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127B1 - 친환경 염전장판 - Google Patents
친환경 염전장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9127B1 KR101219127B1 KR1020090083397A KR20090083397A KR101219127B1 KR 101219127 B1 KR101219127 B1 KR 101219127B1 KR 1020090083397 A KR1020090083397 A KR 1020090083397A KR 20090083397 A KR20090083397 A KR 20090083397A KR 101219127 B1 KR101219127 B1 KR 1012191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salt
- polyester
- layer
- polyethylen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32B2262/065—Lignocellulosic fibres, e.g. jute, sisal, hemp, flax, bamboo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reinforced with fila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염전장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전장판의 wave현상 및 치수변형을 방지하고, 염전장판의 slip성(염전장판의 고무래 간 마찰지수), 안착성, 평탄도를 보강하여 염전장판 내구성(수명)을 현저하게 개선하며, 염전장판의 최상측 상지층 표면에 미세 먼지가루와 같은 석출물이 끼지 않도록 함으로써 천일염의 품질, 생산량, 채염시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친환경 염전장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바닷물 내지 소금에 지반의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염전 결정지의 지면상에 설치되는 상지층과 하지층으로 구성된 염전장판에 있어서, 상기 상지층과 하지층사이에는 유리섬유,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나이론, 면, T/C(Polyester/Cotton), T/R(Polyester/Rayon), 견, 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이 혼합된 보강층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염전장판, 상지층, 하지층, 중지층, 보강층, 천일염
Description
본 발명은 친환경 염전장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전장판의 wave현상 및 치수변형을 방지하고, 염전장판의 slip성(염전장판의 고무래 간 마찰지수), 안착성, 평탄도를 보강하여 염전장판 내구성(수명)을 현저하게 개선하며, 염전장판의 최상측 상지층 표면에 미세 먼지가루와 같은 석출물이 끼지 않도록 함으로써 천일염의 품질, 생산량, 채염시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친환경 염전장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소금은 주성분이 염화나트륨으로 이루어져 일반적인 음식에 조미 기능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조미료로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더불어 식품 저장, 화학 공업의 원료로 사용되는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금을 제조하기 위해서 해수, 암염, 함수 등이 기초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바, 제조의 근원에 따라 천일염, 암염, 가공염 등의 종류로 구분이 되고 소금 생산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암염이나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천일염이 널이 생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천일염은 해수를 염전저수지로 유입시킨 다음 바람과 햇빛에 의하여 수분과 함께 유해 성분을 증발시켜 만든 미 가공 상태의 굵고 반투명한 육각 결정의 소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수심이 깊지 않고 조수 간만의 차이가 큰 서해안 내지 남해안에서 널리 생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의 천일염전은 대개 저수지, 증발지, 결정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만조시 수문을 열어 증발지에서 증발 과정을 거쳐 농축된 염수를 만들고 결정지로 보내 소금 결정을 얻는 공정을 거친다.
천일염전의 결정지에는 채염을 위한 기반시설에서 발생된 녹, 보온덮개의 부스러기, 모래알갱이, 해충, 식물체와 같은 이물질, 해안의 갯벌에서와 저류지의 갯벌에서 유입된 불용분, 오염된 바닷물의 오염물질이 지반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해, 플라스틱 장판이나 타일, 옹기와 같은 바닥마감부재로 결정지의 지면을 피복하여 사용하고 있다.
