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754B1 - 전기변색 모듈 및 그 모듈을 구비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변색 모듈 및 그 모듈을 구비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754B1
KR101221754B1 KR1020110025203A KR20110025203A KR101221754B1 KR 101221754 B1 KR101221754 B1 KR 101221754B1 KR 1020110025203 A KR1020110025203 A KR 1020110025203A KR 20110025203 A KR20110025203 A KR 20110025203A KR 101221754 B1 KR101221754 B1 KR 101221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chromic
substrate
delete delete
layer
conductive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5834A (ko
Inventor
유-초우 예흐
차오-이 왕
웬-치흐 로
치-흐시엔 성
트성-허 예흐
Original Assignee
제이 터치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터치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제이 터치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35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2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G02F1/152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ion transporting layer, e.g. electroly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2001/16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the electrolyte is made of polymers

Abstract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는 전제에서, 생산 프로세스를 간소화할 수 있는 것과 함께, 광학투과도의 편차값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1종의 전기변색 모듈을 구비한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전기변색 모듈은 제1 기판, 제2 기판, 적어도 1개의 전기변색층과 적어도 1개의 이온층을 구비한다. 제1 기판의 상부표면에 적어도 1개의 제1 도전소자가 제공되어 있다. 전기변색층은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이온층을 전기변색층의 표면에 제공하고, 재료는 적어도 1개의 유기재료와 적어도 1개의 무기재료를 용매에 용해시켜서 제조한다. 이온층은 이온을 제공자인 이외에, 자신은 전기변색 재료의 일종이고, 보조변색층으로서 광투과도의 편차값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자를 유기와 무기 재료 사이에서 이동과 전송하는 것에 의해, 변색 속도가 더욱 빠르고, 또 구동전압이 작은 등의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전기변색 모듈 및 그 모듈을 구비한 입체영상 표시장치{Electrochromic module and stereo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1종의 전기변색 모듈 및 그 모듈을 구비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1종의 전기변색 재료이고, 1종의 전기변색 재료를 이온층으로 하여 이온을 전기변색층으로 제공하는 전기변색 모듈 및 그 모듈을 구비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이온층의 재료는 적어도 1개의 유기재료와 적어도 1개의 무기재료를 용매에 용해시켜서 작성한 것에 관한 것이다.
전기변색(Electrochromism, EC) 재료는 전류 또는 전장의 작용에 의해, 전기변색 재료가 광흡수 또는 광산란을 발생시켜, 색에 가역성 변색을 유발하는 것을 말한다.
도 1은, 공지기술의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변색 모듈(1)은 제1 기판(11), 제2 기판(12), 전기변색층(13) 및 전해질층(14)을 구비한다. 제1 기판(11)의 상부표면에 제1 도전소자(111)가 제공되고, 제2 기판(12)의 하부표면에 제2 도전소자(121)가 제공되어 있다. 제1 도전소자(111) 및/또는 제2 도전소자(121)로부터 전자를 제공하고, 전해질층(14)으로부터 이온을 전기변색층(13)에 제공하는 것에 의해, 이온을 격자에 진입시켜 변색 효과를 갖는다.
또는 도 2는, 다른 1개의 공지기술의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전기변색 모듈 구조에서, 전해질층(14)의 위에는 또한 역방향의 전기변색층(15)이 제공되며, 이온격납층과 보조변색층으로서, 변색 극성과 전기변색층(13)의 상반하는 움직임에 의해, 광투과도의 편차값을 향상시킨다.
공지의 전기변색 모듈은, 예컨대, 산화텅스텐(WO3), 수산화니켈[Ni(OH)2], 페로시아닌화 제2철 등, 전부 전이원소 산화물 또는 그의 파생물을 무기 고체막 또는 유기 화합물/전해질 재료와 혼합한 복합재에 의해, 전자와 외부제공의 이온 소스(전해질 또는 제2 변색재료)를 제공하고, 이온을 격자에 도입시켜, 변색 효과를 실현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중화민국 특허공보 제M368088호 「정합식 전기변색 2D/3D 표시장치」
특허문헌 2: 중화민국 특허공보 제M371902호 2D 평면상/3D 입체영상 표시화면 절환가능한 표시장치)
특허문헌 3: 중화민국 특허공보 제I296723호 입체영상을 표시가능한 액정 패널의 컬러 필터와 그의 제조방법
특허문헌 4: 미국 특허공보 제2006087499호 (Auto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공지기술의 전해질층의 재료는 고체 전해질, 액체 전해질 및 겔 전해질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전해질로서의 재료는 이온을 전기변색층에 제공하는 기능밖에 없고, 광학투과도의 편차값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1개의 전기변색층(15)을 새로이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전기변색 모듈(1)의 두께가 증가하여, 전기변색 모듈(1)의 다른 응용을 곤란하게 하고 있다.
한편, 통상의 입체영상표시기술의 원리는 양안의 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우측눈과 좌측눈 각각이 영상을 수신하여, 뇌 내에서 1개의 입체영상으로 통합된다. 나안 입체표시기술의 구조는 렌티큘라 렌즈(Lenticular)와 광학 배리어(Barrier)의 2종류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또한, 전기변색 재료에 의해 광학 배리어(Barrier)를 실현하고, 또 입체상 또는 평면상의 절환기능을 구비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특허는 이하와 같다.
중화민국 특허공보 제M368088호 정합식 전기변색 2D/3D 표시장치(특허문헌 1), 중화민국 특허공보 제M371902호 2D 평면상/3D 입체영상 표시화면 절환가능한 표시장치(특허문헌 2), 중화민국 특허공보 제I296723 입체영상을 표시가능한 액정 패널의 컬러 필터와 그의 제조방법(특허문헌 3), 미국특허공보 제2006087499호 Auto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특허문헌 4)등이 있다.
상술한 특허문헌 1~4는 전부 전기변색 재료를 입체영상 표시의 시차 배리어 장치로서 이용되고 있다. 그 중,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에서, 공통의 결점은 전기변색 장치에 필요한 전해질층이 제공되어 있지 않고, 이온을 전기변색층에 제공하는 전해질층이 없기 때문에, 전기변색 장치는 산화 또는 환원의 가역반응을 유발하여 변색 또는 퇴색 변화가 될 수 없다. 이 때문에, 상술한 특허문헌 1~4는 실시 불가능하다.
또한, 시차 배리어 장치의 투명전극층과 전기변색 재료층 모두 그리드 패턴 구조이다. 생산 과정에서는, 층마다 도포, 스퍼터링 또는 에칭을 실시한 다음, 각 층간에는 정확하게 위치를 맞출 필요가 있어, 생산 프로세스가 극히 복잡하다. 또한, 각 적층 모두 그리드 패턴 구조이기 때문에, 그리드끼리의 중간부에 중공구역이 형성되며, 전체의 광투과, 굴절 또는 반사가 영향을 받는다. 일반의 2D 표시도 표시장치의 영상 품질에 영향을 주고, 색차 또는 휘도 불균일의 문제를 유발한다.
한편, 특허문헌 3은 액정 표시장치에 매립되어, 컬러 필터에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술한 전체 특허문헌의 전기변색층 모두 공지기술의 전기변색 재료, 변색 기제가 사용되고 있고, 큰 구동전압을 필요로 하며, 재료가 결함을 유발하기 쉽고, 또 사용수명이 짧은 등의 문제가 남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더욱 넓게 응용할 수 있고, 광학투과치의 편차값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전기변색 모듈의 두께가 증가하지 않는 1종의 전기변색 모듈을 개발하는 것과, 그의 전기변색 모듈을 입체영상에 응용시키려는 것을 적극적으로 개시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전기변색 모듈의 결점을 감안하여 실시된 것으로,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는 전제에서, 생산 프로세스를 간소화할 수 있는 것과 함께, 광학투과도의 편차값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1종의 전기변색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적어도 1개의 유기재료와 적어도 1개의 무기재료를 용매에 용해시켜서 제조된 이온층을 전해질층과 보조전기변색층으로서 사용가능한 전기변색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1개의 목적은, 1종의 고속으로 변색/퇴색될 수 있고, 라이프사이클이 길며, 또 구동전압이 작은 전기변색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1개의 목적은, 1종의 전기변색 재료가 변색한 후에, 색을 깊게 할 수 있는 전기변색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기변색 모듈은, 상부표면에 적어도 1개의 제1 도전소자가 제공되어 있는 제1 기판, 제2 기판,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제공되는 적어도 1개의 전기변색층 및 전기변색층의 표면에 제공되는 이온층을 포함하고, 상기 재료는 적어도 1개의 유기재료와 적어도 1개의 무기재료를 용매에 용해시켜서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변색 모듈의 구조는, 또한 몇 개의 실시형태를 갖는다.
(i) 제1 도전소자, 전기변색층과 이온층이 복수 개 있을 때는, 각 제1 도전소자는 각각 수용 홈(受容溝)을 형성하여 전기변색층과 이온층을 수납한다.
(ii) 제1 도전소자, 전기변색층과 이온층이 복수 개 있을 때는, 또한 복수의 배리어 유닛을 당해 제1 도전소자, 당해 전기변색층 및 당해 이온층의 사이에 제공한다.
(iii) 제1 도전소자와 전기변색층이 복수 개 있을 때는, 당해 제1 도전소자로부터 정부(正負)의 전압을 교차로 제공하고, 당해 전기변색층은 각각 수용 홈을 형성하며, 부의 전기를 띠는 제1 도전소자를 격납한다.
