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254B1 - 가스켓 - Google Patents

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254B1
KR101221254B1 KR1020107011513A KR20107011513A KR101221254B1 KR 101221254 B1 KR101221254 B1 KR 101221254B1 KR 1020107011513 A KR1020107011513 A KR 1020107011513A KR 20107011513 A KR20107011513 A KR 20107011513A KR 101221254 B1 KR101221254 B1 KR 101221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tfe
thin plate
metal thin
she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1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2858A (ko
Inventor
다카히사 우에다
아츠시 스에히로
히사시 마에다
히로키 다나베
Original Assignee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874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91846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87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4918461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2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0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with metal reinforcement or covering
    • F16J15/1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with metal reinforcement or covering with metal reinforcement
    • F16J15/1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with metal reinforcement or covering with metal reinforcement generally parallel to the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코어재인 동심원의 파형을 붙인 금속 박판의 양면에 PTFE 시트 또는 무기 시트를 적층 접착한 가스켓을 실현하고, 저~고조임 하중에 있어서 장기적으로 안정된 시일성능을 확보한다. 종래 공극이었던 금속 박판(11)의 골부(11a)에 분체의 시일재(14)를 충전하고 해당 골부를 처음부터 메워 두는 것에 의해서, 종래 저조임 하중으로는 압축할 수 없었던 금속 박판(11)의 골부(11a)에 있어서의 PTFE 시트(12,13) 또는 무기 시트(32,33)를 압축하고, 저조임 하중에 있어서 전면에서 조임면압을 확보하는 동시에, 종래 컸던 시트의 변형량을 억제하고, 유동성이 낮은 PTFE 시트 또는 무기 시트가 고조임 하중을 부하해도 파괴되지 않도록 하고, 더욱 얇은 PTFE 시트(12,13) 또는 무기 시트(32,33)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가스켓{GASKET}
본 발명은 배관 이음부(JIS 또는 JPI 규격 플랜지 등)나 기기의 접합부(밸브의 보닛 등) 등의 엄격한 사용환경에 있어서 장기 시일 안정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사용되는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동심원의 파형을 붙인 금속 박판의 양면에 시일재로서 팽창 흑연 시트를 적층 접착한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 종래 구조는 그때까지 금속 평판 또는 양면을 불연속의 요철이나 톱니형의 요철로 가공한 금속판이었던 코어재에, 동심원의 파형을 붙인 금속 박판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그때까지 약간이었던 압축률을 비약적으로 높이고, 뒤틀림이나 기복이 있는 유리 라이닝 플랜지에서도 사용 가능한 높은 변형 추종성(플랜지면 정밀도에 대한 추종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 시일재에 그때까지와 마찬가지로 팽창 흑연 시트가 이용되고, 플랜지와 접촉하는 양면이 팽창 흑연 시트로 형성되고, 그 팽창 흑연 시트는 유동성이 높고, 플랜지에의 우수한 친숙성도 확보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구조가 시일 작용을 발휘하는 메커니즘을 도 7의 (a)~(c)에 나타내는 해당 종래 구조의 압축 변형 과정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코어재인 동심원의 파형을 붙인 금속 박판, ‘2 및 3’은 금속 박판(1)의 양면에 적층 접착된 팽창 흑연 시트, ‘4 및 5’는 플랜지, T는 가스켓 두께이다.
도 7의 (a)의 조임 전의 자유상태에서는 금속 박판(1)은 원래의 물결피치 P, 물결높이 T1/2(산높이 T1)를 갖고, 팽창 흑연 시트(2 및 3)도 전체적으로 균일한 원래의 두께 T2를 가지며, 금속 박판(1)의 골부(1a)와 팽창 흑연 시트(2 및 3)간에 공극(4)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b)의 저조임 하중을 부하한 조임상태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5 및 6)간에서 두께방향으로 압축되고, 금속 박판(1)은 물결높이 T1/2를 축소하면서 물결피치 P를 확대하고, 두께방향으로 압축 변형되면서 면방향(내외 직경방향)으로도 신장 변형된다. 팽창 흑연 시트(2 및 3)는 금속 박판(1)의 산부(1b)에서 두께방향으로 압축되지만, 금속 박판(1)의 골부(1a)에서는 압축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종래 구조는 금속 박판(1)의 산부(1b)에 있어서 국부적으로 높은 조임면압을 확보하여 시일 성능을 발휘한다. 이 때, 팽창 흑연 시트(2 및 3)는 그 높은 유동성에 의해서 금속 박판(1)의 산부(1b)의 위치 변화에 추종 변형되어 파괴되는 일 없이, 두께 T2를 금속 박판(1)의 산부(1b)에서 줄이면서 금속 박판(1)의 골부(1a)에서 늘이고, 공극(4)의 일부를 메운다.
