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835Y1 - 록커용 이중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록커용 이중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835Y1
KR950007835Y1 KR2019930001825U KR930001825U KR950007835Y1 KR 950007835 Y1 KR950007835 Y1 KR 950007835Y1 KR 2019930001825 U KR2019930001825 U KR 2019930001825U KR 930001825 U KR930001825 U KR 930001825U KR 950007835 Y1 KR950007835 Y1 KR 950007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ocking means
key
operating membe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1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854U (ko
Inventor
이홍균
Original Assignee
이홍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균 filed Critical 이홍균
Priority to KR2019930001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835Y1/ko
Publication of KR9400208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8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8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5/0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 E05B35/08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operable by a plurality of keys
    • E05B35/12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operable by a plurality of keys requiring the use of two keys, e.g. safe-deposit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록커용 이중 록킹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록킹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작동부재의 배면 사시도.
제3a, 3b도는 록킹이 해지된 상태의 작동 상태도.
제4a, 4b도는 보조 록킹수단이 록킹된 상태의 작동 상태도.
제5a, 5b도는 보조 록킹수단까지 록킹된 상태의 작동 상태도.
제6도는 보조 록킹 상태가 해지된 상태의 작동 상태도.
제7도는 걸림수단의 작동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 록킹수단 2, 32 : 키이뭉치
6 : 작동부재 7 : 회동부재
20 : 걸림수단 21 : 러울러
30 : 보조 록킹수단 33 : 동작봉
34 : 걸림부재 35 : 평면부
40 : 전측커버 50 : 안내수단
60 : 후측커버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록커(Rocker)용 이중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 록킹수단의 사용시 록킹을 해지할 때에만 관리자에게 요청하여 록킹을 해지함으로써, 사용상에 많은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록키용 이중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지하철 역이나 버스 터미널 등에 설치되는 보관함이나 목욕탕 등에 설치되는 옷장에는 귀중품의 보관시를 대비하여 이중 록킹장치로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것이 보편적이다.
상기 이중 록킹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주 록킹수단과, 상기 주 록킹수단을 보조하여 록킹상태를 이중으로 유지시켜 주는 보조 록킹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관하고자 하는 물건이 귀중품이 아닌 경우에는 주 록킹수단만을 이용하여 록커를 록킹시키고, 귀중품을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조 록킹수단을 추가 록킹시킴으로써, 록커를 이중으로 록킹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중 록킹장치에 있어서는 주 록킹수단 및 보조 록킹수단을 형성하는 키이뭉치가 별도의 키이에 의하여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록킹 또는 록킹을 해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키이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주 록킹수단을 동작시킬 수 있는 키이는 항시 주 록킹수단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쉽게 사용할 수 있으나 보조 록킹수단의 키이는 관리자가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보조 록킹수단을 이용하고자하는 경우에는 보관시는 물론 보관된 물건을 꺼내는 경우에도 반드시 관리자에게 보조 록킹 수단의 록킹 또는 록킹해제의 요청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의 일예로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중 록킹장치를 설치한 목욕탕의 옷장에 귀중품을 보관하고자 보조록킹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보관시에도 관리자에게 보조 록킹수단을 록킹수단을 록킹시켜줄 것을 요청하여야 하고, 목욕후에도 관리자에게 보조 록킹수단의 록킹상태를 해제하여 줄 것을 요청하여야 하기 때문에 2번에 걸쳐 관리자를 불러야 하는 바, 입용자 및 관리자 모두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보조 록킹수단의 사용시 록킹을 해지할 때에만 관리자에게 요청하여 록킹을 해지함으로써, 사용상에 많은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록커용 이중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키이에 의하여 동작이 이루어지는 키이뭉치와, 상기 키이뭉치의 회전축에 장작되는 회동부재에 의하여 좌우로 슬라이드되면서 록킹 또는 록킹을 해지하는 작동부재로 구성되는 주 록킹수단과, 키이에 의하여 동작이 이루어지는 키이뭉치와, 상기 키이뭉체의 작동봉에 장착되어 키이뭉치의 눌림동작에 의하여 상기 작동부재의 록킹해제를 제한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주 록킹장치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보조 록킹수단과, 상기 보조 록킹수단의 록킹시 상기 걸림부재가 걸릴 수 있는 로울러를 포함하는 걸림수단과; 상기 주 록킹수단 및 보조 록킹수단을 형성하는 키이뭉치를 지지하여 주는 지지구와, 상기 작동부재를 지지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포함하는 전측커버와; 상기 전측커버의 후측으로 배치되어 내장부품을 은폐보호하는 후측커버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이중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작동부재의 상부 후측 모서리부에 요입부를 형성하고, 이의 요입부 하측에 요입부의 전측부로 배치되는 로울러와, 상기 로울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핀이 관통하여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작동부재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핀과 장공의 사이로 개재되어 상기 핀을 탄지하여 주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걸림수단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작동부재의 좌우 이동시 유동되지 않도록 전측커버의 후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레일과, 작동부재의 전측면에 상기 안내레일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슬라이드 홈으로 구성되는 안내수단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작용]
상기와 같은 이중 록킹장치를 먼저 주 록킹수단을 록킹시킨후에 보조 록킹수단의 키이뭉치를 누르면 보조 록킹수단의 록킹상태를 해지 않는한 주 록킹수단의 록킹상태를 해지할 수 없도록 한 것이다.