(iv) 제1 도전소자와 전기변색층이 복수 개 있을 때는, 당해 제1 도전소자로부터 정부의 전압을 교차로 제공하고, 당해 전기변색층은 각각 부의 전기를 띠는 제1 도전소자에 제공된다.
제1 도전소자로부터 정부의 상이한 전압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전기변색층과 이온층을 변색/퇴색시킨다.
본 발명의 전기변색 모듈은 또한 제2 기판의 하부표면에 제공되는 적어도 1개의 제2 도전소자를 구비한다. 제2 도전소자는 마찬가지로 상술한 (i) ~ (iv)의 구조로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한 것은 이하와 같이 설명한다.
(i) 제1 도전소자, 제2 전기변색층, 전기변색층과 이온층이 복수 개 있을 때는, 각 제1 도전소자와 각 제2 도전소자는 각각 수용 홈을 형성하고, 전기변색층과 이온층을 수납한다.
(ii) 제1 도전소자, 제2 도전소자, 전기변색층과 이온층이 복수 개 있을 때는, 또한 복수의 배리어 유닛을 당해 제1 도전소자, 당해 제2 도전소자, 당해 전기변색층 및 당해 이온층의 사이에 제공한다.
(iii) 제1 도전소자와 전기변색층이 복수 개 있을 때는, 당해 제1 도전소자로부터 정부의 전압을 교차로 제공하고, 당해 제2 도전소자로부터 정의 전압을 제공하고, 당해 전기변색층은 각각 수용 홈을 형성하며, 부의 전기를 띠는 당해 제1 도전소자를 격납한다.
(iv) 제1 도전소자와 전기변색층이 복수 개 있을 때는, 당해 제1 도전소자로부터 정부의 전압을 교차로 제공하고, 당해 제2 도전소자로부터 정의 전압을 제공하고, 당해 전기변색층은 각각 부의 전기를 띠는 당해 제1 도전소자에 제공된다.
제1 도전소자와 제2 도전소자에 정부의 상이한 전압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전기변색층과 이온층의 변색/퇴색이 가속되는 것과 함께, 전기변색층과 이온층의 변색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1종의 상기 전기변색 모듈을 사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2D 영상과 3D 영상의 절환기능을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평면상과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표시 모듈과 상기 전기변색 모듈을 구비한다.
전기변색 모듈은 세부로, 복수의 전기변색 모듈에 각각 광격자를 형성시켜, 표시장치에 설치하든가, 또는 전체로서, 복수의 전기변색층을 구비한 전기변색 모듈을 광격자에 마무리 처리하여 표시장치에 설치하여, 배리어의 기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전기변색 모듈과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광학투과도의 편차값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기변색 모듈과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고속 변색/퇴색, 라이프사이클이 길며, 또 구동전압이 작은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공지기술의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다른 1개의 공지기술의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설명도로서, 제1 도전소자가 복수 제공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설명도로서, 전기변색층이 복수 제공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설명도로서, 제1 도전소자가 복수 제공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설명도로서, 제1 도전소자가 복수 제공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설명도로서, 제1 도전소자가 복수 제공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설명도로서, 제1 도전소자가 복수 제공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설명도로서, 제1 도전소자가 복수 제공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설명도로서, 제1 도전소자가 복수의 수용 홈에 제공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전기변색 모듈의 입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설명도로서, 제1 도전소자를 복수 제공하여 배리어로 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전기변색 모듈의 상시도(上視圖)이다.
도 15는 도 13의 전기변색 모듈의 입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설명도로서, 제1 도전소자, 전기변색층과 이온층을 복수 제공하고, 그 사이에 배리어 유닛을 제공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의 설명도로서, 전기변색층을 복수 제공하고, 전극기능을 겸비하는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의 설명도로서, 또한 제2 도전소자를 구비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의 설명도로서, 도 9의 제2 기판의 하부는 또한 제2 도전소자를 구비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설명도로서, 도 10의 제2 기판의 하부는 또한 제2 도전소자를 구비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설명도로서, 제1 도전소자와 제2 도전소자를 복수 제공하고, 순서를 따라서 배리어로 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전기변색 모듈의 상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전기변색 모듈의 입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의 설명도로서, 2층의 전기변색층이 적층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의 설명도로서, 3층의 전기변색층이 적층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3과 실시예 6을 결합시킨 설계 양태의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4와 실시예 6을 결합시킨 설계 양태의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5의 설명도로서, 복수의 전기변색 모듈을 영상 표시 모듈에 제공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6의 설명도로서, 도 16의 전기변색 모듈을 영상 표시 모듈에 제공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개략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먼저,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변색 모듈(2)은 제1 기판(21), 제2 기판(22), 전기변색층(23) 및 이온층(24)을 구비한다. 제1 기판(21)의 상부표면에 적어도 1개의 제1 도전소자(211)가 제공되어 있다. 전기변색층(23)은 제1 기판(21)과 제2 기판(22)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이온층(24)을 전기변색층(23)의 표면에 제공하여, 접지시킨다. 재료는 적어도 1개의 유기재료와 적어도 1개의 무기재료를 용매에 용해시켜서 제조한다.
이것에 의해, 정의 전압 또는 부의 전압을 제1 도전소자(211)에 인가하여 전압차를 형성하면, 제1 도전소자(211)는 전자를 전기변색층(23)으로부터 발출하거나 또는 제공하고, 이온층(24)으로부터 이온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전기변색층(23)에 산화 또는 환원반응을 유발시켜, 퇴색 또는 변색을 절환할 수 있다. 이온층(24) 자체는 적어도 1개의 유기재료와 적어도 1개의 무기재료를 용매에 용해시켜서 마무리하는 전기변색 재료이고, 산화와 환원반응의 특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전자를 상실하거나 또는 획득하는 동시에, 산화 또는 환원반응을 유발하여, 전기변색층(23)에 따라서 퇴색 또는 변색을 유발한다. 이 밖에, 이온층(24)의 용액농도, 전위차, 용매의 극성 pH값, 양쪽 극간의 거리와 유전율 등의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이온층(24)의 광학투과도의 편차값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변색 모듈(2)은 도 4 내지 23과 같이, 다양한 실시양태가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한다. 도 4는 제1 도전소자가 복수 제공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도전소자(211)는 복수 제공되어 있고, 각 제1 도전소자(211)로부터 정과 부의 전압을 각각 인가하는 것에 의해, 전기변색층(23)과 이온층(24)의 각 블록의 변색/퇴색효과와 속도를 조절하여, 전기변색 모듈(2)의 여러 가지 응용에 대비한다.
도 5는 전기변색층이 복수 제공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고,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이온층(24)을 접지하여 전압차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1 도전소자(211)는 전자를 전기변색층(23)으로부터 발출하거나 또는 제공하고, 이온층(24)으로부터의 전자 제공에 의해, 전기변색층(23)에 산화 또는 환원반응을 유발시켜, 퇴색 또는 변색을 절환한다. 또한, 광격자로서 전기변색층(23)을 복수 제공하는 것에 의해,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도 6 내지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제1 도전소자와 전기변색층이 복수 제공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도전소자(211)와 전기변색층(23)을 복수 제공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수요에 따라서, 각 제1 도전소자(211)에 정과 부의 전압(도 9, 도10에 도시함)을 제공하여, 각 위치에 대응된 전기변색층(23)과 이온층(24)을 각 블록의 변색/퇴색효과와 속도를 조절하고, 형성되는 광격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화상 코딩하기 위한 모아레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이외에, 다양한 생산 프로세스에 의해, 각각의 설치양태가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한, 제1 도전소자가 복수의 수용 홈에 제공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전기변색 모듈의 입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도전소자(211), 전기변색층(23)과 이온층(24) 모두 복수 제공되어 있는 이외에, 이온층(24)은 용액 상태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도전소자(211)를 각각 수용 홈에 형성시켜, 이온층(24)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격납하여 둔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관한, 제1 도전소자를 복수 제공하여 배리어 로 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전기변색 모듈의 상시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전기변색 모듈의 입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에 있어서는, 제1 도전소자(211), 전기변색층(23),이온층(24)이 복수 제공되어 있는 이외에, 이온층(24)은 용액 상태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도전소자(211)를 각각에 구획하여 두어, 이온층(24)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격납하여 둔다. 제1 도전소자(211)는 각각 순서를 따라서, 정과 부의 전압을 제공하여 전압차를 형성한 다음, 전자의 발출 또는 제공이 실시된다.
도 16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 7을 설명한다. 도 16은, 제1 도전소자, 전기변색층과 이온층을 복수 제공하고, 그 사이에 배리어 유닛을 제공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온층(24)은 용액 형태이기 때문에, 이온층(24)을 복수 제공할 때는, 그의 사이는 또한 배리어 유닛(25)을 제공하여 각각 구획하여 두어, 이온층(24)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격납하여 둔다. 배리어 유닛(25)은 예컨대,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마찬가지로 이온층(24)을 접지시켜, 제1 도전소자(211)로부터 정과 부의 전압을 제공하여 전압차를 형성한 다음, 전자의 발출 또는 제공이 실시된다.
