안이 되어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외부 침입자로부터 보호될 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본 고안은 버튼의 번호를 조합함에 있어, 숫자와 영문자를 혼합시키도록 함으로서, 비밀번호를 모르는 타인이 쉽게 비밀번호를 파악할 수 없도록 하였으며, 또한 그 번호를 위치시킴에 있어서도 맨아래의 좌우에 영문자를 위치시키도록 하고, 숫자나 영문자를 혼합해서 비밀번호를 정하도록 하면,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를 때, 영문자 버튼이 속해있는 맨아래의 버튼을 꼭 하나는 눌러야 하므로, 비밀번호의 보안성을 더욱더 유지할 수가 있어 보다 더 우수한 안정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전자식 버튼키에 비하여 그 구성이 견고하고 고장날 염려가 전혀 없는 것이며, 효과도 우수하여 그 효율성이 아주 뛰어난 것이다.

Claims (4)

  1. 외측으로 다수개의 버튼(60)이 삽치된 실외측 장좌 케이스(10) 내측에 다수개의 통공(11)이 형성된 고정판(20), 작동판(30), 걸림판(40), 덮개판(50)을 순서대로 내장시키되, 상기 고정판(20)과 덮개판(50)은 나사(9)로 고정시키고 작동판(30)과 걸림판(40)은 손잡이(80)의 회전에 의하여 위쪽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부착하며, 각각의 통공(11) 내측에는 잠금핀(70)을 삽치하되,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버튼(60)을 누르면 잠금핀(70)의 삼각형 돌편(72)이 걸림판(40)의 통공 내측에 형성된 걸림핀(41)에 걸려 작동판(30)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줌으로서, 손잡이(8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도어를 열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도어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 버튼(60)은 그 내측에 안내편(61)과 스프링(62)이 삽치되어지며, 스프링(62) 내측에는 잠금핀(70)의 하단부가 삽치되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도어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잠금핀(70)의 측면 형상은형상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도어 잠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걸림판(4) 상단에 테이퍼진턱(42)을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도어 잠금장치.
KR2020010020800U 2001-07-10 2001-07-10 버튼식 도어 잠금장치 KR200251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800U KR200251136Y1 (ko) 2001-07-10 2001-07-10 버튼식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800U KR200251136Y1 (ko) 2001-07-10 2001-07-10 버튼식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136Y1 true KR200251136Y1 (ko) 2001-11-17

Family

ID=73104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800U KR200251136Y1 (ko) 2001-07-10 2001-07-10 버튼식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1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457B1 (ko) * 2011-04-04 2013-01-16 곽영준 사물함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457B1 (ko) * 2011-04-04 2013-01-16 곽영준 사물함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5751B2 (en) Lockable enclosure
US5901587A (en) Padlock with safety locking mechanism
US8347673B2 (en) Code lock
US20010054824A1 (en) Handle device
JP3725426B2 (ja) 改良された押ボタン式ロック
US5004278A (en) Door lock having security device
KR200251136Y1 (ko) 버튼식 도어 잠금장치
KR200292189Y1 (ko) 버튼형 도어 잠금장치
KR102495927B1 (ko) 비밀번호 변경이 용이한 다이얼 잠금장치
JP4446553B2 (ja) 磁石利用のロック装置
KR200367501Y1 (ko) 2단 슬라이드 방식의 커버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KR102253117B1 (ko) 카드 키를 이용해 수동으로 잠금 해제가 가능한 도어락 장치
KR200314654Y1 (ko) 캐비닛의 잠금 장치
JPH08270277A (ja) ダイヤル錠
KR200260112Y1 (ko) 이중잠금장치를 갖는 자물쇠
JPH0248715B2 (ja) Sejosochi
CN115341814B (zh) 磁性扣合装置
CN210888446U (zh) 一种操作方便的柜锁
JP2902552B2 (ja) 傘保管具
KR19990004704U (ko) 보안장치를 가진 컴퓨터
KR200175232Y1 (ko) 도난방지 기능을 구비한 잠금 장치
JP3516237B2 (ja) ドアの用心錠
KR950007835Y1 (ko) 록커용 이중 록킹장치
JP4170021B2 (ja) 錠前の不正解除防止操作具
JP2004190418A (ja) 落し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