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795B1 - 전원 장치 및 전원 장치의 출력 전압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 장치 및 전원 장치의 출력 전압 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795B1
KR101220795B1 KR1020107022622A KR20107022622A KR101220795B1 KR 101220795 B1 KR101220795 B1 KR 101220795B1 KR 1020107022622 A KR1020107022622 A KR 1020107022622A KR 20107022622 A KR20107022622 A KR 20107022622A KR 101220795 B1 KR101220795 B1 KR 101220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voltage
voltage
power supply
circu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4321A (ko
Inventor
잇페이 노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100124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 H02M1/008Plural converter units for generating at two or more independent and non-parallel outputs, e.g. systems with plural point of load switching regul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Abstract

전원 장치는, 주전원 회로,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을 변경하는 경우에 출력 전압을 변경하는 부전원 회로,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전압차 검출 회로, 그리고 전압 변경 신호 및 전압차 검출 회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및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전압 제어 회로는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를 초과하는 경우에 출력 전압 변경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 내에 있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전원 장치 및 전원 장치의 출력 전압 변경 방법{POWER SOURCE DEVICE AND OUTPUT VOLTAGE CHANGING METHOD OF THE POWER SOURCE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전자 장치에 이용되는 전원 장치 및 그 전원 장치의 출력 전압 변경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전원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서로 동기됨으로써 변경된다.
최근, 환경 대책의 관점으로부터 에너지 절약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동 전화 및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지를 이용하는 장치들에서, 전지 수명을 길게하기 위하여, 장치 내에서의 전력 소비의 감소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진보된 기능의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진보된 기능의 장치에서는, 정지 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대신에, 동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것이 빈번하게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하이엔드 CPU는 클록 주파수가 높은 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클록 주파수가 높은 경우, 소비되는 전류량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클록 주파수를 높게하기 위하여, 높은 전원 전압이 요구된다. 그 결과, 전력 소비가 높아지게 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에서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시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기술에 있어서, 정규 동작시에는, 전원 전압이 감소되고, CPU는 낮은 클록 주파수에서 동작되며, 전력 소비가 낮게 되며, 큰 동작시에는, 예를 들어, 동영상 동작시에는, 전원 전압이 증가되며, CPU는 높은 클록 주파수에서 동작된다.
또한, 다기능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여기서 장치의 많은 기능에 있어서 의 전원 전압이 서로 다르게 되므로, 다른 출력 전압을 가지는 복수의 전원이 상기 장치 내에 배치된다. 또한, 고속 동작이 요구되는 경우, 복수의 전원으로부터의 북수의 출력 전압이 복수의 출력 전압 사이의 미리 결정된 관계에 따라서 증가 또는 감소되어야 한다.
복수의 전원의 출력 전압의 제어 기술로서, 특허 문헌 1은 하나의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에서, 주전원의 출력 전압을 변경하는 정보가 부전원으로 출력되며, 이 부전원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전압을 결정한다.
특허 문헌 2에서, 부전원의 출력 전압은 주전원의 출력 전압에 비례하도록 결정되며, 주전원의 출력 전압이 변경되는 경우, 부전원의 출력 전압은 이에 비례하여 변경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3-304679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소58-224562호
그러나, 종래는, 출력전압만이 결정되고 있고, 출력 전압의 변경 도중에, 어떠한 제어도 개시되어 있지 않다.
도 5a는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Vom)과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Vo1)이 증가 또는 감소되는 경우의 전압 변화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a에서, 부하 회로의 저속 동작시에는, 예를 들어,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Vom)은 0.7 V로 결정되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Vo1)은 1.1 V로 결정된다. 부하 회로의 고속 동작시에, 주전원의 출력 전압(Vom)과 부전원의 출력전압(Vo1)을 1.4 V까지 증가시킨다. 동작이 저속 동작으로 되돌아가는 경우에,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Vom)은 0.7 V로 되돌아가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Vo1)은 1.1 V로 되돌아간다.
출력 전압이 증가되는 조건에서, 먼저,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Vom)[출력 전압(Vo1) 보다 낮음]이 증가된다. 출력 전압(Vom)이 출력 전압(Vo1)과 거의 동일하게 되면, 출력 전압(Vo1)은 출력 전압(Vom)의 변경 속도와 거의 동일한 변경 속도로 증가된다. 이 때, 출력 전압들(Vom 및 Vo1) 사이의 차는 예를 들어 50 mV 내에 있어야 한다. 또한, 목표 전압 1.4 V에서의 출력 전압들(Vom 및 Vo1) 사이의 차는 예를 들어 50 mV 내에 있어야 한다.
도 5b는 도 5a의 원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b에서, 교호하는 일점 쇄선 사이에 개재된 영역은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Vom)으로부터 ± 50 mV 범위에 있다.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Vom)이 증가되고, 출력 전압들(Vom 및 Vo1) 사이의 차가 ± 50 mV의 범위 내에 있게 되는 경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Vo1)은 증가되기 시작하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Vom)의 변경 속도와 거의 동일한 변경 속도로 증가된다. 따라서, 출력 전압(Vom 및 Vo1)이 1.4 V인 목표 전압에 도달할 때 까지, 출력 전압들(Vom 및 Vo1) 사이의 차는 ± 50 mV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5c는 예를 들어 주전원 회로의 부하 전류의 증가로 인해. 출력 전압(Vom)의 변경 속도가 변경 도중에 저하되는 경우의 도 5a의 원부분의 또 다른 확대도이다. 그러나,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Vo1)이 원래 속도와 거의 동일한 속도로 증가되므로,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Vo1)은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Vom) 보다 ± 50 mV의 범위를 초과하여 높게 된다.
도 5c에서, 이하의 내용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Vom)이 1.4V로부터 0.7 V로 되돌아가고,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Vo1)이 1.4 V로부터 1.1 V로 되돌아가는 경우에, 증가시와 유사한 현상이 발생한다.
도 5d는 도 5a의 원 부분의 또 다른 확대도이다. 도 5d를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전원 장치 및 전원 장치의 출력 전압 변경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주전원 회로와 부전원 회로 사이의 출력 전압차는, 주전원의 출력 전압의 변경 속도가 예를 들어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의 변경 도중에 주전원의 부하 전류의 증가로 인해 변경되는 경우에도, 미리 결정된 전압차를 초과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이러한 이점 및 다른 이점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출력 전압을 변경시킬 수 있는 주전원 회로와,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을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의 변경 방향과 동일한 변경 방향으로 출력 전압을 변경하는 하나 이상의 부전원 회로를 가지는 전원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전원 장치는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전압차 검출 회로, 및 전압 변경 신호 및 상기 전압차 검출 회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 제어 회로는, 상기 전압 변경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을 변경하고, 상기 전압차 검출 회로가,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 보다 더 크다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전압 제어 회로는,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내에 있도록,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의 출력 전압 변경 속도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주전원 회로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과 부전원 회로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이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에 대응하는 목표 출력 전압으로 변경된다. 변경 도중에,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검출된다. 이 전압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 보다 더 크게 되는 경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중 하나 또는 양자의 변경 속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및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의 변경 도중에도,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는 미리 결정된 전압차 내에서 제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전원 회로 및 부전원 회로의 전압 결정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전원 회로 및 부전원 회로의 또 다른 전압 결정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는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우의 전압 변경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b는 도 5a의 원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c는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의 변경 속도가 변경 도중에 저하되는 경우의 도 5a의 원 부분의 또 다른 확대도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도 5a의 원 부분의 또 다른 확대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의 처리들을 나타내는 제1 흐름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의 처리들을 나타내는 제2 흐름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의 처리들을 나타내는 제3 흐름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의 처리들을 나타내는 제4 흐름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의 처리들을 나타내는 제1 흐름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의 처리들을 나타내는 제2 흐름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의 처리들을 나타내는 제3 흐름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의 처리들을 나타내는 제4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읽혀질 때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하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100)는, 주전원 회로(10), 부전원 회로(20), 전압 제어 회로(30), 제1 비교기(CMP)(40) 및 제2 비교기(CMP)(50)를 포함한다.
주전원 회로(10)는, 전압 제어 회로(30)로부터 출력된 주전압 결정 신호에 대응하는 출력 전압(Vom)을 출력한다.
부전원 회로(20)는 전압 제어 회로(30)로부터 출력된 부전압 결정 신호에 대응하는 출력 전압(Vo1)을 출력한다.
전압 제어 회로(30)는 장치 동작 모드에 따라서, 예를 들어 CPU(중앙 처리 장치)와 같은 제어 회로(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대응하는 전압 변경 신호에 기초하여, 주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m)과 부전원 회로(20)의 출력 전압(Vo1)을 결정한다. 전압 제어 회로(30)에는, 제1 CMP(40)로부터의 출력 신호(Co1)와 제2 CMP(50)로부터의 출력 신호(Co2)가 입력되고, 전압 제어 회로(30)는 주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m)과 부전원 회로(20)의 출력 전압(Vo1)을 상기 출력 전압(Vom 및 Vo1)의 변경 도중의 전압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한다.