도 17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 기판(21)에는 적어도 1개의 제1 도전소자(211)가 제공되고, 제1 도전소자(211)는 정의 전압만을 제공하며, 전기변색층(23)은 전술한 각 실시예와 상이하게 복수 제공되어 있고, 전기변색층(23)은 전극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전기변색층(23)에 부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은 실시양태에서, 전기변색 재료 자체가 도전과 변색 기능을 지니고, 예컨대 폴리아닐린 등의 도전 고분자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의 전기변색 모듈은 또한 제2 기판의 하부표면에 제공되는 적어도 1개의 제2 도전소자를 구비한다. 제2 도전소자는 각각 1개 또는 복수의 형태로, 도 3 내지 도 16의 전기변색 모듈에 제공되어, 전위차를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각 실시예에서, 이온층을 접지할 필요가 없다. 또 다른 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 참조적으로 몇 개의 실시양태를 설명한다.
도 18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 9를 설명한다. 도 18은 또한 제2 도전소자를 구비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변색 모듈(1)은 또한 제2 기판(22)의 하부표면에 제공되는 적어도 1개의 제2 도전소자(22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도전소자(221)는 1개만이 설치되며, 제2 도전소자(221)를 다른 1개의 측면에 제공하는 것에 의해, 제1 도전소자(211)와 제2 도전소자(221)는 전자의 제공 또는 발출속도가 가속되어, 전기변색층(23)과 이온층(24)의 변색/퇴색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9를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 10을 설명한다. 도 19는, 도 9의 제2 기판의 하부에 또한 제2 도전소자를 구비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20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 11을 설명한다. 도 20은, 도 10의 제2 기판의 하부에 또한 제2 도전소자를 구비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도전소자(221)는 1개 만이 설치되며, 제1 도전소자(211)로부터 정과 부의 전압을 교차하여 제공하고, 제2 도전소자(221)로부터 정의 전압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전자는 정전압의 견인에 의해 이동하여, 전자의 활동범위가 제한되어, 이온층(24)의 변색/퇴색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21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 12를 설명한다. 도 21은, 제1 도전소자와 제2 도전소자를 복수 제공하고, 순서를 따라서 배리어로 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전기변색 모듈의 상시도이며, 도 23은, 도 21의 전기변색 모듈의 입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는 도 13과 유사하다. 도 13에서는 제1 도전소자(211) 만을 배리어로서 사용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리어인 제1 도전소자(211)와 배리어인 제2 도전소자(221)를 교차하여 이온층(24) 사이에 제공하여, 새어나가지 않도록 구획하여 둔다.
상술한 각 실시예의 개념은, 전장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이온층(24)을 구획하여두고, 변색에 의한 영상의 크로스 토크(cross talk)를 피한다. 상술한 각 실시예는 인터디지털형 전극(Interdigitated electrod, IDE)이다. 예를 들면, 제1 도전소자(211)와 제2 도전소자(221)를 교차하여 배열한 다음, 각각 정과 부의 전극을 인가하면, 이온층(24)이 변색할 때의 위치는 유효하게 제2 도전소자(221)의 부극으로 제한된다.
상기 전기변색 모듈(2)에서 제1 기판(21), 제1 도전소자(211), 제2 기판(22), 제2 도전소자(221), 전기변색층(23)과 이온층(24)을 포함하고 각 조성 소자의 재료는 모아서 후술한다.
제1 기판(21)과 제2 기판(22)의 재료는 플라스틱, 고분자 플라스틱, 유리 또는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PP), 폴리스티렌(Poly Stylene, PS),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부터 조합시키는 플라스틱 중합체의 어느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제1 도전소자(211)와 제2 도전소자(221)의 재료는 인듐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 산화아연(Indium Zinc Oxide, IZO), 알루미늄첨가 산화아연(Al-Doped ZnO, AZO)과 산화 안티몬주석(Antimony Tin Oxide, ATO)으로부터 조합시키는 불순물 도프 산화물(Impurity-Doped Oxides) 그룹의 어느 것 또는 카본 나노튜브(Carbon nanotube),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등의 도전 고분자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전기변색층(23)은 유기 전기변색 재료, 무기 전기변색 재료, 전이금속 산화물, 전이금속 화합물, 또는 전이금속 화합물과 유기 전기변색 재료의 복합재로부터 선택하고, 설치 방법은 예를 들면, 졸겔법(sol-gel), 진공 스퍼터링(sputtering), 전기 도금(plating)법, 스크린 인쇄, 뿜어서칠하기, 양극산화법(Anodizing), 광중합법(photopolymerization), 레이저 식각법, 전기영동법 또는 전기화학 합성증착 등의 방법이 있다.
상술한 유기 전기변색 재료는 비피리딜(bipyridyls), 비올로겐(Viologen),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테트라티아풀발렌(Tetrathiafulvalene) 또는 피라졸론(pyrazolone) 산화 환원형 화합물과 그의 파생물, 또는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3-알킬티오펜(Poly-3-alkylthiophene), 폴리푸란(Polyfuran), 폴리페닐렌(Polyphenylene), 방향족 폴리아미드/폴리이미드 또는 폴리페닐렌비닐렌(Polyphenylenevinylene) 도전 중합물과 그의 파생물, 또는 폴리금속 착화합물과 그의 파생물, 또는 전이금속과 란탄계 원소의 배위자 착화합물과 그의 파생물, 또는 금속 프탈로시아닌과 그의 파생물, 또는 페로센(Ferrocene), 철의 티오시아닌산염[ion(III) thiocyanate]을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헥사시아노철산염(hexacyano ferrate)을 테트라시아노퀴논에 용해시키고, 또는 테트라티온산염을 시아노메탄에 용해시킨다.
전이금속 화합물은 산화 크롬(Cr2O3), 산화 니켈(NiOx), 산화 이리듐(IrO2), 산화 망간(MnO2), 수산화니켈 [Ni(OH)2]과 오산화 탄탈(Ta2O5)로부터 조합시키는 양극착색(anodic coloration) 전이금속 산화물 그룹의 어느 것, 또는 산화텅스텐(WO3), 산화 몰리브덴(MoO3), 산화 니오브(Nb2O3), 산화티탄(TiO2), 티탄산 스트론튬(SrTiO3) 및 오산화탄탈(Ta2O5)로부터 조합시키는 음극착색(cathodic coloration) 전이금속 산화물의 어느 것을 선택한다. 또는 산화 바나듐(V2O2), 산화 로듐(Rh2O3) 및 산화 코발트(CoOx)로부터 조합시키는 음/양극착색(cathodic/anodic coloration) 전이금속 산화물 그룹의 어느 것을 선택한다.
전이금속 화합물은 페로시안화 제2철 (Fe4[Fe(CN)6]3)이다.
무기 전기변색 재료는 Li, K, Mg, Cr, Cu 또는 Ba 도핑된 C60 필름이다.
이온층(24)의 유기재료는 산화 환원 지시약(Redox Indicator) 또는 산염기 지시약(acid-base indicator)이다. 산화 환원 지시약(Redox Indicator)은 1종의 산화 환원 적정에 사용하는 지시약이고, 특정의 전극 전위에서, 현저한 색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통상은, 자체가 산화 환원 성질을 갖는 유기시약으로서, 산화형과 환원형에는 다양한 색을 가지며, 금속 유기 배합물, 유기의 산화 환원 계통의 2종류는 자주 볼 수 있는 타입이다. 대부분의 산화 환원 지시약과 유기 산화 환원 계통 모두 프로톤(즉, H+)이 전기화학반응의 참여물로 되어 있다. 이 특성에 의해, 산화 환원 지시약도 pH 의존의 산화 환원 지시약, pH를 의존하지 않는 산화 환원 지시약 2종류로 나눌 수 있다. pH를 의존하지 않는 산화 환원 지시약은, 2,2'-비피리딘 착이온, 5-니트로페난트롤린제1철 착체, N-페닐안트라닐산, 1,10-페난트롤린의 철(II) 착체, 브릴리언트블루, 파라코트, 2,2'-비피리딘 착이온, 5,6-디메틸페난트롤린 제1철 착체, 3,3'-디메톡시벤지딘, 디페닐아민술폰산 나트륨, N,N'-디페닐벤지딘, 디페닐아민, 메틸비올로겐 등이 있고, 단 일부의 지시약에 독성이 있다. 한편, pH 의존의 산화 환원 지시약은, 디클로로페놀인도페놀 나트륨, 인디고 나트륨 O-크레졸, 티오닌, 메틸렌블루, 인디고테트라술폰산, 인디고 트리술폰산, 인디고칼민, 인디고술폰산, 페놀사푸라닌 O, 사푸라닌 T, 뉴트랄 레드 등이 있다. 산염기 지시약(acid-base Indicator)은 pH값을 측정하기 위한 화학시약이고, 약산성 또는 약알칼리성을 띠고, 색소가 포함되어 있다. 용액에 적정하면, 색소는 수소이온 또는 수산화물 이온과 결합되어, 상응하는 산성 또는 알칼리성으로 전환되어, 다양한 색이 나타난다. 산염기 지시약은 각각의 pH값의 용액에 가역성의 색변화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중화분석에서, 반응의 종점이 지시되는 이외에, 피시험액체의 pH값을 측정할 수 있다. 실험실에 자주 사용되고 있는 산염기 지시약은 페놀술포프탈레인, 콩고레드, 메틸오렌지, 페놀프탈레인, 티몰 블루, 리트머스, 메틸바이오레드, 마라카이토그린, p-디메틸아미노아조벤젠, 브로모페놀블루, 브롬크레졸그린, 메틸적색, 브로모크레졸퍼플, 브로모티몰블루, 티몰프탈레인(Tymolphthalein), 아리자린에로-R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이온층의 바람직한 산화 환원 지시약은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 C16H18ClN3S·3H2O), 디클로로페놀인도페놀나트륨(Dichlorophenolindophenol sodium, C12H6Cl2NNaO2), N-페닐안트라닐산(C13H11NO2), 디페닐아민술폰산 나트륨(C12H10NNaO3S), N,N'-디페닐벤지딘(N,N'-Diphenylbenzidine, C20H20N2) 또는 메틸비올로겐(Methyl Viologen)이다. 바람직한 산염기 지시약은 바리아민 B 디아조늄 염(Variamine Blue B Diazonium salt, C13H12ClN3O)이다.
