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336B1 -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336B1
KR101220336B1 KR1020100130868A KR20100130868A KR101220336B1 KR 101220336 B1 KR101220336 B1 KR 101220336B1 KR 1020100130868 A KR1020100130868 A KR 1020100130868A KR 20100130868 A KR20100130868 A KR 20100130868A KR 101220336 B1 KR101220336 B1 KR 101220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aque layer
camera module
light
lens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9356A (ko
Inventor
권영만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0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336B1/ko
Publication of KR20120069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preventing ghost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렌즈 어레이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하거나 내경통 기구물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용이하게 플레어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 어레이에 있어서, 제1 렌즈; 제1 렌즈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렌즈; 및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에, 제1 렌즈 및 제2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유효 반경 외측으로 형성된 불투명층;을 포함하는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CAMERA MODULE INCLUDING LENS ARRAY HAVING OPAQUE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 어레이의 유효반경보다 큰 직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플레어(flare)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는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카메라 모듈의 렌즈는 여러 가지 목적 즉, 기구적 고정, 렌즈 단품 사출 후 커팅(cutting) 자국 제거를 위한 여유 부분 등의 목적으로 렌즈의 유효경보다 큰 직경을 갖게 만든다.
그러나, 이 부분에서의 반사 및 굴절된 빛은 센서로 입사되어 플레어 현상을 일으키는 주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플라스틱 렌즈 및 최근 연구되고 있는 리플로우 렌즈(reflow lens)의 경우는 외경통 없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측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갖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 어레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렌즈 어레이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하거나 내경통 기구물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용이하게 플레어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는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플로 렌즈와 같이 렌즈만 스태킹하는 경우에도 비그네팅(vignetting)을 줄 수 있으며, 렌즈 어레이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하지 않고도 비그네팅을 줄 수 있는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렌즈 어레이에 있어서, 제1 렌즈; 제1 렌즈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렌즈; 및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에, 제1 렌즈 및 제2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유효 반경 외측으로 형성된 불투명층;을 포함하는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제공한다.
불투명층은 제1 렌즈 및 제2 렌즈 중 적어도 하나에 광 조사를 통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1 렌즈 및 제2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광 조사에 기초한 광 에너지와 반응하여 연소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제1 렌즈 및 제2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열경화성 수지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광은 레이저 광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렌즈; 제1 렌즈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렌즈; 및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에, 제1 렌즈 및 제2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유효 반경 외측으로 형성된 불투명층;을 포함하고, 불투명층은 제1 렌즈와 제2 렌즈를 상호 부착시키는 접착층에 광 조사를 통해 형성된 것인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접착층은 유기물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물 접착제는 열경화성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카테고리로서, 카메라 모듈의 렌즈 어레이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 렌즈 하부로 제2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S110); 광이 제1 렌즈 및 제2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유효 반경 외측으로 조사되어 제1 렌즈 및 제2 렌즈 중 적어도 하나에 광의 광 에너지가 흡수되는 단계(S120); 및 흡수된 광 에너지가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에 불투명층을 형성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는,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렌즈 어레이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 렌즈 하부로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제2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210); 광이 제1 렌즈 및 제2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유효 반경 외측으로 조사되어 접착층에 광의 광 에너지가 흡수되는 단계(S220); 및 흡수된 광 에너지가 접착층을 불투명층으로 형성하는 단계(S230)를 포함하는,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렌즈 어레이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하거나 내경통 기구물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용이하게 플레어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플로 렌즈와 같이 렌즈만 스태킹하는 경우에도 비그네팅(vignetting)을 줄 수 있으며, 렌즈 어레이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하지 않고도 비그네팅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 일 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 제조방법의 제1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인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 제조방법의 제2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
도 1은 본 발명인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 일 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렌즈(10), 제2 렌즈(20) 및 제1 렌즈(10)와 제2 렌즈(20) 사이에 불투명층(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제1 렌즈(10) 및 제2 렌즈(20)를 포함하는 렌즈 어레이에 의해 렌즈 유효경 이내 광을 정규 굴절시킴으로써 피사체의 상을 이미지센서에 맺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렌즈 어레이는 렌즈 유효경을 벗어나는 부분으로 빛의 반사나 굴절이 발생함으로써 이미지센서에 맺히는 상이 부옇게 되거나 둥근 흰 반점이 나타나는 등의 플레어(flare)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불투명층(30)을 통해 원하지 않는 광의 반사나 굴절을 저감시키도록 작용한다.