즉, 록커에 귀중품을 놓고 이의 도어를 록킹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주 록킹수단의 키이뭉치에 키이를 삽입시켜 돌리면 이에 연통되는 회동부재가 회동되면서 작동부재를 일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때 작동부재의 전측에 수평방향으로 돌설되는 괘정구가 미도시된 걸림공에 삽입되면서 록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주 록킹수단을 록킹시킨후에 보조 록킹수단을 록킹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보조 록킹수단의 키이뭉치를 키이없이 단순히 누르기만 하면 키이뭉치 전체가 전진 이동되면서 이의 회전축 선단에 일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재가 작동부재의 후측 상부에 형성된 걸림수단의 로울러를 하측으로 누르면서 전진하여 이의 로울러 내측에 걸리면서 이중의 록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록킹상태에서는 걸림부재가 로울러의 내측에 걸림과 동시에 작동부재의 후측을 받쳐주게 됨으로써, 보조 록킹수단을 해지 않는한 주 록킹장치의 록킹상태를 해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중 록킹장치의 록킹 상태를 해지하고 하는 경우에는 보조 록킹수단의 키이를 갖고 있는 관리자를 불러 보조 록킹수단의 록킹 상태를 해지한후에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주 록킹장치의 록킹상태를 해지하면 된다.
이에 따라 록킹 해제시만 보조 록킹수단의 키이를 가지고 있는 관리자만 부르면 되므로 사용자나 관리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이중 록킹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주 록킹수단(1)과, 보조 록킹수단(30), 그리고 이를 지지 은폐하여 외부갑체를 형성하는 전, 후 커버(40)(60)로 구성된다.
상기 주 록킹 수단(1)은 공지의 구조를 갖는 키이뭉치(2)와 이의 키이뭉치(2)에 의하여 동작되는 작동부재(6)를 포함한다.
상기 키이뭉치(2)는 키이(4)에 의하여 동작되는 공지의 것으로서, 그의 설명은 생략하며, 그의 중심부에 형성된 회전축(5)의 선단에는 이에 연동되면서, 작동부재(6)를 좌우로 슬라이드 시켜주는 회동부재(7)가 장착된다.
상기 회동부재(7)는 일측으로 돌기부(8)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이의 돌기부(8)는 작동부재(6)의 후측면에 마련된 작동홈(9)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7)에 연동되는 작동부재(6)는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일측면의 중앙부로 돌설되는 괘정구(10)를 가지며, 그의 후측면에는 중간부 하측으로 돌출부(11)에 의하여 하측으로 확개되는 회동부재(7)의 작동홈(9)이 마련된다.
상기 작동홈(9)의 하측에 상호 내측으로 대향되는 스톱돌기(12)(13)가 형성되어 작동부재(6)의 이동시 회동부재(7)의 돌기부(8) 선단이 걸리면서 작동부재(6)의 이동량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작동부재(6)는 키이뭉치(2)를 조작하는 키이(4)에 의하여 동작되는 회동부재(7)에 의하여 좌우 이동하면서 록킹 또는 록킹상태를 해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6)의 상부 후측 모서리에는 요입부(14)를 가지며, 이의 요입부(14)에는 보조 록킹수단(30)의 록킹시 이를 록킹시켜 줄 수 있는 걸림수단(20)이 형성된다.
즉, 걸림수단(20)은 요입부(14)의 전측부로 배치되는 로울러(21)와, 상기 로울러(2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핀(22)이 관통하여 상하유동이 가능하도록 작동부재(6)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23)과, 상기 핀(22)과 장공(23)의 사이로 개재되어 상기 핀(22)을 탄지하여 주는 탄성부재(2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걸림수단(20)은 작동부재(6)의 좌우 이동시 제7도에서 보인바와 같이, 로울러(21)가 탄성부재(24)에 의하여 탄지되어 있는바, 탄성적으로 상하유동이 가능하므로 전측커버(40)의 내면으로 형성된 돌기(41)와 접촉되면서 걸림감 즉, 작동감각으로 느끼게 한다.