이온층(24)의 무기재료는 무기 파생물이다.
무기 파생물은 할로겐족(VIIA), 산소족(VIA), 질소족(VA), 카본족(IVA), 붕소족(IIIA), 알칼리토류(IIA) 또는 알칼리 금속족(IA) 또는 전이원소의 산화물, 황화물, 염화물 또는 수산화물이다.
전이원소는 스칸듐 아족(IIIB), 티타늄 아족(IVB), 바나듐 아족(VB), 크롬 아족(VIB), 망간 아족(VIIB), 철족(VIII), 구리 아족(IB), 아연 아족(IIB), 또는 백금족(VIII)이다.
전술한 종류는 이하와 같이 예시한다.
할로겐족(VIIA):
고체: I2 암자색; IC1 암적색; IBr 진한 회색; IF3 황색; ICl3 오렌지색; I2O5 백색; I2O4 황색 (이온 결정); I4O9 황색(이온 결정).
산소족(VIA):
고형(Solid): S 레몬색; Se 회색, 다색; Te 무색 금속광택; Na2S, (NH4)2S, K2S, BaS 백색, 가용성; ZnS 백색 ↓; MnS 피부색 ↓; FeS 흑색 ↓; PbS 흑색 ↓; CdS 황색↓; Sb2S3 탄제린색 ↓; SnS 다색 ↓; HgS 흑색(침전), 적색(진사); Ag2S 흑색 ↓; CuS 흑색 ↓; Na2S2O3 백색; Na2S2O4 백색; SeO2 백색, 휘발하기 쉽다; SeBr2 적색; SeBr4 황색; TeO2 백색 과열에 의해 황색으로 변한다; H2TeO3 백색; TeBr2 다색; TeBr4 오렌지색; TeI4 진한 회색; PoO2 저온 황색(면심입방), 고온적색(사방); SO3 무색; SeO3 무색 습기에 의해, 해리되기 쉽다; TeO3 오렌지색; H6TeO6 무색.
질소족(VA):
고형: 암모늄염, 무색 금속; 질화금속 백색; N2O3 청색(저온); N2O5 백색; P 백색, 적색, 흑색; P2O3 백색; P2O5 백색; PBr3 황색; PI3 다홍; PCl5 무색; P4Sx 황색; P2S3 회황색; P2S5 황색; H4P2O7 무색 글래스상; H3PO2 백색; As 회색; As2O3 백색; As2O5 백색; AsI3 적색; As4S4 적색(웅황); As4S6 황색(석황); As2S5 레몬색; Sb 은백; Sb(OH)3 백색 ↓; Sb2O3 백색 (텔루르 백색, 안료); Sb2O5 레몬색 SbX3 (X < > I) 백색; SbI3 적색; Sb2S3 탄제린 ↓; Sb2S5 오렌지색; Bi 은백적색 기색; Bi2O3 레몬색; Bi2O5 적다색; BiF3 회백; BiCi3 백색; BiBr3 황색; BiI3 흑 ↓; Bi2S3 암갈흑색.
카본족(IVA):
고형: C(금강석) 무색투명; C(흑연) 흑금속 광택; Si 짙은 회색금속 광택; Ge 담회백색; Sn 은백색; Pb 짙은 회색; SiO2 무색 투명; H2SiO3 무색 투명 글루 ↓; Na2SiF6 백색결정; GeO 흑색; GeO2 백색; SnO 흑색; SnO2 백색; Sn(OH)2 백색 ↓; PbO 황색 또는 황색 비슷한 색; Pb2O3 오렌지색; Pb3O4 적색; PbO2 다색; CBr4 레몬색; CI4 핑크색; GeI2 오렌지색; GeBr2 황색; GeF4 백색; GeBr4 담회백색; GeI4 황색; SnF2 백색; SnCl2 백색; SnBr2 레몬색; SnI2 오렌지색; SnF4 백색; SnBr4 무색; SnI4 적색; PbF2 무색 ↓; PbCl2 백색 ↓; PbBr2 백색; PbI2 금색; PbF4 무색; GeS 적색; GeS2 백색; SnS 다색 ↓; SnS2 금색 (속칭 "금분") ↓; PbS 흑색 ↓; PbS2 적다색; Pb(NO3)2 무색; Pb(Ac)2·3H2O 무색 결정; PbSO4 백색 ↓; PbCO3 백색 ↓; Pb(OH)2 백색 ↓; Pb3(CO3)2(OH)2 연백색 ↓; PbCrO4 산취색 ↓.
붕소족(IIIA):
고형: B(정형이 없음) 다색 분말; B(결정) 흑회; Al 은백색; Ga 은백색 (액화되기 쉬움); In 은회색; Tl 은회색; B2O3 글래스상; H3BO3 무색편상; BN 백색; Na2B4O7·10H2O 백색 결정; Cu(BO2)2 청색 ↓; Ni(BO2)2 녹색↓; NaBO2·Co(BO2)2 청색↓; NaBO2·4H2O 무색결정; 무수 NaBO2 황수정; Al2O3 백색결정; AlF3 무색; AlCl3 백색; AlBr3 백색; AlI3 종려나무색; Al(OH)3 백색 ↓; Ga2O3 백색 ↓ Ga(OH)3 백색 ↓; GaBr3 백색; GaI3 황색; In2O3 황색; InBr3 백색; InI3 황색; TlOH 황색; Tl2O 흑색; Tl2O3 암갈흑색; TlCl 백색↓; TlBr 담황색 ↓; TlI 황색 ↓ (은색에 가깝다); TlBr3 황색; TlI3 흑색.
알칼리토류금속(IIA):
단순물질: 은백색
화염색: Ca 브릭 레드; Sr 마젠타; Ba 녹색.
산화물: 전부 백색 고체.
수산화물: 백색 고체 Be(OH)2 ↓, Mg(OH)2 ↓.
염: 거의 무색 또는 백색 결정체; BeCl2 담황색; BaCrO4 황색 ↓; CaF2 백색 ↓.
알칼리 금속(IA):
단순물질: 은백색
화염색: Li 적색; Na 황색; K 자색; Rb 마젠타; Cs 마젠타.
산화물, 과산화물, 초산화물, 오존화물: Li2O 백색; Na2O 백색; K2O 레몬색; Rb2O 산취색; Cs2O 등적색; Na2O2 레몬색; KO2 오렌지색; RbO2 탄 다색; CsO2 암황회색; KO3 시트러스 레드.
수산화물: 백색, LiOH 백색 ↓.
염: 대부분이 무색 또는 백색 결정, 또 물에 용해되기 쉽다.
불용성 염류 ↓ (주기가 없는 것은 전부 백색 결정이다): LiF Li2CO3 Li3PO4 LiKFeIO6 Na[Sb(OH)6] NaZn(UO2)3 (Ac)9·6H2O 황록색; M = K, Rb, Cs M3[Co(NO2)6] 산취색; MBPh4 MClO4 M2PtCl6 레몬색; CsAuCl4.
구리 아족(IB):
단순물질: Cu 마젠타 또는 암적색; Ag 은백색; Au 금색.
구리 화합물: 화염색 녹색; CuF 적색; CuCl 백색 ↓; CuBr 황색 ↓; CuI 다황색 ↓; CuCN 백색 ↓; Cu2O 암적색; Cu2S 흑색; CuF2 백색; CuCl2 다황색 (용액은 황록색); CuBr2 다황색; Cu(CN)2 다황색; CuO 흑색 ↓; CuS 흑색 ↓; CuSO4 무색; CuSO4·5H2O 청색; Cu(OH)2 라이트 블루 ↓; Cu(OH)2·CuCO3 흑록색; [Cu(H2O)4]2+ 청록색; [Cu(OH)4]2- (푸른 기운가 있었다) 자색; [Cu(NH3)4]2+ 진한 청색; [CuCl4]2- 황색; [Cu(en)2]2+ 진한 청자색; Cu2[Fe(CN)6] 적다색; 알킬렌 구리 적색 ↓.
은화합물: AgOH 백색 (상온은 분해한다); Ag2O 흑색; AgOH 다황색(Ag2O 혼입); 프로테인은(AgNO3을 물에 적하한다) 흑색 ↓; AgF 백색; AgCl 백색 ↓; AgBr 레몬색 ↓; AgI 황색 ↓(교질); Ag2S 흑색 ↓; Ag4[FeCN)6] 백색 ↓; Ag3[Fe(CN)6] 백색 ↓; Ag+, [Ag(NH3)2]+, [Ag(S2O3)2]3-, [Ag(CN)2]- 무색.