제1 렌즈(10) 및 제2 렌즈(20)는 각각 정규 굴절을 위해 렌즈 유효경(R1, R2)을 가지지만, 그 렌즈 유효경(R1, R2) 외부로도 소정 길이의 렌즈 바디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렌즈(10) 및 제2 렌즈(20)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레이저 광(L)에 의해 연소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재질은 열경화성 수지(thermosetting plastic resin)로서 레이저 광(L)의 조사에 의해 열 에너지를 흡수하여 그을음이 생성될 수 있는 것이며, 그러한 열경화성 수지로 에폭시수지, 페놀수지,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우레탄수지 등이 있을 수 있다.
불투명층(30)은 원하지 않는 광의 굴절 및 반사를 저감시키며, 비그네팅을 구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불투명층(30)은 제1 렌즈(10) 및 제2 렌즈(20) 중 적어도 하나에 광 조사를 통해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제2 렌즈(30)에 광 조사를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불투명층(30)은 고 에너지의 레이저 광(L)을 제1 렌즈(10)를 통과시켜 제2 렌즈(20)에 초점(P)를 형성함으로써 원하는 영역에 그을음을 발생시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제1 렌즈(10) 및 제2 렌즈(20) 2 개를 도시하고 그 사이에 불투명층(30) 하나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 밖에도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렌즈 어레이는 다수의 다른 렌즈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불투명층(30)도 다른 렌즈들 사이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일 예로 하기의 렌즈 어레이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렌즈 어레이의 변형예 >
한편, 이러한 불투명층(30)은 변형예로서 제1 렌즈(10)와 제2 렌즈(20)를 부착시키기 위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접착층에 고 에너지의 레이저 광(L)을 조사하여 접착층의 연소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 또한 열경화성 수지로서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페놀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에폭시수지 등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렌즈(10)와 제2 렌즈(20)는 레이저 광(L)에 의해 연소되는 것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렌즈 어레이 제조방법>
<제1 실시예 >
도 2는 본 발명인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 제조방법의 제1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의 렌즈 어레이 제조방법에 있어서, 우선 제1 렌즈(10) 하부로 제2 렌즈(20)를 위치시킨다(S110).
다음, 광이 제1 렌즈(10) 및 제2 렌즈(20) 중 적어도 하나의 유효 반경 외측으로 조사되어 제1 렌즈(10) 및 제2 렌즈(20) 중 적어도 하나에 광의 광 에너지가 흡수된다(S120). 특히,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렌즈(10)의 렌즈 유효경(R1) 외측 및 제2 렌즈(20)의 렌즈 유효경(R2) 내측에 레이저 광(L)의 초점(P)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광 에너지가 제2 렌즈(20)에 흡수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흡수된 광 에너지가 제1 렌즈(10)와 제2 렌즈(20) 사이에 불투명층(30)을 형성함으로써(S130) 불투명층(30)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 제조방법의 제1 실시예가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렌즈(20)의 표면이 연소됨으로써 발생하는 그을음에 의해 불투명층(30)이 형성된다.
<제2 실시예 >
도 3은 본 발명인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 제조방법의 제2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의 렌즈 어레이 제조방법에 있어서, 우선 제1 렌즈(10) 하부로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제2 렌즈(20)를 위치시킨다(210).
다음, 광이 제1 렌즈(10) 및 제2 렌즈(20) 중 적어도 하나의 유효 반경 외측으로 조사되어 접착층에 광의 광 에너지가 흡수된다(S220). 여기서, 접착층은 제1 렌즈(10)와 제2 렌즈(20)를 부착시키기 위해 별도로 구비된 것이며, 열경화성 수지로서 레이저 광(L)에 의해 연소되어 그을음이 형성될 수 있는 것임은 전술한 바와 같다.