제1 CMP(40)의 반전 입력 단자에는 부전원 회로(20)의 출력 전압(Vo1)이 입력되고, 제1 CMP(40)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는 주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m)이 입력되고, 전압 제어 회로(30)에는 출력 신호(Co1)가 입력된다. 제1 CMP(40)는, 입력 단자들 사이에 미리 결정된 오프셋 전압(△V)을 제공하며, 출력 전압(Vom)이 출력 전압(Vo1)보다 오프셋 전압(△V) 이상 더 높은 경우에, 제1 CMP(40)는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제2 CMP(50)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는 부전원 회로(20)의 출력 전압(Vo1)이 입력되고, 제2 CMP(50)의 반전 입력 단자에는 주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m)이 인가되고, 전압 제어 회로(30)에는 출력 신호(Co2)가 입력된다. 제2 CMP(50)는 입력 단자들 사이에 미리 결정된 오프셋 전압(△V)을 제공하며, 출력 전압(Vom)이 출력 전압(Vo1)보다 오프셋 전압(△V) 이상 더 낮은 경우에, 제2 CMP(50)는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및 제2 CMP(40 및 50)는 전압차 검출 회로를 형성한다. 출력 전압(Vom)이 출력 전압(Vo1) 보다 미리 결정된 오프셋 전압(△V) 이상 더 높은 경우에, 제1 CMP(40)는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 전압(Vom)이 출력 전압(Vo1)보다 미리 결정된 오프셋 전압(△V) 이상 더 낮은 경우에, 제2 CMP(50)는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출력 전압들(Vom 및 Vo1) 사이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오프셋 전압(△V) 미만이 경우에, 제1 및 제2 CMP(40 및 50)는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도 2는 주전원 회로(10) 및 부전원 회로(20)의 전압 결정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에서,“/”의 좌측에서의 참조 번호(참조 부호)는 주전원 회로(10)에 대한 것이며,“/”의 우측에서의 참조 번호는 부전원 회로(20)에 대한 것이다. 즉, 주전원 회로(10)의 전압 결정 회로는 DAC(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1), EAMP(오차 증폭 회로)(12), 저항(R11) 및 저항(R12); 및 부전원 회로(20)의 전압 결정 회로는, DAC(21), EAMP(22), 저항(R21) 및 저항(R22)을 포함한다.
DAC(11)는 주전압 결정 신호에 기초하여 기준 전압(Vrm)을 생성하고, DAC(21)는 부전압 결정 신호에 기초하여 기준 전압(Vr1)을 생성한다. 기준 전압(Vrm)은 EAMP(12)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되고, 기준 전압(Vr1)은 EAMP(22)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된다.
저항(R11 및 R12)은 직렬로 접속되며, 주전원 회로(10)의 출력 단자와 접지 전위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저항(R21 및 R22)는 직렬로 접속되며, 부전원 회로(20)의 출력 단자와 접지 전위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R11)/저항(R12)의 접속 노드에서의 전압(Vfbm)은 EAMP(12)의 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되며, 저항(R21)/저항(R22)의 접속 노드에서의 전압(Vfb1)은 EAMP(22)의 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된다.
저항(R11 및 R12)은 출력 전압 검출 회로를 형성하고, 저항(R21 및 R22)은 출력 전압 검출 회로를 형성한다.
EAMP(12 및 22)로부터의 출력은 대응하는 다음 스테이지의 회로들(미도시)에 입력되고, 출력 전압(Vom 및 Vo1)을 제어한다. 주전원 회로(10) 및 부전원 회로(20)는 직렬 레귤레이터 또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주전원 회로(10) 및 부전원 회로(20)의 또 다른 전압 결정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에서,“/”의 좌측에서의 참조 번호(참조 부호)는 주전원 회로(10)에 대한 것이며,“/”의 우측에서의 참조 번호는 부전원 회로(20)에 대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전압 결정 회로가 도 2에 도시된 전압 결정 회로와 비교되는 경우, 도 3에서는, 도 2에 도시된 DAC(11)[DAC(12)]가 고정 전압(Vrm)[Vr1]을 출력하는 기준 전압 요소(11)[(12)]에 의해 대체되고, 저항(R12)[R22]은 주(부)전압 결정 신호에 기초하여 저항값이 변경되는 가변 저항(R12)[R22]에 의해 대체된다.
다음으로, 전원 장치(100)의 처리들을 설명한다.
[출력 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처리]
도 6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100)에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제1 흐름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100)의 처리를 나타내는 제2 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제1 및 제2 흐름도에서는, 전원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전압들이 증가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에서, VomS는 변경 전의 주전원 회로(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고, Vom은 변경 도중의 주전원 회로(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고, VomE는 변경 후의 주전원 회로(10)로부터의 목표 출력 전압이다. 또한, Vo1S는 변경 전의 부전원 회로(2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고, Vo1은 변경 도중의 부전원 회로(2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고, Vo1E는 변경 후의 부전원 회로(20)로부터의 목표 출력 전압이다. 또한, △V는 제1 및 제2 CMP(40 및 50)에 의해 검출되는 미리 결정된 전압차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상기 처리들을 설명한다.
먼저, 출력 전압(VomS 및 Vo1S)을 증가시키기 위한 전압 변경 신호가 전압 제어 회로(30)에 입력되는 경우, 전압 제어 회로(30)는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과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을 비교한다. 즉,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이,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 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를 초과하여 더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이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를 초과하여 더 큰 경우에(단계 S1에서 YES), 제1 CMP(40)로부터의 출력은 하이 레벨 신호가 된다.
출력 전압(VomS)이 개시시의 출력 전압(Vo1S)보다 더 높기 때문에, 전압 제어 회로(30)는, 부전원 회로(20)의 출력 전압(Vo1)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부전압 결정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2). 이 때, 전압 제어 회로(30)는 도 2에 도시된 DAC(21)로부터의 출력 전압(Vr1) 또는 도 3에 도시된 가변 저항(R22)으로부터 출력된 값을 즉시 목표 전압(Vo1E)으로 증가시키기 않고 출력 전압(Vo1)이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에 목표 전압(Vo1E)까지 서서히 증가되도록, 출력 전압 변경 속도를 제어한다. 출력 전압(Vo1)은 부전압 결정 신호에 기초하여 증가된다.
다음으로,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도중의 출력 전압(Vo1)과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 제1 및 제2 CMP(40 및 50)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이 로우 레벨 신호가 되는 경우, 전압 제어 회로(30)는,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도중의 출력 전압(Vo1)과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이라고 판정한다(단계 S3에서 YES). 즉, 출력 전압(Vo1)은 출력 전압(VomS)과 거의 동일하게 된다고 판정된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4로 진행한다.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도중의 출력 전압(Vo1)과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인 경우에(단계 S3에서 NO), 처리는 단계 S2로 되돌아 가고, 단계 S2 및 S3에서의 처리는, 출력 전압(Vo1)을 증가시킴으로써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도중의 출력 전압(Vo1)과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이 될 때 까지 반복된다.
다음으로, 전압 제어 회로(30)는 주전압 결정 신호를 더 출력하고,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도중의 출력 신호(Vom)를 증가시킨다.
이 때, 단계 S2에서의 처리와 유사하게, 전압 제어 회로(30)는, 도 2에 도시된 DAC(11)로부터의 출력 전압(Vrm) 또는 도 3에 도시된 가변 저항(R12)으로부터 출력된 값을 서서히 변경시킴으로써 출력 전압(Vom)을 서서히 증가시키도록 출력 전압 변경 속도를 제어한다. 출력 전압(Vom)의 출력 전압 변경 속도는 출력 전압(Vo1)의 출력 전압 변경 속도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출력 전압(Vom 및 Vo1)이 증가된다(단계 S4).
출력 전압(Vom 및 Vo1)의 증가 동안에, 단계 S11 내지 S14의 처리들이 수행된다. 단계 S11에서, 출력 전압(Vom)이 출력 전압(Vo1) 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 더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출력 전압(Vom)이 출력 전압(Vo1)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이상 더 큰 경우(단계 S11에서 YES), 제1 CMP(40)로부터의 출력은 하이 레벨 신호가 된다. 그 후, 전압 제어 회로(30)는, 주전압 결정 신호를 제어면서 DAC(11) 또는 가변 저항(R12)으로부터의 출력을 변경시키는 것을 중단시킴으로써 출력 전압(Vom)을 증가시키는 것을 정지시킨다(단계 S21). 즉, 출력 전압(Vom)이 유지된다. 다음으로, 출력 전압(Vo1)의 증가가 정지되는 경우, 출력 전압(Vo1)의 증가가 재개시된다(단계 S22).