금화합물: HAuCl4·3H2O 산취색 결정; KAuCl4·15H2O 무색 편상 결정; Au2O3 흑색; H[Au(NO3)4]·3H2O 황색결정; AuBr 회황색 ↓; AuI 레몬색 ↓.
아연 아족(IIB):
단순물질: 전부 은백색, Hg는 수용액에 침전되어 흑색으로 된다.
▲진(辰)▼ (아연) 화합물: ZnO 백(▲진▼ (아연) 백안료) ↓; ZnI2 무색; ZnS 백색 ↓; ZnCl2 백색 결정체 (용해도가 극히 크고, 수용액은 산성); K3Zn3 [Fe(CN)6] 백색; Zn3[Fe(CN)6]2 황갈색.
카드뮴 화합물: CdO 다회색 ↓; CdI2 황색; CdS 황색 (카드뮴 황색안료) ↓; HgCl2 (승홍) 백색; HgNH2Cl 백색 ↓; Hg2Cl2 (감홍) 백색 ↓.
수은화합물: HgO 적색(거친 입자) 또는 황색(작은 입자) ↓; HgI2 적색 또는 황색 (미미하게 용해); HgS 흑색 또는 적색 ↓; Hg2NI·H2O 적색 ↓; Hg2(NO3)2 무색 결정.
ZnS 형광체: Ag 청색; Cu 황록색; Mn 오렌지색.
티타늄 아족(IVB):
티타늄 화합물: Ti3 + 마젠타; [TiO(H2O2)2]2+ 오렌지색; H2TiO3 백색 ↓; TiO2 백색 (아연화안료) 또는 핑크 (루틸) ↓; (NH4)2TiCl6 황색 수정; [Ti(H2O)6]Cl3 자수정; [Ti(H2O)5Cl]Cl2·H2O 녹색 수정; TiCl4 무색발연액체.
지르코늄, 하프늄: MO2, MCl4 백색
바나듐 아족(VB):
바나듐 화합물: V2 + 자색; V3 + 녹색; VO2 + 청색; V(OH)4- 황색; VO4 3 - 황색; VO 흑색; V2O3 진한 회색; V2S3 다흑색; VO2 청색 고체; VF4 녹색 고체; VCl4 진한 다색액체; VBr4 마젠타 액체; V2O5 황색 또는 브릭 레드; 수합 V2O5 다적색; 포화 V2O5 용액(미미하게 용해) 레몬색; [VO2(O2)2]3- 황색; [V(O2)3]3- 적다색.
응축 바나듐산염: 바나듐 산소 원자 수의 감소에 따라서, 담황색 ~ 진한 홍색 ~ 담황색으로 변색한다.
니오브, 탄탈: 생략.
크롬 아족(VIB):
크롬화합물: Cr2 + 청색, Cr3 + 자색, Cr2O72 - 등적색, CrO4 2 - 황색, Cr(OH)4- 진한 녹색; Cr(OH)3 납두색; Cr2O3 녹색, CrO3 암적침상, [CrO(O2)2]OEt2 청색, CrO2Cl2 암적색 액체, Na2Cr2O7, K2CrO7 등적색, Ag2CrO4 브릭 레드 ↓; BaCrO4 황색↓; PbCrO4황색 ↓.
마젠타 Cr2(SO4)3·18H2O →→ 녹색 Cr2(SO4)3·6H2O →→ 핑크색 Cr2(SO4)3
암녹색[Cr(H2O)4Cl2]Cl -- 냉각 HCl →→ 자색 [Cr(H2O)6]Cl3 -- 에테르 HCl →→ 옅은 녹색 [Cr(H2O)5Cl]Cl2
[Cr(H2O)6]3+ 자색 [Cr(H2O)4(NH3)2]3+ 마젠타, [Cr(H2O)3(NH3)3]3+ 복숭아색, [Cr(H2O)2(NH3)4]3+ 등적색, [Cr(NH3)5H2O]3+ 오렌지색, [Cr(NH3)6]3+ 황색.
몰리브덴, 텅스텐; MoO3 백색; 다색 MoCl3; 녹색 MoCl5; MoS3 다색 ↓; (NH4)3[P(Mo12O4O)]·6H2O 황색결정상 ↓; WO3 암황색; H2WO4·xH2O 백색교질.
망간 아족(VIIB):
망간화합물: Mn2 + 육홍; Mn3 + 자홍; MnO4 2 - 녹색; MnO4 - 자색; MnO3 + 진한 녹색; Mn(OH)2 백색 ↓; MnO(OH)2 다색 ↓; MnO2 흑색 ↓; 황산망간 (MnSO4) 백색 결정체;망간염 육수화물 (MnX2·6H2O, X = 할로겐 NO3, ClO4) 핑크색; MnS·nH2O 피부색 ↓; 무수 MnS 진한 녹색; MnCO3 백색 ↓; Mn3(PO4)2 백색 ↓; KMnO4 마젠타; K2MnO4 녹색; K2[MnF6] 금색 결정체; Mn2O7 다색 유상 액체.
테크네튬, 레늄: 생략
철 족(제4 주기 VIII 족):
철 화합물: Fe2 + 담녹색; [Fe(H2O)6]3+ 등나무색; [Fe(OH)(H2O)5]2+ 황색; FeO4 2- 마젠타; FeO 흑색; Fe2O3 암적색; Fe(OH)2 백색 ↓; Fe(OH)3 적갈색 ↓; FeCl3 또는 FeCl2 결정 적갈색 청색; 무수 FeSO4 백색; FeSO4·7H2O 녹색; K4[Fe(CN)6] (황혈염) 황색결정; K3[Fe(CN)6] (적혈염) 적색결정; Fe2[Fe(CN)6] 페로시아닌화 제2철 ↓; Fe[Fe(CN)6] 흑색↓; Fe(C5H5)2 (페로센) 오렌지색 결정; M2Fe6(SO4)4(OH)12 (쟈로사이트, M = NH4, Na, K) 담황색 결정; Fe(CO)5 황색액체.
코발트 화합물: Co2 + 핑크색; CoO 회록색; Co3O4 흑색; Co(OH)3 다색 ↓; Co(OH)2 핑크색 ↓; Co(CN)2 적색; K4[Co(CN)6] 자색결정; Co2(CO)8 황색결정; [Co(CN)6]4- 자색;
염화코발트 탈수 변색: 핑크색 CoCl2·6H2O-- 325K -->마젠타 CoCl2·2H2O -- 313K--> 청자색 CoCl2·H2O-- 393K--> 청색 CoCl2.
니켈 화합물: Ni2 + 진한 녹색; [Ni(NH3)6]2+ 자색; Ni(OH)2 녹색 ↓; Ni(OH)3 흑색 ↓; 무수 Ni(II) 염 황색; Na2[Ni(CN)4] 황색; K2[Ni(CN)4] 오렌지색; Ni(CO)4 무색 액체.
백금계 원소 (제5, 제6 주기 VIII족):
Os 청회색의 휘발하기 쉬운 고체; Pd ↓ (aq) 흑색; OsO4 무색, 특수 냄새가 나는 기체; H2PtCl6 등적색 결정; Na2PtCl6 오렌지색 결정; M2PtCl6 (M = K, Rb, Cs, NH4) 황색 ↓.
이온층(24)의 적합한 무기재료는 염화제1철(FeCl2), 염화제2철(FeCl3), 삼염화티탄(TiC13), 사염화티탄(TiC14), 염화비스무트(Bismuth chloride, Bicl3), 염화 구리(Copper Chloride, CuCl2) 또는 브롬화 리튬(Lithium Bromide, LiBr)을 사용한다.
이온층(24)은 또한 1종 이상의 비활성 도전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 염은 리튬, 나트륨 또는 테트라알킬아민 염을 포함하여도 좋다. 상술한 도전 염에 적합한 음이온, 특히 금속염의 산화환원의 활성, 무색의 음이온은 테트라플루오로붕산이온(tetrafluoroborate ion), 테트라페닐붕산 이온(Tetraphenylborate ion, TPB), 붕산 트리페닐시안화 이온(triphenyl borate cyanide ion), 테트라메톡시붕산 이온(tetramethoxy borate ion), 과염소산 이온(perchlorate ion), 염화물 이온(chloride ion), 질산이온(nitrate ion), 황산 이온(sulfuric ion), 인산 이온(phosphate ion), 메탄술폰산 이온(methane sulfonate ion), 에탄술폰산 이온(ethane sulfonate ion), 테트라데칸술폰산 이온(tetradecane sulfonate ion), 펜타데칸 술폰산 이온(pentadecane sulfonate ion), 플루오로포름 술폰산 이온(fluoroform sulfonate ion), 퍼플루오로부탄 술폰산 이온 (perfluorobutane sulfonate ion), 퍼프루오로옥탄 술폰산 이온(perfluorooctane sulfonate ion), 벤젠술폰산 이온(benzenesulfonic acid ion), 클로로벤젠술폰산 이온(chlorobenzene sulfonate ion), 톨루엔술폰산 이온(toluene sulfonate ion), 부틸벤젠 술폰산 이온(butyl benzene sulfonate ion), 제3 부틸 술폰산 이온(tertiary butyl sulfonate ion), 도데카 벤젠 술폰산 이온(dodeca benzene sulfonate ion), 벤제닐 트리플루오로라이드 술폰산 이온(benzenyl trifluoride sulfonate ion), 헥사플루오로인산 이온(hexafluorophosphate ion), 헥사플루오로비산염 이온(hexafluoro arsenate ion), 헥사플루오로규산 이온(hexafluoro silicate ion) 등을 사용한다.