염전의 바닥마감부재 상측으로 공급된 바닷물이 태양열과 바람에 의하여 증발되어 소금 결정체가 석출되면, 고무래 등을 이용하여 상기 바닥마감부재의 표면을 긁어서 채염하게 되는데, 바닥마감부재의 평탄도가 우수하여야 소금의 석출이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고, 고무래와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어 채염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타일과 옹기는 평탄도는 우수하나 고가에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약하여 쉽게 깨어지고, 깨어진 타일을 교체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인건비가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 현재는 PVC와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염전 장판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염전의 결정지에서 널리 이용되는 PVC장판은 가격이 저렴하고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여 생활에 널리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질이다. PVC 제품은 신축성과 접착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다량의 가소제(주로 프탈레이트(phthalate)화합물)을 첨가하는데 이들은 내분비계장애물질로 추정되고 있다. 유럽의 대부분 국가와 우리나라에서는 식품위생법 기구 및 용기 포장이 기준 규격에 따라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제조시 DOP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랩 제조시에는 DEHP는 물론 DEHA를 사용해서는 안된다고 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PVC재질에 대한 적, 부적합에 대한 논의가 그다지 없는 실정인데, 2009년 3월에 염관리법이 농림수산식품부로 이관됨에 따라 염전장판지를 비롯한 시설규격에 대한 재고가 있을 전망이다. 따라서 천일염 완제품규격에서 DOP등에 관한 규정이 없지만 염전용 PVC장판 재질에서 생산된 천일염에 화학적 위해요소가 포함될 수도 있는 우려가 상존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나 이에 대한 연구가 그다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종래 PVC 염전장판의 경우 상지층과 하지층의 합지시 잘못된 온도조건에 의해 합지할 경우, 염전지에 염전장판을 설치하여 작업을 하게 되면 첨가제들이 장판표면으로 올라와 깔깔이를 끼게 하여 고무래가 잘 밀리지 않음으로써 작업성이 저해되고, 소금의 품질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천일염은 염전장판에 공급된 바닷물이 태양열과 바람에 의해 순화, 증발되면서 소금 결정체가 석출되는데, 종래의 PVC 염전장판의 경우 종종 수지 특성상외부 온도가 20℃이상 상승하게 되면 장판이 올록볼록하게 wave현상 및 치수변형 등이 발생하게 되어 바닷물이 정체되면서 결정 과정을 방해하여 소금의 품질이 현저하게 떨어진 상태의 니가리소금(소금결정체가 작고 맛이 없는 결정체)이 석출되고, 니가리소금 석출에 따른 영향으로 소금 생산량도 현저하게 저하되며, 염전장판의 평탄도가 현저하게 떨어져 채염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고무래와의 마찰지수가 높아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으로 염전장판의 수명이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일염의 품질 및 생산량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염전장판을 구성함에 있어 유리섬유,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 나이론, 면, T/C(Polyester/Cotton), T/R(Polyester/Rayon), 견, 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이 혼합된 보강층을 더 구비하고, 각기 다른 화합물로 제조된 층을 여러층으로 형성함으로써 염전장판이 햇빛에 장시간 노출되어 각 층마다 각기 다른 수축/팽창이 발생하여도 서로 층간에 수축/팽창이 상쇄되어 염전장판의 wave현상 및 수치변형을 방지할 뿐 아니라 보강층이 염전장판의 wave현상 및 수치변형을 근본적으로 예방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염전장판를 제조함에 있어 가소재를 전혀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종래 PVC장판 합지시 잘못된 온도 조건으로 인한 문제점(가소제로 인한 깔깔이 끼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천일염의 품질, 생산량, 채염시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친환경 염전장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닷물 내지 소금에 지반의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염전 결정지의 지면상에 설치되는 상지층과 하지층으로 구성된 염전장판에 있어서, 상기 상지층과 하지층사이에는 유리섬유,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나이론, 면, T/C(Polyester/Cotton), T/R(Polyester/Rayon), 견, 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이 혼합된 보강층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염전장판의 wave현상 및 치수변형이 방지되고, 염전장판의 slip성(염전장판의 고무래 간 마찰지수), 안착성, 평탄도를 보강하여 염전장판 내구성(수명)을 현저하게 개선하고, 염전장판의 최상측 상지층 표면에 미세 먼지가루와 같은 석출물이 끼지 않음으로써 천일염의 품질, 생산량, 채염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친환경 염전장판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염전장판은 바닷물 내지 소금에 지반의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염전 결정지의 지면상에 설치되는 상지층과 하지층으로 구성된 염전장판에 있어서, 상기 하지층의 하측면 또는 상기 상지층과 하지층사이에 유리섬유,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나이론, 면, T/C(Polyester/Cotton), T/R(Polyester/Rayon), 견, 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이 혼합된 보강층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외부온도가 상승하더라도 염전장판이 올록볼록한 wave현상 및 치수변형 이 발생되지 않도록 본원 발명의 염전장판에서는 유리섬유,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 나이론, 면, T/C(Polyester/Cotton), T/R(Polyester/Rayon), 견, 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이 혼합된 보강층을 결합함으로써 소금의 품질, 소금생산량 및 작업성, 장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지층과 하지층사이에 보강층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지층과 보강층사이에는 폴리에틸렌(PE), TPO(Thermo Plastic Olefin), 메탈로센-PE, 메탈로센-PP, SBS(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SEBS(styrene-ethlene/butylene-styrene),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Ter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이 혼합된 중지층을 더 결합된다.