상기에서 돌기(41)의 배위위치는 로울러(21)가 최상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로울러(21)의 최상단 보다 약간 낮게 배치되는데, 그의 차이는 장공(23)의 길이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보조 록킹수단(30)은 키이(31)에 의하여 동작되는 키이뭉체(32)와 상기 키이뭉치(32)의 중앙으로 형성되는 작동봉(33)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부재(34)로 구성되는데, 상기 키이뭉치(32)는 전측부에 탄성부재(36)를 개재시켜 형성되어 작동봉(33)이 눌려지는 형태의 푸시버튼형 키이뭉치이며, 작동봉(33)의 선단으로 형성되는 걸림부재(34)는 전측으로 소직경부를 갖는 콘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34)의 일측은 평면부(35)로 형성되어 이의 평면부(35)가 하측으로 향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작동부재(6)와는 상호간섭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평면부(35)를 제외한 부분이 하측으로 향하는 경우에는 작동부재(6)의 상측부와 간섭이 발생되므로 보조 록킹수단(30)은 주 록킹수단(1)을 록킹 시키지 않는 한 작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보조 록킹수단(30)의 키이뭉치(32)에 있어서는 걸림부재(34)의 평면부(35)가 하측으로 향하는 경우에는 키이(31)가 빠지지 않고, 평면부(35)가 상측으로 향할때에만 키이(31)가 빠지도록 설계되어야만 록킹이 해지된 상태에서 키이뭉치(32)를 누르면 걸림부재(34)의 콘부가 걸림수단(20)의 로울러(21)에 걸릴수 있게 된다.
상기 주 록킹수단(1)과 보조 록킹수단(20)을 지지하여 주는 전측커버(40)는 상하측에 원통형의 지지구(42)(43)가 전측으로 돌설되어 이의 지지구(42)(43)내측으로 키이뭉치(2)(32)가 삽입장착된다.
또한, 상기 전측커버(40)의 후측에는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부재(6)를 안내 지지할 수 있는 안내수단(50)이 구비되는데, 상기 안내수단(50)은 전측커버(40)의 후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레일(51)과, 작동부재(6)의 전측면에 상기 안내레일(51)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슬라이드 홈(52)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레일(51)은 단순한 사각형태의 돌출부로 형성되며, 슬라이드 홈(52)은 상하측으로 돌출되는 턱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어 작동부재(6)의 좌우 이동시 유동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측커버(40)의 후측에 소정의 고정수단으로 결합되는 후측커버(60)는 내부 부품을 은폐 보호하는 커버의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측커버(60)의 상측에는 상기 보조 록킹수단(30)의 작동봉(33)과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길이의 안내핀(61)이 돌설되어 작동봉(3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져 보조 록킹수단(30) 록킹시 작동봉(33)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의 고정수단으로는 고정 스크류(62)를 이용하는 나사 결합방식에 채택하여 고장수리시 후측커버(60)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이중 록킹장치에 있는 작동은 제3도 내지 제7도와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제3도는 록킹이 완전히 해지된상태로서, 이의 상태에서 주 록킹수단(1)을 록킹시키면 회동부재(7)가 제4a도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작동부재(6)가 우측으로 이동시켜 괘정구(10)를 이동시킴으로써, 주 록킹수단(1)의 록킹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걸림부재(34)는 제4b도와 같이 로울러(21)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며, 이와같은 상태에서 보조록킹수단(30)을 록킹시키고자 할 때에는 보조 록킹수단(30)의 키이뭉치(32)를 제5b도에서와 같이 누르면 콘형의 걸림부재(34)가 걸림수단(20)의 로울러(21)을 하측으로 밀면서 전진하여 로울러(21)의 내측에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조 록킹수단(30)이 록킹된 상태에서는 걸림부재(34)가 제5a도에서와 같이 작동부재(6)의 후측 요입부(13)에 위치하게 되는 바, 주 록킹장치(1)를 해지시키더라고 작동부재(6)가 후측으로 밀리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록킹 상태를 해지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록킹상태에서 주 록킹수단(1)의 로킹을 해지하고자 할 때에는 보조 록킹수단(30)의 키이(31)를 소지하고 있는 관리자를 불러 보조 록킹수단(30)의 키이뭉치(32)를 조작하여 걸림부재(34)의 평면부(35)가 하측을 향하도록 한다.