도 7의 (c)의 고조임 하중을 부하한 조임상태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5 및 6)간에서 두께방향으로 더욱 압축되고, 금속 박판(1)은 물결높이 T1/2를 더욱 축소하면서 물결피치 P를 더욱 확대하고, 평판에 가까운 상태로까지 두께방향으로 더욱 압축 변형되면서 면방향으로도 더욱 신장 변형된다. 이 때, 팽창 흑연 시트(2 및 3)는 그 높은 유동성에 의해서 금속 박판(1)의 산부(1b)의 위치변화에 추종 변형되어 파괴되는 일 없이, 두께 T2를 금속 박판(1)의 산부(1b)에서 더욱 줄이면서 금속 박판(1)의 골부(1a)에서 더욱 늘이고, 결국 공극(4)의 전부를 메운다. 이 때문에, 종래 구조는 팽창 흑연 시트(2 및 3)가 금속 박판(1)의 골부(1a)에서도 두께방향으로 압축되고, 금속 박판(1)의 산부(1b) 및 골부(1a)의 전면(全面)에서 조임면압을 확보하여 안정된 시일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동심원의 파형을 붙인 금속 박판의 양면에 팽창 흑연 시트를 적층 접착한 종래 구조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스켓에서 채용되어 공지이다.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평5-92574호
상기 종래 구조는 시일재로서 팽창 흑연 시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400℃ 이하의 온도의 비산화성 유체에는 사용할 수 있지만, 산화성 유체에는 사용 곤란하다. 그래서, 시일재로서 PTFE 시트, 운모 시트, 질석계 시트, 또는 금속 시트 등의 무기 시트를 이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PTFE 시트는 260℃ 이하의 온도의 대부분의 산성/알칼리성 유체에 사용할 수 있는 시일재이며, 상기와 같은 무기 시트는 400℃ 이상의 산화성 유체에 사용할 수 있는 시일재이다.
즉, 동심원의 파형을 붙인 금속 박판을 코어재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저조임 하중에 있어서 전면에서 조임면압을 확보하는 것은 곤란하고, 저조임 하중에 있어서의 시일 안정성이 부족하며, 고조임 하중을 부하하면, PTFE 시트 및 무기 시트는 팽창 흑연 시트에 비해 유동성이 현격히 낮기 때문에 파괴가 일어나 누설된다. 충분히 두꺼운 PTFE 시트 및 무기 시트를 이용하면 이 시트의 파괴를 피할 수는 있지만, 이와 같은 충분히 두꺼운 PTEF 시트 및 무기 시트는 고가인데다, PTFE 시트에 대해서는 저조임 하중에 있어서 침투 누설이 생겨 시일 성능을 확보할 수 없고, 무기 시트에 대해서는 단단하고 압축성이 낮기 때문에 고조임 하중에 있어서도 안정된 시일 성능을 얻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코어재인 동심원의 파형을 붙인 금속 박판의 양면에 PTFE 시트 혹은 무기 시트를 적층 접착 또는 해당 금속 박판의 양면 및 내주(안둘레)를 PTFE 성형체 혹은 금속 성형체로 피복한 가스켓을 실현하는 동시에,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 저~고조임 하중에 있어서 장기적으로 안정된 시일 성능을 확보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가스켓은, 동심원의 파형을 붙인 금속 박판의 골부에 분체의 시일재를 충전하고, 상기 금속 박판의 양면에 시일성을 갖는 시트를 적층 접착한 가스켓에 있어서, 상기 분체가 4불화 에틸렌 수지(PTFE) 분체이고, 또한 상기 시트가 두께 0.25㎜이상 0.50㎜이하의 PTFE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가스켓은 동심원의 파형을 붙인 금속 박판의 골부에 분체의 시일재를 충전하고, 상기 금속 박판의 양면 및 내주에 시일성을 갖는 시트를 적층 접착한 가스켓에 있어서, 상기 분체가 운모 분체이고, 또한 상기 시트가 두께 0.10㎜이상 0.50㎜이하의 운모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가스켓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가스켓에 있어서, 금속 박판의 골부에 있어서의 조임면압이 금속 박판의 산부에 있어서의 조임면압보다도 낮아지는 밀도로, 분체의 시일재를 금속 박판의 골부에 충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 내지 3에 기재된 가스켓에서는 종래 공극이었던 금속 박판의 골부에 분체의 시일재를 충전하고 해당 부를 처음부터 메워 두는 것에 의해서, 종래 저조임 하중으로는 압축할 수 없었던 금속 박판의 골부에 있어서의 PTFE 시트, 무기 시트, PTFE 성형체나 금속 성형체를 압축하고, 저조임 하중에 있어서 전면에서 조임면압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저조임 하중으로부터 안정된 시일 성능이 얻어진다.또, PTFE 시트, 무기 시트, PTFE 성형체나 금속 성형체의 변형량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유동성이 낮은 PTFE 시트, 무기 시트, PTFE 성형체나 금속 성형체가 고조임 하중을 부하해도 파괴되지 않고, 또한 더욱 얇은 PTFE 시트, 무기 시트, PTFE 성형체나 금속 성형체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PTFE 시트나 PTFE 성형체에 대해서는 저조임 하중에 있어서 침투 누설을 일으킬 염려가 없다.
또, 금속 박판의 양면에 시일재가 2층에 배치되므로, 외측의 시일재인 PTFE 시트나 PTFE 성형체가 파괴되었다고 해도, 내측의 시일재에 의해서 시일이 가능하며, 시일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내측의 시일재는 외측의 시일재와 동일한 재료(PTFE) 또는 이종 재료(팽창 흑연이나 인편상 흑연 등)의 조합이 가능하다.