이온층(24)의 용매는 디메틸술폭사이드 [(CH3)2SO], 탄산 프로필렌 (C4H6O3), 물(H2O), γ-부티로락톤, 아세토니트릴, 시안화에틸, 벤조니트릴, 글루타로니트릴, 메틸글루타로니트릴, 3,3'-옥시디프로피오니트릴, 히드록시프로피오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민, N-메틸피롤리딘케톤, 술폴란, 3-메틸술폴란 또는 그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이온층(24)을 보조 변색 또는 다른 1개의 변색층일 때, 변색기제는 예컨대 이염화철(FeCl2) 및 메틸렌블루를 디메틸술폭사이드(DMSO)에 용해시켜, 상호보완체계의 전기변색 용액을 형성한다. 이염화철 결정입자의 색은 청색(Fe2 +는 청색임)이고, 표면 산화에 의해 적다색(Fe3+은 담황색이다)으로 되고, 이염화철을 용매에 용해시키면, 산화를 유발하여 Fe2 + 로부터 Fe3 + 로, 용액은 담황색으로 된다. 제1 투명도전소자(211)로부터 전자가 제공되고, 제1 투명 도전소자(211)의 메틸렌블루 분자는 전자를 획득하여 환원반응을 유발하는 것에 의해, 메틸렌블루가 유리기로 변하고, 외부의 전압을 제거하면, Fe2 + 와 메틸렌블루 유리기의 전위차가 상이하기 때문에, 전자는 자주적으로 유리기로부터 Fe3 +로 전송되어, 담황색 Fe3 + 는 청색 Fe2 + 로 환원된다. 계속하여, 이온층(24) 전체는 환원에 의해 이온가가 변화되고, 담황색으로부터 청색으로 변색되어, 색을 깊게 하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전기변색 용액의 농도, 전위차, 용매의 극성, pH 값, 양 극간의 거리 및 결합하는 전계 수의 수치 조정에 의해 이온층(24)의 색표시 효과를 억제할 수 있다.
더욱 좋은 효과를 목표로 하기 위하여, 전기변색 그리드의 색은 흑색, 짙은 회색, 암갈색 또는 암갈색, 또 20% 이하의 광투과율이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짙은 색맞춤을 실시하기 위하여 전압을 높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기변색층(23)의 수명이 저하된다. 이 때문에, 전기변색층(23)과 이온층(24)의 상호보완 변색방식 및 상이한 색으로 RGB를 혼합하는 개념을 기초로 하여, 구동전압을 저하시켜도 짙은 색의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전술한 흑색, 짙은 회색, 암갈색 또는 암갈색 등의 짙은 색의 차광 효과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전기변색층을 적층으로 설치시켜, 보색 방식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24, 본 발명 실시예 13에 2층의 전기변색층이 적층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를 참조한다. 전기변색층(23)의 표면에는 또한 다른 1개의 전기변색층(231)이 제공되어 있다. 예컨대 이온층(24)에 페노티아진(phenothiazine) 용액형의 전기변색 재료를 갖고, 착색태는 녹색이다. 전기변색층(23)이 산화 코발트(CoOx)일 때, 착색태는 적색이다. 전기변색층(231)이 페로시아닌화 제2철(Fe4[Fe(CN)6]3)일 때, 착색태는 청색 또는 다색이다. 녹색, 적색과 청색 3원색의 혼합에 의해 차광 효과를 실현한다. 또는 전기변색층(23)과 전기변색층(231)은 페로시안화 제2철(Fe4[Fe(CN)6]3)과 오산화 바나듐(V2O5)으로부터 선택되고, 오산화 바나듐의 착색태는 회색이고, 짙은 감색과 회색의 혼합에 의해 차광효과를 실현한다. 또는 페로시안화제2철(Fe4[Fe(CN)6]3)과 Fe4[Ru(CN)6]3 을 선택하고, (Fe4[Ru(CN)6]3)의 착색태는 자색이고, 청색과 자색의 혼합에 의해 차광효과를 실현한다.
도 25를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 14를 설명한다. 도 25는 3층의 전기변색층이 적층된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앞의 실시예 13의 전기변색층(231)의 표면에 다른 1개의 전기변색층(232)이 제공되어 있다. 다층의 전기변색재료의 색변화를 이용하여, 혼색현상을 형성하여, 짙은 색의 차광효과를 실현한다.
도 26, 도 27은 실시예 13, 14에 각각 실시예 6을 결합한 설계 양태의 전기변색 모듈의 개략도이다.
이들의 도는 예시에 불과하다. 전기변색층의 다층구조의 설계는 전술한 각 전기변색 모듈의 어느 것의 양태를 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28을 기초로 본 발명 실시예 15를 설명한다. 도 28은 복수의 전기변색 모듈이 영상표시 모듈에 제공된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평면상과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표시 모듈(3), 영상표시 모듈(3)의 표면에 제공된 복수의 전기변색 모듈(2)을 구비한다. 전기변색 모듈(2)의 구조는 전술하는 각 전기변색 모듈의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입체영상을 표시할 때, 부의 전압을 전기변색 모듈(2)에 인가시켜, 변색에 의해 광격자로서 사용되며, 우측눈과 좌측눈이 각각 상이한 영상을 시청하고, 시차를 형성한 다음 뇌 내에서 입체영상으로 융합된다. 평면상을 표시할 때, 정의 전압을 전기변색 모듈(2)에 인가하여 퇴색시키고, 광격자를 취소하면 좋다.
또는 도 29에 도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도 29를 기초로, 본 발명 실시예 16을 설명한다. 도 29는 도 16의 전기변색 모듈을 영상표시 모듈로 제공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평면상과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표시 모듈(3), 영상표시모듈(3)의 표면에 제공되는 복수의 전기변색 모듈(2)을 구비한다. 전기변색 모듈(2)의 구조는 전술한 복수의 전기변색 모듈(23)을 구비하는 각 전기변색 모듈의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입체영상을 표시할 때, 부의 전압을 전기변색 모듈(2)에 인가시켜, 각 전기변색층(23)이 변색에 의해 광격자로서 사용되며, 우측눈과 좌측눈이 각각 상이한 영상을 시청, 시차를 형성한 다음 뇌 내에서 입체영상으로 융합된다. 평면상을 표시할 때, 정의 전압을 전기변색 모듈(2)에 인가하여 전기변색층(23)을 퇴색시켜 광격자를 취소하면 좋다.
이상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고, 본 발명의 실시범위에 제한을 가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에게 숙지된 것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어떠한 효과 또는 간단 변화와 수식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전기변색 모듈
11 제1 기판
111 제1 도전소자
12 제2 기판
121 제2 도전소자
13 전기변색층
14 전해질층
15 보조변색층
2 전기변색 모듈
21 제1 기판
211 제1 도전소자
22 제2 기판
221 제2 도전소자
23 전기변색층
231 전기변색층
232 전기변색층
24 이온층
25 배리어 유닛
3 영상 표시 모듈

Claims (8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상부표면에 적어도 1개의 제1 도전소자가 설치되는 제1 기판;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의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에 설치되며, 재료는 적어도 1개의 유기재료와 적어도 1개의 무기재료를 혼합하고, 용매에 용해시켜서 제조하는 적어도 1개의 이온층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도전소자와 상기 전기변색층이 복수 개 있을 때, 상기 제1 도전소자는 정과 부의 전압을 교차하여 제공하고, 상기 전기변색층에 각각 수용 홈을 형성하여 부의 전압을 띠는 상기 제1 도전소자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모듈.
  6. 상부표면에 적어도 1개의 제1 도전소자가 설치되는 제1 기판;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의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에 설치되며, 재료는 적어도 1개의 유기재료와 적어도 1개의 무기재료를 혼합하고, 용매에 용해시켜서 제조하는 적어도 1개의 이온층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도전소자와 상기 전기변색층이 복수 개 있을 때, 상기 제1 도전소자는 정과 부의 전압을 교차하여 제공하고, 상기 전기변색층은 각각 부의 전압을 띠는 상기 제1 도전소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모듈.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상부표면에 적어도 1개의 제1 도전소자가 설치되는 제1 기판;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의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에 설치되며, 재료는 적어도 1개의 유기재료와 적어도 1개의 무기재료를 혼합하고, 용매에 용해시켜서 제조하는 적어도 1개의 이온층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도전소자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기판의 하부표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의 제2 도전소자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도전소자와 상기 전기변색층이 복수 개 있을 때, 상기 제1 도전소자는 정과 부의 전압을 교차하여 제공하고, 상기 제2 도전소자는 정의 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전기변색층에 각각 수용 홈을 형성하여 부의 전압을 띠는 상기 제1 도전소자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모듈.