단계 S22 이후에 또는 출력 전압(Vom)이 출력 전압(Vo1)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 더 크지 않은 경우에, 출력 전압(Vo1)이 출력 전압(Vom)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 더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2). 출력 전압(Vo1)이 출력 전압(Vom)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 더 큰 경우(단계 S12에서 YES), 제 2 CMP(50)로부터의 출력은 하이 레벨 신호가 된다. 그 후, 전압 제어 회로(30)는, 부전압 결정 신호를 제어하면서 DAC(21) 또는 가변 저항(R22)으로부터 출력을 변경시키는 것을 중단시킴으로써 출력 전압(Vo1)을 증가시키는 것을 정지한다(단계 S23). 즉, 출력 전압(Vo1)이 유지된다. 다음으로, 출력 전압(Vom)의 증가가 정지되는 경우, 출력 전압(Vom)의 증가가 재개시된다(단계 S24).
단계 S24 이후에, 또는 출력 전압(Vo1)이 출력 전압(Vom)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 더 크지 않은 경우에(단계 S12에서 NO),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목표 출력 전압(Vo1E)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3).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목표 출력 전압(Vo1E) 미만인 경우(단계 S13에서 YES), 출력 전압(Vom)이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4). 출력 전압(Vom)이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되지 않은 경우(단계 S14에서 NO), 처리는 단계 S11로 되돌아가며, 단계 S11 내지 단계 S14의 처리들을 반복한다. 출력 전압(Vom)이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되는 경우(단계 S14에서 YES), 출력 전압(Vom)의 증가가 종료된다(단계 S15).
다음으로, 출력 전압(Vo1)이 목표 출력 전압(Vo1E)이 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6). 출력 전압(Vo1)이 목표 출력 전압(Vo1E)이 되지 않은 경우(단계 S16에서 NO), 출력 전압(Vo1)이 증가되며(단계 S17), 처리는 단계 S16으로 되돌아간다. 출력 전압(Vo1)이 목표 출력 전압(Vo1E)이 되는 경우(단계 S16에서 YES), 출력 전압(Vo1)의 증가가 종료된다(S18). 상기 처리들에 의해, 출력 전압(Vom)은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되고, 출력 전압(Vo1)은 목표 출력 전압(Vo1E)이 된다.
단계 S13으로 되돌아가서,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목표 출력 전압(Vo1E) 이상인 경우(단계 S13에서 NO), 목표 출력 전압(VomE)은 목표 출력 전압(Vo1E) 보다 더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1).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목표 출력 전압(Vo1E) 보다 더 큰 경우(단계 S31에서 YES), 출력 전압(Vo1)이 목표 출력 전압(Vo1E)이 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2). 출력 전압(Vo1)이 목표 출력 전압(Vo1E)이 되는 경우(단계 S32에서 YES), 출력 전압(Vo1)의 증가가 종료된다(단계 S33). 출력 전압(Vo1)이 목표 출력 전압(Vo1E)이 되지 않는 경우(단계 S32에서 NO), 처리는 단계 S11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출력 전압(Vom)이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4). 출력 전압(Vom)이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되지 않은 경우(단계 S34에서 NO), 출력 전압(Vom)이 증가되며(단계 S35), 처리는 단계 S34로 되돌아간다. 출력 전압(Vom)이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되는 경우(단계 S34에서 YES), 출력 전압(Vom)의 증가가 종료된다(S36). 이에 의해, 출력 전압(Vom)은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되고, 출력 전압(Vo1)은 목표 출력 전압(Vo1E)이 된다.
단계 S31로 되돌아가서,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목표 출력 전압(Vo1E) 이상인 경우(단계 S31에서 NO), 출력 전압(Vom)이 목표 출력 전압(VomE)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1). 출력 전압(Vom)이 목표 출력 전압(VomE)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단계 S41에서 NO), 출력 전압(Vom)이 증가되며(단계 S45), 처리는 단계 S11로 되돌아간다.
출력 전압(Vom)이 목표 출력 전압(VomE)과 동일한 경우(단계 S41에서 YES), 출력 전압(Vom)의 증가는 종료된다(단계 S42). 그 후, 출력 전압(Vo1)이 목표 출력 전압(Vo1E)이 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3). 출력 전압(Vo1)이 목표 출력 전압(Vo1E)이 되지 않는 경우(단계 S43에서 NO), 처리는 단계 S11로 되돌아간다. 출력 전압(Vo1)이 목표 출력 전압(Vo1E)이 되는 경우(단계 S43에서 YES), 출력 전압(Vo1)의 증가가 종료된다(단계 S44).
다음으로, 단계 S1로 되돌아가면,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이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를 초과하여 더 크지 않은 경우(단계 S1에서 NO), 제1 CMP(40)로부터의 출력은 로우 레벨 신호가 된다. 그 후,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이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를 초과하여 더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이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 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를 초과하여 더 큰 경우(단계 S5에서 YES), 제2 CMP(50)로부터의 출력은 하이 레벨 신호가 된다.
다음으로, 전압 제어 회로(30)는, 주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mS)을 증가시키고 출력 전압(Vom)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주전압 결정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6). 이 때, 단계 S2의 처리와 유사하게, 전압 제어 회로(30)는, 도 2에 도시된 DAC(11)로부터의 출력 전압(Vrm) 또는 도 3에 도시된 가변 저항(R12)으로부터 출력된 값을 서서히 변경시킴으로써 출력 전압(Vom)이 서서히 증가되도록 출력 전압 변경 속도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주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m)과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7).
제1 및 제 2 CMP(40 및 50)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로우 레벨 신호가 되는 경우, 전압 제어 회로(30)는, 주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m)과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이라고 판정한다(단계 S7에서 YES). 즉, 출력 전압(Vom)이 출력 전압(Vo1S)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고 판정된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8로 진행한다.
주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m)과 부전원 회로(20)의 출력 전압(Vo1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보다 더 큰 경우(단계 S7에서 NO), 처리는 단계 S6으로 되돌아가며, 전압 제어 회로(30)는, 주전압 결정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 전압(Vom)을 증가시키고, 주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m)과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이 될 때 까지 단계 S6 및 단계 S7에서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 후, 전압 제어 회로(30)는 부전압 결정 신호를 더 출력하고, 출력 전압(Vo1)을 증가시킨다. 이 때, 단계 S6에서의 처리와 유사하게, 전압 제어 회로(30)는, 도 2에 도시된 DAC(21)로부터의 출력 전압(Vr1) 또는 도 3에 도시된 가변 저항(R22)으로부터 출력된 값을 서서히 변경시킴으로써 출력 전압(Vo1)이 서서히 증가되도록 출력 전압 변경 속도를 제어한다. 출력 전압(Vo1)의 변경 속도는 출력 전압(Vom)의 변경 속도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출력 전압(Vom 및 Vo1)이 증가된다(단계 S8).
출력 전압(Vom 및 Vo1)의 증가 동안에, 전술된 단계 S11 내지 단계 S14의 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S5로 되돌아가서,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이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를 초과하여 더 크지 않은 경우에(단계 S5에서 NO), 출력 전압들(Vo1S 및 Vom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내에 있으므로, 제1 및 제2 CMP(40 및 50)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은 로우 레벨 신호가 된다. 그 후, 전압 제어 회로(30)는 동일한 변경 속도로 출력 전압들(Vom 및 Vo1)을 증가시킨다. 출력 전압들(Vom 및 Vo1)의 증가 동안에, 전술한 단계 S11 내지 S14의 처리를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 전압들(Vom 및 Vo1)의 증가 도중에, 출력 전압들(Vom 및 Vo1)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이 되는 경우, 제1 및 제2 CMP(40 및 50)(전압차 검출 회로)는, 출력 전압들(Vom 및 Vo1) 중에서 전압이 나머지 전압 보다 더 높은 하나를 증가시키는 것을 정지시키도록 동작하고, 다른 하나가 높게 될 때 까지 대기하도록 동작한다. 이에 의해, 출력 전압들(Vom 및 Vo1) 사이의 차의 최대값을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내에서 유지할 수 있다.
도 5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가 적용되는 도 5a의 원 부분의 또 다른 확대도이다. 도 5d에서, 교호하는 일전 쇄선들 사이에 개재된 영역은, 주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m)으로부터 ± 50 mV의 범위를 가진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전압(Vom)의 증가 속도는, 미식별된 원인으로 인해 저하되고, 출력 전압(Vo1)이 출력 전압(Vo1) 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50 mV] 이상 더 높은 전압이 되는 경우, 출력 전압(Vo1)의 증가가 정지되고, 출력 전압(Vom)이 높게 될 때 까지 대기 상태로 있게 된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가 출력 전압들(Vom 및 Vo1) 사이의 실제 허용가능한 전압차 보다 약간 미만인 값이 되도록 결정되는 경우, 미리 결정된 전압차(△V)는 잘 기능할 수 있다.