또한, 금속 박판의 골부에 충전하는 시일재는 분체이고, 높은 압축성과 높은 유동성을 겸비하고 있으므로, 금속 박판의 변형을 방해하지 않고 가스켓의 변형 추종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금속 박판의 골부에 공극이 생기기 어렵고 해당 부에 있어서 조임면압을 안정하게 확보할 수 있다. 분체의 시일재는 저렴하고 또한 높은 양품률로 낭비 없이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가스켓과 같이, 금속 박판의 골부에 있어서의 조임면압이 금속 박판의 산부에 있어서의 조임면압보다도 낮아지는 밀도로, 분체의 시일재를 금속 박판의 골부에 충전함으로써, 조임면압 분포가 균등하게 되지 않아 조임면압이 저하하지 않기 때문에, 시일에 필요한 최소 조임력의 증가가 없다.
청구항 1 내지 3에 기재된 가스켓에 따르면, 코어재인 동심원의 파형을 붙인 금속 박판의 양면에 PTFE 시트 혹은 무기 시트를 적층 접착 또는 해당 금속 박판의 양면 및 내주를 PTFE 성형체 혹은 금속 성형체로 피복한 가스켓을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저~고조임 하중에 있어서 장기적으로 안정된 시일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가스켓에 따르면, 사용에 있어서, 요구되는 기기/배관의 접합부의 강도가 커지지 않아, 설계의 재검토, 설비/장치의 개조 등의 필요성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가스켓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가스켓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가스켓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에 관한 가스켓의 압축 변형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시일 특성을 나타내는 절선(折線)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와 비교예 2의 시일 특성을 나타내는 절선 그래프.
도 7은 종래 가스켓 구조의 압축 변형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가스켓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가스켓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가스켓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가스켓(10)은 코어재인 동심원의 파형을 붙인 원환형상의 금속 박판(이하, 「파형 금속 박판」이라 함)(11)의 표리 양면에, 시일성을 갖는 원환형상의 PTFE 시트(12 및 13)를 적층 접착한 가스켓으로서, 종래 공극(4)(도 6 참조)이었던 부분(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a)와 PTFE 시트(12 및 13)간)에는 종래 저조임 하중으로는 압축할 수 없었던 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a)에 있어서의 PTFE 시트(12 및 13)를 압축하고, 저조임 하중에 있어서 전면에서 조임면압을 확보하고, 저조임 하중으로부터 안정된 시일 성능을 얻으며, 또, PTFE 시트(12 및 13)의 변형량을 억제하고, 유동성이 낮은 PTFE 시트(12 및 13)가 고조임 하중을 부하해도 파괴되지 않고, 또한 더욱 얇은 PTFE 시트(12 및 13)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저조임 하중에 있어서 PTFE 시트(12 및 13)에 침투 누설을 생길 염려가 없도록 하기 위해, 분체의 시일재(이하,「충전재」라 함)(14)가 충전되고, 해당 충전재(14)에 의해서 종래 공극(4)이었던 부분을 처음부터 메운다. 따라서, 해당 가스켓(10)에서는 파형 금속 박판(11)의 표리 양면에 시일재인 충전재(14)와 PTFE 시트(12 및 13)가 내외 2층에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파형 금속 박판(11)의 내주단 가장자리와 외주단 가장자리에는 파형 금속 박판(11)의 한쪽면측(도 2의 하측)으로 돌출된 각 산부(11b)의 정점을 포함하는 1평면상에 위치하는 원환형상의 평탄부(11c 및 11d)가 형성되어 있다. 또, 충전재(14)가 골부(11a)에 충전된 후의 파형 금속 박판(11)의 표리 양면의 외형은 표면(도 2의 상측)의 외형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평탄부(11c 및 11d)의 표면의 사이가 키가 낮은 사다리꼴로 솟아오른 입체형상으로 되고, 이면(도 2의 하측)의 외형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평탄부(11c 및 11d)의 이면의 사이가 평탄면에 의해 연결된 평면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파형 금속 박판(11)의 표면측의 PTFE 시트(12)는 파형 금속 박판(11)의 내주측의 평탄부(11c)의 단부에서 외주측의 평탄부(11d)의 단부에 걸쳐, 파형 금속 박판(11)의 표면의 입체형상의 외형을 따라 적층 접착되고, 파형 금속 박판(11)의 이면측의 PTFE 시트(13)는 파형 금속 박판(11)의 내주측의 평탄부(11c)의 단부에서 외주측의 평탄부(11d)의 단부에 걸쳐, 파형 금속 박판(11)의 이면의 평면형상의 외형을 따라 적층 접착되어 있다. PTFE 시트(12 및 13)의 내주단 가장자리는 파형 금속 박판(11)의 내주측의 평탄부(11c)의 단부로부터 내경방향으로 돌출되고, 해당 평탄부(11c)의 단부의 내주측에서, 해당 평탄부(11c)의 두께내로 점착되어 고착되어 있다. PTFE 시트(12 및 13)의 외주단 가장자리는 파형 금속 박판(11)의 외주측의 평탄부(11d)의 단부로부터 외경방향으로 돌출되고, 해당 평탄부(11d)의 단부의 외주측에서, 해당 평탄부(11d)의 두께내로 점착되어 고착되어 있다.