  12. 상부표면에 적어도 1개의 제1 도전소자가 설치되는 제1 기판;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의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에 설치되며, 재료는 적어도 1개의 유기재료와 적어도 1개의 무기재료를 혼합하고, 용매에 용해시켜서 제조하는 적어도 1개의 이온층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도전소자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기판의 하부표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의 제2 도전소자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도전소자와 상기 전기변색층이 복수 개 있을 때, 상기 제1 도전소자는 정과 부의 전압을 교차하여 제공하고, 상기 제2 도전소자는 정의 전압을 제공하며, 상기 전기변색층은 각각 부의 전압을 띠는 상기 제1 도전소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모듈.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상부표면에 적어도 1개의 제1 도전소자가 설치되는 제1 기판;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의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에 설치되며, 재료는 적어도 1개의 유기재료와 적어도 1개의 무기재료를 혼합하고, 용매에 용해시켜서 제조하는 적어도 1개의 이온층을 구비하되,
    상기 전기변색층은 유기 전기변색 재료, 무기 전기변색 재료, 전이금속 산화물 또는 전이금속 산화물과 유기 전기변색 재료의 복합재이며,
    상기 유기 전기변색 재료는 전이금속과 란탄계 원소 배위자의 착체와 그의 파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모듈.
  21. 상부표면에 적어도 1개의 제1 도전소자가 설치되는 제1 기판;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의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에 설치되며, 재료는 적어도 1개의 유기재료와 적어도 1개의 무기재료를 혼합하고, 용매에 용해시켜서 제조하는 적어도 1개의 이온층을 구비하되,
    상기 전기변색층은 유기 전기변색 재료, 무기 전기변색 재료, 전이금속 산화물 또는 전이금속 산화물과 유기 전기변색 재료의 복합재이며,
    상기 유기 전기변색 재료는 금속 프탈로시아닌과 그의 파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모듈.
  22. 상부표면에 적어도 1개의 제1 도전소자가 설치되는 제1 기판;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의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에 설치되며, 재료는 적어도 1개의 유기재료와 적어도 1개의 무기재료를 혼합하고, 용매에 용해시켜서 제조하는 적어도 1개의 이온층을 구비하되,
    상기 전기변색층은 유기 전기변색 재료, 무기 전기변색 재료, 전이금속 산화물 또는 전이금속 산화물과 유기 전기변색 재료의 복합재이며,
    상기 유기 전기변색 재료는 페로센(Ferrocene), 철의 티오시안산염[ion(III) thiocyanate]을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헥사시아노철산염을 테트라시아노퀴논에 용해시키고, 또는 테트라티온산염을 시아노메탄에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모듈.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상부표면에 적어도 1개의 제1 도전소자가 설치되는 제1 기판;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의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에 설치되며, 재료는 적어도 1개의 유기재료와 적어도 1개의 무기재료를 혼합하고, 용매에 용해시켜서 제조하는 적어도 1개의 이온층을 구비하되,
    상기 전기변색층은 유기 전기변색 재료, 무기 전기변색 재료, 전이금속 산화물 또는 전이금속 산화물과 유기 전기변색 재료의 복합재이며,
    상기 무기 전기변색 재료는 Li, K, Mg, Cr, Cu 또는 Ba 도핑된 C60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모듈.
  28. 삭제
  29. 삭제
  30. 상부표면에 적어도 1개의 제1 도전소자가 설치되는 제1 기판;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의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에 설치되며, 재료는 적어도 1개의 유기재료와 적어도 1개의 무기재료를 혼합하고, 용매에 용해시켜서 제조하는 적어도 1개의 이온층을 구비하되,
    상기 이온층의 유기재료는 산화 환원 지시약(Redox Indicator) 또는 산염기 지시약(acid-base indicator)이며,
    상기 산염기 지시약은 바리아민 B 디아조늄염(Variamine Blue B Diazonium salt, C13H12ClN3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모듈.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평면 영상과 입체영상의 표시에 사용되는 영상 표시 모듈; 및
    상기 영상 표시 모듈의 표면에 설치되는 전기변색 모듈을 포함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로서, 상기 전기변색 모듈은,
    상부표면에 적어도 1개의 제1 도전소자가 설치되는 제1 기판;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에 설치되며, 재료는 적어도 1개의 유기재료와 적어도 1개의 무기재료를 혼합하고, 용매에 용해시켜서 제조하는 적어도 1개의 이온층 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도전소자가 복수 개 있을 때, 상기 제1 도전소자가 정과 부의 전압을 교차하여 제공하고, 상기 전기변색층은 각각 부의 전압을 띠는 상기 제1 도전소자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평면 영상과 입체영상의 표시에 사용되는 영상 표시 모듈; 및
    상기 영상 표시 모듈의 표면에 설치되는 전기변색 모듈을 포함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로서, 상기 전기변색 모듈은,
    상부표면에 적어도 1개의 제1 도전소자가 설치되는 제1 기판;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에 설치되며, 재료는 적어도 1개의 유기재료와 적어도 1개의 무기재료를 혼합하고, 용매에 용해시켜서 제조하는 적어도 1개의 이온층 을 구비하되,
    상기 전기변색층은 유기 전기변색 재료, 무기 전기변색 재료, 전이금속 산화물 또는 전이금속 산화물과 유기 전기변색 재료의 복합재이며,
    상기 유기 전기변색 재료는 전이금속과 란탄계 원소 배위자의 착체와 그의 파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61. 평면 영상과 입체영상의 표시에 사용되는 영상 표시 모듈; 및
    상기 영상 표시 모듈의 표면에 설치되는 전기변색 모듈을 포함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로서, 상기 전기변색 모듈은,
    상부표면에 적어도 1개의 제1 도전소자가 설치되는 제1 기판;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에 설치되며, 재료는 적어도 1개의 유기재료와 적어도 1개의 무기재료를 혼합하고, 용매에 용해시켜서 제조하는 적어도 1개의 이온층 을 구비하되,
    상기 전기변색층은 유기 전기변색 재료, 무기 전기변색 재료, 전이금속 산화물 또는 전이금속 산화물과 유기 전기변색 재료의 복합재이며,
    상기 유기 전기변색 재료는 금속 프탈로시아닌과 그의 파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62. 평면 영상과 입체영상의 표시에 사용되는 영상 표시 모듈; 및
    상기 영상 표시 모듈의 표면에 설치되는 전기변색 모듈을 포함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로서, 상기 전기변색 모듈은,
    상부표면에 적어도 1개의 제1 도전소자가 설치되는 제1 기판;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에 설치되며, 재료는 적어도 1개의 유기재료와 적어도 1개의 무기재료를 혼합하고, 용매에 용해시켜서 제조하는 적어도 1개의 이온층 을 구비하되,
    상기 전기변색층은 유기 전기변색 재료, 무기 전기변색 재료, 전이금속 산화물 또는 전이금속 산화물과 유기 전기변색 재료의 복합재이며,
    상기 유기 전기변색 재료는 페로센(Ferrocene), 철의 티오시안산염[ion(III) thiocyanate]을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헥사시아노철산염을 테트라시아노퀴논에 용해시키고, 또는 테트라티온산염을 시아노메탄에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평면 영상과 입체영상의 표시에 사용되는 영상 표시 모듈; 및
    상기 영상 표시 모듈의 표면에 설치되는 전기변색 모듈을 포함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로서, 상기 전기변색 모듈은,
    상부표면에 적어도 1개의 제1 도전소자가 설치되는 제1 기판;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에 설치되며, 재료는 적어도 1개의 유기재료와 적어도 1개의 무기재료를 혼합하고, 용매에 용해시켜서 제조하는 적어도 1개의 이온층 을 구비하되,
    상기 전기변색층은 유기 전기변색 재료, 무기 전기변색 재료, 전이금속 산화물 또는 전이금속 산화물과 유기 전기변색 재료의 복합재이며,
    상기 무기 전기변색 재료는 Li, K, Mg, Cr, Cu 또는 Ba 도핑된 C60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68. 삭제
  69. 삭제
  70. 평면 영상과 입체영상의 표시에 사용되는 영상 표시 모듈; 및
    상기 영상 표시 모듈의 표면에 설치되는 전기변색 모듈을 포함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로서, 상기 전기변색 모듈은,
    상부표면에 적어도 1개의 제1 도전소자가 설치되는 제1 기판;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에 설치되며, 재료는 적어도 1개의 유기재료와 적어도 1개의 무기재료를 혼합하고, 용매에 용해시켜서 제조하는 적어도 1개의 이온층 을 구비하되,
    상기 이온층의 유기재료는 산화 환원 지시약(Redox Indicator) 또는 산염기 지시약(acid-base indicator)이며,
    상기 산염기 지시약은 바리아민 B 디아조늄염(Variamine Blue B Diazonium salt, C13H12ClN3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KR1020110025203A 2010-10-05 2011-03-22 전기변색 모듈 및 그 모듈을 구비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221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9133877 2010-10-05
TW099133877A TW201215980A (en) 2010-10-05 2010-10-05 Electrochromic module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834A KR20120035834A (ko) 2012-04-16
KR101221754B1 true KR101221754B1 (ko) 2013-01-11

Family

ID=45889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203A KR101221754B1 (ko) 2010-10-05 2011-03-22 전기변색 모듈 및 그 모듈을 구비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081773A1 (ko)
JP (1) JP2012078774A (ko)
KR (1) KR101221754B1 (ko)
TW (1) TW2012159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572A1 (ko) * 2017-04-24 2018-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전성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KR20190108250A (ko) * 2018-03-14 2019-09-24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변색소자를 이용한 스마트기기 외장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764A1 (en) 2014-11-26 2016-06-02 View, Inc. Counter electrode for electrochromic devices
US8582193B2 (en) 2010-04-30 2013-11-12 View, Inc. Electrochromic devices
US10156762B2 (en) 2009-03-31 2018-12-18 View, Inc. Counter electrode for electrochromic devices
US9664974B2 (en) 2009-03-31 2017-05-30 View, Inc. Fabrication of low defectivity electrochromic devices
CN102566060B (zh) * 2010-12-31 2015-06-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视差挡板、显示面板及视差挡板的制备方法
WO2012109494A2 (en) 2011-02-09 2012-08-16 Kinestral Technologies, Inc. Electrochromic multi-layer devices with spatially coordinated switching
EP2883108B1 (en) 2012-08-08 2022-06-22 Kinestral Technologies, Inc. Electrochromic multi-layer devices with composite electrically conductive layers
WO2014025913A1 (en) 2012-08-08 2014-02-13 Kinestral Technologies, Inc. Electrochromic multi-layer devices with composite current modulating structure
US9507233B2 (en) 2012-08-08 2016-11-29 Kinestral Technologies, Inc. Electrochromic multi-layer devices with current modulating structure