단계 S21에서는, 출력 전압(Vom)의 증가가 정지되지만, 일부 경우에서, 출력 전압(Vom)의 증가를 정지시키지 않고, 출력 전압(Vom)의 증가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단계 S23에서는, 출력 전압(Vo1)의 증가가 정지되지만, 일부 경우에서, 출력 전압(Vo1)의 증가를 정지시키지 않고, 출력 전압(Vo1)의 증가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단계 S22에서, 출력 전압(Vom)의 증가가 단계 S21에서 정지되면, 출력 전압(Vo1)이 증가되지만, 일부 경우에서, 출력 전압(Vo1)의 증가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단계 S24에서, 출력 전압(Vo1)의 증가가 정지되지만, 일부 경우에서, 출력 전압(Vom)의 증가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출력 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한 처리]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100)의 처리를 나타내는 제3 흐름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100)의 처리를 나타내는 제 4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제 3 및 제 4 흐름도에서, 전원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전압들이 감소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에서, 단계 번호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들과 동일하다. 그러나, 도 7a 및 도 7b에서는, 일부 경우들에서, 단계 번호의 처리의 내용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단계 번호의 내용과 다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처리를 설명한다.
먼저, 전압 제어 회로(30)에 출력 전압들(VomS 및 Vo1S)를 감소시키기 위한 전압 변경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이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과 비교된다. 즉,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이 부전원 회로(20)의 출력 전압(Vo1S)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를 초과하여 더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이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 더 큰 경우(단계 S1에서 YES), 제1 CMP(40)로부터의 출력은 하이 레벨 신호가 된다.
출력 전압(VomS)이 개시시의 출력 전압(Vo1S)보다 더 높으므로, 전압 제어 회로(30)는, 주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ms)이 감소되도록 주전압 결정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2). 즉, 전압 제어 회로(30)는 출력 전압(Vom)을 감소시킨다(단계 S2). 이 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전압이 증가되는 경우와 유사하게, 전압 제어 회로(30)는, 도 2에 도시된 DAC(11)로부터의 출력 전압(Vrm) 또는 도 3에 도시된 가변 저항(R12)로부터 출력된 값을 목표 전압(VomE)으로 즉시 결정하지 않고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에 목표 전압(VomE)으로 서서히 감소시키도록 출력 전압 변경 속도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도중의 출력 전압(Vom)과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 제1 및 제 2 CMP(40 및 50)로부터의 출력이 로우 레벨 신호가 되는 경우, 전압 제어 회로(30)는,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도중의 출력 전압(Vom)과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이라고 판정한다(단계 S3에서 YES). 즉, 출력 전압(Vom)이 출력 전압(Vo1S)과 거의 동일하게 된다고 판정된다. 그 후, 전압 제어 회로(30)는 출력 전압들(Vom 및 Vo1)을 감소시킨다(단계 S4).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도중의 출력 전압(Vom)과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이 아닌 경우(단계 S3에서 NO), 처리는 단계 S2로 되돌아가며, 단계 S2 및 단계 S3의 처리는,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도중의 출력 전압(Vom)과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 사이의 차가 출력 전압(Vom)를 감소시킴으로써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이 될 때 까지 반복된다.
다음으로, 전압 제어 회로(30)는 부전압 결정 신호를 더 출력하고,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도중의 출력 전압(Vo1)을 감소시킨다. 이 때, 단계 S2의 처리와 유사하게, 전압 제어 회로(30)는, 도 2에 도시된 DAC(21)로부터의 출력 전압(Vr1) 또는 도 3에 도시된 가변 저항(R22)으로부터 출력된 값을 서서히 변경함으로써 출력 전압(Vo1)이 서서히 감소되도록 출력 전압 변경 속도를 제어한다. 출력 전압(Vo1)의 출력 전압 변경 속도는 출력 전압(Vom)의 출력 전압 변경 속도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출력 전압들(Vom 및 Vo1)이 감소된다(단계 S4).
출력 전압들(Vom 및 Vo1)의 감소 동안에, 단계 S11 내지 단계 S14의 처리가 수행된다. 단계 S11에서, 출력 전압(Vom)이 출력 전압(Vo1) 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 더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출력 전압(Vom)이 출력 전압(Vo1) 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 더 큰 경우(단계 S11에서 YES), 제1 CMP(40)로부터의 출력은 로우 레벨 신호가 된다. 그 후, 전압 제어 회로(30)는, 부전압 결정 신호를 제어하면서 DAC(21) 또는 가변 저항(R22)으로부터의 출력을 변경시키는 것을 중단시킴으로써 출력 전압(Vo1)을 감소시키는 것을 정지시킨다(단계 S21). 즉, 출력 전압(Vo1)이 유지된다. 다음으로, 출력 전압(Vom)의 저하가 정지되는 경우, 출력 전압(Vom)의 감소가 재개시된다(단계 S22).
단계 S22 이후에, 또는 출력 전압(Vom)이 출력 전압(Vo1)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 더 크지 않은 경우에(단계 S11에서 NO), 출력 전압(Vo1)이 출력 전압(Vom)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 더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2). 출력 전압(Vo1)이 출력 전압(Vom)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 더 큰 경우(단계 S12에서 YES), 제 2 CMP(50)로부터의 출력은 하이 레벨 신호가 된다. 그 후, 전압 제어 회로(30)는, 주전압 결정 신호를 제어하면서 DAC(11) 또는 가변 저항(R12)으로부터의 출력을 변경시키는 것을 중단시킴으로써 출력 전압(Vom)을 감소시키는 것을 정지한다(단계 S23). 즉, 출력 전압(Vom)이 유지된다. 다음으로, 출력 전압(Vo1)의 감소가 정지되는 경우, 출력 전압(Vo1)의 감소가 재개시된다(단계 S24).
단계 S24 이후에, 또는 출력 전압(Vo1)이 출력 전압(Vom)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 더 크지 않은 경우에(단계 S12에서 NO),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목표 출력 전압(Vo1E) 보다 더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3).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목표 출력 전압(Vo1E) 보다 더 큰 경우(단계 S13에서 YES), 출력 전압(Vom)이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4). 출력 전압(Vom)이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되지 않은 경우(단계 S14에서 NO), 처리는 단계 S11로 되돌아가며, 단계 S11 내지 단계 S14의 처리를 반복한다. 출력 전압(Vom)이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되는 경우(단계 S14에서 YES), 출력 전압(Vom)의 감소가 종료된다(단계 S15).
다음으로, 출력 전압(Vo1)이 목표 출력 전압(Vo1E)이 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6). 출력 전압(Vo1)이 목표 출력 전압(Vo1E)이 되지 않은 경우(단계 S16에서 NO), 출력 전압(Vo1)이 감소되며(단계 S17), 처리는 단계 S16으로 되돌아간다. 출력 전압(Vo1)이 목표 출력 전압(Vo1E)이 되는 경우(단계 S16에서 YES), 출력 전압(Vo1)의 감소가 종료된다(S18). 상기 처리들에 의해, 출력 전압(Vom)은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되고, 출력 전압(Vo1)은 목표 출력 전압(Vo1E)이 된다.
단계 S13으로 되돌아가서,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목표 출력 전압(Vo1E) 보다 더 크지 않은 경우(단계 S13에서 NO),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목표 출력 전압(Vo1E)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1).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목표 출력 전압(Vo1E) 미만인 경우(단계 S31에서 YES), 출력 전압(Vo1)이 목표 출력 전압(Vo1E)이 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2). 출력 전압(Vo1)이 목표 출력 전압(Vo1E)이 되는 경우(단계 S32에서 YES), 출력 전압(Vo1)의 감소가 종료된다(단계 S33). 출력 전압(Vo1)이 목표 출력 전압(Vo1E)이 되지 않는 경우, 처리는 단계 S11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출력 전압(Vom)이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4). 출력 전압(Vom)이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되지 않는 경우(단계 S34에서 NO), 출력 전압(Vom)이 감소되며(단계 S35), 처리는 단계 S34로 되돌아간다. 출력 전압(Vom)이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되는 경우(단계 S34에서 YES), 출력 전압(Vom)의 감소가 종료된다(단계 S36). 이에 의해, 출력 전압(Vom)은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되고, 출력 전압(Vo1)은 목표 출력 전압(Vo1E)이 된다.
단계 S31로 되돌아가서, 목표 출력 전압(VomE)이 목표 출력 전압(Vo1E) 미만이 아닌 경우(단계 S31에서 NO), 출력 전압(Vom)이 목표 출력 전압(VomE)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1). 출력 전압(Vom)이 목표 출력 전압(VomE)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단계 S41에서 NO), 출력 전압(Vom)이 증가되며(단계 S45), 처리는 단계 S11로 되돌아간다.
출력 전압(Vom)이 목표 출력 전압(VomE)과 동일한 경우(단계 S41에서 YES), 출력 전압(Vom)의 감소는 종료된다(단계 S42). 그 후, 출력 전압(Vo1)이 목표 출력 전압(Vo1E)이 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3). 출력 전압(Vo1)이 목표 출력 전압(Vo1E)이 되지 않는 경우(단계 S43에서 NO), 처리는 단계 S11로 되돌아간다. 출력 전압(Vo1)이 목표 출력 전압(Vo1E)이 되는 경우(단계 S43에서 YES), 출력 전압(Vo1)의 감소가 종료된다(단계 S44).