가스켓(10)의 제조는 프레스 성형품인 파형 금속 박판(11)을 대략 수평자세로 유지하고, 파형 금속 박판(11)의 상면측에 있는 각 골부(11a)에 충전재(14)를 충전한 후, 파형 금속 박판(11)의 상면(표면)에 한쪽의 PTFE 시트(12)를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를 통해 적층 접착한다. 다음에, 파형 금속 박판(11)을 뒤집어, 파형 금속 박판(11)의 상면측에 있는 각 골부(11a)에 충전재(14)를 충전한 후, 파형 금속 박판(11)의 상면(이면)에 다른쪽의 PTFE 시트(13)를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를 통해 적층 접착하는 동시에, PTFE 시트(12 및 13)의 내주단 가장자리끼리와 외주단 가장자리끼리를 점착 고착하는 것에 의해 완료한다.
이 때, 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a)에 있어서의 조임면압이 파형 금속 박판(11)의 산부(11b)에 있어서의 조임면압보다도 낮아지도록, PTFE 시트(12 및 13)의 밀도보다 낮은 밀도로, 충전재(14)를 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a)에 충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밀도로 충전재(14)를 충전함으로써, 해당 가스켓(10)에서는 파형 금속 박판(11)의 표리 양면에 밀도가 다른 시일재인 충전재(14)(저밀도)와 PTFE 시트(12 및 13)(고밀도)가 내외 2층에 배치된 구조로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가스켓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가스켓의 평면은 상기 가스켓(10)의 도 1에 나타낸 평면과 동일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가스켓의 구조는 상기 가스켓(10)의 도 2에 나타낸 구조와 PTFE 시트 이외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구조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나타내는 가스켓(20)은 파형 금속 박판(11)의 표리 양면과 내주를, 원환형상의 PTFE 평판을 절삭 가공하는 것에 의해 제작된 일체 구조의 PTFE 성형체(21)에 의해 연속적으로 피복한 것이다. 이 PTFE 성형체(21)는 두께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원환형상의 시트부(21a 및 21b)와, 시트부(21a 및 21b)의 내주측 단가장자리의 사이에 연속 일체로 형성되는 짧은 원통형상의 이음부(21c)를 갖고, 이들 시트부(21a 및 21b)와 이음부(21c)의 내측에, 외주에 개구부(21d)를 갖는 코어 수납 공간(21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파형 금속 박판(11)이 코어 수납 공간(21e)에 장착되고, 파형 금속 박판(11)의 내주측의 평탄부(11c)의 바로 내측으로 상승하는 이음부(21c)의 상하 단부로부터 파형 금속 박판(11)의 표리 양면측에 시트부(21a 및 21b)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가스켓(20)의 제조는 PTFE 성형체(21)를 수평자세로 유지하고, 상면측에 있는 한쪽의 시트부(21a)를 이음부(21c)와 동일 원통면 상으로 감아 올리고, 파형 금속 박판(11)을 위쪽으로부터 원통형상의 시트부(21a)를 통해 이음부(21c)의 외측에 끼워넣은 후, 파형 금속 박판(11)의 상면측에 있는 각 골부(11a)에 충전재(14)를 충전한다. 다음에, 원통형상의 시트부(21a)를 원래로 되돌려 파형 금속 박판(11)의 상면(표면)에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를 통해 적층 접착한다. 다음에, 파형 금속 박판(11)을 뒤집어, 상면측에 있는 다른쪽의 시트부(21b)를 이음부(21c)와 동일 원통면 상으로 감아 올린 후, 파형 금속 박판(11)의 상면측에 있는 각 골부(11a)에 충전재(14)를 충전한다. 다음에, 원통형상의 시트부(21b)를 원래로 되돌려 파형 금속 박판(11)의 상면(이면)에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를 통해 적층 접착하는 것에 의해 완료한다. 이 때의 충전재(14)의 충전 밀도에 대해서도 상기 가스켓(10)과 마찬가지로, PTFE 성형체(21)의 밀도보다 낮은 밀도로, 충전재(14)를 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에 충전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해당 가스켓(20)의 경우, 내주의 내측 코너부(파형 금속 박판(11)의 평탄부(11c)와 한쪽의 시트부(21a)의 내주단 가장자리부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그 공극에도 충전재(14)가 충전되어 공극이 메워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 가스켓(10, 20)이 시일 작용을 발휘하는 메커니즘은 동일하기 때문에, 도 4의 (a)~(c)에 나타내는 해당 가스켓(10, 20)의 압축 변형 과정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50 및 60’은 기기/배관의 플랜지, t는 가스켓 두께이다.
도 4의 (a)의 조임 전의 자유상태에서는 파형 금속 박판(11)은 원래의 물결피치 p, 물결높이 t1/2(산높이 t1)을 갖고, PTFE 시트(12 및 13)나 PTFE 성형체(21)의 시트부(21a 및 21b)도 전체에 균일한 원래의 두께 t2를 가지며, 종래 공극(4)이었던 부분(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a)와 PTFE 시트(12 및 13)나 PTFE 성형체(21)의 사이)에는 충전재(14)가 충전되어 있다.