또한, 상지층, 중지층, 보강층, 하지층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지층의 하측면에 유리섬유,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 나이론, 면, T/C(Polyester/Cotton), T/R(Polyester/Rayon), 견, 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이 혼합된 보강층을 더 결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염전장판이 소금결정지에 설치된 상태에서 장시간 햇빛에 노출되거나 안착성 및 평탄도가 좋지 않으면 염전장판의 wave현상 및 치수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소금품질이 좋지 않게 되는데, 본원 발명의 염전장판에서는 각기 다른 화합물로 제조된 층을 여러층으로 형성함으로써 장시간 햇빛에 노출되더라도 각 층마다 수축/팽창이 상쇄되거나 보강층이 근본적으로 염전장판의 wave현상 및 치수변형을 방지하여 소금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지층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TPO(Thermo Plastic Olefi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합물 50~80중량%, 청옥 10~40중량%, 카본블랙 1.0~5.0중량%, 첨가제 0.5~7중량%가 배합되거나, 폴리에틸렌(PE) 15~30중량%, 폴리프로필렌(PP) 15~30중량%, TPO(Thermo Plastic Olefin) 15~30중량%, 청옥 1~40중량%, 카본블랙 1.0~5.0중량%, 첨가제 0.5~5중량%가 배합되어 제조된다.
그리고, 상지 하지층은 폴리에틸렌(PE), TPO(Thermo Plastic Olefin), 메탈로센-PE, 메탈로센-PP, SBS(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합물 15~30중량%, 무기충전체 65~80중량%, 카본블랙 0.5~2.0중량%, 첨가제 0.5~5중량%가 배합되어 제조되거나, TPO(Thermo Plastic Olefin) 10~25중량%, 메탈로센-PE 10~25중량%, 메탈로센-PP 10~25중량%, 무기충전체 30~60중량%, 카본블랙 0.5~2.0중량%, 첨가제 0.5~5중량%가 배합되어 제조된다.
또한, 상기 중지층은 폴리에틸렌(PE), TPO(Thermo Plastic Olefin), 메탈로센-PE, 메탈로센-PP, SBS(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합물 15~30중량%, 무기충전체 65~80중량%, 카본블랙 0.5~2.0중량%, 첨가제 0.5~5중량%가 배합되어 제조되거나, TPO(Thermo Plastic Olefin) 10~25중량%, 메탈로센-PE 10~25중량%, 메탈로센-PP 10~25중량%, 무기충전체 30~60중량%, 카본블랙 0.5~2.0중량%, 첨가제 0.5~5중량%가 배합되어 제조된다.