다음으로, 단계 S1로 되돌아가면,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이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 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를 초과하여 더 크지 않은 경우(단계 S1에서 NO), 제1 CMP(40)로부터의 출력은 로우 레벨 신호가 된다. 그 후,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이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를 초과하여 더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이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 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를 초과하여 더 큰 경우(단계 S5에서 YES), 제2 CMP(50)로부터의 출력은 하이 레벨 신호가 된다.
다음으로, 전압 제어 회로(30)는, 부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1S)을 감소시키고 출력 전압(Vo1)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부전압 결정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6). 이 때, 단계 S2의 처리와 유사하게, 전압 제어 회로(30)는, 도 2에 도시된 DAC(11)로부터의 출력 전압(Vr1) 또는 도 3에 도시된 가변 저항(R22)으로부터 출력된 값을 서서히 변경시킴으로써 출력 전압(Vom)이 서서히 감소되도록 출력 전압 변경 속도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주전원 회로(10)의 변경전의 출력 전압(VomS)과 부전원 회로(20)의 출력 전압(Vo1)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7). 제1 및 제 2 CMP(40 및 50)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로우 레벨 신호가 되는 경우, 전압 제어 회로(30)는, 주전원 회로(10)의 변경전의 출력 전압(VomS)과 부전원 회로(20)의 출력 전압(Vo1)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이라고 판정한다(단계 S7에서 YES). 즉, 출력 전압(VomS)이 출력 전압(Vo1)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고 판정된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8로 진행한다.
주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mS)과 부전원 회로(20)의 출력 전압(Vo1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보다 더 큰 경우(단계 S7에서 NO), 처리는 단계 S6으로 되돌아가며, 전압 제어 회로(30)는, 부전압 결정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 전압(Vo1)을 감소시키고, 주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mS)과 부전원 회로(20)의 출력 전압(Vo1)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이 될 때 까지 단계 S6 및 단계 S7에서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 후, 전압 제어 회로(30)는 주전압 결정 신호를 더 출력하고, 출력 전압(Vom)을 감소시킨다. 이 때, 단계 S6에서의 처리와 유사하게, 전압 제어 회로(30)는, 도 2에 도시된 DAC(21)로부터의 출력 전압(Vrm) 또는 도 3에 도시된 가변 저항(R12)으로부터 출력된 값을 서서히 변경시킴으로써 출력 전압(Vom)이 서서히 감소되도록 출력 전압 변경 속도를 제어한다. 출력 전압(Vom)의 변경 속도는 출력 전압(Vo1)의 변경 속도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출력 전압(Vom 및 Vo1)이 감소된다(단계 S8).
출력 전압(Vom 및 Vo1)의 감소 동안에, 전술된 단계 S11 내지 단계 S14의 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S5로 되돌아가서,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이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 더 크지 않은 경우에(단계 S5에서 NO), 출력 전압들(Vo1S 및 Vom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내에 있으므로, 제1 및 제2 CMP(40 및 50)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은 로우 레벨 신호가 된다. 그 후, 전압 제어 회로(30)는 동일한 변경 속도로 출력 전압들(Vom 및 Vo1)을 감소시킨다. 출력 전압들(Vom 및 Vo1)의 감소 동안에, 전술한 단계 S11 내지 S14의 처리를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 전압들(Vom 및 Vo1)의 감소 도중에, 출력 전압들(Vom 및 Vo1)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이 되는 경우, 제1 및 제2 CMP(40 및 50)(전압차 검출 회로)는, 출력 전압들(Vom 및 Vo1) 중에서 전압이 나머지 하나 보다 더 낮은 하나를 감소시키는 것을 정지시키도록 동작하고, 나머지 하나가 낮게 될 때 까지 대기하도록 동작한다. 이에 의해, 출력 전압들(Vom 및 Vo1) 사이의 차의 최대값을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내에서 유지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가 출력 전압들(Vom 및 Vo1) 사이의 실제 허용가능한 전압차 보다 약간 미만인 값이 되도록 결정되는 경우, 미리 결정된 전압차(△V)는 잘 기능할 수 있다.
단계 S21에서는, 출력 전압(Vom)의 감소가 정지되지만, 일부 경우에서, 출력 전압(Vom)의 감소를 정지시키지 않고, 출력 전압(Vom)의 감소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단계 S23에서는, 출력 전압(Vo1)의 감소가 정지되지만, 일부 경우에서, 출력 전압(Vo1)의 감소를 정지시키지 않고, 출력 전압(Vo1)의 감소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단계 S22에서, 출력 전압(Vom)의 감소가 단계 S21에서 정지되면, 출력 전압(Vo1)이 감소되지만, 일부 경우에서, 출력 전압(Vo1)의 감소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단계 S24에서, 출력 전압(Vo1)의 감소가 단계 S23에서 정지되는 경우 출력 전압(Vom)이 감소되지만, 일부 경우에서, 출력 전압(Vom)의 감소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서, 구성요소가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유사하거나 또는 이와 동일한 경우, 도 1에 도시된 참조 번호와 동일한 참조 번호가 상기 구성요소에 사용되며, 도 1에 관련된 것과 동일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100A)는, 주전원 회로(10), 부전원 회로(20), 전압 제어 회로(30) 및 윈도우 비교기(WCMP)(5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블록도가 도 1에 도시된 블록도와 비교되는 경우, 도 4에서,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 2 CMP(40 및 50)는 WCPM(60)으로 대체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m)은 WCMP(60)의 제1 입력 단자(I1)에 입력되고, 부전원 회로(20)의 출력 전압(Vo1)은 WCMP(60)의 제2 입력 단자(I2)에 입력된다. 또한, WCMP(60)로부터의 출력 신호(Co)는 전압 제어 회로(30)에 입력된다.
미리 결정된 오프셋 전압(△V)이 WCMP(60)의 제1 입력 단자(I1)와 제2 입력 단자(I2) 사이에 결정된다. 출력 전압들(Vom 및 Vo1) 사이의 전압차가 미리 결정된 오프셋 전압(△V) 미만인 경우에, WCMP(60)는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압차가 미리 결정된 오프셋 전압(△V) 이상인 경우에, WCMP(60)은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전원 장치(100A)의 처리를 설명한다.
[출력 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처리]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회로(100A)의 처리를 나타내는 제1 흐름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회로(100A)의 처리를 나타내는 제2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제1 및 제2 흐름도에서, 전원 장치(100A)로부터 출력된 전압들이 증가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에서, 단계 번호로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단계 번호가 사용되지만, 일부 경우에서, 단계(처리)의 내용은 도 6a 및 도 6b의 것과는 다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처리를 설명한다.
먼저, 출력 전압(VomS 및 Vo1S)을 증가시기키 위한 전압 변경 신호가 전압 제어 회로(30)에 입력되는 경우,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은 부전원 회로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과 비교된다. 즉,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이,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 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를 초과하여 더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
WCMP(60)으로부터의 출력이 로우 레벨 신호인 경우,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은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 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를 초과하여 더 크다(단계 S1에서 YES).
이 경우, 출력 전압(VomS)이 개시시의 출력 전압(Vo1S) 보다 더 높기 때문에, 전압 제어 회로(30)는, 부전원 회로(20)의 출력 전압(Vo1)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부전압 결정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압 제어 회로(30)는, 출력 전압(Vo1)을 목표 전압(Vo1E)로 서서히 증가시키기 위하여 부전압 결정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도중의 출력 전압(Vo1)과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 WCMP(60)로부터의 출력이 로우 레벨 신호가 되는 경우, 전압 제어 회로(30)는,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도중의 출력 전압(Vo1)과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이라고 판정한다(단계 S3에서 YES). 즉, 출력 전압(Vo1)은 출력 전압(VomS)과 거의 동일하게 된다고 판정된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4로 진행한다.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도중의 출력 전압(Vo1)과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인 경우에(단계 S3에서 NO), 처리는 단계 S2로 되돌아가고, 단계 S2 및 단계 S3에서의 처리는, 출력 전압(Vo1)을 증가시킴으로써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도중의 출력 전압(Vo1)과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이 될 때 까지 반복된다. 이 때, 전압 제어 회로(30)는 부전압 결정 신호를 부전압 회로(20)로 출력하고, 출력 전압(Vo1)을 증가시킨다.
다음으로, 전압 제어 회로(30)는 주전압 결정 신호를 더 출력하고,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도중의 출력 전압(Vom)을 증가시킨다. 이 때, 출력 전압(Vom)의 출력 전압 변경 속도는 출력 전압(Vo1)의 출력 전압 변경 속도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된다. 단계 S2에서의 처리와 유사하게, 전압 제어 회로(30)는, 도 2에 도시된 DAC(11)로부터의 출력 전압(Vrm) 또는 도 3에 도시된 가변 저항(R12)으로부터 출력된 값을 서서히 변경시킨다. 이에 의해, 출력 전압(Vom 및 Vo1)이 증가된다(단계 S4).