도 4의 (b)의 저조임 하중을 부하한 조임상태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50 및 60) 사이에서 가스켓(10, 20)이 두께방향으로 압축되고, 파형 금속 박판(11)은 물결높이 t1/2을 축소하면서 물결피치 p를 확대하고, 두께방향으로 압축 변형되면서 면방향(내외 직경방향)으로도 신장 변형된다. PTFE 시트(12 및 13)나 PTFE 성형체(21)의 시트부(21a 및 21b)는 파형 금속 박판(11)의 산부(11b)에서 두께방향으로 압축되는 동시에, 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a)에는 충전재(14)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해당 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a)에서도 압축되고, 파형 금속 박판(11)의 산부(11b) 및 골부(11a)의 전면에서 조임면압을 확보하여 안정된 시일 성능을 발휘한다.
도 4의 (c)의 고조임 하중을 부하한 조임상태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50 및 60) 사이에서 가스켓(10, 20)이 두께방향으로 더욱 압축되고, 파형 금속 박판(11)은 물결높이 t1/2을 더욱 축소하면서 물결피치 p를 더욱 확대하고, 평판에 가까운 상태로까지 두께방향으로 더욱 압축 변형되면서 면방향으로도 더욱 신장 변형된다. PTFE 시트(12 및 13)나 PTFE 성형체(21)의 시트부(21a 및 21b)는 파형 금속 박판(11)의 산부(11b)에서 두께방향으로 더욱 압축되는 동시에, 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a)에는 충전재(14)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해당 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a)에서도 더욱 압축되고, 파형 금속 박판(11)의 산부(11b) 및 골부(11a)의 전면에서 더욱 높은 조임면압을 확보하여, 저조임 하중에서 얻은 안정된 시일 성능을 계속해서 유지한다.
이와 같이, 각 가스켓(10, 20)에서는 종래 공극(4)이었던 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a)에 충전재(14)를 충전하고 해당 부를 처음부터 메우고 있으므로, 종래 저조임 하중으로는 압축할 수 없었던 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a)에 있어서의 PTFE 시트(12 및 13)나 PTFE 성형체(21)의 시트부(21a 및 21b)를 압축하고, 저조임 하중에 있어서 전면에서 조임면압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저조임 하중으로부터 안정된 시일 성능이 얻어진다. 따라서, 저~고조임 하중에 있어서 장기적으로 안정된 시일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각 가스켓(10, 20)에서는 종래 공극(4)이었던 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a)에 충전재(14)를 충전하고 해당 부를 처음부터 메우고 있으므로, PTFE 시트(12 및 13)나 PTFE 성형체(21)가 자신의 유동성이나 두께 t1, t2에 의해서 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a)를 메우려고 해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PTFE 시트(12 및 13)나 PTFE 성형체(21)의 시트부(21a 및 21b)의 변형량은 매우 작아진다. 이 때문에, 유동성이 낮은 PTFE 시트(12 및 13)나 PTFE 성형체(21)가 고조임 하중을 부하해도 파괴되지 않고, 또한 더욱 얇은 PTFE 시트(12 및 13)나 PTFE 성형체(21)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저조임 하중에 있어서 PTFE 시트(12 및 13)나 PTFE 성형체(21)에 침투 누설을 생길 염려가 없다.
또, 각 가스켓(10, 20)에서는 파형 금속 박판(11)의 표리 양면에 시일재인 충전재(14)와 PTFE 시트(12 및 13)나 PTFE 성형체(21)의 시트부(21a 및 21b)가 내외 2층에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외측의 시일재인 PTFE 시트(12 및 13)나 PTFE 성형체(21)가 파괴되었다고 해도, 내측의 시일재인 충전재(14)에 의해서 시일이 가능하며, 시일의 신뢰성이 높다. 내측의 시일재인 충전재(14)와 외측의 시일재인 PTFE 시트(12 및 13)나 PTFE 성형체(21)의 재료에는 동일 재료 또는 이종 재료의 조합이 가능하다.
또, 각 가스켓(10, 20)에서는 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a)에 충전하는 충전재(14)는 분체이고, 높은 압축성과 높은 유동성을 겸비하고 있으므로, 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a)의 형상 변화에 추종성 좋게 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a)내에서 압축되고 유동하므로, 파형 금속 박판(11)의 변형을 방해하지 않고 가스켓(10, 20)의 변형 추종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a)에 공극이 생기기 어렵고 해당 부에 있어서 조임면압을 안정하게 확보할 수 있다. 분체의 충전재(14)는 저렴하고, 또한 높은 양품률로 낭비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경제적이다.
또한, 각 가스켓(10, 20)에서는 PTFE 시트(12 및 13)나 PTFE 성형체(21)의 밀도보다 낮은 밀도로, 충전재(14)를 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에 충전하고 있으므로, 어느 조임하중에 있어서도, 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a)에 있어서의 조임면압이 파형 금속 박판(11)의 산부(11b)에 있어서의 조임면압보다도 낮아지고, 조임면압 분포가 균등하게 되지 않아 조임면압이 저하하지 않기 때문에, 시일에 필요한 최소 조임력의 증가가 없다. 따라서, 사용에 있어서, 요구되는 기기/배관의 접합부의 강도가 커지지 않으며, 설계의 재검토, 설비/장치의 개조 등의 필요성이 없다.