한편, 상기 상지층, 중지층, 하지층에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E)는 에틸렌의 중합으로 생기는 사슬 모양의 고분자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PE)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지층에 사용되는 폴리프레필렌(PP)은 프로필렌(Propylene)을 중합하여 만든 화합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은 중합시 배열상태에 따른 구분인 이소택틱(isotactic PP), 신디오택틱(syndiotactic PP) 및 어택틱 PP(atactic PP)를 모두 포함하며, 통상의 호모 폴리프로필렌( homo polypropylene, 프로필렌으로만 중합한 고분자), 임팩트 폴리프로필렌(impact polypropylene, 생산과정에서 보통의 중합과는 다른 방식으로 에틸렌을 투입하여 생산한 공중합체), 랜덤 폴리프로필렌(random polypropylene, 폴리프로필렌 중합시 소량의 에틸렌을 첨가하여 고분자의 입체규칙성을 낮춘 물질)를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TPO(Thermo Plastic Olefin)란 TPE(Thermoplastic elastomer)라고도 하며, 소재에서 성형성과 플라스틱의 특성을 나타내는 Olefin계 범용 수지인 PP(Poly propylene)를 Hard Segment로 사용하고, 탄성과 고무의 특성을 나타내느 EPDM(Ethylene-Propylene Di-Monomer)을 Soft Segment로 이용하여 상온에서는 고무의 탄성과 유연성을 지니고 고온에서는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가공성을 나타내는 소재를 말한다. 좀 더 세분화하면, TPO는 PP와 EPR(Ethylene-Propylene rubber) 또는 EPDM의 복합소재를 총칭하여 나타내며, 동적가교 공정을 가친 제품은 TPE 또는 TPV(Thermoplastic Vulcanizes)란 용어로 구별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TPE 소재는 동적가교(Dynamic vulcanized)라고 하는 반응 압출(Reactive extrusion)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되어지며, 압출기내 용융상태에서 가교제를 이용하여 고무(EPDM)만 선택적으로 가교(Crosslink)시켜, 제조되어진다.
이렇게 제조된 TPE는 가황고무에 비해, 가황 공정이 필요치 않고, 생산성이 높으며, Recycle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며, 이외에도 경량성, 내후성, 열적 성질, 기계적 특성 등 우수한 특성을 함께 가지고 있어 그 적용 분야가 급격히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지층에 포함되는 청옥은 분말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자연 유래 또는 인공합성의 청옥이 사용될 수 있으나, 경제적인 문제상 바람직하게는 인공 합성된 청옥이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렇게, 본 발명의 염전 장판에 청옥을 첨가함으로써 옥의 기능인 향균성이 증진되고, 장판 자체의 안전성 등이 부여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상지층, 중지층, 하지층에 첨가되는 카본블랙은 흑색의 미세한 탄소분말로 본 발명에 염전장판에 사용되는 카본블랙의 경우 입자가 미세한 사슬 모양의 결합이 없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중지층, 하지층에 포함되는 무기충전체는 평균 입경이 10㎛이하의 침상형태의 무기질이 사용되거나, 평균 입경이 7㎛이하 범위의 탈크, 황산바륨, 탄산 칼슘 올라스토나이트 등이 가능하고, 특히 평균 입경이 7㎛이하 범위의 탈크, 황산바륨, 탄산 칼슘 올라스토나이트가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지층, 중지층, 하지층에 포함되는 상기 첨가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아민계 산화방지제, Thoi계 산화방지제, 인계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산화방지제 10~20중량%; Quenchers,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로 구분되며 화학구조에 따라 Phenyl Salicylates, Benzophenone, Benzotriazole, 니켈유도체, Radical Scavenger로 구분되는 자외선 안정제중 하나이상 선택된 자외선 안정제 10~20중량%; Cd/Ba/Zn계 열안정제, Cd/Ba계 열안정제, Ba/Zn계 열안정제, Ca/Zn계 열안정제, Na/Za계 열안정제, Sn계 열안정제, Pb계 열안정제, Cd계 열안정제, Zn계 열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열안정제 10~20중량%; 파라핀 왁스, 폴리올레핀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스테아마이드, 올레산아마이드, 에르신산아마이드, 에루카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활제 10~20중량%; Talc, Silica, Kaolin, Mono, Polymer carboxilic acid salt, Pigment, Ethylene Acrylic ester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핵제 10~20중량%; 4급 암모늄화합물, 에폭시화아민, 지방산에스테르, 황산화된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대전방지제 10~20중량%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염전장판을 제조함에 있어서, 각각의 층을 상호 합지하는 경우 가공온도는 110~160℃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각 층을 합판시 가공온도가 110℃보다 낮으면 각 층별 접착불량이 생기고, 온도가 높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최상측의 상지층의 표면에 첨가제들이 올라와 뿌옇게 코팅층을 형성하여 고무래가 밀리지 않는 일명 '깔깔이가 끼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깔깔이란 소금물 농도(염도) 13~19도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석출물(소금의 일종)로, 미세한 먼지가루처럼 생겼으며 나트륨 함량이 높아 매우 짜서 식용으로는 불가한 물질이다.