출력 전압(Vom 및 Vo1)의 증가 동안에, 단계 S11 내지 단계 S14의 처리들이 수행된다.
단계 S11에서, 출력 전압(Vom)과 출력 전압(Vo1)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출력 전압(Vom)과 출력 전압(Vo1)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인 경우(단계 S11에서 YES), WCMP(60)로부터의 출력은 로우 레벨 신호가 된다. 그 후, 전압 제어 회로(30)는, 주전압 결정 신호를 제어하면서, DAC(11) 또는 가변 저항(R12)으로부터의 출력을 변경하는 것을 중단시킴으로써, 출력 전압(Vom)을 증가시키는 것을 정지시키고, 부전압 결정 신호를 제어하면서, DAC(21) 또는 가변 저항(R22)으로부터의 출력을 변경시키는 것을 중단시킴으로써 출력 전압(Vo1)을 증가시키는 것을 정지시킨다(단계 S21). 즉, 출력 전압(Vom 및 Vo1)이 유지된다.
단계 S11로 되돌아가서, 출력 전압(Vom)과 출력 전압(Vo1)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인 경우(단계 S11에서 NO), 처리는 단계 S12로 진행한다. 출력 전압(Vom 및 Vo1)의 증가가 정지되는 경우, 출력 전압(Vom 및 Vo1)의 증가가 재개시된다(단계 S12).
단계 S13 내지 단계 S18의 처리, 단계 S31 내지 단계 S36의 처리 및 단계 S41 내지 단계 S45의 처리는 도 6a 및 도 6b를 이용하여 설명되는 처리와 동일하므로, 상기 처리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단계 S1로 되돌아가면, WCMP(60)으로부터의 출력이 로우 레벨 신호가 되고,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과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보다 더 크지 않은 경우(단계 S1에서 NO),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이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 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를 초과하여 더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이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 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를 초과하여 더 큰 경우(단계 S5에서 YES), 전압 제어 회로(30)는, 주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mS)을 증가시키고 상기 출력 전압(Vom)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주전압 결정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6). 이 때, 단계 S2의 처리와 유사하게, 전압 제어 회로(30)는, 출력 전압(Vom)을 목표 출력 전압(VomE)까지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에 서서히 증가시킨다.
다음으로, 주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m)과 부전원 회로(20)의 변경전의 출력 전압(Vo1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7).
WCMP(60)로부터의 출력이 하이 레벨 신호가 되는 경우, 전압 제어 회로(30)는, 주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m)과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이라고 판정한다(단계 S7에서 YES). 즉, 출력 전압(Vom)이 출력 전압(Vo1S)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고 판정된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8로 진행한다.
주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m)과 부전원 회로(20)의 출력 전압(Vo1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인 경우(단계 S7에서 NO), 처리는 단계 S6으로 되돌아가며, 전압 제어 회로(30)는, 주전압 결정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 전압(Vom)을 증가시키고, 주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m)과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이 될 때 까지 단계 S6 및 단계 S7에서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 후, 전압 제어 회로(30)는 부전압 결정 신호를 더 출력하고, 출력 전압(Vo1)을 증가시킨다. 이 때, 단계 S6에서의 처리와 유사하게, 전압 제어 회로(30)는, 도 2에 도시된 DAC(21)로부터의 출력 전압(Vr1) 또는 도 3에 도시된 가변 저항(R12)으로부터 출력된 값을 서서히 변경시킨다. 출력 전압(Vo1)의 변경 속도는 출력 전압(Vom)의 변경 속도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출력 전압(Vom 및 Vo1)이 증가된다(단계 S8). 출력 전압(Vom 및 Vo1)의 증가 동안에, 단계 S11 내지 단계 S14의 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S5로 되돌아가서, WCMP(60)로부터의 출력이 하이 레벨 신호가 되는 경우 즉,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과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보다 더 크지 않은 경우에(단계 S5에서 NO), 단계 S2 및 단계 S6의 처리와 유사하게, 전압 제어 회로(30)는 동일한 변경 속도로 출력 전압(Vom 및 Vo1)을 증가시킨다(단계 S9). 출력 전압(Vom 및 Vo1)의 증가 동안에, 전술한 단계 S11 내지 단계 S14의 처리를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 전압(Vom 및 Vo1)의 증가 도중에, WCMP(60)(전압차 검출 회로)로부터의 출력이 로우 레벨 신호가 되는 경우, 상기 전압 제어 회로(30)는 출력 전압(Vom 및 Vo1) 사이의 전압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이 됨을 검출한다. 그 후, 전압 제어 회로(30)는 출력 전압(Vom 및 Vo1)을 증가시키는 것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이 후에, WCMP(60)로부터 출력이 하이 레벨 신호가 되는 경우, 전압 제어 회로(30)는 출력 전압(Vom 및 Vo1)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내에 있게 됨을 검출한다. 그 후, 전압 제어 회로(30)는 출력 전압(Vom 및 Vo1)을 증가시키는 것을 재개시한다. 이에 의해, 출력 전압(Vom 및 Vo1) 사이의 차의 최대값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내에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서, 미리 결정된 전압차(△V)가 출력 전압(Vom 및 Vo1) 사이의 실제 허용가능한 전압차 보다 약간 미만의 값이 되도록 결정되는 경우, 미리 결정된 전압차(△V)는 잘 기능할 수 있다.
[출력 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한 처리]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100A)의 처리를 나타내는 제3 흐름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100A)의 처리를 나타내는 제 4 흐름도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제 3 및 제 4 흐름도에서, 전원 장치(100A)로부터 출력된 전압들이 감소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에서, 단계 번호로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들과 동일한 단계를 사용하지만, 일부 경우들에서, 단계(처리)의 내용은 도 8a 및 도 8b에서의 단계 내용과 다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처리를 설명한다.
먼저, 전압 제어 회로(30)에 출력 전압들(VomS 및 Vo1S)를 감소시키기 위한 전압 변경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이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과 비교된다. 즉,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과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보다 더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
WCMP(60)로부터의 출력이 로우 레벨 신호인 경우,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과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이 된다.
이 경우에, 출력 전압(VomS)이 개시시의 출력 전압(Vo1S) 보다 더 높으므로(단계 S1에서 YES), 전압 제어 회로(30)는, 주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m)을 감소시키도록 주전압 결정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2). 전술된 바와 같이, 전압 제어 회로(30)는, 출력 전압(Vom)이 목표 전압(VomE)으로 서서히 감소되도록 주전압 결정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도중의 출력 전압(Vom)과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 WCMP(60)로부터의 출력이 하이 레벨 신호가 되는 경우, 전압 제어 회로(30)는,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도중의 출력 전압(Vom)과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이라고 판정한다(단계 S3에서 YES). 즉, 출력 전압(Vom)이 출력 전압(Vo1S)과 거의 동일하게 된다고 판정된다. 그 후, 처리를 단계 S4로 진행한다.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도중의 출력 전압(Vom)과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인 경우(단계 S3에서 NO), 처리는 단계 S2로 되돌아가며, 단계 S2 및 단계 S3의 처리는,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도중의 출력 전압(Vom)과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 사이의 차가 출력 전압(Vom)를 감소시킴으로써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이 될 때 까지 반복된다. 이 때, 전압 제어 회로(30)는 주전압 결정 신호를 주전원 회로(10)로 출력하며, 출력 전압(Vom)을 감소시킨다.
다음으로, 전압 제어 회로(30)는 부전압 결정 신호를 더 출력하고,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도중의 출력 전압(Vo1)을 감소시킨다. 이 때, 출력 전압(Vo1)의 출력 전압 변경 속도는 출력 전압(Vom)의 출력 전압 변경 속도에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된다. 단계 S2의 처리와 유사하게, 전압 제어 회로(30)는, 도 2에 도시된 DAC(21)로부터의 출력 전압(Vr1) 또는 도 3에 도시된 가변 저항(R22)으로부터 출력된 값을 서서히 변경시킨다. 이에 의해, 출력 전압(Vom) 및 출력 전압(Vo1)이 감소된다(단계 S4).
출력 전압들(Vom 및 Vo1)의 감소 동안에, 단계 S11 내지 단계 S14의 처리가 수행된다.
단계 S11에서, 출력 전압(Vom)과 출력 전압(Vo1)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출력 전압(Vom)과 출력 전압(Vo1)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인 경우(단계 S11에서 YES), WCMP(60)로부터의 출력은 로우 레벨 신호가 된다. 그 후, 전압 제어 회로(30)는, 주전압 결정 신호를 제어하면서 DAC(11) 또는 가변 저항(R12)으로부터의 출력을 변경하는 것을 중단시킴으로써 출력 전압(Vom)을 감소시키는 것을 정지시키고, 부전압 결정 신호를 제어하면서 DAC(21) 또는 가변 저항(R22)으로부터의 출력을 변경하는 것을 중단시킴으로써 출력 전압(Vo1)을 감소시키는 것을 정지시킨다(단계 S21). 즉, 출력 전압(Vom, Vo1)이 유지된다.