마지막으로, 흡수된 광 에너지가 접착층을 불투명층(30)으로 형성함으로써(S230) 불투명층(30)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 제조방법의 제2 실시예가 수행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L: 레이저 광
P: 초점
R1, R2: 렌즈 유효경
10: 제1 렌즈
20: 제2 렌즈
30: 불투명층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렌즈; 및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에,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유효 반경 외측으로 형성된 불투명층;을 포함하고,
    상기 불투명층은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를 상호 부착시키는 접착층에 광 조사를 통해 형성된 것인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유기물 접착제를 포함하는,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 접착제는 열경화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제1 렌즈 하부로 제2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
    광이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유효 반경 외측으로 조사되어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광의 광 에너지가 흡수되는 단계; 및
    상기 흡수된 광 에너지가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에 불투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10. 제1 렌즈 하부로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제2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
    광이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유효 반경 외측으로 조사되어 상기 접착층에 상기 광의 광 에너지가 흡수되는 단계; 및
    상기 흡수된 광 에너지가 상기 접착층을 불투명층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KR1020100130868A 2010-12-20 2010-12-20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1220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868A KR101220336B1 (ko) 2010-12-20 2010-12-20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868A KR101220336B1 (ko) 2010-12-20 2010-12-20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356A KR20120069356A (ko) 2012-06-28
KR101220336B1 true KR101220336B1 (ko) 2013-01-09

Family

ID=46687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868A KR101220336B1 (ko) 2010-12-20 2010-12-20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3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85334B2 (ja) * 2019-08-16 2023-11-22 Hoya株式会社 光学素子及び光学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2501A (ja) * 1990-03-30 1991-12-12 Asahi Optical Co Ltd 貼り合わせ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285617A1 (en) * 2006-03-20 2007-12-13 Mills Gary D Optical elements with a gap between two lens materials
KR20090004705A (ko) * 2007-07-03 2009-01-12 주식회사 옵토메카 이종재료 일체형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그리고 이를제작하기 위한 제작방법 및 금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2501A (ja) * 1990-03-30 1991-12-12 Asahi Optical Co Ltd 貼り合わせ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285617A1 (en) * 2006-03-20 2007-12-13 Mills Gary D Optical elements with a gap between two lens materials
KR20090004705A (ko) * 2007-07-03 2009-01-12 주식회사 옵토메카 이종재료 일체형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그리고 이를제작하기 위한 제작방법 및 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356A (ko)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3161B2 (ja) 画像読取装置
US7857487B2 (en) Miniaturized linear light source sub-module for various format main modules
US20050243429A1 (en) Optical lens component and optical lens arrangement comprising the lens component
TWI453485B (zh) 一光學鏡頭組與其雷射焊接固定方法
US8987655B2 (en) Optical module having at least one light receiving element with a wiring part covers a part of a side surface of a mesa part
JP6082794B2 (ja) イメージセンサデバイス、cis構造、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2000138792A (ja) イメージ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518175A (ja)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のための多数多角形のタイリング
JP2005215389A5 (ko)
JP2012103553A (ja) 正立等倍レンズアレイプレート、光走査ユニット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16020935A (ja) レーザー装置
JP5918938B2 (ja) レンズアレイプレートおよび正立等倍レンズアレイプレートの製造方法
JP2014190988A (ja) レンズアレイ及びレンズアレイ製造方法
KR101220336B1 (ko) 불투명층이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2012163668A (ja) 結像光学アレイ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4933277B2 (ja) レンズ固定方法およびレンズユニット
JP2011118122A (ja) 正立等倍レンズアレイプレート、光走査ユニット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08145678A (ja) 光学素子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モジュール用ホルダ、光モジュールならびに光コネクタ
JP2019090849A (ja) 光学素子及び撮像レンズ
CN112955799B (zh) 感光模块
JP2017054991A (ja) 撮像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CN211604144U (zh) 微透镜组件、指纹识别模组及电子设备
CN103151681A (zh) 环形增益介质固体激光器
JP2017116634A (ja) レンズシート、撮像モジュール、撮像装置
KR101118975B1 (ko) 광수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