그리고, 깔깔이가 끼는 현상이란, 깔깔이가 장판에 눌러 붙어 떨어지지 않는 현상으로 깔깔이가 끼면 장판이 거칠어져서 고무래가 잘 밀리지 않게 되며, 장판의 내구성에도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와 같이 염전장판에 깔깔이가 끼게 되면 천일염 품질, 생산량, 채염시 작업성, 장판 내구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러한 깔깔이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소금의 품질에 있어 절대적으로 중요한 것이다.
즉, 소금이 결정되면 소금물이 순환하면서 소금 입자 결정체가 형성되면서 최종적으로 천일염이 만들어지는데, 염전장판의 표면에 깔깔이가 끼게 되면 염전장판의 표면이 끈적거리게 되어 소금 결정체가 소금물 흐름에 돌지 않고 장판에 눌러 붙게 됨으로써, 천일염 품질(입자크기 및 성분), 생산량, 채염시 작업성, 장판 내구성(수명)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아래 표1, 표2, 표3은 깔깔이가 끼지 않은 경우와 깔깔이가 끼는 경우 소금입자크기, 소금성분, 소금생산량 및 작업성, 장판의 내구성을 분석한 것이다.
소금입자 크기 | 깔깔이 끼지 않는 경우 | 깔깔이 끼는 경우 | 비고 |
3mm 이상 | 1.2±0.1% | 0 | |
3~2.5mm | 23.5±3.6% | 11.6±1.5% | |
2.5mm | 75.3±3.6% | 88.4±1.5% |
소금 성분 | 깔깔이 끼지 않는 경우 | 깔깔이 끼는 경우 | 비고 |
Na | 81.30% | 98.50% | |
Mg | 7.12% | 1.20% | |
Ca | 1.11% | 0.02% | |
K | 1.07% | 0.02% | |
산도 | 알카리성 | 산성 |
구분 | 깔깔이 끼치 않는 경우 | 깔깔이 끼는 경우 | 비고 |
소금 생산량/일 | 150kg | 55kg | |
시간당 수확량 | 30kg | 11kg | |
장판 수명 | 5~7년 | 2~3년 |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등록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 바닷물 내지 소금에 지반의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염전 결정지의 지면상에 설치되는 상지층과 하지층으로 구성된 염전장판에 있어서,상기 하지층의 하측면에는 유리섬유,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나이론, 면, T/C(Polyester/Cotton), T/R(Polyester/Rayon), 견, 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이 혼합된 보강층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되,상기 상지층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TPO(Thermo Plastic Olefi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합물 50~80중량%, 청옥 10~40중량%, 카본블랙 1.0~5.0중량%, 첨가제 0.5~7중량%가 배합되어 제조되고,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열안정제, 활제, 핵제 및 대전방지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장판.
- 바닷물 내지 소금에 지반의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염전 결정지의 지면상에 설치되는 상지층과 하지층으로 구성된 염전장판에 있어서,상기 상지층과 하지층사이에는 유리섬유,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나이론, 면, T/C(Polyester/Cotton), T/R(Polyester/Rayon), 견, 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이 혼합된 보강층이 결합되되,상기 상지층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TPO(Thermo Plastic Olefi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합물 50~80중량%, 청옥 10~40중량%, 카본블랙 1.0~5.0중량%, 첨가제 0.5~7중량%가 배합되어 제조되고,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열안정제, 활제, 핵제 및 대전방지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장판.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상지층과 보강층사이에는 폴리에틸렌(PE), TPO(Thermo Plastic Olefin), 메탈로센-PE, 메탈로센-PP, SBS(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SEBS(styrene-ethlene/butylene-styrene),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Ter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이 혼합된 중지층이 결합되되,상기 상지층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TPO(Thermo Plastic Olefi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합물 50~80중량%, 청옥 10~40중량%, 카본블랙 1.0~5.0중량%, 첨가제 0.5~7중량%가 배합되어 제조되고,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열안정제, 활제, 핵제 및 대전방지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장판.