단계 S11로 되돌아가면, 출력 전압(Vom)과 출력 전압(Vo1)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하며(단계 S11에서 NO), 처리는 단계 S12로 진행한다. 출력 전압(Vom 및 Vo1)의 감소가 정지되는 경우, 출력 전압(Vom 및 Vo1)의 감소는 재개시된다(단계 S12).
단계 S13 내지 단계 S18의 처리, 단계 S31 내지 단계 S36의 처리 및 단계 S41 내지 단계 S45의 처리는 도 7a 및 도 7b를 이용함으로써 설명된 처리와 동일하므로, 상기 처리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단계 S1으로 되돌아가면, WCMP(60)으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로우 레벨 신호이고, VomS > Vo1S이 아닌 경우(단계 S1에서 NO),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이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이 미리 결정된 전압차(△V)를 초과하여 더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이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 보다 미리 결정된 전압차(△V)를 초과하여 더 큰 경우(단계 S5에서 YES), 전압 제어 회로(30)는, 부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1S)을 감소시키고 출력 전압(Vo1)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부전압 결정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6). 이 때, 단계 S2의 처리와 유사하게, 전압 제어 회로(30)는,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에 출력 전압(Vo1)을 목표 출력 전압(Vo1E)으로 서서히 감소시킨다.
다음으로, 부전원 회로(20)의 출력 전압(Vo1)과 주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7).
WCMP(60)로부터의 출력이 하이 레벨 신호가 되는 경우, 전압 제어 회로(30)는, 부전원 회로(20)의 출력 전압(Vo1)과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이라고 판정한다(단계 S7에서 YES). 즉, 출력 전압(VomS)이 출력 전압(Vo1)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고 판정된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8로 진행한다.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과 부전원 회로(20)의 출력 전압(Vo1)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인 경우(단계 S7에서 NO), 처리는 단계 S6으로 되돌아가며, 전압 제어 회로(30)는, 부전압 결정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 전압(Vo1)을 감소시키고, 주전원 회로(10)의 출력 전압(VomS)과 부전원 회로(20)의 출력 전압(Vo1)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이 될 때 까지 단계 S6 및 단계 S7에서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 후, 전압 제어 회로(30)는 주전압 결정 신호를 더 출력하고, 출력 전압(Vom)을 감소시킨다. 이 때, 단계 S6에서의 처리와 유사하게, 전압 제어 회로(30)는, 도 2에 도시된 DAC(21)로부터의 출력 전압(Vrm) 또는 도 3에 도시된 가변 저항(R12)으로부터 출력된 값을 서서히 변경시킨다. 출력 전압(Vom)의 변경 속도는 출력 전압(Vo1)의 변경 속도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출력 전압(Vom 및 Vo1)이 감소된다(단계 S8).
출력 전압(Vom 및 Vo1)의 감소 동안에, 단계 S11 내지 단계 S14의 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S5로 되돌아가서, WCMP(60)로부터의 출력이 하이 레벨 신호인 경우 즉, 부전원 회로(2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1S)과 주전원 회로(10)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VomS)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인 경우(단계 S5에서 NO), 단계 S2 및 단계 S6의 처리와 유사하게, 전압 제어 회로(30)는 동일한 변경 속도로 출력 전압들(Vom 및 Vo1)을 감소시킨다(단계 S9). 출력 전압들(Vom 및 Vo1)의 감소 동안에, 전술한 단계 S11 내지 S14의 처리를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 전압들(Vom 및 Vo1)의 감소 도중에, WCMP(60)(전압차 검출 회로)로부터의 출력이 로우 레벨 신호가 되는 경우, 전압 제어 회로(30)는 출력 전압들(Vom 및 Vo1)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이상이 되는 것을 검출한다. 그 후, 전압 제어 회로(30)는 출력 전압들(Vom 및 Vo1)을 감소시키는 것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 이 후에, WCMP(60)로부터의 출력이 하이 레벨 신호가 되는 경우, 전압 제어 회로(30)는 출력 전압들(Vom 및 Vo1)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미만이 되는 것을 검출한다. 그 후, 전압 제어 회로(30)는 출력 전압들(Vom 및 Vo1)을 감소시키는 것을 재개시한다. 이에 의해, 출력 전압들(Vom 및 Vo1) 사이의 차의 최대값이 미리 결정된 전압차(△V) 내에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전압차(△V)가 출력 전압들(Vom 및 Vo1)의 실제 허용가능한 전압차보다 약간 미만인 값이 되도록 결정되는 경우, 미리 결정된 전압차(△V)는 잘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 부전원 회로(20)의 수는 하나이다. 그러나, 부전원 회로의 수는 하나로 제한되지 않는다. 전원 장치에 복수의 부전원 회로가 포함되는 경우에, 복수의 CMP 또는 WCMP가 복수의 부전원 회로과 주전원 회로 사이의 전압차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주전원 회로와 복수의 부전원 회로를 가지는 전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WCMP(60)에 의해 검출된 전압차는 흐름도의 각 처리에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서, 디지털 제어는 기준 전압의 값 또는 가변 저항의 값을 변경하는데 사용되지만, 아날로그 제어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행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2008년 4월 11일자로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우선권 주장 특허 출원 제2008-104163호에 기초하며, 이 전체 내용은 참고로 여기에 포함된다.

Claims (14)

  1. 출력 전압을 변경시킬 수 있는 주전원 회로와,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이 변경되는 경우에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의 변경 방향과 동일한 변경 방향으로 출력 전압이 변경되는 하나 이상의 부전원 회로를 가지는 전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전압차 검출 회로; 및
    전압 변경 신호 및 상기 전압차 검출 회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전압 제어 회로는, 상기 전압 변경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을 변경하고,
    상기 전압차 검출 회로가,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 보다 더 크다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전압 제어 회로는,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내에 있도록,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의 출력 전압 변경 속도를 제어하는 것인 전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회로가, 상기 전압차 검출 회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주전원 회로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이 상기 부전원 회로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과 다르다는 것을 검출하고, 상기 주전원 회로의 변경 전 및 변경 후 사이의 출력 전압이, 상기 부전원 회로의 변경 전 및 변경 후 사이의 출력 전압과 중복되지 않는 부분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전압 제어 회로는, 상기 전압차 검출 회로가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내에 있음을 검출할 때 까지,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중 어느 하나를 변경하고,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내에 있게 된 후에,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중 하나 또는 양자가 목표 출력 전압에 도달하는 동안에, 상기 전압차 검출 회로가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보다 더 크다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전압 제어 회로는,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내에 있도록,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의 출력 전압 변경 속도를 제어하는 것인 전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 회로 및 상기 부전원 회로 각각은,
    기준 전압을 출력하는 기준 전압 회로;
    상기 출력 전압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전압 검출 회로; 및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 출력된 전압 사이의 차를 증폭하는 오차 증폭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 제어 회로는, 상기 전압 변경 신호 및 상기 전압차 검출 회로로 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을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에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을 변경하는 것인 전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 회로 및 상기 부전원 회로 각각은,
    기준 전압을 출력하는 기준 전압 회로;
    상기 출력 전압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전압 검출 회로; 및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 출력된 전압 사이의 차를 증폭하는 오차 증폭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 제어 회로는, 상기 전압 변경 신호 및 상기 전압차 검출 회로로 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전압 검출 회로들로부터 출력된 전압들을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에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을 변경하는 것인 전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차 검출 회로가,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의 증가 동안에,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보다 더 크다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전압 제어 회로는, 검출 시점에서의 출력 전압이 다른 출력 전압 보다 더 높은, 상기 출력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 또는 상기 기준 전압의 변경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검출 시점에서의 출력 전압이 다른 출력 전압 보다 더 높은, 상기 출력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 또는 상기 기준 전압의 변경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검출 시점에서의 출력 전압이 다른 출력 전압 보다 낮은, 상기 출력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 또는 상기 기준 전압의 변경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내에 있도록 제어하는 것인 전원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차 검출 회로가,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의 감소 동안에,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보다 더 크다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전압 제어 회로는, 검출 시점에서의 출력 전압이 다른 출력 전압 보다 더 낮은, 상기 출력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 또는 상기 기준 전압의 변경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검출 시점에서의 출력 전압이 다른 출력 전압 보다 더 낮은, 상기 출력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 또는 상기 기준 전압의 변경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검출 시점에서의 출력 전압이 다른 출력 전압 보다 더 높은, 상기 출력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 또는 상기 기준 전압의 변경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내에 있도록 제어하는 것인 전원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차 검출 회로가,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의 변경 동안에,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 보다 더 크다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전압 제어 회로는,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검출 회로 및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 출력된 전압 또는 상기 기준 전압을 변경시키는 것을 일시적으로 정지하고,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내로 되돌아가는 경우, 상기 출력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 출력된 전압 또는 상기 기준 전압의 변경을 재개시하는 것인 전원 장치.