CN103033996B (zh) * 2012-12-14 2015-05-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主动式光栅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及主动快门眼镜
TW201426149A (zh) * 2012-12-28 2014-07-01 Leader Optronics Technology Co Ltd 薄型電致變色結構
EP2946246B1 (en) 2013-01-21 2019-04-03 Kinestral Technologies, Inc. Multi-layer electrochromic device with lithium nickel oxide based anode
WO2014113795A1 (en) * 2013-01-21 2014-07-24 Kinestral Technologies, Inc. Process for preparing a multi-layer electrochromic structure
US9377663B2 (en) 2013-01-21 2016-06-28 Kinestral Technologies, Inc. Electrochromic lithium nickel group 4 mixed metal oxides
US9360729B2 (en) 2013-03-15 2016-06-07 Kinestral Technologies, Inc. Electrochromic lithium nickel group 6 mixed metal oxides
KR101947071B1 (ko) * 2013-04-30 2019-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셔터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이를 사용하는 반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CN103995411A (zh) * 2013-08-09 2014-08-20 深圳市亿思达显示科技有限公司 电子狭缝光栅、立体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11891327B2 (en) 2014-05-02 2024-02-06 View, Inc. Fabrication of low defectivity electrochromic devices
US10061177B2 (en) 2014-07-23 2018-08-28 Kinestral Technologies, Inc. Process for preparing multi-layer electrochromic stacks
US10670936B2 (en) 2014-07-23 2020-06-02 Kinestral Technologies, Inc. Wet-coating of thin film lithium nickel oxides for electrochromic applications
KR101534313B1 (ko) 2014-08-04 2015-07-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계 물질 및 비올로겐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7873090B (zh) * 2015-01-12 2020-07-31 基内斯托技术公司 使用电荷截留的电致变色多层装置以及相关方法
JP6765628B2 (ja) * 2015-06-24 2020-10-0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導光板
RU2711523C2 (ru) * 2015-07-14 2020-01-17 Вью, Инк. Противоэлектрод для электрохромных устройств
US10705403B1 (en) * 2016-12-13 2020-07-07 Kinestral Technologies, Inc. Charge sequestration methods for electrochromic devices
US10739662B2 (en) 2017-03-03 2020-08-11 Leaphigh Inc.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35385B1 (ko) * 2017-07-21 2019-10-23 립하이 주식회사 전기변색소자
WO2018217044A1 (ko) * 2017-05-24 2018-11-29 신익수 탄소양자점 이온화합물 전해질을 포함한 전기화학소자
CN108761948A (zh) * 2018-05-18 2018-11-06 清华大学 一种基于电解液的电致变色方法
KR102137314B1 (ko) * 2018-08-29 2020-07-2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연속구동 특성이 향상된 전기 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75203B1 (ko) * 2019-10-16 2020-11-06 립하이 주식회사 전기변색소자
CN111638618A (zh) * 2020-07-01 2020-09-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调光面板、调光玻璃及装置、光透过率调节系统
KR102217923B1 (ko) * 2020-10-30 2021-02-22 립하이 주식회사 전기변색소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2189A (ja) * 2001-03-07 2004-07-22 アクレオ アーベー 電気化学ピクセル装置
JP2005521103A (ja) * 2002-03-19 2005-07-14 コモーシ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058617A (ja) * 2004-08-20 2006-03-0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素子
JP2007171904A (ja) * 2005-12-22 2007-07-05 Lg Phillips Lcd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557A (en) * 1976-07-02 1978-01-17 Seiko Epson Corp Electrochromic indicator
JPS5365096A (en) * 1976-11-24 1978-06-10 Citizen Watch Co Ltd Electrochemical luminescence display device
JPS61107323A (ja) * 1984-10-31 1986-05-26 Sony Corp エレクトロクロミツク表示装置
GB8515677D0 (en) * 1985-06-20 1985-07-24 Silver J Electrochromic device
JP2910172B2 (ja) * 1990-06-28 1999-06-23 ソニー株式会社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
FR2671558B1 (fr) * 1991-01-10 1993-04-23 Corning Inc Materiau electrolytique pour la modulation de la lumiere et dispositifs electro-optiques utilisant ce materiau.
JP2000180902A (ja) * 1998-12-15 2000-06-30 Murakami Corp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
CA2441172A1 (en) * 2001-03-19 2002-09-26 Dow Global Technologies Inc. Matrix addressable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US20030211618A1 (en) * 2001-05-07 2003-11-13 Patel Gordhandhai Nathalal Color changing steam sterilization indicator
CN100386691C (zh) * 2002-06-21 2008-05-07 洛斯阿拉莫斯国家安全股份有限公司 含有离子液体的电光装置、电光汽车镜及其所用的电解液
AU2003280766A1 (en) * 2002-11-28 2004-06-18 Konica Minolta Holdings, Inc. Display element,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US7471437B2 (en) * 2004-03-31 2008-12-30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chromic materials and devices
US7256924B2 (en) * 2005-01-28 2007-08-14 Gentex Corporation Multi-cell electrochromic devices
JP4685507B2 (ja) * 2005-05-19 2011-05-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デバイス
JP5053585B2 (ja) * 2006-07-27 2012-10-17 株式会社船井電機新応用技術研究所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素子
US7864397B2 (en) * 2006-12-04 2011-01-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rable electrolyte
US20080206879A1 (en) * 2007-02-28 2008-08-28 The Lubrizol Corporation Analysis of Functional Fluids Using a Redox Indicator
JP2009053391A (ja) * 2007-08-27 2009-03-12 Seiko Epson Corp 表示素子
JP5501602B2 (ja) * 2008-11-13 2014-05-28 株式会社船井電機新応用技術研究所 表示装置
TWM371902U (en) * 2009-04-27 2010-01-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2D/3D display device
TW201209496A (en) * 2010-08-20 2012-03-01 J Touch Corp Electrochromic module combined with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and display device combined with the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2189A (ja) * 2001-03-07 2004-07-22 アクレオ アーベー 電気化学ピクセル装置
JP2005521103A (ja) * 2002-03-19 2005-07-14 コモーシ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058617A (ja) * 2004-08-20 2006-03-0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素子
JP2007171904A (ja) * 2005-12-22 2007-07-05 Lg Phillips Lcd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572A1 (ko) * 2017-04-24 2018-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전성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KR20190108250A (ko) * 2018-03-14 2019-09-24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변색소자를 이용한 스마트기기 외장재
KR102037597B1 (ko) * 2018-03-14 2019-10-2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변색소자를 이용한 스마트기기 외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81773A1 (en) 2012-04-05
KR20120035834A (ko) 2012-04-16
JP2012078774A (ja) 2012-04-19
TW201215980A (en) 201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754B1 (ko) 전기변색 모듈 및 그 모듈을 구비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212363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전기변색 모듈
CN102455560A (zh) 电致变色模块及具有该模块的立体成像显示装置
US20120044561A1 (en) Electrochromic module combined with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and display device combined with the electrochromic module thereof
CN102621759A (zh) 立体影像显示装置及其电致变色模块
US20120224246A1 (en) Grating structure of 2d/3d switching display device
KR101288761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전기변색모듈
KR20120010088A (ko) 전기변색부와 이것이 사용된 표시장치
KR20120022514A (ko) 일렉트로 크로믹모듈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장치
CN102478739A (zh) 立体影像显示装置及其电致变色模块
KR20090031045A (ko) 다중 패턴을 가진 카메라용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00227B1 (ko) 작용화된 퀴나크리돈 안료
KR102001611B1 (ko) 전기변색소자
CN102402091A (zh) 电致变色单元及使用该单元的显示装置
CN102540607A (zh) 有机与无机材料的电致变色模块与结合该模块的显示装置
TWI437341B (zh) 3D displa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of grating device
KR20150076778A (ko) 전기 변색 소자 및 그 구동방법
KR101843549B1 (ko) 전기 변색 소자
CN102681175A (zh) 2d/3d切换显示装置的光栅结构
Du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the electrochemical behavior of complementary polymer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different counter-electrodes
KR20150050295A (ko) 전기 변색 소자
Kim et al. Transition metal complexes for electrochromic and electrofluorochromic devices
Raja et al. An investigation on the performance of Di-isopropyl benzyl derivative of Poly (3, 4-propylene dioxythiophene) thin film based electrochromic pixels displays
Warwicker et al. Research on Colorant Systems Whose Characteristics May Be Reversed
KR20180077992A (ko) 멀티 영상 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투과도 가변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