- 제3항에 있어서,상기 하지층의 하측면에는 유리섬유,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나이론, 면, T/C(Polyester/Cotton), T/R(Polyester/Rayon), 견, 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이 혼합된 보강층이 결합되되,상기 상지층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TPO(Thermo Plastic Olefi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합물 50~80중량%, 청옥 10~40중량%, 카본블랙 1.0~5.0중량%, 첨가제 0.5~7중량%가 배합되어 제조되고,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열안정제, 활제, 핵제 및 대전방지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장판.
- 바닷물 내지 소금에 지반의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염전 결정지의 지면상에 설치되는 상지층과 하지층으로 구성된 염전장판에 있어서,상기 하지층의 하측면에는 유리섬유,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나이론, 면, T/C(Polyester/Cotton), T/R(Polyester/Rayon), 견, 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이 혼합된 보강층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되,상기 상지층은 폴리에틸렌(PE) 15~30중량%, 폴리프로필렌(PP) 15~30중량%, TPO(Thermo Plastic Olefin) 15~30중량%, 청옥 1~40중량%, 카본블랙 1.0~5.0중량%, 첨가제 0.5~5중량%가 배합되어 제조되고,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열안정제, 활제, 핵제 및 대전방지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장판.
- 바닷물 내지 소금에 지반의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염전 결정지의 지면상에 설치되는 상지층과 하지층으로 구성된 염전장판에 있어서,상기 상지층과 하지층사이에는 유리섬유,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나이론, 면, T/C(Polyester/Cotton), T/R(Polyester/Rayon), 견, 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이 혼합된 보강층이 결합되되,상기 상지층은 폴리에틸렌(PE) 15~30중량%, 폴리프로필렌(PP) 15~30중량%, TPO(Thermo Plastic Olefin) 15~30중량%, 청옥 1~40중량%, 카본블랙 1.0~5.0중량%, 첨가제 0.5~5중량%가 배합되어 제조되고,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열안정제, 활제, 핵제 및 대전방지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장판.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하지층은 폴리에틸렌(PE), TPO(Thermo Plastic Olefin), 메탈로센-PE, 메탈로센-PP, SBS(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합물 15~30중량%, 무기충전체 65~80중량%, 카본블랙 0.5~2.0중량%, 첨가제 0.5~5중량%가 배합되되,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열안정제, 활제, 핵제 및 대전방지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장판.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하지층은 TPO(Thermo Plastic Olefin) 10~25중량%, 메탈로센-PE 10~25중량%, 메탈로센-PP 10~25중량%, 무기충전체 30~60중량%, 카본블랙 0.5~2.0중량%, 첨가제 0.5~5중량%가 배합되어 제조되되,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열안정제, 활제, 핵제 및 대전방지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장판.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중지층은 폴리에틸렌(PE), TPO(Thermo Plastic Olefin), 메탈로센-PE, 메탈로센-PP, SBS(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합물 15~30중량%, 무기충전체 65~80중량%, 카본블랙 0.5~2.0중량%, 첨가제 0.5~5중량%가 배합되어 제조되되,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열안정제, 활제, 핵제 및 대전방지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장판.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중지층은 TPO(Thermo Plastic Olefin) 10~25중량%, 메탈로센-PE 10~25중량%, 메탈로센-PP 10~25중량%, 무기충전체 30~60중량%, 카본블랙 0.5~2.0중량%, 첨가제 0.5~5중량%가 배합되어 제조되되,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열안정제, 활제, 핵제 및 대전방지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장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1380 | 2009-07-06 | ||
KR20090061380 | 2009-07-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4239A KR20110004239A (ko) | 2011-01-13 |
KR101219127B1 true KR101219127B1 (ko) | 2013-01-07 |