  8. 출력 전압을 변경시킬 수 있는 주전원 회로와,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이 변경되는 경우에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의 변경 방향과 동일한 변경 방향으로 출력 전압이 변경되는 하나 이상의 부전원 회로를 가지는 전원 장치의 출력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출력 전압 변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장치는,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미리 결정된 전압차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전압차 판정 수단; 및
    전압 변경 신호 및 상기 전압차 판정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출력 전압 변경 방법은,
    상기 전압 제어 회로에 의해 상기 전압 변경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전압차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보다 더 크다는 것이 판정되는 경우에,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내에 있도록,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의 출력 전압 변경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력 전압 변경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 회로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이 상기 부전원 회로의 변경 전의 출력 전압과 다르고, 상기 주전원 회로의 변경 전 및 변경 후 사이의 출력 전압이 상기 부전원 회로의 변경 전 및 변경 후 사이의 출력 전압과 중복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전압차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내에 있다고 판정될 때까지,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중 어느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내에 있게 된 후에,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중 하나 또는 양자가 목표 출력 전압에 도달하는 동안에, 상기 전압차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보다 더 크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내에 있도록,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의 출력 전압 변경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력 전압 변경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 회로 및 상기 부전원 회로 각각은,
    기준 전압을 출력하는 기준 전압 회로;
    상기 출력 전압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전압 검출 회로; 및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 출력된 전압 사이의 차를 증폭하는 오차 증폭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전압 변경 방법은,
    상기 전압 변경 신호 및 상기 전압차 판정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전압을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에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력 전압 변경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 회로 및 상기 부전원 회로 각각은,
    기준 전압을 출력하는 기준 전압 회로;
    상기 출력 전압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전압 검출 회로; 및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출력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 출력된 전압 사이의 차를 증폭하는 오차 증폭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전압 변경 방법은,
    상기 전압 변경 신호 및 상기 전압차 판정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전압 검출 회로들로부터 출력된 전압들을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에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력 전압 변경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의 증가 동안에,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보다 더 큰 경우에,
    검출 시점에서의 출력 전압이 다른 출력 전압 보다 더 높은, 상기 출력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 또는 상기 기준 전압의 변경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검출 시점에서의 출력 전압이 다른 출력 전압 보다 더 높은, 상기 출력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 또는 상기 기준 전압의 변경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검출 시점에서의 출력 전압이 다른 출력 전압 보다 더 낮은, 상기 출력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 또는 상기 기준 전압의 변경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내에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력 전압 변경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의 감소 동안에,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보다 더 큰 경우에,
    검출 시점에서의 출력 전압이 다른 출력 전압보다 더 낮은, 상기 출력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 또는 상기 기준 전압의 변경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검출 시점에서의 출력 전압이 다른 출력 전압 보다 더 낮은, 상기 출력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 또는 상기 기준 전압의 변경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검출 시점에서의 출력 전압이 다른 출력 전압보다 더 높은, 상기 출력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 또는 상기 기준 전압의 변경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내에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력 전압 변경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의 변경 동안에,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보다 더 큰 경우에,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검출 회로 및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 출력된 전압 또는 상기 기준 전압을 변경시키는 것을 일시적으로 정지하고,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과 상기 부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전압차 내로 되돌아가는 경우, 상기 출력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 출력된 전압 또는 상기 기준 전압의 변경을 재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력 전압 변경 방법.
KR1020107022622A 2008-04-11 2009-04-07 전원 장치 및 전원 장치의 출력 전압 변경 방법 KR101220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04163A JP5169415B2 (ja) 2008-04-11 2008-04-11 電源装置および電源装置の出力電圧変更方法
JPJP-P-2008-104163 2008-04-11
PCT/JP2009/057424 WO2009125866A1 (en) 2008-04-11 2009-04-07 Power source device and output voltage changing method of the power sourc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321A KR20100124321A (ko) 2010-11-26
KR101220795B1 true KR101220795B1 (ko) 2013-01-11

Family

ID=4116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622A KR101220795B1 (ko) 2008-04-11 2009-04-07 전원 장치 및 전원 장치의 출력 전압 변경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02417B2 (ko)
JP (1) JP5169415B2 (ko)
KR (1) KR101220795B1 (ko)
CN (1) CN101981525B (ko)
WO (1) WO20091258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2260B2 (ja) 2008-04-11 2013-08-14 株式会社リコー 電圧可変dc−dcコンバータ
JP5315988B2 (ja) 2008-12-26 2013-10-16 株式会社リコー Dc−dcコンバータ及びそのdc−dcコンバータを備えた電源回路
JP5402530B2 (ja) 2009-10-27 2014-01-29 株式会社リコー 電源回路
JP2011103744A (ja) 2009-11-11 2011-05-26 Ricoh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WO2011145707A1 (en) 2010-05-21 2011-11-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display device
JP5961374B2 (ja) 2011-12-09 2016-08-02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電源装置、電源装置の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
US8937468B2 (en) 2012-08-13 2015-01-20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Power supply systems and methods
JP6169055B2 (ja) * 2014-08-22 2017-07-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源装置、画像処理装置
JP6414011B2 (ja) * 2015-10-21 2018-10-3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107688759B (zh) * 2016-08-05 2020-07-31 敦泰电子有限公司 双电源系统的发送、接收、传输装置和指纹识别系统
CN107809175B (zh) * 2016-09-09 2024-01-30 苏州力生美半导体有限公司 开关电源、数控电压源及数控可调基准源芯片
US10317968B2 (en) * 2017-03-28 2019-06-11 Qualcomm Incorporated Power multiplexing with an active loa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4562A (ja) * 1982-06-23 1983-12-26 Hitachi Metals Ltd 多出力スイツチング電源
JPH0965646A (ja) * 1995-08-22 1997-03-07 Taiyo Yuden Co Ltd トラッキング式の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30C (zh) * 1997-05-27 2002-12-18 富士通西门子电脑股份有限公司 提供一个被耦合的线性调整的输出电压的电源装置的电路装置
JP2003169472A (ja) * 2001-12-03 2003-06-13 Canon Inc 電源装置
JP2003180073A (ja) * 2001-12-10 2003-06-27 Ricoh Co Ltd 電源回路
JP4413469B2 (ja) * 2002-04-10 2010-02-10 富士通テレコム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トラッキング制御電源システム
JP4745734B2 (ja) * 2005-06-30 2011-08-10 株式会社リコー システム電源装置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4805699B2 (ja) * 2006-03-14 2011-11-02 株式会社リコー 半導体装置
JP2006277760A (ja) 2006-05-16 2006-10-12 Ricoh Co Ltd 電源回路及び電源電圧供給方法
JP5151332B2 (ja) 2007-09-11 2013-02-27 株式会社リコー 同期整流型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4562A (ja) * 1982-06-23 1983-12-26 Hitachi Metals Ltd 多出力スイツチング電源
JPH0965646A (ja) * 1995-08-22 1997-03-07 Taiyo Yuden Co Ltd トラッキング式の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02417B2 (en) 2013-08-06
JP2009258809A (ja) 2009-11-05
WO2009125866A1 (en) 2009-10-15
CN101981525A (zh) 2011-02-23
CN101981525B (zh) 2013-06-12
JP5169415B2 (ja) 2013-03-27
US20110018347A1 (en) 2011-01-27
KR20100124321A (ko) 201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795B1 (ko) 전원 장치 및 전원 장치의 출력 전압 변경 방법
JP4890182B2 (ja) 同期整流型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同期整流型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の制御回路及び同期整流型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の動作制御方法
KR100961920B1 (ko) 전압 조정기
US7439716B2 (en) DC-DC converter and method
US7294994B2 (en) Power supply
US6657876B2 (en) Switched-capacitor-type stabilized power supply device
JP5902401B2 (ja) 電源装置、制御回路、電子機器及び電源の制御方法
JP5405891B2 (ja) 電源装置、制御回路、電源装置の制御方法
JP4889398B2 (ja) 定電圧電源回路
US20080061754A1 (en) Switching power supply unit and control method of switching power supply unit
US7545129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JP2010191885A (ja)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KR20150075034A (ko) 스위칭 레귤레이터 및 전자 기기
TW201710819A (zh) 具有高速非線性補償的調節器
US10644593B2 (en) DC-DC converter
US8080978B2 (en) 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
EP2431831A2 (en) Electr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9553461B2 (en) Charge control circuit, charge circuit, and mobile device
JP2006280028A (ja) 携帯電子機器、携帯電子機器の電源の制御回路及び制御方法
US20230266781A1 (en) Reference voltage auto-switching mechanism used in regulator for saving more power in low-power mode
JP2017207946A (ja) スルーレート制御装置、半導体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067678A (ja) 定電圧電源装置、携帯情報端末及び定電圧レギュレーター入力電圧調整方法
JP2007295656A (ja) バンク切替型キャパシタ電源装置及び充電方法
US8411419B2 (en) Electronic apparatus to which AC adaptor can be connected
JP4522738B2 (ja) パワーオンリセット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