상기와 같이 각 가스켓(10, 20)은 유동성이 낮은 PTFE 시트(12 및 13)나 PTFE 성형체(21)와의 적합성을 확보하고, 그 PTFE 시트(12 및 13)나 PTFE 성형체(21)의 사용을 실현하고 있기 때문에, 260℃ 이하의 온도의 대부분의 산성/알칼리성 유체에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용도에서는 충전재(14)로서 PTFE의 분체, 팽창 흑연이나 인편상 흑연 등의 흑연계의 분체, 또는 운모, 활석, 질석 등의 무기 분체가 사용 가능하다.
또, 파형 금속 박판(11)의 재료로서는 내부 유체의 온도 및 내부 유체와의 내식성 등을 고려한 후, 구리, 철, 연강,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등의 금속 박판이면, 상기 용도에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실시형태(실시형태 3)의 가스켓으로서, 상기 실시형태 1의 PTFE 시트(11,12)를 무기 시트(31,32)로 하고, 또한 상기 실시형태 1의 충전재(14)를 무기 분체의 시일재인 충전재(34)로 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형태 1의 가스켓(10)과 구성이 동일한 가스켓(30)이 있다. 이 실시형태 3의 설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1의 설명에 있어서 가스켓(10)의 PTFE 시트(11,12)를 무기 시트(31, 32)로 하고, 또한 가스켓(10)의 충전재(14)를 무기 분체의 시일재인 충전재(34)로 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또한, 별도의 실시형태(실시형태 4)의 가스켓으로서, 상기 실시형태 2의 PTFE 성형체(21)를 금속 성형체(42)로 하고, 또한 상기 실시형태 2의 충전재(14)를 무기 분체의 시일재인 충전재(34)로 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형태 2의 가스켓(20)과 구성이 동일한 가스켓(40)이 있다. 이 실시형태 4의 설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2의 설명에 있어서 가스켓(20)의 PTFE 성형체(21)를 금속 성형체(41)로 하고, 또한 가스켓(20)의 충전재(14)를, 무기 분체의 시일재인 무기 분체(34)로 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가스켓(30, 40)은 유동성이 낮은 무기 시트(32 및 33)나 금속 성형체(41)와의 적합성을 확보하고, 그 무기 시트(32 및 33)나 금속 성형체(41)의 사용을 실현하고 있기 때문에, 무기 시트로서 운모 시트, 질석계 시트, 또는 금속 시트 등을 이용하고, 400℃ 이상의 산화성 유체에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용도에서는 충전재(34)로서 운모, 활석(무기 광물) 등의 분체가 사용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2에 관한 가스켓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파형 금속 박판(11)으로서 파형 금속 박판(재질:스테인리스강[316L], 판두께:0.55㎜, 물결피치 p:3.2㎜, 물결높이 t1/2:0.5㎜[산높이 t1:1.1㎜])를 사용하고, PTFE 시트(12 및 13)로서 다공질 PTFE 시트(두께 t2:0.5㎜)를 사용하고, 충전재(14)로서 PTFE 분말(평균 입경:50㎛)을 사용하여,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가스켓(이하, 「실시예 1」이라 함)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의 비교예로서, 충전재(14)를 충전하고 있지 않은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동일 구조의 가스켓(이하 「비교예 1」이라 함)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시일 특성을 도 5에 나타낸다. 도 5는 상온에서의 헬륨 가스 시일 시험을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대해 실행하고, 각각의 시일 특성을 비교한 것이다. 도 5에 있어서, 실시예 1은 비교예 1에 비해 저~고조임 하중(면압)에 있어서 시일 성능이 우수하다. 또, 비교예 1은 고조임 하중에 있어서 PTFE 시트(12 및 13)의 파괴가 일어나 누설을 발생하였다. 이것에 의해, 종래 공극(4)이었던 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a)에 충전재(14)를 충전하고 해당 부를 처음부터 메우는 것에 의해서, 저~고조임 하중에 있어서 장기적으로 안정된 시일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과, 유동성이 낮은 재료의 PTFE 시트(12 및 13)나 실시형태 2에 관한 PTFE 성형체(21)에서도 고조임 하중에 있어서 파괴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PTFE 시트(12 및 13)(다공질 PTFE 시트)의 두께와 시일 성능의 관계를 다음의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0033717714-pct00001
상기 표 1은 헬륨 가스 시일 시험을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대해 PTFE 시트(12 및 13)의 두께를 바꾸면서 실행하고, 두께마다의 시일 성능을 비교한 것이다. 표 1에 있어서, 실시예 1은 비교예 1에 비해 현격히 얇은 두께 t2의 PTFE 시트(12 및 13)에서 안정된 시일 성능이 얻어졌다. 이것에 의해, 종래 공극(4)이었던 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a)에 부시일재(14)를 충전하고 해당 부를 처음부터 메우는 것에 의해서, 더욱 얇은 PTFE 시트(12 및 13)나 실시형태 2에 관한 PTFE 성형체(21)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4에 관한 가스켓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파형 금속 박판(11)으로서 파형 금속 박판(재질:스테인리스강[316L], 판두께:0.5㎜, 물결피치 p:3.2㎜, 물결높이 t1/2:0.55㎜[산높이 t1:1.1㎜])를 사용하고, 무기 시트(32 및 33)로서 운모 시트(두께 t2:0.5㎜)를 사용하고, 충전재(34)로서 운모 분말(평균 입경:50㎛)을 사용하여,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가스켓(이하, 「실시예 2」라 함)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의 비교예 2로서, 충전재(34)를 충전하고 있지 않은 것 이외에, 실시예 2와 동일 구조의 가스켓(이하 「비교예 2」라 함)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와 비교예 2의 시일 특성을 도 6에 나타낸다. 