Family
ID=4361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3397A KR101219127B1 (ko) | 2009-07-06 | 2009-09-04 | 친환경 염전장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912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9012B1 (ko) * | 2009-09-30 | 2012-01-31 | 진양화학 주식회사 | 염전용 바닥재 |
KR101370799B1 (ko) * | 2012-04-30 | 2014-03-07 | 진양화학 주식회사 |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 |
KR101441186B1 (ko) * | 2012-07-12 | 2014-09-18 | (주)엘지하우시스 |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와 이의 시공방법 |
KR101597252B1 (ko) * | 2014-04-29 | 2016-02-24 | 민경철 | 갯벌을 이용한 타일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된 염전바닥용 타일 |
KR101694371B1 (ko) * | 2015-09-17 | 2017-01-09 | 주식회사 부흥산업 | 염전 바닥용 친환경 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81347B1 (ko) * | 1994-11-21 | 1999-04-01 | 심진섭 | 다층 방수시트 및 그 제조 방법 |
KR20060116199A (ko) * | 2003-10-30 | 2006-11-14 | 아즈델, 인코포레이티드 | 개선된 유리 매트 열가소성 복합재료 |
KR20070048739A (ko) * | 2004-08-25 | 2007-05-09 | 타키론 가부시기가이샤 | 바닥재 |
KR100812301B1 (ko) * | 2007-10-05 | 2008-03-10 | 윤광수 |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 |
-
2009
- 2009-09-04 KR KR1020090083397A patent/KR10121912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81347B1 (ko) * | 1994-11-21 | 1999-04-01 | 심진섭 | 다층 방수시트 및 그 제조 방법 |
KR20060116199A (ko) * | 2003-10-30 | 2006-11-14 | 아즈델, 인코포레이티드 | 개선된 유리 매트 열가소성 복합재료 |
KR20070048739A (ko) * | 2004-08-25 | 2007-05-09 | 타키론 가부시기가이샤 | 바닥재 |
KR100812301B1 (ko) * | 2007-10-05 | 2008-03-10 | 윤광수 |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4239A (ko) | 2011-0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9127B1 (ko) | 친환경 염전장판 | |
JP4528669B2 (ja) | 自動車外装部品用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外装部品 | |
CA2825526C (en) | Low gloss capstock | |
KR101816875B1 (ko) | 폴리프로필렌 친환경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 |
US20140308496A1 (en) | Multilayer films with improved opacity and strength | |
US20140308480A1 (en) | Films with improved dart impact resistance | |
KR101471997B1 (ko) |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지의 제조방법 | |
US10513614B2 (en) | Blends of microcrystalline and macrocrystalline talc for reinforcing polymers | |
US20170247522A1 (en) | Propylene-Based Elastomers and Propylene Polymers Useful for Foam Applications | |
US10619037B2 (en) | Roofing compositions comprising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 |
US10538070B2 (en) | Non-polyvinylchloride surface covering | |
KR100921445B1 (ko) | 염전 장판 및 이의 제조방법 | |
US20030203231A1 (en) | UV stabilization of synthetic paper | |
KR20110130229A (ko) | 친환경 염전 장판 | |
KR101312698B1 (ko) | 친환경 염전 장판 | |
KR20170029692A (ko) | 데코타일 탑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984622B1 (ko) |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2207972B1 (ko) | 논슬립성이 우수한 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논슬립 필름 | |
KR20160036157A (ko) | 폴리올레핀 컴파운드 조성물을 코팅한 섬유벨트제품의 제조방법 | |
EP2272921B1 (en) | Oxo-degradability inducing substance | |
KR20110093207A (ko) | 친환경 염전 장판 | |
JP2005047097A (ja) | 農業用ポリオレフィン系多層フィルム | |
CN115175961A (zh) | 用于涂料替换和高光泽度应用的具有透明涂层的汽车彩色模制热塑性聚烯烃 | |
AU2016339049A1 (en) | Polymer blends | |
KR101309340B1 (ko) |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로 제조된 필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