그러면 걸림부재(34)가 걸려있던 힘이 해제되므로 걸림부재(34)를 포함하는 작동봉(33)이 탄성부재(36)에 의하여 후측으로 이동하여 록킹을 해지하게 되며, 이와같은 상태에서 주 록킹수단(1)의 록킹을 해지하면 작동부재(6)가 제3a도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록킹이 해지되는 것이다.
[효과]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보조 록킹수단의 록킹시 종래와 같이 키이를 가지고 있는 관리자를 부를 필요없이 보조 록킹수단의 키이뭉치를 누르면 되고 록킹 해지시만 관리자에게 요청하게 되므로 사용상에 많은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키이(4)에 의하여 동작이 이루어지는 키이뭉치(2)와, 상기 키이뭉치(2)의 회전축(5)에 장착되는 회동부재(7)에 의하여 좌우로 슬라이드되면서 록킹 또는 록킹을 해지하는 작동부재(6)로 구성되는 주 록킹수단(1)과; 키이(31)에 의하여 동작이 이루어지는 키이뭉치(32)의 눌림동작에 의하여 상기 키이뭉치(32)의 작동봉(33)에 장착되어 키이뭉치(32)의 눌림동작에 의하여 상기 작동부재(6)의 록킹해제를 제한하는 걸림부재(34)를 포함하여 상기 주 록킹수단(1)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보조 록킹수단(30)과; 상기 보조 록킹수단(30의 록킹시 상기 걸림부재(34)가 걸릴 수 있는 로울러(21)를 포함하는 걸림수단(20)과; 상기 주 록킹수단(1) 및 보조 록킹수단(30)을 형성하는 키이뭉체(2)(32)를 지지하여 주는 지지구(42)(43)와, 상기 작동부재(6)를 지지 안내하는 안내수단(50)을 포함하는 전측커버(40)와; 상기 전측커버(40)의 후측으로 배치되어 내장부품을 은폐 보호하는 후측커버(60)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록커용 이중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작동부재(6)의 상부 후측 모서리부에 요입부(14)를 형성하고, 이의 요입부(14) 하측에 요입부(14)의 전측부로 배치되는 로울러(21)와, 상기 로울러(2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핀(22)이 관통하여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작동부재(6)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23)과, 상기 핀(22)과 장공(23)의 사이로 개재되어 상기 핀(22)을 탄지하여 주는 탄성부재(24)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걸림수단(20)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록커용 이중 록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작동부재(6)의 좌우 이동시 유동되지 않도록 전측커버(40)의 후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레일(51)과, 작동부재(6)의 전측면에 상기 안내레일(51)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슬라이드 홈(52)으로 구성되는 안내수단(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커용 이중 록킹장치.
KR2019930001825U 1993-02-11 1993-02-11 록커용 이중 록킹장치 KR950007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1825U KR950007835Y1 (ko) 1993-02-11 1993-02-11 록커용 이중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1825U KR950007835Y1 (ko) 1993-02-11 1993-02-11 록커용 이중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854U KR940020854U (ko) 1994-09-17
KR950007835Y1 true KR950007835Y1 (ko) 1995-09-22

Family

ID=19350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1825U KR950007835Y1 (ko) 1993-02-11 1993-02-11 록커용 이중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8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854U (ko) 199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10077U (ko)
JPH0726496B2 (ja) 安全装置の内設されたドア・ロック
KR950007835Y1 (ko) 록커용 이중 록킹장치
JP4260336B2 (ja) 施錠装置
JPH07207997A (ja) 南京錠
KR930005620Y1 (ko) 비디오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JPS5838126Y2 (ja) 南京錠
JP2571511Y2 (ja) ロッカ扉用把手
JP2559400Y2 (ja) リッドのロック装置
JP2001006035A (ja) 自動販売機の扉ロック装置
JPH0248715B2 (ja) Sejosochi
JPH0640810Y2 (ja) 用心鎖錠
KR200251136Y1 (ko) 버튼식 도어 잠금장치
JPH0715979Y2 (ja) 扉の施錠装置
JP3587275B2 (ja) 家具用抽斗ロック装置
JPH0355719Y2 (ko)
KR0119867Y1 (ko) 매립형 손잡이 겸 자물쇠
JPH0333283Y2 (ko)
JPH0223731Y2 (ko)
JPH0718856Y2 (ja) トイレブースのラッチ装置
JPH057385Y2 (ko)
JPS6146136Y2 (ko)
JP3063504U (ja) ナンバ―式ラッパ型ロック器具
KR960001231Y1 (ko) 매립형 손잡이겸 자물쇠
KR100198507B1 (ko) 자물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