도 6은 상온에서의 질소 가스 시일 시험을 실시예 2와 비교예 2에 대해 실행하고, 각각의 시일 특성을 비교한 것이다. 도 6에 있어서, 실시예 2는 비교예 2에 비해 저~고조임 하중(면압)에 있어서 시일 성능이 우수하다. 또, 비교예 2는 고조임 하중에 있어서 무기 시트(32 및 33)의 파괴가 일어나 누설을 발생하였다. 이것에 의해, 종래 공극(4)이었던 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a)에 충전재(34)를 충전하고 해당 부를 처음부터 메우는 것에 의해서, 저~고조임 하중에 있어서 장기적으로 안정된 시일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과, 유동성이 낮은 재료의 무기 시트(32 및 33)나 실시형태 4에 관한 금속 성형체(41)에서도 고조임 하중에 있어서 파괴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실시예 2와 비교예 2의 무기 시트(32 및 33)(운모 시트)의 두께와 시일 성능의 관계를 다음의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0033717714-pct00002
상기 표 2는 질소 가스 시일 시험을 실시예 2와 비교예 2에 대해 무기 시트(32 및 33)의 두께를 바꾸면서 실행하고, 두께마다의 시일 성능을 비교한 것이다. 표 1에 있어서, 실시예 2는 비교예 2에서는 얻어지지 않았던 표준적인 두께 t2의 무기 시트(32 및 33)에서 안정된 시일 성능이 얻어졌다. 이것에 의해, 종래 공극(4)이었던 파형 금속 박판(11)의 골부(11a)에 충전재(14)를 충전하고 해당 부를 처음부터 메우는 것에 의해서, 표준적인 두께로 더욱 얇은 무기 시트(32 및 33)나 실시형태 4에 관한 금속 성형체(41)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10 가스켓
11 파형 금속 박판(금속 박판)
11a 골부
11b 산부
12, 13 PTFE 시트
14 충전재(시일재)
20 가스켓
21 PTFE 성형체
30 가스켓
32, 33 무기 시트
34 충전재(시일재)
40 가스켓
41 금속 성형체

Claims (3)

  1. 동심원의 파형을 붙인 금속 박판의 골부에 분체의 시일재를 충전하고, 상기 금속 박판의 양면에 시일성을 갖는 시트를 적층 접착한 가스켓에 있어서,
    상기 분체가 4불화 에틸렌 수지(PTFE) 분체이고, 또한 상기 시트가 두께 0.25㎜이상 0.50㎜이하의 PTFE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2. 동심원의 파형을 붙인 금속 박판의 골부에 분체의 시일재를 충전하고, 상기 금속 박판의 양면 및 내주에 시일성을 갖는 시트를 적층 접착한 가스켓에 있어서,
    상기 분체가 운모 분체이고, 또한 상기 시트가 두께 0.10㎜이상 0.50㎜이하의 운모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판의 상기 골부에 있어서의 조임면압이 상기 금속 박판의 산부에 있어서의 조임면압보다도 낮아지는 밀도로, 분체의 시일재를 상기 금속 박판의 상기 골부에 충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KR1020107011513A 2007-11-05 2008-10-10 가스켓 KR1012212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87497 2007-11-05
JP2007287498A JP4918462B2 (ja) 2007-11-05 2007-11-05 ガスケット
JP2007287497A JP4918461B2 (ja) 2007-11-05 2007-11-05 ガスケット
JPJP-P-2007-287498 2007-11-05
PCT/JP2008/068458 WO2009060690A1 (ja) 2007-11-05 2008-10-10 ガスケ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858A KR20100082858A (ko) 2010-07-20
KR101221254B1 true KR101221254B1 (ko) 2013-01-11

Family

ID=40625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1513A KR101221254B1 (ko) 2007-11-05 2008-10-10 가스켓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82122B2 (ko)
KR (1) KR101221254B1 (ko)
CN (1) CN101842621B (ko)
WO (1) WO20090606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7345B (zh) * 2010-12-24 2015-09-09 秦皇岛秦冶重工有限公司 一种金属包覆式密封圈
US8616557B2 (en) * 2011-10-06 2013-12-31 Federal-Mogul Corporation Multilayer gasket with segmented integral stopper feature
US9657840B2 (en) * 2014-08-19 2017-05-23 Federal-Mogul Llc Multi-layer gasket assembly
CN103256388B (zh) * 2013-06-04 2016-06-08 慈溪博格曼密封材料有限公司 一种密封垫
US10001214B2 (en) 2013-11-26 2018-06-19 Baker Hughes, A Ge Company, Llc Seal arrangement and method of sealing
US9890859B2 (en) 2015-05-26 2018-02-13 Teadit N.A., Inc. Double-rail serrated metal gasket
US10094474B2 (en) 2015-05-26 2018-10-09 Teadit N.A., Inc. Double-shoulder, double-rail serrated metal gasket
GB201514584D0 (en) 2015-08-17 2015-09-30 Flexitallic Ltd And Flexitallic Invest Inc A gasket
KR20170000076U (ko) 2016-08-18 2017-01-04 우주가스팩공업(주) 멀티 캠프로파일 가스켓
US11268616B2 (en) * 2017-10-06 2022-03-08 Virginia Sealing Products, Inc. Envelope gaske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09554U (ko) * 1977-02-08 1978-09-01
JPS6369855U (ko) * 1986-10-25 1988-05-11
JP2005511795A (ja) * 2001-09-28 2005-04-28 フォルシュングスツェントルム・ユーリッヒ・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高温安定性シーリング
JP2006258212A (ja) * 2005-03-17 2006-09-28 Japan Gore Tex Inc ガス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130A (en) * 1907-08-30 1909-05-18 Frederick Goetze Packing.
US2580546A (en) * 1947-07-02 1952-01-01 Us Gasket Company Jacketed gasket
US3230290A (en) * 1961-02-23 1966-01-18 Shell Oil Co Composite gasket and method of applying same
US4196913A (en) * 1976-07-14 1980-04-08 Kosaku Ueda Gaskets
DE3142535A1 (de) * 1981-10-27 1983-05-05 Pfaudler-Werke Ag, 6830 Schwetzing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unterfuetterten dichtung oder dichtungseinlage
JPS58210342A (ja) * 1982-05-31 1983-12-07 Ishikawa Gasket Kk 内燃機関用ヘツドガスケツト
JPH075819B2 (ja) 1986-09-11 1995-01-25 東レ株式会社 樹脂組成物
US5558347A (en) * 1990-12-31 1996-09-24 Specialist Sealing Limited Seal
US5785322A (en) * 1993-06-30 1998-07-28 Acadia Elastomers Gasket for flange connections
JPH0729360A (ja) 1993-07-09 1995-01-31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ジタル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2577721Y2 (ja) * 1993-11-08 1998-07-30 日本ガスケット株式会社 マニホールド用金属ガスケット
DE19804289A1 (de) * 1998-02-04 1999-08-05 Sgl Technik Gmbh Schichtstoffdichtung mit Bördel
US6457726B1 (en) * 1998-03-07 2002-10-01 Alfred Jung Stamped sealing arrangement for a flat flanged joint
CN2526606Y (zh) * 2002-03-08 2002-12-18 石油大学(华东) 梯形波齿垫片
JP2005180660A (ja) 2003-12-22 2005-07-07 Uchiyama Mfg Corp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CN100501200C (zh) * 2006-01-09 2009-06-17 励行根 一种波形复合密封垫片的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09554U (ko) * 1977-02-08 1978-09-01
JPS6369855U (ko) * 1986-10-25 1988-05-11
JP2005511795A (ja) * 2001-09-28 2005-04-28 フォルシュングスツェントルム・ユーリッヒ・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高温安定性シーリング
JP2006258212A (ja) * 2005-03-17 2006-09-28 Japan Gore Tex Inc ガス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82122B2 (en) 2013-02-26
CN101842621B (zh) 2013-11-13
CN101842621A (zh) 2010-09-22
US20100264607A1 (en) 2010-10-21
KR20100082858A (ko) 2010-07-20
WO2009060690A1 (ja) 200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254B1 (ko) 가스켓
JP4918460B2 (ja) ガスケット
JP4570897B2 (ja) フランジ継手用ガスケット
KR100213153B1 (ko) 복합가스킷
US6565099B1 (en) Multilayered gasket with eyelit
JP4324607B2 (ja) 非石綿ガスケット
CN201069024Y (zh) 复合垫片
JP5237839B2 (ja) 金属製のこ歯形ガスケット及び組み合わせガスケット
JPH07165470A (ja) 膨張黒鉛製シール素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ガスケット用シート
CN102644738A (zh) 一种金属缠绕垫片
US20070176373A1 (en) Low stress / anti-buckling spiral wound gasket
JP2019015336A (ja) うず巻形ガスケット
JP5714964B2 (ja) 渦巻形ガスケット
JP2007182950A (ja) うず巻ガスケット
JP4918462B2 (ja) ガスケット
KR20170000076U (ko) 멀티 캠프로파일 가스켓
JP4918461B2 (ja) ガスケット
JPH0611082A (ja) フランジ継手構造
US20190107200A1 (en) Envelope Gasket
KR0158051B1 (ko) 팽창흑연제 씰소재와 그 제조방법 및 개스킷용시트
CN218599091U (zh) 涡旋形垫圈及管道接头结构
RU2186273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лоской уплотнительной прокладки
JP2595684Y2 (ja) シーリング材料
JP2000065209A (ja) シール部材、及び接続構造
JPH08219287A (ja) 膨張黒鉛製リング状シール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